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573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6573A KR20100086573A KR1020090005851A KR20090005851A KR20100086573A KR 20100086573 A KR20100086573 A KR 20100086573A KR 1020090005851 A KR1020090005851 A KR 1020090005851A KR 20090005851 A KR20090005851 A KR 20090005851A KR 20100086573 A KR20100086573 A KR 20100086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ement
- target object
- pointer
- input signal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적인 입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입력키를 누르지 않아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so that a user can input to a terminal without pressing an input key by executing an auxiliary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 terminal.
본 발명은, 대상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대상 물체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하고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target object; A memory unit which stores an image of a target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enu indicating a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displaying a pointer indicating a specific position; And a controller that moves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nd controls an input signal to execute a corresponding menu indicated by the pointer when the pointer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ma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적인 입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입력키를 누르지 않아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user can perform an auxiliary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that can be input to a terminal without pressing a direct input ke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 고속화 및 대용량화되면서 그 보급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그 기능 역시 다양화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smaller, faster, and larger, its penetration rate is greatly increased, and its functions are also diversifying.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카메라폰이 널리 보급됨으로써 음성, 음악, 동영상, 영화 등을 송수신하거나 이를 단말기에서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 한 기능을 소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다 편리하게 구현하기 위해서 보다 다양한 입력수단이 요청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camera phones equipped with a camera has been widely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music, video, movies, and the like or execute them in a terminal. As such, more various input means are require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more conveniently in a sm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자판을 소형화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보조 입력키를 USB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Due to this necessity, a keyboard keyboard used in a computer is miniaturized and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auxiliary input key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USB or short-range communication.
그러나, 이러한 보조입력장치 또는 보조 입력키는, 사용자가 이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such an auxiliary input device or an auxiliary input key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it separately.
또한, 사용자가 통화중이거나 다른 작업에 손을 사용중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부가적인 입력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difficult to make additional input when the user is busy or using the hand for other task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적인 입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입력키를 누르지 않아도 단말기에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auxiliary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so that the user can input an input signal to the terminal without a user directly pressing an input ke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대상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대상 물체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하고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target object; A memory unit which stores an image of a target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enu indicating a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displaying a pointer indicating a specific position; And a controller that moves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nd controls an input signal to execute a corresponding menu indicated by the pointer when the pointer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ma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은, 대상 물체의 초기 이미지를 인식하는 제1인식단계와; 상기 대상 물체의 이동에 따른 이동 후 이미지를 인식하는 제2인식단계와; 상기 제 1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초기 이미지와 상기 제2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이동 후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비교단계와; 상기 이미지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대상 물체의 이동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포인터이동단계; 및 상기 포인터이동단계에서 이동된 포인터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뉴가 실행되도록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신호입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includes: a first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n initial image of the target object; A second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n image after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n imag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initial image recognized in the first recognition step with the post-movement image recognized in the second recognition step; A pointer movement step of moving a pointer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movement distance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image comparison step; And a signal input step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to execute a menu pointed by the pointer when the pointer moved in the pointer movement step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적인 입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입력키를 누르지 않아도 단말기에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so that a user can input an input signal to the terminal without directly pressing an input ke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키를 누르지 않아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중에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put signal for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n the user can not use the hand whi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ause the user can input directly without pressing the input ke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FIG.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부(110), 메모리부(120), 마이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카메라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CCD 또는 CMOS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를 촬영한다. 이때,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얼굴뿐만 아니라, 눈, 코, 손가락 등의 특정 신체부위나 연필, 막대기 등의 물체가 촬영의 대상이 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not only a user's face but also a specific body part such as an eye, a nose, a finger, or an object such as a pencil or a stick may be the object of photographing.
메모리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또는 음향 패턴을 마이크부(130)를 통해 전달받아 저장한다.The
즉, 메모리부(120)는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초기 이미지 및 사용자의 기준 음성 또는 음향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초기 이미지는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와 비교대상이 되는 기준 원본 이미지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initial image means a reference original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마이크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또는 음향 패턴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부(120)에 전달한다.The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하고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기능, 메시지기능, MP3기능, 카메라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한다.The
이때, 포인터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가운데에 표시되도록 초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ointer is preferably initially set to be displayed o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초기 이미지와 사용자의 이동 후 이미지의 비교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The
즉, 제어부(150)는 초기 이미지 및 이동 후 이미지가 화면에서 표시되는 위치변화를 벡터 성분으로 분석하고, 벡터성분의 증감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제어한다.That is, the
예를 들면, 초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얼굴과 이동 후 이미지에 표시되는 얼굴 위치의 변화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제어한다.For example, the moving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제어부(150)는 상기 포인터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입력신호의 입력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의 이미지가 이동 후 일정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으면 일정시간 동안 포인터의 정지상태가 지속되고, 이러한 정지상태가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포인터가 가리키는 해당 메뉴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입력신호가 입력된다.The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부(130)로부터 획득된 음성 또는 음향 패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뉴를 실행시키도록 입력신호를 입력한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voice or sound pattern obtained from the
예를들면, 사용자의 박수소리와 같은 음향이나 사용자의 "입력", "시작" 등과 같은 음성을 사용자의 기준 음성 또는 음향 패턴으로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마이크부(130)를 통해 상기 박수소리 또는 "입력, "시작" 등의 음성을 제공하면 제어부(150)에서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박수소리 또는 "입력", "시작"의 기준 음성 또는 음향 패턴과 마이크부(130)를 통해 새로 입 력된 음성 또는 음향을 비교하며, 비교결과가 동일하면, 제어부(150)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뉴를 실행한다.For example, a sound such as a user's applause or a user's "input", "start", and the like are preset as a reference voice or a sound pattern of the user and stored in the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눈이 깜박이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뉴를 실행시키도록 입력신호의 입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s eye blink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put of the input signal to execute the menu indicated by the pointer.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인식단계(S210), 제2인식단계(S220), 이미지비교단계(S230), 포인터이동단계(S240) 및 신호입력단계(S250)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ncludes a first recognition step S210, a second recognition step S220, and an image comparison step. S230), a pointer movement step S240, and a signal input step S250.
제1인식단계(S210)에서는, 사용자 초기 이미지를 인식한다. 즉,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초기 얼굴을 촬영하여 인식한다.In a first recognition step S210, a user initial image is recognized. That is, the initial face of the user is photographed and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unit.
제2인식단계(S220)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 이미지를 인식한다. 즉,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 후 이미지를 인식한다.In a second recognition step (S220), the moving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s recognized. That is, the camera recognizes the image after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ace of the user.
이미지비교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1인식단계(S210)에서 인식된 초기 이미지와 상기 제2인식단계(S220)에서 인식된 이동 후 이미지를 비교한다.In the image comparison step S230, the initial image recognized in the first recognition step S210 is compared with the post-movement image recognized in the second recognition step S220.
이때, 제1인식단계(S210)에서 인식된 초기 이미지와 제2인식단계(S220)에서 인식된 이동 후 이미지의 비교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벡터 성분으로 분석한다. 예를들면, 초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얼굴과 이동 후 이미지에 표시되는 얼굴 위치를 픽셀값을 통해 인식하여 사용자 얼굴의 위치 변화를 벡터값의 증감으로 분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user is analyzed as a vector compone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initial image recognized in the first recognition step S210 and the image after the movement recognized in the second recognition step S220.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user's face may be analyz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ector value by recognizing the user's face displayed on the initial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face displayed on the image after the movement through pixel values.
포인터이동단계(S240)에서는, 이미지비교단계(S230)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이동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킨다.In the pointer movement step S240,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image comparison step S230.
즉, 이미지비교단계(S230)에서 분석된 사용자 얼굴의 위치변화에 따른 벡터값의 증감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제어한다.That is, the moving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신호입력단계(S250)에서는, 상기 포인터이동단계(S240)에서 이동된 포인터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뉴가 실행되도록 입력신호를 제어한다. 즉,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 얼굴의 이동이 없다면 포인터가 가리키는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한다.In the signal input step S250, when the pointer moved in the pointer movement step S24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nput signal is controlled to execute a menu indicated by the pointer. In other words, if there is no movement of the user's f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enu indicated by the pointer is executed.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또는 음향 패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대상 물체의 음성 또는 음향 패턴을 미리 저장된 기준 패턴과 비교한 후 그 결과 동일하면 상기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뉴를 실행시키도록 입력신호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voice or sound pattern generated from a user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voice or sound pattern of the converted target object is compared with a pre-stored reference pattern, and as a result, a menu pointed by the pointer is displayed. The input signal can also be controlled to execute.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 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use and change the application site,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arge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카메라부110: camera unit
120: 메모리부120: memory
130: 마이크부130: microphone
140: 디스플레이부140: display unit
150: 제어부150: control uni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05851A KR20100086573A (en) | 2009-01-23 | 2009-01-2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05851A KR20100086573A (en) | 2009-01-23 | 2009-01-2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86573A true KR20100086573A (en) | 2010-08-02 |
Family
ID=427535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05851A Ceased KR20100086573A (en) | 2009-01-23 | 2009-01-2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086573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090728A1 (en) * | 2022-10-28 | 2024-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
-
2009
- 2009-01-23 KR KR1020090005851A patent/KR2010008657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090728A1 (en) * | 2022-10-28 | 2024-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
| US12105934B2 (en) | 2022-10-28 | 2024-10-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8258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ouch button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same | |
| RU2628165C2 (en)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chambers | |
| KR1019336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execution of operation instruction | |
| US992222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ouch control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 |
| WO2019183819A1 (en) | Photographic method, photograph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 |
| CN111405199B (en) | Image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 EP3299946B1 (en) |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environment picture | |
| CN109348020B (en) | Photograp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 US20160241783A1 (en) | Portable terminal | |
| US2017006026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external equipment | |
| KR20100008936A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 |
| US9426187B2 (en) | Device with TV phone functio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of device with TV phone function | |
| CN106489113A (en) | The method of V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JP2017069618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 |
| KR20170132833A (en) | Pressure detec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 US20180238748A1 (en) | Pressur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 EP3086221A2 (en) | Electronic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 |
| CN106210516A (en) | A camera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 |
| US8941745B2 (en)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ing based on facial recognition | |
| JP2010034633A (en) | Electronic camera | |
| WO2017126216A1 (en) | Imaging control device, imag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 KR20100086573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CN108021252A (en) | Adjust the method and touch control terminal of volume | |
| CN111031249B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ssisting focus | |
| CN111857326B (en) | Sig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