[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100376A -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 - Google Patents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376A
KR20080100376A KR1020087023599A KR20087023599A KR20080100376A KR 20080100376 A KR20080100376 A KR 20080100376A KR 1020087023599 A KR1020087023599 A KR 1020087023599A KR 20087023599 A KR20087023599 A KR 20087023599A KR 20080100376 A KR20080100376 A KR 2008010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hydrophilic
loaded
group
active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외르그 크로이터
클라우스 랑게르
케르스틴 미카엘리스
텔리 헤크마타라
세바스티안 드라이스
Original Assignee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10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37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1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carbocyclic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glutethimide, meperidine, loperamide, phencyclidine, pimino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3Albumins, e.g. HSA, BSA, ovalbumin or a Keyhole Limpet Hemocyanin [KH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하는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이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산 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나노입자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의 생산 방법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 {AGENT-ENRICHED NANOPARTICLES BASED ON HYDROPHILIC PROTEINS}
본 발명은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한 활성제-로드된(active agent-loaded)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이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나노입자에 결합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약제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제를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가로질러 수송하기 위해,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 바람직하게는 아포지단백(apolipoprotein)이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나노입자에 결합한다.
용어 "나노입자(nanoparticle)"는 10 nm 내지 1000 nm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또한 약물 또는 다른 생물학적 활성재(active material)가 공유 결합(covalent linkage), 이온 결합 또는 흡착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물질이 혼입(incorporate)될 수 있는 인조 또는 천연 고분자 물질로 제조된다.
어떤 나노입자에 의해서는, 그 자체로는 혈액-뇌 장벽을 건널 수 없는 친수 성 약물을 상기 장벽을 가로질러 수송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이들 친수성 약물이 중추신경계(CNS)에서 치료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80 (트윈® 80) 또는 다른 텐사이드(tenside)로 코팅되는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입자에 의해 상기 혈액-뇌 장벽을 가로질러 다수의 약물을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이는 중추신경계에서 그들의 작용을 통해 상당한 약제학적 효과를 야기한다. 그러한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입자와 함께 투여되는 약물의 예는 엔돌핀 헥사펩티드인 달라르긴(dalargin), 각각 컴퍼니 메르츠(Merz, Frankfurt)의 두 NMDA 수용체 길항제 MRZ 2/576 및 MRZ 2/596인 로페라미드(loperamide) 및 튜보쿠아린(tubocuarine) 뿐만 아니라 항신생물 활성제 독소루비신(doxorubicin)을 포함한다.
상기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이들 나노입자의 수송 메카니즘은 아마도 폴리소르베이트 80 코팅을 통해 나노입자에 의해 흡착되는 아포지단백 E(ApoE)를 기초로 할 것이다. 아마도, 이들 입자는 이에 의해 뇌에 대한 지질의 공급을 보증하는 뇌 내피세포의 수용체에 의해 인식되고 결합되는 모방(mimic) 지단백 입자일 것이다.
그러나 상기 혈액-뇌 장벽을 건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입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생리적 기원의 것이 아니고 또한 상기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나노입자의 수송이 아마도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독성 효과에 기인할 것이라는 단점을 가진다. 추가로, 공지된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 노입자는 또한 상기 ApoE의 결합이 흡착에 의해서만 일어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의해, 상기 나노입자-결합된 ApoE는 자유 ApoE와 평형 상태로 존재하고, 또한, 신체 내로 주사한 후, 상기 입자로부터 ApoE의 빠른 탈착(desorption)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약물은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입자에 충분한 정도로 결합하지 않고, 따라서 이 담체 시스템으로는 혈액-뇌 장벽을 가로질러 수송될 수 없다.
이들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WO 02/089776 A1은 비오틴화된 아포지단백 E가 아비딘-비오틴 시스템 또는 아비딘 유도체를 통해 결합된 인간 혈청 알부민의 나노입자(HSA 나노입자)를 제안한다. 정맥내 주사 이후, 이들 HSA 나노입자는 흡착 결합된 또는 공유 결합된 약물뿐만 아니라 입자 매트릭스에 혼입된 약물을 혈액-뇌 장벽(BBB)을 가로질러 수송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다르게는 생화학적, 화학적 또는 생리화학적 이유로 장벽을 건널 수 없는 활성제는 CNS에서 약제학적 및 치료적 적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아비딘-비오틴 시스템은 다양한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이의 사용은 나노입자의 생산에 있어 복잡하고 또한 추가로, 면역학적 효과 또는 다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아비딘-비오틴 시스템을 포함하는 입자 시스템은 연장된 기간 동안 보관될 때 응집(agglomerate)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는 평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고 또한 상기 입자의 효율에 역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는 아비딘-비오틴 시스템을 포함하는 HSA 나노입자의 단점 및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입자의 단점을 가지는 이들 나노입자없이, CNS에 공급될 수 있는, 생화학적, 화학적 또는 생리화학적 이유로 혈관-뇌 장벽을 건널 수 없는 약물에 의한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 과제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제를 포함하고, 또한 작용성 단백질로서 작용하는 아포지단백이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결합되는,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하는 나노입자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의 기초가 되는 친수성 단백질,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친수성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혈청 알부민, 젤라틴 A, 젤라틴 B 및 카제인을 포함하는 단백질 군에 속한다. 인간 기원의 친수성 단백질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입자는 인간 혈청 알부민을 기초로 한다.
상기 이작용성(bifunctional)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는 말레이미드기 및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는 한정된 길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은 3400 Da 또는 5000 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친수성 단백질에 커플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친수성 단백질에 결합한 아포지단백은 아포지단백 E, 아포지단백 B(ApoB) 및 아포지단백 A1 (ApoA1)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작용성 단백질은 아포지단백이 아니라 항체, 효소 및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구성되는 단백질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거의 모든 원하는 펩타이드 절편,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언급된 작용성 단백질의 작용적 활성 절편 군으로부터의 펩타이드 절편을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나노입자에 커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이고 또한 상기 나노입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친수성 단백질 또는 상기 친수성 단백질들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송될 활성제를 상기 나노입자에 로드하는 것은 반응성 기(reactive group)를 통한 착화 결합(complexing linkage)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상기 나노입자 내로의 상기 활성제의 혼입, 또는 상기 나노입자에 대한 상기 활성제의 흡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거의 모든 원하는 활성제/약물로 로드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입자는, 그 자체는 혈액-뇌 장벽을 건널 수 없는 활성제로 로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제는 세포증식억제제(cytostatic agent), 항생제, 항바이러스 물질, 및 신경 질환에 대해 활성인 약물의 군, 예를 들어 진통제(analgesic agent), 누트로픽제(nootropics), 항간질제(anti-epileptic), 진정제(sedative), 정신작용 약물(psychotropic drug), 뇌하수체 호르몬, 시상하부 호르몬, 다른 조절 펩타이드 및 이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약물의 군에 속하고, 이 목록은 결코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제는 달라르긴, 로페라미드, 튜보쿠아린 및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상기 작용성 단백질 또는 이의 펩타이드 절편을 상기 입자의 친수성 단백질에 커플시키는데에,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아비딘-비오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처음에 상기 친수성 단백질 또는 상기 친수성 단백질들의 수용액을 탈용매화(desolvating) 공정에 의해 나노입자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상기 나노입자를 가교결합에 의해 안정화시킴으로써 생산된다.
상기 수성 용매로부터의 탈용매화는 에탄올의 첨가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아세톤, 이소프로판올 또는 메탄올과 같은, 다른 수혼화성의, 친수성 단백질에 대한 비용매(non-solvent)의 첨가에 의해 탈용매화를 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 단백질로서 젤라틴은 아세톤의 첨가에 의해 성공적으로 탈용매화된다. 수상(aqueous phase)에 용해된 단백질의 탈용매화는 또한 황산 마그네슘 또는 황산 암모늄과 같은 구조-형성(structure-forming) 염의 첨가에 의해 가능하다. 이는 염석(salting out)이라 불린다.
상기 나노입자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이작용성 알데히드, 바람직하게는 글루타르알데히드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이다. 또한, 열 처리에 의해 상기 나노입자 매트릭스를 가교결합시킬 수 있다. 안정된 나노입자 시스템은 60℃에서 25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으로, 또는 70℃에서 2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으로 수득되었다.
상기 안정화된 나노입자의 표면 상에 위치된 작용성 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는 아포지단백의 직접 공유 컨쥬게이션(direct covalent conjugation)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작용성 기는 아미노기 및 자유 티올기 모두에 반응성인 헤테로이작용성 "스페이서(spacer)"를 통해, 자유 티올기가 미리 도입된 아포지단백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해, 입자 표면의 아미노기를 헤테로이작용성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계 가교제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변환시킨다. 이 공정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의 숙신이미딜기는 입자 표면의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를 방출시킨다. 이 반응에 의해, 상기 입자 표면에 PEG기를 도입시킬 수 있고 이는, 차례로, 티올화된 물질과 반응하여 티오에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말레이미드기를 사슬의 타단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해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은 3400 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NHS-PEG3400-Mal). 그러나, 원칙적으로, 보다 짧거나 보다 긴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예를 들어 5000 달톤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해, 커플되는 아포지단백,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은 2-이미노티올레인(2-iminothiolane)을 사용하는 변환에 의해 티올화된다. 상기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의 자유 아미노기는 이 변환에 사용된다.
각 반응 단계 후, 상기 입자 시스템은 여러차례의 원심분리 및 수용액에서의 재분산에 의해 정제된다. 이 변환에 이어, 각각의 용해된 단백질은 원칙적으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in chromatography)에 의해 저분자 반응 산물로부터 분리된다.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하고 또한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으로 변형된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해 바람직한 방법은
-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들의 조합의 수용액을 탈용매화시키는 단계,
- 상기 탈용매화에 의해 생산된 나노입자를 가교결합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단계,
- 상기 안정화된 나노입자의 표면 상의 아미노기를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변환시키는 단계,
- 상기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을 티올화(thiolating)시키는 단계; 및
- 상기 티올화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을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변환된 나노입자에 공유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제학적 효과를 매개하기 위해, 약제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 (활성제)는 상기 입자 내에 혼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상기 활성제의 결합은 공유 결합, 착화 결합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흡착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티올화된 아포지단백의 공유 결합 또는 다른 티올화된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의 공유 결합에 이어, PEG-변형된 나노입자는 상기 활성제로 흡착적으로 로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에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 또는 상기 친수성 단백질들 중 하나 이상은 혈청 알부민, 젤라틴 A, 젤라틴 B 및 카제인 및 동등(comparable)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백질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기원의 친수성 단백질이 상기 생산에 사용된다.
아포지단백 E가 결합된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들의 조합인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그렇지 않고는 혈액-뇌 장벽을 건너지 않는 약제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제, 특히 친수성 활성제를 혈액-뇌 장벽을 가로질러 수송하여 약제학적 효과를 유도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활성제는 세포증식억제제, 항생제, 및 신경 질환에 대해 활성인 약물의 군, 예를 들어 진통제, 누트로픽제, 항간질제, 진정제, 정신작용 약물, 뇌하수체 호르몬, 시상하부 호르몬, 다른 조절 펩타이드 및 이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군에 속한다. 그러한 활성제의 예는 달라르긴, 로페라미드, 튜보쿠아린, 독소루비신 등이다.
따라서, 활성제로 로딩되고 아포지단백으로 변형될 수 있는, 본원에서 기술된 나노입자는 다수의 뇌질환을 치료하는데에 적합하다. 이때문에, 담체 시스템에 결합된 활성제는 각각의 치료 목적에 따라 선택된다. 상기 담체 시스템은 특히,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불충분한 이동을 나타내거나 또는 어떠한 이동도 나타내지 않는 이들 활성 물질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활성제로서 고려되는 적합한 물질은, 약간의 적용 영역을 언급한다면, 뇌 종양의 치료를 위한 세포증식억제제, 뇌 영역 내 바이러스 감염, 예를 들어 HIV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활성제뿐만 아니라 치매 질환(dementia affection)의 치료를 위한 활성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약제의 생산을 위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의 용도이고; 보다 특히 이들 나노입자가 약제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제를 혈액-뇌 장벽을 가로질러 수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른, 뇌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작용성 단백질이 아포지단백인 본 발명의 나노입자의 용도 및, 뇌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단백질의 용도, 각각이다.
도 1: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아포지단백으로 변형된 로페라미드-로드된 HSA 나노입자의 정맥내 적용에 따른 진통 효과 (최대 가능 효과, MPE)의 도시
탈용매화에 의해 HSA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해, 200 ㎎의 인간 혈청 알부민을 10 mM NaCl 용액 2.0 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의 pH를 8.0 값으로 조정하였다. 교반하에, 이 용액에 8.0 ml의 에탄올을 1.0 ml/분의 속도로 점적(drop-wise) 첨가에 의해 첨가하였다. 이 탈용매화 단계는 2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HSA 나노입자를 형성시킨다.
상기 나노입자는 235 ㎕의 8%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용액의 첨가에 의해 안정화시켰다. 12시간의 인큐베이션 시간에 이어, 상기 나노입자를 3회의 원심분리 및 처음에는 정제수로의 재분산 그리고 이어서는 PBS 완충액 (pH 8.0)으로의 재분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상기 나노입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500 ㎕의 가교제 NHS-PEG3400-Mal 용액 (PBS 완충액 8.0 내 60 mg/ml)을 2.0 ml의 나노입자 현탁액 (PBS 완충액 내 20 mg/ml)에 첨가하고 교반(agitation)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하였다. 이 인큐베이션 시간 후, PEG-변형된 나노입자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정제수로 정제하였다. 이들 단계는 상기 표면에 적용된 PEG 유도체의 말레이미드기를 통해, 자유 티올기에 대해 반응성을 가지는 PEG화된 HSA 나노입자를 산출하였다.
아포지단백의 공유 결합을 위해, 처음에, 자유 티올기를 이의 구조 내에 도입시켰다. 이때문에, 500 ㎍의 아포지단백을 1.0 ml TEA 완충액 (pH 8.0)에 용해시키고, 2-이미노티올레인 (트라우트 시약(Traut's reagent))을 50배 몰 초과되도록 첨가하였다. 실온에서의 12시간 반응 시간 후, 티올화된 아포지단백은 덱스트 란 탈염 컬럼(D-salt® 컬럼)을 통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으며, 저분자 반응 산물을 이 공정에서 분리하였다.
HSA 나노입자에 대한 상기 티올화된 아포지단백의 공유 컨쥬게이션을 위해, 500 ㎍의 티올화된 아포지단백을 25 ㎎의 PEG-변형된 HSA 나노입자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하였다. 이 반응 시간 후, 비반응한 아포지단백은 상기 나노입자를 원심분리 및 재분산함으로써 제거하였다. 이 최종 정제 단계에서, 아포지단백-변형된 HSA 나노입자를 에탄올 2.6 부피%에 취하였다.
분리 샘플 내에서, 아포지단백 E, 아포지단백 B 및 아포지단백 A1은 티올화되었으며 HSA 나노입자에 커플되었다.
나노입자에 모델 약물 로페라미드를 로딩하기 위해, 에탄올 2.6 부피%에 녹인 6.6 ㎎ 로페라미드를 20 ㎎의 ApoE-변형된 나노입자에 첨가하였으며 2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하였다. 이 시간 후, 결합되지 않은 약물은 원심분리 및 재분산에 의해 분리하였다; 결과물인 로페라미드-로드된 아포지단백-변형된 HSA 나노입자를 주사 목적을 위해 물에 취하였으며, 물로 희석하여 입자 함량을 10 ㎎/㎖로 조정하였다. 상기 나노입자는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활성제의 수송에 대한 그들의 적합성을 실험하기 위한 동물 실험에 사용하였다.
용해된 형태로는 혈액-뇌 장벽(BBB)을 건널 수 없는 아편유사제(opioid)로서의 로페라미드는 BBB를 건너기 위한 상응하는 담체 시스템에 대해 특히 적합한 모델 약물이다. 로페라미드-함유 제제의 적용 후에 발생하는 진통 효과는 상기 물질 이 중추 신경계에 축적되고, 따라서 BBB를 넘어선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동물 실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나노미립자 제제는 10.0 ㎎/㎖ 나노입자, 0.7 ㎎/㎖ 로페라미드 및 190 ㎍/㎖ ApoE를 함유하였다.
동물 실험을 위해 적용준비된(ready-to-apply) 나노미립자 제제의 조성물 (총 부피 2.0 ml)은 이하와 같다:
1. 10.0 ㎎/㎖ 아포지단백-변형된 HSA 나노입자
2. 190.0 ㎍/㎖ 공유 결합된 아포지단백
3. 0.7 ㎎/㎖ (상기 나노입자에 흡착적으로 결합된) 로페라미드
4. 주사 목적을 위한 물
상기 제제를 7.0 ㎎/㎏ 로페라미드의 용량으로 마우스에게 정맥내로 적용하였다. 20g인 마우스의 평균 체중에 기초하여, 상기 동물은 상기 언급된 제제를 200 ㎕의 적용량으로 수용하였다.
이 시스템의 도움으로, 도 1에 나타낸 진통 효과는 상기 언급된 활성제 로페라미드를 사용하는 정맥 내 주사 후에 달성되었다. 진통 (통각 반응(nociceptive response))은, 뜨거운 광선을 마우스의 꼬리 상에 쐬어주고 마우스가 그의 꼬리를 쳐서 피할 때까지 지난 시간을 측정하는 꼬리치기(tail-flick) 테스트에 의해 검출하였다. 10초 후 (= 100 % MPE) 상기 실험은 마우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지하였다. 음성 MPE 값은 제제의 투여 후 마우스가 치료 전보다 그의 꼬리를 더 빨리 쳐서 피하는 경우에서 발생한다.
비교로서, 2.6 부피%의 에탄올에 녹인 로페라미드 용액 0.7 ㎎/㎖을 사용하 였다. 자유 물질 로페라미드 자체는 혈액 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수송의 결핍에 의해 어떠한 진통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다.

Claims (30)

  1.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한 활성제-로드된(active agent-loaded) 나노입자로서, 상기 나노입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상기 친수성 단백질 또는 상기 친수성 단백질들에 결합한 하나 이상의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 또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백질은 혈청 알부민, 젤라틴 A, 젤라틴 B 및 카제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 또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백질은 인간 기원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은 아포지단백(apolipoprotein), 항체, 효소, 호르몬, 세포증식억제제(cytostatic agent), 항생제, 및 이의 절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성 단백질은 아포지단백 A1, 아포지단백 B 및 아포지단백 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는 3400 Da 또는 5000 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반응성 기(reactive group)를 통한 착화 결합(complexing linkage) 또는 공유 결합(covalent linkage)에 의해, 또는 혼입(incorporation) 또는 흡착(adsorption)에 의해 활성제로 로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세포증식억제제, 항생제, 항바이러스 물질, 진통제(analgesic agent), 누트로픽제(nootropics), 항간질제(anti-epileptic), 진정제(sedative), 정신작용 약물(psychotropic drug), 뇌하수체 호르몬, 시상하부 호르몬, 다른 조절 펩타이드 및 이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달라르긴(dalargin), 로페라미드(loperamide), 튜보쿠아린(tubocuarine) 및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
  10.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의 조합에 기초하고 또한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으로 변형된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친수성 단백질 또는 친수성 단백질들의 조합의 수용액을 탈용매화(desolvating)시키는 단계,
    - 상기 탈용매화에 의해 생산된 나노입자를 가교결합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단계,
    - 상기 안정화된 나노입자의 표면 상의 아미노기를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변환시키는 단계,
    - 상기 작용성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을 티올화(thiolating)시키는 단계, 및
    - 상기 티올화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을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변환된 나노입자에 공유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티올화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절편의 결합에 이어, 상기 나노입자는 활성제로 흡착적으로 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은 혈청 알부민, 젤라틴 A, 젤라틴 B , 카제인 및 동등(comparable)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은 인간 기원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용매화는 교반 및 친수성 단백질에 대한 수혼화성 비용매(non-solvent)의 첨가에 의해, 또는 염석(salting-out)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에 대한 수혼화성 비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열 처리 또는 이작용성(bifunctional) 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이작용성 알데히드로서 글루타르알데히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는 3400 Da 또는 5000 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9.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기를 변형시키는 작용제(agent)로서 2-이미노티올레인(2-iminothiolane)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20.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세포증식억제제, 항생제, 항바이러스 물질, 진통제, 누트로픽제, 항간질제, 진정제, 정신작용 약물, 뇌하수체 호르몬, 시상하부 호르몬, 다른 조절 펩타이드 및 이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21.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달라르긴, 로페라미드, 튜보쿠아린 및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22. 약제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제를 혈액-뇌 장벽을 가로질러 수송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α-말레이미드-ω-NHS 에스테르를 통해 친수성 단백질에 결합된 아포지단백을 포함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의 용도.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은 혈청 알부민, 젤라틴 A, 젤라틴 B, 카제인 및 동등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의 용도.
  24.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백질의 하나 이상은 인 간 기원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의 용도.
  25.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세포증식억제제, 항생제, 항바이러스 물질, 진통제, 누트로픽제, 항간질제, 진정제, 정신작용 약물, 뇌하수체 호르몬, 시상하부 호르몬, 다른 조절 펩타이드 및 이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의 용도.
  26.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달라르긴, 로페라미드, 튜보쿠아린 및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의 용도.
  27.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뇌 질환(cerebral affection)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로드된 나노입자의 용도.
  28. 약제의 제조를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입자의 용도.
  29. 뇌 질환(cerebral affection)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입자의 용도로서, 여기서 상기 작용성 단백질은 아포지단백인, 나노입자의 용도.
  30. 뇌 질환(cerebral affection)을 치료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입자의 용도로서, 여기서 상기 작용성 단백질은 아포지단백인, 나노입자의 용도.
KR1020087023599A 2006-03-14 2007-02-27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 Ceased KR20080100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1507A DE102006011507A1 (de) 2006-03-14 2006-03-14 Wirkstoffbeladene Nanopartikel auf Basis hydrophiler Proteine
DE102006011507.4 2006-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376A true KR20080100376A (ko) 2008-11-17

Family

ID=3826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599A Ceased KR20080100376A (ko) 2006-03-14 2007-02-27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90304720A1 (ko)
EP (1) EP1993609A2 (ko)
JP (1) JP2009529547A (ko)
KR (1) KR20080100376A (ko)
CN (1) CN101443045A (ko)
AU (1) AU2007226816A1 (ko)
BR (1) BRPI0709296A2 (ko)
CA (1) CA2646447A1 (ko)
DE (1) DE102006011507A1 (ko)
IL (1) IL193971A0 (ko)
MX (1) MX2008011428A (ko)
NZ (1) NZ571929A (ko)
RU (1) RU2424819C2 (ko)
WO (1) WO2007104422A2 (ko)
ZA (1) ZA200806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6200B2 (en) * 2006-11-02 2015-02-03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ly active nanosuspensions
US8404850B2 (en) * 2008-03-13 2013-03-26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Bis-quaternary pyridinium-aldoxime salts and treatment of exposure to cholinesterase inhibitors
EA201001568A1 (ru) * 2008-05-06 2011-10-31 Глаксо Груп Лимитед Инкапсуля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агентов
US8722706B2 (en) * 2008-08-15 2014-05-13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Two phase bioactive formulations of bis-quaternary pyridinium oxime sulfonate salts
US8309134B2 (en) * 2008-10-03 2012-11-13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odified calcium phosphate nanoparticle formation
US9028873B2 (en) * 2010-02-08 2015-05-12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102788879B (zh) * 2011-05-20 2015-04-01 常州康卫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生物检测试剂
WO2015175973A1 (en) * 2014-05-16 2015-11-1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Protein-based particles for drug delivery
WO2016077083A1 (en) * 2014-11-05 2016-05-19 University Of The Sciences In Philadelphia A high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gelatin-doxorubicin conjugate
TWI585162B (zh) * 2015-10-29 2017-06-01 行政院原子能委員會核能研究所 奈米顆粒及其製備方法
CN108948152A (zh) * 2017-05-18 2018-12-07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两亲性穿膜肽键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11505140A (zh) * 2020-04-24 2020-08-07 厦门大学 基于病毒衣壳蛋白纳米结构的化学信号放大倍增器及制备方法和应用
CN114316279B (zh) * 2020-10-09 2023-09-22 南京大学 一种以环糊精为核的星形聚合物及其蛋白/多肽偶联物
CN117838660A (zh) * 2024-03-01 2024-04-09 广东工业大学 一种抗体修饰的抗肿瘤载药人血白蛋白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121B2 (ja) * 1988-01-12 2000-05-08 ジェネンテ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増殖因子レセプターの機能を阻害することにより腫瘍細胞を処置する方法
US5216130A (en) * 1990-05-17 1993-06-01 Albany Medical College Complex for in-vivo target localization
US6391343B1 (en) * 1991-01-15 2002-05-21 Hemosphere, Inc. Fibrinogen-coated particles for therapeutic use
US5362718A (en) * 1994-04-18 1994-11-08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Rapamycin hydroxyesters
CA2220895A1 (en) * 1995-06-06 1996-12-12 Hemosphere, Inc. Protein particles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use
US6267958B1 (en) * 1995-07-27 2001-07-31 Genentech, Inc. Protein formulation
JP3437685B2 (ja) * 1995-09-12 2003-08-18 株式会社東芝 交直変換装置の制御保護システム
US6210707B1 (en) * 1996-11-12 2001-04-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forming protein-linked lipidic microparticl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6002008A (en) * 1997-04-03 1999-12-14 American Cyanamid Company Substituted 3-cyano quinolines
US6288082B1 (en) * 1998-09-29 2001-09-11 American Cyanamid Company Substituted 3-cyanoquinolines
US6297258B1 (en) * 1998-09-29 2001-10-02 American Cyanamid Company Substituted 3-cyanoquinolines
US6277983B1 (en) * 2000-09-27 2001-08-21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Regioselective synthesis of rapamycin derivatives
EP1118335A1 (en) * 2000-01-11 2001-07-25 Aventis Behring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njugates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eactions and autoimmune diseases
US7306801B2 (en) * 2000-05-15 2007-12-11 Health Research, Inc. Methods of therapy for cancers characterized by overexpression of the HER2 receptor protein
MXPA03001245A (es) * 2000-08-11 2003-05-27 Wyeth Corp Metodo para el tratamiento del carcionma positivo para receptores de estrogeno.
TWI286074B (en) * 2000-11-15 2007-09-01 Wyeth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CI-779 as an antineoplastic agent
TWI296196B (en) * 2001-04-06 2008-05-01 Wyeth Corp Antineoplastic combinations
TWI233359B (en) * 2001-04-06 2005-06-01 Wyeth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neoplasm
DE10121982B4 (de) * 2001-05-05 2008-01-2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Nanopartikel aus Protein mit gekoppeltem Apolipoprotein E zur Überwindung der Blut-Hirn-Schrank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ZA200603888B (en) * 2001-06-01 2007-05-30 Wyeth Corp Antineoplastic combinations
UA77200C2 (en) * 2001-08-07 2006-11-15 Wyeth Corp Antineoplastic combination of cci-779 and bkb-569
KR101004224B1 (ko) * 2002-02-01 2010-12-27 어리어드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인 함유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U2003247483A1 (en) * 2002-05-30 2003-12-31 The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Methods for treatment of acute lymphocytic leukemia
WO2004004644A2 (en) * 2002-07-05 2004-01-15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Combination of mtor inhibitor and a tyrosine kin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neoplasms
US20060153839A1 (en) * 2002-09-16 2006-07-13 Elusys Therapeutics, Inc. Production of bispecific molecules using polyethylene glycol linkers
UA83484C2 (uk) * 2003-03-05 2008-07-25 Уайт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раку грудей комбінацією похідного рапаміцину і інгібітора ароматази - летрозолу,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CN1777424A (zh) * 2003-04-22 2006-05-24 惠氏公司 抗肿瘤联合药物
US7399865B2 (en) * 2003-09-15 2008-07-15 Wyeth Protein tyrosine kinase enzyme inhibitors
DE102004011776A1 (de) * 2004-03-09 2005-11-0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Trägersystem in Form von Nanopartikeln auf Proteinbasis zur zellspezifischen Anreicherung von pharmazeutisch aktiven Wirkstoffen
AR047988A1 (es) * 2004-03-11 2006-03-15 Wyeth Corp Combinaciones antineoplásicas de cci-779 y rituximab
CA2600719C (en) * 2005-03-21 2016-06-07 Massoud Akhtari Functionalized magnetic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8541015A (ja) * 2005-04-28 2008-11-20 ベンタナ・メデイ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ナノ粒子コンジュゲート
AR058505A1 (es) * 2005-11-04 2008-02-06 Wyeth Corp Combinaciones antineoplasicas de temsirolimus y malato de sunitini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8011428A (es) 2008-09-22
CN101443045A (zh) 2009-05-27
RU2008140370A (ru) 2010-04-20
WO2007104422A8 (de) 2007-11-08
EP1993609A2 (de) 2008-11-26
CA2646447A1 (en) 2007-09-20
RU2424819C2 (ru) 2011-07-27
IL193971A0 (en) 2009-09-22
WO2007104422A2 (de) 2007-09-20
AU2007226816A1 (en) 2007-09-20
WO2007104422A3 (de) 2008-03-20
DE102006011507A1 (de) 2007-09-20
US20090304720A1 (en) 2009-12-10
JP2009529547A (ja) 2009-08-20
BRPI0709296A2 (pt) 2011-07-05
ZA200806998B (en) 2009-07-29
NZ571929A (en) 201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0376A (ko) 친수성 단백질에 기초한 활성제-농축된 나노입자
KR100818038B1 (ko) 결합된 아포리포단백질 e를 가지는 단백질로 제조된 혈관-뇌 장벽 침투용 나노 입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0507248B2 (en) Hydrophobic core carrier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Olivier et al. Indirect evidence that drug brain targeting using polysorbate 80-coated polybutylcyanoacrylate nanoparticles is related to toxicity
JP2930421B2 (ja) 薬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US8728526B2 (en) Coacervate microparticles useful for the sustained release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s
US6221397B1 (en) Surface cross-linked particles suitable for controlled delivery
CA2757645C (en) Methods and materials for delivering molecules
JP2000509394A (ja) 細胞膜を横切って物質を輸送するためのポリペプチド結合体
JP2002506436A (ja) 治療用ナノスフェア
CA2187312A1 (en) Heme-bearing microparticles for targeted delivery of drugs
US9125949B2 (en) Direct utilization of plasma proteins for the in vivo assembly of protein-drug/imaging agent conjugates, nanocarriers and coatings for biomaterials
US20070269523A1 (en) Carriers Comprising Colloidal Metal Praticles for Translocation into Cerberal Neurons
Georgieva Ligand-mediated transport of drug delivery devices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Pardridge Blood-Brain Barrier Peptide Transport und Peptide Drug
CZ2000731A3 (cs) Zesítěné částice vhodné pro aplikaci farmaceutického prostředku, způsob jejich výroby,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je obsahuje a způsob jeho výr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1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