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025A - Cap for bottle - Google Patents
Cap for bo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1025A KR20100101025A KR1020090017985A KR20090017985A KR20100101025A KR 20100101025 A KR20100101025 A KR 20100101025A KR 1020090017985 A KR1020090017985 A KR 1020090017985A KR 20090017985 A KR20090017985 A KR 20090017985A KR 20100101025 A KR20100101025 A KR 20100101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ontainer
- neck
- locking projection
- cylindr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71 Aseptic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6 elastome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28 pasteu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96 sports drin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9 sterile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 용기 마개에 격리 수용된 첨가물을 용기로 배출/혼합시키며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을 외부캡과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 mixes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stopper to the container at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outer cap at the second stage of full opening for ease of use and safety. It is about container plug which can be planned.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네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 하단부에 첨가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상단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내부캡과; 상부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면에 면접촉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원통부와, 상기 상부판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네크의 외주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 상기 다수의 배출구는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첨가물이 용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캡의 2단계 완전 오픈시에 상기 외부캡이 내부캡과 함께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opening the upper side and the additive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inserted into the neck,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detachable to the hook projection of the neck An inner cap having a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 first cylindrical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from an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in an axial direction such that a lower end thereof blocks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eck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an outer cap having a screw engag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be screwed, wherein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opened when the first stage part of the outer cap is opened so that the additives in the receiving space ar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The outer cap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ogether with the inner cap when the outer cap is completely opened in two stag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 용기 마개에 격리 수용된 첨가물을 용기로 배출/혼합시키며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을 외부캡과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losure, and in particular, to discharge / mix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closure into the container during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outer cap during the second stage full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ap which can be used for convenience and safety.
음료수나 화장품 등을 담고 있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시킨 내용물을 포함함에 따라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 몸체와, 이 용기 몸체의 입구를 기밀 밀봉하기 위한 용기 마개 또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Containers containing beverages or cosmetics generally include contents of a mixture of various raw materials, so that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s, and a container cap or cap for hermetically seal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Consists of
최근 들어 기능성 음료나 화장품이 출현하면서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는 시점에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구조의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Recently, with the advent of functional drinks or cosmetics, there is a need for a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ixing different contents at the point of use by a consumer.
즉, 대부분의 음료들은 미리 혼합되어 배포되는데, 예를 들어 비타민 C와 같은 비타민들은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또는 수분 또는 물과의 결합에 의해 비교적 빠르게 파괴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감소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민감성 비 타민은 음료를 소비하기 직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비타민 음료의 장기 보관을 위해서는 투명이나 반투명 또는 투습이 잘되는 용기가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That is, most beverages are premixed and distributed, for example, vitamins such as vitamin C are not only destroyed relatively quickly by heat or ultraviolet light or by bonding with water or water, but also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ir contents are reduced. Therefore, sensitive vitamins are preferably added just before consuming the beverage. For the same reason, transparent, translucent or well-permeable containers are often not suitable for long-term storage of vitamin beverages.
이에 따라, 취급이 간편하면서 민감성 활성 첨가물을 기본 음료의 소비 직전에 소비자가 손쉽게 직접 첨가할 수 있는 음료 용기가 개발되었다.Accordingly, beverage containers have been developed that are easy to handle and allow the consumer to easily add the sensitive active additives directly before consumption of the base beverage.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제안되는 종래의 용기 마개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내용물들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나 내부캡이 용기를 밀봉하는 캡이나 뚜껑이 오픈되는 경우 용기 몸체 내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는 구성을 갖는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container closure configuration proposed by this necessity, a partition member or an inner cap that partitions different contents typically has a configuration that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in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ap or lid for sealing the container is opened. .
이러한 구획부재가 수용공간에 내용물과 함께 존재하는 경우 내용물을 음용할 때 내용물의 인출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졸 형태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구획부재가 저부로 가라앉지 못하므로 인출되는 통로를 막는 경우도 발생한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는 음료수를 음용할 때 수용공간에 인입된 구획부재가 음료수와 함께 사용자의 입 속으로 들어갈 가능성도 내재하고 있다.If such a partition member is present together with the contents in the receiving space, there is a problem of preventing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when drinking the contents, and also for the sol-type contents, the partition member does not sink to the bottom, thereby blocking the passage to be drawn out. Also occurs. Moreover, such a structure also has the possibility that the partition memb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drink is drinking enters the user's mouth with the drink.
한편, 특허공개 제2005-69397호에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주입구를 갖는 용기본체, 주입구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저장부재, 및 주입구의 숫나사에 결합되며 나사결합부의 풀림이 소정거리 진행되면 저장부재와 간섭되어 저장부재를 주입구로부터 분리시키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용기마개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Publication No. 2005-69397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having a male injection hol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storage member detachably inserted inside the injection hole, and the male screw of the injection hole, the loosening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proceeds a predetermined distance Disclosed is a container closure including an opening member that interferes with the storage member and separates the storage member from the inlet.
상기 저장부재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되어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수용부의 하단에는 주연을 따라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개 방단에는 수용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외측돌기를 갖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부의 외주연에는 플랜지로부터 소정거리에 주입구의 숫나사와 동일 피치를 갖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메인캡의 암나사형성구간의 최내측에는 수용부의 숫나사에 나사 결합되며 외측돌기와 걸리는 외측걸림돌기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storage member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upper end open and a lower end thereof. A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nd an outer protrus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at an open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flange having a shape is integrally formed, and a male screw having a pitch equal to the male screw of the inle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ange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screwed to the male screw of the receiving portion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female thread forming section of the main cap. The protrusions and the outer locking protrusions that project are projected radially inward.
또한, 상기 개방부재는 수용부의 개방단에 면접촉하는 단부플레이트와, 이 단부플레이트의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주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메인캡과, 단부플레이트의 내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더와, 단부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슬라이더의 상부를 폐쇄하는 마감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member has an end plate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pen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 main cap having an axi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late and screwed to the injection port, and an axial direction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plate. And a slider for axially moving inwardly of the receiving portio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a closing plate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er on the outside of the end plate.
상기 특허공개 제2005-69397호에 개시된 용기마개는 개방부재를 회전시키면, 메인캡의 암나사와 외측걸림돌기는 각각 주입구의 숫나사와 수용부의 숫나사를 따라 나선운동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내측걸림돌기는 수용부의 내면을 따라 마찰하며 슬라이딩 이동하면 슬라이더의 하단이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배출구가 개방되므로 첨가물이 용기본체 내부로 투입되고, 개방부재의 상승이 개시됨과 동시에 단부플레이트가 플랜지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연통공이 개방되어 외기가 첨가물 수용공간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첨가물의 배출이 이루어진다.When the container stopper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2005-69397 rotates the opening member, the female screw and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of the main cap move axially along the male screw and the male thread of the inlet, respectively, and the inner lock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When the friction and sliding movemen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 the lower end of the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outlet opening is opened, so that the additive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and as soon as the opening member is started to rise, the end plate is released from the flange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 Since the open air acts as an additive receiving space, the additive is discharged.
또한, 상승동작이 계속되면 외측걸림돌기가 외측돌기에 닿고, 동시에 내측걸림돌기는 내측돌기에 맞닿게 되어 용기본체는 양호한 시일성능을 유지하게 되어 혼 합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if the ascending operation is continued, the outer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roj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rojection to maintain a good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ntainer body is no leakage of the mixture.
한편, 계속하여 개방부재를 회전시키면 외측걸림돌기의 내주부 선단에 형성되는 외부래칫이 수용부의 내부래칫과 간섭되어 개방부재와 저장부재의 상대회전이 제한되므로 저장부재의 회전을 동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개방부재를 더 회전시키면 메인캡의 암나사가 주입구의 숫나사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방부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저장부재는 개방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주입구로부터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opening member is accompanied by the rotation of the storage member because the external ratchet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end of the outer locking projection interferes with the inner ratchet of the receiving portion to limi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pening member and the storage member. When the opening member is further rotated in the state, the female screw of the main cap is released from the male screw of the injection hol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member and pulls it in the axial direction, the storage member rotates together with the opening member and is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hol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마개는 개방부재의 상승시에 수용부의 플랜지가 단부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면서 단부플레이트의 연통공을 개방시켜 외기로 하여금 첨가물 수용공간으로 작용하여 첨가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losure of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open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nd plate while the flange of the receiving portion falls from the end plate when the opening member is raised, so that the outside air acts as an additive receiving space to discharge the additives. .
이를 위해 종래의 용기마개는 연통공이 형성된 단부플레이트와 마감플레이트 사이에 하나의 공간부와, 단부플레이트와 외측걸림돌기 및 내측걸림돌기 사이에 다른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는 데 이러한 다수의 공간부를 갖는 구성은 수지를 사용한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작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부분품을 제작한 후 부분품을 상호 접합시켜야 하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고, 이는 제조비용의 큰 상승을 요하게 된다.To this end, the container closure is provided with one space between the end plate and the end pl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nd another space between the end plate and the outer locking projection and the inner locking projection. It is a structure that cannot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resin.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such a structure, there is a manufacturing difficulty in that at least two parts are manufactured and then the parts are joined to each other, which requires a larg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또한, 종래의 용기마개는 수용부의 선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단부플레이트가 외측걸림돌기와 내측걸림돌기 사이의 좁은 환형 공간을 통하여 삽입시켜 조립하여야 하나, 첨가물의 배출/혼합을 위한 메인캡의 1단계 상승시에는 단부플레이트가 환형 공간을 실링시키도록 단부플레이트가 환형 공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수용부의 단부플레이트를 환형 공간 내부로 삽입/조립하는 공정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부플레이트가 외측걸림돌기와 내측걸림돌기 사이의 좁은 환형 공간을 통하여 삽입/조립될 때 외측걸림돌기가 수용부의 외부의 숫나사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회전식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제품의 조립 자동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조립 구조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tainer stopper should be assembled by inserting the end plat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distal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a narrow annular space between the outer engaging projection and the inner engaging projection, but at the first step of raising the main cap for discharging / mixing the additives. Since the end plate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nnular space so that the end plate seals the annular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inserting / assembling the end plate of the receiving portion into the annular space is not easy. In addition, when the end plate is inserted / assembled through the narrow annular space between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and the inner locking protrusion,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is screwed with the external male screw of the receiving part, and thus, the assembly of the product is difficult to be automated. It has an assembly structure.
상기 용기마개는 한번 사용 후 재사용의 경우에도 분해/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복잡한 다단 공간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여 재사용을 위한 처리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The container stopp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disassemble / assemble even in the case of reuse after use and has a complicated multi-stage space structur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clean, thereby increasing the processing cost for reuse.
더욱이, 상기 용기마개는 1단계 개방 이후에 계속하여 개방부재를 회전시켜 개방부재를 저장부재와 함께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외측걸림돌기의 선단에 외부래칫을 형성하고 수용부의 단부플레이트 하측에 내부래칫을 형성함에 의해 외부래칫과 내부래칫 사이의 간섭을 발생시켜 개방부재와 저장부재의 상대회전을 제한하고 저장부재의 회전을 동반시키고 있다. 그러나, 좁은 환형 공간에 위치된 외측걸림돌기의 내주부에 외부래칫을 형성하는 것은 사출금형의 설계를 매우 어렵게 하고 정밀금형을 요구하게 되어 금형 제작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container stopper continuously rotates the opening member after the first stage opening to form an external ratchet at the tip of the outer locking projection to separate the opening member from the container body together with the storage member and internal ratchet below the end plate of the receiving portion. By form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outer ratchet and the inner ratchet to limi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opening member and the storage member and accompanied by the rotation of the storage member. However, forming the external ratchet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locking projection located in the narrow annular space makes the design of the injection mold very difficult and requires a precision mol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old manufacturing cost.
또한, 상기 종래의 용기마개는 사용자가 1단계 개방을 완전하게 실시하지 않은 경우는 단부플레이트가 환형 공간을 실링시키지 못하므로 용기 내부의 혼합물 누출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closure, the end plate does not seal the annular space when the user does not completely open the first stage, so that the mixture leakage inside the container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 용기 마개에 격리 수용된 첨가물을 용기로 배출/혼합시키며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을 외부캡과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discharge / mix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stopper in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into the container and inside the second stage full opening The cap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outer cap to provide a container cap which can be used for convenience and safe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 전/후 어느 단계에서도 실링이 유지되어 용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closure in which the sealing is maintained at any stage before / after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so that no leakage of the container occu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캡과 내부캡의 결합시에 형성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의 내부 압력이 용기 내부 및 외기 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 외부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첨가물의 장기보존이 가능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dditive receiving space formed at the time of the combination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is set higher tha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outside air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being mixed into the receiving space for long-term storage of the additive This is to provide a possible container stopp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캡과 내부캡의 결합 및 실링구조가 사출성형이 용이한 구조를 채용함과 동시에 나사결합식 조립 대신에 한번의 푸싱동작으로 외부캡과 내부캡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조립 자동화가 용이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upling and sealing structure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adopt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injection mo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can be easily made by one push operation instead of the screw-assembled assemb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 stopper that facilitates the assembly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 사용 후 재사용의 경우에도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세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stopper that can be easily reused by disassembly / assembly even in the case of reuse after one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 및 2단계 완전 오픈 과정을 거치면서 용기 마개에 격리 수용된 첨가물을 용기로 배출/혼합시킨 후 내부캡을 외부캡과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첨가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음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으며, 내열성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내용물을 용기에 병입한 후 고온살균 과정을 거치지 않는 제품에 적용 가능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 mix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stopper through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and the second stage full opening process of the outer cap into the container and then separate the inner cap from the container with the outer cap to mix the additi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stopper that can be used for drinking or using the prepared mixture, and is applicable to a product which does not undergo a pasteurization process after bottling the contents into the container without using a heat resistant contai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최상측에 환형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의 수용공간에 첨가물이 수용된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네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 하단부에 상기 첨가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상단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내부캡과; 상부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면에 면접촉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원통부와, 상기 상부판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네크의 외주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캡의 부분 오픈시에 상기 다수의 배출구는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첨가물이 용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캡의 완전 오픈시에 상기 외부캡이 내부캡과 함께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neck extending from the container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and formed with an annular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and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additive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In the stopper, the second cylind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open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additive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neck,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is a block of the neck An inner cap having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up; A first cylindrical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from an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in an axial direction such that a lower end thereof blocks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eck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 outer cap having a screw engag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be screwed, wherein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opened upon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such that additives in the receiving space ar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outer cap is fully opened, the outer cap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cap, characterized in that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with the inner cap.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에 상기 외부캡의 완전 오픈시에 상기 나사결합부의 상측 내주부에 배치된 걸림돌기부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걸림돌기와 선단부 내주면에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한다.The engag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neck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and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dispos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when the outer cap is fully open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Include groups.
이 경우, 상기 제2원통부는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하단에 간격을 두고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와, 중앙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된 경사바닥부와, 상기 경사바닥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원통부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연결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cylinder portion has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extending at intervals at a lower end to form the plurality of outlets, an inclined bottom portion with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an axi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bottom por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selectively fitted and selectively further comprises a cylindrical extension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또한, 상기 외부캡의 부분 오픈시에 상기 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사이의 결합력은 경사바닥부의 원통형 연장부와 제1원통부 사이의 결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되고, 상기 외부캡의 완전 오픈시에 걸림돌기부에 의해 제1걸림돌기에 가해지는 상방향 가압력이 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사이의 결합력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at th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of the inclined bottom portion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t the full opening of the outer cap. It is preferable that the upward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by the bas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s.
더욱이, 상기 원통형 연장부에 제1원통부의 하단이 끼움 결합될 때 내부에 상기 첨가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실링 상태로 설정된다.Further, w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fitted to the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additive therein, the receiving space is set to a sealing state.
또한,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부에 환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원통부와의 사이에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제1환형 소돌기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판의 하부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질 때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제2환형 소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rst annular small protrusion protruding annularly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to form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rotruding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annular small protrusion forming a sealing structure when the surface contact is made.
상기 내부캡은 외부캡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률이 큰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cap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elastic strain as compared to the outer cap.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최상측에 환형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네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 하단부에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첨가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상단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환형상으로 제1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 내주면에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내부캡과; 상부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면에 면접촉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원통부와 결합될 때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실링상태로 설정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상부판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네크의 외주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용기 마개의 완전 오픈시에 상기 내부캡과 함께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내부캡의 제1걸림돌기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부가 상측 내주부에 배치된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캡의 부분 오픈시에 상기 다수의 배출구는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첨가물이 용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contained, the container stopp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neck formed with an annular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the top is open and inserted into the neck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in the lower side end portion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neck,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inner cap having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ly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having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of the neck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Sliding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in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block the plurality of outlets in the lower end is selectively sealed when the receiving space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 first cylindrical portion set to be exten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eck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ogether with the inner cap when the container cap is fully opened; And an outer cap having a screw engaging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part of the cap,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f the cap, and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opened when the outer cap is partially opened to add an additive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container cap is provided, which is discharged into an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제2원통부는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하단에 간격을 두고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와, 중앙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된 경사바닥부와, 상기 경사바닥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원통부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연결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 통형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stopper,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is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extending at intervals at the bottom to form the plurality of outlets, the inclined bottom portion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in the center, and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clined bottom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extension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selectively fitted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이 경우, 상기 외부캡의 부분 오픈시에 상기 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사이의 결합력은 경사바닥부의 원통형 연장부와 제1원통부 사이의 결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되고, 외부캡의 완전 오픈시에 걸림돌기부에 의해 제1걸림돌기에 가해지는 상방향 가압력이 걸림돌기의 하측면과 제2걸림돌기 사이의 결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at th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of the inclined bottom portion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t the full opening of the outer cap. It is preferable that the upward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by the base is set larg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s.
또한,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원통형 연장부의 외주부와 상기 원통형 연장부의 외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원통부의 하단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환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제1 환형 소돌기와,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부에 환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원통부와의 사이에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제2환형 소돌기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판의 하부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질 때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제3환형 소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stopper may include a first annular protrusion which protrudes in an annular shape to at least on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and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to form a sealing structure. A second annular protrusion formed in an annular portion protruding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to form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rotruding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hird annular protrusion which forms a sealing structure when the surface contact is made.
더욱이,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나사결합부의 최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부에 다수의 돌기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용기 마개의 오픈시에 분리되어 네크에 잔류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크는 상기 나사결합부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숫나사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커트의 돌기부와 스냅 결합이 이루어지며 용기 마개의 오픈시에 스커트를 분리시켜 네크에 잔류시키는 환형상의 차단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container closure further includes a skirt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at intervals to be separated when the container closure is opened and remain on the neck.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coupling portion and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le thread is formed is a snap coupling with the protrusion of the skirt is mad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nnular blocking projection to separate the skirt at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stopper to remain on the neck. Do.
상기 네크는 상기 걸림돌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나사결합부와 나사 결합이 이 루어지는 숫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내부캡의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숫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캡의 나사결합부가 결합될 때 상호간에 충돌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숫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ck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includes a male thread threaded screw connection and the screw coupling, the locking projection is screwed on the outer cap screwed to the male thread in the coupled state of the inner cap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is mad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le thread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the two when the parts are joined.
또한, 상기 결합부의 제1걸림돌기는 외부캡과 내부캡의 조립시에 나사결합부의 걸림돌기부와 스냅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측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고, 용기 마개의 완전 오픈시에 나사결합부의 걸림돌기부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측면이 결합부의 외주면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결합부의 걸림돌기부는 조립시에 결합부의 제1걸림돌기와 스냅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측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고, 용기 마개의 완전 오픈시에 결합부의 제1걸림돌기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측면이 나사결합부의 내주면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on the upper side so as to make a snap coupl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portion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when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is assembled, the locking portion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when the container stopper fully opened The lower side is formed at right angl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engage the base and the engaging portio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on the lower side so that snap engagement wit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mad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ide is made perpendicula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engagement wit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achieved at the full opening of the container stopper.
더욱이, 상기 용기 마개의 부분 오픈시에 결합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요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걸림돌기부의 상부에 배치된 반구형상의 링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hemispherical ring-shaped protrusion disposed on the locking projection to form a groove in whic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the snap engagement are formed at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container stopper is partially opened.
상기 걸림돌기의 하측면과 제2걸림돌기의 상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제2걸림돌기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where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contact the horizontal surfac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최상측에 환형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돌기의 하측에 숫나사산이 배치된 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분 오픈시에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첨가물이 네크 내부의 용기 본체로 투입되고, 완전 오픈시에 용기 본체로부터 함께 분리되는 내부캡 및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캡은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네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 하단부에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첨가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와;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제2원통부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와; 중앙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고 외주부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연결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사바닥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상단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환형상으로 제1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 내주면에 상기 네크의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neck is formed in the annular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and the male thread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at the time of partial opening It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inside the neck, and includes an inner cap and an outer cap that are separated together from the container body when fully opened, wherein the inner cap is open at the upper end and is accommodated therein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inserted into the neck. A second cylinder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space is discharge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to form the plurality of outlets; An inclined bottom portion having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outer circumference portion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and having a lower end portion connected to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neck,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l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neck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group,
상기 외부캡은 원형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면에 면접촉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연장부와 결합될 때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실링상태로 설정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상부판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네크의 숫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캡의 완전 오픈시에 상기 내부캡의 제1걸림돌기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부가 상측 내주부에 배치된 나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The outer cap is a circular top plate; Sliding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in a surface contact manner so that the lower end is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lock the plurality of outlets to selectively seal the receiving space when combined with the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A first cylindrical portion to be set to; Screws which ext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male thread of the neck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te, the engag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of the inner cap when the outer cap is fully opened A container closure is provided comprising an engagement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내주부에 걸림 요홈을 구비한 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네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 하단부에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첨가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측 외주부에 상기 걸림 요홈에 스냅 결합되는 제1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와, 중앙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고 외주부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제2원통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사바닥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제1걸림돌기 상단 외주부로부터 네크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2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내부캡과; 상부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2원통부의 내주면에 면접촉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다수의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바닥부와 결합될 때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실링상태로 설정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상부판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네크의 외주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용기 마개의 완전 오픈시에 상기 내부캡과 함께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내부캡의 제2걸림돌기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부가 상측 내주부에 배치된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캡의 부분 오픈시에 상기 다수의 배출구는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첨가물이 용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container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stopp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neck having a locking groove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 top is open and inserted into the neck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is discharged and having a first locking protrusion snap-fitted to the locking recess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An inclined bottom portion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and having a lower end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nd extending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neck from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n inner cap having a coupling portion in which a second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Sliding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in a surface contact manner so that the lower end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to block the plurality of outlets to selectively seal the receiving space when combined with the inclined bottom portion. An inner cap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eck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to be set,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ogether with the inner cap when the container cap is fully opened; And an outer cap including a screw engaging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locking portion, the locking protrusion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outlets. Provided is a container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원통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은 용기 본체 내부 및 외부 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is set at a higher pressure than inside and outside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외부캡과 내부캡의 결합구조 및 실링구조가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채용함과 동시에 나사결합식 조립 대신에 한번의 푸싱동작으로 외부캡과 내부캡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한번 사용 후 재사용의 경우에도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The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structure and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are easy to manufac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of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can be easily performed by one push operation instead of the screw-type assembly. Can be reused after washing because it is easy to disassemble / assemble even after reus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하여 용기 마개에 수용된 첨가물을 용기로 배출/혼합하고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이 외부캡과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age part of the outer cap is opened and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p is discharged / mix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ap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outer cap when the second stage is fully open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afety of use. We can plan.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캡의 1단계 부분 오픈 전/후 어느 단계에서도 실링이 유지되어 용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으며, 외부캡과 내부캡의 결합시에 형성되는 첨가물 수용공간의 내부 압력이 용기 내부 및 외기 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 외부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첨가물의 장기보존이 가능하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is maintained at any stage before or after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of the outer cap so that no leakage of the container occurs,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dditive containing space formed when the outer cap and the inner cap are combined is inside the container. And it is set higher than the outside air to block the outside air is mixed into the receiving space is possible long-term storage of the additiv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7은 각각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축방향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제1실시예의 용기 마개에 첨가물을 포장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4 are respectively described the operation operation of the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7 are axial cross-sectional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using the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and FIGS. 8 and 9 are for packing the additive in the container closure of the first embodiment. Process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step by step.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1)는 크게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나사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 외부캡(10)과, 상 기 외부캡(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캡(10)과 함께 그 내부에 첨가물(A)의 수용공간(1a)을 형성하는 내부캡(20)을 포함하고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1 to 7, the
또한, 상기 외부캡(10)의 최하측에는 외부캡(10)과 일체로 형성되나, 용기 마개(1)의 오픈시에 분리되어 네크(6)에 잔류하는 스커트(10a)를 도 5와 같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커트(10a)의 내주부에는 후술하는 네크(6)에 형성된 환형 링 형상의 차단돌기(6c)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돌기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most side of the
상기 스커트(10a)는 제품의 제조업자가 용기 내부에 예를 들어, 액상의 내용물을 담은 상품을 판매자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판매할 때 유통 도중에 제조업자가 제조한 상품의 상태가 훼손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것으로 주지된 기술이다.The
상기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스커트(10a)가 제거된 상태를 가지고 도시되어 있다.1 to 4 are illustrated with the
우선, 용기 본체(5)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원통, 사각통 등의 어떤 형상을 갖는 것도 적용 가능하며, 단지 상측에 입구를 형성하는 원통형 네크(6)에는 그 외주부에 용기 마개(1)와 나사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5)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액상 이외에 화장품 등의 용기인 경우 겔 또는 졸 상태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상기 네크(6)는 도 4 및 도 5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용기 마개(1) 의 오픈시에 외부캡(10)으로부터 분리되어 스커트(10a)를 잔류시키기 위한 환형 링 형상의 차단돌기(6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단돌기(6c)의 하측에는 용기 마개의 조립시에 이용되는 지지대(6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10a)는 차단돌기(6c)와 지지대(6d) 사이의 요홈에 스냅 결합방식으로 삽입된다.The
상기 환형 링 형상의 차단돌기(6c)의 상측에는 1줄 나사 또는 2줄 이상의 다줄 나사의 숫나사산(6a)이 배치되고, 네크(6)의 최상측에는 내부캡(20)의 결합부(22)가 결합되도록 환형의 걸림돌기(6b)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6b)는 내부캡(20)의 일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숫나사산(6a)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캡(10)이 결합될 때 상호간에 충돌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숫나사산(6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upper side of the annular ring-shaped
상기 차단돌기(6c)는 하측면이 네크(6)의 외주부와 이루는 각도가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돌기(6b)의 하측면과 네크(6)의 외주부와 이루는 각도는 용기 마개(1)의 오픈 구조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내부캡(20)의 결합부(22)의 결합 구조를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The blocking
상기 용기 마개(1)는 상기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음용을 위하여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 용기 마개(1) 내부의 수용공간(1a)에 격리 수용된 첨가물(A)을 용기 본체(5)의 내부로 투입하여 내용물에 혼합시키며,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20)을 외부캡(10)과 함께 용기 본체(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용기 마개(1)의 외부캡(10)은 상부면 의 중앙이 주변보다 융기되도록 2단 절곡된 단차부(12a)가 형성된 원형 상부판(12)과, 상부판(12)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네크(6)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11)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결합부(11)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부판(12)의 단차부(12a) 내측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캡(20)과 함께 그 내부에 첨가물(A)의 수용공간(1a)을 형성하는 제1원통부(13)를 포함하고 있다.To this end, the
상기 제1원통부(13)의 외주부와 상부판(12)의 단차부(12a) 내주부 사이에는 환형 요홈(12b)이 형성되며, 요홈(12b)의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An
상기 나사결합부(11)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외주부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될 때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11a)가 돌출 형성되고, 내주부에 네크(6)의 숫나사산(6a)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1줄 또는 2줄 이상의 다줄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산(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사결합부(1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11a) 대신에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요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또한, 암나사산(11b)의 상측 내주부에는 용기 마개(1)의 오픈시에 후술하는 내부캡(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22a)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요홈(11d)을 형성하기 위해 단면이 대략 반구형상의 링형 돌기(11e)와, 상기 링형 돌기(11e)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측면이 나사결합부(11)의 내주면과 사이에 직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22)의 제1걸림돌기(22a)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부(11c)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한편, 용기 마개(1)의 내부캡(20)은 하측에 중앙부가 돌출된 경사바닥부(21) 와, 상기 경사바닥부(2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주면이 상기 제1원통부(13)의 외주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호간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제2원통부(23)와, 상기 제2원통부(23)의 상측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1차 연장된 후 축방향으로 2차 연장되어 2단 절곡되는 결합부(22)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2원통부(23)는 그의 내부에 상기 제1원통부(13)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의 내경은 하단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부(13)는 하단의 외경이 상단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2원통부(23)의 외주부는 제1원통부(13)가 그의 내부에 결합될 때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크의 내주부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상기 경사바닥부(21)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면 형상이 반원형, 라운드형, 원추대형 등과 같이 분말 형태의 첨가물(A)을 자중에 의해 경사바닥부(21)의 측면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도 적용 가능하다. The
상기 제2원통부(23)의 하측에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등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에 따라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배출구(24)의 상측 레벨로 이동하는 경우 수용공간(1a)에 수용된 첨가물(A)이 용기 본체(5)의 내부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배출구(24)는 개방된다. 이 경우, 다수의 배출구(24) 사이에는 도 1 및 도 3에 잘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원통부(23)와 경사바닥부(21)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부(24a)가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또한, 상기 경사바닥부(21)와 제2원통부(23)의 다수의 연결부(24a) 사이에는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홈(25)이 경사바닥부(21)의 외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더욱이, 상기 제2원통부(23)의 하단이 경사바닥부(21)에 결합될 때 다수의 배출구(24)를 차단하면서 수용공간(1a) 내부를 실링 상태로 설정하도록 경사바닥부(21)는 그의 외주부에서 축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연장된 원통형 연장부(21a)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연장부(21a)와 제2원통부(23)의 다수의 연결부(24a) 사이는 상호 연결되어 다수의 홈(25)이 형성된다.Furthermore,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연장부(21a)의 외주부에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끼움 결합될 때 실링 성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연장부(21a)의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실링용 제1 환형 소돌기(21b)를 형성하거나, 제1원통부(13)의 하단 내주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환형 소돌기(13a)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1 환형 소돌기(21b)와 (13a)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원통부(13)의 하단 내주부에만 적어도 하나의 제1 환형 소돌기(13a)를 형성하는 것이며, 대직경의 용기 마개인 경우는 실링용 환형 소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직경의 용기 마개인 경우는 실링용 환형 소돌기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order to reinforce the sealing performance w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이 경우, 상기 원통형 연장부(21a)와 경사바닥부(21)의 하부면에는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상기 원통형 연장부(21a)의 외주부에 끼움 결합될 때 원통형 연장부(21a)와 경사바닥부(21)의 지지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방사형 보강 프레 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더욱이, 제2원통부(23)의 내주부에는 제1원통부(13)의 외주부와 면접촉이 이루어질 때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실링용 제2 환형 소돌기(23b)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판(12)의 하부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질 때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부(22)의 상부면에 실링용 제3 환형 소돌기(22c)를 형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a second
또한, 상기 제2원통부(23)의 최상부에는 실링용 연장부(23a)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캡(20)과 외부캡(10)이 완전 결합될 때 상기 제1원통부(13)의 하부면에 형성된 환형 요홈(12b)에 끼움 결합되어 실링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한편, 상기 제2원통부(23)의 상측으로부터 2단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22)는 용기 마개(1)의 오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즉 용기 마개(1)가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조립된 초기상태일 때 네크(6)의 최상측에 형성된 환형의 걸림돌기(6b)를 감싸도록 환형 요홈(22d)이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초기상태일 때 결합부(22)의 하부면과 네크(6)의 상부 사이에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환형 요홈(22d)은 걸림돌기(6b)가 형성된 네크(6)의 최상측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결합부(22)의 선단 내주부에는 조립시에 걸림돌기(6b)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걸림돌기(22b)가 형성되고, 결합부(22)의 외주부에는 용기 마개(1)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 나사결합부(11)의 요홈(11d)에 스냅결합이 이루어지고, 2단계 완전 오픈시에 걸림돌기부(11c)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걸림돌기(22a)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상기 제1걸림돌기(22a)와 요홈(11d)의 스냅결합과 이에 따른 일시정지는 용기 마개(1)를 회전시킴에 의해 1단계 부분 오픈에 도달한 때를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수용공간(1a)에 수용된 첨가물(A)이 용기 본체(5)의 내부로 투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인식하고 용기를 흔들어서 첨가물(A)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혼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The snap engagement of the
따라서, 상호간에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걸림돌기(22a)와 요홈(11d)의 설정 위치는 도 6과 같이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배출구(24)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구(24)가 개방되는 외부캡, 즉 용기 마개(1)의 1단계 부분 오픈에 도달한 때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Therefore, the set position of the first
한편, 도 6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결합부(22)의 제1걸림돌기(22a)는 외부캡(10)과 내부캡(20)의 조립시에 나사결합부(11)의 걸림돌기부(11c)와 스냅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측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고, 용기 마개(1)의 완전 오픈시에 나사결합부(11)의 걸림돌기부(11c)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측면이 결합부(22)의 외주면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결합부(11)의 걸림돌기부(11c)는 조립시에 결합부(22)의 제1걸림돌기(22a)와 스냅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측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고, 용기 마개(1)의 완전 오픈시에 결합부(22)의 제1걸림돌기(22a)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측면이 나사결합부(11)의 내주면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6, the
또한, 네크(6)의 걸림돌기(6b)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걸림돌기(22b) 사이에는 2단계 완전 오픈에 따라 걸림돌기부(11c)가 제1걸림돌기(22a)에 상방향의 가압력을 인가할 때 쉽게 결합관계가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6b)의 하측면과 제2걸림돌기(22b)의 상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제로(0)보다 더 크게 경사각을 갖고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2걸림돌기(22b)와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캡(20)의 탄성력 및 강성도와 걸림돌기부(11c)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캡(10)의 탄성력 및 강성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tween the locking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외부캡(10)은 강성도가 높고 탄성력이 낮은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내부캡(20)은 상대적으로 강성도가 낮고 탄성력이 높은 탄성체 재료, 예를 들어, 고무, 연질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이와 같이 외부캡(10)과 내부캡(10)을 탄성력이 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걸림돌기(6b)의 하측면과 제2걸림돌기(22b)의 상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탄성력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2단계 완전 오픈에 따라 걸림돌기부(11c)에 의해 제1걸림돌기(22a)에 가해지는 상방향 가압력이 걸림돌기(6b)의 하측면과 제2걸림돌기(22b) 사이의 결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더욱이, 걸림돌기(6b)의 하측면과 제2걸림돌기(22b) 사이의 결합력은 경사바닥부(21)의 원통형 연장부(21a)에 끼움 결합되는 제1원통부(13)의 결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될 때 까지 내부캡(20)의 결합부(22)가 네크(6)의 걸림돌기(6b)에 결합된 사태를 유지하면서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경사바닥부(21)의 원통형 연장부(21a)로부터 끼움 결합이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Furtherm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이하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먼저, 본 발명의 용기 마개(1)는 외부캡(10)의 제1원통부(13) 내부에 첨가물(A)을 담는다. 그 후, 도 8의 상태에서 내부캡(20)을 외부캡(10)의 내부에 단순하게 푸싱시키면 내부캡(20)과 외부캡(10) 사이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내부캡(20)의 제1걸림돌기(22a)가 외부캡(10)의 요홈(11d)에 결합된 도 9의 상태를 거쳐, 내부캡(20)의 제2원통부(23)의 실링용 연장부(23a)가 외부캡(10)의 요홈(12b)에 삽입될 때까지 밀어 넣으면, 제2원통부(23)의 하단부도 경사바닥부(21)의 원통형 연장부(21a)에 끼움 결합되어 완전히 실링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용기 마개(1)의 조립이 한번에 완료된다.First, the
상기와 같이 조립된 용기 마개(1)는 제1 및 제2 원통부(13,23)에 의해 배출구(24)가 차폐되어 내부의 수용공간(1a)이 실링상태를 유지하므로 첨가물(A)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이어서,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상기한 용기 마개(1)를 예를 들어, 오른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나사 결합시키면 도 2 및 도 5와 같이 내부캡(20)의 결합부(22)의 제2걸림돌기(22b)가 네크(6)의 걸림돌기(6b)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스커트(10a) 또한, 차단돌기(6c)와 지지대(6d) 사이의 요홈에 스냅결합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when the
상기와 같이 제2원통부(23)의 하단부가 내부캡(20)의 실링홈(25)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 제1 및 제2 원통부(13,23)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1a) 내부의 압력은 용기 본체(5)의 내부압력 및 대기 보다 더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상태는 용기 내부의 공기 또는 습기, 내용물이 수용공간(1a)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공간(1a)에 수용된 첨가물(A)의 장기간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품이 유통과정을 거쳐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면, 사용자는 용기 본체(5)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용기 마개(1)를 개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tribution process, the user opens the
이 경우, 사용자가 외부캡(10)을 예를 들어,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먼저 외부캡(10)과 스커트(10a)가 차단돌기(6c)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진 후, 회전이 계속되면 도 3 및 도 6과 같이, 제1걸림돌기(22a)가 반구형상의 링형 돌기(11e)를 통과하면서 나사결합부(11)의 요홈(11d)에 스냅결합이 이루어지고, 걸림돌기부(11c)에 걸리어 일시정지가 이루어지면서 1단계 부분 오픈 상태로 설정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 1단계 부분 오픈 상태에 도달하면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배출구(24)의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배출구(24)가 개방되어 용기 마개(1)의 수용공간(1a)에 수용된 첨가물(A)이 용기 본체(5)의 내부로 투입이 이루어진다.When the first stage part is open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그 후, 사용자는 용기를 흔들어줌에 의해 첨가물(A)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혼합한다. The user then mixes the additive A with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by shaking the container.
이어서, 용기 본체(5) 내부의 혼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용기 마개(1)를 용기 본체(5)의 네크(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계속하여 용기 마개(1)를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부(11c)가 제1걸림돌기(22a)에 상방향의 가압력을 인 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그 결과 도 7과 같이 결합부(22)의 자유단부가 들려지면서 제2걸림돌기(22b)가 네크(6)의 걸림돌기(6b)로부터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Subsequently, the
그 후, 용기 마개(1)를 용기 본체(5)의 네크(6)로부터 인출하면 도 4와 같이 용기 마개(1)와 용기 본체(5)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2단계 완전 오픈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 본체(5) 내부의 혼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는 상기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음용을 위하여 1단계 부분 오픈시에 용기 마개(1) 내부의 수용공간(1a)에 격리 수용된 첨가물(A)을 용기 본체(5)의 내부로 투입하여 내용물에 혼합시키며,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20)을 외부캡(10)과 함께 용기 본체(5)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상기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를 채용하면 제조업자는 간단하게 외부캡(10)에 첨가물(A)을 담은 후, 내부캡(20)을 단순 조립하여 용기 본체(5)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employing the
또한, 사용자는 상품을 구입한 후 1단계 부분 오픈 및 2단계 완전 오픈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첨가물(A)을 용기 본체(5)의 내부로 투입하여 내용물에 혼합시킬 수 있고, 용기 마개(1)는 외부캡(10)에 내부캡(20)이 조립된 상태로 함께 용기 본체(5)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naturally add the additive (A) into the interior of the
본 발명에서는 외부캡(10)과 내부캡(20)의 결합시에 형성되는 첨가물(A)의 수용공간(1a) 내부가 용기 내부 및 외부 보다 압력이 더 높게 설정되어 외부공기 또는 습기가 수용공간(1a)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첨가물(A)의 장기보존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a) of the additive (A) formed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캡(20)이 외부캡(10)과 결합될 때 제1 및 제2 원통부(13,23)의 선단부에 의해 용기 마개(1) 내부의 수용공간(1a)을 실링시킴에 의해 용기 본체(5)로부터 수용공간(1a) 내부로 침투하거나 수용공간(1a)로부터 용기 본체(5)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용기 본체(5)와 외부캡(10) 사이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다양한 다중 실링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한 다수의 환형 소돌기(23b,22c)가 내부캡(20)의 제2원통부(23) 및 결합부(22)의 내주부 또는 상측면에 구비되어 실링상태를 보강할 수 있다. 즉, 환형 소돌기(23b)는 용기 마개(1)의 오픈 전 뿐 아니라, 도 6b와 같이 1단계 부분 오픈시에도 제1 및 제2 원통부(13,23) 사이를 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환형 소돌기(22c)는 1단계 부분 오픈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일 때 외부 공기나 습기가 용기 마개(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The plurality of
더욱이, 내부캡(20)의 결합부(22), 특히 제2걸림돌기(22b)는 네크(6)에 조립이 이루어진 경우, 네크(6)의 걸림돌기(6b)에 결합되면서 용기 본체(5)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Moreover,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단계 부분 오픈 전/후 어느 단계에서도 실링이 유지되어 용기 또는 수용공간(1a)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is maintained at any stage before or after the first stage partial opening, so that leakage of the container or the receiving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마개(1)는 한번 사용 후 재사용의 경우에도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하며, 첨가물(A)이 혼합된 혼합물을 일부만 취하고 일부를 남기는 경우 용기 마개(1)를 분리시키는 동작의 역순으로 용기 본체(5)에 용기 마개(1)를 나사 결합시키면 도 2와 같이 설정되어 용기 본체(5)의 내부는 실링상태가 유지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los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isassemble / assemble even in the case of reuse after use, and can be reused after washing, and taking a part of the mixture containing the additive (A) and leaving a portion of the container closure (1 When th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1)는 용기 본체(5)의 네크(6) 및 외부캡(10)과 내부캡(20)의 결합구조 및 실링구조가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에 따라 용기 본체(5)의 네크(6) 및 외부캡(1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내부캡(20)은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체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more, the
또한, 외부캡(10)과 내부캡(20)의 조립과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대한 조립과 분리가 매우 단순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of the
이하에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도시된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조와 작용이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The illustrated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는 외부캡(10)의 하부면에 내부캡(20)의 제2원통부(23)의 실링용 연장부(23a)가 결합되는 요홈(12b)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에서는 외부캡(10)의 하부면에 요홈을 제거하도록 상부판(12)의 단차부(12c)가 제1원통부(13)의 외주에 형성되고, 제2원통부(23)의 실링 용 연장부를 제거하였다.The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는 결합부(22)의 제1걸림돌기(22a)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반구형상의 링형 돌기(11e)와 요홈(11d)이 걸림돌기부(11c)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에서는 반구형상의 링형 돌기를 제거하고, 그 결과 걸림돌기부(11c) 상측의 요홈도 제거하였다.In addition, the
상기한 제2실시예의 변형된 구조는 우선 수용공간(1a)에 대한 실링 구조에 관한 것이나, 이를 제거할지라도 다른 실링구조에 의해 충분한 실링이 이루어지고 그 대신 외부캡(10)과 내부캡(20)의 구조가 더욱 단순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dified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relates to a sealing structure for the receiving
또한, 용기 마개(1)의 개폐시에 제1걸림돌기(22a)와 스냅결합이 이루어지는 요홈(11d)은 이를 제거할지라도 걸림돌기부(11c)에 의한 일시정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작상에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In addition, even when the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는 도 10과 같이 수용공간(1a)에 첨가물(A)이 수용된 상태로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조립되어 사용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도 11과 같이 1단계 부분 오픈 후에 용기를 흔들어서 첨가물(A)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혼합하고, 도 12와 같이 2단계 완전 오픈을 실시하여 용기 내부의 혼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제2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특징 및 이점을 갖게 된다.The second embodiment also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has the same features and advantages as the first embodiment.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용기 마개는 예를 들어, 스포츠 음료 등의 음료 용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용기 본체에 내용물을 주입한 후 87 내지 93도에서 15분 내지 20분 정도 살균 처리과정을 견딜 수 있는 내열재료와 구조로 설계된 것이다. The container closur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beverage containers such as sports drinks, and withstands sterilization treatment for 15 to 20 minutes at 87 to 93 degrees after injecting the contents into the container body. It is designed with heat resistant materials and structures.
그런데, PET와 같은 재질을 용기에 사용하면 고온 살균과정을 진행할 때 60도에서 열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네크 내부에 요홈을 구비하는 경우 요홈도 변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내열성 PET를 사용하는 경우 2차 가공, 즉 크리스탈라이징(결정화) 과정을 통하여 재료의 내열온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By the way, when using a material such as PET in the container when the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process is carried out at 60 degrees heat deformation is made if the groove is provided in the neck of the container body deformation is made also. As a result, when using heat-resistant PET,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through secondary processing, that is, crystallization (crystallization) process.
그런데 상온유통이 이루어지는 생수 등을 담거나 또는 무균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고온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PET와 같은 일반적인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네크 내부에 요홈을 형성할지라도 어떤 2차 가공도 요구되지 않는다.However, if it contains bottled water, which is distributed at room temperature, or is filled with aseptic filling, it is not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process, so any secondary processing is required even if a recess is formed inside the neck of the container body using a common resin material such as PET. It doesn't work.
이하에 설명하는 제3실시예는 용기 본체 내부에 상온 유통이 이루어지는 생수나 무균 충전이 이루어지는 음료를 PET와 같은 일반적인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또는 상기한 2차 가공을 통하여 내열온도를 높인 재료를 사용할 때 이에 적용 가능한 용기 마개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s a case in which a bottled water or a sterile filling beverage having a norm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a container body is produced using a common resin material such as PET or a material having a higher heat resistance temperature through the above secondary processing. The container closure applicable to this when using is described.
도시된 제3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조와 작용이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The illustrated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는 네크(6)의 선단 외주부에 환형의 걸림돌기(6b)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에서는 걸림돌기(6b)를 제거하는 대신에 내주부에 걸림 요홈(6e)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요 홈(6e)과 대향하는 제2원통부(23)의 외주에는 제3걸림돌기(23c)를 형성하였다. 상기 결합부(22)는 걸림돌기(6b)의 제거에 따라 걸림돌기(6b)와 결합되는 제2걸림돌기(22b)를 제거하고 선단부에 제1걸림돌기(22a)만을 남겨 놓았다.The
제3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요홈(6e)과 제3걸림돌기(23c) 사이의 결합력은 경사바닥부(21)의 원통형 연장부(21a)에 끼움 결합되는 제1원통부(13)의 결합력 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될 때 까지 내부캡(20)의 제3걸림돌기(23c)가 네크(6)의 걸림 요홈(6e)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원통부(13)의 하단이 경사바닥부(21)의 원통형 연장부(21a)로부터 끼움 결합이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또한, 2단계 완전 오픈시에 내부캡(20)이 외부캡(10)과 함께 용기 본체(5)의 네크(6)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 요홈(6e)과 제3걸림돌기(23c) 사이의 결합력은 2단계 완전 오픈에 따라 걸림돌기부(11c)에 의해 제1걸림돌기(22a)에 가해지는 상방향 가압력 보다 더 작게 설정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상기한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용공간(1a)에 첨가물(A)이 수용된 상태로 용기 본체(5)의 네크(6)에 조립되어 사용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도 13과 같이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 후에 용기를 흔들어서 첨가물(A)을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혼합하고, 2단계 완전 오픈을 실시하여 용기 내부의 혼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
즉,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시에는 걸림 요홈(6e)과 제3걸림돌기(23c) 사이에 스냅 결합되어 있는 결합력에 의해 내부캡(20)이 네크(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2단계 완전 오픈을 위하여 계속하여 외부캡(10)을 왼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부(11c)가 제1걸림돌기(22a)에 상방향의 가압력을 인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그 결과 결합부(22)의 자유단부가 들려지면서 제3걸림돌기(23c)가 네크(6)의 걸림 요홈(6e)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first stage part of the
그 후, 외부캡(10), 즉 용기 마개(1)를 용기 본체(5)의 네크(6)로부터 인출하면 용기 마개(1)와 용기 본체(5)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2단계 완전 오픈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하게 용기 본체(5) 내부의 혼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상기한 제3실시예에서 외부캡(10)의 1단계 부분 오픈될 때 까지 내부캡(20)을 네크(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변형된 구조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 비하여 결합부(22)의 구조가 좀 더 단순화되어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a structure modified to maintain the
제3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특징 및 이점을 갖게 된다.The third embodiment also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has the same features and advantages as the first embodiment.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외부캡의 상부판 중앙이 주변보다 융기되도록 2단 절곡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단차부 없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tepped portion is bent in two stages so th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of the outer cap is raised from the periphery, but it may be formed without the stepped portion.
또한, 용기 마개에 수용되는 첨가물은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것 뿐 아니라 배출구의 크기를 증가시킴에 의해 입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도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stopper can be used in the form of particles as well as in the form of powder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outlet.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각 용기 마개에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을 수용 보관시키고, 소비자는 취향에 따라 원하는 첨가물이 수용된 용기 마개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음용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의 기능성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nd stores a variety of additives in each container stopper, consumers can easily drink by replacing the container stopper containing the desired additives according to taste,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product accordingly ha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 same.
본 발명은 각 부품의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이 단순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실링 결합구조를 채용하고 있고, 단계적으로 용기 마개를 오픈하여 용기 마개에 수용된 첨가물을 용기 본체 내부의 내용물에 혼합한 후, 내용물과 혼합된 혼합물을 편리하게 음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용기 마개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ealing coupl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simple to assemble, and reusable for each component, and the container cap is opened in steps to mix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p with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then the contents. The mixture is then applied to a container stopper for convenient drinking or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2 to 4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a 내지 도 7은 각각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축방향 단면도, 도 5b는 제1원통부와 경사바닥부 사이의 실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5A to 7 are axial cross-sectional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us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clined bottom portion;
도 8 및 도 9는 제1실시예의 용기 마개에 첨가물을 포장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8 an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of packing the additive in the container closur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용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축방향 단면도,10 to 12 are axial cross-sectional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us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closur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용기 마개 1a : 수용공간1:
5 : 용기 본체 A : 첨가물5: container body A: additive
6 : 네크 6a : 숫나사산6:
6b : 걸림돌기 6c : 차단돌기6b: blocking
6d : 지지대 6e : 걸림 요홈6d:
10 : 외부캡 10a : 스커트 10:
11 : 나사결합부 11a : 미끄럼방지용 돌기11
11b : 암나사산 11c : 걸림돌기부11b:
11d : 요홈 11e : 링형 돌기11d:
12 : 상부판 12a,12c : 단차부12:
13 : 제1원통부 13a,21b,22c,23b : 소돌기13: 1st
20 : 내부캡 21 : 경사바닥부20: inner cap 21: inclined bottom
21a : 원통형 연장부 22 : 결합부21a: cylindrical extension portion 22: coupling portion
22a : 제1걸림돌기 22b : 제2걸림돌기 22a: first jamming
23 : 제2원통부 23a : 실링용 연장부23: second
23c : 제3걸림돌기 24 : 배출구23c: third jammer 24: outlet
24a : 연결부 25 : 홈24a: connection portion 25: groove
Claims (27)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17985A KR20100101025A (en) | 2009-03-03 | 2009-03-03 | Cap for bottle |
| CN2010800104091A CN102361804A (en) | 2009-03-03 | 2010-03-02 | Container cap |
| PCT/KR2010/001291 WO2010101389A2 (en) | 2009-03-03 | 2010-03-02 | Container cap |
| JP2011552882A JP2012519631A (en) | 2009-03-03 | 2010-03-02 | Container lid |
| US13/203,890 US20120000880A1 (en) | 2009-03-03 | 2010-03-02 | Container c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17985A KR20100101025A (en) | 2009-03-03 | 2009-03-03 | Cap for bottl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18437A Division KR20100099660A (en) | 2010-03-02 | 2010-03-02 | Cap for bott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01025A true KR20100101025A (en) | 2010-09-16 |
Family
ID=427101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17985A Ceased KR20100101025A (en) | 2009-03-03 | 2009-03-03 | Cap for bottle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20000880A1 (en) |
| JP (1) | JP2012519631A (en) |
| KR (1) | KR20100101025A (en) |
| CN (1) | CN102361804A (en) |
| WO (1) | WO2010101389A2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7095073A1 (en) * | 2015-11-30 | 2017-06-08 | 성보연 | Container cap assembly |
| US10604306B2 (en) | 2015-11-30 | 2020-03-31 | Dae Suck KANG | Assembled container cap |
| CN112770982A (en) * | 2018-06-08 | 2021-05-07 | 德克索斯饮料有限公司 | Dispenser |
| KR20230150441A (en) * | 2022-04-22 | 2023-10-31 | 임성준 | An ampoule container with a freeze-dried filling of the mix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801315B2 (en) | 2009-10-14 | 2014-08-12 | Cosmopak Usa, Llc | Airless cosmetics applicator with airtight sealing dual cap |
| JP5671381B2 (en) * | 2011-02-28 | 2015-02-18 | 株式会社 佐々木 | container |
| DE102012212359A1 (en) | 2012-07-13 | 2014-01-16 | Ball Packaging Europe Gmbh | Container can,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ainer can |
| KR101295505B1 (en) * | 2012-08-20 | 2013-08-09 | 이영재 | Bottle cap with low end gasket |
| US9795242B2 (en) | 2013-02-14 | 2017-10-24 | Cirkul, Inc. | Additive delivery systems and containers |
| DE202013008357U1 (en) | 2013-09-13 | 2013-11-18 | Ball Europe Gmbh | Container can and holding device |
| CN104648799B (en) * | 2013-11-18 | 2017-01-11 | 株式会社M&D环球 | Container with functional material storage part |
| CN104085600B (en) * | 2014-07-07 | 2016-04-20 | 李士友 | A kind of concentrated fruit liquid rammer |
| CN104150092A (en) * | 2014-08-11 | 2014-11-19 | 曼盛包装(上海)有限公司 | Disposable packaging cover capable of automatically brewing powder inside |
| KR101592816B1 (en) * | 2014-11-10 | 2016-02-05 | 임효빈 | Container cap having reusable containers and Container having its cap |
| US10888826B2 (en) | 2014-11-21 | 2021-01-12 | Cirkul, Inc. | Adjustable additive cartridge systems and methods |
| JP6730298B2 (en) | 2014-11-21 | 2020-07-29 | サーク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irkul, Inc. | Additive cartridge and additive supply system |
| FI126225B (en) * | 2014-12-19 | 2016-08-31 | Limonade Oy | Cap and method for making a soft drink |
| JP2016190642A (en) * | 2015-03-30 | 2016-11-10 | ヒョビン イム | Lid able to mix contents when opened |
| WO2017010809A1 (en) * | 2015-07-13 | 2017-01-19 | 안진희 |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oupled thereto |
| WO2017199024A1 (en) * | 2016-05-18 | 2017-11-23 | Gizmo Packaging Limited |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a liquid in the container |
| CN106219049A (en) * | 2016-08-27 | 2016-12-14 | 康福永 | A kind of bottle of the disposable automatic blending of energy |
| EP3538451B1 (en) * | 2016-11-14 | 2023-08-02 | Gizmo Packaging Limited | Valve arrangement for pressurised tank in a closure device |
| TWI626198B (en) * | 2017-04-14 | 2018-06-11 | Yang Fang Lin | Cover and container having the cover |
| CN108945789A (en) * | 2017-05-18 | 2018-12-07 | 福建奥正投资发展有限公司 | The container closing appliance of the outer outlet misfit formula operated of lid, packing container and its application |
| CN109422005A (en) * | 2017-09-05 | 2019-03-05 | 杨芳林 | Container cover |
| US10258710B1 (en) * | 2017-09-22 | 2019-04-16 | S. C. Johnson & Son, Inc. | Container for holding volatile materials |
| CN112867677B (en) * | 2018-11-07 | 2022-10-04 | 欧莱雅 | Apparatus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products with improved sealing between two containers |
| CN111186624A (en) * | 2018-11-15 | 2020-05-22 | 福建奥正投资发展有限公司 | Material storage and release device and component parts and application thereof |
| WO2020190013A1 (en) * | 2019-03-18 | 2020-09-24 | 우성인팩(주) | Heat insulating container having double cap including air pocket for preventing moisture permeation |
| KR102063614B1 (en) * | 2019-07-25 | 2020-01-08 | 우성인팩(주) | Container equipped with double cap having dampproof air-pocket for acceptor |
| US11926456B2 (en) * | 2019-04-10 | 2024-03-12 | Elc Management Llc | Reconfigurable container-closure system |
| US11884463B2 (en) * | 2019-04-12 | 2024-01-30 | Elc Management Llc | Reconfigurable container-closure system |
| CN111470177A (en) * | 2019-04-13 | 2020-07-31 | 佛山市南方包装有限公司 | A liquid intercommunication mixing bottle cap |
| KR102332817B1 (en) * | 2020-03-16 | 2021-11-30 | (주)연우 | Dual container |
| KR102149667B1 (en) * | 2020-03-26 | 2020-08-31 | 한국콜마주식회사 | Container |
| JP7506183B2 (en) * | 2020-05-15 | 2024-06-25 | アーン・ジンヘ | Container cap and container to which it is attached |
| JP7624718B2 (en) | 2021-07-06 | 2025-01-31 | 大扇産業株式会社 | Sample collection container |
| CN118145168A (en) * | 2022-12-07 | 2024-06-07 | Jc技术株式会社 | Cov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070094A (en) * | 1959-02-25 | 1962-12-25 | Stanley J Sarnoff | Medicament and diluent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
| DE1632445A1 (en) * | 1967-06-05 | 1970-12-10 | Designa Gmbh | Combined mixed storage container for different media |
| JPH0350038Y2 (en) * | 1987-03-06 | 1991-10-25 | ||
| US4878774A (en) * | 1987-08-12 | 1989-11-07 | Sterling Drug Inc. | Valved dispensing applicator |
| CN2307753Y (en) * | 1997-06-16 | 1999-02-17 | 李辉 | Screw-out type bottle cap |
| GB0010436D0 (en) * | 2000-04-28 | 2000-06-14 | Alticosalian Gerald H | Device for storing and releasing a substance |
| US6527110B2 (en) * | 2000-12-01 | 2003-03-04 | Brett Moscovitz |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by mating with a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s |
| JP2004155430A (en) * | 2002-09-10 | 2004-06-03 | Tadashi Nagano | Container with double lid, and the double lid |
| JP4217448B2 (en) * | 2002-09-18 | 2009-02-04 | 正行 牧田 | Bottle cap |
| JP4714696B2 (en) * | 2003-11-22 | 2011-06-29 | リー、ジュン ミン | Bottle lid having storage space for second substance and product using the same |
| KR200363704Y1 (en) * | 2004-07-01 | 2004-10-06 | 임효빈 |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
| JP4557220B2 (en) * | 2005-01-31 | 2010-10-0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Two-component mixing container |
| KR20050098777A (en) * | 2005-08-20 | 2005-10-12 | 이정민 | Lid structure containing heterogeneous materials |
| US7740134B2 (en) * | 2006-05-18 | 2010-06-22 | Theodore Sweeney & Company | Infusion cap with reservoir shiftable downwardly |
| KR20090014069A (en) * | 2007-08-03 | 2009-02-06 | 이성재 | How to attach a cap containing a different substance to the neck of a container |
| KR20090014699A (en) * | 2007-08-07 | 2009-02-11 | 조영국 | Container Caps for Additives |
| WO2009069954A2 (en) * | 2007-11-27 | 2009-06-04 | Jeong-Min Lee | Packing system for the beverage and liquor using the alcohol element |
| JP5306743B2 (en) * | 2008-08-29 | 2013-10-0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Two-component mixing container |
-
2009
- 2009-03-03 KR KR1020090017985A patent/KR20100101025A/en not_active Ceased
-
2010
- 2010-03-02 WO PCT/KR2010/001291 patent/WO201010138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3-02 CN CN2010800104091A patent/CN102361804A/en active Pending
- 2010-03-02 US US13/203,890 patent/US2012000088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3-02 JP JP2011552882A patent/JP2012519631A/en active Pending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7095073A1 (en) * | 2015-11-30 | 2017-06-08 | 성보연 | Container cap assembly |
| US10604306B2 (en) | 2015-11-30 | 2020-03-31 | Dae Suck KANG | Assembled container cap |
| CN112770982A (en) * | 2018-06-08 | 2021-05-07 | 德克索斯饮料有限公司 | Dispenser |
| KR20230150441A (en) * | 2022-04-22 | 2023-10-31 | 임성준 | An ampoule container with a freeze-dried filling of the mix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2361804A (en) | 2012-02-22 |
| US20120000880A1 (en) | 2012-01-05 |
| WO2010101389A2 (en) | 2010-09-10 |
| WO2010101389A3 (en) | 2011-01-20 |
| JP2012519631A (en) | 2012-08-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00101025A (en) | Cap for bottle | |
| KR20100099660A (en) | Cap for bottle | |
| JP2767346B2 (en) | A package with two bottles where the two products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mixed for use | |
| JP6061921B2 (en) |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dditives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 |
| US8584902B2 (en) | Child resistant cap with u-channel component | |
| CN109229829B (en) | Closure and feeding bottle comprising same | |
| CN113226940A (en) | Safety cap bottle assembly | |
| US20130214012A1 (en) | Push-pull closure for a drink container | |
| WO2016019006A1 (en) | Method & system for customizing dispensing of pharmaceuticals | |
| CN109415145B (en) | Container closure with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a liquid in the container | |
| US10457452B2 (en) | Safety capsule for a container | |
| JP2020506124A (en) | Beverage container with dispenser | |
| US8186526B2 (en) | Child resistant closure with a stacking position | |
| EP3464106A1 (en) |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a liquid in the container | |
| US20070284265A1 (en) | Volumetric dispenser | |
| KR20160012490A (en) | Different kind material mixing container | |
| KR101518258B1 (en) | Container plug | |
| KR20120001224U (en) | Binding structure of inner and outer stopper of double bottle cap | |
| JP7242405B2 (en) | discharge container | |
| JP7350442B2 (en) | Two types of mixed dropper container | |
| US6889876B2 (en) | Center dispenser cap assembly | |
| EP2263947B1 (en) | Container with hermetic seal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 |
| KR20190124718A (en) | Beverage container with dispenser | |
| CN104053608B (en) | container with original lid | |
| KR200413210Y1 (en) | Glue container safety plu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6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803 Appeal identifier: 2010101000834 Request date: 20100203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3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AMND | Amendment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0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03 Effective date: 20100803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8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203 Decision date: 20100803 Appeal identifier: 2010101000834 |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1008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20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630 Appeal identifier: 2010201006577 Request date: 2010090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08 Effective date: 20110630 |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110704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00908 Decision date: 20110630 Appeal identifier: 201020100657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 J2X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 PJ200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03 Patent event code: PJ20021S01I Request date: 20110718 Appeal identifier: 2011301001746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013 |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18 Effective date: 20111013 |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11101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718 Appeal identifier: 20113010017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