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615A -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4615A KR20100064615A KR1020080123133A KR20080123133A KR20100064615A KR 20100064615 A KR20100064615 A KR 20100064615A KR 1020080123133 A KR1020080123133 A KR 1020080123133A KR 20080123133 A KR20080123133 A KR 20080123133A KR 20100064615 A KR20100064615 A KR 201000646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etection device
- switch
- inner case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3—Shelves made of wi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이너케이스의 표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너케이스의 단열 성능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ase, thereby maintaining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inner c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low temperature storage of food, and is configured to freeze or refrigerate foo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stored.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상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cooled by continuously supplied cold air, and the cold air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by a refrigeration cycle undergoing a process of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evenly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by convection, so that food in the refrigerator can be stored at a desired temperature.
상기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구비된다.The refrigerator main bod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inside the main bod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ncludes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opening.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수납박스 등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들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다수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 수납박스 및 바스켓 등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wers, shelves and storage boxes for storing various foods in an optimal state.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skets ar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doors.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is partitioned by the shelves, storage boxes, and baskets such that suitable foods can be stored.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is control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예를 들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 내부의 조명이 점멸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저장 공간의 냉기 공급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공개특허 제2008-0057468호).For example, the lighting inside the storage space may blink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the degree of supply of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Patent No. 2008-0057468). number).
상기한 예 외에도, 공개특허 제2008-0035098호, 공개특허 제2008-0003664호 등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such as Patent Publication No. 2008-0035098 and Patent Publication No. 2008-0003664, by which a user can use the refrigerator more conveniently. .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모두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필수로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All of the above technologies are essential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must be provided with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와 같은 도어 개폐 감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을 구획하는 배리어 등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는, 스위치부가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돌출되어 있다가,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경우 눌려지고,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동안에 그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의 돌출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와 같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in an inner cas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orm the storage space, or a barrier for partitio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n general,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protrude when the door is opened, to be presse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o hold the pressed state while the door is closed. Therefore, by detecting whether the switch unit is protruding an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배리어 등에 함몰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배리어의 내측에는 단열을 위한 발포액이 충진되는데,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제공되는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발포액이 적게 충진된다.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is mounted recessed in the inner case or the barrier. Here, the inner case or the inside of the barrier is filled with a foaming liquid for thermal insulation, the portion whe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is filled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foaming liquid.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제공되는 부분은 단열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that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s reduced.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배리어의 내측으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을 배치해야 하므로, 작업의 난이도가 상승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ing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must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case or the barrier,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is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면서도, 단열 성능 및 생산성이 저하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is stably operated while not degrading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 공간을 차폐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 및 적어도 일측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표면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이동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포함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to form an appearance; An inner case forming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at a low temperature; A door moun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shield the storage space; A moving assembly to move the door to shield the storage space; And at least one side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ase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inclu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for interlocking with at least one of the door or the moving assembly to detec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이너케이스의 표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너케이스의 단열 성능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ner case is maintained.
또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배선의 처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ing of the wiring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can be made simp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야채실이 제공되는 4도어 바텀프리즈(4 Door Bottom Freeze) 타입 냉장고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도시된 4도어 바텀프리즈 타입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와 함께 컨테이너가 인출입되는 방식의 냉장고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Hereinafter, in order to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 door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vegetable compart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ur-door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but it is found that the refrigerator is applicable to all of the refrigerators in which the container is withdrawn from the doo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제공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도 2, 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은 음식물이 냉장 보관되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며 야채 등을 적정 온도로 보관하는 야채실(200)과, 상기 야채실(200)의 하측에 제공되며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는 냉동실로 구획된다. Referring to FIG. 1, a
상세히, 상기 저장 공간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리어(도 2, 160)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고, 상측에는 상기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야채실(200)과 상기 냉동실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storage space is partition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barrier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GS. 2 and 160),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그리고, 상기 야채실(200)과 상기 냉동실은, 하나의 공간에 형성되며, 입구만 분리바(도 2, 170)에 의해 나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1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야채실(200) 및 상기 냉동실의 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야채실 도어(130)와 냉동실 도어(140)가 각각 제공된다. In addition, a
상기 야채실(200)에는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210)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210)는 고정부재(220)에 끼워진 채로 후술할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에 결합되어, 상기 야채실 도어(13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된다.The
이때, 상기 야채실(200)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내측면에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가 부착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At this time, the door opening and
도 2는 도 1의 야채실 도어가 개방된 후 상기 냉장고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fter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of FIG. 1 is opened,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of FIG. 2.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야채실(200)은 상기 배리어(160)의 하측 공간에 제공된다. 상기 야채실(200)의 입구는 상기 분리바(170)에 의해 상기 냉동실의 입구와 구분된다. 2 to 3, the
상세히, 상기 야채실(200)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150)는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야채실(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150)와 상기 본체(100) 사이에는 발포액 등의 단열재가 충진되어 상기 야채실(200) 등 저장 공간의 온도가 저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야채실(200)은 상기 야채실 도어(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야채실 도어(130)는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는 도어가 저장 공간을 차폐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로서 기능한다.The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의 일측은 상기 이너케이스(15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배면에 결합된다. 더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에 고정되는 메인 가이드(310)와, 상기 메인 가이드(31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320)와, 상기 제 1 슬라이드(32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컨테이너(210)가 안착되는 제 2 슬라이드(33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는 다단 인출된다.In detail, one side of the slide assembly 300 is fixed to the
상기 메인 가이드(310)에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에 밀착되는 가이드 몸체(311)와 상기 가이드 몸체(311)의 하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랙(315) 및 상기 가이드 몸체(311)의 상측에 제공되는 절곡부(312)가 포함된다.The
상기 가이드 몸체(311)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케이스(1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몸체(311)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320)의 일부가 수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홈(3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랙(315)은 상기 가이드 홈(313)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320)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홈(313)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랙(315)를 따라 이동된다.The
상기 가이드 몸체(311)의 하측에는 후술할 피니언(333)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랙(315)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랙(315)은 상기 가이드 홈(313)의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랙(315)은 상기 가이드 몸체(3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313)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320)가 이동 중 상방으로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320)의 탈거를 방지하는 상기 절곡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312)는 후술할 상기 제 2 슬라이드(330)의 안착부(337)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 1 슬라이드(320)는 상기 가이드 홈(31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 홈(3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야채실(2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제 1 슬라이드(320)는 상기 가이드 홈(3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330)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슬라이드(320)는 상기 메인 가이드(310)의 상기 가이드 홈(313)에 끼워져서 이동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330)는 상기 제 1 슬라이드(320)의 함몰부에 끼워져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In detail, the
이때, 상기 가이드 홈(313) 및 상기 1 슬라이드(320)의 함몰부는, 상기 컨테이너(210)가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단 인출되도록, 상기 야채실(200) 내측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cess of the
또한, 상기 제 2 슬라이드(330)의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랙(315)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333)이 제공된다.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야채실(2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공되며 연결축(33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슬라이드(330)는 상기 야채실(200)의 좌측과 우측이 대응되도록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야채실 도어(130)는 안정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드(330)의 전단부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13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라이너(131)는 상기 야채실(200)의 입구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야채실(200)의 입구에 삽입된다.The front end of the
한편, 상기 제 2 슬라이드(330)의 상단부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컨테이너(210)가 안착되는 안착부(337)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337)는 상기 컨테이너(2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210)의 전후 방향 길에에 대응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337)는 상기 제 2 슬라이드(330)가 인입될 때, 상기 절곡부(31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210)에 음식물이 저장되어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의 변형에 대한 우려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안착부(337)의 후측에는 상기 컨테이너(210)가 상기 안착부(337)에 안착되어 요동되지 않도록 고정홈(338)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210)는 소정의 고정부재(220)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부재(220)가 상기 고정홈(338)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착부(337)에 고정된다. In addition, a fixing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210)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와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를 개방한 후, 함께 인출된 상기 컨테이너(210)에 음식물을 수납하면 되므로, 편리하게 상기 야채실(200)을 사용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측면에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는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는 상기 야채실(200)의 입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분리바(170)에 일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장치(400)가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300)의 하측에 상기 분리바(170)에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는 스위치부가 눌리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거나,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원리를 사용할 수 있다.The door open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부가 제공되어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닫힐 때 눌려지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being provided when the switch unit is pressed when the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표면에 부착되는 케이스(430)와, 상기 케이스(430)의 전면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닫힐 때 눌리는 스위치(410)와, 상기 스위치(41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10)의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위치 하우징(420)과, 상기 스위치(410)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냉장고(1)의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부(450)로 구성된다.The door open /
상세히, 상기 케이스(430)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닫힐 때, 적어도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배면에 의해 상기 스위치(410)가 눌릴 수 있을 정도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30)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상기 야채실(200)측 측면에 부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케이스(430)는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야채실(200) 내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가 제공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150)와 상기 본체(100) 사이의 공간이 낭비되지 않고, 단열을 위한 발포액이 충분하게 충진될 수 있다.In detail, the
한편,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는 상기 분리바(170)에도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430)는 일측이 상기 이너케이스(150)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분리바(170)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에 연결되는 배선(457)이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분리바(170)의 후면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opening and
상기와 같은 변경은 단열 성능의 저하를 막기 위해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400)가 발포액이 충진되는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설치된다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의 설계 변경이다. 이와 같은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Such a change is a design change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door open /
그리고, 상기 스위치(41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430)에 제공된다. 즉,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개폐되면서 상기 스위치(4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스위치(410)는 후방으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스위치(410)는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43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다. 더 상세히, 상기 스위치(410)에는 회전축(413)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30)에 형성된 회전축홀(미도시)에 끼워져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회전축(41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닫히면 상기 스위치(410)를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배면이 누르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410)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410)는 다시 원 상태로 회복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스위치(410)에는 탄성부재(450)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410)가 눌려진 상태에서 원 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450)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430)에 형성된 제 1 지지부(433)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위치(410)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4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410)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스위치(410)가 움직이면 그에 따른 탄성 에너지가 상기 탄성부재(450)에 저장되고, 상기 스위치(410)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탄성부재(450)의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450)로 토션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413)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지지부(433)와 상기 제 2 지지부(4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게 되므로, 원활하게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For example, a torsion spring may be provided to the
그리고, 상기 스위치 하우징(420)은 상기 케이스(430)의 전면에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420)은 상기 케이스(43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위치(41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스위치(410)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420)의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상기 케이스(4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야채실 도어(130)에 의해 눌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410)의 상부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4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410)가 일정 수준 이상 전방으로 회전되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420)에 의해 간섭된다.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430)의 내부에는 상기 감지부(450)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부(450)는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닫히면서 상기 스위치(410)를 누르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450)의 전방에는 상기 스위치(410)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410)의 회전에 의해 눌러지는 누름부(453)가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410)가 눌려지면 상기 누름부(453)도 눌려지게 되고, 상기 감지부(450)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냉장고(1)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케이스(430)에는 상기 감지부(450)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배선(457)을 보호하는 배선 커버(4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457)은 상기 케이스(430)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배선 커버(460)도 상 기 케이스(430)의 내측에서 상기 배선(457)을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발포액이 충진되는 공간을 낭비하지 않으므로 단열 성능이 유지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배선(457)의 처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since 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500)은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가장 안쪽 위치에 제공된다.5, the door open /
상세히,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5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150)의 내측면의 최후방 위치되며, 전면에 스위치(510)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510)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누름식으로 제공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된다. In detail, the door open /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드(330)의 후측에는 상기 스위치(5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누름부(329)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누름부(339)는, 상기 가이드 랙(315)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슬라이드(330)의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 랙(315)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야채실 도 어(130)가 닫혔을 때, 상기 스위치(510)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addition, a switch pressing part 329 for operating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스위치 누름부(339)가 상기 스위치(510)를 누르게 되고, 상기 야채실 도어(130)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510)는 돌출됨으로서 상기 야채실 도어(13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이때,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500)는 대략 상기 분리바(170)와 동일한 높이에 제공된다. 즉, 상기 야채실(200)과 상기 냉동실 사이의 빈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발포액이 충진되는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도 낭비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door open /
또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500)가 상기 이너케이스(150)의 최후방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도어 개폐 감지장치(500)와 상기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므로, 배선을 위하여 음식물 저장 공간 또는 단열 공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open /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may be changed, added, or delet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야채실 도어가 개방된 후 상기 냉장고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fter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of FIG. 1 is opened;
도 3은 도 2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devic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23133A KR20100064615A (en) | 2008-12-05 | 2008-12-05 | A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23133A KR20100064615A (en) | 2008-12-05 | 2008-12-05 | A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64615A true KR20100064615A (en) | 2010-06-15 |
Family
ID=423642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23133A Ceased KR20100064615A (en) | 2008-12-05 | 2008-12-05 | A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064615A (en) |
-
2008
- 2008-12-05 KR KR1020080123133A patent/KR20100064615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355013B1 (en) | Refrigerator comprising a cover over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to a drawer type door | |
| KR101621578B1 (en) | Refrigerator | |
| KR101584806B1 (en) | Refrigerator | |
| KR101554852B1 (en) | Refrigerator | |
| EP3296674B1 (en) | Refrigerator | |
| KR101584805B1 (en) | Refrigerator | |
| KR20140059938A (en) | Refrigerator | |
| US20110219808A1 (en) |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rawer | |
| KR20110118849A (en) | Refrigerator | |
| EP2725314B1 (en) | Refrigerator | |
| US10465977B2 (en) | Refrigerator | |
| JP2009228911A (en) | Refrigerator | |
| US20200025441A1 (en) | Refrigerator with increased stability | |
| US20190086140A1 (en) | Refrigerator | |
| JP3380492B2 (en) | Refrigerator storage container | |
| KR101669678B1 (en) | Refrigerator | |
| US20100175417A1 (en) | Refrigerator | |
| JP5782093B2 (en) | refrigerator | |
| KR101486347B1 (en) | Refrigerator | |
| KR101467271B1 (en) | Refrigerator | |
| US12163730B2 (en) | Refrigerator | |
| KR20170052409A (en) | refrigerator | |
| KR20100064615A (en) | A refrigerator | |
| KR20090106233A (en) | Roller combiner of refrigerator drawer | |
| KR100381786B1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9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