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3812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812A
KR20100033812A KR1020080092850A KR20080092850A KR20100033812A KR 20100033812 A KR20100033812 A KR 20100033812A KR 1020080092850 A KR1020080092850 A KR 1020080092850A KR 20080092850 A KR20080092850 A KR 20080092850A KR 20100033812 A KR20100033812 A KR 20100033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member
portable terminal
rail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9919B1 (en
Inventor
강동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919B1/en
Publication of KR2010003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91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implement a slide module which slips bodies along with multiple directions with a slim thickness. CONSTITUTION: A second body(120) is connected with a fist body(110) by a slide module(140) and slides along with a first or a second direction with different direction in a closed state. The slide module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slide members(141,142). The first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body and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rail units(143,144) which respectively follow the first and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body and slides along with the first and the second rail units.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slidable along a plurality of different directions.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t is becoming.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while a mobi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device for expressing its individuality,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The portable terminal generally has a structure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구조들 중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바디가 중첩되게 배치되어 일 방향을 따라 상대 슬라이드 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Among the structures described above,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bodies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가 상기와 같은 구조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sent a structure for providing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to a user as well as the above structure.

본 발명은 바디들을 복수의 방향을 따라 상대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보다 슬림한 두께를 갖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e module having a slimmer thickness in a slide module for moving relative slides along a plurality of direction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닫힌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또는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방향을 각각 따르는 제1 및 제2레일부를 갖는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nd a first body; A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by a slide module and sliding in a closed state along a first or second direction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wherein the slide module is fixed to the first body, A first slide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slide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body and slides along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1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1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lide member i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 slide member in a closed state; A first extension part provided with the first rail part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rail part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서 상기 지지부로 연장되며,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부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to the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second slide member so that the second slide member does not tilt in a closed state.

본 발명은 제1 및 제2레일부을 구비하는 제1슬라이드부재에 제2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슬림한 두께의 슬라이드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slidingly coupling the second slide member to the first slide member having the first and second rail parts, thereby realizing a slimmer thickness slide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에 자기력 제공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모듈의 반자동 구조를 슬림하게 구현함과 아울러 슬라이드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e module with a magnetic force providing a slim semi-automatic structure of the slide module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lide module.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또는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a first or second direction having different directions on the first body 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body The state in which the 110 exp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도 2는 제2바디(120)가 제1방향(X)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것을 나타내며, 도 3은 제2바디(120)가 제2방향(Y)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상태를 제1열린상태, 도 3의 상태를 제2열린상태라 칭하기로 한다.FIG. 2 illustrates that the second body 120 sli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X, and FIG. 3 illustrates that the second body 120 slid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Referring to FIG. Hereinafter, the state of FIG. 2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open state, and the state of FIG. 3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open state.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body 113,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13 further includes a touch screen. The input of information may also be enabled.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an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for a user. Can be implemented.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123a)와 제3조작부(123b)가 배치될 수 있다.Like the first body 110,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manipulator 123a and the third manipulator 123b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4조작부(124),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manipulation unit 124, the sound input unit 125, and the interface 1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제1 내지 제4조작부(116,123a,123b,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manipulation units 116, 123a, 123b, and 1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a wheel that rotates keys, a jog method, or a method such as a joystick.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3a)는 제1열린상태에서 숫자 또는 문자, 심 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a inputs numbers, letters, symbols, etc. in the first open state. It is to.

제3조작부(123b)는 제2열린상태에서 특정 모드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 또는 동영상 감상 모드의 실행시 제3조작부(123b)를 조작하여 음악 또는 동영상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재생, 정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3b is for inputting a command for operating in a specific mode in the second open state.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play, stop, etc.)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music or the video by operating the third operation unit 123b when the music or the video viewing mode is executed.

제3조작부(123b)의 일측에는 제2열린상태에서 특정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부(123c)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3b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display unit 123c for outputting specific visual information in the second open state.

또한, 제4조작부(124)는 제1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manipulator 124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음향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6 may be wired or wirelessl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도 9 참조)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 커버(127a)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On the rear case 122 side, a power supply unit 127 (see FIG. 9)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The battery case 127a covering the battery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case 12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of a user and transmit it to a counterpart in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9)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9 and the mirror unit 1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제2음향출력부(131)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 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1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case 12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132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120.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8) 등이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body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128 to 13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rear case 1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mainly the rear case 1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on the rear case 1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configured to allow shooting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 라인을 따르는 슬라이드 모듈의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e module along the VIII-VIII line of FIG. 5.

도 5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140)이 설치된다.슬라이드 모듈(140)은 제2바디(120)가 제1방향(X) 또는 제2방향(Y)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연결한다.Referring to FIG. 5, a slide module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slide module 140 has the second body 120 in the first direction X. Referring to FIG. Alternatively,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connected to move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슬라이드 모듈(140)은 제1바디(11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141)와, 제2바디(120)에 고정되는 제2슬라이드부재(14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슬라이드부 재(141,142)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 module 140 includes a first slide member 141 fixed to the first body 110 and a second slide member 142 fixed to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제1슬라이드부재(141)는 제1방향(X)을 따르는 제1레일부(143)와, 제2방향(Y)을 따르는 제2레일부(14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방향(X,Y)은 본 실시예와 같이 서로 수직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방향(X,Y)은 서로 수직한 방향뿐만 아니라 서로 일정 각도를 갖는 다양한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The first slide member 141 includes a first rail portion 143 along the first direction X and a second rail portion 144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As shown in FI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X and Y may hav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X and Y may have not only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ut also various direction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닫힌 상태에서 제1레일부(143) 또는 제2레일부(14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슬라이드부재(142)가 닫힌 상태에서 제1레일부(143)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제1열린상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제2슬라이드부재(142)가 닫힌 상태에서 제2레일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제2열린상태에 놓이게 된다.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portion 143 or the second rail portion 144 in a closed state.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oves along the first rail portion 143 in the closed stat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oves along the second rail portion 144 in the closed stat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in the second open state.

도 6을 참조하면, 제1슬라이드부재(141)는 지지부(141a), 제1연장부(141b), 및 제2연장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slide member 141 may include a support part 141a, a first extension part 141b,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41c.

지지부(141a)는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부재(142)를 지지하며, 제2슬라이드부재(142)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The support part 141a supports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n the closed state,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ide member 142.

제1연장부(141b)는 지지부(141a)에서 제1방향(X)을 향해 연장되며, 제1연장부(141b)에는 제1레일부가 구비된다. 제1레일부(143)는 제1연장부(141b)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레일홈들(143a,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외측에 형성된 제2레일홈(143b)은 지지부(141a)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extension part 141b extends from the support part 141a toward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41b includes a first rail part. The first rail part 143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143a and 143b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41b. Among them, the second rail groove 143b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is formed to extend to the support part 141a.

제2연장부(141c)는 지지부(141a)에서 제2방향(Y)을 향해 연장되며, 제2연장 부(141c)에는 제2레일부(144)가 구비된다. 제2레일부(144)는 제1레일부(143)와 마찬가지로 제2연장부(141c)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3 및 제4레일홈들(144a,14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외측에 형성된 제4레일홈(144b)은는 지지부(141a)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extension part 141c extends from the support part 141a toward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1c is provided with a second rail part 144. Like the first rail part 143, the second rail part 144 may include third and fourth rail grooves 144a and 144b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41c. Among them, the fourth rail groove 144b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lide member 141 is formed to extend to the support part 141a.

상기와 같이 제1슬라이드부재(141)는 제1 및 제2연장부(141b,141c)가 지지부(141a)에서 제1 및 제2방향(X,Y)으로 각각 연장되는 구성에 의해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lide member 141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141b and 141c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141a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X and Y,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uler.

도 7을 참조하면,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좌우 양측에는 제1 및 제2레일홈(143a,143b)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삽입부(142a,142b)가 형성된다. 삽입부(142a,142b)는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양단이 제1 및 제2레일홈(143a,143b)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sertion parts 142a and 142b which are inserted into and moved in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143a and 143b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e insertion parts 142a and 142b may be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nto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143a and 143b.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상하 양측에는 제3 및 제4레일홈들(144a,144b)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레일홈(143a,143b)에 삽입되는 삽입부(142a,142b)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Inserts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rail grooves 144a and 144b may b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i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42a, 142b)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143a, 143b),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7과 같이, 제2레일홈(143b)의 내벽에는 삽입부(142b)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찰저감부재(145)가 장착된다. 마찰저감부재(145)는 합성 수지와 같은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145)는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141,142)의 상대 이동시 삽입부(142b)와 제2레일홈(143b) 사이의 마찰에 의해 이들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a friction reducing member 145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rail groove 143b to surround the insertion portion 142b.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14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friction coefficient such as a synthetic resin.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145 prevents abrasion from occurring due to friction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142b and the second rail groove 143b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move relative to each other.

도 7에서는 마찰저감부재(145)가 제2레일홈(143b)에 설치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마찰저감부재(145)는 제1 내지 제4레일홈(143a 내지 144b)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FIG. 7,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145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second rail groove 143b. However,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145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first to fourth rail grooves 143a to 144b. .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1슬라이드부재(141)에는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 부재(142)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슬라이드부재(14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6)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slide member 14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mber 146 supporting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o prevent the second slide member 142 from tilting in the closed state. Can be.

지지부재(146)는 제1 및 제2레일부(143)에서 지지부(141a)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제 및 제2지지부재(146a,146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46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46a and 146b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43 toward the support portion 141a, respectively.

제1지지부재(146a)는 제1레일홈(143a)에서 지지부(141a)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후면을 지지한다. 제1지지부재(146a)는 제1레일홈(143a)에 설치된 마찰저감부재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46a extends from the first rail groove 143a toward the support portion 141a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e first support member 146a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rail groove 143a.

제2지지부재(146b)는 제3레일홈(144a)에서 지지부(141a)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후면을 지지한다. 제2지지부재(146b)는 제3레일홈(144a)에 설치된 마찰저감부재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146b extends from the third rail groove 144a toward the support portion 141a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e second support member 146b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installed in the third rail groove 144a.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제2 및 제4레일홈(143b,144b)에 설치된 마찰저감부재들과, 제1 및 제2지지부재(146a,146b)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상태가 유지된다.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supported by the friction reducing members installed in the second and fourth rail grooves 143b and 144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46a and 146b so that the horizontal state is improved. maintain.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141,142)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이동시 이들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기력제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to provide a magne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when they move relative to each other.

자기력제공부는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141,142) 각각 한쌍으로 장착되어 서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1 내지 제4자기력제공부를 포함한다.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includes first to fourth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s that are mounted in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141 and 142, respectively, to generate attraction force.

제1자기력제공부(147a,147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자석들(147a,147b)을 포함한다. 이들 자석들(147a,147b) 중 어느 하나(147a)는 지지부(141a)의 상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147b)는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닫힌 상태에서 자석들(147a,147b)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47a and 147b includes a pair of magnets 147a and 147b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ne of these magnets 147a and 147b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41a and the other 147b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ay maintain its position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s 147a and 147b in the closed state.

제2자기력제공부(147c,147d)는 제1자기력제공부(147a,147b)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자석들(147c,147d)을 포함한다. 이들 자석들(147c,147d) 중 어느 하나(147c)는 제1연장부(141b)의 단부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147d)는 제2슬라이드부재(142)의 하측에 설치된다.The second magnetic force providing portions 147c and 147d include a pair of magnets 147c and 147d having different polarities, similarly to the first magnetic force providing portions 147a and 147b. One of these magnets 147c and 147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41b, and the other 147d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lide member 142.

제2슬라이드부재(142)가 제1방향(X)으로 이동하여 휴대 단말기가 제1열린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슬라이드부재(142)에는 자석들(147c,147d)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하여 제1방향(X)으로 자기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동 완료 후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ay be subjected to an attr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s 147c and 147d. By the magnetic force acts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position can be maintained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앞선 설명과 마찬가지로, 제3자기력제공부(147e,147f)는 지지부(141a)의 우측과 제2슬라이드부재(142)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자석들(147e,147f)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자기력제공부(147g,147h)는 제2연장부(141c)의 단부와 제2슬라이드부재(142)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자석들(147g,147h)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s 147e and 147f may include a pair of magnets 147e and 147f mounted to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part 141a and the second slide member 14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ourth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47g and 147h may include a pair of magnets 147g and 147h mounted to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unit 141c and the second slide member 142, respectively.

제3 및 제4자기력제공부(147e,147f,147g,147h)는 제2슬라이드부재(142)가 제2방향(Y)으로 이동할 때 동작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자기력제공 부(147a,147b,147c,147d)와 동일하게 동작되는 바,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hird and fourth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s 147e, 147f, 147g, and 147h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s except that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operated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Y). 147a, 147b, 147c, and 147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설명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드부재(142)가 닫힌 상태와 제1열린 상태, 닫힌 상태와 제2열린상태 사이를 상대 이동할 때,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제1 내지 제4자기력제공부가 제공하는 인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동하거나 이동 완료시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relatively moves between the closed state and the first open state, the closed state and the second open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provides the first to fourth magnetic force. It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manpower provided by the supplement or maintains its position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들이다.8A to 8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slide module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상태를 나타낸다.8A illustrates the state of the slide module 140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losed state.

여기서,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지지부(141a)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46a,146b)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상태가 유지된다.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제1 및 제3자기력제공부(147a,147b,147e,147f)에 의한 인력에 의해 현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Her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located at the support 141a.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46a and 146b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aintains its current position by the attraction force by the first and third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s 147a, 147b, 147e, and 147f.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바디(120)를 제1방향(X)으로 이동시키면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제1레일부(143)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도 8b와 같이 제1연장부(141b)에 놓이게 된다. 도 8b는 휴대 단말기가 제1열린상태에 놓인 경우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상태를 나타낸다.When the user moves the second body 120 in the first direction X 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oves along the first rail part 143. Accordingly,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placed 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41b as shown in FIG. 8B. 8B illustrates a state of the slide module 140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일정 구간 이상 이동한 후부터 제2자기력제공부(147c,147d)가 제공하는 인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슬라 이드부재(142)는 도 8b의 상태에서 제2자기력제공부(147c,147d)가 제공하는 인력에 의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manpower provided by the second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47c, 147d) after moving over a predetermined period. In additio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aintains its position by the at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second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s 147c and 147d in the state of FIG. 8B.

도 8c는 휴대 단말기가 제2열린상태에 놓인 경우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닫힌 상태에서 제2바디(120)를 제2방향(Y)으로 이동시키면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제2레일부(144)를 따라 이동하여 도 8c와 같이 제2연장부(141c)에 위치하게 된다.8C illustrates a state of the slide module 140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in the second open state. When the user moves the second body 120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2 moves along the second rail part 14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1c as shown in FIG. 8C. ).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일정 구간 이상 이동한 후부터 제4자기력제공부(147g,147h)가 제공하는 인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슬라이드부재(142)는 도 8c의 상태에서 제4자기력제공부(147g,147h)가 제공하는 인력에 의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manpower provided by the fourth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147g, 147h) after moving over a predetermined period. In addition, the second slide member 142 is maintained by the attraction force provided by the fourth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s 147g and 147h in the state of FIG. 8C.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51), 조작부(116,123a,123b,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5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55), 메모리(15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50)을 포함한다.9,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1, an operation unit 116, 123a, 123b, 124, an image input unit 115, 128, an audio input unit 125, and a display unit 113. ),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 sensing unit 156, an interface 126,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55, a memory 154, a power supply unit 127, and a controller 150.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4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5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휴대 단말기가 제1 또는 제2열린상태에 놓 인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또는 제2열린상태에서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150 addition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in the first or second open stat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to execute another function in the first or second open state.

무선 통신 모듈(15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5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5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the transmitter 153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152).

조작부(116,123a,123b,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a,123b,124)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a, 123b, and 1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5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16, 123a, 123b, and 124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5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5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re stored in the memory 154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음향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5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 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5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The sound input unit 1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In the case of the call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54.

음향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5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5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may receive sound data or memory 15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nd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센싱유닛(15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5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56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s sensed so as to output a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5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27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6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54)는 제어부(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5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5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또한, 메모리(15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The memory 154 also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메모리(15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memory 154 includes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known.

방송 수신 모듈(15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5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5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5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5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5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5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54.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to 3 are front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shown in FIG.

도 7은 도 5의 Ⅶ-Ⅶ 라인을 따르는 슬라이드 모듈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e module along the VIII-VIII line in FIG.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들.8A to 8C are plan views of a slide module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제1바디; 및First body; And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닫힌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또는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A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by a slide module and slidingly moving along a first or second direction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in a closed state,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The slide module,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방향을 각각 따르는 제1 및 제2레일부를 갖는 제1슬라이드부재; 및A first slide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and having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And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slide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body and slides along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lide member,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 slide member in a closed state; 상기 제1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1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A first extension part including the first rail part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first direction; And 상기 제2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extension part provided with the second rail part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toward the second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lide module,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서 상기 지지부로 연장되며,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 이드 부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to the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second slide member so that the second slide member does not tilt in a closed state.
KR1020080092850A 2008-09-22 2008-09-22 Portable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1529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850A KR101529919B1 (en) 2008-09-22 2008-09-22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850A KR101529919B1 (en) 2008-09-22 2008-09-22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812A true KR20100033812A (en) 2010-03-31
KR101529919B1 KR101529919B1 (en) 2015-06-29

Family

ID=4218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9919B1 (en) 2008-09-22 2008-09-22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91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10B1 (en) * 2005-06-17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KR20080057480A (en) * 2006-12-20 2008-06-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lid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919B1 (en)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728387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18389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18766A (en) Handheld terminal
KR20090102243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00005574A (en) Portable terminal
KR101649625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80426A (en) Expans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KR100983728B1 (en) Handheld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s and batteries used therein
KR101545571B1 (en) Mobile terminal
KR10152991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45572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1570378B1 (en) Mobile terminal
KR101016888B1 (en) Handheld terminal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2009009367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0996A (en) Handheld terminal
KR20110005554A (en) Handheld terminal
KR20100039741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111159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33024A (en) Handhel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6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6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