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97857A -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857A
KR20100097857A KR1020090016714A KR20090016714A KR20100097857A KR 20100097857 A KR20100097857 A KR 20100097857A KR 1020090016714 A KR1020090016714 A KR 1020090016714A KR 20090016714 A KR20090016714 A KR 20090016714A KR 20100097857 A KR20100097857 A KR 2010009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melani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진
박녹현
조성아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1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857A/ko
Publication of KR2010009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5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련피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함유하여 담배연기 등 외부 유해환경에 의해 촉진되는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억제하고 개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련피 추출물 * 송이 추출물 * 담배연기 * 미백 * 멜라닌 * 화장료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련피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함유하여 담배연기 등 외부 유해환경에 의해 촉진되는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억제하고 개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색은 멜라닌, 헤모글로빈 및 카로틴 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 카로틴은 당근·귤 등의 카로틴이 풍부한 식품을 과다 섭취했을 때 피부색을 노랗게 바꾸는 등 일시적인 영향을 미친다. 헤모글로빈은 피부 표면에 많으면 피부가 불그스름해지는 정도이다. 피부색 결정의 핵심은 멜라닌이다. 멜라닌은 갈색, 어두운 색을 띤다. 인종에 따라 멜라닌 세포의 수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며, 멜라닌 세포 속에 멜라닌 소체가 얼마나 조밀하게 들어 있느냐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된다.
피부 표피층의 맨 밑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멜라닌을 생산하는 멜라노사이 트(Melanocyte)라는 피부세포에서 만들어진다. 멜라노사이트는 진피의 기저층에 위치하여 피부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에는 멜라닌의 양과 멜라닌을 만드는 멜라노사이트의 크기가 중요한데 검은 피부는 흰 피부보다 큰 멜라노사이트를 가지고 있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생성되며 피부 바깥 쪽으로 이동하여 각질층에 분포됨으로써 외부에 보이는 피부색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멜라노사이트 세포는 단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에 해가 될 수 있는 자외선이 진피 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세포내의 소기관(小器官)인 리보솜(ribosome)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의 생합성에서 합성되기 시작한다. 이 효소의 작용으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에서 몇 단계를 거쳐 합성되어, 멜라노사이트 흑색소포 표면에 침착하여 멜라노솜(melanosome)이라는 멜라닌 과립이 생긴다. 완성된 멜라닌 과립의 형태나 크기, 멜라닌의 침착 정도는 유전적인 지배를 받아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정상적인 색소형성과정은 멜라노사이트에서의 생성, 각질형성세포의 전이 및 각질층에의 축적의 3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티로신이고, 이 티로신은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로 변하고 도파는 더욱 산화되어 도파퀴논으로 바뀐다. 도파퀴논은 다시 한번 산화되어 갈색을 띄는 유오멜라닌과 무색을 띄는 페오멜라닌을 만들게 된다. 멜라노사이트에서 형성된 색소는 멜라노사이트의 돌기를 통해 각질형성세포(케라티노사이트)로 전달된다. 각질형성세포에 전이된 멜라닌은 각질형성세포가 각화작용을 거쳐 표피조직으로 이동해 각질층에 쌓이게 되고 이것이 바로 일 반적인 색소침착이다.
비정상적인 색소형성으로 나타나는 피부 현상은 기미, 주근깨, 모반 또는 검버섯 등을 들 수 있다. MSH 호르몬이 멜라닌 생성을 시작하는 정상적인 색소 형성과정 이외에, 우리환경의 수많은 요인들도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렇게 생긴 멜라닌은 신진대사가 원활한 젊은 피부에서는 분해되고 28일을 주기로 새로운 세포가 생겨나게 되는데 신진대사가 약해지면 색소가 피부에 침착하게 되어 기미 등의 피부 변화가 생긴다.
이상적인 색소침착의 원인으로 유전적인 요소, 자외선, 임신 등의 내분비계 문제, 비타민 결핍, 의약품 등의 화학적인 요인, 피부 염증 반응 후 피부 질환적인 요소 또는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호르몬의 영향은 자외선 노출을 비롯한 기타 요인들이 MSH의 과도한 증가를 자극하게 되어 이렇게 증가된 MSH가 멜라노사이트에 있는 수용기에 접합하여 멜라닌 생산을 초래한다.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색소 침착 기작은 피부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특정 스트레스 개시물질을 분비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스트레스 수용기에 접합하여 멜라닌 생산을 증가시키게 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색소침착의 기작은 자외선으로 초래된 프리라티컬 연쇄반응은 신체를 자극하여 자극, 스트레스, 호르몬 개시물질을 생산하게 되고, 멜라노사이트의 수용기에 접합하여 멜라닌 생산을 늘리게 된다.
최근 들어 환경 공해 문제가 대두되고 외부 환경의 피부 유해성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의 외부자극에 대한 연구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 색소 형성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은 피부가 공해물질, 알레르기 유발물질, 박테리 아, 또는 기타 다른 외부 자극물질에 노출되면 자극개시물질이 생겨나고 멜라노사이트의 자극 수용기에 접합하여 멜라닌 생산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색소침착 및 칙칙함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까지는 주로 자외선에 의한 영향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나 일시적인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미백 화장품 등이 사용되어 왔다. 코지산(kojic acid) 및 알부틴(arbutin)과 같은 대부분의 미백 화장료 원료들은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으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 및 미백 효과의 불충분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미백 화장품 등으로는 담배 등의 공해에 의해 증가된 멜라닌에 기인한 피부 색소 침착 방지 및 개선은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담배연기의 공해에 의해 유발된 멜라닌 생성 증가에 의한 색소침착 및 칙칙함을 개선하고 피부 미백을 도와주는 성분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고련피 추출물과 송이추출물이 인체에 동시에 적용하였을 때 담배연기의 공해에 의한 색소침착 및 칙칙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궁긍적으로 피부 미백을 관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연기의 공해에 의한 색소침착 및 칙칙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련피 추출물과 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련피 추출물과 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담배연기의 공해로 유발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공해안테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색소침착 및 피부 칙칙함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련피는 우리나라에서는 멀구슬나무과(Meliaceae)에 속하는 고련나무(Melia azedarach L.) 또는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L. var japonica Makino)의 줄기껍질(수피)이나 뿌리껍질(근피)을 말하고, 중국에서는 멜리아(Melia)속 식물인 천련(Melia toosendan Sieb. Et Zucc)의 근피 및 수피를 말한다. 원식물은 높이 15-20 m의 낙엽성 교목으로 동아시아나 호주 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지방이나 제주도에서 자생하고 있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10-11월이다. 고련피에는 고미를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트리테르펜계 성분 및 락톤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기타 시토스테롤(sitosterol), 카테킨(catechin)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련피 나무 열매(고련자)의 과육과 과피에도 멜리아논(melianone) 및 멜리아놀(melianol)과 같은 고미 성분이 들어 있으며, 기타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련나무 또는 멀구슬나무의 근피, 수피 또는 그 열매와 천련의 근피, 수피 또는 그 열매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련피 추출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1,3-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추출온도는 4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 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송이는 프로비타민 D2라고 불리는 에르고스테롤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햇빛을 받으면 비타민 D로 바뀌어 피부의 방어작용을 강하게 하고, 항염효과, 피부 진정 효과, 피부 혈액순환 증진, 외부 유해환경에 대한 방어 및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송이 추출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1,3-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추출온도는 4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담배 연기의 공해로 유발된 멜라닌 증가를 예방 및 저해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고련피 추출물과 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색소침착 및 칙칙함을 개선해 주며,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고련피 추출물과 송이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5.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실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안전성 및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공 지의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 감초추출물,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또는 코지산 등을 적절한 양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담배연기의 공해로 유발된 멜라닌 증가를 예방 및 저해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고련피 추출물 제조
고련나무의 수피 3.5 kg 및 천련의 수피 3.5 kg를 중량대비 3배의 정제수와 1,3-부틸렌글리콜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21 ℓ에 넣고, 40℃에서 1일간 침적 추출한 다음, 0∼4℃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련피 추출물 0.7 g을 얻었다.
[실시예 2] 송이 추출물 제조
건조한 송이 5 kg을 중량대비 3배의 정제수와 1,3-부틸렌글리콜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5 ℓ에 넣고, 40℃에서 1일간 침적 추출한 다음, 0∼4℃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송이 추출물 0.5 g을 얻었다.
[시험예 1]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의 담배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흡연하고 난 후의 담배꽁초에서 필터부분만 수거하여 필터 1개당 1 ml의 DMSO에 넣어 강하게 볼텍싱(vortexing)을 한 후에 하루 동안 방치해 두었다. 다음날 다시 한번 강하게 볼텍싱한 후에 필터를 꺼낸 후에 HaCaT 세포에서 독성 테스트하였다. 약 80%의 독성이 되는 농도를 최대농도로 결정한 담배 추출물 1000 × 스탁(stock)을 최종농도 250 ppm으로 사용하였다. 고련피와 송이 추출물은 DMSO에 녹여 1000 × 스탁으로 각각 최종농도 100 ppm으로 사용하였다.
RPMI 배지에 5%의 우태아혈청, 100 IU의 페니시린 G 및 0.2 μM의 TPA를 첨가한 배지에 melan a 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24-well microtiter plate)에 30,000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날 분주된 세포에 각 시험 물질을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 담배추출물만 처리한 시험군, 담배 추출물에 고련피와 송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시험군 및 담배 추출물에 고련피 추출물만 처리한 시험군, 즉, 총 4개의 시험군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음성대조군은 DMSO를 0.1%로 처리하고, 담배 추출물은 250 ppm, 고련피와 송이 추출물은 각각 100 ppm으로 처리한 다음 37℃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3 일 후에 다시 새 배지와 물질로 교환해 준 후 다시 3일 동안 배양한 다음, PBS로 웰을 씻어주고 1 N NaOH를 100 ㎕씩 넣은 후 세포 안의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멜라닌의 흡광도를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고련피와 송이의 담배에 의한 멜라닌 억제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담배 추출물만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켜 멜라닌 생성이 증가한 반면, 담배 추출물과 함께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멜라닌 생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 1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이 담배로 인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련피 추출물만을 처리한 실험군 보다 고련피와 송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에서 멜라닌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고련피와 송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 이들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더욱 우수한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의 담배에 의한 공해안테나(Ahr: Aryl hydrocarbon receptor)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DMEM 배지에 5%의 우태아혈청, 100 IU의 페니시린 G를 첨가한 배지에 HaCaT 세포를 8 웰 챔버 슬라이드에 5,000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달 FBS와 페놀레드(phenol red)가 없는 DMEM 배지로 갈아주었다. 다시 24시간 후에 총 3개의 시험군으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DMSO를 0.1%로 처리하고, 담배 추출물은 250 ppm, 고련피와 송이 추출물은 각각 100 ppm으로 처리한 후에 37℃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가지고 면역 형광 염색(Immunofluorescence ;IF)하였다. 세포를 1 mM CaCl2와 1 mM MgCl2가 들어간 PBS를 이용하여 각 웰을 씻어 주었다. 3.5%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이용하여 세포를 상온에서 10분간 반응하여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PBS를 이용하여 다시 10분간 세 번 씻어 준 다음 0.1% 트리톤-100(Triton-100)을 5분간 처리한 후 다시 PBS로 10분간 세 번 씻어 준 다음 Ahr 항체(santa cruz)를 1:250으로 0.05% 트윈 20(tween 20)이 포함된 PBS(PBST)에 희석하여 4℃에서 O/N으로 1차 항체를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세번 10분간 씻어준 후 로다민(Rhodamine)이 붙은 2차 항체를 이용하여 1:400으로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PBST를 이용하여 10분간 세 번 씻어주었다. 핵을 염색하기 위하여 형광염료인 PI(Propidium iodide)를 이용하여 약 3분간 염색하였다. 다시 PBST를 이용하여 세 번 씻어준 후 마운팅(mounting) 용액을 넣어주고 커버글래스(coverglass)를 덮었다. 염색된 슬라이드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onfocal microscopy, Ziess)을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a에 도시하였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를 가지고 Axiovert 4.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해안테나(Ahr) 단백질의 발현을 정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b에 도시하였다.
도 2a 및 2b의 결과에서, 담배 추출물만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각질형성세포 에서 공해안테나 단백질(Ahr)을 핵 안으로 이동시켜 공해안테나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 담배 추출물과 함께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공해안테나 단백질이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키고, 동시에 공해 안테나 단백질의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이 공해 안테나 단백질이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상기 단백질의 발현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고련피 추출물과 송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하기 표 1(단위: 중량%)의 조성으로 제형예 1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1. 정제수 잔량
2. 부틸렌글리콜 5.0
3. 베타인 2.0
4. 실시예 1의 고련피 추출물 0.5
5. 실시예 2의 송이 추출물 0.5
6.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7. 폴리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8. 식물성 스쿠알란 5.0
9.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0.5
10. 디메치콘 3.0
11. 사이클로메치콘 5.0
12.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0.5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제형예 1의 제조방법>
1) 성분 1∼5를 고루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였다.
2) 성분 6∼12를 70℃에서 용해하였다.
3) 상기 2)의 유상을 상기 1)의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 社)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다.
4) 상기 3)에 성분 13∼14를 첨가하여 점증하였다.
5)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에서 냉각하였다.
도 1은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의 담배에 의한 멜라닌 생성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고련피 및 송이 추출물의 담배에 의해 발현 증가된 공해안테나를 면역 형광 염색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2b는 상기 이미지를 정량화하여 억제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Claims (5)

  1. 고련피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담배 연기로 인한 멜라닌의 생성 증가 억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 감초추출물,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코지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미백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련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16714A 2009-02-27 2009-02-27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100097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14A KR20100097857A (ko) 2009-02-27 2009-02-27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14A KR20100097857A (ko) 2009-02-27 2009-02-27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57A true KR20100097857A (ko) 2010-09-06

Family

ID=4300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714A Ceased KR20100097857A (ko) 2009-02-27 2009-02-27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8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1195A (zh) * 2013-02-04 2013-06-05 云南茂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松茸活性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4208990A1 (ko) * 2013-06-24 2014-12-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백화고 유래의 에르고스테롤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8059010A (zh) * 2024-02-20 2024-05-24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雪莲花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9837812A (zh) * 2025-01-15 2025-04-18 北京植物医生生物科技有限公司 抑制抗坏血酸葡糖苷变色的组合物及其在抗氧化护肤品中的应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1195A (zh) * 2013-02-04 2013-06-05 云南茂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松茸活性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4208990A1 (ko) * 2013-06-24 2014-12-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백화고 유래의 에르고스테롤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901525B2 (en) 2013-06-24 2018-02-27 Amorepacific Corporatio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containing Lentinula edodes-derived ergosterol
CN118059010A (zh) * 2024-02-20 2024-05-24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雪莲花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8059010B (zh) * 2024-02-20 2024-11-26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雪莲花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9837812A (zh) * 2025-01-15 2025-04-18 北京植物医生生物科技有限公司 抑制抗坏血酸葡糖苷变色的组合物及其在抗氧化护肤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53376B1 (ko) 가는갯능쟁이 추출물 또는 계요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21832B1 (ko) 증삼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9332A (ko) 미백용 합마유 추출물
KR20100097857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6413687B (zh) 含有红景天提取物和银杏提取物的产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3796631A (zh) 含有羟基积雪草苷的皮肤美白组合物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20020035656A (ko)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182765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6144B1 (k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064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정력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102825783B1 (ko) 천연물유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용 화장료 조성물
CN109010112B (zh) 含有作为主要有效成分的人参皂苷y的皮肤外用剂组合物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