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69619A -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619A
KR20090069619A KR1020070137338A KR20070137338A KR20090069619A KR 20090069619 A KR20090069619 A KR 20090069619A KR 1020070137338 A KR1020070137338 A KR 1020070137338A KR 20070137338 A KR20070137338 A KR 20070137338A KR 20090069619 A KR20090069619 A KR 20090069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ndle
substrate
decorative lighting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551B1 (ko
Inventor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호아이엔디 (주)
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아이엔디 (주), 강성철 filed Critical 삼호아이엔디 (주)
Priority to KR102007013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551B1/ko
Priority to PCT/KR2008/000887 priority patent/WO2009082054A1/en
Priority to US12/072,693 priority patent/US20090170044A1/en
Publication of KR2009006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5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6Wick burners using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초부, 빛 투과 재질의 거치대 및 상기 양초부를 수납하여 수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는 빛 투과 재질의 수용 시트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초부(100)는 양초본체(20), 상기 양초본체(20) 내에서 그 중심에 고정된 가연심지(30), 및 상기 양초 본체(20) 내인 중심 부근에서 가연심지(30)을 따르도록 그리고 하단이 양초 본체(20)의 밑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선 고정된 광 전달선(4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거치대(200)는 광방사공간으로서 정상면(201)에 형성된 보어(210), 그리고 상기 보어(210)에 수용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광 전달선(40)을 통하여 가연심지(30)의 발화된 빛을 감지하는 광 감지센서(245)와 상기 광 감지센서(2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원(222)을 구비한 발광 유니트(26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거치대, 가연심지, 광 전달선, 광원, 광 감지센서

Description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본 발명은 용해된 밀초를 흡수하는 가연심지로부터 연소불꽃을 발생시켜, 주위르 비추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연심지의 연소불꽃이 광 전달선을 경유하여 광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양초 거치대 내에서 광원을 발생시켜 상기 거치대로부터 원하는 색의 빛의 장식성을 발휘시키도록 한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양초 내에 심어진 가연심지가 착화 연소됨으로써, 가연심지가 스스로 연소불꽃과 함께 양초의 용해밀초를 흡수하면서 연소 불꽃을 계속 발생시키는 것으로 주위를 비추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양초는, 단지 양초의 중심에서 심어진 가연심지가 용해 밀초를 흡수하면서 연소 불꽃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위를 단지 조명하는 데에 지나지 않고, 장식조명을 발휘하는 것으로써는 지극히 단조롭고, 예를 들면 각종의 연출 효과가 바람직한 점포 등의 업무용이라고 해도, 혹은 가정용이라고 해도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양초가 교체가능하면서도, 양초에 심어진 가연심지의 연소불꽃을 광으로서 감지하여 광원을 발광시켜 장식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초부, 빛 투과 재질의 거치대 및 상기 양초부를 수납하여 수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는 빛 투과 재질의 수용 시트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식장치로서, 상기 양초부는 양초본체, 상기 양초 본체 내에서 그 중심에 고정된 가연심지, 및 상기 양초 본체 내인 중심 부근에서 가연심지를 따르도록 그리고 하단이 양초 본체의 밑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선 고정된 광 전달선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거치대는 광방사공간으로서 정상면에 형성된 보어, 그리고 상기 보어에 수용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광 전달선을 통하여 가연심지의 발화된 빛을 감지하는 광 감지센서와 상기 광 감지센서(2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원을 구비한 발광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장식조명장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하게 그리고 장시간 동안, 양초에 심어진 가연심지의 연소불꽂에 반응하여 장식조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가 부호 1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장식조명장치(1)는 양초부(100), 빛 투과 재질의 거치대(200) 및 상기 양초부를 수납하여 수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200)에 안착되는 빛 투과 재질의 수용 시트부(3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초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본체(20), 이 양초 본체(20)내에서 그 중심에 고정된 가연심지(30), 상기 양초 본체(20) 내인 중심 부근에서 가연심지(30)을 따르도록 배선 고정된 광 전달선(40), 광 전달선(40)의 하단이 양초 본체(20)의 밑면으로부터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광 전달선(4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구멍을 가지고서 상기 양초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는 차광성의 캡(4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거치대(200)는 광방사공간으로서 정상면(201)에 형성된 보어(210), 그리고 상기 보어(210)에 수용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광 전달선(40)을 통하여 가연심지(30)의 발화된 빛을 감지하는 광 감지센서(245)와 상기 감지센서(2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원(222)을 구비한 발광 유니트(2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초 본체(20)는 용해 밀초를 소정 형상으로 고체화 성형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기둥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그 외형은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 형상 혹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가 있다.
상기 가연심지(30)는, 예를 들면 양초 본체(20)의 중심에서 양초 본체(20)의 수직 방향으로 거의 합치하도록 양초 본체(20)를 구성하는 밀초재 자체에 일직선 형상으로 고정된 것이다. 가연심지(30) 자체는 예를 들면 가연성의 섬유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 전달선(40)은, 예를 들면 양초 본체(20)의 중심 근처에서 가연심지(30)에 평행하게 따르도록, 가연심지(30)와 거의 일체가 되게, 양초 본체(20)를 구성하는 밀초재 자체로 고정된 것이다.
상기 광 전달선(40)의 상단은 가연심지(30)의 첨단과 예를 들면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고 하단은 양초 본체(20)의 밑면에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광방사공간인 보어(210)는 원주상을 이루는 공동 형상이지만, 이것도 임의의 형상으로 설정해도 좋으며, 상기 발광유니트(260) 및 상기 수용 시트부(300)를 수용 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보어(210)는 제1구경부(211), 상기 제1구경부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을 가진 제2구경부(212), 그리고 상기 제2구경부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을 가진 제3구경부(213)를 유통가능하게 가지고 있다. 상기 제1구경부(211)와 제2구경부(212) 사이에는 제1플랜지(21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구경부(212)와 제3구경부(213) 사이에는 제2플랜지(2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 시트부(300)는 유저형 용기 형상으로 되어 있고, 입구(301)의 테두리(302)에는 제3플랜지(30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시트부(3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양초 본체(20)가 삽입되어 수용되어서 양초 몸체가 기립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시트부(300)의 제3플랜지(303)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거치대(200)이 정상면(210)에 상기 제3플랜지(303)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구경부(2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발광유니트(2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형 용기 형상의 비도전성인 재질의 케이스(2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70)는 개구(271)의 테두리(272)에 형성된 제4플랜지(273), 상기 개구(271) 덮는 덮개(2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70)의 내부 공간(275)에는 편평형 전지와 같은 전원(221)이 장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니트(260)는 광 전달선(40)으로부터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감지센서(245); 상기 광 감지센서(24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꾀하기 위한 전극 단자부(도시되지 않은 접지단자 및 전원단자); 상기 전원(221)과 상기 감지센서(245)의 통전 시에 전원(221)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받아 발광하는 예를 들면 LED나 UV LED와 같은 복수의 광원(222); 그리고 각 광원(222)의 발광과 소광을 예를 들면 소요 시간의 경과마다 차례차례 전환하여, 이것을 반복해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실장한 기판(224)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 감지센서(245)는 상기 기판(224) 윗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광원(222)은 상기 기판(224) 밑면에 돌출되어 상기 보어(210)의 제3구경 부(213)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니트(260)에서는 상기 기판(224)과 전원(221)과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는 전원 단자의 역할을 하는 탄성편(225)의 일단이 기판(224)의 일측에 접속되어 타단이 위로 돌출되어서 전원(221)과 접속되어 있고, 접지단자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편(S)의 일단이 상기 기판(224)에 접속되어 타단이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221)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용 케이스(270)에는 상기 스프링편(S) 및 상기 탄성편(225)을 상기 수용 케이스(270)의 내부 공간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들(270a, 2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224)을 탈착가능하게 체결방식에 의해 장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용 케이스(270)의 제4플랜지(273)에는 상기 광 감지센서(245)를 노출시킬 수 있는 구멍(27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플랜지(273)은 상기 제2구경부(212)와 제3구경부(213) 사이의 제2플랜지(215)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1)를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테이블 위에 두고, 외부에 노출하는 가연심지(30)를 착화시키고, 가연심지(30)로부터 연소 불꽃을 발생시키고, 광 전달선(40)에 연소 불꽃의 광이 유도되어 광 감지센서(245)에 검출되어 스위치와 같은 기능을 이루어, 전원(221)으로부터의 전력을 발광제어부에 공급시켜, 발광제어부의 구동을 개입시켜 각 광원(222)을 예를 들면 소정 시간 마다의 차례차례 발광·소광 작동을 반복하게 해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의 빛이 겹치는 상태 가 되도록 발광시켜 혼색시킨다.
그 결과, 양초 본체(20)는, 특히 광조사공간인 보어(210)를 성형한 것에 의해 광원(222)의 주위에 해당하는 부분이 광원(222)의 발광을 효율 좋게 투과시켜, 거치대(200)의 주위 측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빨강, 파랑, 노랑의 순서에 반복해 빛의 장식성을 발휘시켜, 주위에 독특한 유색 발광의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양초 본체(20)가 사용될 수 없을 정도로 소실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양초부(100)를 상기 수용 시트부(300)에 장착하여 거치대(200)에 재 장전하면, 다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식조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양초본체에 아로마향, 모기향 등의 향을 발생시키는 성분이 함유되게 하여 냄세제거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아울러, 거치대가 폴리 도는 크리스탈, 소금돌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달마상, 부처상, 성모마리아상, 하트나 동물, 키랙터물, 꽃모양, 성인용, 라신모형 등으로 형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장식조명장치에서 거치대를 제외한 부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식조명장치 전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장착상태에서의 거치대에 대한 단면도.

Claims (10)

  1. 양초부, 빛 투과 재질의 거치대 및 상기 양초부를 수납하여 수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는 빛 투과 재질의 수용 시트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식장치로서,
    상기 양초부는 양초본체, 상기 양초본체 내에서 그 중심에 고정된 가연심지, 및 상기 양초본체 내인 중심 부근에서 가연심지를 따르도록 그리고 하단이 양초본체의 밑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선 고정된 광 전달선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거치대는 광방사공간으로서 정상면에 형성된 보어, 그리고 상기 보어에 수용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광 전달선을 통하여 가연심지의 발화된 빛을 감지하는 광 감지센서와 상기 광 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원을 구비한 발광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는 상기 발광유니트 및 상기 수용 시트부를 수용 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는 제1구경부, 상기 제1구경부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을 가진 제2구경부, 그리고 상기 제2구경부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을 가진 제3구경부를 유통가능 하게 가지고 있고,
    상기 수용 시트부는 제1구경부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3구경부에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광원을 제외한 발광유니트는 제2구경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니트는 유저형 용기 형상의 비도전성인 재질의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 케이스는 개구의 테두리에 형성된 플랜지, 상기 개구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이 장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는 광 전달선으로부터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감지센서; 상기 광 감지센서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꾀하기 위한 전극 단자부; 상기 전원과 상기 감지센서의 통전 시에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받아 발광하는 광원; 그리고 광원의 발광과 소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실장한 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센서는 상기 기판 윗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광원은 상기 기판 밑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발광유니트에서는 상기 기판과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는 전원 단자의 역할을 하는 탄성편의 일단이 기판의 일측에 접속되어 타단이 위로 돌출되어서 전원과 접속되어 있고, 접지단자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편의 일단이 상기 기판에 접속되어 타단이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는 상기 스프링편 및 상기 탄성편을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케이스의 플랜지에는 상기 광 감지센서를 노출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니트는 유저형 용기 형상의 비도전성인 재질의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 케이스는 개구의 테두리에 형성된 플랜지, 상기 개구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이 장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는 광 전달선으로부터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감지센서; 상기 광 감지센서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꾀하기 위한 전극 단자부; 상기 전원과 상기 감지센서의 통전 시에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받아 발광하는 광원; 그리고 광원의 발광과 소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실장한 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센서는 상기 기판 윗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광원은 상기 기판 밑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발광유니트에서는 상기 기판과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는 전원 단자의 역할을 하는 탄성편의 일단이 기판의 일측에 접속되어 타단이 위로 돌출되어서 전원과 접속되어 있고, 접지단자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편의 일단이 상기 기판에 접속되어 타단이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KR1020070137338A 2007-12-26 2007-12-26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38A KR100944551B1 (ko) 2007-12-26 2007-12-26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PCT/KR2008/000887 WO2009082054A1 (en) 2007-12-26 2008-02-15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US12/072,693 US20090170044A1 (en) 2007-12-26 2008-02-27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38A KR100944551B1 (ko) 2007-12-26 2007-12-26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19A true KR20090069619A (ko) 2009-07-01
KR100944551B1 KR100944551B1 (ko) 2010-03-03

Family

ID=4079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551B1 (ko) 2007-12-26 2007-12-26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70044A1 (ko)
KR (1) KR100944551B1 (ko)
WO (1) WO2009082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71B1 (ko) * 2010-09-17 2013-04-12 박원옥 재활용 장식 양초 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03888A1 (pl) * 2013-05-15 2014-11-24 Korona Spółka Akcyjna Lampion LED
KR101756450B1 (ko) 2014-12-05 2017-07-20 홍초롱 양초 자동 소등 장치 및 그의 양초 자동 소등 방법
GB2589308A (en) 2019-11-05 2021-06-02 Reckitt & Colman Overseas Cand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2857A (en) * 1971-12-27 1973-10-02 F Andeweg Candle internal illuminator and mount base
US4477249A (en) * 1983-04-29 1984-10-16 Zdenka Ruzek Flame-producing sound-emitting device
US4804323A (en) * 1985-11-18 1989-02-14 Kim Kyung Hee Music candle
US6074199A (en) * 1998-02-10 2000-06-13 Song; Jin Sound producing candle
US6050812A (en) * 1999-03-01 2000-04-18 Chuang; Tang Jung Candleholder set with musical function
US7699603B2 (en) * 1999-12-21 2010-04-20 S.C. Johnson & Son, Inc. Multisensory candle assembly
KR200196451Y1 (ko) 2000-04-04 2000-09-15 이관호 재활용이 가능한 소리나는 촛대와 초
US20020093834A1 (en) * 2001-01-12 2002-07-18 Chun-Chien Yu Light-effect producing candle
US6793362B2 (en) * 2001-10-26 2004-09-21 Ti Hsien Tai Flasher liquid container vessel
TWM240935U (en) * 2002-08-30 2004-08-21 Haw Jong Co Ltd Structure of luminous cup
US6960076B2 (en) * 2003-10-09 2005-11-01 Shung-Lun Yu Electronic switch for drop-free candle
CN2637894Y (zh) * 2003-11-25 2004-09-01 李晓锋 闪光彩虹蜡烛
US7063526B2 (en) * 2004-02-13 2006-06-20 Yoon Ho Ham Refillable melody candle
US20060172239A1 (en) * 2005-02-01 2006-08-03 Hsinn Inn Enterprise Co., Ltd. Led candle holder
KR100711221B1 (ko) 2005-10-31 2007-04-24 강성철 양초
KR200405756Y1 (ko) * 2005-10-31 2006-01-11 주식회사웰코테크 양초
KR20070072238A (ko) * 2005-12-31 2007-07-04 조영국 멜로디발광양초
US7360930B2 (en) * 2006-06-23 2008-04-22 Shung-Lun Yu Electronic candle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71B1 (ko) * 2010-09-17 2013-04-12 박원옥 재활용 장식 양초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0044A1 (en) 2009-07-02
KR100944551B1 (ko) 2010-03-03
WO2009082054A1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89899U (zh) 香薰电子蜡烛
EP1977163B1 (en) Candle assembly with light emitting system
US7835631B2 (en) Combination light and a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US8724975B2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US7699603B2 (en) Multisensory candle assembly
US7637737B2 (en) Candle assembly with light emitting system
US20070020572A1 (en) Candle and luminary light show
US20050169666A1 (en) Device providing coordinated emission of light and volatile active
KR100944551B1 (ko)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WO2009027670A1 (en) Fragrancing device
US20250129933A1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WO2009027668A1 (en) Fragrancing device
CN118057074A (zh) 蜡烛装置
US20070003894A1 (en) Electronic candle
US20070236948A1 (en) Candle
KR200405756Y1 (ko) 양초
KR100711221B1 (ko) 양초
KR101960229B1 (ko) 전기식 캔들팟
KR200250915Y1 (ko) 훈증기
JP7306782B2 (ja) スマートキャンドル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システム
US20240261453A1 (en) Fragrance dispenser with decorative cover assembly
EP3942231B1 (en) Smart candle platform
JP2004313715A (ja) 携帯用擬似焼香具
KR20140094846A (ko) 휴대용 엘이디 전기 촛불
JPH0577808U (ja) 燭 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2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22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