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622A - a Exterior Case for Portable Devices - Google Patents
a Exterior Case for Portable Devices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2622A KR20090092622A KR1020080017963A KR20080017963A KR20090092622A KR 20090092622 A KR20090092622 A KR 20090092622A KR 1020080017963 A KR1020080017963 A KR 1020080017963A KR 20080017963 A KR20080017963 A KR 20080017963A KR 20090092622 A KR20090092622 A KR 200900926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door
- cradle
- case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16—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배면에 거치대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외장케이스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거치대 수용부 내부에 결합공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거치대 수용부를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시켜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에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가 결합시 거치대의 결합돌기가 휴대용 단말기와 간섭되지 않게 하고, 상기 거치대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도어를 열면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지지대로 활용되어 테이블상에 휴대용 단말기를 외장케이스가 부착된 상태에서 거치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된 자석 보조판을 추가로 포함하여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거치대 수용부와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하여 자석 보조판이 포함된 도어를 분리형으로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radle accommodating por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upled to the cradle even when the outer case is attached, and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in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It can be coupled to the cradle including,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protrudes outwards from the back so that the cradle incl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cradle,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When the door is opened by additionally including a door connected by a hinge on one side, the door is utilized as a sup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on a table with the external cas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n addition to the formed magnetic auxiliary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which can be coupled to the holder and the hinge connecting the door to a removable structure to provide a detachable door including a magnetic auxiliary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일상적인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 외장 케이스는 배면에 형성된 거치대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외장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거치대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거치대 수용부는 내부에 결합공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와 결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거치대 수용부를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결합시에 거치대의 결합돌기가 휴대용 단말기를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거치대 수용부의 일측과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를 열면 상기 도어가 지지대로 활용되어 테이블 상에 거치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도어는 배면에 자석 보조판을 추가로 포함하여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도어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의 힌지로 연결되어 자석 보조판이 포함된 도어를 분리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used in various portable terminals, and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daily impact or scratches, the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further includes a crad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radle without removing the outer case,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cradle incl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by additionally including a coupling hole therein, further by projecting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outward from the bac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radle from interfer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coupling, and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has a door connected by a hinge to one side of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utilized as a support table. Mount on In additio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magnetic auxiliary plate on the rear side can be coupled to the magnetic holder, and the door is also connected to the hinge of the removable structure can provide a door containing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in a detachable 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전자기기들이 휴대할 수 있게 소형화되고 첨단화되고 있는 추세이고, 따라서 휴대폰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등도 휴대용 단말기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y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miniaturized and advanced to be portable, and thus, mobile phones, navigation,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re widely used as portable terminals.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등은 첨단 전자기기로서 충격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휴대하고 다니는 제품인바 제품표면에 많은 흠집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충격이나 흠집 등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외장케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의 겉면에 씌워서 사용하게 된다.These portable terminals, as advanced electronic devices, are not only sensitive to shock but also cause many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which is a portable product, so that an external case may be used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from such shocks or scratches. It will be used to cover it.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정면부(21)와 배면부(22)가 결합하여 형성되어, 정면부(21)와 배면부(22)의 결합 전에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한 후 정면부(21)와 배면부(22)를 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 겉면에 외장케이스를 씌우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정면부(21)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선명하게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11)를 정면에 천공하여 형성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조작하기 위해 버튼부(212)를 정면부의 정면과 측면에 천공하여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면부(22)에는 역시 일측면에 버튼부(221)가 천공되어 형성되고 배면에는 방열부(222)를 형성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열 발생에 따른 냉각효과를 도모하여 열에 민감한 전자기기인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2 is formed by coupling the front portion 21 and the rear portion 22 to insert the portable terminal before coupling the front portion 21 and the rear portion 22. Then, the front part 21 and the rear part 22 are combined to cover an external case on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front portion 21 is formed by puncturing the display portion 211 to the front in order to clearly see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ront and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212 to operate the buttons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formed by punching in. In addition, the rear part 22 is formed by drilling the button part 221 on one side and forming a heat dissipation part 222 on the back to promote a cooling effect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a heat sensitive electronic device. To protec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단순히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흠집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만을 고려한 것이므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범용 거치대등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외장케이스를 다시 분리하고 휴대용 단말기만을 결합해야 하거나,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도 범용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거치대에만 결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merely consider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external shocks or scratches, in particular, in order to combine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universal cradle, which is widely used, the external case is separated again and the portable terminal If there is no part that can be combined, or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an not be coupled to the universal cradl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combined only in a separate dedicated cradle.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을 주로 보는 기기이므로 손으로 휴대하지 않고 테이블등에 놓고 사용할 때에는 눕혀놓고 보는 것보다는 세워서 보는 것이 보다 선명하게 화면을 볼 수 있으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별도의 다리 등을 외장케이스의 배면에 포함하고 있지 않아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테이블등에 거치할 수 없거나 외장케이스를 분리한 후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 장착된 다리를 사용하여 테이블등에 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mainly for viewing the screen, when the user places it on a table without using it with his hand, the user can see the screen more clearly than when he is lying down, but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has a separate leg. Since it is not included in the rear of the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mounted on a table, etc.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case is combined, or it must be mounted on a table using a leg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after removing the external case.
또한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피혁인바,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is generally plastic or leather ba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oupled to the magnetic holder in the state combined with the external case.
따라서,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외장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테이블상에 거치할 수 있게 하고,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하기 도어를 분리형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를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Applicant recognizes such a problem and enable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coupled to the holder in the state where the outer case is coupled, to be mounted on the table, to be coupled to the magnetic holder, and to separate the following doors. Invented a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that can be provided b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면부와 배면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배면에 거치대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거치대 수용부는 내부에 거치대의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formed by combin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 the rear portion further includes a cradle receiving portion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t can be coupled to a universal cradle that is commonly used even when the outer case is coupled to the cradle, and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radle therein, and is coupled to the cradle including the coupling protrusion.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tha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거치대 수용부가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거치대와 결합시에 거치대의 결합 돌기가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 내부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which is formed by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ear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hold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ortable terminal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when combined with the holder.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거치대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도어를 열면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지지대로 활용되어 테이블 상에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거치될 수 있어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further includes a door connected to a hinge to one side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the door is opened and utilized as a sup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coupled to the external case on the table It can be mounted in the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that allows you to see a clear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도어는 배면에 형성된 자석 보조판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 돌기로 구성된 거치대 뿐만 아니라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which can be coupled to a magnetic holder as well as a holder formed of a coupling protrusion, wherei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magnetic auxiliary plate formed on the rea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도어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힌지로 연결되어 자석 보조판이 포함된 도어를 일체형뿐만 아니라 분리형으로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in which the door is connected by a hinge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so that the door including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can be provided as a single type as well as a detachable typ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Portable terminal outer cas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정면부와 배면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는 배면에 형성된 거치대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the rea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cradl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it can be coupled to the cradle It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거치대 수용부가 내부에 결합공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therein, which can be coupled to a holder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거치대 수용부가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거치대 수용부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도어를 열면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지지대로 활용되어 테이블 상에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oor connected to a hinge to one side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utilized as a sup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mounted 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도어가 배면에 형성된 자석 보조판을 추가로 포함하여,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further includes a magnetic auxiliary plate formed on the rear, it can be coupled to the magnet hold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도어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힌지로 연결되어, 자석 보조판이 포함된 도어를 분리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inge formed in the removable structure, th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ovide a door containing a magnetic auxiliary plate in a detachable form.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정면부와 배면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배면에 거치대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거치대 수용부는 내부에 거치대의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거치대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formed by combining the front and the rear portion, the rear portion further includes a cradle receiving portion on the back can be coupled to a universal cradle commonly used even when the external case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coupled to the cradle including the coupling protrusion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hole for receiv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radle therein.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 수용부가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거치대와 결합시에 거치대의 결합 돌기가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 내부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radle when the cradle is coupled with the cradl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ortable terminal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가 거치대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도어를 열면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지지대로 활용되어 테이블 상에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거치될 수 있어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oor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holder housing,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can be mounted even when the external case is combined on the table by being used as a sup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see a clear screen.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배면에 형성된 자석 보조판을 추가로 포함하여, 결합 돌기로 구성된 거치대 뿐만 아니라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gnet auxiliary p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door, and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be coupled to a magnet holder as well as a holder made of a coupling protrusion.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힌지로 연결되어 자석 보조판이 포함된 도어를 일체형뿐만 아니라 분리형으로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oor is connected by a hinge formed of a removable structure to provide a door including a magnetic auxiliary plate as a single type as well as a separate type.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and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용 상태도Figure 4a is a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의 B 부분의 확대도4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와 그에 사용되는 도어의 분해 사시도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and a door us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의 C 부분의 확대도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6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거치대 2: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1: Cradle 2: Carrying Case Outer Case
11: 결합돌기 12: 결합판 13: 연결부11: coupling protrusion 12: coupling plate 13: connection portion
21: 정면부 22: 배면부 23: 거치대 수용부 24: 도어21: front portion 22: rear portion 23: holder receiving portion 24: door
111: 결합돌기의 끝111: end of the engaging protrusion
211: 디스플레이부 212: 측면 버튼부211: display portion 212: side button portion
221: 측면 버튼부 222: 방열부221: side button portion 222: heat dissipation portion
231: 테두리 232: 결합면 233: 결합공 234: 힌지 지지대 235: 고정공231: edge 232: mating surface 233: coupling hole 234: hinge support 235: fixing hole
241: 도어판 242: 힌지 243: 고정돌기 244: 자석 보조판241: door plate 242: hinge 243: fixing protrusion 244: magnetic auxiliary plate
a: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와 이에 사용되는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and a door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and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는 결합돌기(11), 결합판(12), 연결부(13)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판(12) 일면의 소정위치에 결합돌기(1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면의 소정위치에 연결부(1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고정된 지지대(미도시)에 연결부(13)가 연결되는 구조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정면부(21), 배면부(22), 거치대 수용부(23)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는데 정면부(21)와 배면부(22)의 주요 부분들은 앞서 본 종래 기술상의 서술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배면부(22)에 형성된 거치대 수용부(23)를 위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11, a coupling plate 12, and a connecting portion 1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2. Formed to protrude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ther surfac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13 is connected to a fixed support (not shown),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cludes a front portion 21, a rear portion 22, and a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3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whole. The main portions of the front portion 21 and the rear portion 22 are described above. Since the descrip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prior a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23 formed on the rear portion 22.
상기 거치대 수용부(23)는 배면부(22)의 배면에 형성되는데, 배면부(22)의 배면에서 돌출된 턱을 형성하는 테두리(231)와 테두리 안쪽의 결합면(232)과 결합면에 천공되어 형성된 결합공(2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radle accommodating portion 2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22, the perforated on the engaging surface 232 and the engaging surface 23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im forming a jaw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22 It may include a coupling hole 233 formed.
상기 테두리(231)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의 결합판(12)의 외곽모양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1)와 결합시에 결합판(12)이 직접 결합면(232)과 접촉하지 않고 테두리에 접촉하여 접촉면적을 줄이고 그에 따라 마찰력도 줄게 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edge 2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upling plate 12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1, the coupling plate 12 is directly coupled to the mounting surface 12 when coupled to the holder (1) In contact with the rim without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to reduce the friction area accordingly to facilitate the coupling function.
상기 결합면(232)은 테두리(231)의 내측에 평면으로 형성되어, 하기 결합공(233)이 위치할 수 있게 한다.The coupling surface 232 is formed in a plane inside the rim 231, so that the following coupling hole 233 can be located.
상기 결합공(233)은 큰 사각형과 작은 사각형이 위아래로 결합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큰 사각형 부분에 거치대(1)의 결합돌기(11)가 삽입된 후 거치대(1)를 아래로 내려 결합돌기(11)가 작은 사각형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결합이 완료되는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결합공(233)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상으로는 4개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4구홀 거치대에 상응하는 개수를 도시한 것이고, 2구홀 거치대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결합공(233)이 2개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결합공(233)의 개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공의 형상 역시 일예시인바 결합돌기와 결합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The coupling hole 233 is formed into a 'b' shape by combining a large square and a small square up and down, the mounting protrusion (11) of the holder (1) is inserted into the large square portion of the holder (1) down If the coupling protrusion 11 is located in a small square portion, the coupling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coupling holes 233 is illustrated as four in the phase shown in Figure 2, which show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our-hole holder cradle, in order to be used in the two-hole holder cradle has two coupling holes 233 The number of the coupling holes 23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o four, and the like. The coupling holes may have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y can be combin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상기 거치대 수용부(23)를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거치대 수용부(23) 내부에 거치대의 결합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233)을 추가로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외장케이스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결합돌기(11)를 포함하는 거치대(1)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부에 결합공(233)을 추가로 포함하는 거치대 수용부(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인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의 배면에 형성된 거치대 수용부(23)는 차량에 설치된 거치대의 구조에 상응하도록 거치대 수용부(23)의 구조나 형상을 변경할 수 있고, 거치대와 체결 가능하다면 어떤 구조나 형상도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2 further including the holder accommodating part 23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233 for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11 of the holder in the holder accommodating part 23.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der 1 can be coupled to the holder 1 including the coupling protrusion 11. On the other hand, the cradle accommodating part 23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233 therein, which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adle accommodating part 23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is a vehicle.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can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the cradle installed in the cradle, and any structure or shape can be included if it can be fastened with the cradle.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시도, 도 3b는 거치대가 결합한 상태에서의 도 3a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3A in a state where a cradle is coupled.
도 3a 내지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상기 거치대 수용부(23)가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면부(22)에 포함된 방열부(222)도 원활한 공기 순환으로 방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방열부(222)의 돌출시에 돌출 정도는 거치대 수용부(23)의 돌출보다는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거치대 수용부(23)의 일측에 연결될 도어(24)의 개폐와 관련되기 때문이다.3A to 3B, the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cradle accommodating portion 23 outward from the rear surface. In this case, the heat dissipation part 222 included in the rear part 22 may also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rear side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by smooth air circulation. It should be formed lower than the protrusion of (23). This is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4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거치대 수용부(23)가 배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도 3b에서 보면, 거치대 수용부(23)에 거치대(1)가 결합시 거치대(1)의 결합돌기(11)가 결합공(233)에 삽입되고 결합판(12)이 테두리(231)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의 내부에 삽입된 거치대의 결합돌기(11)가 거치대 수용부(23)가 돌출함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돌기(11)의 끝(111)이 휴대용 단말기(a-점선으로 도시)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 결합공이 없거나 또는 있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의 결합공의 위치와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의 결합공(233)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의 결합공(233)에만 거치대(1)를 결합할 시에 휴대용 단말기(a)와 결합돌기(11)간에 간섭없이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3b as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when the cradle 1 is coupled to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the engaging projection 11 of the cradle 1 is a coupling hole ( 233 and the coupling plate 12 is in contact with the rim 231, in which case the mounting protrusions 23 of the mounting protrusions 11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protrude. It is located in the formed space so that the end 1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 is not interfer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shown as a-dotted line).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coupling hole in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or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233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such as the coupling hole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When the holder 1 is coupled to only 233, the portable terminal 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 may be coupled without interference.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4b는 도 4a에서의 거치대 수용부(23)와 도어(24)의 연결부위(B부위)의 확대도이다.Figure 4a is a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site B)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23 and the door 24 in Figure 4a. .
도 4a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상기 거치대 수용부(23)의 일측에 힌지(242)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4A to 4B, the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oor 24 connected by a hinge 242 to one side of the cradle accommodation unit 23. It can be included as.
상기 거치대 수용부(23)는 일측에 힌지 지지대(234)를, 타측에 고정공(23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radle accommodating part 23 may further include a hinge support 234 on one side and a fixing hole 235 on the other side.
상기 힌지 지지대(234)는 거치대 수용부(23) 일측에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 홈이 형성됨에 따라 단절된 테두리(23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연결되는 원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하기 도어(24)의 힌지(242)와 결합시에 상기 사각형 모양의 천공된 홈은 힌지(24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힌지 지지대(234)는 힌지(242)와 결합하여 힌지 회전시 회전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힌지 지지대(234)의 개수는 2개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힌지 지지대(234)가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hinge support 234 is formed in a cylindrical columnar shap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ut edge 23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s a groov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one side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23, the door ( When combined with the hinge 242 of the 24, the rectangular perforated groove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hinge 242 can be located and the hinge support 234 is combined with the hinge 242 of the rotary shaft when the hinge rotates It will play a role. Meanwhile, the number of hinge supports 234 illustrated in FIG. 4A is illustrated as two, but the hinge support 23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상기 고정공(235)은 거치대 수용부(23)의 타측에서 결합면(232)과 테두리(231)가 인접하는 소정의 위치에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데, 도어(24)가 닫힐 시에 하기 도어(24)의 고정돌기(243)가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이때 고정공(235)과 인접하는 거치대 수용부(23)의 테두리(231)는 결합면(232)과 같은 높이로 낮게 형성되는데, 이는 도어(24)의 개폐시에 도어(24)의 도어판(241)을 용이하게 집거하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폐가 가능하게 한다.The fixing hole 235 is formed by drilling in a rectangular sha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djacent to the coupling surface 232 and the edge 231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when the door 24 is closed The fixing protrusion 243 of the door 24 is inserted and coupled. At this time, the edge 231 of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23 adjacent to the fixing hole 235 is formed to the same height as the engaging surface 232, which is the door plate of the door 24 when the door 24 is opened or closed. The house 241 is easily housed to allow opening and closing with a small force.
상기 도어(24)는 도어판(241), 힌지(242), 고정돌기(243)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24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door plate 241, the hinge 242, and the fixing protrusion 243.
상기 도어판(241)은 거치대 수용부(23)의 테두리(231)형상 및 거치대(1)의 결합판(12)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거치대 수용부(23)와 결합한 도어(24)가 닫히게 되면 도어판(241)은 거치대 수용부(23)의 테두리(231)와 접촉하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도어판(241)이 거치대 수용부(23)의 테두리(231), 결합면(232) 및 결합공(233)을 커버하게 되어 외관상 심미감을 일으킬 수 있게 하며, 하기 자석 보조판(244)이 배면에 형성된 도어(24)의 경우에는 자석형 거치대(미도시)에 결합시 거치대의 결합판 전면과 자석 보조판(244)이 접촉하게 되어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door plate 24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m 231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and the shape of the coupling plate 12 of the cradle 1, the door 24 combined with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When the door plate 241 is in contact with the rim 231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is closed, the door plate 241 is the edge 231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the coupling surface 232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 And the coupling hole 233 to cover the appearance aesthetics, and in the case of the door 24 formed on the back of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the coupling plate of the cradle when coupled to the magnetic cradle (not shown) The front surface and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상기 힌지(242)는 도어판(241)의 일측면에 연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주면과 내부에 힌지 지지대(234)의 형상과 상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주면으로 구성되어, 거치대 수용부(23)의 힌지 지지대(234)와 결합하여 도어(24)가 개폐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힌지(242)의 개수는 2개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힌지(242)가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힌지(242) 외주면의 형상 역시 원통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hinge 242 protrudes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door plate 241, and is forme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inge support 234 therein. In combination with the hinge support 234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the door 24 can be opened and closed. Meanwhile, the number of hinges 242 illustrated in FIG. 4A is illustrated as two, but the number of hinges 24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and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242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
상기 고정돌기(243)는 도어판(241)의 타측면에서 도어판(241)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단턱을 형성하여, 도어(24)가 거치대 수용부(23)와 결합시 거치대 수용부의 고정공(235)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이 거치대 수용부(23)의 결합면(232)의 내면에 걸리게 되어 도어(24)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하기 배면에 형성된 자석 보조판(244)을 포함하는 도어(24)인 경우에는 견고하게 닫힌 상태에서 자석형 거치대(미도시)에 결합하게 된다.The fixing protrusion 243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door plate 241 at the other side of the door plate 241 to form a step, so that the fixing hole of the holder receiving part when the door 24 is coupled with the holder receiving part 23. The stepped portion 235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urface 232 of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23 to maintain the door 24 in a firmly fixed stat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door 24 including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formed on the rear surface is coupled to the magnetic holder (not shown) in a tightly closed state.
상기 거치대 수용부(23) 일측에 힌지(242)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24)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도어가 닫히게 되면 거치대 수용부(23)를 커버하게 되어 미적 효과를 갖게 되고, 특히 도어(24)가 열리게 되면 도어판(241)의 힌지(242)가 부착된 측면이 거치대 수용부(23)보다 낮게 돌출되어 형성된 방열부(222)에 걸리게 되어 90°까지만 열리게 되고, 90°까지 열린 도어(24)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의 다리 역할을 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외장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테이블상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a 와 도 4b 에서 도시된 거치대 수용부(23)와 도어(24)의 연결은 힌지 지지대(234)와 힌지(242)로 구성되어 힌지 지지대(234)에 힌지(242)가 끼워지는 구조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연결구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24)가 개폐될 수 있는 한 다양한 연결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2 including the door 24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holder 23 by the hinge 242 has an aesthetic effect when the door is closed to cover the holder 23. In particular, when the door 24 is opened, the side with the hinge 242 attached to the door plate 241 is caught by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222 formed to protrude lower than the cradle accommodation portion 23 is opened only up to 90 °, The door 24 opened to 90 ° serves as a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on a table even when the outer case is coupled.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23 and the door 24 shown in Figures 4a and 4b is composed of a hinge support 234 and the hinge 242 that the hinge 242 is fitted to the hinge support 234 Although illustrated as a structur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bined into various connection structures as long as the door 24 can be opened and clos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상기 도어(24)의 배면에 형성된 자석 보조판(24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exterior cas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4.
상기 자석 보조판(244)은 도어(24)의 배면에 형성되는데 도어판(241)및 거치대(1)의 결합판(12)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재질은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자석형 거치대에 결합시 결합판의 전면과 접촉하게 되어 높은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4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coupling plate 12 of the door plate 241 and the holder 1, and the material is a metallic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magnet. Consisting of, when coupled to the magnetic holder can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coupling plate to ensure a high coupling force.
상기 자석 보조판(244)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는 도어(24)를 열게 되면 결합돌기(11)를 갖춘 거치대(1)에 결합할 수 있고, 도어(24)를 닫게 되면 자석형 거치대에도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2 further including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 having the coupling protrusion 11 when the door 24 is opened, and when the door 24 is closed. It can be combined with a magnetic holder.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와 도어(24)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도어(24)의 힌지(242)부분('C'부분)의 확대도이다.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and the door 2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hinge 242 portion ('C' portion) of the door 24 of Figure 6a An enlarged view of.
도 6a 와 도 6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와 그에 사용되는 도어(24)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된 힌지(2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6A and 6B, the portable terminal outer case 2 and the door 24 used there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by a hinge 242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상기 힌지(242)는 도어(24)의 도어판(241)의 일측면에 연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내부에는 힌지 지지대(234)가 위치할 원통형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또한 탈부착 가능하기 위해 힌지(242)는 도어판(241)에 수직을 이루는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동일한 간격만큼 절개되는데, 절개되는 간격의 길이는 힌지 지지대(234)의 직경 보다는 작으면서 힌지 지지대에 억지 끼움이 가능한 간격은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도어판(241)과 수직을 이루는 지점을 기준으로 절개됨에 따라 도어(24)의 탈부착시에 도어판(241)을 잡고 도어판(241)에 수직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적은 힘으로도 탈부착이 가능하고, 또한 탈부착 되는 지점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 가능하여 한번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힌지(242)의 개수는 2개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힌지(242)가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힌지(242) 외면의 형상 역시 원통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hinge 242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in connection with one side of the door plate 241 of the door 24 therein to form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hinge support 234 is located. In addition, in order to be detachable, the hinge 242 is cut at the same interval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oint perpendicular to the door plate 241, and the length of the gap to be cu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upport 234 to the hinge support. Intervals that can be fit can be adjusted to the extent possible. As the incision is made based on the point perpendicular to the door plate 241, the door plate 241 is held when the door 24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a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plate 241 to minimize the loss of force. Detachable by force, and the point to be detached can be easi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detachment is possible at once. Meanwhile, the number of hinges 242 illustrated in FIG. 6A is illustrated as two, but the number of hinges 24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inge 242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
상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힌지(242)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외장케이스(2)와 그에 사용되는 도어(24)는 자석 보조판(244)이 배면에 형성된 도어(24)를 분리형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자석형 거치대를 구비한 경우에만 별도로 자석 보조판이 포함된 도어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2 and the door 24 used therein are connected to the hinge 242 formed in the detachable structure, and the magnetic auxiliary plate 244 can provide the door 24 formed on the rear side in a detachable manner. If only a magnetic holde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urchase a door including a magnetic auxiliary plate separately, thereby reducing the cost.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7963A KR20090092622A (en) | 2008-02-27 | 2008-02-27 | a Exterior Case for Portable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7963A KR20090092622A (en) | 2008-02-27 | 2008-02-27 | a Exterior Case for Portable Devic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92622A true KR20090092622A (en) | 2009-09-01 |
Family
ID=413011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17963A Abandoned KR20090092622A (en) | 2008-02-27 | 2008-02-27 | a Exterior Case for Portable Devic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90092622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24437B1 (en) * | 2011-06-15 | 2013-01-22 | 박대규 | apparatus of cradle case for mobile-phone |
| KR101418906B1 (en) * | 2012-05-23 | 2014-07-15 | 김윤현 | Multi functional cradle for mobile phone |
| KR101597316B1 (en) * | 2015-10-19 | 2016-02-25 | 주식회사 삼양씨엔에스 | Removable device cases |
-
2008
- 2008-02-27 KR KR1020080017963A patent/KR20090092622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24437B1 (en) * | 2011-06-15 | 2013-01-22 | 박대규 | apparatus of cradle case for mobile-phone |
| WO2012173338A3 (en) * | 2011-06-15 | 2013-03-28 | Park Hong Gyu | Mobile phone case |
| KR101418906B1 (en) * | 2012-05-23 | 2014-07-15 | 김윤현 | Multi functional cradle for mobile phone |
| KR101597316B1 (en) * | 2015-10-19 | 2016-02-25 | 주식회사 삼양씨엔에스 | Removable device cases |
| WO2017069387A1 (en) * | 2015-10-19 | 2017-04-27 | 주식회사 삼양씨엔에스 | Device case that can be attached/detache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182492U (en) |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US20120305422A1 (en) |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 |
| US8184441B2 (en) | Flash memory device with telescopic connector port and a casing of the flash memory device | |
| US7542565B2 (en) | Foldable cellular phone | |
| US20070148537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 CN204408781U (en) | protective case | |
| KR100879543B1 (en) | Portable electronics module | |
| JP6090302B2 (en) | Protective case | |
| JPWO200701367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housing used for the same | |
| TW201714508A (en) | Unified retractable hous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 |
| KR20090092622A (en) | a Exterior Case for Portable Devices | |
| CN218071552U (en) |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 |
| CN213938033U (en) | Protective case with stand | |
| KR200478697Y1 (en) | Flip typ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4538013B2 (en) |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 |
| KR200476384Y1 (en) | Separable Smart-phone Case | |
| JP3180088U (en) |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device | |
| JP2013106196A (en) | Portable terminal | |
| KR200474127Y1 (en) |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6046920B2 (en) | Electronics | |
| CN212696045U (en) | Electronic device case | |
| CN222128135U (en) | Mobile phone shell | |
| JP6361777B2 (en) | cover | |
| CN222321603U (en) |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 |
| JP2008147762A (en) | Strap attaching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0 |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