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1046A -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046A
KR20100021046A KR1020080079749A KR20080079749A KR20100021046A KR 20100021046 A KR20100021046 A KR 20100021046A KR 1020080079749 A KR1020080079749 A KR 1020080079749A KR 20080079749 A KR20080079749 A KR 20080079749A KR 20100021046 A KR20100021046 A KR 20100021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control
screen
offs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740B1 (ko
Inventor
히데시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7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7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7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other obstacle sensor information, e.g. using RADAR/LIDAR/SONAR sensors for estimating risk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a re-scaling of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위에서 바라본 부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의 화면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장애물 존재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보다 넓게 확대하여 보여줌으로써, 차량이 장애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4개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화상처리수단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의하여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성의 처리 과정이 진행되어, 부감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수단에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으로부터 부감이미지를 나타내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차량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정보들을 수신하여, 차량의 부감이미지를 옵셋 제어하는 단계와; 옵셋 제어된 부감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수단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표시장치, 부감이미지, 차량 마크, 제어 방법, 화상처리, 운전 정보, 장애물

Description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위에서 바라본 부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의 화면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장애물 존재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보다 넓게 확대하여 보여줌으로써, 차량이 장애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상 시점에서 차량을 부감(상공으로부터 내려다 본 상태)시킨 화면을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주차시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부감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도 10 참조)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임의 위치에 설치된 스위치 및 버튼 전환 조작을 함으로써,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카메라의 시점(視點)을 백뷰(Back view: 후방의 시야 확보)와, 파노라마 뷰(Panorama view: 후방 전체의 시야 확보)와, 코너 뷰(Corner view : 좌우 양사이드 시야 확보) 등으로 전환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도 11 참조)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카메라의 촬상 범위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만, 차량의 속도에 따라 카메라의 촬상범위가 신속하게 전환되지 못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이 카메라의 촬상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에 운전자가 표시장치의 화면을 주시하며 운전 조작을 실시했을 때, 차량의 진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즉, 표시장치의 화면만을 보고 차량의 주행(예를 들어, 후진)을 할 경우, 재빨리 표시장치의 화면에 장애물이 나타나야 하는데, 카메라의 촬상범위가 장애물이 있는 위치로 신속하게 전환되지 못함에 따라, 장애물과의 접촉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운전 조작중에 운전자가 카메라의 시점 전환 조작을 별도로 취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 조작의 주의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좁은 주차장에서는 카메라의 시점 전환을 차량의 어느쪽으로 전환 조작하면 좋은지 판단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한 부감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어느 부분이 장애물과 접촉될 위험성이 가장 높은가를 순간에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부감 표시장치가 차량을 위에서 바라본 것과 같이 보여주는 경우, 차량의 주위에 장애물 등이 존재했을 때, 그 장애물이 무엇인지, 장애물의 높이가 어 느 정도인지 특정하기 어렵고(예를 들면, 사람의 머리를 위에서 보면 타원 형상으로 표시됨), 특히 차량의 위에서 바라본 영상만으로는 노면과 수평 방향에 있는 영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좁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을 위에서 바라본 부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의 화면에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장애물 존재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보다 넓게 확대하여 보여줌으로써, 차량의 주행 방향에 장애물 확인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이 장애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화상취득수단과; 상기 화상취득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성 처리를 하여, 부감 화상으로 만들어내는 화상처리수단과; 차량의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정보취득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으로부터 부감 화상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각각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부감이미지를 옵셋 제 어하는 제어수단과; 옵셋 제어된 부감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를 감지하는 조타각 감지센서와, 차량의 변속단을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센서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4개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화상처리수단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의하여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성의 처리 과정이 진행되어, 부감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수단에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으로부터 부감이미지를 나타내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차량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정보들을 수신하여, 차량의 부감이미지를 옵셋 제어하는 단계와; 옵셋 제어된 부감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수단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거동정보로서, 기어위치 감지센서에서 기어 변속단을 "D(전진)"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기어 변속단이 "R(후진)"인 경우에는 차량 마크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방향에 대한 화면이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동정보로서, 조타각 감지센서에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를 감지하 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차량의 주행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역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동정보로서, 차속센서에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축소 표시되는 동시에 그 주변영역이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동정보로서, 차속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서 차량의 속도 및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부감하는 시점(視點)이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되고,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가속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도 부감하는 시점이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동정보로서, 기어위치 감지센서에서 기어 변속단을 "R(후진)"으로 감지하고, 동시에 조타각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조향 회전각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위쪽으로 이동하는는 동시에 주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역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정보 및 상황에 따라,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부감 이미지)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옵셋 제어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역이 확대 표시되어, 장애물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주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어 위치,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도, 차속 및 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역이 표시수단에 확대 표시되어, 주행 방향에 대해서 보다 광범위한 노면 상태 및 장애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표시장치는 첨부한 도 1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취득수단(10)과, 화상처리수단(20)과, 차량정보취득수단(50), 제어수단(30)과, 표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상취득수단(10)은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카메라이다.
상기 화상처리수단(20)은 일종의 영상처리용 제어기(FPGA, ASIC를 포함하는 ECU)로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 성 등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부감 화상(차량을 위에서 바라본 이미지)으로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50)은 차량의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 정보를 제공하는 각종 센서류로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를 감지하는 조타각 감지센서(52)와, 차량의 변속단을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센서(56)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54), 및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30)은 메인제어기로서, 상기 화상처리수단(20)으로부터 부감 화상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50)으로부터 각각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정보(스티어링 휠 조작 각도 신호, 차속 신호, 가속도 신호, 기어 위치 신호 등)를 수신하여, 차량의 부감이미지를 옵셋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수단(40)은 차량의 실내 전면쪽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옵셋 제어된 부감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복수(4개 이상)의 카메라인 화상취득수단(10)으로부터 찰영된 화상이 화상처리수단(20)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상기 화상처리장치(20)에 의하여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성 등의 처리 과정이 진행되어, 부감이미지( Top view image)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차량의 부감이미지, 그리고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50)으로부터 기어 변속단 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과, 가속도와, 차속이 제어수단(3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30)의 옵셋 제어가 이루어지고, 차량 부감이미지 및 그 주변영역이 운전자가 볼 수 있게 표시수단(40)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여러가지 옵셋 제어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기어 변속단 위치에 따른 옵셋 제어 과정
상기 기어위치 감지센서에서 기어 변속단을 "D(전진)"으로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반면에 기어 변속단이 "R(후진)"인 경우에는 차량 마크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첨부한 도 3의 좌측도면과 같이, 상기 차량의 기어 변속단이 "D(전진)"이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차량의 전진방향에 대한 화면이 확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진방향에 있던 장애물이 조기에 발견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첨부한 도 3의 우측도면과 같이 차량의 기어 변속단이 "R(전진)"이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차량의 후진방향에 대한 화면이 확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후진방향에 있던 장애물이 조기에 발견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어 변속단에 따라 표시수단의 화면에 차량 마크를 이동시키고,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한 영상을 보다 넓게 보여줌으로써, 차량이 장애물과 접촉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에 따른 옵셋 제어 과정
상기 조타각 감지센서에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수단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의 횡방향 진행 방향에 대한 표시수단의 화면 영역을 확대하는 옵셋 제어를 실시한다.
첨부한 도 4의 위쪽도면과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가 시계방향 회전각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차량의 우회전 방향에 대한 화면이 확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우회전 방향에 있던 장애물이 조기에 발견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첨부한 도 4의 아래쪽도면과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가 시계반대방향 회전각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차량의 좌회전 방향에 대한 화면이 확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좌회전 방향에 있던 장애물이 조기에 발견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 회전수가 클수록 차량 마크의 이동량도 증가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위치이면 차량 마크는 이동되지 않는다.
실시예3: 차속 및 가속도에 따른 옵셋 제어 과정
차속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서 차량의 속도 및 가속도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시점좌표 및 차량 마크에 대한 옵셋 제어를 실시한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셋 제어에 의하여, 속도 및 가속도가 증가하면 직진 상태의 차량을 옆에서 본 가상 시점 위치(좌표)가 이동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이때 시점 좌표는 낮게 제어되고,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마크는 주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 및 가속도가 증가하면, 차량 마크의 크기가 축소되며, 특히 가속도가 큰 경우는 속도에 부합하여 차량 크기를 현재 상태보다 1단 작게 축소시킨다.
따라서, 차속과 가속도 상태에 따라 시점위치를 낮게 하고, 차량 마크를 축소하면서 차량의 주위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장애물이 조기에 발견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4: 복합적인 패턴에 따른 옵셋 제어 과정
복합적인 패턴이란, 차량을 "T" 형 노면에 후진 주차시킬 경우, 차속센서 및 조타각 센서 및 기어위치 감지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제어수단에 입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복합적인 옵셋 제어를 수행하는 바, 그 일례는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변속단이 "R(후진)"이면,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따라 차량 마크가 주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주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축소 표시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시야가 표시수단의 화면에 보다 넓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장애물이 조기에 발견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5: 특수한 사례에 대한 옵셋 제어 과정
특수한 사례란, 차량의 주행방향 뿐만이 아니라, 선회 동작시, 주행방향의 역측에도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을 말한다.
특수한 사례에 대한 하나의 례로서, 후퇴해 주차할 때, 차량 전단부가 장애물과 접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증가하면서 차량이 후진할 때, 차량의 전단부가 그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궤적을 갖기 때문이다.
즉, 첨부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상태[차량 속도:10/h, 기어 위치=R, 스티어링 휠 각도:-270]의 경우, 차량의 전단부가 부풀어 오른 궤적에 의하여 장애물에 닿을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서 차량 마크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좌측공간을 좀 더 확대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자의 주차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표시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표시장치의 표시수단 화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옵셋 제어 실시예를 설명하는 화면,
도 10 및 도 11은 종래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부감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취득수단 20 : 화상처리수단
30 : 제어수단 40 : 표시수단
50 : 차량정보취득수단 52 : 조타각 감지센서
54 : 차속센서 56 : 기어위치 감지센서

Claims (8)

  1.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화상취득수단과;
    상기 화상취득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성 처리를 하여, 부감 화상으로 만들어내는 화상처리수단과;
    차량의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정보취득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으로부터 부감 화상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각각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부감이미지를 옵셋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옵셋 제어된 부감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취득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를 감지하는 조타각 감지센서와, 차량의 변속단을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센서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3. 복수(4개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화상처리수단에 입력되는 단 계와;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의하여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일그러짐 보정, 시점 변환, 화상 합성의 처리 과정이 진행되어, 부감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수단에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으로부터 부감이미지를 나타내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차량정보취득수단으로부터 운전 조작에 따른 거동정보들을 수신하여, 차량의 부감이미지를 옵셋 제어하는 단계와;
    옵셋 제어된 부감이미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수단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동정보로서, 기어위치 감지센서에서 기어 변속단을 "D(전진)"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기어 변속단이 "R(후진)"인 경우에는 차량 마크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방향에 대한 화면이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동정보로서, 조타각 감지센서에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차량의 주행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역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동정보로서, 차속센서에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축소 표시되는 동시에 그 주변영역이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동정보로서, 차속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서 차량의 속도 및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값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부감하는 시점(視點)이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되고,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가속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도 부감하는 시점이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동정보로서, 기어위치 감지센서에서 기어 변속단을 "R(후진)"으로 감지하고, 동시에 조타각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조향 회전각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옵셋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마크가 위쪽으로 이동하는는 동시에 주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한 영역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확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표시장치 제어 방법.
KR1020080079749A 2008-08-14 2008-08-14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9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49A KR101394740B1 (ko) 2008-08-14 2008-08-14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49A KR101394740B1 (ko) 2008-08-14 2008-08-14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46A true KR20100021046A (ko) 2010-02-24
KR101394740B1 KR101394740B1 (ko) 2014-05-15

Family

ID=4209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7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4740B1 (ko) 2008-08-14 2008-08-14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7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654B1 (ko) * 2011-08-31 2013-06-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3568953A (zh) * 2012-08-06 2014-02-1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全景监控影像系统以及监控方法
KR101370707B1 (ko) * 2005-04-01 2014-03-06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조향 휠과 피조향 휠 사이에 기계식 연동기를 갖지 않는차량 조향 제어 시스템
CN104385987A (zh) * 2014-11-14 2015-03-04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监控方法及系统
KR20160123668A (ko) * 2015-04-16 2016-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자동주차 기능 지원을 위한 장애물 및 주차구획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7534757A (zh) * 2015-08-10 2018-01-02 Jvc 建伍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以及车辆用显示方法
CN108995589A (zh) * 2017-06-06 2018-12-14 福特全球技术公司 基于相对位置确定车辆视图
CN116758780A (zh) * 2023-05-29 2023-09-15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一种车辆环视预警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1616B1 (en) * 1999-04-16 2007-0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JP4317046B2 (ja) * 2004-01-30 2009-08-1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駐車支援システム
JP2007183877A (ja) 2006-01-10 2007-07-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俯瞰映像の表示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07B1 (ko) * 2005-04-01 2014-03-06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조향 휠과 피조향 휠 사이에 기계식 연동기를 갖지 않는차량 조향 제어 시스템
KR101278654B1 (ko) * 2011-08-31 2013-06-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E102013206714B4 (de) * 2012-08-06 2017-05-24 Hyundai Mobis Co., Ltd. Around View Monitor und Überwachungsverfahren
CN103568953A (zh) * 2012-08-06 2014-02-1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全景监控影像系统以及监控方法
US9832426B2 (en) 2012-08-06 2017-11-28 Hyundai Mobis Co., Ltd. Around view monitor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04385987A (zh) * 2014-11-14 2015-03-04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监控方法及系统
KR20160123668A (ko) * 2015-04-16 2016-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자동주차 기능 지원을 위한 장애물 및 주차구획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7534757A (zh) * 2015-08-10 2018-01-02 Jvc 建伍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以及车辆用显示方法
EP3337166A4 (en) * 2015-08-10 2018-06-20 JVC Kenwood Corporation Vehicular display apparatus and vehicular display method
US10596966B2 (en) 2015-08-10 2020-03-24 Jvckenwood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display method for vehicle
CN107534757B (zh) * 2015-08-10 2020-04-10 Jvc 建伍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以及车辆用显示方法
CN108995589A (zh) * 2017-06-06 2018-12-14 福特全球技术公司 基于相对位置确定车辆视图
CN116758780A (zh) * 2023-05-29 2023-09-15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一种车辆环视预警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740B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14510B2 (en) Display apparatus
JP5321267B2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及び俯瞰画像の表示方法
US1152841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o generate and display an image based on a vehicle movement
JP5003946B2 (ja) 駐車支援装置
JP3695319B2 (ja) 車両周辺モニタ装置
JP5316550B2 (ja) 後方視界支援システム
US8421863B2 (en)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US9697735B2 (en) Drive assistance device
KR20100021046A (ko) 자동차용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24432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JP2007221200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5251804B2 (ja) 運転支援装置
JP4772409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8171965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930432B2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JP3988551B2 (ja) 車両周囲監視装置
JP2007251880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合成方法
JP2017149397A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JP2012166689A (ja) 運転支援装置
JP2004051063A (ja) 車両周辺視認装置
JP2007124097A (ja) 車両周辺視認装置
US20220086368A1 (en) Vehicular display system
JP2010184606A (ja) 車両周辺表示装置
JP4677820B2 (ja) 予測進路表示装置および予測進路表示方法
JP201814849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並びに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5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