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8910A -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910A
KR20100018910A KR1020080077647A KR20080077647A KR20100018910A KR 20100018910 A KR20100018910 A KR 20100018910A KR 1020080077647 A KR1020080077647 A KR 1020080077647A KR 20080077647 A KR20080077647 A KR 20080077647A KR 20100018910 A KR20100018910 A KR 2010001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sb terminal
main body
unit
anten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중
윤형국
박진아
이천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910A/ko
Publication of KR2010001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91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4Wireless link with a computer system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ceiver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포트가 형성된 주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주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USB단자를 커버하는 덮개부에 안테나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덮개부의 안테나부와 USB단말기의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USB 단말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안테나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광대역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USB 단말기, 광대역, UWB, CPW 안테나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USB Terminal Hav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USB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USB 포트가 형성된 주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주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컴퓨터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외장형 기기를 부착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별도의 메모리부를 추가하거나, 추가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주변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변기기를 컴퓨터 등과 연결하는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가운데 하나인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통신용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단말기(100)는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는 본체부(101), 본체부(101)의 일단에 형성된 USB단자(102), 상기 USB단자(102)를 보 호하기 위해 이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01)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비된 덮개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1) 내에는, USB단자(102)와 무선통신부(105)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USB연결제어부(104), USB단자가 결합되는 주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105), 상기 주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발신하거나 그 반대로 수신된 전자기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안테나부(106)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의 서비스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 상호 간 커플링 현상으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다중 대역 안테나를 설계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다중 대역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廣)대역 특성을 갖는 안테나를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USB 단말기 내부에 안테나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야 하나, USB 단말기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USB 단말기 내의 안테나부가 상기 USB 단말기의 본체부 내에 형성되는 경우,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테나부를 형성할 때 상기 본체부의 크기에 따라 형성하고자 하는 안테나부의 크기에 제한을 받는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는 주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연결된 제1연결부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위치에 형성되며 주장치에 형성된 USB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USB단자, 상기 USB단자를 커버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를 갖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1위치와 다른 상기 본체부의 제2위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USB 단자가 상기 주장치에 형성된 USB 포트와 연결될 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회동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표면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2위치에 결합될 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열되며 제1면상에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안테나 급전선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급전선과 이격되어 상기 안테나 급전선의 양측에 접지부가 형성된 유전체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USB단말기가 USB포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주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USB 단말기 내부에 구성되는 안테나부의 방사부를 USB 단말기의 덮개부에 형성함으로써, 안테나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광대역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를 USB 단말기에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SB단말기(200)는 주장치(201)와 외부장치(미도시) 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05)와 상기 무선통신부(205)에 연결된 제1연결부(212)가 구비된 본체부(202)와, 상기 본체부(202)의 제1위치(207)에 형성되며 주장치(201)에 형성된 USB포트(201-1)와 연결하기 위한 USB단자(203)와, 상기 USB단자(203)를 커버하는 덮개부(204)와, 상기 덮개부(204)에 형성되며 무선으로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사부(211)와 상기 방사부(2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10)를 갖는 안테나부(209)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204)가 상기 제1위치(207)와 다른 상기 본체부의 제2위치(208)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212)가 상기 제2연결부(210)와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USB 단자(203)가 상기 주장치(201)에 형성된 USB 포트(201-1)와 연결될 시, 상기 안테나부(209)는 상기 제1연결부(212) 및 상기 제2연결부(210)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부(2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장치(201)가 상기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210)는 스트립라인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방사부(211)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제1연결부(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사부(211)의 일부분이 상기 제2연결부(210)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212)가 상기 방사부(211)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USB단말기(200)는 USB단자(203)가 주장치(201)에 형성된 USB포 트(201-1)에 삽입되어 주장치(201)에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USB단자 및 포트(203, 201-1)를 통하여 상기 USB 단말기(200)는 상기 USB단말기(200)가 결합되는 주장치(201)와 외부장치(미도시) 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USB단말기(200)의 본체부(202) 내에는 무선통신부(205)와 USB연결제어부(206)가 구성된다. 상기 USB연결제어부(206)는 주장치(201)와 무선통신부(205)가 USB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205)는 블루투스, UWB 등 다양한 방식에 따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05)는 제1연결부(212) 및 제2연결부(210)를 통하여 안테나부(209)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부(209)는 상기 무선통신부(205)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발신하거나 그 반대로 수신된 전자기파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209)를 USB단말기의 덮개부(204)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안테나부(209)를 덮개부(204)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안테나부가 본체부 내에 실장됨으로써 안테나부가 실장되는 크기에 비례하여 본체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4)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부(209)를 형성함으로써 본체부(202)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광대역을 이용하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에 걸쳐 안테나의 특성을 발휘하여야 하는데, 고주파뿐만 아니라 저주파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광대역 안테나를 구현 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UWB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광대역에 대한 안테나 특성도 반드시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광대역 특성을 갖는 안테나를 상기 본체부(202) 내에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202)의 크기도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209)를 상기 덮개부(204)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209)는 상기 본체부(202)의 외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02)의 크기 또는 모양에 제한을 적게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상기 본체부(202)가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04)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본체부(20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부(204)의 내면에 소정의 너비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나 상기 USB단자(203)의 외면에 연접하여, 상기 덮개부(204)와 상기 본체부(202) 사이에 결합력이 생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덮개부(204) 또는 상기 본체부(202)의 외면에 걸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상기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4)와 상기 본체부(202)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덮개부(204)와 상기 본체부(202)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212)는 상기 본체부(20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210)는 상기 덮개부(20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4)가 상기 제2위치(208)에 결합될 시 상기 제1연결부(212)와 상기 제2연결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USB 단말기는 상기 덮개부(204) 내에 안테나부(209)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부(209)의 방사부(211) 및 제2연결부(210)가 상기 덮개부(204)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02)의 외주면에 제1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4)가 상기 제1위치(207)와 다른 상기 본체부의 제2위치(208)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212)가 상기 제2연결부(210)와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USB 단자(203)가 상기 주장치(201)에 형성된 USB 포트(201-1)와 연결될 시, 상기 안테나부(209)는 상기 제1연결부(212) 및 상기 제2연결부(210)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부(2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장치(201)가 상기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SB 단말기는 본체부(302)와 덮개부(30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302)의 내부에는 제1면상에 상기 제1연결부(305)와 상기 무선통신부(308)를 연결하는 안테나 급전선(306)과, 상기 안테나 급전선(306)과 이격되어 상기 안테나 급전선(306)의 양측에 접지부(307)가 형성된 유전체 블록이 포함되어 CPW(Coplanar Waveguide) 급전 안테나가 형성된 USB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블록은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인쇄 회로 기판(PCB) 상부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유전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CPW 급전 안테나가 형성된 USB단말기는 주장치와 외부장치(미도시) 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308)가 구비된 본체부(302)와, 상기 본체부(302)의 제1위치에 형성되며 주장치에 형성된 USB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USB단자와, 상기 USB단자를 커버하는 덮개부(301)와, 상기 덮개부(301)에 형성되며 무선으로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사부(303)와 상기 방사부(30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304)를 갖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01)가 상기 제1위치와 다른 상기 본체부의 제2위치에 결합될 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2연결부(304)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302)의 제1연결부(3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부(303)가 무선통신부(308)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USB 단자와 연결되는 주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304)는 스트립라인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방사부(303)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제1연결부(3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사부(303)의 일부분이 상기 제2연결부(304)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305)가 상기 방사부(303)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USB 단말기에 구현된 CPW 급전 안테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비해 분산이 적고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접지면과 동일면에 급전 구조를 구형함으로써 급전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CPW 구조는 급전선과 접지부가 동일 평면에 존재하므로, 표면에 형성되는 소자들이 모두 상부면에 배치되어 편리하고, 별도의 관통홀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관통홀에 의한 기생효과를 줄일 수 있는 장점 도 있다. 이러한 CPW 급전 안테나는 수GHz 에서 수십GHz의 회로에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 UWB 통신 시스템 등에도 적합한 안테나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USB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USB 단말기의 덮개부(401)는 회동축(400)에 의해 본체부(402)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402)의 표면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제1위치(404)에서 제2위치(405)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401)는 본체부(402)에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면판이 형성되고 상기 면판에 회동축(400)이 부가되어 상기 본체부(402)와 연결되어 USB단자(403)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401)의 이동에 따라 USB단자(403)가 형성된 제1위치(404)와 다른 제2위치(405)에 덮개부(40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위치(404) 및 제2위치(405)가 형성된 본체부(402)의 외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덮개부(401)에는 안테나부(406)가 형성되어 본체부(402)와 결합하여 본체부(402) 내의 무선통신부 및 USB연결제어부와 연결되어 USB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주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USB 단말기와 같이, 상기 본체부(402) 내에 배열되며 제1면상에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안테나 급전선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급전선과 이격되어 안테나 급전선의 양측에 접지부가 형성된 유전체 블록을 포함하는 CPW 급전 안테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부는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 되지 않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방사부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 및 특성에 따라 양측면이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사부는 복수개의 방사체가 3차원 형상으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부의 일부가 제거되어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사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방사부와 전자기 커플링(Electromagnetic Coupling)을 형성하는 방사체들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USB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200: USB 단말기 201: 주장치
202: 본체부 203: USB단자
204: 덮개부 207: 제1위치
208: 제2위치 209: 안테나부
210: 제2연결부 211: 방사부
212: 제1연결부 307: 접지부
400: 회전축

Claims (4)

  1. 주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연결된 제1연결부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위치에 형성되며 주장치에 형성된 USB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USB단자;
    상기 USB단자를 커버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를 갖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1위치와 다른 상기 본체부의 제2위치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USB 단자가 상기 주장치에 형성된 USB 포트와 연결될 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회동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표면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제2위치에 결합될 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열되며 제1면상에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안테나 급전선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급전선과 이격되어 상기 안테나 급전선의 양측에 접지부가 형성된 유전체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KR1020080077647A 2008-08-07 2008-08-07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Ceased KR20100018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47A KR20100018910A (ko) 2008-08-07 2008-08-07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47A KR20100018910A (ko) 2008-08-07 2008-08-07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10A true KR20100018910A (ko) 2010-02-18

Family

ID=4208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647A Ceased KR20100018910A (ko) 2008-08-07 2008-08-07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9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557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글
WO2018079932A1 (ko) * 2015-10-27 2018-05-03 주식회사 리움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US10637147B2 (en) 2015-09-29 2020-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deband antennas
KR102591875B1 (ko) * 2022-09-06 2023-10-23 주식회사 대연글로벌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557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글
US10637147B2 (en) 2015-09-29 2020-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deband antennas
WO2018079932A1 (ko) * 2015-10-27 2018-05-03 주식회사 리움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KR102591875B1 (ko) * 2022-09-06 2023-10-23 주식회사 대연글로벌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6196B1 (en) Multi-antenna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20070152891A1 (en) Modem card with balanced antenna
EP3905441A1 (en) Antenna structure and high-frequency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112886194B (zh) 天线结构
US9350082B2 (en) Dual-band monopole coupling antenna
US8912958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TWI247498B (en) Connector unit
WO2001029925A1 (en) Expansion car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antenna structure for the same
CN105027351A (zh) 用于无线通信的装置
US20130058058A1 (en) Usb plug and usb modem
JP2006067254A (ja) 無線通信装置
KR20100018910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단말기
TWI782851B (zh) 天線結構
JP2013222271A (ja) 電子機器および変換アダプタ
CN103296425B (zh) 天线装置
CN218123712U (zh) 天线系统
CN112582790A (zh) 天线系统
CN102800948A (zh) 天线及无线通讯装置
CN202750237U (zh) 无线网卡装置
JP2006121633A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
KR102591875B1 (ko)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usb
CN114696077B (zh) 移动装置
US20170365928A1 (en) Broadband notch radiator
CN223245886U (zh) 天线结构
TWM463429U (zh) 天線模組及無線收發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