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569A - 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 Google Patents
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7569A KR20100057569A KR1020100042950A KR20100042950A KR20100057569A KR 20100057569 A KR20100057569 A KR 20100057569A KR 1020100042950 A KR1020100042950 A KR 1020100042950A KR 20100042950 A KR20100042950 A KR 20100042950A KR 20100057569 A KR20100057569 A KR 20100057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ial
- lift
- aerial platform
- work
- entr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고소 작업을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소 작업대에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출입용 사다리와 출입용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되어 고소 작업 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베이스(11) 상에 다수개의 링크대(12)와 리프트 실린더(13)로 구성되어 리프트 실린더(13)의 신축에 의해 링크대(12)가 승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부(10)와; 상기 리프트부(10)의 상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되되, 모터(21)와 연결된 스프라켓(22) 및 체인(C)이 설치되고, 양측으로는 흔들림 방지롤러(23)가 설치된 고정플렛부(20)와; 상기 고정플렛부(20)와 고소작업대(40)의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되되, 체인(C)의 구동을 통해 고정플렛부(2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롤러(31)가 설치된 이송플렛부(30)와; 상기 이송플렛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수평이동을 모터에 연결된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하여,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부드럽게 고소작업대가 전·후진하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대의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플렛부의 양측부에 흔들림 방지롤러를 각관에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고소작업대가 승강할 때나 고소작업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출입구의 양측면에 출입용 손잡이를 구비하고, 출입구의 하측에는 출입용 사다리를 구비하여 출입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aerial work, the height can be adjusted for the aerial work, as well a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adder and the entrance handle for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to easily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integrally It is characterized by safe and convenient use in aerial work.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four parts. The link base 12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ift cylinder 13 by forming a plurality of link bases 12 and a lift cylinder 13 on the base 11. A lift unit 10 configured to be; The fixed plate portion 2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late on the top of the lift portion 10, the sprocket 22 and the chain (C) connected to the motor 21, the anti-shake roller 23 is installed on both sides )Wow; The fixed flat portion 20 and the aerial platform 4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late, the guide roller 31 is installed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lat portion 20 through the drive of the chain (C) A flat portion 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plate 30 is composed of an aerial platform 40 consisting of a space for the operator to work on boar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aerial platform to the sprocket and the chain connected to the motor, by allowing the aerial platform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smoothly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the operator of the aerial platform can work stably It works.
In addition, the anti-shake roll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lat part so that the shaking platform does not occur when the aerial platform is lifted or lifted, and the entrance handl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n access ladd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when ente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고소 작업을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소 작업대에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출입용 사다리와 출입용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되어 고소 작업 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aerial work,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for aerial work, as well as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the ladder to the entrance and the entrance handl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up and down on the aerial plat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aerial work,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and conveniently during aerial work.
일반적으로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내·외장작업과 도장, 청소 및 조명등 설치 등과 같은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장비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또는 리프트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As is generally known, the equipment used for aerial work such as interior and exterior work of buildings and installation of painting, cleaning, lighting, etc. may include a ladder or a lift for aerial work.
이 중에서 고소작업용 사다리는 작업용도에 맞게 높이별로 제작되거나,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가 구비되거나, 또는 지형에 맞게 별도의 특정 받침 부재를 적용하여 평지를 포함하여 경사진 지형이나 계단 등지에서 수평으로 사다리를 위치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mong them, the ladder for aerial work may be manufactured by height for the purpose of use, casters may be provided for movement, or by applying a specific support member for the terrain, the ladder may be horizontally inclined terrain or stairs, including flat ground. It is located so that you can work on it.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을 위한 사다리는 작업자가 최상부에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되는데, 보통 사다리는 규격(높이)에 따라 각기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조절의 불가한 점에서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에 올라선 작업자의 행동반경이 좁아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Ladder for the aerial work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is to work on the top, because the ladder is usu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heigh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e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is impossibl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very low in the work to narrow the worker's action radius on the ladder.
한편,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용 사다리와 달리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리프트는 바닥받침대 상으로부터 X자형으로 링크가 다단으로 접철 설치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링크에는 작업발판이 되는 상판을 설치한 것으로, 상기 바닥받침대 상으로부터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ladder for high-altitude work, the lift used in the high-altitude work is installed by folding the link in multiple stages in the X-shape from the bottom of the base, and the uppermost link is installed on the link located at the top, the floor From the pedestal, a hydraulic cylinder is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는 고소 작업용 사다리보다는 사용에 있어서 안정성이나 편리성이 향상된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작업반경이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The lif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improved in stability and convenience in use rather than a ladder for aerial work, but still had a narrow working radius.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고소 작업용 리프트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실린더(1)에 의해 접철되는 고정링크대(2)와 이동링크대(3)의 상부에 고소작업대(4)가 설치되며, 고소작업대(4)의 하부에 설치된 신축실린더(5)에 의해 이송플렛(6)이 신축함으로써 작업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가 개발되었다.Improved aerial work lift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ures 1a and 1b, the aerial platform (4) on the top of the fixed link bar and the movable link table (3) folded by the lift cylinder (1) ) Is installed, and the lifting platform for the aerial work was developed by the expansion cylinder (5)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aerial platform (4) to expand and secure the working space.
하지만, 새로이 개발된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경우에는 신축실린더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됨으로써 순간적으로 작동되는 신축실린더의 반동으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었고,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 오르내릴 때에도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However, in the newly developed aerial work lift, the operator may fall off the aerial platform due to the reaction of the telescopic cylinder, which is operated by the telescopic cylinder manually, and the safety accident may occur even when the operator climbs up or down the aerial platform. There was a problem with i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고소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플렛과 리프트 상부에 설치된 고정플렛 사이를 체인으로 연결하고 이 체인은 모터와 연결하여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되어 작업자 고소작업 시에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서 떨어질 우려가 없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chain is connected between the conveying plat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aerial platform and the fixed plat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lift by a chain, and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motor to be horizontal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It moves smoothly in the direction so that it can work stably even when the worker is working, and the object is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from the aerial platform.
또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출입용 사다리와 출입용 손잡이를 출입구의 하부와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일층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리프트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 고소작업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플렛 양측에 흔들림 방지롤러를 설치하여 일층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conveniently by installing an entrance ladder and an entrance handle on the lower side and both sides of the entrance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climb up and down on the aerial platform, and do not shake the aerial platform when the lift is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 cylinder. Another purpose is to install an anti-sway roller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to enable more stable work.
이에 본 발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베이스(11) 상에 다수개의 링크대(12)와 리프트 실린더(13)로 구성되어 리프트 실린더(13)의 신축에 의해 링크대(12)가 승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부(10)와; 상기 리프트부(10)의 상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되되, 모터(21)와 연결된 스프라켓(22) 및 체인(C)이 설치되고, 양측으로는 흔들림 방지롤러(23)가 설치된 고정플렛부(20)와; 상기 고정플렛부(20)와 고소작업대(40)의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되되, 체인(C)의 구동을 통해 고정플렛부(2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롤러(31)가 설치된 이송플렛부(30)와; 상기 이송플렛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40)로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four part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수평이동을 모터에 연결된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하여,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부드럽게 고소작업대가 전·후진하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대의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aerial platform to the sprocket and the chain connected to the motor, by allowing the aerial platform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smoothly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the operator of the aerial platform can work stably It works.
또한, 고정플렛부의 양측부에 흔들림 방지롤러를 각관에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고소작업대가 승강할 때나 고소작업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출입구의 양측면에 출입용 손잡이를 구비하고, 출입구의 하측에는 출입용 사다리를 구비하여 출입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nti-shake roll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lat part so that the shaking platform does not occur when the aerial platform is lifted or lifted, and the entrance handl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n access ladd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when entering.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Figure 1a and 1b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erial work lif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고소 작업을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소 작업대에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출입용 사다리와 출입용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되어 고소 작업 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aerial work, the height can be adjusted for the aerial work, as well a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adder and the entrance handle for the entrance to the elevator to easily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integrally It is characterized by safe and convenient use in aerial work.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고소 작업용 리프트와 외형상으로는 유사하나, 고정 및 이송플렛부(20, 30) 사이에 설치된 구동모터(21)와 체인(C)의 결합에 의해 고소작업대(40)가 전·후진하도록 구성되며, 리프트 실린더(13)에 의해 승강할 시에는 흔들림 방지롤러(23)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t is similar in appearance to a normal aerial work lift, bu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우선, 본 발명의 리프트부(10)를 살펴보면, 베이스(11) 상에 다수개의 링크대(12)가 연속된 'X'자 형태로 설치되며, 링크대(12)와 링크대(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리프트 실린더(13)가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First, referring to the lift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결합된 리프트부(10)는 공압에 의해 리프트 실린더(13)의 실린더 로드가 신장되면 리프트부(10)는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리프트 실린더(13)의 실린더 로드가 수축되면 리프트부(10)는 하강하게 된다.
The lift unit 10 coupled as described above is lifted when the cylinder rod of the
한편, 상기 리프트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플렛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플렛부(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상면 일측으로는 모터(21)가 설치되고, 모터(21)의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근거리와 원거리에 각각 스프라켓(22)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fixed
이 스프라켓(22)은 각각 두 개가 한 축 상에 설치되는 형태로, 각각의 스프라켓(22)에는 복열 체인(C)이 연결 설치되어, 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체인(C)이 이송되면서 후술하는 이송플렛부(30)가 전·후진하는 구성을 갖는다.Each of the
이와 같이 체인(C)의 통한 동력전달로 인해 일층 안정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이 확실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In this way, not only enables a more stable driving due to the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chain (C), but also ensures power transmission and plays a rol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한편, 고정플렛부(20)의 양측으로는 흔들림 방지롤러(23)가 각각 설치되되, 흔들림 방지롤러(23)는 각각 3개의 롤러가 한 조로 구성되는 바, 고정플렛부(20)를 평면에서 봤을 때, 외측으로 부분은 제외한 나머지 세 방향으로 흔들림 방지롤러(23)가 설치되고, 흔들림 방지롤러(23)와 맞닿도록 각관(24)이 각각 양측에 입설되어 고소작업대(40)가 승강할 시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작업 시에도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fixed
그리고, 이송플렛부(30)의 후측면, 즉 고소작업대(40)의 출입구(41)가 형성된 방향으로는 출입용 사다리(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40)를 오르내릴때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n
또한, 상기 고정플렛부(20)와 고소작업대(4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플렛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송플렛부(30)는 상기 고정플렛부(20)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플레이트 형태로 저면 양측으로는 가이드 롤러(31)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렛부(20)에 설치된 구동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C)을 통해 전·후진하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ing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31)가 고정플렛부(20) 상을 전·후진함으로 인해 이송플렛부(30)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In this way, the
마지막으로 상기 이송플렛부(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소작업대(40)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사용되는 고소작업대(40)와 대동소이한 형태로 구성되는바, 고소작업대(40)의 출입구(41) 양측으로는 출입용 손잡이(42)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이송플렛부(20)의 출입용 사다리(25)와 함께 작업자가 고소작업대(40)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Finally,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상기 고소작업대(40)의 전측 즉, 출입구(41)의 반대쪽 양측으로는 보조작업대(43)가 구비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좀더 넓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프트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서 베이스(11)의 상면에 연속되는 'X'자 형태로 링크대(12)를 다수개 설치하되, 링크대(12) 사이에는 리프트 실린더(13)를 설치하며, 베이스(11)의 양측으로는 두 개의 각관(24) 입설시켜 흔들림 방지롤러(23)와 결합되도록 한다.Looking at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in order to have a form of a lift that is commonly used to install a plurality of
그런 다음, 상기 완성된 리프트부(10)의 상면으로는 고정플렛부(20)를 설치하되, 모터(21)와 스프라켓(22) 및 체인(C)을 각각 연결 설치하여 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체인(C)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플렛부(20) 상에 설치되도록 하며, 고정플렛부(20)의 양측으로는 각관(24)과 맞닿도록 흔들림 방지롤러(23)를 결합하고, 고정플렛부(20)의 후측으로는 출입용 사다리(25)를 설치한다.Then, the
그 후, 상기 고정플렛부(20)의 상면으로 이송플렛부(30)를 설치하되, 이송플렛부(30)의 저면에 가이드롤러(31)를 설치하여 고정플렛부(20)의 상면을 따라서 이송플렛부(30)가 전·후진되도록 결합한다.Thereafter, the
그런 다음, 이송플렛부(30)의 상면으로는 고소작업대(40)를 설치하되, 후측으로는 출입구(41)를 설치하고, 출입구(41)의 양측으로는 출입용 손잡이(42)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완료한다.
Then, by installing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가 고소작업대(40)에 출입용 사다리(25)와 출입용 손잡이(42)를 이용하여 출입구(41)로 탑승하면 리프트 실린더(13)를 신장시켜 링크대(12)가 상승하도록 하며, 링크대(12)의 상승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하도록 한다.Looking at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first lift the
그 후, 인접한 위치로 고소작업대(40)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21)를 구동시켜 스프라켓(22) 사이에 설치된 체인(C)이 동력을 전달하여 이송플렛부(30)가 고정플렛부(20) 위를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인접한 위치의 작업을 완료한다.Thereafter, in order to horizontally move the
그런 다음,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모터(21)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이송플렛부(30)를 고정플렛부(20) 위로 정위치 시킨 후 리프트 실린더(13)를 수축시켜서 링크대(12)가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작동을 완료한다.
Then, when all the work is completed, drive the
1: 리프트 실린더 2: 고정링크대
3: 이동링크대 4: 고소작업대
5: 신축실린더 6: 이송플렛
10: 리프트부 11: 베이스
12: 링크대 13: 리프트 실린더
20: 고정플렛부 21: 모터
22: 스프라켓 23: 흔들림 방지롤러
24: 각관 25: 출입용 사다리
30: 고정플렛부 31: 가이드 롤러
40: 고소 작업대 41: 출입구
42: 출입용 손잡이 C: 체인1: lift cylinder 2: fixed link
3: mobile link platform 4: aerial platform
5: telescopic cylinder 6: feed plate
10: lift portion 11: base
12: link stand 13: lift cylinder
20: fixing plate 21: motor
22: Sprocket 23: Anti Shake Roller
24: corner 25: ladder for access
30: fixing plate portion 31: guide roller
40: aerial platform 41: doorway
42: access handle C: chain
Claims (3)
베이스(11) 상에 다수개의 링크대(12)와 리프트 실린더(13)로 구성되어 리프트 실린더(13)의 신축에 의해 링크대(12)가 승강하도록 구성된 리프트부(10)와;
상기 리프트부(10)의 상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되되, 모터(21)와 연결된 스프라켓(22) 및 체인(C)이 설치되고, 양측으로는 흔들림 방지롤러(23)가 설치된 고정플렛부(20)와;
상기 고정플렛부(20)와 고소작업대(40)의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되되, 체인(C)의 구동을 통해 고정플렛부(2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롤러(31)가 설치된 이송플렛부(30)와;
상기 이송플렛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In aerial work lifts,
A lift part 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k bases 12 and a lift cylinder 13 on the base 11 and configured to move the link base 12 up and dow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ift cylinder 13;
The fixed plate portion 2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late on the top of the lift portion 10, the sprocket 22 and the chain (C) connected to the motor 21, the anti-shake roller 23 is installed on both sides )Wow;
The fixed flat portion 20 and the aerial platform 4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late, the guide roller 31 is installed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lat portion 20 through the drive of the chain (C) A flat portion 30;
A lift for aerial work,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he aerial platform 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plate portion 30 is composed of a space for the operator to work on board.
고정플렛부(20)의 양측에 설치되는 흔들림 방지롤러(23)는 각각 3개의 롤러가 한 조로 구성되는바, 고정플렛부(20)를 평면에서 봤을 때, 외측으로 부분은 제외한 나머지 세 방향으로 흔들림 방지롤러(23)가 설치되며, 흔들림 방지롤러(23)와 맞닿도록 각관(24)이 양측에 각각 입설되어 고소작업대(40)가 승강할 시 흔들리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shake rollers 23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lat portion 20 are constituted by a set of three rollers, respectively, when the fixed flat portion 20 is viewed in a plan view, in the remaining three directions except for parts outside. The anti-shake roller 23 is installed, and each pipe 24 is placed on both sides so as to contact the anti-shake roller 23 so that the aerial platform 40 does not shake when the aerial platform 40 is lifted.
이송플렛부(30)의 후측면, 즉 고소작업대(40)의 출입구(41)가 형성된 방향으로는 출입용 사다리(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40)를 오르내릴 때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entrance ladder 25 is provided in the rear side of the conveying plate part 30,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41 of the aerial platform 40 is formed, so that the operator can safely and easily climb the aerial platform 40. Lift for aerial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42950A KR20100057569A (en) | 2010-05-07 | 2010-05-07 | 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42950A KR20100057569A (en) | 2010-05-07 | 2010-05-07 | 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57569A true KR20100057569A (en) | 2010-05-31 |
Family
ID=422812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42950A Withdrawn KR20100057569A (en) | 2010-05-07 | 2010-05-07 | 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057569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906149A (en) * | 2018-07-03 | 2018-11-30 | 柳州欧卡机器人有限公司 | A kind of cubing apparatus for placing with damping protection function |
| KR20210020254A (en) * | 2019-08-14 | 2021-02-24 | (주)정우프랜트 | A high work place platform |
-
2010
- 2010-05-07 KR KR1020100042950A patent/KR2010005756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906149A (en) * | 2018-07-03 | 2018-11-30 | 柳州欧卡机器人有限公司 | A kind of cubing apparatus for placing with damping protection function |
| KR20210020254A (en) * | 2019-08-14 | 2021-02-24 | (주)정우프랜트 | A high work place platfor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2637626T3 (en) | Lifting unit to ascend and descend a scaffold | |
| KR100989822B1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
| KR20140003277U (en) | A lift for a high place work | |
| JP4140036B2 (en) | Trolley-type work scaffolding | |
| WO2012006694A1 (en) | Lift system for use in a scaffold | |
| US6981573B2 (en) | Scaffold lift system | |
| EP0823516A2 (en) | An apparatus for escalading | |
| KR20100057569A (en) | 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 |
| KR200479223Y1 (en) | Lift for scaffolding | |
| CN210888003U (en) | Movable lifting steel pipe frame operating platform device | |
| EP0682734B1 (en) | An apparatus for escalading | |
| KR20110001477A (en) | Scaffold Lifting Device for Roof Work | |
| KR101834355B1 (en) | Quadric crank mechanism using joint type lift | |
| CN111663756A (en) | Sliding bracket for house building construction | |
| JP7278863B2 (en) | How to install a lifting scaffold | |
| CN114412160B (en) | Portable decoration operation platform is used in construction convenient to equipment | |
| KR200380940Y1 (en) | Lift for a high place work | |
| CN220889362U (en) | Height-adjustable supporting platform | |
| KR102286399B1 (en) | Mast of Tower Crane | |
| KR20210004635A (en) | agricultural lifting system | |
| KR20240142044A (en) | Movable safety elevating high-place work table | |
| JP2881677B2 (en) | Scaffolding equipment | |
| EP3423390B1 (en) | A foldable platform lift | |
| JP2558182Y2 (en) | Tower equipment height maintenance device | |
| KR20020078342A (en) | Car for elevator rail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