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997A -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7997A KR20100107997A KR1020090026414A KR20090026414A KR20100107997A KR 20100107997 A KR20100107997 A KR 20100107997A KR 1020090026414 A KR1020090026414 A KR 1020090026414A KR 20090026414 A KR20090026414 A KR 20090026414A KR 20100107997 A KR20100107997 A KR 201001079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ctile
- touch screen
- body case
- main body
- t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촉침의 팁이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경우에 촉침을 터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진동시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물체의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pen, and when the tip of the hand touches the touch screen, the pen type vibrates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surface to present a pen-type touch to feel the touch of an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device and a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에 개구를 가지고 있는 펜 형태의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고, 본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구비된 팁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 구동력에 의해 상기 팁이 진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를 파지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발생시키는 촉침;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로부터 촉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촉감 정보에 따라 촉침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촉감 제어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촉감 제어부에서 생성된 촉침 구동신호에 따라 구비된 촉침을 진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촉감 제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en-shaped main body cas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he tip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the tip provid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case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the tip vibrates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while the tip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thereby holding the main body case. A tactile hand that generates a tactile feeling to the user; A communication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receiving tactile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when the tip contacts the touch screen; A tactile control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generating a tactil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actil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riving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vibrating the tactile hand provided in response to the tactil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tactile control unit, and a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type tactile display device and a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특히, 본 발명은 펜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촉침의 팁이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경우에 촉침을 터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진동시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물체의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form of a pen and when the tip of the stylus contacts the touch screen, the pen is made to vibrate the stylus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the touch screen surface to feel the touch of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t relates to a tactile display device and a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터치 스크린은 스타일리스 펜(stylus pen)이나 사용자의 손으로 특정 영역을 가압하면, 그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전자기기에 그 가압된 위치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일종의 입력 장치이다. The touch screen is a kind of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position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by pressing a specific area with a stylus pen or a user's hand.
그러나, 터치 스크린의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을 가압할 때,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피드백이 없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올바르게 입력이 이루어 졌는지에 대해 알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 presses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creen, there is no feedback transmitt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may not know whether the input is correctly made on the touch screen.
최근에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이 장착되는 전자기기에 진동모터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면, 진동모터가 동작하여 전자기기 전체를 진동시키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또한 사용자는 직접 가압한 영역에 대한 피드백인지는 알 수 없어, 터치 스크린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Recently, in order to cope with thi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motor, and when a user manipulates the touch screen, a vibration motor operates to vibrate the entir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is also does not know whether the user is a feedback to the directly pressed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touch screen is inferior.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에 대해 촉감의 형태를 가지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n-type tactile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feedback having a tactile form to a user's manipulation of a touch screen, and a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촉감 제시 장치는, 한쪽에 개구를 가지고 있는 펜 형태의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고, 본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구비된 팁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 구동력에 의해 상기 팁이 진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를 파지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발생시키는 촉침;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부터 촉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촉감 정보에 따라 촉침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촉감 제어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촉감 제어부에서 생성된 촉침 구동신호에 따라 구비된 촉침을 진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acti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en-type body cas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he tip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the tip provid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case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the tip vibrates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while the tip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thereby holding the main body case. A tactile hand that generates a tactile feeling to the user; A communication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receiving tactile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when the tip contacts the touch screen; A tactile control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generating a tactil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actil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riving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vibrating the stylus provided according to the tactil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tactil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제시 장치의 상기 촉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플랜지형의 단계부; 및 상기 플랜지형 단계부의 한쪽에 본체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봉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후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팁은 플랜지형 단계부의 한쪽에 본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하여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후방 돌출부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진동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ctile hand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shaped step portion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And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ro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on one side of the flange-shaped step, and has a rear projection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e unit, the tip has an opening of the main body case on one side of the flange-shaped step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ear projection by the driving uni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touch to the user holding the main body case by vibrating.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제시 장치의 상기 촉침의 팁은 상기 터치 스크린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hand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제시 장치의 상기 촉침의 팁은 상기 터치 스크린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hand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압전 물질과 전극으로 이루어져 초음파 영역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변위가 발생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연결되어 초 음파 트랜스듀서의 변위에 연동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촉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촉감 정보에 대응되는 상이한 초음파 영역의 구동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ltrasonic transduc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an electrode to generate a displacement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ignal of the ultrasonic region; A moving shaft connected to the ultrasonic transducer housed in the main body case and linked to the displacement of the ultrasonic transducer; And a mover moving along the moving axis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tylu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ltrasonic transducer using driving signals of different ultrasonic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tactil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제시 장치의 상기 트랜스듀셔의 동작 주파수는 1kHz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transducer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1kHz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의 동작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dible frequency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있는 경우에 접촉 부위의 접촉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촉감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기기; 및 한쪽에 개구를 가지고 있는 펜 형태의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며 본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구비된 팁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촉침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에서 전송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접촉 부위의 촉감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촉감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상기 촉침을 진동시키는 촉감 제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to detect the contact coordinates of the contact area when there is a 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to transmit tacti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ontact coordinates; And a stylus having a pen-shaped main body cas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he tip being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having a ti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ain body case. And a tactile display device for vibrating the tactile hand provide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sensation according to the tactile in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touch scree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in a contact stat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촉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접촉 좌표를 입력받아 해당 접촉 좌표에 표시되는 촉감 정보를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출력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의 출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제1 통 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촉감 제시 장치의 촉침이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접촉 좌표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for storing the tactile informa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display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touch coordinates from the touch screen and reads out the tactil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ouch coordinates from a memory and outputs the touch informa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 output of the display control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touch screen detects and outputs contact coordinates when the tactile hand of the tactile presentation device contacts the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는 가상의 촉감제시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 위치가 상기 촉감제시영역 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촉감 제시 장치가 상이한 주파수로 상기 촉침을 진동시키도록 촉감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touch screen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tioned into a virtual tactile display area,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differs in the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is within the tactile display area. And tactile information is output to vibrate the tactile hand at a frequenc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촉감 제시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로부터 촉감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촉감 정보에 따라 촉침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촉감 제어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촉감 제어부에서 생성된 촉침 구동신호에 따라 구비된 촉침을 진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촉침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구비된 상기 팁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팁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팁이 진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를 파지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cti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receives the tactil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when the tip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 tactile control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generating a tactil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actil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driving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vibrating a stylus provided according to a tactil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tactile control unit, wherein the tactile hand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provided through an opening of the main body case. The tip protrudes outward, and the tip vibrates by the driv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tip contacts the touch screen, thereby generating a touch to a user who grips the main body cas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상기 촉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플랜지형의 단계부; 및 상기 플랜지형 단계부의 한쪽에 본체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봉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후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팁은 플랜지형 단계부의 한 쪽에 본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하여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후방 돌출부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진동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ctile hand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shaped step portion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And a protruding rod shape toward one of the flange-shaped step parts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and having a rear protrusion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part, wherein the tip has an opening of the main body case on one side of the flange-shaped step part.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ear protrusion by the driving unit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touch to the user holding the main body cas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상기 촉침의 팁은 상기 터치 스크린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p of the stylus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vibrate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상기 촉침의 팁은 상기 터치 스크린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p of the stylus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vibr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상기 구동부는,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압전 물질과 전극으로 이루어져 초음파 영역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변위가 발생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연결되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변위에 연동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촉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촉감 정보에 대응되는 상이한 초음파 영역의 구동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nic transducer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and composed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an electrode to generate a displacement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signal of the ultrasonic region; A moving shaft connected to the ultrasonic transducer housed in the main body case and interlocked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ultrasonic transducer; And a mover moving along the moving axis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tylu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ltrasonic transducer using driving signals of different ultrasonic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tactil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펜형태의 본체 케이스에 구비된 구동부를 통하여 촉침을 터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으로 진동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이 변화하는 조작감을 제공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is vibra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surface through a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case of the pen type to provide a feeling of operation in which the user's touch is changed. Can be.
본 발명의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en-type tactile presentation device and a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the same. Th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and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를 이용한 촉감인터페이스 시스템(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1000)은 터치 스크린(110)을 구비하여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이 터치 스크린(110)에 접촉되는 경우에 접촉 부위의 접촉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촉감 정보를 촉감 제시 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자기기(100)와, 전자기기(100)에서 전송된 터치 스크린(110)의 접촉 부위의 촉감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촉감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촉침(250)을 터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진동시키는 촉감 제시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110)이 구비된 전자기기(100)는 예를 들어 휴대전 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Audio Layer-3) player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네비게이션, 모니터, ATM(Auto Teller Machine), 게임기, Kiosk 등과 같은 전자기기일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이와 같은 전자기기(100)의 구성은 도1과 2를 참조하면 촉감 제시 장치(200)의 접촉부위의 좌표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110), 터치 스크린(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영상 표시 패널(130), 영상 표시 패널(130)에 표시되는 화면 속의 버튼, 아이콘 등의 대상물체(object)에 대한 표면 촉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70), 터치 스크린(110)에서 촉침(250)의 접촉 부위의 좌표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좌표에 해당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대상물체의 촉감 정보를 메모리(170)에서 읽어와서 출력하는 표시 제어부(150), 표시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촉감 정보를 촉감 제시 장치(20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90)를 구비하고 있다.1 and 2,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서, 터치 스크린(110)은 촉감 제시 장치(200) 등의 외부 물체와의 접촉시에 접촉에 따른 접촉 좌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10)은 접촉식 정전용량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광센서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그리고, 영상 표시 패널(130)은 예를 들어 LCD패널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부분으로, 전자기기(100)의 출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영상 표시 패널(130)은 표시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표시 제어부(150)에 의해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패널(130)은, 예를 들어 버튼, 아이콘, 스크롤바 등과 같이 사용자의 메뉴선택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체를 표시할 수 있다.The
한편, 메모리(170)는 영상 표시 패널(130)을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상의 버튼이나, 아이콘, 스크롤바 등과 같은 대상 물체의 촉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The
그리고, 표시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패널(130)에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110)에서 촉감 제시 장치(200)가 접촉한 접촉 부위의 접촉 좌표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접촉 좌표에 버튼이나, 아이콘이나, 스크롤바 등의 대상물체가 있는지를 판정하여 해당 대상 물체가 있으며 해당 대상 물체의 촉감 정보를 메모리(170)에서 읽어와서 통신부(190)를 통하여 촉감 제시 장치(2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통신부(190)는 표시 제어부(150)에서 입력된 촉감 정보를 촉감 제시 장치(200)의 통신부(2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송하며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TCP/IP, UDP, RF 등의 기타 무선통신 모듈로 대체되어 실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촉감 제시 장치(200)는 한쪽에 개구를 가지는 통상의 본체 케이스(210)와, 본체 케이스(210)에 수용되고 전자기기(100)의 통신부(170)에서 전달되는 촉감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220), 본체 케이스(210)에 수용되고 통신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촉감 정보에 따른 패턴과 크기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촉감 제어부(230), 본체 케이스(210)에 수용되고 촉감 제어부(230)에서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촉침(250)을 터치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진동시키는 구동부(240), 본체 케이스(210)에 수용되고 구동부(240)의 구동에 따라 터치스크린 면에 수직하게또는 수평하게 진동하여 본체 케이스(2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촉감을 발생시키는 촉침(250)을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에서, 통신부(220)는 전자기기(100)의 통신부(190)로부터 촉감 정보를 전송받는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자기기(100)의 통신부(190)와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TCP/IP, UDP, RF 등의 기타 무선통신 모듈로 대체되어 실시 가능하다.Here, the
그리고, 촉감 제어부(230)는 전자기기(100)의 표시 제어부(150)에서 전송된 촉감 정보에 따른 패턴이나 크기를 결정하여 그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240)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구동부(240)는 촉감 제어부(230)에서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촉침(240)을 터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일예로 초음파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여기에서, 초음파 모터는 휴대폰이나 카메라 등의 렌즈 구동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선형 모터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10)에 수용되어 있는 압전 물질과 전극으로 이루어져 초음파 영역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변위가 발생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와, 본체 케이스(210)에 수용되어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에 연결되어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의 변위에 연동하는 이동축(240b)과, 이동축(240b)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240c) 등을 포함한다.Here, the ultrasonic motor is a linear motor mainly used for driving a lens such as a mobile phone or a camera, and consists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an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굴곡 변위를 일으키는 디스크형의 바이모프(bimorph)형 트랜스듀서가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축(240b)은 봉 형태로서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의 변위에 연동하여 상하로 운동한다. 상기 이동자(240c)는 이동축(240b)의 표면에 밀착되어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축(240b)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이동자(240c)는 이동축(240b)의 이동속도에 따라서, 이동축(240b)과 함께 이동하거나 이동하지 않는다.The
상기 구성의 초음파 모터는,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의 변위를 이동자(240c)의 선형적인 변위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로 인가되는 초음파 영역의 구동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이동자(240c)의 변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자(240c)의 수직운동은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와 이동축(240b)의 진동 속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므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240a)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크기가 아니라, 그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선형 운동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ultrasonic motor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nverts the displacement of the
따라서, 초음파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60)의 크기가 크게 감소되며, 저전력, 저소음, 빠른 응답,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Therefore, the size of the
다음으로, 촉침(250)은 분해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플랜지형 단계부(250a)와, 플랜지형 단계부(250a)의 한쪽에 본체 케이스(210)의 외측을 향하여 원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팁(250b)과, 플랜지형 단계부(250a)의 한쪽에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을 향하여 봉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후방 돌출부(250c)를 구비하고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3,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촉침(250)은 구동부(240)의 이동자(240c)에 후방 돌출 부(250c)가 접촉되어 이동자(240c)의 진동에 연동되어 터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진동한다.The
한편, 촉침(250)의 플랜지형 단계부(250a)와 본체 케이스(210) 말단부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스프링(255)을 구비하여 촉침(25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Meanwhile, a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펜형태의 촉감 제시 장치와 그를 이용한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en-type tactil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as follows.
사용자가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을 전자기기(100)의 터치 스크린(110)에 접촉시키면, 터치 스크린(110)은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이 접촉한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를 검출하여 표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그러면, 표시 제어부(150)는 촉감 제시 장치(200)가 지시하고 있는 좌표를 터치 스크린(110)에서 입력받아 촉감 제시 장치(200)가 접촉한 터치 스크린(110)의 해당 좌표에 아이콘인, 스크롤바 등의 대상 물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Then, the
표시 제어부(150)는 판단 결과, 대상 물체가 있으면 대상 물체에 해당하는 촉감 정보를 메모리(170)에서 읽어와서 통신부(190)를 통하여 촉감 제시 장치(200)의 통신부(220)로 전송한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the
이처럼 메모리(170)에 대상 물체의 촉감 정보를 저장해두면 표시 제어부(150)가 메모리(170)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촉감 정보를 생성하여 촉감 제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tactile information of the target object is stored in the
한편, 촉감 제시 장치(200)의 통신부(220)는 전자기기(100)의 통신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촉감 정보를 전송받아 촉감 제어부(23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그러면, 촉감 제어부(230)는 전송받은 촉감 정보에 해당하는 패턴과 크기를 갖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240)에 제공한다.Then, the
구동부(240)는 촉감 제어부(230)에서 입력되는 패턴과 크기에 따라 구비된 초음파 모터가 동작하여 대응되는 힘을 촉침(250)에 전달하면 촉침(250)이 터치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진동한다.The
그러면, 촉감 제시 장치(200)의 본체 케이스(210)의 외부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는 촉감이 전달된다.Then, the touch is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holding the outside of the
이처럼, 촉감 제어부(230)는 전자기기(100)로부터 사용자의 가압 위치에 대한 촉감 정보를 수신하고, 그 촉감 정보에 따라 구동부(240)가 촉침(250)을 상이한 주파수로 진동시키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As such, the
즉, 촉감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가압하는 가압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그에 따라 구동부(240)의 동작 주파수를 달리하여,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의 촉감이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과 같은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도 4,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장치(1000)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가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에 접촉하여 그 표면 상을 이동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110)이 손가락의 이동하는 속도(Vm) 보다 느린 속도(Vv)로 진동한다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의 질감에 따른 촉감과 함께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마찰력(F)을 느낄 수 있다.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동하는 속도(Vm')보다 터치스크린(110)이 더 빠른 속도(Vv')로 진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마찰력(F')을 느낄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스크린(110)의 표면의 마찰력이 감소한 것과 같은 촉감을 느낄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5, when the
한편, 사람의 피부에는 여러 수용기들이 존재하며, 각각의 수용기들은 주파수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뇌로 전달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진동을 수용하는 파시니 소체(Pacinian corpuscule)는 10 ~ 500 Hz범위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receptors on the human skin, and each receptor can transmit different information to the brain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Among them, the Pacinian corpuscule, which receives vibrations, can detect vibrations in the 10 to 500 Hz range.
따라서, 500 Hz이상으로 터치 스크린(110)을 진동시킨다면, 사용자에게 진동이 아닌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의 마찰력의 감소로 인한 촉감이 변화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사용자에 따라 진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주파수는 조금씩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kHz이상의 주파수로 터치 스크린(110)가 진동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의 촉감이 변화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user, the frequency of the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as vibration may be slightly different. For example, when the
또한, 가청주파수인 20kHz이상에서 터치 스크린(110)이 진동한다면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의 촉감이 변화된 정보만을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이와 같은 동작원리는 터치 스크린(110)에 촉감 제시 장치(200)가 접촉하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110)을 진동시키기 않고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을 진동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촉감 제시 장치(20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촉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The operation principle is the same in the case of vibrating the
그리고,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을 진동시키는 방법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vibrating the
이것을, 촉감 제시 장치(200)의 본체 케이스(2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하 방향이 된다.When this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이와 같이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을 터치 스크린(110)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시키면 터치스크린(110)과 촉침(250) 사이에 마찰력 감소 현상이 발생된다.As such, when the
그 결과, 촉감 제시 장치(200)와 터치 스크린(110)의 사이에 마찰력의 변화가 발생하고, 촉감 제시 장치(20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110)에서 다양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As a result, a change in friction force occurs between the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을 진동시키는 방법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6B, the
이것을, 촉감 제시 장치(200)의 본체 케이스(2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우 방향이 된다.This will be described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이처럼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침(250)을 터치 스크린(110)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진동시키면 터치스크린(110)과 촉침(250) 사이에 마찰력 감소 현상이 발생된다.As such, when the
그 결과, 촉감 제시 장치(200)와 터치 스크린(110)의 사이에 마찰력의 변화가 발생하고, 촉감 제시 장치(20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110)에서 다양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As a result, a change in friction force occurs betwe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된 경우의 제1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휴대전화(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고, 영상 표시 패널(130)을 통해 휴대전화(400)의 동작을 출력하며, 촉감 제시 장치(200)는 촉침(250)의 진동에 의해 촉감이 변화하는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when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패널(130)을 통해 복수의 아이콘(410)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아이콘(410)은 격자 형태를 가지며, 영상 표시 패널(1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때, 표시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10)의 일부를 가상의 촉감제시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 a plurality of
촉감제시영역(420)은 터치스크린(110)의 일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영역으로, 사용자에게 촉감제시영역 내에서 터치스크린(110)의 표면의 촉감을 터치스크린(110)의 표면 가운데 촉감제시영역외의 영역의 촉감과 다르게 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할 수 있다. The
촉감제시영역은 영상표시패널(130)상에 표시되는 아이콘(410) 또는 스크롤바(415)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표시되는 영상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The tactile display area may be set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image displayed to receive information by a user's manipulation, such as an
예를 들어, 영상표시패널(130) 상에 아이콘(410)이 표시되면, 촉감제시영 역(420)은 아이콘(410)이 표시되는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아이콘(410)의 위치 및 형상과 같이 터치스크린상에 설정될 수 있으며, 그와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 가운데 아이콘(410)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즉, 촉감제시영역(420)은 복수의 아이콘(4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 제어부(150)는, 가압 위치가 촉감제시영역(420) 외에 있는 경우,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감 제어부(230)에 촉감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That is, the
그러나, 터치스크린(110)의 가압 위치가 촉감제시영역(420) 내에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150)는, 구동부(240)가 500Hz이상으로 촉침(250)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촉감 제어부(230)에 촉감정보를 제공한다. However, when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따라서, 사용자의 촉감 제시 장치(200)가 복수의 아이콘(410)을 드래그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아이콘(410) 사이에서는 아이콘(410)이 형성된 부분과 상이한 촉감을 느끼게 되어, 터치스크린(110)의 표면이 촉감이 상이한 가상의 영역으로 구획된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s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된 경우의 제2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패널(130)은 휴대전화(400)에 저장된 사진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일측에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410)을 길이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when the
복수의 아이콘(410) 사이에는 촉감제시영역(420)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10)의 가압 위치가 촉감제시영역(420) 내에 있는 경우, 표시 제어 부(150)는 촉감 제시 장치(200)의 촉감 제어부(230)에 촉감 정보를 제공하여 촉감 제어부(230)가 구동부(24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촉침(250)이 500Hz이상으로 진동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의 표면의 촉감이 변화된 것과 같은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It may be divided into a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된 경우의 제3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패널(130)에는 복수의 아이콘(41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촉감제시영역(420)은 아이콘(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형태로 터치스크린(110)의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9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operation when the
터치스크린(110)의 가압 위치가 촉감제시영역(420) 내에 있는 경우, 촉침(250)는 500Hz이상으로 진동하여, 사용자는 아이콘(410)의 가장자리의 경계 부분의 촉감이 상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아이콘(410)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촉감으로 아이콘(410)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도 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된 경우의 제4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패널(130)에는 가로로 연장된 형태의 복수의 아이콘(410)이 세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촉감제시영역(420)은 복수의 아이콘(410)이 인접하고 있는 부분에, 아이콘(410)이 가로로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10 is a view showing a fourth operation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10)의 표면을 상하로 드래그하면, 아이 콘(410)이 표시되는 영역과, 아이콘(410) 사이의 영역에서 상이한 촉감을 느낄 수 있어, 영상표시패널(130)에 표시되는 영상과 일체감을 가지는 조작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drags the surface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된 경우의 제5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400)에 저장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영상표시패널(130)에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스크롤바(415)가 가로로 표시될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fth operation when the
이 때, 촉감제시영역(420)은 스크롤바(415)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촉감제시영역(420)은 스크롤바(415)를 따라 서로 이격되며 배치되어, 터치 스크린(110)의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따라서,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 스크롤바(415)를 드래그 하면, 사용자의 촉감 제시 장치(200)가 스크롤바(415)를 따라 가는 동안 상이한 촉감을 느낄 수 있어, 촉감이 변화하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drags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된 경우의 제6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400)에 저장된 음원파일을 저장할 때, 환형의 형태를 가지는 스크롤바(415)가 영상표시패널(130)에 표시될 수 있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xth operation when the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촉감제시영역(420)은 스크롤바(415)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110) 상에 스크롤바(415)가 연장되는 원형의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촉감 제시 장치(200)가 환형의 스크롤바(415)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이한 촉감을 느끼게 되어, 사용자는 촉감이 변화하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로 휴대전화(400)가 사용되는 경우의 제7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400)의 게임기능을 실행하여, 피아노 건반이 영상표시패널(13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건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아이콘(410)일 수 있으며, 촉감제시영역(420)은 피아노 건반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eventh operation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는 건반 사이의 터치스크린(110)를 터치하는 동안 상이한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10)의 표면의 촉감이 변화되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may feel a different touch while touching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of FIG.
도 3은 도 1의 촉감 제시 장치의 내부 투영도.3 is an internal projection of the tactile presentation device of FIG.
도 4,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제시 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제시 장치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6A and 6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driving method of a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제1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제2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제3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제4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10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제5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 대전화의 제6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a sixth operation of a mobile phone to which a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휴대전화의 제7 동작을 나타낸 도면.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eventh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to which the tactil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터치 스크린 130 : 영상 표시 패널110: touch screen 130: image display panel
150 : 표시 제어부 170 : 메모리150: display control unit 170: memory
190 : 통신부 210 : 본체 케이스190: communication unit 210: body case
220 : 통신부 230 : 촉감 제어부220: communication unit 230: tactile control
240 : 구동부 250 : 촉침240: drive unit 250: tactile
260: 전원 공급부260: power supply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6414A KR20100107997A (en) | 2009-03-27 | 2009-03-27 |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6414A KR20100107997A (en) | 2009-03-27 | 2009-03-27 |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07997A true KR20100107997A (en) | 2010-10-06 |
Family
ID=4312963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26414A Ceased KR20100107997A (en) | 2009-03-27 | 2009-03-27 |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107997A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96894A (en) * | 2013-01-29 | 2014-08-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puttun devuce and mobile terminal conrtolled by the inputting device |
| KR20140099124A (en) * | 2013-02-01 | 2014-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KR20150034059A (en) * | 2013-09-25 | 2015-04-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of applying haptic function to elelctronic frindle and electronic frind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writ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
| KR101508134B1 (en) * | 2013-04-22 | 2015-04-07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Touch pen for providing traveling vibrotactile feedback |
| KR101652027B1 (en) * | 2015-08-12 | 2016-08-29 |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 Apparatus for providing force feedback by analyzing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 or user at a remote place |
| KR20170017678A (en) | 2015-08-06 | 2017-02-15 | 박인철 | Detachable electronic pen |
| KR20170018658A (en) * | 2015-08-10 | 2017-02-2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Haptic Styles Pen having Sense of a Variety of Handwriting |
| EP4030268A1 (en) * | 2021-01-15 | 2022-07-20 | Société BIC | Writing instruments, methods and systems comprising the same |
-
2009
- 2009-03-27 KR KR1020090026414A patent/KR2010010799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96894A (en) * | 2013-01-29 | 2014-08-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puttun devuce and mobile terminal conrtolled by the inputting device |
| KR20140099124A (en) * | 2013-02-01 | 2014-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KR101508134B1 (en) * | 2013-04-22 | 2015-04-07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Touch pen for providing traveling vibrotactile feedback |
| KR20150034059A (en) * | 2013-09-25 | 2015-04-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of applying haptic function to elelctronic frindle and electronic frind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writ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
| KR20170017678A (en) | 2015-08-06 | 2017-02-15 | 박인철 | Detachable electronic pen |
| KR20170018658A (en) * | 2015-08-10 | 2017-02-2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Haptic Styles Pen having Sense of a Variety of Handwriting |
| KR101652027B1 (en) * | 2015-08-12 | 2016-08-29 |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 Apparatus for providing force feedback by analyzing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 or user at a remote place |
| EP4030268A1 (en) * | 2021-01-15 | 2022-07-20 | Société BIC | Writing instruments, methods and systems comprising the same |
| WO2022152466A1 (en) * | 2021-01-15 | 2022-07-21 | Societe Bic | Writing instruments, methods and systems comprising the same |
| US12399579B2 (en) | 2021-01-15 | 2025-08-26 | SOCIéTé BIC | Writing instruments with integrated data handling and haptic feedback subsystem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087022B2 (en) | Human computer interface system | |
| JP6546301B2 (en) | Multi-touch device with dynamic haptic effect | |
| US9170649B2 (en) | Audio and tactile feedback based on visual environment | |
| US9983676B2 (en) | Simulation of tangible user interface interactions and gestures using array of haptic cells | |
| KR101081586B1 (en) | Tactile Presentation Interface Device | |
| EP2889717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 |
| KR20100107997A (en) |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 |
| JP5660580B2 (en) | Electronics | |
| KR20100074695A (en) | Touch sensitive interface device | |
| US2011026718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user | |
| US2011026729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user | |
| US20140340326A1 (en) |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system | |
| KR20160043503A (en) |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device with rigid component | |
| JP2014222488A (en) |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system | |
| WO201408150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e or state awareness with programmable surface texture | |
| JP2011048686A (en) | Input apparatus | |
| KR20120115159A (en) | Tactile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 |
| KR20100107996A (en) | Pen type tactile representive device having touch face and tactile interface system using thereof | |
| KR101019163B1 (en) | mouse | |
| KR101054939B1 (en) | Tactile Interface Device | |
| JP4736605B2 (en) |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033954B1 (en) | Interface device control method for tactile display | |
| KR20110030517A (en) | Touch sensitive interface device | |
| KR20090122571A (en) | Input feedback method on touch screen and device using same | |
| JP5198834B2 (en) | INPUT / OUTPUT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INPUT / OUTPUT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