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877A - Device for removing air pollu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moving air poll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1877A KR20100011877A KR1020090005170A KR20090005170A KR20100011877A KR 20100011877 A KR20100011877 A KR 20100011877A KR 1020090005170 A KR1020090005170 A KR 1020090005170A KR 20090005170 A KR20090005170 A KR 20090005170A KR 20100011877 A KR20100011877 A KR 20100011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xhaust gas
- air
- heat exchanger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6 medic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오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완벽히 제거함과 동시에,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발전시설의 건설시 소요되는 민원 또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는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시설에 연결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며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거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차 오염 제거부와, 상기 제1차 오염 제거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차 오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에는 온도차이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갖는 발전기가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ollution removing devi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completely remove the air pollutants generated in the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and to use waste heat discard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ollutant removal device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and can reduce civil complaints or costs required when constructing a separate power plant. The air polluta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a facility for discharging high-temperature exhaust gas containing air pollutants, heat exchange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and heat exchanged with the exhaust gas discharged And a first pollution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a rear end of the primary pollution removal unit to suck and circulate the exhaust gas. A blower and a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for secondaryly remov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blower, the exhaust pipe is provided with a gen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기오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기계류 또는 공장, 소각로 등에서 배출되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완벽히 제거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대기오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ollution remo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completely remove contaminants in air discharged from various machinery or factories, incinerators, etc., and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waste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It relates to a decontamina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산업, 교통 시설 등과 같이 연료를 사용하는 시설에서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아황산가스와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포함하며,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물질이다.In general, fuel-based facilities, such as industrial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emit pollutants. Such pollutants include toxic gases such as sulfurous acid gas and carbon monoxide, and are substances causing air pollution.
더욱이 산업의 발달에 따라 공장, 큰 건물, 화력발전소, 쓰레기 소각장, 병원 폐기물 소각장, 자동차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해 지구환경의 악화가 심해지고 있으며,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Moreo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use of factories, large buildings, thermal power plants, garbage incinerators, hospital waste incinerators, automobiles, etc. is increasing,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is aggravated by the air pollutants generated. It is working as a factor.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경감시키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완전한 해결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이 이러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열 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but there are no complete solutions. In addition, a lot of heat is generated in facilities that emit air pollutants, and a plan for generating power using such heat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발전시설의 건설을 위해서 많은 비용이 들어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별도의 발전시설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주변 민원의 처리와, 시설용지 등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도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인해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술계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는 배출되는 물질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고온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2차적인 환경오염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a lot of costs have not yet been widely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such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in order to construct such a separate power generation faci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process surrounding civil complaints and secure facility sites. Moreover, in recent years, fuel costs used for power generation hav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thus technology development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waste heat discarded is requir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ir pollutant removal device performs only a function of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discharged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generated by the discharge of hot air.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발전시설의 건설시 소요되는 민원 또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t the same time to remove the air pollutants generated in the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at the same time can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the waste heat discarded, separat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air pollutants that can reduce civil complaints or cos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는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시설에 연결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며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를 거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차 오염 제거부와, 상기 제1차 오염 제거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차 오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에는 온도차이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갖는 발전기가 설치된다.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a facility for discharging high-temperature exhaust gas containing air pollutants, and the heat exchange with the exhaust gas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and discharged The first heat exchanger, the first decontamination unit for removing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end of the decontamina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exhaust gas A generator having a suction and circulating blower, and a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for secondaryly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blower, wherein the exhaust pipe includes a gen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temperature difference. Is installed.
또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열전소자의 양단에 설치되는 히트씽크를 포함하되, 일단의 히트씽크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접촉되어 상기 열전소자를 가열시키고, 타단의 히트씽크에는 냉각을 위한 제2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는 공랭식 또는 수냉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오염 제거부는 물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주입구 및 배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위를 유지하는 물이 저장된 탱크와,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속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고정시키는 마개가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물속으로 배출하는 연결관과, 상기 탱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물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와 상기 제1열교환기 사이에는 내부의 물을 순환하기 위해 연결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erator includes a heat sink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one end of the heat sink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exchanger to he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is a second heat exchanger for cooling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second heat exchanger may be air cooled or water cooled. In addition, the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is formed with an inlet and a drain for the supply and discharge of water, the tank is stored in the wate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level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and extends into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the end And a connecting pipe for coupling the filter and the stopper for fixing the filter to discharge the exhaust gas into the water,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and discharging the gas from which the pollutant is removed by the water into the atmosphere. have. In addition, the tank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pipe connected to circulate the water inside.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의 발전방식에 의한 연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발전과정에서 잉여의 에 너지를 소비하지 않아 경제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대기오염물질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발전시설의 건설시 소요되는 민원 또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물질에 포함된 수분이 대기오염물질 제거과정을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물로 바뀌게 되고, 이 깨끗한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ir polluta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remove the air pollutants generated in the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and generate electricity using heat generated in the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fuel by the conventional power generatio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and naturally friendly power generation without using surplus energy in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installed in the existing air pollutant discharge facility installed to completely remove the air polluta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mplaints or costs required in the construction of a separate power pla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pollutant is changed to clean water by removing the pollutant while the air pollutant removal process, the water can be recycl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ollutan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로와 같이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시설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서는 이러한 시설의 일례로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 소각로(1)가 이용된다.Apparatus for removing
이러한 소각로(1)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각로(1)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배기관(11)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11)은 제1열교환기(13)를 거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11)을 통해 상기 제1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저온의 배기가스로 열교환된다.The incinerator 1 generates high temperature heat during the incineration of waste. An inlet is formed in the incinerator 1, and exhaust ga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ddition, the exhaust port is provided with an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13)는 공랭식 또는 수냉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기관으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13)가 수냉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소각로(1)의 미사용시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13) 내의 물이 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열교환기(13)가 동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기(13)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13)의 동파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기(13)의 내부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물공급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위센서 및 물공급수단은 볼탑(ball top)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기(13)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볼탑의 부유볼이 쳐지면서 물공급수단과 연결된 배관을 개방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기(13)의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밸브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더불어, 상기 제1열교환기(13)에는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1열교환기(13)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제1열교환기(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고,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배기관(11)에는 열전소자(12a)를 갖는 발전기(12)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발전기(12)는 상기 열전소자(12a)가 상기 배기관(11)에 직접 접촉되며 열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전기(12)는 상기 열전소자(12a)의 양단에 히트싱크(12b, 13c)들을 설치하여, 상기 히트싱크(12b, 13c)들을 통해 열이 전달되 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즉, 상기 배기관(11)과 상기 열전소자(12a) 사이에 설치된 히트싱크(12b)는 상기 배기관(11)으로부터 열을 응축하여 상기 열전소자(12a)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12a)와 대기 또는 냉각을 위해 상기 제2열교환기(12d) 사이에 설치된 히트싱크(12c)는 상기 열전소자(12a)의 타단을 저온으로 냉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타단의 히트씽크(12c)에는 냉각을 위한 제2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열전소자(12a)는 펠티어(peltier)소자로 불리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거나,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이다. 상기 열전소자(12a)는 상기 배기관(11)로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전기를 발생한다.The
이때, 상기 열전소자(12a)는 양단의 온도차이가 클수록 전기의 발생효율이 증가된다. 즉, 상기 열전소자(12a)는 상기 배기관(11)과 제2열교환기(12d) 사이의 온도차가 클수록 더 큰 전압의 전기를 발생시킨다. In this case,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of the
일례로, 상기 배기관(11)과 상기 열전소자(12a) 사이에 설치된 히트싱크(12b)에는 25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12d)와 열전소자(12a) 사이에 설치된 히트싱크(12c)는 20℃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12a)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12)는 연장선을 통해 전기장치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전기(12)는 상기 열전소자(12a)에 의해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를 구비할 수 있다.As such, the
상기 제2열교환기(12d)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열교환기(12d)에는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도 2의 (b)와 같이 열교환기(12d')는 공랭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열교환기(12d')는 다수의 방열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배기관(11)에는 1차 오염 제거부(14)가 마련된다. 상기 1차 오염 제거부(14)는 필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는 상기 배기관(11)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오염 제거부(14)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압력이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1차 오염 제거부(14)의 통과시 부하가 많이 걸릴 수 있으므로 상기 1차 오염 제거부(14)의 후단에 송풍기(16)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송풍기(16)는 흡입팬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기관(11) 내의 배기가스가 상기 1차 오염 제거부(14)를 통과하도록 빨아들여 배기가스를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기(16)는 터보 송풍기, 링블로워(ring-blow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상기 송풍기(16)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2차 오염 제거부(18)로 유입되어 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되며, 이에 따라 맑은 공기로 정화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The exhaust gas discharged by the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는 물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 오염 제거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 오염 제거부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10)는 상기 배기관(11)의 연장선상에 송풍기(16)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11)에는 유입관(182)이 연결되며,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유입관(182)을 통해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의 탱크(181) 내부로 배출된다.3 and 4, the air
상기 탱크(181)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유입관(182)의 단부가 상기 탱크(181) 내의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Water is stored in the
상기 유입관(182)의 단부에는 탱크(181)의 물을 배출하는 연결관(18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탱크(181)의 상부에는 내부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주입구(18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181)의 하부에는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84)가 마련되며, 상기 배수구(184)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물이 배수되도록 관을 열거나 잠글 수 있다. The end of the
또한, 상기 탱크(181)의 상부에는 물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88)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구(188)에는 미작동시 대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뚜껑(189)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유입관(182)은 외부의 공기를 탱크(181)의 물속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관(183)에는 탱크(181)의 물 속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2차필터부(18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관(183)은 복수개의 분기된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2차필터부(185)는 분기된 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필터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filter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condary filter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2차필터부(185)는 다수의 관부(185a)를 포함하며, 각 관부(185a)는 다공망으로 이루어진 필터(186a) 및 상기 관부(185a)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186a)를 고정시키는 마개(186b)가 결합된다. 상기 마개(186b)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각 관부(185a)는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개수가 제한되지 않는다.5 and 6, the
상기 유입관(182)에서 상기 2차필터부(185)를 통과한 공기는 물보다 가벼우므로 물을 통과하며 상승되고,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춰지는 동시에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되며, 이에 따라 맑은 공기로 완벽히 정화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더불어, 상기 소각로(1)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은 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결된다.In additio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incinerator 1 contains a large amount of moisture,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condenses in the course of passing water.
한편,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수위조절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적정범위 이하로 떨어지면, 부족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장치는 상기 탱크(181) 내부에 저 장된 물이 적정수위를 넘게 되면, 상기 탱크(181)에 마련된 배수구(184)를 열어 물을 배수한다. 상기 수위조절장치는 볼탑(ball-top)과 같은 플로팅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ntrols to supply insufficient water when the water stored therein falls below an appropriate range. In additio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drains the water by opening the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는 상기 소각로(1)의 미사용시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13) 내의 물이 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소각로(1)의 미작동시 내부에 저장된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물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고,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That is, the controlle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에는 상기 히터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보일러 시설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may be made of an electric heater using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heater using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Meanwhile, a boiler facility may be installed in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3)와 배관(18a, 18b)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18a, 18b)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18a, 18b)를 이용하 여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와 상기 제1열교환기(13) 사이에 물을 순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열교환기(13)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로 공급되도록 하여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더불어, 상기 소각로(1)의 미 작동시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에 설치된 보일러 시설을 가동시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 및 상기 제1열교환기(13)에 저장된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cinerator 1 is not operated, the boiler facility installed in the
상기 2차 오염 제거부(18)에서 배수된 물은 저장탱크(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정수시스템(30)으로 공급되어 상수 또는 중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water drained from the
한편, 상기 저장탱크(20)에 저장된 물은 별도의 폐수탱크(40)에 저장된 후 폐기처리업체를 통해 폐수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tored i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removing air pollut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10)는 소각로(1)에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ollutan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 오염 제거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 오염 제거부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decontamination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filter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의 2차필터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condary filter unit of the air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2960 | 2008-07-25 | ||
| KR20080072960 | 2008-07-25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1877A true KR20100011877A (en) | 2010-02-03 |
Family
ID=4157044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05170A Ceased KR20100011877A (en) | 2008-07-25 | 2009-01-21 | Device for removing air pollution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011877A (en) |
| WO (1) | WO201001100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920612B (en) * | 2023-07-03 | 2024-05-10 | 京清节能环保科技(天津)有限公司 |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device for desulfurizing and denitrating boiler flue gas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64738B1 (en) * | 1997-12-16 | 2000-09-01 | 홍상복 | A method for removing air pollutant from flue gas continuously and an apparatus therefor |
| KR19990066512A (en) * | 1998-01-21 | 1999-08-16 | 유용숙 | Power plant as waste incinerator |
| US6610263B2 (en) * | 2000-08-01 | 2003-08-26 | Enviroscrub Technologies Corporation | System and process for removal of pollutants from a gas stream |
| KR100613303B1 (en) * | 2004-11-17 | 2006-08-21 | 이인섭 | Hybri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 KR100735617B1 (en) * | 2005-11-29 | 2007-07-04 | 장달원 | Thermoelectric generator using waste heat |
-
2009
- 2009-01-21 KR KR1020090005170A patent/KR20100011877A/en not_active Ceased
- 2009-02-12 WO PCT/KR2009/000667 patent/WO201001100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0011008A1 (en) | 2010-01-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21622B1 (en) | System to removing a white smoke | |
| EP1434966A1 (en) | Heating system | |
| KR20130087049A (en) | Heat recovery and utilization system | |
| CN105937765A (en) | An incineration quench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igh-viscosity and strong corrosive salt-containing waste liquid | |
| JP5828873B2 (en) |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method | |
| RU2323384C1 (en) | Heat waste recover | |
| JP2016090101A (en) | Incineration plant and waste heat recovery method | |
| KR20100011877A (en) | Device for removing air pollution | |
| KR102498125B1 (en) | System for Exchanging Heat between Waste Water Treatment Plant and Outside Plant | |
| CN213019588U (en) | Periodic sewage discharge system of household garbage incineration power plant boiler | |
| RU2083919C1 (en) | Plant for recovery of heat in heat generator with gas cleaning system | |
| JP7551833B2 (en) | Carbon Dioxide Capture Equipment | |
| CN112393347A (en) | Evaporative cooling unit and descal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 |
| JP5524909B2 (en) |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method | |
| JP2016090114A (en) | Incineration plant and waste heat recovery method | |
| KR102117073B1 (en) | White smoke eliminating and energy saving system | |
| KR101611030B1 (en) | An apparatus for collecting exhaust gas of firewood boiler | |
| CN215901241U (en) | Blowdown indicating device in flue gas integrated treatment | |
| CN217031246U (en) | A quench control device | |
| KR101371051B1 (en) | Device for disposal of waste | |
| CN215373664U (en) | Circulating cooling system in comprehensive treatment of flue gas | |
| CN215489665U (en) | Waste heat utilization system of waste incineration power plant | |
| KR101082324B1 (en) | Stovepipe free boiler | |
| CN219889343U (en) | Ammonia supply device for high-temperature industry | |
| CN216844733U (en) | Heat exchange device for joint part of boiler combustion chamber and flu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