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7405A -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 Google Patents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405A
KR20100017405A KR1020097024704A KR20097024704A KR20100017405A KR 20100017405 A KR20100017405 A KR 20100017405A KR 1020097024704 A KR1020097024704 A KR 1020097024704A KR 20097024704 A KR20097024704 A KR 20097024704A KR 20100017405 A KR20100017405 A KR 2010001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ray shielding
heat ray
heat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170B1 (ko
Inventor
켄이치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1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C01G41/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뛰어난 가시광선 투과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높은 열선 차폐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자외선에 의한 색조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분산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일반식 WOX로 나타나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일반식 MYWOZ로 나타내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이며, 상기 미립자의 평균 분산 입자 지름이 1㎚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0.1wt% 이상, 10wt% 이하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0㎛ 이상, 300 ㎛이하이다.
필름적층체, 가시광선, 열선 차폐성

Description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Hot radiation shielding polyester film, and hot radiation shielding polyester film laminate}
본 발명은, 건축물 또는 차량의 창 등의 개구부에 이용되며, 가시광선 투과성이 양호하고 또한 열선 차폐성이 뛰어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른 투명기재에 적층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건축물이나 차량의 창 등의 이른바 개구부는, 태양광선을 흡수하기 위하여 투명한 유리판이나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태양광선에는 가시광선의 이 외에 자외선이나 적외선이 포함되고, 특히 적외선 중 파장 800∼2500㎚의 근적외선은 열선으로 불리며, 개구부분에서부터 진입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각종 건축물이나 차량의 창재 등에, 가시광선을 충분히 흡수하면서 열선을 차폐하고, 밝음을 유지함과 동시에 실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열선 차폐재가 검토되어, 이 때문에 각종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투명 수지 필름에 금속을 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열선 반사 필름을 유리판, 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투명기재에 접착한 열선 차폐판이 제안되고 있다. 또, 투명기재 표면에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을 직접 증착하여 열선 차폐막을 실시한 열선 차폐판도 많이 제안되고 있다.
열선 차폐의 수단으로서 상술한 투명기재 위에 열선 반사 필름이나 열선 차폐막을 실시하는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한 수지에, 열선 반사 입자로서 산화 티탄으로 피복한 마이카를 넣어 형성한 열선 차폐판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4에서, 열선 차폐 효과를 갖는 성분으로서 자유전자를 다량으로 보유하는 6 붕화물 미립자에 주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 중에, 6 붕화물 미립자가 분산되어 혹은 6 붕화물 미립자와 ITO 미립자 및/또는 ATO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를 이미 제안한 바 있다.
 6 붕화물 미립자 단독, 혹은 6 붕화물 미립자와 ITO 미립자 및/또는 ATO 미립자가 적용된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광학 특성은, 가시광선 영역에 가시광선 투과율의 극대를 가짐과 동시에, 근적외선 영역에 강한 흡수를 발현하여 일사 투과율의 극소를 갖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에서 일사 투과율이 50%대까지 개선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61-277437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공보 평5-78544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 공보 평2-173060호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03-327717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투명 기판에 열선 반사 필름을 접착한 열선 차폐판은, 열선 반사 필름 자체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접착 공정 등의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고비용이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투명기재와 열선 반사 필름의 접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경시 변화에 의해 열선 반사 필름이 박리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투명기재에 열선 차폐막을 증착하여 실시한 열선 차폐판에서는, 고진공이나 정밀도가 높은 분위기 제어가 필요한 증착 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양산성이 나쁘고, 범용성이 부족한데다가, 열선 차폐판이 매우 고가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2, 3에 기재의 열선 차폐판에서는, 열선 차폐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열선 반사 입자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열선 반사 입자의 첨가량을 증대시키면, 이번에는 가시광선 투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열선 반사 입자의 첨가량을 줄이면, 가시광선 투과성은 높아지지만 열선 차폐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열선 차폐성과 가시광선 투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열선 반사 입자를 다량으로 배합하면, 기재인 투명 수지의 물성, 특히 내충격성이나 인성(靭性)이 저하되는 강도면의 결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의 열선 차폐 시트재에 있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의 낮은 영역에서는 충분한 일사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가시광선 투과율의 높은 영역에서는 일사 투과율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아직도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번잡한 제법이나 고비용의 물리 성막법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으며, 뛰어난 가시광선 투과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높은 열선 차폐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열선 차폐 필름 및 열선 차폐 필름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 등이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로서 일반식 WOX(2.45≤x≤2.999)로 나타내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일반식 MYWOZ(0.1≤y≤0.5, 2.2≤z≤3.0)으로 나타내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상술한 열선 차폐 필름 및 열선 차폐 필름 적층체의 필름 재료로서 높은 투명성과 기계 특성을 겸비하고 있다는 이유에 의해, 자동차, 건물의 창문용 부착 필름 재료로서도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는 것에 상도 하였다.
즉,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의 구성은,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분산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일반식 WOX(단, 2.45≤x≤2.999)로 나타내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일반식 MYWOZ(단, 0.1≤y≤0.5, 2.2≤z≤3.0)으로 나타내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이며,
상기 미립자의 평균 분산 입자 지름이 1㎚ 이상, 200㎚ 이하이며,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0.1wt% 이상, 10wt% 이하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2 구성은,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에 포함되는 M이,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 중 1 종류 이상의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가시광선 영역에 있어 투명하고, 근적외선 영역에 있어 흡수를 갖는 텅스텐 산화물이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매체에 분산시킨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장기간에 걸쳐서 자외선을 받으면 색조가 변화하여 투과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 상기 텅스텐 산화물이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함께, 착색 방지제를 함유시키는 구성에 상도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계 착색 방지제,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 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 유황계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착색 방지제를,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함유시켜서 분산시킴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색조 변화가 억제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지며, 상기 색조 변화가 해소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 구성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착색 방지제가 함유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또는 제2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4 구성은,
상기 착색 방지제의 함유량이, 0.1wt% 이상, 20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5 구성은,
상기 착색 방지제가, 인계 착색 방지제,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 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 유황계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착색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또는 제4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6 구성은,
상기 착색 방지제가 인계 착색 방지제에 있어서, 또한, 포스폰산기, 인산기, 포스폰산에스테르기, 포스핀기 중 어느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내지 제 5의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7 구성은,
제3 내지 제6의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60% 이상 70% 이하로 하고,
상기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 이외는,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동일한 조합성을 갖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강도가 100 mW/㎠의 자외선을 2시간 조사한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율을 100%로 규격화하였을 때,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동일 강도의 자외선을 동일 시간 조사한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8의 구성은,
제1 내지 제7 구성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른 투명기재에 적층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이다.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는, 일반식 WOX(단, 2.45≤x≤2.999)로 나타내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일반식 MYWOZ(단, 0.1≤y≤0.5, 2.2≤z≤3.0)으로 나타내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이다. 상기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소망하는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 WOX(단, 2.45≤x≤2.999)로 나타내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W18O49, W20O58, W4O11등을 들 수가 있다. x의 값이 2.45 이상이면, 상기 적외선 차폐 재료 중에 목적 외인 WO2의 결정상이 나타나는 것을 완전하게 회피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재료의 화학적 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다. 한편, x의 값이 2.999 이하면, 충분한 양의 자유전자가 생성되어 효율적인 적외선 차폐 재료가 되지만, 2.95 이하면 적외선 차폐 재료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x의 범위가 2.45≤x≤2.999인 WOX화합물은, 이른바 마그넬리상으로 불리는 화합물에 포함된다.
상기 일반식 MYWOZ(단, 0.1≤y≤0.5, 2.2≤z≤3.0)으로 나타내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M이,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 중 1 종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첨가 원소 M의 첨가량 y는, 0.1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 부근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육방정의 결정 구조로부터 이론적으로 산출되는 값이 0.33이며, 이 전후의 첨가량에서 바람직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z의 범위에 대해서는, 2.2≤z≤3.0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MYWOZ로 표기되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재료에서도, 상술한 WOx로 표기되는 텅스텐 산화물 재료와 동일한 기구가 작용하는 것에 더해 z≤3.0에서도, 상술한 원소 M의 첨가에 의한 자유전자의 공급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2≤z≤2.99, 더욱 바람직하게는, 2.45≤z≤2.99이다.
여기서,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재료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Cs0 .33WO3, Rb0 . 33WO3, K0 .33WO3, Ba0 .33WO3 등을 들 수가 있지만, y, z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간다면, 유용한 열선 차폐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발휘하는 미립자의 표면이, Si, Ti, Zr, Al의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산화물로 피복되는 것은 내후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소망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데는, 상기 텅스텐 산화물의 미립자, 및/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체색이 국제 조명 위원회(CIE)가 추천하고 있는 L*a*b*표색계(JIS Z 8729)에 있어서의 분체색에서, L*가 25∼80, a*가 -10∼10, b*가 -15∼15인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적외선 차폐 재료는 근적외선 영역, 특히 파장 1000㎚ 부근의 광을 크게 흡수하기 때문에, 그 투과 색조는 블루계의 색조가 되는 것이 많다. 또, 상기 적외선 차폐 재료의 입자 지름은, 그 사용 목적에 의해 적절히 선정할 수가 있다. 우선, 투명성을 유지한 응용에 사용하는 경우는, 200㎚ 이하의 분산 입자 지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00㎚보다 작은 분산 입자 지름은, 산란에 의해 광을 완전하게 차폐하는 일이 없고, 가시광선 영역의 시인성을 유지하고, 동시에 효율적으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시광선 영역의 투명성을 중시하는 경우는, 더욱 입자에 의한 산란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입자에 의한 산란의 저감을 중시할 때에는, 분산 입자 지름은 200㎚ 이하가 좋다. 그 이유는, 입자의 분산 입자 지름이 작으면 기하학 산란 혹은 미산란에 의한 파장 400㎚∼780㎚의 가시광선 영역의 광의 산란이 저감되는 결과, 적외선 차폐막이 불투명 유리와 같이 되어 선명한 투명성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입자 지름이 200㎚ 이하가 되면, 상기 기하학 산란 혹은 미산란이 저감 되어 레일리 산란 영역이 된다. 레일리 산란 영역에서는, 산란광은 입자 지름의 6승에 반비례하여 저감하기 때문에, 분산 입자 지름의 감소에 따라 산란이 저감되어 투명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분산 입자 지름이 100㎚ 이하가 되면, 산란광은 매우 적어져 바람직하다. 광의 산란을 회피하는 관점에서는, 분산 입자 지름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분산 입자 지름이 1㎚ 이상이면 공업적인 제조는 용이하다.
열선 차폐 성능은,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의 함유량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로 정해진다. 즉,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는, 그 함유량이 0.1중량%이면, 상기 필름의 두께를, 예를 들면 300㎛까지 두껍게 함으로써 열선 차폐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실용적인 열선 차폐 특성을 발휘하는 함유량으로서는,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의 함유량은 10중량% 이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마모 강도나 내충격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 실용적인 열선 차폐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필요한 함유량이 많아진다. 예를 들면, 상기 필름을 10㎛까지 얇게 한 경우, 필요한 함유량이 10중량%가 된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4.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항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10∼3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착색 방지제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함께, 인계 착색 방지제,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 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 유황계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착색 방지제를,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함유하여 분산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색조 변화가 억제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되는 「착색 방지제」란, 연쇄 개시 저해 기능, 연쇄 금지 기능, 과산화물 분해 기능의 각 기능 중, 어느 1개 이상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
여기서, 연쇄 개시 저해 기능이란, 유해한 과산화물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촉매가 되는 금속 이온을 불활성화하여, 상기 과산화물 라디칼에 의한 연쇄 반응의 개시를 저해하는 기능이다.
또, 연쇄 금지 기능이란, 발생한 과산화물 라디칼을 불활성화시켜서 과산화물 라디칼의 작용에 의한 새로운 과산화물 라디칼의 발생이라는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이다.
또한, 과산화물 분해 기능이란, 과산화물을 불활성인 화합물로 분해하여, 과산화물이 분해하여 라디칼화하는 반응을 저해하는 기능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는, 상기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또는/및,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중의 텅스텐 원자를 환원하는 유해한 과산화물 라디칼의 발생이나 증가를 상술한 기능으로 저해하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하는 착색 방지제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a) 인계 착색 방지제, (b)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 (c) 아민계 착색 방지제, (d)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 (e)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 (f) 유황계 착색 방지제의 어떤 계통의 착색 방지제도 사용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a) 인계 착색 방지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분자 내에 포스폰산기, 인산기, 포스폰산에스테르기, 포스핀기 중 어느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는 인계 착색 방지제가 자외선 조사시의 착색 억제 효과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 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분산 매체에 따라서는, 주로 연쇄 개시 저해 기능을 갖는 착색 방지제와 주로 연쇄 금지 기능을 갖는 착색 방지제와 주로 과산화물 분해 기능을 갖는 착색 방지제를 병용함으로써, 높은 착색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있어서의 상기 착색 방지제의 최적 함유량은, 사용하는 착색 방지제나 분산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0.01wt% 이상, 20w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wt% 이상, 15wt% 이하가 좋다.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착색 방지제의 함유량이 0.01wt% 이상이면, 자외선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을 충분히 보충할 수 있어, 유해 라디칼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5가의 텅스텐의 생성을 억제할 수가 있어 자외선에 의한 착색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분산 매체 중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20wt% 이하면, 비록 분산 매체로서 UV경화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상기 착색 방지제가 수지 고분자의 라디칼 중합을 거의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명성이나 강도를 유지할 수가 있어 바람직하다. 게다가, 분산 매체로서 열경화성 수지, 또는/및,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분산 매체 중에 20 wt%이상 함유시킬 수도 있다.
각종 착색 방지제에 대해, 구체적인 예와 일반적인 기능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a) 인계 착색 방지제
착색 방지제의 제1의 구체적인 예는, 인을 함유하는 인계 착색 방지제이다. 또, 인을 포함한 인계 관능기를 구비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계 관능기에는, 3가의 인을 포함하는 것과 5가의 인을 포함하는 것이 있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인계 관능기」는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다음의 (화학식 1)의 식에서 3가의 인을 포함한 인계 관능기를 구비한 인계 착색 방지제, (화학식 2)의 식에서 5가의 인을 포함한 인계 관능기를 구비한 인계 착색 방지제의 일반식을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2871288-PC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9072871288-PCT00002
또한, (화학식 1)의 식 및 (화학식 2)의 식에서, x, y, z는 0 또는 1의 값을 취한다. 또, R1, R2 및 R3는 일반식 CmHn로 나타내는 직쇄, 환상, 혹은 분기구조가 있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염소, 브롬 등의 할로겐 원자, 또는, 수소원자다. 또한, y 또는 z가 1의 경우에는, R2 또는 R3는 금속 원자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인계 관능기」란, (화학식 1)(화학식 2)의 식에 서, R1을 제외한 부분(즉, 일반식:-Ox-P(OyR2)(OzR3), 또는, 일반식:-Ox-P(O)(OyR2)(OzR3)로 나타내는 것)를 말한다. 인계 관능기의 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포스폰산기(-P(O)(OH)2), 인산기(-O-P(O)(OH)2), 포스폰산에스테르기(-P(O)(OR2)(OR3)), 인산 에스테르기(-O-P(O)(OR2)(OR3)), 포스핀기(-P(R2)(R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인계 관능기 중, 포스폰산기, 인산기, 포스폰산에스테르기 및 인산 에스테르기 등의 5가의 인을 함유하는 관능기는, 주로 연쇄 개시 저해 기능(즉, 인접하는 인계 관능기에 의해 금속 이온을 킬레이트적으로 포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포스핀기 등의 3가의 인을 함유하는 인계 관능기는, 주로 과산화물 분해기능(즉, P원자가 스스로 산화함으로써 과산화물을 안정인 화합물로 분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인계 관능기 중에서도, 포스폰산기를 구비한 포스폰산계 착색 방지제는 금속이온을 효율적으로 포착할 수 있어 내가수 분해성 등의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착색 방지제로서 특히 매우 적합하다.
저분자형의 인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인산(H3PO4),트리페닐포스파이트((C6H5O)3P),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C18H27O)3 P), 트리데실포스파이트((C10H21O)3P),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CH3(CH2)11S]3 P)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분자형의 인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포스폰산, 폴리스틸렌포스폰산, 비닐계 인산(예를 들면, 아크릴 인산 에스테르(CH2=CHCOOPO(OH)2), 비닐알킬인산에스테르(CH2=CHR-O-PO(OH)2, R은,-(CH2)n-)등의 중합체), 포스폰산기를 도입한 폴리에텔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에테르 케톤수지, 직쇄형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직쇄형 폴리스티렌 수지, 가교형 폴리스티렌 수지, 직쇄형태 폴리(트리플루오로스틸렌) 수지, 가교형(트리플루오로스틸렌) 수지, 폴리(2, 3-디페닐-1, 4-페닐렌옥시드) 수지, 폴리(아릴에테르케톤)수지,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수지, 폴리(페닐퀴놀산린) 수지, 폴리(벤질실란) 수지, 폴리스틸렌-그래프트-테트라풀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그래프트-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그래프트-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또는/및,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적외선 차폐재료에 흐림이 없는 뛰어난 투명성을 부여하고, 한편,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또는/및,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자외선에 착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분산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고분자형의 인계 착색 방지제가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형의 인계 착색 방지제에 가교 구조를 도입한 고분자형의 인계 착색 방지제가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b)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
착색 방지제의 제2 구체예는, 분자내에 아미드 결합(-CO-NH-)을 갖는 화합물(본 실시의 형태에서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부터 이루어지는 착색 방지제이다.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는, 주로 연쇄 개시 저해 기능(즉, 아미드 결합의 O원자와 N원자에 의해 금속 이온이 킬레이트적으로 포착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분자형의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 N-살리시로일-N'-알데히드히드라진(C6H4(OH)-CONHNHCHO), N-살리시로일-N'-아세틸히드라진(C6H4(OH)-CONHNHCOCH3), N, N'-디페닐옥사미드(C6H5-NHCOCONH-C6H5), N, N'-디(2-히드록시페닐)옥사미드(C6H4(OH)-NHCOCONH-C6H4(OH))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분자형의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 상기 저분자형의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를 측쇄에 갖는 비닐,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 등의 모노머의 중합체나, 상기 저분자형의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가 주쇄에 짜넣어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형의 화합물보다 고분자형의 화합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는 것, 및 고분자형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시 가교 구조를 도입해도 좋은 것은 인계 착색 방지제의 경우와 동일하다.
 (c) 아민계 착색 방지제
착색 방지제의 제3 구체예는, 분자 내에 벤젠핵과 상기 벤젠핵에 결합하는 아미노기(-NH2) 또는 이미노 결합(-NH-)을 갖는 화합물(본 실시의 형태에서 「아민계 착색 방지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는 착색 방지제이다.
상기 아민계 착색 방지제는, 주로 연쇄 금지능(즉, 벤젠핵에 결합한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 결합이 라디칼을 포착하여, 라디칼에 의한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분자형의 아민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페닐-β-나프틸아민(C6H5-NH-C10H7), α-나프틸아민(C10H7NH2), N, N'-디-제2 부틸-p-페닐렌디아민((CH3)2CNH-C6H4-NHC(CH3)2), 페노티아딘(C6H4SNHC6H4), N, N'-디페닐-p-페닐렌 디아민(C6H5-NH-C6H4-NH-C6H5)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분자형의 아민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상기 아민계 착색 방지제를 측쇄에 갖는 비닐,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 등의 모노머의 중합체나, 상기 아미계 착색 방지제의 구조가 주쇄에 짜넣어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형의 화합물보다 고분자형의 화합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는 것, 및 고분자형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시 가교 구조를 도입해도 좋은 것은 인계 착색 방지제의 경우와 동일하다.
(d)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
착색 방지제의 제4 구체예는, 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유도체 또는 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딘 유도체(본 실시의 형태에서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는, 주로 연쇄 금지능(즉, 라디칼을 포착하여, 라디칼에 의한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분자형의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의 예로서는, 4-벤조일옥시-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1, 2, 2, 6, 6-펜타메틸피페리딘, 4-메타크릴로일옥시- 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타크릴로일옥시-1, 2, 2, 6, 6-펜타메틸피페리딘, 비즈(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즈(1, 2, 2, 6, 6-펜타메틸 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즈(2, 2, 6, 6-테트라메틸-1-옥토시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4-{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닐옥시}-1-[2-{3-(3, 5-디-t-부틸-4-히드록시 페닐) 프로피오닐옥시}에틸]-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즈(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2-부틸- 2-(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마로네이트, 8-아세틸-3-도데실-7, 7, 9, 9-테트라메틸-1, 3, 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 4-디온, 테트라퀴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테트라퀴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트리데실·트리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트리데실·트리스(1, 2, 2, 6, 6-페타메틸-4-피페리디닐)-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시레이트, 디트리데실·비즈(2, 2, 6, 6-테트라 메틸-4-피페리디닐)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디트리데실·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3, 9-비스[1, 1-디메틸-2-{트리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옥시카르보닐) 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 5]운데칸, 3, 9-비즈[1, 1-디메틸-2-{트리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옥시카르보닐) 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 5]운데칸, 2, 2, 4, 4-테트라메틸-20-(β-라우릴옥시카르보닐)-에틸-7-옥사-3, 20-디아자디스피로[5. 1. 11. 2]헤네이코산-21-온, 2, 4, 6-트리스{N-시클로 헥실-N-(2-옥소-3, 3, 5, 5-테트라메틸피페라디노) 에틸}-1, 3, 5-트리아진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즈(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 비즈(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즈(2, 2, 6, 6-테트라 메틸-1-옥틸 옥시-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즈(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2-부틸-(3, 5-디-t-부틸-4-히드록시 벤질) 마로네이트, 8-아세틸-3-도데실-7, 7, 9, 9-테트라메틸-1, 3, 8-트리아자스피로[4. 5]데칸-2, 4-디온, 2, 2, 4, 4-테트라 메틸-20-(β-라우릴옥시카르보닐)-에틸-7-옥사-3, 20-디아자디스피로[5. 1. 11. 2]헤네이코산-21-온, 테트라키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트리데실·트리스-1, 2, 2, 6, 6-펜타메틸 4-피페리딜)-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4-{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닐옥시}-1-[2-{3-(3, 5-디-t-부틸-4-히드록시 페닐) 프로피오닐옥시}에틸]-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즈(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 비즈(2, 2, 6, 6-테트라메틸-1-옥틸 옥시-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즈(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2-부틸-(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마로네이트, 8-아세틸-3-도데실-7, 7, 9, 9-테트라 메틸-1, 3, 8-트리아자스피로[4. 5]데칸-2, 4-디온,2, 2, 4, 4-테트라 메틸-20-(β-라우릴옥시카르보닐)-에틸-7-옥사-3, 20-디아자지스피로[5. 1. 11. 2]헤네이코산-21-온, 트리데실·트리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4-{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닐옥시}-1-[2-{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 있다.
또, 고분자형의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상기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를 측쇄에 갖는 비닐,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 등의 모노머의 중합체나, 상기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의 구조가 주쇄에 짜넣어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형의 화합물보다 고분자형의 화합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는 것, 및 고분자형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시 가교 구조를 도입해도 좋은 것은 인계 착색 방지제의 경우와 동일하다.
(e)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
착색 방지제의 제5 구체예는, 페놀성 OH기의 o-위치에 제3 부틸기 등의 큰기가 도입된 화합물(본 실시의 형태에서,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는, 상기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와 같이, 주로 연쇄 금지능(즉, 페놀성 OH기가 라디칼을 포착하여 라디칼에 의한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분자형의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 2, 6-제3 부틸-p-크레졸, 2, 6-디-제3 부틸-페놀, 2, 4-디메틸-6-제3 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2, 2'-메틸렌비스(4-메틸-6-제3 부틸페놀), 4, 4'-부티리덴비즈(3-메틸-6-제3 부틸페놀), 4, 4'-티오비즈(3-메틸-6-제3 부틸페놀), 테트라퀴스[메틸렌-3(3, 5-디-제3 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1, 1, 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 부틸페닐) 부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분자형의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상기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를 측쇄에 갖는 비닐,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 등의 모노머의 중합체나, 상기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의 구조가 주쇄에 짜넣어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형의 화합물보다 고분자형의 화합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는 것, 및 고분자형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시 가교 구조를 도입해도 좋은 것은 인계 착색 방지제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 상기 각종의 착색 방지제의 유해 라디칼 보충 과정은, 불분명한 점도 많고, 상기 이외의 작용이 기능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어, 상기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 유황계 착색 방지제
착색 방지제의 제6 구체예는, 분자내에 2가의 유황을 갖는 화합물(본 실시의 형태에서 「유황계 착색 방지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유황계 착색 방지제는, 주로 과산화물 분해 기능(즉, S원자가 스스로 산화하는 것에 의해 과산화물을 안정인 화합물로 분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분자형의 유황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CH2CH2COOC12H25)2),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CH2CH2COOC18H 37)2), 라우릴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CH2CH2COOC18H37)(CH2CH2COOC12H25)), 디미리스틸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CH2CH2COOC14H29)2), 디스테아릴(β,β'-티오디부티레이트(S(CH(CH3) CH2COOC18H39)2),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C6H4NHNCSH), 디라우릴설파이드(S(C12H25)2)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분자형의 유황계 착색 방지제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상기 유황계 착색 방지제를 측쇄에 갖는 비닐, 아크릴, 메타크릴, 스티릴 등의 모노머의 중합체나, 상기 유황계 착색 방지제의 구조가 주쇄에 짜넣어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형의 화합물보다 고분자형의 화합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는 것, 및 고분자형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시 가교 구조를 도입해도 좋은 것은 인계 착색방 지제의 경우와 동일하다.
3.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자외선에 의한 착색기구와 상기 착색 기구에 대한 착색 방지제의 작용 기구
우선, 본 실시의 형태의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자외선에 의한 착색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자외선이 조사되었을 때, 상기 자외선의 에너지에 의해 상기 매체 수지의 고분자 사슬이 절단되고 분해하는 과정의 반응에서, 유해한 라디칼인 플로톤, 중금속 이온, 수소 이탈 라디칼, 과산화 라디칼, 히드록시 라디칼 등의 이차적인 물질이 차례로 발생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상기 이차적인 물질인 유해 라디칼이 상기 매체 수지의 고분자 사슬을 절단하므로, 고분자의 열화와 유해 라디칼의 발생이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면, 이들 연쇄적으로 발생한 유해 라디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또는/및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중의 텅스텐 원자에 환원적으로 작용하여, 새롭게 5가의 텅스텐을 생성한다. 이 5가의 텅스텐은 농청색을 발색하기때문에,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상기 5가의 텅스텐이 증가함에 따라 착색 농도가 높아진다고 추정된다.
또한, 매체 수지 중에 발생한 라디칼이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복합 텅스텐산화물 미립자를 착색시키는 메카니즘에 관해서는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 그러나 하나의 가설로서 상술과 같은 기구가 추측된다. 또한, 매체 수지의 고분자 골격의 라디칼화가,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착색에 관여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여기서, 이들 라디칼 생성 반응이나, 라디칼 생성의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연결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즉,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상기 착색 방지제를 존재시킴으로써, 이 착색 방지제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한 유해 라디칼을 포착한다. 이 유해 라디칼의 포착에 의해,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착색(새로운 5가의 텅스텐의 생성)을 방지하여,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자외선에 의한 색조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또는/및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와 착색 방지제를, 매체 수지 중에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자외선 조사에 따른 5가의 텅스텐의 생성이 억제되어 착색 변화가 억제되는 것을 실현하였다. 이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적외선 차폐 미립자 분산체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의, 상기 적외선 차폐 미립자 분산체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비율의 저하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4.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를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립자를 수지에 직접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유기용제 중에 분산제와 함께 열선 차폐 성분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분산액을 제작하고, 이 분산액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한 분말 원료를 제작하고, 수지 또는 수지 원료와 혼합한 성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바람직하다.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수지로의 분산 방법은, 미립자를 균일하게 수지에 분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립자를 분산제와 함께 임의의 용제에 분산한 분산액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한 분말 원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즈 밀, 볼 밀, 샌드 밀, 초음파 분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미립자를 분산제와 함께 임의의 용제에 분산하여 분산액으로 한다. 상기 분산액으로부터 감압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용제를 제거하여 분말 원료로 한다.
상기 분산액에 사용하는 분산 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립자의 분산성, 분산제의 용해성 등에 맞추어 선택 가능하며, 일반적인 유기용제가 사용 가능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 산이나 알칼리를 첨가하여 pH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분말 원료를 이용해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데는, 일반적으로는, 상기 분말 원료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하여, 리본 블렌더로 혼합하여, 텀블러, 나우타믹서, 헨셸 믹서, 슈퍼 믹서, 플레네터리 믹서 등의 혼합기, 및 반바리 믹서, 니더, 롤, 1축압출기, 2축압출기 등의 혼련기로 균일하게 용해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중에 미립자가 균일하게 분산한 혼합물을 조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혼합물을, 캘린더 가공법 등의 공지의 성형 방법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 수지에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한 혼합물을 조립 장치에 의해 일단 펠릿화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작할 수도 있다.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필름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수지 피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위에,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 혹은 산화 아연, 산화 세륨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를 각종 바인더에 용해시킨 도포액을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자외선 흡수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자외선 흡수막의 형성에 의해,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자외선 차폐효과도 갖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드데카디온산, 아제라인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시클로 헥사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본산을 사용하여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등의 지방족글리콜, 시크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방향족 글리콜을 사용한 것이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성분과 공중합 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용, 특성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가 매우 적합하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물로서는, 각종 무기, 유기 입자를 사용할 수가 있고, 그 입자 형상도 진(眞)구형상 입자, 응집 형상 입자, 박편 형상 입자, 염주 형상 입자 등 각종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입자로서 가교 폴리스틸렌, 가교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이미드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이루어지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 헤이즈(단, 필름두께:25㎛ 환산)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2.5% 이하면, 창 부착 용도나 각종 기기의 커버 용도 등에 사용하는데 충분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10∼3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상의 필름이면, 충분한 내후성능을 얻을 수 있고, 300㎛보다 얇은 필름이면, 가공성, 핸들링성이 뛰어나 창 부착 용도나 각종 기기의 커버용도 등에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상에,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로부터 이루어지는 역접착층을 다시 설치할 수도 있다.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비닐계 수지, 염소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각종 그래프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리콘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가 있고,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열선 차폐 성분으로서 근적외선 영역에 강한 흡수를 갖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필름상에 형성함으로써, 고비용의 물리 성막법이나 복잡한 접착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열선차폐 기능을 가지며, 또한, 가시광선 영역에 높은 투과성능을 가지며, 또한, 자외선에 의한 색조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몇 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용도에 맞추어 다른 투명기재에 적층 함으로써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로 함으로써, 다양한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적층체를 얻음에 따라, 상기 적층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소망하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5.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 평가
본 실시의 형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착색 변화의 억제 효과의 평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조제한다. 그리고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소정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조 변화에 기인하는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량을 측정한다.
(2)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 이외는, 상기 (1)과 같은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조제한다. 그리고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소정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조사에 의한 색조 변화에 기인하는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량을 측정한다.
(3) 상기 (1)에서 얻어진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량을 100%로 규격화했을 때의 (2)에서 얻어지는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값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자외선 변색 억제능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자외선 조사전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자외선 조사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50%이고,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자외선 조사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68% 이였다고 한다.
이 경우,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량 △은, 70%-50%=20%이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량 △ 은 70%-68%=2%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시광 투과율의 변화량 △을 100%로 규격화했을 때,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량 △은 10%로 산정된다.  
단, 상기 소정량의 자외선이란, 이와사키덴키사 제조 아이스-퍼 UV테스터(SUV-W131)을 사용하고, 100 mW/㎠의 강도에서 자외선을 2시간 연속 조사한 것이다(이 때, 블랙 패널 온도는 60℃로 하였다.).
상기 산정 방법에 의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중의 착색 방지제의 내자외선 변색 억제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량 △이 70% 이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착색 방지제의 내자외선 변색 억제능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어 실용상도 태양광선 등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기인하는 착색 변화가 억제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 1을 참조하면서 비교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실시예에서, 텅스텐 산화물의 미립자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체색(10°, 광원 D65), 및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의 가시광선 투과율 보통의 일사 투과율은, 히타치세이사쿠쇼 (주) 제조의 분광 광도계 U-4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일사 투과율은 열선 차폐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또, 헤이즈값은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버러터리사 제조 HR-200을 사용하여 JIS K 7105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H2WO4 50g을 넣은 석영 보트를 석영관 형상의 로에 세트하고, N2가스를 캐리어로 한 5% H2가스를 공급하면서 가열하고, 600℃의 온도에서 1시간의 환원 처리를 실시한 후, N2가스 분위기하 800℃에서 30분 소성하여 미립자 a를 얻었다. 이 미립자 a의 분체색은, L*가 36.9288, a*가 1.2573, b*가 -9.1526이고, 분말 X선 회절에 의한 결정상의 분류의 결과, W18O49의 결정상이 관찰되었다.
이어서, 상기 미립자 a5중량%, 고분자계 분산제 5 중량%, 메틸이소부틸케톤 90중량%를 칭량하고, 0.3㎜φ 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로 6시간 분쇄·분산처리함으로써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A액) 조제했다. 여기서, 분산액(A액) 내에 있어서의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오오츠카덴시(주) 입도 분포계 ELS-800으로 측정한 바, 86㎚이었다.
이어서, 얻어진 분산액(A액)을 감압 증류에 의해,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제거하여 분말 원료(A가루)를 얻었다. 분말 원료(A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a의 함유량이 1.2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블라인더로 혼합하여 2축압출기로 균일하게 용해 혼련한 후, T다이를 사용하여 두께 50㎛로 성형하고, 열선 차폐 미립자가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한 실시예 1에 관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1)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지름은 단면 TEM관찰 결과, 88㎚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65.1% 때의 일사 투과율은 47.5%이며, 헤이즈값은 1.5%이었다.
조성 분산 입자 지름 미립자 함유량 폴리에스테르필름두께 가시광 투과율 일사 투과율 헤이즈 비고
분산액중 필름중
(㎚) (㎚) (wt%) (㎛) (%) (%) (%)
실시예1 W18O49 86 88 1.2 50 65.1 47.5 1.5
실시예2 W18O49 86 62 0.2 300 64.3 47.3 1.4
실시예3 Cs0 .3WO3 86 62 1.2 50 77.5 48.3 1.4
실시예4 Cs0 .3WO3 86 62 6 10 77.5 48.3 1.4
실시예5 Cs0 .3WO3 86 62 0.2 300 78.1 48.8 1.2
비교예1 Cs0 .3WO3 86 0.09 300 87.1 75.1 1
비교예2 Cs0 .3WO3 86 10.1 10 70.1 37.1 1 마모 강도가 낮다
(실시예 2)
분말 원료(A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a의 함유량이 0.2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두께 300㎛로 성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에 관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2)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단면 TEM관찰 결과 62㎚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64.3% 때의 일사 투과율은 47.3%이며, 헤이즈값은 1.4%이었다.
(실시예 3)
H2WO4 50g과 Cs(OH)2 17.0g(Cs/W=0.3 상당)을 메노우 유발로 충분히 혼합한 분말을 N2가스를 캐리어로 한 5%H2가스를 공급하면서 가열하고, 600℃ 온도에서 1시간의 환원 처리를 실시한 후, N2가스 분위기하에서 800℃에서 30분 소성하여 미립자 b(조성식은 Cs0 .3 WO3, 분체색의 L*이 35.2745, a*가 1.4918, b*가 -5.3118)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미립자 b5중량%, 고분자계 분산제 5 중량%, 메틸이소부틸케톤 90 중량%를 칭량하고, 0.3mmφ ZrO2 비즈를 넣은 페인트 쉐이커로 6시간 분쇄하여 분산처리를 함으로써,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분산액(B액) 조제하였다. 여기서, 분산액(B액) 내에 있어서의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을 오오츠카덴시(주) 입도 분포합계 ELS-800으로 측정한 바 86㎚이었다.
이어서, 얻어진 분산액(B액)을 감압 증류에 의해,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제거하여 분말 원료(B가루)를 얻었다. 분말 원료(B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b의 함유량이 1.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블렌더로 혼합하여 2축압출기로 균일하게 용해 혼련한 후, T다이를 사용하여 두께 50㎛으로 성형하여, 열선 차폐 미립자가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한 실시예 3에 관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3)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단면 TEM관찰 결과, 62㎚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77.5% 때의 일사 투과율은 48.3%이며, 헤이즈값은 1.4%이었다.
(실시예 4)
분말 원료(B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b의 함유량이 6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두께 10㎛로 성형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에 관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4)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단면 TEM관찰 결과, 62㎚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77.5% 때의 일사 투과율은 48.3%이며, 헤이즈값은 1.4%이었다.
(실시예 5)
분말 원료(B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b의 함유량이 0.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두께 300㎛로 성형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에 관한 열선차폐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5)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열선 차폐 수지 시트재 중의 상기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단면 TEM 관찰 결과, 62㎚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78.1% 때의 일사 투과율은 48.8%이며, 헤이즈값은 1.2%이었다.
(비교예 1)
분말 원료(B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b의 함유량이 0.09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두께 300㎛로 성형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6)을 제작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87. 1% 때의 일사 투과비율은 75.1%이며, 헤이즈값은 1.0%이었다.
미립자 b의 함유량이 0.09 중량%로 적기 때문에, 일사 투과율이 높고, 실용적인 열선 차폐 특성이 발휘되어 있지 않다.
(비교예 2)
분말 원료(B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b의 함유량이 10.1 중량%이 되도록 첨가하고, 두께 10㎛로 성형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열선 차폐 폴리 에스테르필름(시료 7)을 제작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70. 1% 때의 일사 투과율은 37.1%로, 헤이즈값은 1.0%이었다.
미립자 b의 함유량이 10.1 중량%로 많기 때문에,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마모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여, 손톱으로 그으면 간단하게 흠집이 생겨 실용적이지 않았다.
(실시예 6)
분말 원료(A가루)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미립자 a의 함유량이 0. 2 중량%, 인계 착색 방지제인 레졸시놀비스(디페닐-인산염)[아지노모토(주) 제조, 상품명:레오 포스 RDP]를 0.4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두께 300㎛로 성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에 관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시료 8)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중의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입자 지름은, 단면 TEM 관찰 결과 64㎚이었다. 가시광선 투과율 65.4% 때의 일사 투과율은 48.3%이며, 헤이즈값은 1.5%이었다.
이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자외선을 2시간 조사한 후, 광학 특성을 측정한 바, 가시광선 투과율은 64.0%, 헤이즈값은 1.5%이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시광 투과율의 저하량은 1.4%로 작고, 색조 변화도 적다는 것을 알았다. 또, 상기자외선 조사 후도, 헤이즈값은 변화하지 않으며,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도 같이 자외선을 2시간 조사하여,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량 △을 산정한바 6.8%가 되고, 착색 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충분한 내자외선 변색 억제능을 갖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2시간의 자외선 조사는, 이와사키덴키사 제조 아이스-퍼 UV테스터(SUV-W131)을 사용하고, 100 mW/㎠의 강도로 연속 조사하였다(이 때, 블랙 패널 온도는 60℃로 하였다).
본 발명의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를 포함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일반식 WOX(2.45≤x≤2.999)로 나타내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일반식 MYWOZ(0.1≤y≤0.5, 2.2≤z≤3.0)으로 나타내 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로부터 구성되며,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직경이 1㎚ 이상, 200㎚ 이하이며, 상기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이 0.1wt%∼10wt%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0㎛∼300㎛이다. 따라서, 뛰어난 가시광선 투과성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높은 열선 차폐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른 수지 기재에 적층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가 얻어지며, 차량용, 건축용, 항공기용의 창재 등에 사용되어 일사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염가의 재료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Claims (8)

  1.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분산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가, 일반식 WOX(단, 2.45≤x≤2.999)로 나타내는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 및/또는, 일반식 MYWOZ(단, 0.1≤y≤0.5, 2.2≤z≤3.0)으로 나타내고, 또한 육방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이며,
    상기 미립자의 평균 분산 입자 지름이 1㎚ 이상, 200㎚ 이하이며,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0.1wt% 이상, 10wt% 이하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텅스텐 산화물 미립자에 포함되는 M이, Cs, Rb, K, Tl, In, Ba, Li, Ca, Sr, Fe, Sn, Al, Cu 중 1 종류 이상의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착색 방지제가 함유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색 방지제의 함유량이, 0.1wt% 이상, 20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착색 방지제가, 인계 착색 방지제, 아미드계 착색 방지제, 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아민계 착색 방지제, 힌다드페놀계 착색 방지제, 유황계 착색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착색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방지제가 인계 착색 방지제이며, 또한, 포스폰산기, 인산기, 포스폰산에스테르기, 포스핀기 중 어느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청구항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한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60% 이상 70% 이하 로 하고,
    상기 착색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 이외는,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동일한 조합성을 갖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강도가 100 mW/㎠의 자외선을 2시간 조사한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율을 100%로 규격화하였을 때,
    상기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동일 강도의 자외선을 동일 시간 조사한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다른 투명기재에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KR1020097024704A 2007-04-26 2008-04-23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Active KR101519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17594 2007-04-26
JP2007117594A JP5245284B2 (ja) 2007-04-26 2007-04-26 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
PCT/JP2008/057870 WO2008136328A1 (ja) 2007-04-26 2008-04-23 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405A true KR20100017405A (ko) 2010-02-16
KR101519170B1 KR101519170B1 (ko) 2015-05-11

Family

ID=3994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704A Active KR101519170B1 (ko) 2007-04-26 2008-04-23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129630A1 (ko)
EP (1) EP2151468B1 (ko)
JP (1) JP5245284B2 (ko)
KR (1) KR101519170B1 (ko)
CN (1) CN101679650B (ko)
AU (1) AU2008246758B2 (ko)
BR (1) BRPI0810605B1 (ko)
ES (1) ES2657691T3 (ko)
WO (1) WO20081363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577B1 (ko) * 2021-12-20 2022-10-28 주식회사 플러스 열차폐 성능이 향상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009A1 (ja) * 2008-12-17 2010-06-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可撓性樹脂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0274585A (ja) * 2009-05-29 2010-12-09 Bridgestone Corp 熱線遮蔽性積層体、及び熱線遮蔽性合わせガラス
DE102009058200A1 (de) * 2009-12-15 2011-06-16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mer-Zusammensetzung mit Wärme-absorbierenden Eigenschaften und hoher Stabilität
JP5321916B2 (ja) * 2010-03-05 2013-10-2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
JP5344261B2 (ja) * 2011-04-14 2013-11-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BR112014001449A2 (pt) 2011-07-21 2017-07-18 Colormatrix Holdings Inc materiais poliméricos
JP5942466B2 (ja) * 2012-02-22 2016-06-2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複合タングステン酸化物微粒子分散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線遮蔽成形体並びに熱線遮蔽積層体
EP2948504B1 (en) * 2013-01-23 2019-08-28 Colormatrix Holdings, Inc. Polymeric materials
KR101497112B1 (ko) * 2013-07-18 2015-03-03 이태훈 열선 차폐 필름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열선 차폐 필름 및 열선 차폐 필름의 제조 방법
TWI503346B (zh) * 2014-06-11 2015-10-11 Zirco Applied Materials Co Ltd 近紅外光屏蔽膜及近紅外光屏蔽膜之製造方法
TWI617604B (zh) * 2015-03-13 2018-03-11 Infrared absorbing polyester masterbatch, infrared absorbing polyester preform and polyester bottle
CN109071931A (zh) * 2016-01-28 2018-12-21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聚碳酸酯树脂组合物、热线屏蔽成形体和热线屏蔽叠层体
TWI657932B (zh) * 2018-04-13 2019-05-01 億高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複合式隔熱結構
GB2574075B (en) * 2018-09-21 2020-07-08 Keeling & Walker Ltd Near infra-red absorbing material and uses
CN110379629A (zh) * 2019-06-28 2019-10-25 淮阴工学院 太阳能电池涂层及其在提高染料敏化太阳能电池光电转换效率中的应用
CN111960695A (zh) * 2020-07-10 2020-11-20 安徽东耀建材有限公司 一种低辐射阻隔紫外线型中空玻璃
CN114014365A (zh) * 2021-10-13 2022-02-08 宣城市晶纳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纳米氧化钨分散液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7437A (ja) 1985-06-04 1986-12-08 豊田合成株式会社 熱線反射樹脂ガラス
JPH02173060A (ja) 1988-12-26 1990-07-04 Teijin Chem Ltd 熱線遮断板状体
JPH0578544A (ja) 1991-09-18 1993-03-30 Kuraray Co Ltd 熱線反射板状体
ES2267298T5 (es) * 1998-10-30 2010-03-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uesto y fibras de resina de poliester.
JP4187999B2 (ja) 2002-05-13 2008-11-2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9779B2 (ja) * 2002-07-31 2009-10-21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透明樹脂成形体と熱線遮蔽透明積層体
US20040185281A1 (en) * 2003-03-17 2004-09-23 Toray Saehan Inc. Polyester color film
AU2004282041B2 (en) * 2003-10-20 2010-09-3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Infrared shielding material microparticle dispersion, infrared shield, process for producing infrared shielding material microparticle, and infrared shielding material microparticle
CN100368331C (zh) * 2004-03-16 2008-02-13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日照遮蔽用层合结构体
JP4666957B2 (ja) * 2004-06-16 2011-04-06 株式会社Adeka 耐候性の改善されたポリエステル樹脂製容器
US20060110557A1 (en) * 2004-09-03 2006-05-25 Zhiyong Xia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lic tungsten particles
JP4355945B2 (ja) * 2004-11-08 2009-11-0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4182357B2 (ja) * 2005-01-17 2008-11-1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積層体、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建築構造体
JP4678225B2 (ja) * 2005-03-31 2011-04-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分散体および赤外線遮蔽体
JP4912061B2 (ja) * 2006-07-11 2012-04-04 日本カーリット株式会社 複合熱線遮蔽フィルム
US20080160299A1 (en) * 2006-12-27 2008-07-03 Achilles Corporation Heat shielding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577B1 (ko) * 2021-12-20 2022-10-28 주식회사 플러스 열차폐 성능이 향상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6328A1 (ja) 2008-11-13
AU2008246758A1 (en) 2008-11-13
US20100129630A1 (en) 2010-05-27
EP2151468A4 (en) 2012-03-21
AU2008246758B2 (en) 2014-05-08
CN101679650B (zh) 2013-06-19
CN101679650A (zh) 2010-03-24
JP2008274054A (ja) 2008-11-13
EP2151468A1 (en) 2010-02-10
BRPI0810605A2 (pt) 2014-10-21
KR101519170B1 (ko) 2015-05-11
ES2657691T3 (es) 2018-03-06
BRPI0810605B1 (pt) 2018-09-25
EP2151468B1 (en) 2017-11-29
JP5245284B2 (ja)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7405A (ko)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열선 차폐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KR100692775B1 (ko) 일사 차폐용 적층 구조체
EP3100988B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method for fitting laminated glass
EP2883848B1 (en)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ounting laminated glass
JP5168449B2 (ja) 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分散体および赤外線遮蔽体
KR101320228B1 (ko) 고내열성 마스터 배치, 열선 차폐 투명 수지 성형체, 및 열선 차폐 투명 적층체
EP3318610B1 (en) Heat-ray shielding film, heat-ray shielding laminated transparent base material, automobile, building, dispersion, mixed composition, dispersion production method, dispersion solution, and dispersion solution production method
EP2213490A1 (en) Solar-radiation-shielding material for vehicle window and window for vehicle
WO2011074619A1 (ja) 近赤外線吸収色素及び近赤外線吸収組成物
WO2012080397A2 (de) Polymer-zusammensetzung mit wärme-absorbierenden eigenschaften und hoher stabilität gegen bewitterung
WO2012080395A1 (de) Polymer-zusammensetzung mit wärme-absorbierenden eigenschaften und hoher stabilität gegen bewitterung
JP2008044609A5 (ko)
JP2008044609A (ja) 車窓用日射遮蔽体及び車両用窓
CN111315575A (zh) 装饰片及使用其的装饰材料
EP3114174B1 (de) Mehrschichtaufbau mit gutem uv- und kratzschutz
WO2013079477A1 (de) Mehrschichtkörper aus polycarbonat mit tiefenglanzeffekt
JP5257381B2 (ja) 近赤外線遮蔽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並びに、その積層体
JPWO2019093526A1 (ja) 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液、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386986B2 (ja) 無機系微粒子含有組成物とその用途および分散剤
JP5898397B2 (ja) 近赤外線遮蔽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近赤外線遮蔽ポリエステル樹脂積層体、および、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2082326A (ja) 高耐熱性熱線遮蔽成分含有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高耐熱性熱線遮蔽透明樹脂成形体、並びに高耐熱性熱線遮蔽透明積層体
KR20210116428A (ko) 표면 처리 적외선 흡수 미립자, 표면 처리 적외선 흡수 미립자 분말, 당해 표면 처리 적외선 흡수 미립자를 사용한 적외선 흡수 미립자 분산액, 적외선 흡수 미립자 분산체, 및 적외선 흡수 기재
CN106661293A (zh) 热射线遮蔽膜、热射线遮蔽用夹层透明基材、汽车、建造物
JP5321916B2 (ja) 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熱線遮蔽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積層体
JP2023020318A (ja) 合わせ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