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577A - Cup set having a sterilization self-cleansing and function - Google Patents
Cup set having a sterilization self-cleansing and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1577A KR20100111577A KR1020090030079A KR20090030079A KR20100111577A KR 20100111577 A KR20100111577 A KR 20100111577A KR 1020090030079 A KR1020090030079 A KR 1020090030079A KR 20090030079 A KR20090030079 A KR 20090030079A KR 20100111577 A KR20100111577 A KR 201001115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light emitting
- ultraviolet light
- power switch
- emitt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075 super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65648 Campanula me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142 Salmon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598 Vibr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1 hydrophobic surfa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 A47G2200/186—Time meter; tim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을 형성시켜 오염물질 부착을 방지하여 컵 내,외부의 잔유물 제거뿐만 아니라 살균 및 자정(自淨)기능을 갖는 컵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set having sterilization and self-cleaning functions as well as removal of residues inside and outside the cup by forming a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to prevent contamination. .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컵; 및 컵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지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천공된 홈이 형성된 트레이 형상의 컵받침상판; 및 돌출부 상단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자외선발광수단과; 돌출부상단에 연장 설치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압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시 컨트롤부의 제어를 받아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자외선발광수단을 발광시키는 발광구동부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으로 인해 자외선발광수단이 발광되었을 시 그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와;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 되면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만 자외선발광수단을 발광되게 제어하는 컨트롤부; 을 포함하고 컵받침상판으로부터 유입되는 잔유물이 수거되는 물받이본체; 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컵 내, 외부에 잔존하는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살균등의 기능적 요소를 추가하여 컵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컵의 청결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up with a drink inside; And a tray-shaped cup support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upport part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support the cup, and having groove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rotrusion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A power switch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to control a voltage supply of the power supply; A light emitting driver to emi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by us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witch is “on”; A timer for counting the time whe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emits light due to the " on " of the power switc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to emit light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timer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Drip body including a remnant flowing from the cup top plate is collected; It consists of.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residue remaining inside and outside the cup be easily removed, but functional elements such as UV sterilization can be added to prevent the cup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bacteria and improve the cleanliness and hygiene of the cup.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을 형성시켜 컵 내, 외부에 오염불질 부착을 방지하여 살균 및 자정(自淨)기능을 갖는 컵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컵을 뒤집어 이격지지부에 지지시킬 경우 상기 컵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이격지지부와 컵을 최소한으로 접촉시킴과 동시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잔존하는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받침상판 바닥면과 컵이 이격되어 형성된 유로로 외부공기가 유통되어 언제나 빠른 자연건조가 이루어지고, 자외선살균 등의 기능적 요소를 추가하여 컵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컵의 청결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컵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set having sterilization and self-cleaning functions by forming a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to prevent fouling adh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cup. When the cup is supported upside down, the cup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minimize contact between the cup and the cup,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various foreign matters from adhering to it. It is a channel formed by the cotton and cup spaced apart so that the outside air is always rapidly dried, and functional elements such as UV sterilization can be added to prevent the cup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germs and improve the cleanliness and hygiene of the cup. It is about a cup set.
일반적으로 컵세트는 컵과 컵을 지지하는 컵받침으로 이루어진다. 컵 예컨대 찻잔은 사람이 음료를 마시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고, 컵받침은 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자기 또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제작되어 표면에는 그림 등을 인쇄하여 심미감을 부여하고 가정이나 사무실, 음식점 등에서 아주 빈번하게 사용 되는 물건이다. In general, a cup set consists of a cup and a coaster supporting the cup. A cup, for example, a mug, is used as a tool for a person to drink a drink, and a coaster is used to support a cup. It is made of ceramics, metal, plastic, glass, etc., and it prints pictures on the surface to give an aesthetic sense. It is very frequently used in restaurants and restaurants.
이러한 컵세트는 사용자들의 식생활과 직접 관련되는 것이므로 위생적으로 매우 청결히 유지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시된다. Since such cup set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eating habits of users, it is important to keep them very clean and hygienic.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일회용 컵 사용을 자제하고 개인컵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바, 상기 컵은 하루에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므로 외부의 원인으로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의 매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세척 및 살균해 주어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worldwide, the use of disposable cups is discouraged and the use of individual cups is recommended. Since the cups are frequently used daily, they can be easily contaminated by external causes. Frequent washing and sterilization should be possible because it can be a carrier of bacteria.
컵세트의 오염도와 오염성질에 따라 세제와 기구적 원조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세척 환경이 갖추어져 세척에 많은 어려움이 없으나 개인별로 사용하는 컵의 경우에는 즉, 사무실 등에서 개개인이 사용하고 있는 컵은 세척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자주 세척하지 않고 잔존물이 남아있는 상태로 방치하거나 덮개로 덮어 놓고 사용하고 있다. 상기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면 컵에서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러한 번식된 세균이 묻어 있는 컵을 사용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비브리균, 살모넬라균, 대장균 등의 세균의 성장과 번식이 빠른 관계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심하였다. Depending on the contamination and contamination of the cup set, additional detergent and mechanical assistance are needed. In the home or restaurant, there is no difficulty in washing because the clean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but in the case of individual cups, that is, the cups used by individuals in the office, etc., do not wash frequently due to the hassle of washing. It is left unattended or covered with a cover. When left in the above state for a long time, the bacteria are multiplied in the cup,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use of the cup is buried with the propagated bacteria to harm the health of the user. In particular, in the summer of high temperature due to the rapid growth and reproduction of bacteria such as Vibrio, Salmonella, Escherichia coli, the above problems were more severe.
즉, 여러 종류의 음료 등을 컵에 담아 사용한 후에 세균 등이 침입하게 되는 경우, 또는 컵을 깨끗이 자주 세척하지 않으면 컵 내부가 오염되어 그 내부에 담기는 음료 등에 세균이 침투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어 이와 같은 관리 중의 컵을 위생적으로 세척, 살균하여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at is, when various types of beverages are used in a cup and bacteria are infiltrated, or if the cups are not cleaned frequently, the inside of the cup may be contaminated and bacteria may penetrate into the beverag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eans for hygienically cleaning, sterilizing and managing the cups under such management.
한편, 가정이나 일부 음식점 등에서는 컵을 뒤집어 올려놓는 받침대나 자외선 살균기를 사용하여 다량의 컵을 보관하거나 살균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받침대는 비위생적이고, 살균기는 컵을 살균기 내부에 보관하여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기구물의 부피가 크고 고가로 개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았다. On the other hand, at home or in some restaurants, a large number of cups are stored or sterilized by using an upside down stand or UV sterilizer. However, the stand is unsanitary, and the sterilizer is used to keep the cup inside the sterilizer to sterilize it. Therefore, the bulk of the equipment was expensive and expensive for individuals to use a lot of problems.
이러한 문제의식은 이제까지 오랫동안 묻혀있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 수단은 특별히 제시된 바 없음을 단언한다. Such a sense of problem has been buried for a long time, and no concrete solution has been suggested.
상술한 종례의 컵 및 컵받침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컵을 바로 또는 뒤집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테두리부에서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지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천공된 홈이 형성된 컵받침상판과 상기 컵받침상판과 물받이본체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컵에서 흘러내리는 잔유물을 중앙부 홈을 통해 배수시키는 컵받침상판 구조를 제공하며,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aforementioned cup and saucer,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edge portion to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cup can be supported immediately or upside dow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upport parts are formed to protrude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the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up plate top plate and the cup plate top plate and the drip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 residue flowing down from the cup to the center groove Provides a cupboard top structure for draining through
이에 더 확장하여 상기 컵 및 컵받침상판, 물받이본체에는 각각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이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고 컵에 잔존하는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조사시켜 자외선의 강력한 살균작용에 의하여 컵과, 컵받침상판, 물받이본체에 서식하는 세균을 보다 완벽히 제거하여 자주 세척하지 않아도 위생적인 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자외선 조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컵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up, the cup top plate, and the drip tray body are formed with hydrophobic or super hydrophobic surfaces, respectively, to prevent adhesion of contaminants and to easily remove residues remaining in the cup. The strong sterilization effect eliminates the bacteria inhabiting the cup, the cup top plate, and the drip tray body more completely so that the sanitary cup can be used without frequent clean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t of cup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컵을 바로 또는 뒤집어 올려놓고 컵 내,외부의 잔유물 제거뿐만 아니라 살균 및 자정기능을 갖는 컵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set having a cup placed upside down or upside down, and having sterilization and self-cleaning functions as well as removing residues inside and outside the cup.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컵, 컵받침상판, 물받이본체에 각각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을 형성시켜 오염물질 부착을 방지하고, 컵을 이격지지부에 바로 또는 뒤집어 지지시킴으로서, 컵 내,외부에 각종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컵 내,외부에 잔존하는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살균등의 기능적 요소를 추가하여 컵이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컵의 청결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on the cup, the cup top plate, and the drip tray body to prevent contaminant adhesion, and supports the cup directly or inverted to a spaced support, thereby preventing various contaminants from inside and outside the cup. It prevents sticking and can easily remove residues remaining inside and outside the cup, and also adds functional elements such as UV sterilization to prevent the cup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bacteria and improve the cleanliness and hygiene of the cup. .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컵을 이격지지부에 바로 또는 뒤집어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어서, 컵 내,외부에 각종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컵 내, 외부에 잔존하는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받침상판에 형성된 유로로 외부 공기가 유통되므로서 언제나 위생적인 컵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can support the cup directly or inverted from the spaced apart support part, thereby preventing various contaminants from adhering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up, and easily remaining residues inside and outside the cup. Not only can it be removed, but also the external air flows through the flow path formed in the cup top plate, thereby providing a sanitary cup at all times.
또, 컵 및 컵받침상판을 포함한 물받이본체에는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을 형성시켜 자주 세척하지 않아도 자정작용으로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컵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p tray body including the cup and the cup top plate may provide a cleaner and hygienic cup set by the self-cleaning action without frequent cleaning by forming a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또, 자외선을 조사시켜 강력한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컵을 통해 병원균 등이 인체에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commerciality of the product by preventing the pathogens, such as pathogens through the cup to the human body by making a strong sterilization effec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은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200, 200‘, 200“)을 형성시켜 오염물질 부착을 방지하여 컵 내,외부의 잔유물 제거뿐 만 아니라 살균 및 자정기능을 갖도록 한 컵세트(100)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set 100 having a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200, 200 ', 200 ") to prevent contaminant adhesion to remove residues inside and outside the cup, as well as to have sterilization and self-cleaning functions. As,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컵(90); 및
컵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지지부(111)가 형성되고, 중앙부(115)에 천공된 홈(112)이 형성된 트레이 형상의 컵받침상판(110); 및 A tray-shaped
돌출부 상단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자외선발광수단(150)과; 돌출부 상단에 연장 설치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압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80)와; 상기 전원스위치(180)의 “온”시 컨트롤부(170)의 제어를 받아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자외선발광수단(150)을 발광시키는 발광구동부(190)와; 상기 전원스위치(180)의 “온”으로 인해 자외선발광수단(150)이 발광되었을 시 그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160)와; 상기 전원스위치가(180) “온” 되면 타이머(160)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만 자외선발광수단을 발광 되게 제어하는 컨트롤부(170);을 포함하고 컵받침상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잔유물이 수거되는 물받이본체(1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UV light emitting means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on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A
본 발명에 있어서, 컵(90) 및 컵받침상판(110)을 포함한 물받이본체(120) 표면은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또한, 컵(90) 및 컵받침상판(110)을 포함한 물받이본체(120) 표면은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200, 200‘, 2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상기 컵세트(100)은, 컵받침상판 이격지지부(111) 위에 컵을 바로 또는 뒤집어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또한, 상기 컵세트(100)은, 컵받침상판 이격지지부(111) 위에 컵을 뒤집어 지지시키고 중앙부 홈(112)을 통해 하부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또, 상기 컵받침상판(110)과 상기 물받이본체(120)가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컵받침상판(110) 내부 바닥면(117)은, 컵에서 흘러 내려온 잔유물을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을 통해 배수 되도록 하기 위해 테두리부(114)에서 중앙부(115)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컵받침상판(110)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은, 컵에서 흘러 내려온 잔유물을 배수시키는 동시에 전원스위치(180)가 돌출 위치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전원스위치(180) 내부 공간부에는 자외선을 조사시키기 위하여 자외선발광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 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herei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컵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받침상판 과 물받이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받침상판 및 물받이본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부분을 절결하여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이격지지부를 절결하여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from above the combined state of the cup top plate and the drip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up top plate and drip tra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art of FIG. 1 cut out,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on support part cut away,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먼저 도 1 도4 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컵세트(100)는, 크게 컵(90)과 컵받침상판(110)과 물받이본체(120)로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nd FIG. 4, the cup set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consists of a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컵(90)은 바닥면 직경이 작고 입구 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몸체부(91)가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바닥면과 입구부위의 직경이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또한, 상기 몸체부(91)의 외측에 손잡이부(92)를 더 형성함으로써 컵(90)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92)가 두 개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 할 수 있고, 설치되지 않고 몸체부(91)만 형성되기도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컵(90)은 도자기,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데, 그 표면은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컵(90) 및 컵받침상판(110)을 포함한 물받이본체(120) 표면은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기능을 갖도록 제작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상기 컵(90) 및 컵받침상판(110)을 포함한 물받이본체(120) 표면의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기능은 적절한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The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function of the surface of the
이러한 코팅작업은 생산 공정 동안에 이루어진다. This coating is don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상기 컵(90) 및 컵받침상판(110)을 포함한 물받이본체(120)는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은 소수성(疏水性 : 물과 친하지 않는 성질) 물질로 코팅된 표면이 형성된다. 소위 나노 구조와 마이크로 구조를 부가적으로 구비한 이러한 표면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오염물질이 단단히 부착되거나 흡수되는 정도의 표면을 제공하 지 않는다. The
또한, 이러한 표면은 소위 초소수성 특성을 갖는다. In addition, these surfaces have so-called superhydrophobic properties.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은 표면에너지와 관련이 깊다. 표면에너지는 두 가지의 다른 물질이 결합하여 경계면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분자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내부의 힘이다. 액체와 표면 경계면에서 점착력이 응집력보다 강하다면 물분자는 고체 표면에 더 강한 이력을 가지고 고체 표면을 적시게 되며, 반대로 점착력이 약하다면, 액체는 고체 표면을 적시지 않는다. 고체의 표면에너지는 표면상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액체의 접촉각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각 수치는 다양한 이론적 방정식에 의해 표면에너지와 관련되며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상에서 물방울은 구슬 형상으로 뭉쳐진다. 소수성 표면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물방울과의 접촉각도가 100도 이상이 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초소수성 표면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물방울과의 접촉각도가 140도 이상으로 정의된다. Hydrophobicity or superhydrophobicity is closely related to surface energy. Surface energy is an internal force caused by the imbalance of molecular forces that occur when two different materials combine to form an interface. If the adhesion at the liquid and surface interface is stronger than the cohesion, the water molecule will wet the solid surface with a stronger hysteresis on the solid surface, whereas if the adhesion is weak, the liquid will not wet the solid surface. The surface energy of a solid can be found at the contact angle of various liquids measured on the surface. These contact angle values are related to the surface energy by various theoretical equations, and on the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water droplets aggregate into beads. Hydrophobic surfaces are generally defined herein and have a contact angle of at least 100 degrees with water droplets. Superhydrophobic surfaces are generally defined herein and the contact angle with water droplets is at least 140 degrees.
예를 들면 연꽃잎 표면은 3~10㎛ 크기의 수많은 혹(bump, 융기)들로 덮여 있고, 이 혹들은 나노크기의 발수성(water-repellent) 코팅제로 코팅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lotus leaf surface is covered with numerous bumps, 3-10 µm in size, coated with nano-sized water-repellent coatings.
이러한 울퉁불퉁한 독특한 구조 덕택에 연꽃잎 위에 떨어진 물방울은 잎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된다. 즉 연꽃잎 위의 물방울은 돌기 위에 떠 있기 때문에 표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게 줄어들어 표면에너지가 떨어진다. 연꽃잎과 물방 울의 접촉 면적은 덮고 있는 표면의 2-3%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물방울이 모이고 합쳐져서 무거워질 때 땅으로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이때 잎에 앉은 먼지들도 물에 씻겨서 덩달아 떨어지면서 스스로 깨끗하게 씻어내는 자정(自淨)작용을 하게 된다.Thanks to this rugged and unique structure, water droplets that fall on the lotus leaf will flow into the leaf rather than seep into it. In other words, since the water droplets on the lotus leaf float on the projection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urface is greatly reduced and the surface energy falls. The contact area between lotus leaf and water droplets is only 2-3% of the surface covered. This structure slides into the ground when the droplets collect, merge and become heavy. At this time, the dust that sits on the leaves are washed by water and fall off, and the self-cleansing itself is a self-cleaning (自淨) action.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200, 200‘, 200“)(super-hydrophobic surface)은 물이 자발적으로 방울져 흘러내리면서 오물 입자를 동반해 나가게 된다. 하지만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은 표면에 습한 오물 입자들만이 발생되면, 그 경우에는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일지라도 오물 입자가 흘러내리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러한 단점은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은 표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표면에서도 발생한다.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s (200, 200 ', 200 ") (super-hydrophobic surfaces) are entrained with water particles spontaneously dripping down. However,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if only wet dirt particl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in that case even the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may remain attached to the dirt particles do not flow down. Such disadvantage is that hydrophobicity or superhydrophobicity occurs not only on the surface but also on the general surface.
더 고려해야 할 점은 컵(90)에 부착되는 세균류 및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균이 컵(90)에서 인체로 옮겨 질 수 있다는 것이다. Further consideration is that pathogen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ttached to the
균류가 번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균류의 포자들이 발아해야 한다. 균류의 포자들이 발아하려면 수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90) 및 컵받침상판(110)을 포함한 물받이본체(120)의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200, 200‘, 200“)은 부가적인 나노 구조와 마이크로 구조에 의해 병원균에 대한 이중적인 작용을 갖는다. 모든 물은 컵 및 컵받침 상판 표면에서 흔적 없이 흘러내리고, 병원균들은 발아 또는 번식을 위한 습성 환경을 제공받지 못한다. In order for a fungus to multiply, the spores of the fungus must germinate. Fungal spores require water to germinate. The hydrophobic or
동시에 마른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은 보통의 소량의 물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At the same time, contaminants adhering to dry surfaces are removed from the surface by ordinary small amounts of water.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200, 200‘, 200“)을 이용하면, 세척을 자주 하지 않고도 자정 기능을 갖게 되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인 컵을 얻을 수 있다. Using hydrophobic or
이와 같이 컵 세척에 필요한 수고를 없애기 위해 독창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표면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방정식 및 방법 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uch, the hydrophobic or superhydrophobic surface used in the original method to eliminate the effort required to clean the cup is already know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of equations and methods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받침상판(110)은 사용자가 컵(90)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개의 이격지지부(111)가 형성되는 트레이로서, 중앙부(115)에 상하로 관통되어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홈(112)이 형성되고,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타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컵받침상판(110) 내부 바닥면(117)은, 컵(90)에서 흘러 내려온 잔유물 을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을 통해 배수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114)에서 상기 중앙부(115)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따라서, 상기 컵받침상판(110)은 단단한 도자기, 금속, 유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컵받침상판(110)은 오염이 쉽게 되지 않으며 표면에 소수성 또는 초소수성 코팅이 용이하게 형성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cup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지지부(111)는, 컵(90)이 지지될 경우 상기 컵이 상기 컵받침상판(110) 바닥면(117)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컵(90)과 이격지지부와의 접촉부위를 최소화함과 바닥면(117)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어서 상기 컵받침상판(110) 바닥면에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다수개의 이격지지부(111)는, 하단(T)은 상기 컵받침상판(110) 내부 바닥면에 일체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단(T')으로 올라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T>T'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하단(T)에서 상단(T')에 이르는 두께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두께 편차를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또, 상기 이격지지부의 일단(111a)은 상기 컵받침상판(110) 중앙부 홈(112)의 테두리에서 형성되고, 상기 이격지지부의 타단(111b)은 상기 컵받침상판 테두리부(114)까지 연장 형성되며, 타단(111b)에서 일단(111a)에 이르는 높이가 하향 경 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one
특히, 상기 다수개의 이격지지부(111)의 각각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중앙부 홈(112)부근에는 컵 안착용 홈(11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컵은 이 안착홈(119)에 안착되어 컵받침상판(110)으로부터 미끄러짐이 방지될 것이다. In particular, the he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support
이때, 이격지지부(111)와 이격지지부(111) 사이에 유로(116)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111a)과 일단(111a)과의 간격은 좁고(S) 타단(111b)과 타단(111b)과의 간격은 넓게(S')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다수개의 이격지지부(111)는 도면상 직선형 형태로 도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웨이브형 등)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고, 또한 이들 이격지지부(111)는 그 형상에 따라 일정 그룹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무작위로 혼합 형성시킬 수도 있다. Although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support
여기서, 상기 컵받침상판(110) 중앙부(115)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후술하는 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홈(112)은, 컵(90)에서 흘러내리는 잔유물을 배수시키는 동시에 후술하는 전원스위치(180)가 상기 컵받침상판(110)에 돌출 위치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Here, a
또한, 상기 홈(112)지름 크기는 상기 전원스위치(180)의 외경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또, 상기 홈(112)은 본 발명에서는 하나만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같은 지름 크기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그리고, 상기 컵받침상판(110) 외부 바닥면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13)가 소정의 길이로 하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3)는 상기 컵받침상판(110)과 상기 물받이본체(120)가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도구작용을 하는 동시에 상기 컵받침상판(110)을 받쳐주는 다리 역활도 수행한다. In addition, one or more fixing
다음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물받이본체(120)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받침상판(110)은 본 발명의 상기 물받이본체에(120)에 올려져 결합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cup
본 발명의 상기 컵세트(100)는, 상기 컵받침상판(110)과 물받이본체(120)가 분리된 상태이면서도 상기 물받이본체(120) 자체적으로 자외선발광수단(150)을 발광시키는 것에 주목한다. 이러한 물받이본체(120)가 자체적으로 자외선발광수 단(150)을 발광하는 특성은 상기 컵받침상판(110)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거나 분리하여도 상기 돌출부(129) 상단에 구성된 자외선발광수단(150)을 발광시키게 구성되어 있다. The cup 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cup hold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컵을 건조, 살균하는 기능 외에 건조나 살균을 요하는 여러 가지 생활용품에 전문 살균 제품에 준하는 수준으로 사용감과 편리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drying and sterilizing the cup, it has a feature that can enhance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at a level comparable to a professional sterilization product for various household products requiring drying or steriliz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물받이본체(120)는, 상기 컵받침상판(110)에서 유입된 잔유물이 수거되고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구조체로서, 상기 물받이본체(120)에는 자외선발광수단(150)과 전원스위치(180), 타이머(160), 발광구동부(190), 컨트롤러부(170),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3에 있어서, 부호180은 후술하는 자외선발광수단이 내부에 구성된 전원스위치이고, 부호120은 물받이본체로서, 상기 물받이본체(120) 내부 중앙에는 상기 컵받침상판 중앙부 홈(112)과 대응되게 소정의 높이로 내부가 중공을 이루는 돌출부(129)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테두리(121)가 형성되어 있다. In FIG. 3,
그리고, 상기 테두리(121)는, 상단 소정의 위치에 수거된 잔유물을 외부 공 기를 유통시켜 빨리 건조시키기 위하여 공기유통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또, 상기 물받이본체(120)에는, 상면에 상기 고정돌기(113)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홈(113a)이 형성되어져 상기 컵받침상판(110)이 결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고정홈(113a)에는, 상기 고정돌기(113)가 고정홈(113a)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형성된 고무링(미도시됨)이 구성되고, 상기 고무링은 고무링 내부로 삽입된 상기 고정돌기(113)가 쉽게 탈리되지 않도록 구성해서 임의대로 컵받침상판(110)이 분리되지 않게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fix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9) 상단에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시키도록 수직으로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수단(150)이 지지되어 있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150 for vertically emitting ultraviolet light is supported at the top of the
상기 자외선발광수단(150)은, 컵(90) 내부와 컵받침상판(110), 물받이본체(120)를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살균작용을 가지는 자외선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소형화에 용이하다. The ultraviolet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자외선발광다이오드는 150~350nm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 the wavelength range of 150 ~ 350nm.
또한, 상기 돌출부(129) 상단에는, 전원공급부의 전압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80)가 수직 연장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이때, 상기 전원스위치(180)는, 내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자외선발광수단(150)을 감싸고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캡형상으로 상기 돌출부(129) 상단과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전원스위치(180)는 원터치 스위치로써 컨트롤부(170)는 상기 전원스위치(180)가 한번 눌러지면 “온” 신호로 인식하고, 재차 눌러지면 “오프”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본체(120)의 외부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타이머(160), 컨트롤러부(170), 발광구동부(190), 전원공급부(140)가 개방부(128)에 구성되며 상기 개방부(128)는 커버부재(128a)에 의해 개폐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또한, 상기 컨트롤부(170)은 전원스위치가(180) “온” 된 것을 인식한 후에는 상기 타이머(160)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만 자외선발광수단(150)이 발광되도록 발광구동부(190)를 작동시키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이때, 상기 타이머(160)는 2-4분 정도의 정해진 시간을 갖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원스위치(180)가 눌러지고 상기 전원스위치(180)가 “온” 되면 상기 컨트롤부(170)은 자외선발광수단(150)을 발광되게 하여 자외선을 통해 살균 작용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자외선발광수단(150)이 상기 타이머(16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만 발광되었다가 자동 소등되므로 충분히 살균이 이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자외선발광수단(150)이 발광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150 emits light for only the time set by the
물론, 상기 타이머(160)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은 상기한 예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Of course, the time set by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원스위치(180)가 눌러지고 전원스위치(180)가 “온” 되면 상기 컨트롤부(170)는 2~4초 지난 후에 자외선발광수단(150)을 발광되도록 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즉, 사용자가 컵(90)을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180)를 누르고 전원스위치(180)가 “온” 되면 상기 컨트롤부(170)는 2~4초 지난 후에 자외선발광수단(150)을 발광 되게 하므로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시간 안에 컵(90)을 상기 컵 받침상판(110)에 형성된 이격지지부(111)에 뒤집어 지지시킬 수 있어 인체측으로 자외선이 방출됨으로 인한 피해를 미련에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한편, 상기 자외선발광수단(150)를 포함하여 제어부내의 각각의 전장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전원공급부(140)로는 3~5V(저에너지)의 일회용 건전지(미도시됨)를 사용함으로써 상용 전원의 공급에 따른 기구물의 복잡성을 배제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에 있어서, 일회용 건전지의 경우 다 소모된 경우 새로운 건전지로 교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In the above, in the case of a single-use battery, if used up, replace with a new battery.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이 실시된 물받이본체(120) 외부 일측에 충전회로를 부가 설치하여 충전용 축전지를 필요에 따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Of course, if necessary, a charging circuit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p tray
또한, 상기 물받이본체(120) 외부 일측에 살균상태표시부(130)를 설치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살균상태의표시부(130)를 통해 자외선발광수단(150)에 의해 살균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sterilization
상기의 자외선발광수단(150)과 전원스위치(180), 타이머(160), 발광구동 부(190), 컨트롤러부(170), 전원공급부(140)를 은 배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The ultraviolet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4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7.
본 발명의 컵세트(100)는, 컵받침상판(110)과 물받이본체(120)를 결합시켜면, 상기 전원스위치(180)가 상기 컵받침상판 중앙부 홈(112)으로 돌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컵받침상판(110)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이격지지부(111)위에 컵(90)을 뒤집어서 지지시킨다. In the cup 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p
이때, 상기 컵받침상판 중앙부 홈(112)을 중심으로 컵(90)을 가지런히 지지시키고, 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컵(90) 내,외부에 잔류하는 잔유물이 하측으로 방울져 흘러 내려와 중앙부 홈(112)을 통해 상기 물받이본체(120)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he
한편, 컵(90)에 기생하는 미생물 등의 세균을 살균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컵받침상판(110) 중앙부 홈(112)으로 돌출 위치된 상기 전원스위치(180)를 눌러 전원공급부와 접속시켜 자외선발광수단(150)에 3~5V(저에너지)의 전압을 공급하면, 그 자외선발광수단(150)에서 150~350nm의 자외선(U.V) 파장대역의 자외선이 투명재 질의 전원스위치(180)를 투과한 후에 컵(90), 컵받침상판(110), 물받이본체(120) 등에 조사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terilize bacteria such as microorganisms parasitic in the
본 발명의 컵세트(100)은, 평상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고 단순히 컵 받침대의 기능을 갖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원스위치(180)를 누르지 않고 컵(90)을 뒤집어 올려놓고 외부 공기를 유통시켜 자연 건조시키거나, 컵(90)을 바로 세워 안착홈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등의 일반적인 컵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cup 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ormally irradiate ultraviolet rays and simply has a function of a cup holder, the cup set 100 is turned upside down without pushing the
즉, 상기 컵받침상판 중앙부 홈(112) 부근은 이격지지부와 이격지지부(111)사이가 좁게 안착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컵받침상판 테두리부(114)는 이격지지부와 이격지지부(111)의 사이는 넓게 형성되므로, 컵을 사용할 때는 컵(90) 바닥부분이 이격지지부사이가 가까운 안착홈(119)에 안착시켜 일반적인 컵받침 역할을 수행하고, 컵(90)을 사용한 후 뒤집어 지지시킬 때는 컵 입구 부위가 이격지지부사이가 넓은 부분에 지지되므로 컵(90)에서 흘러 내려온 잔유물은 유로(116)를 따라 중앙부 홈(112)에 유인되고, 상기 유로(116)를 통해 외부 공기가 원활히 유통되어 컵(90)은 언제나 건조 상태가 유지되어 위생적으로 관리된다. That is, the
도 8은 본 발명의 컵세트을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구조는 상기 돌출부(129) 상단에 자외선발광수단(150)이 구성되어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돌출부(129) 상단에 조명발광수단(155)을 구성하여 빛을 이용하여 소품으로서의 색다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no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means 15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terilization action on the top of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컵세트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컵받침상판(110)은 다수개의 이격지지부 위에 컵뿐만 아니라 다른 생활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이어서, 컵뿐만 아니라 유사 형태의 병 종류를 바꾸어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그 올려놓는 방법은 컵을 올려놓는 동일한 방식으로 올려놓으면 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use of the cup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또한, 상기 컵받침상판(110)은 언제든지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이어서, 상기 컵받침상판(110)을 탈리시킨 후 필요한 상황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 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환경의 변화가 발생 되면 이에 맞게 사용함으로써, 사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실외에서 활동하는 유아에게도 젖병을 휴대하면서 자외선으로 살균하여 항상 위생적으로 수유할 수 있거나, 각종 바이러스 및 세균에 오염되기 쉬운 휴대전화 등을 살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그 사용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infants working outdoors can sterilize with ultraviolet rays while carrying a bottle and always hygienically feed them, or provide an environment for sterilizing mobile phones, which are susceptible to various viruses and bacteria. Satisfaction is very high.
이제 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aving looked at the present invention so fa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embodiments that are modified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컵받침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받침상판과 물받이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 Figure 2 is a plan view from above of a state in which the cup top plate and the drip tra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받침상판과 물받이본체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aster plate and the drip tra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A-A 부분을 절결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5는 이격지지부를 절결하여서 도시한 확대 단면도.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spaced suppor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을 바로 지지시킨 실시 단면도. 7 is an implementation cross-sectional view of directly supporting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실시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실시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0079A KR20100111577A (en) | 2009-04-07 | 2009-04-07 | Cup set having a sterilization self-cleansing and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0079A KR20100111577A (en) | 2009-04-07 | 2009-04-07 | Cup set having a sterilization self-cleansing and fun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1577A true KR20100111577A (en) | 2010-10-15 |
Family
ID=431318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30079A Ceased KR20100111577A (en) | 2009-04-07 | 2009-04-07 | Cup set having a sterilization self-cleansing and fun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00111577A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84329A (en) * | 2017-01-16 | 2018-07-25 | 박철민 | Apparatus For Custody and Dry and Sterilization of Individual cup having Ultraviolet ray Light Emitting Diode |
| KR20190033817A (en) * | 2017-09-22 | 2019-04-01 | 주식회사 루멘스 |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cup using uvc |
| KR20200000892U (en) * | 2018-10-24 | 2020-05-08 | 옵토엘이디 주식회사 | Ultraviolet sterilizer and sterilizing device |
| KR20230071315A (en) * | 2021-11-16 | 2023-05-23 | 오신석 | Beverage coaster able to water obsorb |
-
2009
- 2009-04-07 KR KR1020090030079A patent/KR2010011157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84329A (en) * | 2017-01-16 | 2018-07-25 | 박철민 | Apparatus For Custody and Dry and Sterilization of Individual cup having Ultraviolet ray Light Emitting Diode |
| KR20190033817A (en) * | 2017-09-22 | 2019-04-01 | 주식회사 루멘스 |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cup using uvc |
| KR20200000892U (en) * | 2018-10-24 | 2020-05-08 | 옵토엘이디 주식회사 | Ultraviolet sterilizer and sterilizing device |
| KR20230071315A (en) * | 2021-11-16 | 2023-05-23 | 오신석 | Beverage coaster able to water obsorb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040040586A1 (en) |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 |
| WO2008044831A1 (en) | Automated rice cooking system | |
| KR101750101B1 (en) | Auto clean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 |
| GB2541746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d mixers and processors | |
| KR20100111577A (en) | Cup set having a sterilization self-cleansing and function | |
| US7041261B2 (en) | Sanitizing sponge container | |
| KR100944168B1 (en) | Cup rack with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 |
| KR20160002642U (en) | Sterilizing Container for Spoons and Chopsticks | |
| US20080271239A1 (en) | Multi-function sink with centrifugal food dryer and drain | |
| US20250020402A1 (en) | Holder | |
| CN214317466U (en) | Cabinet | |
| KR20090108328A (en) | Table steam cleaner | |
| KR20080055768A (en) | Table sterilizer | |
| CN211066058U (en) | Teacup with degerming function | |
| KR20220167661A (en) | Non-Slip Tray For Holding Food And Beverage | |
| KR200430846Y1 (en) | Dehumidification Cup | |
| KR102600351B1 (en) | Menstrual cup cleaner for public restrooms | |
| KR200393506Y1 (en) | Separable cup, bottle, and case which are sanitary washable | |
| US20250213096A1 (en) | Container cleaners and methods of use | |
| KR200429635Y1 (en) | Kitchen tableware rack sanitary drain | |
| KR200388627Y1 (en) | Tool Charging Box for Meal | |
| CN218894156U (en) | Kitchen ceramic sink | |
| KR102625317B1 (en) | Table sterilization unit and sterilization table | |
| CN201533731U (en) | Tableware box structure with disinfection function | |
| KR200452767Y1 (en) | Sterilization tray with multiple holde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