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9893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893A
KR20090019893A KR1020097000124A KR20097000124A KR20090019893A KR 20090019893 A KR20090019893 A KR 20090019893A KR 1020097000124 A KR1020097000124 A KR 1020097000124A KR 20097000124 A KR20097000124 A KR 20097000124A KR 20090019893 A KR20090019893 A KR 20090019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acket
handover
source base
transmit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닐 우메쉬
야스히로 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1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89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1Resequ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소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수단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PDCP 서브레이어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자 장치의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과,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타겟 기지국에 통지하고,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과, 소정의 기간이 만료된 것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을 갖는 유저장치이다.
핸드오버, 리오더링, 유저장치, 기지국, 서브레이어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USER DEVICE, BASE STATION,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련하며,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급속도로 추진되고 있다. 본원 출원시 부근에서 상정되어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어느 유저장치가 기지국간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경우에, 소스 기지국(source base station)에서 체류하고 있는 그 유저장치로의 패킷(송달 미확인 패킷(unacknowledge packet) 또는 체류 패킷(remaining packet) 등이라 언급되어도 좋다.)은,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과, 상위 노드(upper node)로부터 경로 전환 후에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들을 유저장치로 무선 송신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공지된바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의 패킷 전송에 대해서는, 유저장치에서 패킷을 순서대로 수신하는 관점에서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체류 패킷(remaining packet) 또는 구 패킷(old packet))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위 노드로부터의 패킷(신규 패킷(new packet))의 전송이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 채널 상태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므로, 무선링크에서 실현 가능한 전송 레이트(transmission rate)도 다양하게 변동한다. 따라서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여유가 없으면, 상기와 같이 체류 패킷의 전송 후에 새로운 패킷이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유지하면서 전송된다. 그러나 무선 리소스에 비교적 여유가 있으면, 설령 시퀀스 번호가 흐트러졌다고 해도, 체류 패킷에 더하여 새로운 패킷도 함께 전송된다. 무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다른 한편, 유저장치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서브레이어(sublayer)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PDCP 리오더링 기능과, 무선 링크 컨트롤(RLC: Radio Link Control) 서브레이어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RLC 리오더링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무선링크에서의 패킷 순서의 혼란은, RLC 리오더링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으나, 핸드오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상기 순서의 혼란은 RLC 리오더링 기능으로는 대처할 수 없다. 이 경우, PDCP 리오더링 기능이 발휘되고, 체류 및 신규 패킷이 혼재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순서의 혼란이 정돈된다.
PDCP 리오더링 기능은, 무선구간뿐만 아니라 기지국과 상위 노드(액세스 게이트웨이 등)와의 사이에서 생긴 패킷 순서의 부정합(non-conformity)도 정돈하려고 한다. 그러나, 기지국 및 상위 노드 간에 생기는 패킷 순서의 부정합은, 트래픽 폭주도(traffic congestion) 등에 기인하여 의도적으로 정상으로 발생되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그 모두가 이상 상태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패킷 순서의 부정합이 정상으로 발생해 있던 경우에는, 그것이 정돈되기까지 유저장치에서 대기해도 소용이 없다. 그와 같은 경우는 신속히 상위 레이어로 패킷이 전송되어야 하나, 쓸모없이 대기해버리는 것에 기인하여, 지연시간이 부당하게 장기화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RLC 서브레이어 및 PDCP 서브레이어 쌍방의 리오더링 기능이 병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패킷 대기 시간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소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수단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PDCP 서브레이어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자 장치의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과,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타겟 기지국에 통지하고,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inactivate)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과, 소정의 기간이 만료된 것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을 갖는 유저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RLC 서브레이어 및 PDCP 서브레이어 쌍방의 리오더링 기능이 병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패킷 대기 시간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각 통신노드의 유저 플레인 엔티티(user plane entity)의 관점에서 도시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각 통신노드의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관점에서 도시된 다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체류 패킷을 우선적으로 송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송신 버퍼에 축적되는 패킷 데이터량의 시간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종래 예)이다.
도 6은 송신 버퍼에 축적되는 패킷 데이터량의 시간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본 발명)이다.
부호의 설명
aGW : 액세스 게이트웨이
eNodeB: 기지국
UE: 유저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 예가 설명되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는 상위 노드부터 순서대로 액세스 게이트웨이(aGW: access gateway), 소스/타겟 기지국(eNodeB), 및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저 플레인의 프로토콜(user plane protocol)도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는 본 실시 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속하나,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구비되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무선 액세스 장치(RAN: Radio Access Network)를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에서 구성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노드와 기지국과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는 라우터라 불려도 좋다. 액세스 게이트웨이에는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PDCP 서브레이어의 기능이 중요하다.
기지국(eNodeB)은 유저장치(UE)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액세스 게이트 웨이(aGW)와 유선통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서 다른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이 수행된다. 유저장치의 재권 셀(residing cell)에 따라서, 기지국은 핸드오버시에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이 된다. 기지국에 구비되는 다양한 기능 중, 본 발명에서는 특히 RLC 서브레이어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서브레이어의 기능이 중요하다.
유저장치(UE)에 구비되는 다양한 기능 중, 본 발명에서는 특히 MAC 서브레이어, RLC 서브레이어 및 PDCP 서브레이어의 기능이 중요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저장치는 당초는 좌측 기지국의 셀에 재권하고 있었으나, 후에 우측 기지국의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핸드오버(HO)가 수행되는 경우의 동작 예를 나타낸다. 우선, 소스 기지국(소스 eNB)을 통해서 유저장치(UE)가 하향 패킷 데이터(downlink packet data)를 수신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 후, 핸드오버 이벤트가 유저장치에서 검출되고, 단계 S1에서 메저먼트 리포트(measurement report)가 소스 기지국에 통지된다. 소스 기지국은, 메저먼트 리포트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단계 S2에서는 핸드오버의 결정 후에, 대상이 되는 유저장치의 컨텍스트 데이터가 타겟 기지국에 통지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하는 유저장치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유저장치용의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확보한다. 이 식별정보는, 전형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 템포러리 ID(C-RNTI: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와 같이, 재권 셀 내에서 유저장치를 구별하기 위해서 기지국에서 일의적으로 할당된다.
단계 S3에서는 그 유저장치용의 식별정보(C-RNTI)가 소스 기지국에 통지된다.
단계 S4에서는, 통지된 식별정보(C-RNTI)와 함께 유저장치에 핸드오버 커맨드가 통지된다.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커맨드의 송신 후에, 그 유저장치용으로 송신 버퍼에 축적하고 있는 패킷(체류 패킷)을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체류 패킷은, 유저장치에 한번도 송신된 적이 없는 패킷에 더하여, 한번 이상 송신되었으나 송달 미확인(ACK가 얻어지지 않은 상태)된 패킷도 포함된다. 체류 패킷의 전송은, 그 데이터량 및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여, 단계 S4 이후 필요한 기간에 걸쳐서 수행된다.
단계 S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한 유저장치는, 소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중단하고, 타겟 기지국과의 동기를 확보하려고 한다.
단계 S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포착 후에 유저장치가 타겟 기지국과 접속되면, 유저장치는 타겟 기지국에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핸드오버 완료 통지 신호)(handover confirm)를 송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저장치는, 이 핸드오버의 완료 통지 신호의 송신 후에, PDCP 리오더링(reordering) 기능의 동작 상태를 인액티브(inactive)로부터 액티브(active)로 바꾼다.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RLC 리오더링 기능은 액티브이다. 따라서 단계 S6에서 핸드오버 완료 통지 신호가 송신된 후는, PDCP 리오더링 기능 및 RLC 리오더링 기능의 쌍방이 액티브로 동작한다.
단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장치로부터의 핸드오버의 완료 통지에 따라서, 타겟 기지국은 그 취지를 소스 기지국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통지한다. 이에 응답하여,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소스 기지국과 접속되어 있던 전송경로(transmission channel)(패스(path))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환한다. 이후, 하향 패킷은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무선링크를 통해서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그 결과,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체류 패킷)과,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의 패킷(신규 패킷)을 수신하고, 무선 채널 상태에 따라서, (체류 패킷)을 또는 (체류패킷 및 신규 패킷)을 유저장치로 무선 전송한다.
유저장치에서는 체류 또는 신규 패킷의 순서가 흐트러져 있으면, PDCP 리오더링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순서를 정돈할 수 있다. 또한, PDCP 레이어에 있어서의 시퀀스 번호는, 핸드오버시에 기지국 간에 이어받도록 통지되어도 좋다.
타겟 기지국은, 체류 패킷을 소스로부터 수신하고, 모든 체류 패킷을 유저장치에 무선 송신 끝낼 때까지, 체류 및 신규 패킷이 혼재한 무선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체류 패킷의 최후의 패킷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경우에는, 그 취지도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체류 패킷의 최후의 것을 수신한 유저장치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의 동작 상태를 인액티브로 바꾼다. 최후의 패킷이 수신된 후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전송되는 패킷은 항상 새로운 패킷(상위 노드로부터의 하향 패킷)이므로, 리오더링 기능은 무선구간에 대해서만 수행되면 된다. 때문에, PDCP 리오더링 기능은 OFF로 되고, RLC 리오더링 기능만이 ON으로 유지된다. 체류 및 신규 패킷이 혼재하여 무선 전송되는 기간에서만 PDCP 리오더링 기능이 액티브가 되고, 다른 기간에서는 인액티브이다. 따라서 적어도 '다른 기간'에서 리오더링을 위해서 쓸모없이 대기하는 것이 회피된다.
도 3a는 각 통신 노드의 유저 플레인(user plane)의 프로토콜 관점에서 도시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각 프로토콜 서브레이어는 도 1의 것과 같다.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저장치는,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완료 통지 신호(HO 확인)를 송신한 후에, PDCP 리오더링 기능을 ON으로 한다. 프로토콜 서브레이어의 관점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서브레이어로부터 RLC 레이어로 HO 확인 신호가 송출된 것에 따라서, PDCP 리오더링 기능이 ON으로 된다. 또,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최종 패킷이 유저장치에 도착한 것에 응답하여, PDCP 리오더링 기능은 OFF로 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의 종료 시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최종 패킷 데이터가 무선 전송된 시점에 관련하고 있었으나, PDCP 리오더링 기능의 개시후 소정의 기간 경과 후에 그 기능이 인액티브 상태로 바뀌어도 좋다.
또한, PDCP 리오더링 기능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게이트웨이(aGW)에서 종단되어도 좋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과 같이 기지국에서 종단되어도 좋다.
실시 예 2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시에 소스 기지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체류 패킷은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체류 패킷과 패스 전환 후의 상위 노드로부터의 신규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들을 선착순으로 송신 버퍼(transmission buffer)에 축적하고, 선착순으로 유저장치로 무선 송신한다.
도 4는 타겟 기지국의 송신 버퍼로부터 패킷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송신 버퍼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송신 버퍼 수는 몇 개라도 마련되어도 좋다. 도시된 예에서는 체류 패킷의 번호가 0, 1, 2, 3, 4 및 5, 6으로 도시되고, 신규 패킷의 번호가 10, 11, 12, 13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0∼4, 10∼13 및 5, 6의 순서로 패킷이 타겟 기지국에 도착하고, 그것들이 도착순으로 송신 버퍼에 저장되었다고 한다. 종래방식에서는 선착순으로, 즉 퍼스트 인 퍼스트 아웃(FIFO: First-In First-Out) 방식으로 패킷이 출력된다. 따라서, 무선링크의 상태에 따라 5 패킷 이하밖에 송신할 수 없는 경우는, 0∼4의 번호의 패킷 중 1 이상이 무선 송신된다. 5 패킷 이상 송신할 수 있는 경우는, 0∼4의 번호의 패킷에 더하여, 그 다음으로 도착해 있던 10, 11,…의 번호의 패킷이 무선 송신된다. 때문에 체류 패킷 및 신규 패킷의 혼재한 상황이 유저장치에서 발생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송신 버퍼에 축적되는 데이터량의 시간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체류 패킷'으로 도시되는 그래프는, 시각 T0에서 시각 T3에 걸쳐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의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최종 패킷이 T3에서 도착하고, 이후 새로운 체류 패킷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는 오지 않는다. 때문에, '체류 패킷'의 그래프는 시각 T3 이후 일정값 그대로이다. 신규 패킷은 시각 T2 이후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온다. '체류 패킷+신규 패킷'으로 도시되는 그래프는, 체류 패킷과 신규 패킷의 합계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때문에, 시각 T2 이후 데이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시각 T3에서 기울기가 약간 완만하게 변해 있다. 시각 T3 이후, 체류 패킷은 일정값인 채로 증가하지 않고, 신규 패킷의 증가량으로밖에 데이터량이 늘어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사선으로 도시되는 부분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무선 전송된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무선 전송은 시각 T1부터 시작한다. 설명의 편의상, 무선 상태는 일정하며, 일정의 데이터 레이트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각 T1부터 T2까지는 송신 버퍼에 체류 패킷밖에 없으므로, 무선 전송되는 패킷도 체류 패킷이다. 그러나, 시각 T2 이후는, 소스 기지국에의 선착순으로 체류 패킷 및 신규 패킷이 무선 전송된다. 따라서 선착 체류 패킷과, 그 체류 패킷에 이어서 도착한 신규 패킷이 무선 전송되고, 그 신규 패킷보다도 늦게 도착한 체류 패킷은 송신 버퍼에 남는다. 이와 같은 상태는 체류 패킷이 모두 무선 전송되는 시각 T4까지 계속된다.
도 4로 돌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체류 패킷은 신규 패킷보다도 우선적으로 송신 버퍼로부터 출력되고, 무선 전송된다. 예를 들면, 무선링크의 상태에 의해 5 패킷 이하밖에 송신할 수 없는 경우는, 0∼4의 번호의 패킷 중 1 이상이 무선 송신된다. 5 패킷 이상 송신할 수 있는 경우는, 0∼4의 번호의 패킷에 더하여, 5, 6,…의 번호의 패킷이 무선 송신된다. 다시 말하면, 소스 기지국은 패킷 수신시에, 체류 패킷 및 신규 패킷을 구별하고, 체류 패킷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체류 패킷과 신규 패킷의 구별은 다양한 수법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나, 일 예로서는, 소스 기지국의 수신 포트가 체류 패킷용과 신규 패킷용으로 따로따로 마련되고, 그 포트 번호로 구별되어도 좋다. 체류 패킷 및 신규 패킷을 구별하는 것, 패킷을 저장하는 것 등의 기능은, RLC 서브레이어(도 1, 도 3a, 도 3b)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송신 버퍼에 축적되는 데이터량의 시간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체류 패킷', '체류 패킷+신규 패킷', T0∼T4의 내용은 도 5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체류 패킷이 우선적으로 무선 전송된다. 때문에, 체류 패킷은 신속히 전송되어, 모든 체류 패킷의 무선 전송은 시각 T3에서 벌써 완료되어 있다. 이 점, 시각 T3보다 늦은 시각 T4에서 겨우 체류 패킷의 무선 전송이 완료되어 있는 종래 예(도 5)와 크게 다르다.
체류 패킷의 무선 전송이 완료되는 타이밍이 빨라지면, 유저장치가 수신 패킷을 애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 등의 상위 레이어로 전송할 수 있는 타이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체류 패킷의 최후의 패킷이 유저장치로 송신되는 시점이 빨라지므로, 제1 실시 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PDCP 리오더링을 종료시키는 시점도 빨라지게 할 수 있다. PDCP 리오더링 기능을 병용하는 기간을 제1 실시 예의 경우보다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 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서력 2006년 6월 2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170701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8)

  1.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소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수단;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
    PDCP 서브레이어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자 장치의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타겟 기지국에 통지하고,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 및
    소정의 기간이 만료된 것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최후에 전송된 패킷이 무선 송신된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PDCP 서브레이어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을 갖는 유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소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타겟 기지국에 통지하고,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하는 단계; 및
    소정의 기간이 만료된 것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 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유저장치의 기지국간 핸드오버시에 타겟 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커맨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개시한 유저 장치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을, 소스 기지국의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보다도 우선하여 상기 유저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제 4항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최후에 전송된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은, 최후에 전송 된 것을 나타내는 지표와 함께 상기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6. 제 4항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 및 소스 기지국의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이, 패킷을 수신한 포트 번호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 유저장치의 기지국간 핸드오버시에 타겟 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커맨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개시한 유저장치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을, 소스 기지국의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보다도 우선하여 상기 유저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소스 기지국, 타겟 기지국 및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소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수단;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
    PDCP 서브레이어에 있어서의 패킷의 순서를 확인하고, 순서가 갖추어질 때까지 상위 레이어로의 전송을 대기시키는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타겟 기지국에 통지하고,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 및
    소정의 기간이 만료된 것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PDCP 리오더링 기능을 인액티브 상태로 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커맨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개시한 유저장치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을, 소스 기지국의 상위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유저장치로의 패킷보다도 우선하여 상기 유저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1020097000124A 2006-06-20 2007-06-1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Ceased KR20090019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0701 2006-06-20
JPJP-P-2006-170701 2006-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93A true KR20090019893A (ko) 2009-02-25

Family

ID=3883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24A Ceased KR20090019893A (ko) 2006-06-20 2007-06-1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168724A1 (ko)
EP (1) EP2034752A4 (ko)
JP (2) JP4665032B2 (ko)
KR (1) KR20090019893A (ko)
CN (1) CN101507326B (ko)
AU (1) AU2007262133A1 (ko)
BR (1) BRPI0713718A2 (ko)
CA (1) CA2655406A1 (ko)
MX (1) MX2008016277A (ko)
RU (1) RU2009101367A (ko)
TW (1) TW200814820A (ko)
WO (1) WO2007148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90B1 (ko) 2006-10-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182553B1 (ko) * 2007-04-26 2012-09-1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이동국 및 리오더링 방법
EP2166774B1 (en) * 2007-07-06 2014-09-10 Fujitsu Limited Path Switch Control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er in that System
KR101622986B1 (ko) 2007-09-28 2016-05-23 시그널 트러스트 포 와이어리스 이노베이션 강화된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 메세지의 송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08383B1 (en) 2007-10-25 2020-11-25 Signal Trust for Wireless Innovation Method, apparatuses and system for management and setup of enhanced mac-e/es resources
KR20140019849A (ko) * 2008-01-02 2014-02-1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셀 재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028675A (ja) * 2008-07-23 2010-02-04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端末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20100034169A1 (en) * 2008-08-04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al end of handover indication
GB2486126B (en) * 2009-09-21 2014-01-08 Ericsson Telefon Ab L M Caching in mobile networks
WO2011155784A2 (ko) * 2010-06-09 2011-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제어 방법
US20130088960A1 (en) * 2011-10-07 2013-04-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Delivery with Multiple Point Transmission
US9838089B2 (en) 2011-10-07 2017-12-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oint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4303485B (zh) * 2012-04-13 2017-08-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云小区中传送数据分组的方法及装置
US20150089382A1 (en) * 2013-09-26 2015-03-26 Wu-chi Feng Application context migration framework and protocol
WO2016021820A1 (en) * 2014-08-08 2016-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function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485042B2 (en) * 2015-04-02 2019-11-19 Kt Corporation Method for reconfiguring wireless bearer and device thereof
EP3796742B1 (en) * 2015-04-03 2023-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connection using different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ies in wireless communcation system
CN108632934B (zh) * 2017-03-24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的方法和设备
CN109041133B (zh) * 2017-06-0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去激活命令处理方法、激活命令处理方法和用户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763B1 (fi) * 1995-12-01 1998-08-14 Nokia Mobile Phones Ltd Siirrettävän tiedon koostumuksen säilyttäminen tukiaseman vaihdon yhteydessä
DE59703805D1 (de) * 1997-07-17 2001-07-19 Flowtec Ag Magnetisch-induktive Strömungssonde
EP2139281A3 (en) * 2002-09-24 2010-04-14 Fujitsu Limited Packet transferring/transmi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54935B2 (en) * 2002-09-24 2012-08-28 Fujitsu Limited Packet transferring/transmi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6067099A (ja) * 2004-08-25 2006-03-09 Fujitsu Ltd 伝送時間測定方法、伝送制御方法及び伝送時間測定機能を備えた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6067433A (ja) * 2004-08-30 2006-03-09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
DE602004027247D1 (de) * 2004-09-27 2010-07-01 Panasonic Corp Fehlerratenmessung in der Funkverbindungssteuerungsschicht zur Steuerung der Dienstqualität eines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s
JP2006170701A (ja) 2004-12-14 2006-06-29 Sony Corp 時刻設定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無線通信装置
US8228917B2 (en) * 2005-04-26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iphering and re-ordering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65800B2 (ja) * 2005-10-17 2012-02-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パケット交換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実行方法
WO2009009532A2 (en) * 2007-07-11 2009-0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5406A1 (en) 2007-12-27
JP2009273188A (ja) 2009-11-19
WO2007148634A1 (ja) 2007-12-27
US20090168724A1 (en) 2009-07-02
MX2008016277A (es) 2009-02-18
JP4665032B2 (ja) 2011-04-06
CN101507326B (zh) 2013-03-13
EP2034752A4 (en) 2013-01-02
AU2007262133A1 (en) 2007-12-27
JPWO2007148634A1 (ja) 2009-11-19
RU2009101367A (ru) 2010-07-27
CN101507326A (zh) 2009-08-12
BRPI0713718A2 (pt) 2012-10-30
TW200814820A (en) 2008-03-16
EP2034752A1 (en)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89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JP7291763B2 (ja) 通信制御方法
EP3039900B1 (en) Methods for re-order pdcp packets
US20120307709A1 (en) Enabling and disabling integrity protection for data radio bearers
JP4016032B2 (ja) 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ウインドウ移動方法
US8676190B2 (e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in a network
CN101374349B (zh) 无线电信网络中的切换方法及装置
US20100091734A1 (en) Packet forward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US858878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hand over reconnection method for use therewith including an accumulation portion for holding data
US20100062774A1 (en) Handover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JP490506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そのハンドオーバ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6068018B (zh) 在从中断场景重新开始期间进行吞吐量恢复的方法和设备
WO2007008465A1 (en) Method of hard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21273A (ko)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
US20150195748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20220264389A1 (en) Methods for handling load variations in handover scenarios
CN117880907A (zh) 用于移动性控制的无线通信方法
KR2011010140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패킷 포워딩 장치 및 방법
EP2154904B1 (en)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base station, and data transfer method
US9385931B1 (en) Determining a reordering timer
TW552816B (en) Radio access networks
GB2416963A (en) A tele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data uplink channel
JP201402738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100966180B1 (ko) 기지국간 신호 교환에 의한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