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4800A -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800A
KR20100134800A KR1020107026956A KR20107026956A KR20100134800A KR 20100134800 A KR20100134800 A KR 20100134800A KR 1020107026956 A KR1020107026956 A KR 1020107026956A KR 20107026956 A KR20107026956 A KR 20107026956A KR 20100134800 A KR20100134800 A KR 2010013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hr
carrier
tap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뮈지크
데니스 제이쳐
클라우스 퀼페르
니콜 베흐렌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174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1741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174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1742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174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174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173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1739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174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174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598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5982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597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5979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598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5980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2598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25984A1/d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0013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80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6Cutting to shape joining edge surfa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2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83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of diene monomer [e.g., SBR, SIS,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캐리어; 및 캐리어 상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 범위의 밀도 및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올레핀 폴리머, 및 점착제 수지로 제조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착 테이프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접착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천연 고무,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한 접착제로 제조된다.
고무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엘라스토머, 점착제 수지, 가소제 및 페놀성 항산화제로 이루어진다. 가장 흔한 엘라스토머는 천연 고무이며, 가장 일반적인 합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디엔 블록 코폴리머, 보다 특히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이다. 특정 적용의 경우에, 예를 들어 표면 보호 제품 (제거 후 최종물품 상의 흔적(ghosting))에 대해, 자동차 내부 구획 (연무(fogging))에 대해, 또는 페이퍼 접착 테이프 (저장 후 페이퍼 캐리어의 그리스 최소선(grease strikethrough))에서, 및 10℃ 내지 40℃의 융점을 가지고 가장 고가의 포뮬레이션이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액체 수지 또는 가소제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오일이 적합하지 않다.
고무 접착제의 에이징 저항성(aging resistance) 및 UV 저항성은 비교적 낮으며, 이러한 접착제와 와이어 절연재(wire insulation)의 양립성은 나쁘다. 여기에서 수소첨가된 스티렌-디엔 블록 코폴리머가 구제책(remedy)으로 제공되지만, 이는 매우 고가이고 단지 비교적 낮은 결합 강도를 달성한다.
천연 고무 접착제는 용매를 함유하고 낮은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접착제는 무용매로 가공될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낮은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것들은 너무 경질이며, 이에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단지 시끄러운 풀림 잡음(unwind noise)과 함께 가공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분산제이고, 이에 따라 용매-부재이고 양호한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가지지만, 물에 대한 증가된 민감성, 및 특히 카드 또는 페이퍼에 대한 결합의 경우에 약한 초기 접착력(점착성), 및 비극성 기재 상에서 불량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수많은 영구적인 적용에 대하여, 이러한 것들은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것들은 알루미늄 또는 PVC와 같은 매우 극성의 기재로부터 제거되지 못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마스킹 적용(masking application)을 위해 적합하지 않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바람직한 가격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오랫동안 이러한 모든 접착제들의 하기의 포지티브 성질들을 서로 조합한 접착제가 요망되고 있다: 용매의 부재, 내수성, 높은 초기 접착력, 저에너지 표면에 대한 높은 접착력, 천연 고무 접착제와 같은 풀림 특징 및 재탈착능력(redetachability), 및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은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부류의 접착제를 가지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대상의 유리한 개발예, 및 본 접착 테이프의 용도는 종속항에서 확인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캐리어(carrier); 및 캐리어 상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crystalline melting point)을 갖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당업자는 올레핀 폴리머가 경도 및 낮은 융점의 원료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접착제용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여겼다. 이러한 편견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0.86 내지 0.89 g/㎤, 바람직하게 0.86 내지 0.88 g/㎤, 더욱 바람직하게 0.86 내지 0.87 g/㎤의 밀도, 및 적어도 105℃, 바람직하게 적어도 115℃,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13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가진 올레핀 폴리머를 이용하여 우수한 접착 성질, 예를 들어 높은 결합 강도, 높은 점착성, 및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접착 테이프용 접착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올레핀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8 g/10 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5 g/10 분 미만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올레핀 폴리머의 굴곡 탄성율은 바람직하게 50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26 MPa 미만, 및 매우 바람직하게 17 MPa 미만이다.
올레핀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블록 코폴리머, 그라프트 폴리머(graft polymer), 또는 이종상(heterophasic) 폴리프로필렌 (소위 임팩트(impact) 폴리프로필렌 또는 (완전히 정확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의 경우에와 같이 소위 반응기 배합물(reactor blend)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바람직하게, 모노머 프로필렌 및 다른 올레핀 (예를 들어, 에틸렌 또는 부텐)을 랜덤 분포로 포함하는 통상적인 비-이종상 랜덤 폴리프로피렌 코폴리머가 아닌데, 왜냐하면, 이러한 폴리머는 단지 낮은 전단 강도, 결합 강도, 및 내열성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종상 폴리프로필렌은, 미세결정 융점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내에 있는 한, 결정상 성분 중에 소량의 코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및 C2 내지 C10 올레핀, 바람직하게 C2 내지 C10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코모노머를 포함한다.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에틸렌과 부트-1-엔의 코폴리머, 에틸렌과 옥트-1-엔의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부트-1-엔의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트-1-엔의 테르폴리머가 특히 적합하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ISO 1183에 따라 측정되고 g/㎤로 표시된다. 용융 지수는 2.16 kg에서 ISO 1133에 따라 시험되고 g/10 분으로 표시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시험 온도는 프로필렌 계열 폴리올레핀의 경우에 230℃이고, 에틸렌 계열 폴리머의 경우에 190℃이다.
굴곡 탄성율은 ASTM D 790 (2% 변형율에서 시컨트 계수(Secant modulus))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미세결정 융점 (Tcr) 및 융해열은 ISO 3146에 따라 10℃/분의 가열 속도로 DSC (Mettler DSC 822)에 의해 측정되며; 두개 이상의 용융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가장 높은 온도를 갖는 피크를 선택되는데, 왜냐하면 100℃를 넘는 용융 피크만이 접착제 포뮬레이션에서 유지되고 효과적이며, 반면 100℃ 미만의 용융 피크는 유지되지 않고 생성물 성질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융해열은 먼저 포뮬레이션의 결합 강도 및 점착성을 결정하고 두번째로 특히 뜨거운 조건 (즉, 70℃ 이상) 하에서 전단 강도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올레핀 수지의 융해열은 접착 성질들의 최적의 절충안(optimum compromise)을 위해 중요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3 내지 18 J/g, 더욱 바람직하게 5 내지 15 J/g이다.
접착제의 융해열은 마찬가지로 접착제 성질들의 최적의 절충안을 위해 일부 역할을 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1 내지 6 J/g,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5 J/g이다.
본 발명의 올레핀 폴리머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elastomer)와 조합될 수 있다. 불포화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천연 고무, SBR, NBR, 또는 불포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가 단지 소량으로 사용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쇄가 포화된 합성 고무,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EPM, HNBR, EPDM 또는 수소첨가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는 소정의 개질의 경우에서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올레핀 폴리머는 상당한 양 (100 phr 초과)의 점착제 수지를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우 양호한 접착 거동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분산도(polydispersity)는 몰질량 분포의 수평균에 대한 중량평균의 비로서,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성질들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점착제 수지는 2.1 미만, 바람직하게 1.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6 미만의 다분산도를 갖는 것이다. 가장 높은 점착성은 1.0 내지 1.4의 다분산도를 갖는 수지로 달성될 수 있다.
점착제 수지로서, 비수소첨가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로진 (예를 들어, 발삼 수지) 또는 로진 유도체 (예를 들어, 불균화, 다이머화(dimerized)되거나 에스테르화된 로진)을 기초로 한 수지가 매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모든 점착제 수지 중에서, 이러한 것들dl 가장 높은 점착성을 갖는다. 이는 아마도 1.0 내지 1.2의 낮은 다분산도에 기인한 것이다. 수소첨가된 수지와 같은 테르펜-페놀성 수지는 특히 높은 에이징 안정성에 대해 주목할 만하다.
마찬가지로, 이들의 극성으로 인하여 양립성이 양호한, 탄화수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수지, 예를 들어 코우마론-인덴 수지 또는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을 기초로 한 수지, 또는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피페릴렌과 같은 C5 모노머, 또는 크랙커(cracker)로부터의 C5 또는 C9 분획물, 또는 β-피넨 또는 δ-리모넨과 같은 테르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중합으로부터의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및 방향족-함유 탄화수소 수지를 수소첨가함으로써 얻어진 탄화수소 수지, , 또는 시클로펜타디엔 폴리머가 있다.
추가적으로, 폴리테르펜,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폴리테르펜을 기초로 한 수지 및/또는 테르펜-페놀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수지의 양은 바람직하게 130 내지 350 phr, 더욱 바람직하게 200 내지 240 phr이다 (phr은 수지 또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 수지 또는 고무는 올레핀 폴리머를 의미한다).
요망되는 성질들을 조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액체 가소제, 예를 들어 지방족 (파라핀 또는 분지된) 및 지환족 (나프탈렌성) 미네랄 오일,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시트르산 또는 아디프산의 에스테르, 왁스, 예를 들어 울 왁스(wool wax), 액체 고무 (예를 들어, 저분자량 니트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또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이소부텐 호모폴리머 및/또는 이소부텐-부텐 코폴리머의 액상 폴리머, 40℃ 미만의 융점을 가지고 점착제 수지, 특히 상술된 점착제 수지의 클래스의 원료 물질을 기초로 한 액체 수지 및 가소제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들 중에서 이소부텐 및/또는 부텐, 및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시트르산 또는 아디프산의 에스테르, 보다 특히 분지된 옥탄올 및 노난올을 갖는 이들의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액체 가소제 대신에, 또한 실제 결정화도가 존재하지 않는 매우 연질의 올레핀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상표명, Exact®, Engage®, Versify® 또는 Tafmer®로 공지되어 있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트-1-엔, 헥스-1-엔 및/또는 옥트-1-엔의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트-1-엔, 헥스-1-엔 및/또는 옥트-1-엔의 테르폴리머이며, 이들의 굴곡 탄성율은 바람직하게 10 MPa 미만이며, 미세결정 융점은 바람직하게 50℃ 미만이다.
다른 바람직한 올레핀 폴리머는 임의적으로 오일-부재 EPM 또는 EPDM, 다시 말해서, 바람직하게 4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함량, 50 미만의 무니 점도(Mooney viscosity) (조건 1+4, 125℃), 및/또는 0.88 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87 g/㎤ 미만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및 임의적으로 에틸리덴노르보르넨과 같은 디엔의 코폴리머 또는 테르폴리머이다. 이러한 에틸렌 폴리머가 실제로 액체 가소제와 비교하여, 매우 연질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올레핀 폴리머에 대한 양은 매우 높아야 하고, 다시 말해서 100 phr을 초과해야 한다.
점착제 수지의 융점 (DIN ISO 4625에 따라 측정)은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고무 조성물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기초로 함)의 결합 강도는 통상적으로 점착제 수지의 융점과 함께 증가한다. 본 발명의 올레핀 폴리머의 경우에, 이러한 거동이 반대로 나타난다. 115℃ 내지 140℃의 높은 융점을 갖는 점착제 수지는 바람직한 융점인 105℃ 미만의 융점을 갖는 점착제 수지 보다 상당히 덜 선호된다. 85℃ 미만의 융점을 갖는 수지는 널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플레이크(flake) 또는 펠렛(pellet)은 운송 및 저장 시에 함께 뭉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융점의 실제적인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점착제 수지 (예를 들어, 85℃ 내지 105℃ 범위의 융점을 가짐)를 가소제와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된 융점은 점착제 수지 및 가소제의 균질화된 혼합물에서 결정되며, 두개의 성분들 간의 비율은 접착제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하다. 혼합된 융점은 바람직하게 45℃ 내지 95℃의 범위이다.
엘라스토머 성분으로서 천연 고무 또는 불포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통상적인 접착제는 폴리머 사슬에서 이중 결합을 갖는 이러한 엘라스토머 성분의 산화성 분해(oxidative degradation)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페놀성 산화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는 산화-민감성 이중 결합이 없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항산화제가 필요치 않다.
이러한 성질들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가-접착제는 추가 첨가제, 예를 들어 1차 항산화제 또는 2차 항산화제, 충전제, 난연제, 안료, UV 흡수제, 항오존제, 항산화제, 금속 비활성화제, 광안정화제, 예를 들어 HALS, 광개시제, 가교제 또는 가교 촉진제와 혼합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및 안료의 예로는 마이크로벌룬(microballoon), 아연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카본 블랙, 티타늄 디옥사이드, 칼슘 카르보네이트, 아연 카르보네이트, 아연 옥사이드, 실리케이트 또는 실리카가 있다.
마이크로벌룬은 열가소성 폴리머 쉘(shell)을 갖는 탄성 중공 구체이다. 이러한 구체는 저비등 액체 또는 액화 가스로 채워져 있다. 사용되는 쉘 물질은 특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VDC, PVC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저비등 액체로서, 이소부탄 또는 이소펜탄과 같은 저급 알칸의 탄화수소가 특히 적합하고, 폴리머 쉘에 압력 하에서 액화 가스의 형태로 포함된다.
마이크로벌룬의 노출, 특히 열적 노출은 우선 외측 폴리머 쉘의 연화에 영향을 미친다. 동시에, 쉘에 위치된 액체 추진제는 이의 가스상태로 변환된다. 마이크로벌룬은 비가역적이고 3차원적으로 팽창한다. 팽창은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대등할 때 끝난다. 폴리머 쉘이 손상되지 않게 유지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밀폐된 셀 폼이 얻어진다.
다수의 타입의 마이크로벌룬은, 예를 들어 악조 노벨(Akzo Nobel)로부터 Expancel DU (팽창되지 않은 건조물) 등급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이는 필수적으로 이들의 크기(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경 6 내지 45 ㎛) 및 이러한 것들이 팽창을 위해 요구되는 개시 온도(75℃ 내지 220℃)가 상이하다. 마이크로벌룬의 타입과 발포 온도가 기계 파라미터, 및 조성물을 배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온도 프로필과 일치하는 경우에, 조성물의 배합 및 발포는 또한 한 단계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팽창되지 않은 마이크로벌룬 등급은 또한 대략 40 중량% 내지 45 중량%의 고형물 비율 또는 마이크로벌룬 비율을 갖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얻어질 수 있고, 대략 65 중량%의 마이크로벌룬 농도를 갖는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에서와 같이, 폴리머 결합된 마이크로벌룬(마스터배치)로서 추가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 바람직하게 적어도 2,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6 phr의 양의, 및/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기를 갖는, 1차 항산화제, 및/또는
- 0 내지 5 phr의 양, 바람직하게 0.5 내지 1 phr의 양의, 및/또는 황 화합물의 부류 또는 포스파이트의 부류로부터의, 2차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흡수성 충전제, 특히 하기에 기술되는 피부 결합 유틸리티의 측면에서, 예를 들어 셀룰로즈 유도체, 예를 들어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겔 형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펙틴, 젤라틴, 폴리비닐 알코올, 폴로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콜라겐, 알기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특히 하기에 기술되는 피부 결합 유틸리티의 측면에서 살균 활성을 얻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균 첨가제, 예를 들어 은 염, 요오드, 클로라민, 클로르헥시딘, 또는 아연 염을 기초로 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히 유리한 구체예에서, 접착 테이프는 캐리어를 가지며, 캐리어 상에 적어도 한면에 용용물로부터 코팅되는,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미네랄 오일-부재 접착제를 가진다. 미네랄 오일 가소제는 생략된다.
미네랄 오일은, 본 발명의 에틸렌 폴리머에 점착성을 형성시키기 위해 매우 양호지만, 너무 휘발적이어서 양호한 연무 수치(DIN 75201), 즉 예를 들어 > 60을 달성하거나 롤의 고온 저장시에 페이퍼 캐리어의 희미한 흔적(ghosting)(마스킹 테이프 및 표면 보호 테이프에서의 잔여물) 또는 그리스 취소선을 방지할 수 없다. 그 결과, 접착제에는 실질적으로 미네랄 오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감압 접착제는 에이징에 대해 안정적이고 UV-안정적이다.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극성 및 비극성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조정가능하며, 용매는 또한 무용매로 처리될 수 있다.
천연 고무 또는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유사한 접착 테이프와 비교하여, 접착 테이프는 이의 케이블 양립성 뿐만 아니라 자동차 구조의 케이블 룸에서 통상적인 부류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의 파형 튜브(corrugated tube)와의 양립성에서 장점을 갖는다.
에틸렌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6 g/10 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5 g/10 분 미만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에틸렌 폴리머의 굴곡 탄성율은 바람직하게 26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7 MPa 미만이다. 에틸렌 폴리머는 코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 C3 내지 C10 올레핀, 보다 특히 1-옥텐을 포함한다. 에틸렌 폴리머는 결정상 폴리에틸렌 블록 및 에틸렌의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블록 및 C3 내지 C10 올레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섬유 캐리어 또는 페이퍼 캐리어를 구비한 통상적인 접착 테이프는 저장시에 한편으로 변형(돌출부 및 중공점의 형성)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 접착제의 냉류(cold flow)의 결과로서, 사용자가 풀기에 너무 어렵거나 접착제 또는 페이퍼 캐리어가 풀림 시험에서 찢어지게 분할(slit open)될 때까지 풀림력(unwind force)이 계속 증가한다. 이에 따라, 또다른 놀라운 장점으로는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롤의 저장 안정성이 있다는 것이다. 70℃에서 1달 동안 저장한 후에도, 본 발명의 대상물은 양호한 풀림능력을 유지하며, 페이퍼 캐리어는 오일 이동의 결과로서 그리스 취소선을 나타내지 않는다. 페인트용 마스킹 테이프(masking tape), 또는 표면 보호 테이프는 수주 동안의 외부 풍화 후에도 잔여물 없이 제거될 수 있다.
점착제 수지로서, 로진(예를 들어, 발삼 수지) 또는 로진 유도체(예를 들어, 불균화된 이량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된 로진)를 기초로 한 수지,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수지가 매우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포괄적으로 기술된 부류의 액상의 미네랄 오일-부재 가소제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성분으로서 천연 고무 또는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통상적인 접착제는 폴리머 사슬에서 이중 결합을 갖는 이러한 엘라스토머 성분의 산화성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페놀성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는 산화-민감성(oxidation-senstive) 이중 결합이 없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항산화제 없이 다루어질 수 있다. 놀랍게도, 항산화제는 접착제와 와이어 절연물과의 양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1차 항산화제, 및 특히 바람직하게 2차 항산화제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접착제의 도포 수준(코팅 두께)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120 g/㎡,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70 g/㎡이다.
캐리어, 및 캐리어 상의 적어도 한면에 용융물로부터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갖는 접착 테이프의 본 발명의 구체예는 특히 저에너지 표면을 결합시키기 위해, 보다 특히 비극성 페인트 또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는 기재 상에 결합시키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 폴리올레핀 백을 밀폐시키거나 스트랩핑(strapping)하기 위해, 또는 올레핀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보다 특히 자동차의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특히 유리하게 적합하다.
저에너지 표면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천연 고무,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한 접착제로 제조된다. 두가지 종류의 고무 조성물은 저에너지 표면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수소첨가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접착제는 매우 고가이고 다른 기재에 불량하게 접착한다. 이러한 것들은 마찬가지로 심지어 100℃ 미만에서도 연화된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양호한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가지지만, 올레펜성 폴리머와 같은 비극성 폴리머에 대한 이러한 것들의 접착은 최근까지의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량하며; 이러한 이유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표면은 용매-함유 프라이머로 사전처리되어야 한다.
감압 실리콘 접착제는 양호한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 및 저에너지 표면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가지지만, 매우 고가이고 통상적인 실리콘처리된 라이너로 라이닝될 수 없다(및/또는 상기 라이너로부터 다시 박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무용매이고, 저에너지 표면에 높은 수준의 접착력을 나타내고,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은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나타낸다.
접착제는 특히 비극성 페인트 또는 올레핀 폴리머와 같은 저에너지 표면을 포함한 매우 많은 수의 기재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접착제의 조성은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한 미네랄 오일-부재 접착제에 대해 기술된 것에 의해 좌우된다.
접착제의 도포를 위한 바람직한 코팅 기술로는 슬롯 다이(slot die)로의 압출 코팅(extrusion coating), 및 캘린더 코팅(calender coating)이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특히 저에너지 표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의 경우에, 바람직하게 양면 접착제이다.
다층 구조의 경우에, 2개 이상의 층들은 공압출, 적층 또는 코팅에 의해 층층이 쌓일 수 있다. 코팅은 직접, 또는 라이너 상에, 또는 인-프로세스 라이너(in-process liner)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압 접착제에는
- 캐리어의 한면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의 다른 한면에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한 독창적이지 않은 감압 접착제를 지니거나 독창적이지 않은 밀봉층을 지닐 수 있거나,
- 캐리어의 양면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두 개의 감압 접착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접착 테이프에는 바람직하게 한면 또는 양면 상에 라이너로 라이닝된다. 생성물용 라이너 또는 인-프로세스 라이너로는 예를 들어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 바람직하게 실리콘 코팅을 지닌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이 있다. 고려되는 캐리어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필름, 또는 분산액 또는 폴리올레핀이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캘린더링된 페이퍼(calendered paper)를 포함한다.
층의 도포된 조성물의 양(코팅 두께)은 바람직하게 30 내지 200 g/㎡, 바람직하게 50 내지 75 g/㎡이다. 라이너가 없는 접착 테이프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 600 내지 1500 ㎛, 더욱 바람직하게 700 내지 5000 ㎛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층이 가교되며,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층이 가교된다. 이러한 가교는 고에너지 빔, 바람직하게 전자빔에 의해 또는 퍼옥사이드 가교 또는 실란 가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캐리어의 한면 또는 적절한 경우 양면의 일부 또는 전영역에 걸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코팅은 또한 세로 방향(기계 방향), 임의적으로 가로 방향 또는 교차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히 전영역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접착제의 도트가 또한 크기 및/또는 분포에 있어 상이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또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결합시키는 라인들의 그라비어 프린팅(gravure printing)에 의해, 또는 새겨진 롤러(engraved-roller) 프린팅에 의해, 또는 플랙소그래픽(flexographic) 프린팅에 의해 패턴화된 도트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 돔(dome) 형태, 또는 격자, 스트립 또는 지그재그 라인과 같은 다른 패턴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는 분무에 의해 도포되어 다소 불규칙한 도포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용액 및 용융물로부터 제조되고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조 및 가공 방법은 용융물로부터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에, 적합한 제조 작업은 배치 공정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을 포함한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감압 접착제를 연속 제조하고 이후에 적절히 높은 온도에서 타겟 기재 상에 접착제로 직접 코팅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코팅 방법에는 슬롯 다이로의 압출 코팅, 캘린더 코팅, 분무 코팅, 및 용융물 스크린 프린팅이 있다. 또한, 코팅은 또한 캐리어 물질의 양면 상에 이루어져 양면 접착 테이프를 생산할 수 있다.
접착제는 캐리어 물질 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생성물의 기능에 대해 적절한 경우에, 상이한 두께 또는 접근도(closeness)로 영역에 걸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가 코팅된 영역의 백분율은 적어도 20%이어야 하고 최대 95%일 수 있으며, 특정 생성물의 경우에, 발마직하게 40% 내지 60%, 및 70% 내지 95%일 수 있다. 이는 적절한 경우에 다중 도포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임의적으로, 상이한 성질들을 갖는 접착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는 캐리어의 후면에 대해 적어도 1.5 N/cm의 결합 강도, 특히 2.5 N/cm 내지 5 N/cm의 결합 강도를 갖는다. 다른 기재 상에서, 보다 큰 결합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캐리어 물질 및 이의 온도 감수성에 따라, 자가-접착제는 직접 도포될 수 있거나, 먼저 보조 지지체에 도포된 후에 최종 캐리어로 옮겨질 수 있다.
적합한 캐리어 물질은 합성 및 천연 원류 물질로부터 제조된 모든 강성 및 탄성 시트형 구조물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도포 후에, 캐리어 물질이 기능적으로 적절한 드레싱(dressing)의 성질들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 물질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물질로서, 들어, 직물(textile), 예를 들어, 직조물(woven), 니트(knit), 스크림(scrim), 부직포(nonwoven), 라미네이트(laminate), 네트(net), 필름, 페이퍼, 티슈(tissue), 폼(foam), 및 포밍된 필름(foamed film)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바람직하게 연신 폴리에스테르(oriented polyester), 가소화되거나 비가소화된 PVC이며, 이는 접착 테이프가 충분한 순응성(conformability)을 갖도록 50 g/㎡ 미만의 단위 영역 당 중량, 필름의 경우에 바람직하게 15 ㎛를 갖는다.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EPDM, 및 클로로프렌 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의미하는 바, 연화로 인하여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용어 "폴리에틸렌"은 LDPE를 포함하지만, 또한 에틸렌 코폴리머, 예를 들어 LLDPE 및 EVA를 포함한다. 가교된 폴리에틸렌 폼 또는 점탄성 폼이 특히 적합하다. 후자는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제조되고, 더욱 바람직하게 유리 또는 폴리머의 중공 구조물, 예를 들어 마이크로벌룬으로 채워진다.
캐리어 물질로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과 같은 폴리올레핀, 이들의 코폴리머, 이러한 폴리머의 블랜드의 필름, 예로서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이오노머를 갖는 필름,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축성 필름은 보강제, 바람직하게 필라멘트 스크림(filament scrim)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압출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얻어진, 페이퍼/플라스틱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에 따라, 직물 재료는 열린 공극을 지닐 수 있거나, 캐리어 물질로서 직물/플라스틱 어셈블리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난연제, 에를 들어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또는 브롬-함유 난연제, 예를 들어 Saytex® 80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물질은 30 내지 150 ㎛, 바람직하게 50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와 합쳐지기 전에, 캐리어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코로나와 같은 물리적 처리에 의해 (코팅면 상에) 제조될 수 있다. 이의 후면은 접착방지 물리적 처리 또는 코팅으로 처리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경우에, 가교된 폴리에틸렌 폼은, 이러한 것들에 대한 감압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의 접착력이 매우 불량하도록 처리되고, 심지어 매우 만족스럽지 못하게 처리되게 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캐리어는 생산 작업의 결과로서 에루카미드(erucamide)와 같은 윤활제를 함유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심지어 처리 없이도, 이러한 폼에 우수하게 접착한다는 것은 아주 놀라운 것인데, 즉 이는 이러한 것들을 탈착시키기 위해 격렬한 시도의 경우에, 폼이 파괴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물질들은 사전처리되고/거나 후처리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전처리는 코로나 및 소수성화(hydrophobing)이며, 일반적인 후처리는 캘린더링(calendering), 열처리, 적층, 펀칭 및 인케이싱(encasing)이다.
캐리어에 직물, 폼 또는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을 적층하는 것은 또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특정 부류의 성질들의 조합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폼은 비-적층된 캐리어에 비해 실질적으로 보다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필름은 예를 들어, 표면의 밀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감압 접착제의 제조 및 가공은 용액으로부터, 및 용융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용융물로부터 감압 접착제를 가공하는 장점은 매우 짧은 시간에 매우 높은 코트 두께 (코트 중량)를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인데, 이는 코팅 작업 후에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제조 및 가공 기술은 용융물로부터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에 대하여, 적합한 제조 작업은 배치 공정 및 연속 공정 둘 모두를 포함한다. 압출기에 의한 감압 접착제를 연속으로 제조하고, 적절히 높은 온도에서 타겟 기재 또는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 상에 접착제를 직접적으로 후속 코팅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코팅 공정들로는 슬롯 다이로의 압출 코팅, 및 캘린더 코팅이 있다.
코트 중량 (코팅 두께)은 10 또는 15 내지 300 g/㎡,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250 g/㎡, 특히 바람직하게 70 내지 160 g/㎡이다.
감압 접착 테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한면 감압 접착 테이프 또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는 하나 또는 두개의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로 라이닝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버젼에서, 글라신(glassine), HDPE 또는 LDPE 코팅된 페이퍼와 같은 실리콘처리되거나 불화된 필름 또는 페이퍼가 사용되며, 여기에 또한 실리콘 또는 불화된 폴리머를 기초로 한 이형층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인 표현 "접착 테이프"는 2차원적으로 연장된 필름 또는 필름 섹션, 연장된 길이 및 제한된 폭을 갖는 테이프, 테이프 섹션, 다이컷, 라벨 등과 같은 모든 시트형 구조물을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는 롤 형태, 다시 말해서 그 위에 감겨진 아르키메데스 나선형으로 생산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여러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예시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의 원료 물질:
IN FUSE 9107: 에틸렌 및 옥트-1-엔의 코폴리머, 용융 지수 1 g/10 분, 밀도 0.866 g/㎤, 굴곡 탄성율 15.5 MPa, 미세결정 융점 121℃
IN FUSE 9507: 에틸렌 및 옥트-1-엔의 코폴리머, 용융 지수 5 g/10 분, 밀도 0.866 g/㎤, 굴곡 탄성율 13.9 MPa, 미세결정 융점 119℃
NOTIO PN-0040: 프로필렌 및 부트-1-엔의 코폴리머 (소량의 에틸렌을 지님), 용융 지수 4 g/10 분, 밀도 0.868 g/㎤, 굴곡 탄성율 42 MPa, 미세결정 융점 159℃, 융해열 5.2 J/g
Softell CA02: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코폴리머, 용융 지수 0.6 g/10 분, 밀도 0.870 g/㎤, 굴곡 탄성율 20 MPa, 미세결정 융점 142℃, 융해열 9.9 J/g
Engage 7467: 에틸렌 및 부트-1-엔의 코폴리머, 용융 지수 1.2 g/10 분, 밀도 0.862 g/㎤, 굴곡 탄성율 4 MPa, 미세결정 융점 34℃
LD 251: LDPE, 용융 지수 8 g/10 분, 밀도 0.9155 g/㎤, 굴곡 탄성율 180 MPa, 미세결정 융점 104℃
PB 0300 M: 폴리부텐, 용융 지수 4 g/10 분, 밀도 0.915 g/㎤, 굴곡 탄성율 450 MPa, 미세결정 융점 116℃
Buna EP G 3440: EPDM, 밀도 0.86 g/㎤, 무니 점도 28, 48 중량% 에틸렌, 48 중량% 프로필렌, 및 4 중량% 디엔
Ondina 933: 백유 (파라핀-나프탈렌 미네랄 오일)
Wingtack 10: 액체 C5 탄화수소 수지
Escorez 1310: 수소첨가되지 않은 C5 탄화수소 수지, 융점 94℃, 다분산도 1.5
Escorez 1102: 수소첨가되지 않은 C5 탄화수소 수지, 융점 100℃ 및 다분산도 2.6
Escorez 5400: 전부 수소첨가된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융점 103℃ 및 다분산도 2.3
Wingtack extra: 방향족-개질된 C5 탄화수소 수지, 융점 97℃, 다분산도 1.6
Regalite R1100: 수소첨가된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융점 100℃, 다분산도 1.9
Eastotac C 130 L: 전부 수소첨가된 C5 탄화수소 수지 (다분산도가 2.1인 전부 수소첨가되지 않은 수지인 Eastotac H 130 R과 대조됨), 융점 130℃ 및 다분산도 2.0
Eastotac C 115 L: 전부 수소첨가된 C5 탄화수소 수지, 융점 115℃ 및 다분산도 1.9
Irganox 1726: 황-계열 작용기의 2차 항산화제를 갖는 페놀성 항산화제
Irganox 1076: 페놀성 항산화제
Irganox PS 802: 황-계열 2차 항산화제
Oppanol B 10: 액체 폴리이소부텐
Foral 85: 로진의 전부 수소첨가된 글리세릴 에스테르, 융점 85℃ 및 다분산도 1.2
PRO 10493: 수소첨가되지 않은 C5 탄화수소 수지, 융점 98℃ 및 다분산도 2.0
Tinuvin 622: HALS-계열 UV 안정화제
TOTM: 트리스(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시험 방법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23±1℃ 및 50±5% 상대 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풀림력(unwind force)을 DIN EN 1944에 따라 300 mm/분으로 측정하였다.
에이징 시험(aging test)을 자동차 표준 LV 312-1 "자동차의 케이블 하네스에 대한 보호 시스템, 접착 테이프; 시험 가이드라인" (02/2008) [회사 Daimler, Audi, BMW, 및 Volkswagen의 공동 표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결합 강도를 폭이 15 mm인 시험 스트립에서 AFERA 4001에 따라 180°의 박리 각도로 측정하였다. 시험 기판으로서, AFERA 표준에 따른 스틸 플레이트 또는 후면에 접착 테이프를 갖는 스틸 플레이트를 본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외부 적용을 위한 직조 섬유 캐리어를 갖는 본 구체예의 경우에서 결합 강도의 측정을 하기와 같이 AFERA 5001의 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규정된 기재로서, 스틸 표면, 폴리에틸렌 표면 (PE) 및 150-등급 사포를 사용하였다. 평가 하에서의 결합가능한 시트-형 구성요소를 20 mm 폭 및 대략 25 cm의 길이로 절단하고, 핸들링 섹션(handling section)을 부착시키고, 직후에 구성요소를 선택된 기판 상에 4 kg 스틸 롤러를 이용하여 10 m/분의 진행속도로 5회 가압하였다. 직후에, 결합된 시트-형 구성요소를 인장 시험 기구(Zwick로부터의 기구)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180°의 각도로 박리하고, 실온에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기록하였다. 측정값(N/cm)을 3회의 개별적인 측정의 평균으로서 나타내었다.
UV 안정성(UV 시험)의 측정을 위하여, 폭 20 mm 및 길이 25 cm의 시편을 4 mm 두께의 유리판에 접착시키고, 2 kg 롤러를 이용하여 5회 롤링하였다. 시편을 크세논 램프가 장착된 UV 챔버에서 300 W/㎡의 복사조도하에서 유리판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저장하였다. 매일, 실시예 당 하나의 새로운 스트립을 UV 챔버로부터 취득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컨디셔닝한 후에,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이러한 절차 동안에, 접착력을 평가하고, 유리판 상에서 접착제의 현저한 변화, 인열 또는 잔여물에 대해 기록하였다.
시간-소비적 외부 내후성 보다 가속 시험의 형태의 내후성 시험으로서, 소위 "태양시험(Suntest)"을 방법 A에 의해 ISO 4892 2 (2006)의 라인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시험을 위하여, 비가소화된 PVC, 유리 및 PE의 시편을 결합시키고, 765 와트 크세논 램프를 이용한 UV 조사와 일시적 관개(temporary irrigation)의 조합으로 처리하였다. 2 시간 사이클에서, 관개 및 조사의 조합의 18분이 관개 없는 102분 조사 이후에 이루어진다.
풍화 시간 후에, 실온에서 재컨디셔닝된 후의 스트립을 90° 및 180°에서 박리한 후에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제조업체 정보(예를 들어, Atlas로부터)에 따르면, 태양시험체의 1 주일은 대략 중앙 유럽에서 대략 3달의 외부 풍화에 해당하는 것이다.
박리된 시험 스트립이 허용되는 경우에, 저장 후 이들의 결합 강도를 확인하였다.
실제 실외 조건(외부 풍하) 하에서 단발적으로 수행된 장기간 시험은 함부르크에서 45°기울기의 남향 빌딩의 지붕에서 동일한 기재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상술된 가속화된 시험과 비교하였다.
폴리머 밀도는 ISO 1183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g/㎤로 나타내었다.
미세결정 융점(Tcr)은 MTM 15902 (Basell 방법) 또는 ISO 3146에 따라 DSC로 측정되었다.
두께는 DIN 53370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게이지는 평면이었다(곡선이 아님). 그러나, 텍스쳐링된 필름(textured film)의 경우에, 기초적으로 얻어진 두께는 엠보싱 전의 두께이다. 이는 또한 (DIN 53352에 따라 측정된) 단위 면적 당 중량, 및 밀도를 이용한 전환율에 의하여 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엠보싱된 깊이는 엠보싱되거나 엠보싱되지 않은 두께의 차이이다.
건설 분야를 위한 구체예의 경우에서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20 mm 폭의 시험 스트립(가능한 경우) 상에서 AFERA 4001의 라인에 따라 180°의 박리각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AFERA 표준에 따른 스틸 플레이트는 시험 기재로서 사용되었고, 이러한 플레이트에 시험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을 도포하였다. 연질 캐리어 필름을 갖는 접착 테이프, 다시 말해서 필름이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미만의 힘에서 신장되는 접착 테이프를 20 mm 폭 스트립의 tesa® 4224 (8.25 N/25 mm의 결합 강도를 갖는, 고무 접착제를 지닌 PP 필름을 기초로 한 83 ㎛ 접착 테이프)로 강화하였다. 양면 접착 테이프를 시험하는 경우에, 시험하지 않는 면을 20 mm 폭 및 30 ㎛ 두께의 가소화되지 않은 PVC의 스트립으로 라이닝하였다. AFERA 4001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였다.
폴리에틸렌 상에서의 결합 강도를 사전에 저장하지 않은, 190 ㎛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과 접착 테이프 사이의 20 mm 폭의 접착 결합으로 측정하였다. 필름을 수직 하향으로 고정시키고, 접착 테이프를 300 mm/min의 속도로 수직 상향으로 박리하였다. 연질 캐리어 필름을 갖는 접착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대해,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에이징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업적 윈드 씰(wind seal), 증기 확산 지연제 또는 방습재 상에 접착 테이프로 형성된 결합을 시험하였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기술된 시험 시편을 사용하였다. 65 ± 1℃ 및 85 ± 5% 상대 습도에서 20 주 동안 저장하였다.
연무 수치(fogging value)를 DIN 75201에 따라 측정하였다.
점착력을 결합 강도의 측정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크라프트지(kraft pater)에 샘플을 도포하고, 샘플을 신속히 박리시켜 측정하였다. 점착력은 결합 구역의 50% 이상에서, 페이퍼 섬유가 추출되거나 페이퍼가 분할될 때 양호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다수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기술되지만, 이리한 실시예는 임의의 제한된 영향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양한 가능한 사용이 유리한 것으로서 인식되기 위하여,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되도록 의도되는, 특정 사용 모드에 대해 상세하게 맞추어진 추가 실시예가 존재한다.
실시예 1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100 phr Engage 7467, 425 phr Escorez 1310, 16 phr Irganox 1726.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용융물로부터 노즐 코팅을 이용하여 직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70 g/㎡로 도포하였다. 날실 방향 1 cm 당 45개의 쓰레드 및 씨실 방향 1 cm 당 25개의 쓰레드를 갖는 167 dtex의 폴리에스테르 얀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직물은 130 g/㎡의 평량을 갖는다. 19 mm의 폭 및 10 m의 구동 길이를 가지고 내부 코어 직경은 38 mm인 롤에서 슬릿팅(slitting)하여 코팅된 베일(bale)을 가공하였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5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2.5 N/cm.
롤 저장, 70℃에서 1 달: 롤은 약간 변형되었고 쉽게 풀려질 수 있다.
양립성 시험: 완성된 접착 테이프를 LV 312에 따라 상이한 절연 재료를 갖는 와이어 페이링(wire pairing) 둘레에 감고, 상응하는 온도에서 저장하였다. 절연 물질 당 6개의 시험 시편을 생산하였다. 500 시간 마다, 이러한 시편들 중 하나를 검사하고, 접착 테이프를 다시 풀고, 케이블을 직경이 2 mm인 만드렐 둘레에 감았다. 절연물이 손상되었는지의 여부 및 접착제가 점착력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하였다. 시험 온도: PVC 상에서 105℃ 및 가교된 PE 상에서 125℃.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이 여전히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실제로 접착제가 캐리어로 관통하지 않았고, 접착제는 여전히 양호한 점착력을 가지고 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조성물은 캐리어로 일부 관통하였지만, 여전히 점착력을 나타내었다.
DIN 75201에 따른 연무 수치: 85.
실시예 2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졌다: 100 phr IN FUSE 9107, 100 phr Buna EP G 3440, 425 phr Regalite 1100, 8 phr Irganox 1076, 및 8 phr Irganox PS 802. 이미 제공된 페이퍼 캐리어 SC/042 P (Gessner, 60 g/㎡) 상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40 g/㎡로 코팅하였다.
접착 테이프를 자동차 산업에서 통상적인 부류의, 2-성분 PU 페인트를 갖는 금속 패널에 접착시키고, 함부르크에서 외부 풍화로 처리하였으며; 4주 후에, 접착 테이프는 잔여물 없이 다시 박리될 수 있었다. 롤을 70℃에서 4주 동안 저장한 후에, 페이퍼는 어떠한 그리스 취소선(grease strikethrough)을 나타내지 않았고, 롤은 단지 약간 변형되었다.
실시예 3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100 phr Buna EP G 3440, 425 phr Escorez 1310, 8 phr Irganox 1076, 및 8 phr Irganox PS 80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68 g/㎡로 코팅하였다. 접착제를 하기 캐리어에 도포하였다: 1 mm의 스티치 길이의 50 dtex의 폴리에스테르 얀을 지닌, 대략 80 mm의 섬유 길이, 72 g/㎡의 평량, 및 섬도 F 22를 갖는 대략 3.4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말리와트 스티치 결합된 웹(Maliwatt stitch bonded web)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6.2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2.4 N/cm.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은 약간 변형되었고 쉽게 풀려질 수 있었다.
105℃에서 PVC, 및 125℃에서 가교된 PE 및 PP 상에서의 양립성 시험: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이 여전히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실제로 접착제가 캐리어로 관통되지 않았고, 접착제는 여전히 양호한 점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조성물은 캐리어로 일부 관통되었지만, 여전히 점착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접착제가 100 phr IN FUSE 9507, 140 phr Oppanol B 10, 250 phr Foral 85, 8 phr Irganox 1076, 및 5 phr Tinuvin 622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캐리어 필름의 베이스 층 상에 15 g/㎡로 코팅하였다. 이러한 필름은 59.7 중량부의 PP 호모폴리머, 30 중량부의 LLDPE, 10 중량부의 무기학적으로 코팅된 티타늄 옥사이드, 및 0.3 중량부의 HALS 안정화제 (Tinuvin 622)를 포함하는 50 ㎛ 두께 베이스 층, 및 30 중량부의 PP 호모폴리머 및 70 중량부의 LDPE (LD 251)의 15 ㎛ 두께 외부층으로 이루어진다.
얻어진 생성물을 자동차에서 통상적인, 2-성분 PU 페인트를 지닌 금속 패널에 접착시키고, UV 에이징 (1750 h Xenotest 150, 97 KLY에 해당)으로 처리하였으며; 후속 박리 제거한 후에, 접착제의 잔여물이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100 phr Engage 7467, 425 phr Escorex 1310, 16 phr Irganox 1726.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25 g/㎡ 티슈의 양면 상에 용융물로부터 노즐 코팅을 이용하여 70 g/㎡로 도포하였다. 생성물을 폴리에틸렌-코팅된 이형지로 라이닝하였다. 노출면(open-side) 및 라이닝된 면의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각 경우에 5 N/cm이었다.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결합 강도는 각 경우에 > 10 N/cm이다.
결합 강도를 AFERA 4001에 따라 15 mm 폭을 갖는 시험 스트립 상에서 180°의 박리 각도로 측정하였다. 스틸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결합되지 않은 면에, 결합 강도 측정 전에 25 ㎛ 두께의 에칭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층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산하였으며,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212 phr Foral 85, 78 phr Ondina 933, 2 phr Irganox 1726. 가교된 폴리에틸렌 폼, Alveolith THL SR0701 상에 65 g/㎡로 코팅하였다.
노출면 및 라이닝 면의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각 경우에 9 N/cm이다.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결합 강도는 각 경우에 > 10 N/cm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의 보강없이 두 가닥의 생성물이 서로 접착되고, 1분 후에 결합을 분리시켜고 하는 경우에, 폼은 분할된다.
실시예 7
실시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산하였으며,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507, 250 phr Regalite 1100, 140 phr Oppanol B 10, 2 phr Irganox 1726.
800 ㎛ 두께의 점탄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캐리어 상에 50 g/㎡으로 코팅하였다. 조성 및 이의 제조는 WO 2006/027389 A1호에 실시예 캐리어 VT1로서 기술되어 있다. 다른 한면에 마찬가지로 50 g/㎡의 아크릴레이트 용매 조성물 (WO 2006/027389 A1의 실시예 PA1에 해당)을 적층시켰다.
에틸렌 폴리머 조성물의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1 N/cm이며, 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의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5 N/cm이다. 에틸렌 폴리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결합 강도는 > 10 N/cm이며, 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결합 강도는 2 N/cm이다.
비교 실시예 1
접착제가 표준 상업적 포뮬레이션에 따라 100 phr Vector 4113, 97 phr Escorez 1310, 21 phr Ondina 933, 및 1 phr Irganox 1726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이 크게 변형되었고 풀기에 매우 어려웠다.
양립성 시험: PVC 절연물은 500 시간 후 최초 크랙(crack)을 나타내었으며, PE 및 PP 절연물은 105℃에서 1000 시간 저장 후에 최초 크랙을 나타내었다. 점착력은 1000 시간 후에 사라졌다; 접착제는 캐리어에 의해 흡수되었고, 여기서 이는 고형화되었다.
연무 수치: 35.
비교 실시예 2
100 phr LD 251, 78.4 phr Ondina 933, 212 phr Eastotac H130R (수소첨가되지 않은 C5 탄화수소 수지, 다분산도 2.1, 융점 130℃), 및 8 phr Irganox 1726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행하였다. 코팅은 점착력을 나타내지 않았고 오일성 표면을 갖는 경질이다.
비교 실시예 3
100 phr Engage 7467, 78.4 phr Ondina 933, 212 phr Escorez 1310, 8 phr Irganox 1726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코팅은 매우 연질이고 플라이캐처(flycatcher)와 같이 점착적이다. 저용융 점도의 결과로서, 접착제는 캐리어로 관통되었다. 코팅된 베일이 롤로 슬릿팅하는 것(slit)이 가능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접착제는 풀림시에 찢어지며 분할(split open)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결합 강도(응집 파괴)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연무 수치: 37.
비교 실시예 4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Escorez 1310, 8 phr Irganox 1076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실시예 3에서와 같이 40 g/㎡로 코팅하였다. 70℃에서 4주 동안 롤의 저장 후에, 페이퍼는 오일 취소선을 나타내었고, 접착제의 점착력은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롤은 변형되었다(중공점). 코팅은 점착적이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5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PB 0300 M, 212 phr Escorez 1310, 8 phr Irganox 1076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코팅하였다. 코팅은 점착적이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6
IN FUSE 9107 대신에 LD 25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코팅은 점착적이지 않았고, 오일 표면을 갖는 경질이었다.
비교 실시예 7
IN FUSE 9107 대신에 Engage 7467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코팅은 매우 연질이고 점착적이었다. 결합 강도는 응집 파괴로 인해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 실시예 8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PB 0300 M, 212 phr Escorez 5400, 8 phr Irganox 1076. 접착제는 실제로 점착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패키징 적용(packaging application)을 위한, 바람직하게 강화 카드보드 패키징을 위한, 보다 특히 다이컷의 영역에서, 인열-개방 스트립(tear-open strip)으로서, 운반 손잡이로서, 팔레트 고정(pallet securement)을 위한, 상품의 전달 고정(transmit securement)으로서, 번들링(bundling)을 위한, 및 보다 특히 접철식 상자(folding carton)의 밀봉을 위해 상당히 적합하다. 이러한 상품의 예는 PC 프린터 또는 냉장고이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캐리어 상에 무용매로 도포된다.
또한, 올레핀 폴리머가 에틸렌 폴리머인 접착제 패키징 테이프 유틸리티(utility)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접착제, 일반적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접착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뿐만 아니라 비가소화된 PVC 필름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이들의 불량한 제거능력으로 인하여, 상품의 전달 고정을 위해 적절치 않다.
이에 대한 구제책은 접착 패키징 테이프로서의 접착 테이프의 본 발명의 용도에 의해 제공된다.
에틸렌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6 g/10 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5 g/10 분 미만의 용융 지수, 바람직하게 26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7 MPa 미만의 굴곡 탄성율을 가지고/거나 모노머로서 C3 내지 C10 올레핀, 바람직하게 1-옥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에틸렌 폴리머는 합성 고무와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EPM, EPDM, 불포화되거나 수소첨가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가 있다.
놀랍게도, 신규한 폴리에틸렌-계열 접착제의 경우에 점착력 및 결합 강도는 통상적인 고무 접착제와는 반대로, 수지의 다분산도에 매우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탄화수소 수지는 점착제 수지로서 바람직하다. 이미 특정된 것에 추가하여, 테르펜-페놀성 수지가 또한 적합하지만, 단지 중간 정도의 점착력을 나타내고, 또한 매우 양호한 전단 강도 및 에이징 저항성을 나타낸다.
접착제는 항산화제 없이 다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품의 전달 고정으로서 적용되는 경우에, 결합된 물품에 변색을 초래할 수 있는 항산화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식품과 접촉하는 접착제 결합에 대해 적합하다. 접착제의 생산 및 코팅 동안 매우 높은 열 부하의 경우에, 페놀성 항산화제의 사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되는 가소제는 바람직하게 미네랄 오일이 존재하지 않고, 대신에 이소부텐 호모폴리머 및/또는 이소부텐-부텐 코폴리머, 및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시트르산 또는 아디프산의 에스테르, 보다 특히 분지된 옥탄올 및 노난올을 갖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액상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접착제는 굴곡 탄성율이 바람직하게 10 MPa 미만이고 미세결정 융점이 50℃ 미만인, 에틸렌 및 부트-1-엔, 헥스-1-엔 또는 옥트-1-엔의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트-1-엔, 헥스-1-엔 또는 옥트-1-엔의 테르폴리머, 또는 EPM 또는 EPDM, 바람직하게 4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함량 및/또는 0.88 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87 g/㎤ 미만의 밀도를 갖는 EPM 또는 EPDM을 포함하며, 이러한 코폴리머 또는 테르폴리머는 바람직하게 100 phr을 초과한다.
바람직한 코팅 방법에는 슬롯 다이로의 압출 코팅 및 캘린더 코팅이 있다. 특정 일 구체예에서, 캐리어 필름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로 공압출된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15 내지 40 g/㎡,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30 g/㎡로 캐리어에 도포된다.
바람직한 캐리어는 비가소화된 PVC (보다 특히 에멀젼 PVC) 또는 폴리올레핀의 필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필름은 생산 과정에서 일축 또는 이축으로 신장되고/거나, 이는 바람직하게 25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 3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다.
필름은 라미네이션, 엠보싱 또는 방사선 처리에 의해 개질될 수 있다. 필름에는 표면 처리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러한 필름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불소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이로부터 떨어진 면 상에 이형 코팅, 용액 또는 분산액의 코팅, 또는 액상의 방사선-경화성 물질의 코팅이 이루어진다.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접착제와 반대쪽의 캐리어 측면 상에 위치된 이형 코팅을 포함하며, 이러한 코팅의 예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Primal® 205), 스테아릴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비닐 스테아릴 카르바메이트 또는 크롬 스테아레이트 착물 (예를 들어, Quilon® C)의 코팅, 또는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 및 스테아릴 아민의 반응 생성물의 코팅이 있다. 실리콘의 도포는 무용매로 또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실리콘은 방사선, 축합 반응 또는 부가 반응에 의해, 또는 물리적으로 (예를 들어 블록 구조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이형 코팅은 바람직하게 폴리비닐 스테아릴 카르바메이트 또는 실리콘을 기초로 한 것이다. 쉽게 풀리는 접착 페키징 테이프를 위하여, 이형 코팅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신에 필름의 후면이 처리되지 않거나 코로나와 같은 물리적 방법에 의해 처리된다.
실시예 A1
사용되는 캐리어 필름은 Kloeckner-Pentaplast, Gendorf로부터의 필름 R240 (종래 상품명 GA 06)이다. 이는 441 엠보싱 (풀림력을 감소시키기 위함), 30 ㎛의 엠보싱 전 두께를 가지고, 무색이다. 이는 78의 K 값을 갖는 E-PVC, 0.6 중량%의 주석 안정화제, 및 대략 3 중량%의 몬탄 에스테르 왁스(montan ester wax)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름은 Luvitherm® 방법으로 생산된다.
하부면 (엠보싱이 일어나지 않음)은 코로나-처리되고 여기에는 천연 고무, 시클로 고무(cyclo rubber), 및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가 제공된다.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78 phr Ondina 933
212 phr PRO 10394
2 phr Irganox 1076
그리고, 이는 용융물로부터 25 g/㎡로 도포된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2.8 N/cm이다.
본 실시예의 점착력은 양호하다.
실시예 A2
55 ㎛ 두께 및 적갈색을 갖는, 1:7 비로 기계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캐리어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다. 이의 후면 상에는 축합-가교 실리콘이 코팅된다. 프라이머가 사용되지 않았다.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507
140 phr Oppanol B 10
250 phr Escorez 1310
2 phr Irganox 1076
그리고, 이는 용융물로부터 28 g/㎡로 도포된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6.5 N/cm이다. 점착력은 양호하다.
실시예 A3
캐리어 필름은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를 포함하는 Radil TM 35 ㎛이다. 이의 코로나-처리된 측면 상에 톨루엔 용액으로부터 폴리비닐 스테아릴 카르바메이트가 코팅되고, 이의 반대쪽 측면 상에 28 g/㎡의, 하기 조성을 갖는 감압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되었다:
100 phr IN FUSE 9107
78 phr Ondina 933
212 phr Foral 85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4.8 N/cm이다. 점착력은 양호하였다.
비교 실시예 A1
하기 조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A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100 phr LD 251
78 phr Ondina 933
212 phr Escorez 1310
2 phr Irganox 1076
코팅은 접착적이지 않았지만 오일성 표면을 갖는 경질이다.
비교 실시예 A2
하기 조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A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100 phr IN FUSE 9107
78 phr PB 0300 M
212 phr Escorez 1310
2 phr Irganox 1076
코팅은 접착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한 페인팅, 샌드블라스팅(sandblasting), 몰타르로의 회반죽(plastering) 또는 이송을 위한 표면의 마스킹(masking)을 위해, 특히 외부 풍화를 갖는 적용, 및 특히 자동차의 페인트 마감재를 보호하기 위한 표면의 마스킹을 위해 상당히 적합하다.
실제로, 고무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천연 고무, 점착제 수지, 가소제, 및 페놀성 항산화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것들의 에이징 저항성 및 UV 저항성은 비교적 낮았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우수한 에이징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가지지만, 불행하게도 비극성 기재에 대해 불량하게 접착한다. 이러한 것들은 알루미늄, 유리 또는 PVC와 같은 매우 극성의 기재로부터 제거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마스킹 적용을 위해 적합하지 않다. 특히 긴 풍화 노출 후에, 실제 모든 접착 테이프는 잔여물 없이 전부 제거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접착 마스킹 테이프(adhesive masking tape)는 에이징 및 UV에 대해 안정적이고, 접착력은 극성 및 비극성 기재에 대해 조정가능하며, 또한 무용매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한면 상에 용융물로부터 코팅된다.
또한, 올레핀 폴리머가 에틸렌 폴리머인 접착 마스킹 테이프 유용물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틸렌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6 g/10 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5 g/10 분 미만의 용융 지수, 및 바람직하게 26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7 MPa 미만의 굴곡 탄성율을 가지고/거나, 모노머로서 C3 내지 C10 올레핀, 바람직하게 1-옥텐을 포함한다.
에틸렌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결정상 폴리에틸렌 블록, 및 에틸렌 및 C3 내지 C10 올레핀의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블록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에틸렌 폴리머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고무 접착제에 대해 공지된 엘라스토머와 합쳐질 수 있다. UV 안정성으로 인하여, 불포화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천연 고무, SBR, NBR 또는 불포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단지 소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주쇄에서 포화된 합성 고무,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EPM, EPDM 또는 수소첨가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는 요망되는 개질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신규한 폴리에틸렌-계열 접착제의 경우에 점착력 및 결합 강도는 통상적인 고무 접착제와는 반대로, 수지의 다분산도에 매우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 1차 항산화제, 바람직하게 적어도 2,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6 phr의 양, 및/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기를 갖는, 1차 항산화제,
- 0 내지 5, 바람직하게 0.5 내지 1 phr의 양의, 및/또는 황 화합물의 부류 또는 포스파이트의 부류로부터의 2차 항산화제,
- 광안정화제, 바람직하게 HALS, 및/또는
-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점착제 수지로서, 로진(예를 들어, 발삼 수지) 또는 로진 유도체(예를 들어, 불균화, 이량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된 로진)를 기초로 한,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수지에 의해서 우수한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액체, 미네랄 오일-부재 가소제, 예를 들어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시트르산 또는 아디프산의 에스테르, 울 왁스, 액체 고무 (예를 들어, 저분자량 니트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또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순수한 이소부텐 또는 이소부텐-부텐 코폴리머를 포함한 액상 폴리머, 40℃ 미만의 융점을 가지고 점착제 수지의 원료 물질, 보다 특히 상술된 점착제 수지의 부류를 기초로 하는 액체 수지 및 가소제 수지를 포함한다. 이소부텐의 액상 폴리머, 및 특히 이소부텐 및 부텐의 코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공된 이유로 인하여, 접착제에는 미네랄 오일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외부 적용을 위하여, 접착제에 바람직하게 광안정화제 및/또는 UV 흡수제, 예를 들어 상표명 Chimassorb 및 Tinuvin으로 공지된 것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에 의해 HALS로 칭하여지는 아민-타입 광안정화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캐리어는 페이퍼, 직조 직물, 니트 직물(knitted fabric), 티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PVC의 비연신 또는 연신 필름, 바람직하게 페이퍼 또는 비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감압 접착제는 용액 및 용융물로부터 제조되고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조 및 가공 방법은 용융물로부터이다. 후자의 경우에, 적합한 제조 공정은 배치 공정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을 포함한다. 압출기에 의해 감압 접착제를 연속 제조하고 후속하여 적절히 높은 온도에서 타겟 기재 상에 접착제로 코팅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코팅 공정에는 슬롯 다이에서의 압출 코팅, 및 캘린더 코팅이 있다. 코트 중량 (코팅 두께)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120 g/㎡,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70 g/㎡이다.
실시예 B1
이러한 적용을 위한 바람직한 접착 테이프는 실시예 2의 접착 테이프에 해당한다.
실시예 B2
이러한 적용을 위한 바람직한 접착 테이프는 실시예 4의 접착 테이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공기-컨디셔닝 시스템에서의 통풍 파이프 또는 통풍 라인,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번들링(bundling), 보호, 라벨링(labeling), 절연(insulating), 또는 밀봉을 위한, 및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케이블 하네스(cable harness) 및 브라운관의 필드 코일(field coil)의 랩핑(wrapping)을 위한 랩핑 테이프(wrapping tape)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케이블 권취 테이프(cable winding tape) 및 절연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한면이 감압 접착제로 코팅되어 있는 가소화된 PVC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응하는 단점은 가소제 증발 및 높은 할로겐 함량을 포함한다. 가소화된 PVC 필름을 기초로 한 권취 테이프는 케이블 룸을 형성시키도록 전기 도선을 감기 위해 자동차에서 사용된다. 초기에 제 1 특별 목적이 본래 절연 테이프로서 개발된, 이러한 권치 테이프를 사용할 때 전기적 절연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었지만, 이러한 부류의 케이블 하네스 테이프는 안정한 케이블 가닥을 형성시키기 위해 복수의 개개 케이블의 번들링 및 영구적 고정, 및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손상에 대한 개개 케이블 및 전체 케이블 가닥의 보호와 같은 추가 기능을 충족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가소화된 PVC 필름을 직조물 또는 부직포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얻어진 생성물은 실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비교적 고가이고 조작적 측면(예를 들어, 수작업 인열능력(hand tearability), 탄성 복원력)에서, 및 일반적인 제품으로부터의 서비스 조건 (예를 들어, 작동 유체에 대한 저항, 전기적 성질)하에서 매우 어려웠다;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두께는 특히 중요한 인자이다.
또한, 폴리올레핀 캐리어를 지닌 권취 테이프가 (특허)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에는 고무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있다.
고무 접착제의 장점은, 접착 성질을 조정하기 쉽다는 것이다. 엔진 구획에서 적용하기 위하여, 고무 접착제는 적합하지 않고; 소비자 사양에 따라, 일반적인 시험 조건 하,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또는 140℃에서 168 시간 후에, 이러한 것들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및 특히 PVC의 케이블 절연물의 취성(embrittlement), 및 폴리올레핀 캐리어의 취성을 야기시킨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필름의 후면에 대해 불량한 접착력을 가지고, 이는 낮은 풀림력, 다시 말해서 25℃에서 적어도 1달 동안 저장된 롤의 경우에, 300 mm/분에서 1 N/cm 미만의 플림력을 형성시키며, 도포, 주름 부재 권취를 위해, 가공 담당자 피로를 야기키지 않는 수치는 1.6 내지 3.0 N/cm일 것이다. 필름의 후면 상에 코로나 처리에 의해서, 풀림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심지어 낮은 코로어 출력의 경우에, 이러한 힘은 이미 대략 4 N/cm이고, 긴 저장하에서 더욱 증가한다.
아주 고가이지 않고 또한 용매부재 형태로 이용가능한 감압 실리콘 접착제가 구제책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감압 접착제의 분산 코팅은 잠재적으로 물 노출로부터 위험하여, 결합 강도의 손실(권취 단부의 플래깅(flagging)) 및 전기적 성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용매-계열 접착제는 이러한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자동차에서 VOC 부재 (VOC = 휘발성 유기 화합물)를 위한 새로운 요건에 따르지 않고, 직업적 위생 및 직업적 안전의 측면에서 오늘날의 요건들을 만족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 놀랍고도 예상치 못하게, 이러한 부류의 권취 테이프는 폴리올레핀 필름 및 감압 폴리올레핀 접착제의 층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권취 테이프의 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캐리어는 할로겐-부재 폴리올레핀 캐리어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 접착제는 무용매로 도포된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또는 1-옥텐을 기초로 한 폴리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이러한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접착제는 또한 바람직하게 실제로 결정화도를 갖지 않는 매우 연질의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는 바람직하게 상표명 Exact®, Engage®, Versify® 또는 Tafmer®로서 공지된, 에틸렌, 프로필렌, 부트-1-엔, 헥스-1-엔 및/또는 옥트-1-엔의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트-1-엔, 헥스-1-엔 및/또는 옥트-1-엔의 테르폴리머이며, 이의 굴곡 탄성율은 바람직하게 20 MPa 미만이며, 미세결정 융점은 바람직하게 50℃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 테이프에서 바람직한 캐리어는 산화-민감성 이중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항산화제 없이 다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장기간 안정성을 위하여, 1차 항산화제, 및 더욱 바람직하게 2차 항산화제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캐리어는 적어도 2 phr, 더욱 바람직하게 6 phr의 1차 항산화제, 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2 phr, 보다 특히 적어도 6 phr의 1차 항산화제와 2차 항산화제의 조합을 포함하며, 1차 항산화제 및 2차 항산화제가 상이한 분자에 필수적으로 존재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상기 기능들은 또한 한 분자에서 조합될 수 있다. 2차 항산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 최대 5 phr, 더욱 바람직하게 0.5 내지 1 phr이다. 놀랍게도, 1차 항산화제 (예를 들어,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 또는 C-라디칼 스캐빈저, 예를 들어 CAS 181314-48-7) 및 2차 항산화제 (예를 들어, 황 화합물, 포스파이트 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아민)의 조합이 향상된 양립성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1차 항산화제, 바람직하게 500 달톤 초과의 상대적 몰질량을 갖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과, 황 화합물의 부류 또는 포스파이트의 부류의 2차 항산화제, 바람직하게 500 달톤 초과의 상대적 몰질량을 갖는 2차 항산화제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며, 페놀, 황-함유 및 포스파이트 기능은 3개의 상이한 분자에 반드시 존재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1개 초과의 기능은 또한 한 분자에 단일화될 수 있다.
권취 테이프가 빛(예를 들어, 태양광에 대해)에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노출되는 적용을 위하여, 광안정화제, 더욱 바람직하게 HALS, 예를 들어 Tinuvin 111, UV 흡수제, 예를 들어 Tinuvin P, 또는 불투명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은 바람직하게,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또느 1-옥텐을 기초로 한 폴리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는 캘린더링 또는 압출, 바람직하게 공압출에 의해, 예를 들어 블로운-필름(blown-film) 또는 캐스팅 과정에서 생산될 수 있다. 실제로, 가교의 결과로서, 권취 테이프는 용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자 또는 γ 방사선과 같은 이온화 방사선, 또는 과산화물을 통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공정은 캐리어층 및 감압 접착제 층의 공압출의 공정이다.
필름은 난연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폴리포스페이트, 카르보네이트, 및 히드록사이드, 보레이트, 스타네이트(stannate), 질소-계열 난연제, 예를 들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디시아노디아미드, 적린, 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아민, 예를 들어, HA(L)S의 부류, 또는 할로겐-함유 난연제, 예를 들어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헤가브로모시클로도데칸, 또는 디브로로스티렌을 기초로 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통상적인 필름 첨가제, 예를 들어 충전제, 안료, 광안정화제 또는 에이징 억제제, 핵형성제, 충격 보강제 또는 윤활제, 등이 생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권취 테이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30 내지 180 ㎛,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150 ㎛, 보다 특히 55 내지 100 ㎛의 범위이다. 표면은 구조화되거나 매끄러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표면에는 약간 뿌연 마감재가 제공된다. 이는 충분히 높은 입자 크기를 갖는 충전제의 사용을 통해 또는 롤(예를 들어, 캘린더 또는 매트화된 냉각 롤(matted chill roll) 상의 엠보싱 롤, 또는 압출 단계에서 엠보싱 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md(기계 방향)에서의 본 발명의 권취 테이프의 기계적 성질은 바람직하게 하기 범위내에 존재한다:
● 0.6 내지 4 N/cm,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3 N/cm의 1% 연신율에서의 힘
● 5 내지 20 N/cm, 더욱 바람직하게 8 내지 12 N/cm의 100% 연신율에서의 힘
● 200%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 300% 내지 400%의 파단시 연신율
● 6 내지 40 N/cm, 더욱 바람직하게 8 내지 15 N/cm 범위의 인장 강도
데이타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름은 날까로운 날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본 발명의 권취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3000 시간 후에 적어도 105℃, 적어도 125℃의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저장 후에, 파단시 연신율이 여전히 적어도 100%이며, 랩핑된 와이어가 LV 312에 따라 취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풀림력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3.8 N/cm, 더욱 바람직하게 1.6 내지 3.0 N/cm이다.
권취 테이프는 자동차에서 필드 코일 또는 케이블 하네스와 같은 긴 재료의 랩핑을 위해 상당히 적합하다. 높은 에이징 안정성이 눈에 띈다. 이에 따라, 권취 테이프는 마찬가지로 다른 장기간 적용, 예를 들어 공기-컨디셔닝 설비에서 통풍 파이프에 대해 적합하다. 또한, 권치 테이프가 케이블 가닥의 탄성 수축을 제공하는데 바람직하며, 이는 풀림력의 결과로서 캐리어의 일부 상에 충분한 신장(elongation)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통풍 파이프의 밀봉을 위해 요구된다. 높은 에이징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성질들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기초로 한 권취 테이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C1
캐리어 필름은 블로운 필름의 압출에 의해 생산된다. 이는 외측 상에 Na 이온을 갖는 에틸렌 코폴리머(Surlin 1601-2 DuPont)로 이루어지고, 다른 측면에 LDPE (LD 251)로 코팅되어 있다.
얻어진 필름을 한면, 즉 내측면 상에 코로나 처리하고, 동일한 면 상에 20 g/㎡의 감압 핫멜트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얻어진 점보(jumbo)를 회전 나이프 (둥근 날)를 이용하여 15 mm 폭의 롤로 절단하여 슬릿팅하였다.
감압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
100 phr IN FUSE 9107,
50 phr Wingtack 10,
180 phr Foral 85,
8 phr Irganox 1726.
풀림력은 2.0 N/cm이며, 케이블 가닥은 주름 없이 랩핑될 수 있으며, 125℃에서 3000 시간 동안의 저장 후에, 캐리어 필름과 와이어 절연물 모두 취성을 나타내지 않고 접착제는 이의 접착력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C2
캐리어 필름은 먼저 동시-회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100 phr의 Hifax CA10A, 10 phr의 Vinnapas B 10, 165 phr의 Magnifin H 5 GV, 10 phr의 Flammruss 101 램프-타입 카본 블랙, 0.8 phr의 Irganox 1010, 0.8 phr의 Irganox PS 802 및 0.3 phr의 Irgafos 168를 배합하여 생산된다. Magnifin을 구역 1, 3 및 5에 각각 1/3씩 첨가하였다. 배합된 포뮬레이션을 평면 필름 공정에서 감압 접착제와 공압출하고, 점보에 감ㅇ은 후에, 절단하였다. 캐리어 층의 두께는 100 ㎛이며, 접착제 층의 밀도는 22 g/㎡이다.
접착제의 조성:
100 phr Softell CA02A,
70 phr Oppanol B 10,
180 phr Regalite R1100,
8 phr Irganox 1726.
풀림력은 2.5 N/cm이며, 케이블 가닥은 주름 없이 랩핑될 수 있으며, 105℃에서 3000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캐리어 필름 및 와이어 절연물 모두 취성을 나타내지 않고, 접착제는 이의 접착력을 유지하였다.
비교 실시예 C1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필름에 20 g/㎡의 감압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건조시켰다. 풀림력은 0.5 N/cm이며, 케이블 가닥의 랩핑에 주름이 형성되었다. 105℃ 및 125℃ 각각에서 3000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에, PP, PE 및 PVC로부터 제조된 캐리어 필름 및 와이어 절연물은 만족스러웠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조성물의 점착력은 후가교로 인하여 여전히 약하다.
비교 실시예 C2
실시예 C1에서와 같은 필름에 20 g/㎡의, 로진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매 계열 조성물인 천연 고무을 코팅하고 건조시켰다. 풀림력은 2.5 N/cm이며, 케이블 가닥의 랩핑이 양호하다. 105℃에서 3000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에, PP 및 PE로부터 제조된 캐리어 필름 및 와이어 절연물은 만족스러웠고, PVC로부터 제조된 와이어 절연물은 취성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에, 캐리어 필름 및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취성을 나타내었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조성물은 완전한 취성을 나타내었다.
권취 테이프로서 이의 사용 이외에,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케이블의 랩핑(wrapping)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캐리어 상에 무용매로 도포된다.
또한, 접착제 케이블-랩핑 테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해, 올레핀 폴리머는 에틸렌 폴리머이고/거나 캐리어는 섬유 캐리어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및 전기기계 부품, 및 전기 도선의 외장(sheathing)은 흔히, 역사적 이유 및 이의 입수가능성 및 이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중요한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를 갖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된다. 보다 특히, 구리-코어 외장은 고온 요건 또는 할로겐의 부재와 같은 경계 조건의 결과로서 대체물이 필수적이지 않는 한, 주로 PVC 포뮬레이션으로 구성된다.
과거에, 이러한 케이블의 기계적 및 전기적 보호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기 도선 및 부품들의 보호 및 절연, 및 밴디징(bandaging)을 위해 상당한 범위로 사용되는 자가-접착 테이프가 개발되었다. 자가-접착 테이프는 접착 테이프와 케이블 외피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케이블에 대한 손상없이 장기간 어셈블리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테이프는 현재 주로 가소화된 PVC 필름 및 고무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다. 특정 적용을 위하여, 예를 들어, 온도 부류 T3 (하기 참조)에서 또는 통기성 요건의 경우에, 직조 폴리에스테르 또는 비스코스-스테이플 섬유(viscose-staple fabric)와 같은 섬유 캐리어를 갖는 접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PVC의 환경적 양립성과 관련한 논의에서, 이러한 물질을 대체물로 교체하려는 경향이 있다. 전기 부품 및 악세사리, 및 구리 와이어의 외장은 점차적으로 다른 플라스틱과 함께 생산되고 있으며; 보다 엄격한 적용을 위하여, 플루오로폴리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가교된 폴리에틸렌이 사용된다. 비교적 저온 요건을 갖는 비용-민감성 대형-마켓 부분의 경우에, 폴리프로필렌-계열 물질이 점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에서의 케이블 하네스의 경우, PVC-부재 도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플러그 연결구, 스위치, 파형 튜브 등과 같은 부품들은 이미 주로 PVC-부재 물질로부터 제작된다. 하기에서, 시험을 위해, 용어 와이어 절연물, 외장, 케이블, 케이블 하네스 및 도선이 동의어로 사용된다.
자가-접착 테이프로 랩핑되는 전기 도선, 또는 전기 부품들의 길이는 자동차와 같이 전체로서 제품의 전체 수명에 걸쳐 신뢰성 있는 작동을 확보해야 한다. 적합하지 않은 접착 테이프가 선택되는 경우에, 제품의 수명 동안에 불양립성, 케이블에 대한 수반하는 손상, 또는 심지어 큰 취성의 경우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체 전기/전자 시스템의 고장의 위험을 갖는, 부식 및 쇼트 회로가 가능한 결과이다. 특히 자동차 또는 트럭과 같은 운송 수단의 경우에, 양립성을 부여하는 요건이 매우 엄격하며; 승객 구획에서, 최대 온도가 최대 80℃일 수 있으며, 엔진 구획에서, 더욱 높은 온도이다. 그 결과, 케이블 랩핑 테이프의 사용 분야에 대해, 예를 들어 자동차 시험 가이드라인 LV 312에서 기술된 부류의 3000 시간에 걸친 장시간 시험은 표준 시험으로서 설정되었다. 이는 양립성 시험을 상세히 기술한 것이다:
샘플 케이블 하네스를 시험 온도에서 저장하고, 특정된 시간후에, 대개 500 시간 마다, 규정된 직경의 만드렐 둘레를 구부린 후에 손상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러한 시험은 3000 시간의 전체 시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시험 온도는 케이블 하네스가 이용되는 온도 부류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는 승객 구획 또는 엔진 구획에서의 케이블 룸의 사용 분야에 따라 90℃ 내지 150℃이다. LV 312 시험은 온도 범위 T2의 경우에 접착 테이프에 대해, 접착 테이프와 와이어 절연물 간의 양립성이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확보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제공된다. 유럽에서, 이러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이 주로 PVC 외장을 갖는 케이블이기 때문에, 시험은 이러한 부류의 케이블 상에서 접착 테이프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높은 온도 부류, T3에서, 폴리프로필렌 및 방사선-가교된 폴리에틸렌 (XPE)으로부터 제조된 절연물을 지닌 와이어는 주로 시험을 위해 사용된다. 시험 온도는 105℃ 대신에 125℃이다. LV 312을 기준으로 특정된 특정 제조업자로부터의 도선 이외에, 동일한 시험은 본래 예를 들어 미국에서 SAE J1128 ® TXL 표준 또는 SAE J1128 ® TWP 표준과 같은 다른 국제 표준을 충족시키는 도선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LV 312 시험 방법에 따르면, 시편 케이블 하네스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산된다. 0.35 mm2의 도선 단면을 갖는 2개의 동일한 코어를 대략 2 cm의 레이(lay)의 길이로 꼰다. 번들링된 도선을 대략 50% 중첩된 시험 (폭 19 mm)하에서 접착 테이프와 나선형으로 랩핑한다. 105℃의 시험 온도에 대해, 사용되는 도선은 PVC 도선이다 (제조업자 상품명 Gebauer & Griller 67218 또는 Coroplast 46443).
125℃의 시험 온도에 대해, Tyco (제조업자 상품명: AGP 0219)로부터의 PP 도선 및 Acome (제조업자 상품명: T4104F)로부터의 XPE 도선, 또는 Draka (제조업자 상품명: 971130)로부터의 도선이 사용된다.
접착 테이프로 랩핑되고 상응하는 기준 도선을 포함하는 도선 하네스, 및 추가로 랩핑되지 않은 블랭크 샘플을 자연 통풍되는 오븐에서 각각 105℃ 또는 125℃에서 3000 시간 동안 자유롭게 매달려진 채로 저장하였다. 500 시간 마다, 시험 시편을 꺼내었다. 케이블 하네스를 적어도 3 시간 (그러나, 48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시험 조건으로 컨디셔닝하고, 하기와 같이 시험하였다.
도선 하네스의 섹션을 20 mm 직경을 갖는 만드렐 둘레에 감고, 검사하였다. 이후에, 시험 시편에서 접착 테이프를 제거하고, 풀었다. 우선, 랩핑 테이프는 도선에 대한 명확한 손상 없이 탈착될 수 있어야 한다. 이후에, 개개의 코어를 시험하였다. 하나의 개개 코어를 2 mm 직경 만드렐 둘레에 적어도 2회 팽팽하게 감고, 다른 하나의 코어를 10 mm 직경 만드렐 둘레에 감고, 이러한 것들을 각각 검사하고, 각 경우에 전압 시험을 수행하였다.
개개 코어를 2 mm 만드렐 둘레에서 시험할 때, 와이어 절연물은 어떠한 크랙, 파괴 또는 취성을 나타내지 않아야 하고,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 접착 테이프는 와이어 절연물과 양립될 수 있다고 말한다. 도선의 변색은 용인될 수 있다. 그러나, 본래 색이 여전히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부류의 케이블 권취 적용을 위해 가소화된 PVC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테이프-형 캐리어, 또는 직조 또는 스티치결합된 웹(stitchbonded web)을 기초로 한 직물을 갖는 접착 테이프가 공지되어 있다. 스티치결합된 웹 캐리어를 갖는 테이프는 예를 들어, DE 94 01 037 U1에 기술되어 있다. 접착제 코팅으로서, 감압 접착제 코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까지, 섬유 캐리어 상에, 천연 고무 및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감압 접착제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천연 고무 계열 접착제는 거의 항상 LV 312 양립성 시험에서 PVC 및 폴리올레핀 케이블 외장 둘 모두 상에 결점을 나타낸다. 천연 고무 접착제가 용액으로부터 가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은 진보적이지 않다. 용매 없이 용융물로부터 가공될 수 있는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접착제는 단지 PVC 와이어 절연물을 갖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 상에서 온도 범위 T2 (105℃에서 3000 시간 시험)에 대해 양립성을 달성하며, 사용되는 케이블은 마찬가지로 T2 온도 부류에 따라 특정된다. 일어나는 손상의 범위는 케이블 외장에서 약간의 크랙으로부터, 취성을 통해 저장 후 부품 및 와이어 외장의 분해에 의한 완전한 고장으로 진행한다. T3 온도 부류 (125℃에서 3000 시간 시험)의 경우에, 아직까지 양호한 감압 접착제가 아니며; 아크릴레이트는, 비록 온도 안정적이지만, 용매를 함유하거나 섬유 캐리어 상에 분산액으로 코팅되지 못할 수 있으며; 시장에서의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핫멜트는 매우 고가이고, 후가교의 결과로서, T2 및 T3 조건하에서 저장시에 이의 감압 접착성을 손실시킨다.
천연 고무 또는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유사한 접착 테이프와 비교하여, 섬유 캐리어 및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의 바람직하 구체예는 단지 케이블 양립성 뿐만 아니라 자동차 공학에서의 케이블 룸에서 통상적인 부류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의 파형 튜브와의 양립성에 있어 장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에틸렌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6 g/10 분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5 g/10 분 미만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에틸렌 폴리머의 굴곡 탄성율은 바람직하게 26 M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7 MPa 미만이다.
에틸렌 폴리머는 코모노머로서, 바람직하게 C3 내지 C10 올레핀, 보다 특히 1-옥텐을 포함한다. 에틸렌 폴리머는 바람직하게 결정상 폴리에틸렌 블록, 및 에틸렌 및 C3 내지 C10 올레핀의 실질적인 비정질 블록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인 직물 접착 테이프는 먼저 저장시에 변형(돌출부 및 중공 포인트의 형성)을 일으키고, 둘째로 접착제의 냉류의 결과로서, 사용자가 풀기 너무 어렵게 되거나 풀림이 시도될 때 접착제가 실제로 분할될 때까지, 풀림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접착 테이프의 또다른 놀라운 장점은, 본 발명의 접착-테이프 롤이 저장시에 안정하다는 것이다. 70℃에서 1달 동안 저정한 후에도, 의도되는 대상은 효과적으로 풀림능력을 유지한다.
또한, LV 312 표준은, 감압 접착제의 층이 가온 저장 후에, 양립성 시험과 유사하게 감압 접착성을 여전히 나타낼 것을 요구한다. 천연 고무 또는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기초로 한 접착 테이프는 단지 500 내지 1500 시간 후에 완전히 이들의 접착성을 잃는다. 섬유 캐리어와 관련하여, 분명히, 산소의 전달이 접착제의 심각한 산화를 야기시키기에 충분히 높다. 이러한 부류의 적용을 위하여 너무 고가일 뿐 아니라 필수적으로 적절치 않은 결합 강도를 갖는 수소첨가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의 경우에, 접착성력 마찬가지로 거의 전체적으로 감소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주로 이러한 접착제가 시험 온도에서 용융되며, 용융물이 섬유 캐리어에 의해 흡입 하에서 끌어올려지며, 그 결과 감압 접착제가 표면 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에서 관찰된다. 놀랍게도, 105℃에서, 본 발명의 접착제는 섬유 캐리어를 단지 약간 침투하고, 적합한 에이징 억제제가 사용될 때 양호한 접착력을 유지하며, 실제로 이는 매우 양호한 특별한 접착제 데이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에틸렌 폴리머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고무 접착제에 대해 공지된 부류의 엘라스토머와 합쳐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불포화된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천연 고무, SBR, NBR 또는 불포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는 단지 소량으로 사용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주쇄에 포화도를 갖는 합성 고무,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EPM, HNBR, EPDM 또는 수소첨가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는 개질이 요망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기술된 가소제를 포함한다. 미네랄 오일은 에틸렌 폴리머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매우 적합하지만, 너무 휘발성이어서 양호한 연무 수치 (DIN 75201), 다시 말해서, > 60을 달성한다.
가소제로서 DOP를 갖는 통상적인 PVC 접착 테이프는 30 내지 35의 연무 수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PVC 접착 테이프에 비해 적어도 우수할 것이다. 또한, 트리멜리테이트 가소제 (TOTM) 또는 액체 폴리이소부틸렌 (예를 들어, Oppanol® B 10)를 지닌 접착제는 125℃에서 3000 시간의 저장 후에 미네랄 오일이 사용된 것에 비해 상당히 큰 점착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미네랄 오일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점착제 수지의 융점 (DIN ISO 4625에 따라 측정)은 바람직하게 90℃ 미만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는 산소-민감성 이중 결합 없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항산화제 없이 다루어질 수 있다. 놀랍게도, 항산화제는 접착제와 와이어 절연물의 양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항산화제, 및 더욱 바람직하게 2차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2 phr, 더욱 바람직하게 6 phr의 1차 항산화제, 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2 phr, 보다 특히 적어도 6 phr의 1차 항산화제와 2차 항산화제의 조합을 포함하며, 1차 항산화제 및 2차 항산화제의 기능이 반드시 상이한 분자에 존재하지 않아도 되며, 대신에, 상기 기능들은 또한 하나의 분자에 합쳐질 수 있다.
이러한 양과 관련하여, 금속 비활성화제 또는 광안정화제와 같은 임의의 안정화제가 고려되지 않는다. 2차 항산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 최대 5 phr, 더욱 바람직하게 0.5 내지 1 phr이다. 놀랍게도, 1차 항산화제 (예를 들어,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 또는 C-라디칼 스캐빈저, 예를 들어 CAS 181314-48-7) 및 2차 항산화제 (예를 들어, 황 화합물, 포스파이트 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아민)의 조합은 향상된 양립성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1차 항산화제, 바람직하게 500 달톤 초과의 상대적 몰질량을 갖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과, 황 화합물의 부류 또는 포스파이트의 부류로부터의, 바람직하게 500 달톤 초과의 상대적 몰 질량을 갖는 2차 항산화제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며, 페놀, 황-함유 및 포스파이트 기능은 3개의 상이한 분자에 존재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하나 초과의 기능이 또한 하나의 분자에 합쳐질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용액, 및 용융물로부터 제조되고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조 및 가공 방법은 용융물로부터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에, 적합한 제조 공정은 배치 공정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을 포함한다. 압출기에 의한 감압 접착제의 연속 제조 및 적절히 높은 온도에서 타겟 기재 상에 접착제의 직접적인 코팅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코팅 공정은 슬롯 다이로의 압출 코팅, 및 캘린더 코팅이다.
코트 중량 (코팅 두께)은 바람직하게 30 내지 120 g/㎡,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70 g/㎡이다.
캐리어 물질로서, 모든 공지된 섬유 캐리어, 예를 들어 루프 제품(loop product) 또는 벨루어(velour), 스크림, 직조물 또는 니트, 보다 특히 PET 필라멘트 직조물 또는 나일론 직조물, 또는 부직포 웹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어 "웹"은 EN 29092 (1988)에 따른 적어도 직물 시트형 구조물, 및 시티치결합된 부직포 및 유사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적층된 직조물 및 니트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페이서 직물은 섬유 또는 필라멘트 플리스(filament fleece)의 커버층, 하부층 및 이러한 층들 사이의 개개의 유지 섬유(retaining fiber) 또는 이러한 섬유의 다발을 포함하는 매트형(mattlike) 층 구조물이며, 상기 섬유는 층 구조물의 영역에 걸쳐 분포되며, 입자 층을 통해 니들링되고 서로 커버층과 하부층을 연결시킨다. 입자층을 통해 니들링된 유지 섬유는 커버층 및 하부층을 서로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유지시키고 커버층과 하부층에 연결된다.
적합한 부직포는, 특히 압밀된 스테이플 섬유 웹(consolidated staple fiber web) 뿐만 아니라, 필라멘트 웹, 멜트블로운 웹, 및 스푼결합된 웹을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압밀을 요구한다. 웹에 대한 공지된 압밀 방법은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압밀이다. 섬유의 기계적 압밀과 관련하여, 대개 개개 섬유들의 얽힘(entanglement), 섬유 다발의 상호루핑(interloop), 또는 추가 쓰레드의 스티칭-인(stitching-in)에 의해 순전히 기계적으로 함께 유지되는 반면, 이는 접착성 (결합제를 지님) 또는 응집성 (결합제 부재) 섬유-섬유 결합을 얻기 위해 열적 및 화학적 기술에 의해 가능해진다. 적절한 포뮬레이션 및 적절한 공정 방법이 제공되는 경우에, 이러한 결합들은 배타적으로, 또는 적어도 주로, 섬유 결절 지점(nodal point)으로 제한될 수 있어, 웹에서 느슨한 노출 구조를 유지하는 동안 안정한 3차원 네크워크가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유리한 것으로 증명된 웹은 특히 별도의 쓰레드(thread)로의 오버스티칭(overstitching)에 의해 또는 상호루핑에 의해 압밀된 것이다.
이러한 부류의 압밀된 웹은 예를 들어, 종래 "Malimo"인, Karl Mayer사로부터의 "말리플리스(Malifleece)"의 스티치결합 기계 상에서 생산되고, Naue Fasertechnik 및 Techtex GmbH사를 포함한 공급업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말리플리스는, 크로스 배열 웹(cross-laid web)이 웹의 섬유로부터 루프의 형성에 의해 압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되는 캐리어는 또한 쿠니트(Kunit) 또는 멀티니트(Multiknit) 타입의 웹일 수 있다. 쿠니트 웹은 일측 상에 루프를 가지고, 다른 일측 상에 루프 피트(loop feet) 또는 파일 섬유 폴드(pile fiber fold)를 가지지만 쓰레드 또는 사전제작된 시트형 구조를 가지지 않는 시트형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배향된 섬유 웹의 가공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부류의 웹은 역시 예를 들어, Karl Mayer사로부터 "쿠니트블리스(Kunitvlies)" 타입의 스티치결합 기계 상에서 비교적 장시간 동안 생산되었다. 이러한 웹의 또다른 특징은 길이방향 섬유 웹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높은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쿠니트 웹과 비교하여 멀티니트 웹의 특징은 웹이 양면 니들 펀칭에 의해 상측 및 하측 둘 모두 상에서 압밀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티치결합된 웹은 또한 접착 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 중간물로서 적합하다. 스티치결합된 웹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스티치를 갖는 부직포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스티치는 연속 직물 쓰레드의, 도입, 스티칭 또는 니팅(knitt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웹에 대하여, 종래 말리모(Malimo)인, Karl Mayer사로부터의 "말리와트(Maliwatt)" 타입의 스티칭결합 기계가 알려져 있다.
Caliweb®이 상당히 적합하다. Caliweb®은 2개의 외측 메시 층, 및 메시 층에 수직으로 배열된 내측 파일 층을 갖는 열적으로 고정된 멀티니트 스페이서 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계에서 기계적으로 사전압밀되거나 수동력학적으로 형성된 습식 웹(wet-laid web)인 스테이플 섬유 웹(staple fiber web)이 특히 유리한데, 여기에서 웹 섬유의 2 중량% 내지 50 중량%, 보다 특히 웹 섬유의 5 중량% 내지 40 중량%가 가용성 섬유이다. 이러한 부류의 웹은 섬유가 습식이거나, 예를 들어 스테이플 섬유 웹이 웹의 섬유로부터 루프의 형성에 의해 또는 니들링(needling), 스티칭 또는 공기-제트(air-jet) 및/또는 물-제트 처리에 의해 사전압밀된다는 특징이 있다. 제 2 단계에서, 열고정(thermofixing)이 일어나고, 여기서 웹의 강도는 가요성 섬유의 완전 또는 일부 용융에 의해 다시 증가된다.
웹 캐리어는 또한 결합제 없이, 예를 들어 구조화된 롤러로의 고온 엠보싱에 의해 압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압력, 온도, 휴지 시간 및 엠보싱 기하학은 강도, 두께, 밀도, 가요성 등과 같은 성질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직물 캐리어용으로 파악되는 출발 물질은 특히,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 또는 코튼 섬유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술된 물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웹을 생성시키기 위한 많은 다른 섬유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발명 활동을 위해 어떠한 필요도 없이 당업자에게 증명되었다. 특히 내마모성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또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가 사용된다.
또한, 캐리어 물질로서 접착제를 지닌 층이 적어도 직물 층인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캐리어가 적합하다. 이러한 층에 하나 이상의 임의의 요망되는 물질, 예를 들어 필름(크레이핑(creped)되고/거나 비크레이핑된),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PA, PVC, 및 다른 필름), 웹 형태의 폼 물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의), 및 기술된 직물들이 도포될 수 있다.
코팅면 상에 캐리어의 표면이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들의 후면에 접착방지 물리적 처리 또는 코팅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 테이프는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섬유 캐리어의 한면, 또는 적절한 경우 양면에 전부 또는 일부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세로 방향(기계 방향), 적절한 경우 가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스트립 형태를 코팅할 수 있지만, 보다 특히 전영역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접착제의 도트가 또한 크기 및/또는 분포에 있어 상이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그라비어 프린팅에 의해; 새겨진 롤러의 프린팅에 의해; 또는 플렉소그래프 프린팅에 의해 패턴화된 도트 포맷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 돔 형태, 또는 다른 패턴, 예를 들어 격자, 스트립 또는 지그재그 라인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는 또한 분무에 의해 도포되어, 이에 따라 다소 불규칙한 도포 패턴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접착 테이프의 특징은 특히 105℃ 또는 심지어 125℃에서 최대 3000 시간 동안, PVC, 및 폴리올레핀을 기초로 한 와이어 절연물과 양립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 경우에서, T4 조건(150℃에서 3000 시간) 하에서 가교된 PE 상에서 양립성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D1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Escorez 1310
8 phr Irganox 1726
수지 및 가소제의 혼합된 융점은 54℃이다.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노즐 코팅에 의해 용융물로부터 70 g/㎡로 직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도포하였다. 날실 방향으로 1 cm 당 45개의 쓰레드, 및 씨실 방향으로 1 cm 당 25개의 쓰레드를 갖는 167 dtex의 폴리에스테르 얀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직물는 130 g/㎡의 평량을 갖는다. 코팅된 베일을 190 mm 폭 및 10 m의 구동 길이의 롤에서 슬릿팅하여 가공하였으며; 내부 코어 직경은 38 mm이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6.6 N/cm
후면에 대한 3.1 N/cm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은 약간 변형되었고 용이하게 풀려질 수 있다.
양립성 시험: 완성된 접착 테이프를 LV 312에 따라 상이한 절연 물질을 갖는 와이어 쌍 둘레에 감고, 상응하는 온도에서 저장하였다. 절연 물질 당 6개의 시험 시편을 생산하였다. 500 시간 마다, 시편들 중 하나를 체크하고, 접착 테이프를 다시 풀고, 케이블을 직경 10 mm의 만드렐 둘레에 및 직경 2 mm의 만드렐 둘레에 감았다. 절연물이 손상되었는지의 여부 접착제가 접착성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시험 온도: PVC의 경우, 105℃, 및 가교된 PE의 경우, 125℃.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 캐리어로 관통하지 않았고,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캐리어로 일부 관통하였지만,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연무 수치: 36
실시예 D2
Escorez 1310 대신에 Eastotac C 130 L, 및 8 phr의 Irganox 1726 대신에 5 phr의 Irganox 1076과 3 phr의 Irganox PS 80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제조하고, 3.3 dtex의 선형 밀도 60 내지 80 mm의 섬유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5 중량%의 열적 활성화된 미세 결합 분말 (Vinnex TM LL 2321)로 구성된, 150 g/㎡의 평량을 갖는 말리플리스(Malifleece) 상에 60 g/㎡로 코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코팅하였다. 수지 및 가소제의 혼합된 융점은 90℃이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4.3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1.3 N/cm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이 약간 변형되었고 용이하게 풀려질 수 있다.
105℃에서 PVC 상, 및 125℃에서 가교된 PE 및 PP 상에서의 양립성 시험: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로 캐리어로 관통되지 않았고,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캐리어에 일부 관통되었지만, 여전히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D3
Escorez 1310 대신에 Eastotac C 115 L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은 접착제를 제조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은 하기 캐리어 상에 68 g/㎡로 코팅하였다: 약 3.4 dtex 및 약 80 mm의 섬유 길이, 72 g/㎡의 평량, 50 dtex 폴리에스테르 얀의 1 mm의 스티치 길이를 갖는 섬도 F 22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말리와트 스티치결합된 니트. 수지 및 가소제의 혼합된 융점은 75℃이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4.2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1.6 N/cm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은 약간 변형되었고 용이하게 풀려졌다.
105℃에서 PVC 상, 및 125℃에서 가교된 PE 및 PP 상에서의 양립성 시험: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로 캐리어로 관통되지 않았고,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캐리어에 일부 관통되었지만, 여전히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D4
Escorez 1310 대신에 Escorez 1102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제조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하기 캐리어 상에 70 g/㎡로 코팅하였다: 80 g/㎡의 평량 및 섬도 F 18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말리플리스 웹. 수지 및 가소제의 혼합된 융점은 60℃이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0.8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0.2 N/cm.
실온에서 4주 동안 저장한 후에, 접착제는 더 이상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 70℃에서 1달: 롤은 약간 변형되었고 용이하게 풀려졌다.
105℃에서 가교된 PE 및 PP상에서의 양립성 시험: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로 캐리어로 관통되지 않았고,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웹 캐리어는 취성의 결과로서 분해되었고, 이에 따라 추가 시험이 실행될 수 없었다.
실시예 D5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생산하였으며, 접착제는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100 phr Engage 7467
425 phr Escorez 1310
16 phr Irganox 1726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5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2.5 N/cm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은 약간 변형되었고 용이하게 풀려졌다.
양립성 시험: 시험 온도: 105℃에서 PVC, 및 125 및 150℃에서 가교된 PE.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로 캐리어로 관통되지 않았고,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캐리어에 일부 관통되었지만, 여전히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연무 수치: 85
실시예 D6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생산하였으며, 접착제는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507
250 phr Regalite 1100
140 phr Oppanol B 10
8 phr Irganox 1726
수지 및 가소제의 혼합된 융점은 67℃이다 실시예 D3에서와 같이 캐리어 상에 70 g/㎡로 코팅하였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8.9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2.0 N/cm
양립성 시험: 시험 온도: 105℃에서 PVC 및 125 및 150℃에서 가교된 PE.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약간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50℃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 분해되었지만,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연무 수치: 91.
실시예 D7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생산하였으며, 접착제는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212 phr Foral 85
40 phr TOTM
8 phr Irganox 1726
수지 및 가소제의 혼합된 융점은 67℃이다. 실시예 D3에서와 같이 캐리어 상에 70 g/㎡로 코팅하였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 8.9 N/cm,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2.0 N/cm
양립성 시험: 시험 온도: 105℃에서 PVC 및 125 및 150℃에서 가교된 PE. 3000 시간 후에, 모든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10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25℃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약간의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150℃에서 3000 시간 후에, 접착제는 실제 분해되었지만, 와이어 절연물은 손상되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D1
표준 상업적 포뮬레이션와 일치하게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실행하였다:
100 phr Vector 4113
97 phr Escorez 1310
21 phr Ondina 933
1 phr Irganox 1726
롤 저장, 70℃에서 1달: 롤은 크게 변형되었고 풀기에 매우 어려웠다.
양립성 시험: PVC 절연은 500 시간 후에 최초 크랙을 나타내었으며, PE 및 PP 절연은 105℃에서 1000 시간 후에 저장한 후에 최초 크랙을 나타내었다. 접착력은 1000 시간 후에 사라졌다; 접착제는 캐리어에 의해 흡입하에서 끌어올려졌으며, 여기서 이는 니스형 필름(varnish-like film)을 형성하였다.
비교 실시예 D2
IN FUSE 9107 대신에 LD 25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실행하였다. 접착제 보다는 코팅은 오일성 표면을 갖는 경질이다.
비교 실시예 D3
IN FUSE 9107 대신에 Engage 7467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D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코팅은 매우 연질이고 플라이캐쳐와 같이 점착성이었다. 접착제는, 이의 낮은 용융 점도로 인하여, 캐리어를 관통하였다. 코팅된 베일은 롤에 슬릿팅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접착제는 풀림시에 분할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마찬가지로 결합 강도(응집 파기)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비교 실시예 D4
실시예 D1에서와 같이 실행하였으며,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구성되었다: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PB 0300 M,
212 phr Escorez 5400,
8 phr Irganox 1076.
접착제는 실제로 접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가 15 내지 150 g/㎡의 평량을 갖는 직물 캐리어를 가지고, 이의 상단면에 압출 코팅, 분산 코팅 또는 필름 적층에 의해 도포된 추가 층이 제공되고 이의 하부면에 0.86 내지의 0.89 g/㎤의 밀도 및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로 마감처리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 적용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캐리어 물질로서의 직조 직물, 및 자가-접착제의 한면 도포된 층으로 구성된 직조-직물-후면 접착 테이프(woven-fabric-backed adhesive tape)는 가장 오래된 롤 제품 형태의 자가-접착제 시스템 중 하나이다. 먼저 이학 분야에서 사용된 이러한 것들은, 지난 세기의 후반부에 자동차의 케이블 하네스의 밴디징(bandaging)에서 가소화된 PVC 절연 테이프용으로 일부 대체되었다.
가요성 및 순응성(conformability) 성질들의 특별한 조합, 및 수작업에 의한 가로 인열능력과 관련된 높은 기계적 강도로 인하여, 사용 스펙트럼은 매우 확장되었다. 직조-직물-후면 접착 테이프는 밴디징, 수리, 마스킹, 고정, 마킹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가위, 칼 또는 다른 도구 없이, 수작업으로 적절한 길이로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것들은 극성이거나 비극성이거나, 거칠거나 매끄럽든지 간에 다수의 기재에 접착하는 보편적인 접착 테이프(다목적 또는 일반목적 테이프로서 공지됨)를 나타내고, 실제 모든 생각할 수 있는 적용을 위해 사용된다.
사용되는 접착제는 거의 배타적으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포뮬레이션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역사적 양태(최초로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자가-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천연 고무)에 더하여, 이는 접착성, 점착성 및 응집의 측면에서 균형을 이루고 이러한 부류의 보편적인 접착 테이프에 대해 이상적으로 적합한 접착 성질을 갖는다. 사용되는 캐리어 물질은 코튼, 비스코스 스테이플, 비스코스 등과 같은 바람직하게 (개질된) 천연 섬유의 조밀한 직조 직물이다.
우선, 원료 섬유 또는 선염된 섬유로서, 코팅되지 않은 직조 직물을 포함하는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를 단지 한면 상에 접착제의 코팅으로 생산하였다. 그러나, 개방 직물 구조(open weave structure)의 결과로서, 고무 접착제는 후면 상에 용이하게 공격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산소, 공격 물질, 예를 들어 용매, UV선 또는 태양광, 등은 실제로 방해받지 않고 접근한다.
이러한 이유로, 그리고 직조 직물 자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머 코팅을 접착 테이프의 상단면에 도포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성물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3가지의 타입의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로 구별짓는 것이 가능하다:
● 가장 높은 등급의 생성물은, PVC,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등의 일반적으로 착색된 폴리머 코팅이 분산액 또는 유기졸(organosol)로부터 한면에 도포된, 100 내지 250 인치-2 정도의 메시 수(인치 당 각 경우에, 날실 방향 및 씨실 방향에서의 쓰레드의 합계)을 갖는 주로 70 내지 150 g/㎡ 평량의 조밀한 직물을 이용한다. 이러한 생성물들은 중앙 유럽에서 유래한 것이고, 주로 생산되었다. 이러한 프리미엄 테이프의 예는 tesa® 4651일 것이다.
● 40 내지 100 메시의 가볍고 개방된 네트형 직조물, 및 직물 상에 50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PE 필름이 압출된 직조-직물-후면 접착 테이프는 아시아로부터 기원한 것이다. 직물 및 필름은 대개 안정하고 튼튼한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가격 및 성질들의 측면에서 이들의 포지셔닝(positioning)으로 인하여, 이러한 것들은 또한 "중간 등급"으로 칭하여진다. 예로는 tesa® 4688가 있다.
● 북아메리카로부터 기원하는, 도관 테이프로서 공지된 테이프는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에서, 15 내지 40 g/㎡의 평량을 갖는, 25 내지 40 매시의 매우 개방된 직조물, 스트림 또는 니트 직물(knitted fabric)이 사용되며, 그 위에 자가-접착제의 일부와 함께, 대개 착색된 불투명한 PE 필름이 적층되어 있다. 필름/섬유 캐리어 어셈블리의 내구성은 단지 접착제의 결합 강도 및 에이징 안정성에 의해 결정된다. 가격의 측면에서, 이러한 부류의 직조-직물 테이프는 가장 아래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대개 은색으로 사용된다. 다수의 상업적 도관 테이프의 중에서, tesa® 4662가 여기서 일 예로서 인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류의 접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200 내지 400 ㎛의 전체 두께를 가지며, 접착제 층은 약 50 내지 250 ㎛이며, 이들의 구성 측면에서 주로 내부 적용을 위해 디자인된다.
그러나, 보편적인 접착 테이프로서, 이러한 것들은 또한 외부 적용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빛, 직달 일사(direct insolution), 수분, 열, 미생물 등에 노출은 빛으로 비롯되는 단점을 초래하고, 이는 이들이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접착 테이프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 엘라스토머에서 이중 결합을 갖는 고무 접착제는 UV광, 산소, 및 오존에 의해 공격을 받고 손상되며, 이에 의해 이들의 본래 접착 성질을 잃게 된다.
● 코튼, 비스코스, 비스코스 스테이플 등의 직조 직물은 미생물에 의해 공격을 받는다. 수분, 열, 및 광의 존재하에, 접착 테이프의 기계적 강도 성질에 대해 중요한 이러한 성분은 부패한다.
● 얀(yarn)의 흡입 용량으로 인한 직조 직물에서의 물 흡수는 팽창을 통해 어셈블리의 약화 및 강도의 손실을 초래한다.
최근에 소위 옥외 테이프 형태의, 장기간 외부 적용을 위해 적합한 높은 등급의 보편적인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는 단지 제한적인 성공만을 나타내었다.
조밀한, 200 내지 250 메시 비스코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높은 등급이지만 고가의 직조-직물-후면 접착 테이프는 US 3,853,598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직물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프라이머 층이 제공되며, 여기에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매우 높은 메시 수의 직물, 및 직물의 폴리아크릴레이트 프라이머로의 처리의 결과로서, 접착 테이프는 양호하고 매우 용이한 수 인열능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옥외 적합성에 대한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선택된 접착제, 및 특히 상단면이 보호되지 않고 이의 기저(basis)로서 개질된 천연 섬유를 갖는 직조 직물은 또한 이러한 적합성을 제시하지 않는다. 단지 의학적, 즉 내부 적용이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특히 건설 분야용 전문 접착 테이프는 EP 1 548 080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테이프형 캐리어 상에 UV-가교된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인, 사용되는 접착제가 풍화에 안정할지라도, 페이퍼, 및 PE, PP 또는 PET의 필름, 직조물 또는 부직포로의 캐리어의 선택은 외부 적용의 경향을 제시하지 않는다. 일반 목적 테이프에 대해 필수적인, 수작업에 의한 용이한 가로 인열능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UV-가교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관련하여, 태양광 노출하에, 제작 과정에서 완성되지 않은 임의의 확립된 가교가 연속적일 것이고 이에 따라 서비스 수명 과정에서 접착 성질이 불리하게 변경될 것이라는 잠재 위험을 지니고 있다.
ASTM G155 내후성 시험에서 500 시간 후에 10% 미만의 접착제 잔여물을 나타내는 장기간 외부 적용을 위한 특수 테이프는 WO 03/097758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로 상단면 상에 35% 이하의 광안정화제 첨가제를 함유하는 다층 폴리머 PE 필름이 필수적이다. 10 내지 90 메시 스크림, 및 자가-접착제와 같은 접착 테이프의 잔여 성분들에 대해 특별히 기술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표면 상의 다층 필름은 (UV)광에 대한 대면적 보호를 초래하지만, 가장자리에서의 산소, 오존 등의 진입이 접착 테이프의 가장자리에서 접착제에 대한 원치않는 변경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또한, 50 내지 100 ㎛ 두께, 다층 PE 필름 및 10 내지 90 메시 스크림의 캐리어의 기술된 구조와 관련하여, 도관 테이프의 통상적인 헤어진 찢어진 가장자리가 일어날 것이고, 높은 등급의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에 대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높은 분율의 광안정화제 첨가제, 및 다층 필름 구조는 상응하게 높은 제작 비용을 제시한다.
EP 1 074 595 A1호에는 특정 얀의 선택, 규정된 직조 구조 (단위 길이 당 세로 쓰레드의 선형 밀도로서 2500 dtex/cm 이하), 및 접착제의 코팅에 의해, 필수적인 경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날실 쓰레드의 고정으로 이의 수 인열능력을 제공하는 폴리ㅔ스테르 직조 직물이 기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허에서 적어도 가로 방향으로 10 N 미만의 인열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특정 조건들이 기술되어 있다. 얀 파라미터 및 직조 파라미터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100 g/㎡ 미만의 경량 직물을 명시하며, 이는 약간 놀랍게, 그 자체로 이미 단지 평량의 감소에 의해 비교적 낮은 강도를 가지고 또한 적소에 날실 쓰레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의도된 접착제의 층으로 인하여 수-인열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10 N 미만의 인열 전파 저항은 수 인열능력의 성질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단순한 수 인열능력은 단지 상술된 인열 진행 저항이 아닌 캐리어에서의 초기 인열화에 대한 힘에 의해 지배되며, 이는 캐리어의 응력/변형 거동, 사용되는 슬릿팅 기술 및 슬릿팅의 질, 등과 같은 추가 파라미터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으며, 공개된 명세서에서의 파리미터는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
DE 10 2005 044 942 A1호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를 기초로 한 코팅되지 않은 직물 캐리어를 갖는 가로로 인열가능한 접착 테이프가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섬유 강도의 감소 및 이에 따른 수작업 인열능력은 얀의 조절된 손상에 의해 달성된다(PET 경우에, 알칼리 사용; 폴리아미드의 경우에, 산 사용). 실리케이트와 같은 미끄럼 저항 화학물질로의 추가 함침은 수작업 인열능력을 더욱 개선시킨다. 직조 PET 직물의 알칼리화는 강도의 현저한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에이징, 열적 응력, 굴곡 및/또는 인장 하중, 및 가스 투과능력 및 증기 투과능력의 증가에 있어 불리하게 나타낸다. 의학 적용에서 유리한, 후자의 효과는 산업 적용에서는 반대로 나타나는데, 왜냐하면, 산소, 오존 및 유사한 침습적 가스 및 액체는 접착제를 통해 방해없이 침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처리되지 않거나 심지어 코팅된 직물의 경우에서 보다 보다 크게 접착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산업, 의학, 및 소비재 섹션에서 다수의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장기간 외부 적용을 위한, 수-인열가능한, 풍화-안정한, 보편적인 직조-직물 테이프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직조 직물 캐리어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하기의 부여되는 요건들을 해결한다:
- 용이하게 수-인열가능함
-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sawn wood), 콘크리트, 벽돌(brick) 또는 반창고(plaster)와 같은 거칠고/거나 오염된 기재를 포함하는 매일 사용하는 다수의 기재에 접착.
- 심지어 적어도 6개월 옥외 (중앙 유럽)의 비교적 장기간의 사용에서, 이의 결합 기능이 떨어지지 않음.
이를 위해 사용되는 비교척도는 AFERA 5001에 따라, 최종 인장 강도 및 세로방향에서의 파단시 신장율, 및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에 대해, 50% 이하의 관련 측정 수치의 감소이다. 파괴 또는 크랙의 유의미한 실례, 현저한 변색 또는 바램(fade)과 같은 광학적 성질의 변화, 기재로부터의 탈착의 실례는 본 발명에 따라 방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유리한 구체예에서, 접착 테이프는 15 내지 40 g/㎡의 평량을 갖는 25 내지 40 메시의 매우 개방된 직물, 스크림, 또는 니트 직물을 포함하는 섬유 캐리어를 포함한다. 상단면 상에는 50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UV-안정화된 PE필름이 존재하며, 이는 충전제 및 착색 안료로 인하여, 투명하지 않고 보다 특히 UV-불침투성이다. PE 필름에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유리한 에이징 억제제 및 UV 안정화제에 의해, 및 PE 필름의 UV 불침투성의 결과로서, 캐리어 아래의 접착제는 추가적으로 광산화성 공격에 대해 보호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실제 캐리어는 라미네이트로서, 이는 특히 접착제를 코팅하는 과정의 일부로서 인시튜(in situ)로 직물 및 PE 필름으로부터 생산된다. 작은 부분의 접착제는 노출된 직물을 통해 압력하에서 가압되고 라미네이팅 접착제로서 작용한다. 소량의 접착제를 갖는 섬유 캐리어의 측면은 PE 필름에 적층된다. 이는 필름, 라미네이팅 접착제, 및 직물의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필수적으로 및 필수적인 경우에, PE 필름에는 용이하게 풀리게 하기 위하여, 접착제로부터 이격된 노출면 상에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미리 이형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래, 직물의 반대측면 상에 접착제를 코팅하기 전에 라미네이팅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직물로 라이닝하는, 필름으로부터 적층물의 재생산이 유사한 생성물을 초래한다.
여기에 기술된 구체예는 상술된 도관 테이프 카테고리에 대한 캐리어, 예를 들어 tesa® 4662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의 섬유 캐리어는 20 내지 60 g/㎡의 평량을 갖는 40 내지 100 메시의, 개방된 네트형 직조 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PE 필름이 50 내지 200 ㎛ 두께로 압출된다. 직조 직물 및 필름은 대개 안정하고 견고한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도관 테이프와 같이, 적합한 UV 안정화는 또한 본원에서 UV 안정화제, 에이징 억제제, 및 착색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필수적으로 및 필수적인 경우에, 이형물 공급은 접착제로부터 떨어진, PE 필름의 노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부류의 캐리어는 상술된 중간 등급의 카테고리, 예를 들어 tesa® 4688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의 섬유 캐리어는 50 내지 150 g/㎡의 평량을 갖는 80 내지 250 메시 직조 PET 직물로 구성되며, 이러한 직물의 상단면에는 15 내지 75 g/㎡의 도포 중량을 갖는, 분산 페이스트, 보다 특히 수성 아크릴레이트 페이스트가 코팅되어 있다.
50 내지 150 g/㎡, 보다 특히 70 내지 130 g/㎡의 평량을 갖는 직조 직물은 특정 구조가 가로 방향(또한, 씨실 방향 또는 CD)에서의 수작업에 의한 인열 개시 및 인열 완료를 위해 적어도 중간정도의 능력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직조 직물의 한면 상에 착색된 수성 아크릴레이트 페이스트로 코팅되거나, 유사하게 15 내지 75 g/㎡, 보다 특히 25 내지 50 g/㎡의 도포 중량으로 코팅된다.
직조 직물 캐리어는 칼라-부여 코팅이 두개의 상이한 포뮬라로 연속으로 2개의 코트에 도포될 때 특히 유리하다. 주요 분획물은 직물 상에 직접 칼라-부여 베이스코트로서 10 내지 60 g/㎡로 도포된다. 0℃ 이하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연질의 탄성 코팅이 얻어지며, 이는 캐리어의 가요성 및 조작성에 유익하고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의 순응 결합을 촉진시킨다. 제 2 코트에서 이러한 다소 블로킹의 (즉, 압력하에서 점착적인) 칼라 코팅 위에, 5 내지 20 g/㎡의 경질의 저항 톱코트가 도포된다. 이는 이의 접착제 자체 (생산, 운송 및 접착 테이프 롤 형태로의 저장 동안에 직접 접촉), 및 후속 적용에서 기계적 응력,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물, 화학물질 등과 같은 모든 가능한 영향에 대해 접착 테이프 표면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톱코트는 바람직하게 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경화 코모노머가 공중합된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로부터 선택된다.
직조 PET 직물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시스템의 형태의 본 발명의 캐리어 및 및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코팅은 외부 적용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부류의 여러 상이한 응력에 대한 매우 양호한 저항 성질 뿐만 아니라 처리되지 않은 직조 직물과 비교하여 개선된 조작 성질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 방향에서의 인열 개시 및 인열 완료를 위한 능력은, 윤곽-순응 결합(contour-conforming bond)을 위한 가요성을 갖는 바와 같이, 슬릿팅 도구(slitting tool)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제공된다.
어셈블리 캐리어와 관련하여, tesa® 4651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미엄 부류의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가 얻어진다.
얀, 직조 직물에 대한 구조, 및 작동 단계의 숙련된 선택을 통하여, 50 내지 150 g/㎡, 보다 특히 70 내지 130 g/㎡의 타겟 평량 범위, 100 내지 250 ㎛의 두께, 만족스러운 수 인열능력 및 인열 전달 품질을 갖는 직조 PET 필름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얀의 손상에 대해 DE 10 2005 044 942 A1호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강도는 조절된 방식으로 낮아져서, 날실 방향에서의 잔여 최종 인장 강도와 가로 인열능력 간이 균형 관계를 확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물로서, 직조 직물은, 개개의 날실 쓰레드가 적절치 않은 힘의 적용 없이 이를 허용하도록, 가로로 찢어질 때 후속 직물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날실이 선택되는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쓰레드 단면이 감소되어 문제없이 쓰레드가 찢어지거나, 허용가능한 절단 거동이 날실에 대한 물질의 선택에 의해 확립된다. 후속 직물에서 날실 방향(MD = 기계 방향)에서의 전체 강도를 충분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 길이 당 쓰레드의 갯수는 40 내지 100 N/cm의 요망되는 MD 최종 인장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프리미엄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에 대한 이상적인 타겟은 60 내지 80 N/cm의 MD 최종 인장 강도이다. 예를 들어, 날실용으로 75 den 또는 보다 미세한 선형 밀도의 PET 얀이 적합하지만, 에너지가 인열 과정 동안에 펄스 방식으로 도입될 때 날실의 파열을 초래하는 깨지기 쉬운 물질: 적합한 코모노머 또는 결정화를 갖는 PET 섬유, 또는 PA6,6을 기초로 한 날실 얀이 적합하다. 이러한 날실로 타겟 감촉성 및 광학적 성질을 갖는 직조 직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선택된 씨실 쓰레드는 유사하게 두껍고 무거워야 한다. 이러한 것의 하나의 효과는 70 g/㎡ 이상의 범위로의 평량의 증가이며, 100 내지 250 ㎛의, 직조 직물에 대한 타겟 두께가 달성되며; 얇은 날실 쓰레드에도 불구하고 직조 직물이 높은 등급의 효과를 제공하는데, 왜냐하면 보다 두꺼운 씨실 쓰레드가 광학적 품질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150 den 이상의 PET 씨실 얀이 가능하며, 300 den PET 얀은 광학적 및 감촉성 품질의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얀에 대한 물질, 예를 들어 다른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PBT, PEN), 폴리아미드 (PA),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으로서 PET를 대신하여 다른 합성 폴리머를 사용하는데 유사한 코멘트가 적용된다.
가로 방향으로 허용가능한 인열 개시 및 인열 완료 품질을 갖는 본 발명의 베이스 직물을 생산하기 위한 또다른 가능성은 특히 날실에 대해, 섬유 블랜드를 포함하는 얀(yarn)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타입의 섬유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용성이고 이에 따라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물은 다운스트림 작업 단계에서만 박막화 및 약화(weakening)가 일어나고 직물에 대한 가로 인열 능력의 요망되는 성질을 초래하면서, 방적 및 직조 작업 동안 충분한 강도를 갖는 얀일 것이다. 고려될 수 있는 섬유 블랜드는 다른 조합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수용성 또는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분해되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락테이트, 등과 조합된 PET 섬유와 같은 영구적 날실 얀으로서 저항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선택된 섬유 조합에 따라, 블랜딩 비율은 (날실)얀의 최종 강도가 타겟 범위내에 놓이도록 선택될 것이다.
자가-접착 테이프가 이러한 부류의 코팅되지 않은 직조 직물과 함께 생성될 수 있지만, 프리미엄의 보편적 직조-직물 테이프는 매끄럽고 균질한 표면을 달성하고 직조 직물이 폐쇄되어 접착제 및 결합 기재로부터 침습적 화학물질을 멀리하게 하기 위해 높은-등급의 한면 폴리머 코팅을 요구한다. 또한, 비용-효율적이고 유연한 착색은 이러한 코팅에 의해 달성되는데, 왜냐하면 직조 직물 자체의 착색은 보다 고가이고 불편하기 때문이다. 놀라게도, 이러한 공지된 양태에 추가로, 본 발명의 칼라 코팅은 적절한 포뮬라를 갖는 미정제 직물의 수 인열능력을 현저히 개선시키고, 이에 이와 관련한 직물 자체의 응력이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부면 상에 적합한 칼라 페이스트의 한면 코팅의 경우에, 이러한 코팅은 3차원 구조화된 구조의 결과로서, 직물 두께의 적어도 절반까지 직물에 관통한다. 폴리머 층이 건조되고/거나 경화된 후에, 날실 쓰레드 및 씨실 쓰레드는 접착제의 코팅에 의해 날실 쓰레드에 대해 EP 1 074 595 A1에 의해 요구되는 강제적 포맷과 유사하게, 기하학적으로 고정된다.
폴리머 코팅에 대하여 본래 가능한 복수의 시스템, 예를 들어 유기졸, 방사선-가교가능한 예비폴리머 시스템, 비접착 핫멜트, 폴리머 용액 등이 있다. 대조적으로, 비용, 입수가능성, 및 직물 섹션에서 표준 적용 기술의 존재의 이유로 수성 분산액이 바람직하고 확립되어 있다.
선택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시스템, PVC 시스템, 스티렌-부타디엔 시스템 또는 아크릴레이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생태학, 비용, 입수가능성의 이유로, 및 "외부 적용/풍화 안정성" 요건과 관련하여,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코팅 기술에 따라, 이러한 것들은 한면, 칼라-부여 코팅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칼라 페이스트/안료로 증점되고 분산된다.
2-코트 시스템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접착 테이프를 심지어 굽은 불균일한 표면에 효과적으로 접착시키기 위해 유쾌한 터치, 적합한 및 가요성의 거동을 의미하는 최종 직조 직물 테이프의 일부 상에 양호한 "작용(hand)"을 달성하기 위하여, 칼라-부여 베이스코트는 연질이고 가요성이어야 하며; 칼라 페이스트에서의 결합제에 대한 유리전이온도는 실온 미만, 보다 특히 0℃ 이하 영역이어야 한다.
접착 테이프의 일부 상의 양호한 저항력에 대하여, 반대로 경질의 내화학적인 최종 코트가 선호된다. 이러한 부류의 톱코트는 이의 아래의 층들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선택되는 경우에, 접착제에 대해 배리어 층으로서 작용하며, 이는 후속 접착-테이프 롤에서 직접 접착으로 톱코트로 역할을 한다. 접착제 구성성분의 폴리머 코팅으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과 같은 상호작용은 원치않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은 개개 성질들의 변화를 초래하고, 극단적인 경우에, 접착제와 플라스틱 표면 간의 규정된 경계면이 용해되기 때문이다. 이의 결과는 접착제의 일부 상에서 심각한 박리 증가를 초래할 것이고, 그 결과 높은 풀림력을 나타낸다. 톱코트, 특히 실온 초과의 유리전이 온도, 보다 특히 30 내지 50℃의, 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한 톱코트는, 최종 필름 성질이 동일한 범위내에 놓여지는 경우, 화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가교 시스템으로 인하여 적합하다. 그러나, 톱코트는 또한 너무 경질이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크랙이 좁은 반경 주변의 결합의 경우에 일어나고, 그 결과로서 톱코트에서 구브러지거나 주름을 형성시키고, 이에 따라 응집성 코팅 필름이 손상을 입는다.
칼라-부여 폴리머 코팅은 효과적인 착색, 응집성 필름, 및 균일한 표면 구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총 15 내지 75 g/㎡, 보다 특히 20 내지 50 g/㎡로 도포될 것이다. 2-코트 방법의 경우에, 50% 내지 95%의 베이스코트는 주성분으로 구성된다. 복잡성의 감소로 인하여, 베이스코트를 착색된 형태로 전체 양의 70% 내지 95%로 칼라-부여 층으로서 도포하고, 톱코트를 5% 내지 30%로 착색되지 않은 투명 톱 코트 마감재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포뮬레이션과 작업 파라미터가 관련이 있는 한, 후속 접착 테이프에서, 예를 들어 롤로부터의 풀림시에서와 같이, 인열 분리의 실례 또는 칼라-부여 폴리머 층의 탈착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편으로 처리되지 않은 직물에 대한 베이스코트의 접착력이 높고, 다른 한편으로 베이스코트와 톱코트 사이의 중간코트 접착력이 높아지게 하는 것을 확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필수적인 경우,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롤로부터의 용이한 풀림이 요구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톱코트는 하나 이상의 이형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거나, 별도의 이형 코팅/이형 프린팅이 접착제로부터 떨어져 있는 노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비교적 장기간 외부 적용을 위한 적합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편적 직조-직물 테이프는 하기 구조 및 생산에 의해 특징되며, 이러한 상황하에서 설명은 일 예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고려되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된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명세서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에서 유리한 것으로 기술된 캐리어의 한면에, 내부 및 외부 적용에서 매끄럽고, 구조화되고, 거친 기재 상에 신뢰성 있는 결합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착제 층으로서, 50 내지 300 g/㎡, 보다 특히 70 내지 150 g/㎡의 UV-저항 및 수분-저항 자가-접착제가 도포된다.
여기에서 기술된 접착 테이프의 접착제는 1차 항산화제(예를 들어,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 또는 C 라디칼 스캐빈저, 예를 들어 CAS 181314-48-7)와 2차 항산화제(예를 들어, 황 화합물, 포스파이트 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아민)의 조합을 포함한, 기술된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의 이유로 및 높은 결합 강도로 인하여, 본 발명의 보편적인 직조-직물 테이프가 갖는 일반적인 규정은 접착방지 이형 시스템을 갖는 캐리어의 비-접착제-대면 상부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실리콘 시스템은 용이하거나 매우 용이한 풀림력의 옵션을 제공하는 반면, 지방산 유도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스테아릴 카르바메이트는 수 N/cm의 중간정도 풀림력을 형성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2 내지 8 N/cm의 평균 풀림력이 직조-직물 테이프에 대해 설정되기 때문에, 이형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 스테아릴 카르바메이트, 또는 스테아릴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에틸렌이민의 반응 생성물로 표면 코팅 또는 표면 프린팅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생성물 구조와 관련하여, 광범위한 기재에 효과적이고 튼튼하게 결합하는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가 얻어진다.
극성 기재에 대한 표준 접착 베이스로서 스틸 상에, 새로 공급된 상태에서의 결합 강도(생산 후 1 주 이하)는 최소 5 N/cm이며, 비극성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상에서, 새로 공급된 상태에서의 결합 강도는 적어도 4 N/cm이며, 이러한 수치들은 요구되는 경우에, 6달에 걸쳐 적어도 50% 범위로 유지된다.
극성 표면과 비극성 표면 둘 모두 상에서의 높은 결합 강도 및 높은 박리 증가로 인하여, 짧은 시간 후의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접착력은 이후에, 및 특히 최대 6달 동안의 사용 후에 더 이상 잔여물 없이 제거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강력하다. 그러나, 자가-접착 테이프로서 접착력 및 다른 작용성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부류의 접착 테이프는 특히 옥외 섹션에서의 비교적 장기간의 영구적 접착제 결합을 위해 적절하다.
본 발명의 보편적 직조-직물 테이프는 가로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벗겨짐(fraying) 없이, 일직선의 인열 가장자리와 함께 적절한 길이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기계 방향에서, 반대로, 직조-직물 테이프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이에 따라, 인장 강도가 요건인 여러 밴디징 및 고정 적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개, 약간 증가된 초기 힘은 모서리에서의 인열에 요구되며, 추가 인열과 관련하여 용이하고 균일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약간 증가된 개시-인열력은 조작 동안, 및 최종 적용에서 의도되지 않은 절단으로부터 직조-직물 테이프를 보호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외부 적용에서, 본 발명의 보편적 직조-직물 후면 접착 테이프는 매우 안정하고 적어도 6개월의 장기간 적용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입중된다. 특히 존재하는 도관 테이프가 태양 및 비에 직접 노출 하에 수주 후에 이들의 성분들로 일관되게 분해하는 반면, 기능성 및 생성물 보존성은 본 발명의 직조-직물 테이프로 유지된다:
● 기계적 응력에 대한 충분한 강도,
● 접착 테이프의 다층 구조의 보존성의 유지,
● 기재에 대한 양호한 장기간 접착력.
이는 공지된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직조-직물 테이프를 갖는 경우가 아닌데, 왜냐하면 골격 엘라스토머가 이중 결합을 공격하여 파괴되고, 일부 경우에서 캐리어 성분이 상당히 비가역적 손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존재하는 직조-직물 테이프가 상당한 결점을 나타내는 외부 적용을 위해 적합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보편적인 접착 테이프로서, 물론 내부 적용에 대해 적합하며, 이러한 것은 당업자에게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다.
실제로 사용되는 접착제의 특성과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보편적 직조-직물 테이프는 심지어 나무, 돌, 콘크리트 등과 같은 거칠거나 구조화된 기재에 신뢰성 있게 결합시키기 위해, 접착제에 대한 특정한 층두께가 요구된다. 50 내지 300 g/㎡, 보다 특히 70 내지 150 g/㎡의 코트 중량에서, 요망되는 결합 성능이 달성되며; 접착 측면에서 효과적인 층 두께의 절대량은 직조 직물의 구조를 포함하는 인자에 의존적이다. 코팅이 이루어지는 측면의 조도에 따라, 50 g/㎡ 이하의 양은 단지 직조 직물의 침하를 채우기 위해 요구되며, 이러한 접착제 부분 없이 "직조-직물 산맥의 피크" 위로 돌출하고, 접착 결합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타겟 결합 성능의 측면에서 요구되는 조성물의 양에 대한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으로서, 50 내지 150 ㎛의 "효과적인" 코트 두께가 인용될 수 있다.
코팅 면 상에, 캐리어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고정 코트 또는 물리적 사전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코로너 조사에 의해 접착-친화적 마감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직조 직물의 거친 구조 및 접착제에 대한 표면 친화력은 충분한 고정을 제공하고, 이에 별도의 작업 단계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코팅 기술은 포뮬라 및 접착제의 점도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여기서 닥터 나이프, 롤, 노즐 등과 같은 공지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절한 선택은 당업자에 의해 문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경우에서 접착제/코팅 기술 조합은 직조 직물에서의 침강(depression)으로 접착제의 충분한 투과를 초래하는 반면, 이에 따라, 캐리어 상의 접착제 층의 효과적인 고정에서, 접착제 층이 예를 들어 노즐로부터 필름 형태로 끌어당겨지고 주로 위치되는 경우에서, 압력 및 온도의 추가적인 사용을 통해 두개의 층들 간의 보다 강력하고 내구성 있는 접촉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예를 들어 캘린더 스테이션과 같은 후속 압력 및 가압 작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또한 추가적인 프라이머 코팅에 의한, 캐리어의 사전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는 캐리어 상에 접착제의 접착 및 고정을 물리적/화학적으로 강화시킨다.
실시예 E1
날실에 31 cm-1 및 씨실에 22 cm-1의 쓰레드 수, 날실에 75 den 얀, 및 씨실에 300 den 얀, 및 100 g/㎡의 평량을 갖는 평직 구조의 검정색 PET 직물은 DE 10 2005 044 942 A1호에 따라 연속 알칼리화 후 70 N/cm의 날실 방향에서의 최종 인장 강도를 갖는다. 한면 상에 35 g/㎡로 검정색 착색된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코팅하였다. 이의 낮은 TG 값으로 인하여 연질이고 블로킹에 대한 경향이 있는 코팅을 이후에 경질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기초로 한 투명 톱코트로 10 g/㎡로 코팅하고, 자가-가교 톱코트를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건조시켰다.
모서리로부터 씨실 방향으로 인열 진행 능력 및 특히 개시-인열 능력은 이러한 코팅에 의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캐리어 물질은 "수작업 인열가능"하였다.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노즐 코팅을 이용하여 용융물로부터 80 g/㎡로 도포하였다. 이형 코팅 대신에, 접착제를 실험실 시편을 생산하고 조사하기 위해 실리콘처리된 이형지로 라이닝하였다.
하기 포뮬라를 갖는 접착제: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Foral 85
2 phr Irganox 1076
5 phr Tinuvin 111.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9.8 N/cm이다. 박리를 증가시키고 1 내지 2 시간 후에, 접착제의 일부의 이동과 함께 직조-직물 테이프가 PE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UV 시험에서 7일 후에, 및 태양 시험에서 2주 후에, 약간의 시각적 변화가 인식될 수 있지만, 결합된 접착 테이프는 실제로 분해 및 탈착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고, 견고하게 및 신뢰성 있게 지속적으로 접착하였다.
실시예 E2
선택된 캐리어는 PE-압출된 직조 직물이다. 캐리어는 일본으로부터 획득된 폴리비닐 스테아릴 카르바메이트 코팅으로 완성되었다. 캐리어는 견고하게 결합된 65 g/㎡의 검정색 LDPE 코팅을 지닌 55 메시 VIS/PET 블랜드 직물 (30 × 25 인치-2)로 구성된, 0.18 mm 두께를 갖는 복합 캐리어이다.
접착제의 제조 및 코팅은 하기 포뮬라를 이용하여, 실시예 E1에서와 같이 수행하였다:
100 phr IN FUSE 9507,
140 phr Oppanol B10,
250 phr Regalite R1100
2 phr Irganox 1076
5 phr Tinuvin 111.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70 g/㎡의 코트 중량의 경우에 9.0 N/cm이었다. 박리 증가, UV 시험, 및 내후성 시험을 실시예 E1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시험하고 실행하였으며, 캐리어에 약간 손상되는 경향이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PE 필름의 다소 큰 UV 안정화가 지각될 수 있고, 당업자에 대해 문제 없이 실행될 수 있다. 접착제 자체는 손상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 실시예 E1
대조 실시예 E1은 표준 천연-고무 접착제를 갖는 비스코스 스테이플로부터 제조된 상업적 직조-직물 테이프에 해당한다.
상단면에 착색된 아크릴레이트 코팅 (60 g/㎡) 및 후면에 천연 고무 코팅(110 g/㎡; 특별한 UV 안정화되지 않음)을 갖는 150 메시 비스코스 스테이플 직물 (대략 110 g/㎡ 처리되지 않은 직물; 날실 및 씨실에서 Nm 50 얀을 갖는 대칭 평직 구조)은 쉽게 찢어질 수 있고, 여러 기재에 잘 접착할 수 있지만, 짧은 기간의 노출 후에 UV 시험 및 내후성 시험에서 심각한 결점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태양시험에서, 기재로부터의 뚜렷한 탈착 현상 및 접착제의 분해의 발생이 식별될 수 있다. 이의 조성에 의해 접착 테이프가 미생물에 의해 용이하게 공격을 받고 파괴되기 때문에, 이는 외부 적용에 대해 매우 적합하지 않다.
대조 실시예 E2
대조 실시예 E2는 표준 천연 고무 접착제를 갖는 상업적 도관 테이프에 해당한다.
30 메시 니트 PET/VIS 직물 (20 × 10 인치-2) 및 은, 50 ㎛ PE 필름은 캐리어 성분들을 구성하며, 여기에는 전체 160 g/㎡의 매우 연질이고 점착성의 천연 고무 접착제의 포뮬레이션이 구비되어 있으며, 약 5 내지 10 g/㎡는 라미네이팅 접착제로서 기능한다.
도관 테이프는 여러 기재에 매우 잘 접착하고 (예를 들어, 스틸에 대해 5 N/cm, PE에 대해 2.5 N/cm); 1 내지 2주의 외부 풍화 후에, 최초 물질 분해 현상이 일어나고, 2달 후에, 캐리어는 거의 완전히 박리를 일으키며, 접착제는 경화되고, 이에 더 이상 임의의 자가-접착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 UV 시험 및 내후성 시험에서, 하기의 효과들이 짧은 시간 기간 후에도 상당히 쉽게 나타난다; 최초의 심각한 주름 형성, 직물로부터 PE 필름의 일부 탈착, 및 단지 낮은 잔여 복합물 강도. 이러한 부류의 도관 테이프는 오래 지속되는 외부 적용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추가적으로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 따라, 접착 테이프가 캐리어 및 접착제를 포함하고, 접착제가 상기 캐리어의 적어도 한면 상에 용융물로부터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가지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할 때, 건설 산업에서 거칠거나 오염된 기재 상에 아주 특히 유리하게 적합하다.
집 건물에서, 접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접합부용 밀봉 테이프로서, 윈드 씰(wind seal)을 결합시키기 위한 반창고 테이프 또는 어셈블리 테이프, 증기 확산 지연제, 및 방습재로서 다양한 적용을 발견한다.
접합부용 밀봉 테이프의 임무는 즉시 기밀 및 최적의 밀봉을 접합부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밀봉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자가-접착 테이프를 형성하며, 구조 성분들이 벽의 내측 상에 조립된 후에 접합부의 모서리에 접착되고, 접합부에 걸쳐진다. 반창고 테이프는 프로필(profile), 문 프레임, 창 프레임, 및 창 문턱(window sill)을 보호하기 위한 외부 커버로서 사용된다. 이는 반창고를 도포하고 문지를 때 특히 적합하다. 접착 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양극 처리된 금속을 포함하는 감수성 기재를 기계적 노출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윈드 씰, 증기 확산 지연제, 및 방습재용 어셈블리 테이프는 필름 형성 윈드 씰, 증기 확산 지연제 및 증가 배리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단열 물질 및 벽, 지붕 등의 결합 후에 집의 설치(fitting-out)에서 사용된다. 광범위한 기재에 결합시키기 위해, 및 상응하는 증기 확산 지연제, 방습재, 및 윈드 씰의 얻어진 중첩점을 결합시키기 위해, 단면 또는 양면 접착 어셈블리 테이프가 사용된다.
건설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접착 테이프는 화학물질 및 물에 대한 저항, 특히 0℃ 이하의 온도에서의 접착제 결합 능력, 에이징 저항성, 및 밀봉 능력과 관련하여 엄격한 요건으로 수행된다. 모든 적용에 대해 접착 결합이 예를 들어 콘크리트 표면 또는 나무 판자와 같은 오염되고/거나 거친 기재에 대해 신뢰성 있게 접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윈드 씰의 결합을 위한 어셈블리 테이프와 관련한 요건에는 PE 필름 상에서의 에이징 저항성 및 양호한 접착 성질이 있다.
DE 103 12 13 A1호에는 아크리레이트를 기초로 한 접착제를 갖는 접합부용 밀봉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기술된 특별한 요건들은 저온에서 가공을 위한 능력, 및 에이징 저항성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반창고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고무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가 종종 비극성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비극성 접착제는 본원에서 장점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고무 접착제는 이들의 에이징 저항성의 측면에서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것들은 6 주 이하 후에 옥외 영역에서 다시 제거되어야 한다.
윈드 씰, 증기 확산 지연제 및 방습재의 결합을 위한 단면 접착 어셈블리 테이프는 DE 297 23 454 U1호에 기술되어 있다. 어셈블리 테이프는 필름, 및 80 g/㎡ 초과의 높은 코트 중량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대략 200 g/㎡의 코트 중량을 갖는 접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이러한 높은 코트 중량이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용액의 건조 후에 얻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류의 접착 테이프의 생산은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고가이다. 또한, 윈드 씰의 결합을 위하여, 제조업자는 종종 적어도 5년의 에이징 저항성을 보증하며, 이에 따라, 에이징-저항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결과, 무용매로 제조가능한 고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지 않는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무용매로 생산될 수 있고 에이징-안정적이고, 건설 산업에서 거칠거나 오염된 기재 상에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점착제 수지는 바람직하게 90℃ 미만의 융점을 갖는다.
매우 적합한 것으로 증명된 점착제 수지로는 로진(예를 들어, 발삼 수지) 또는 로진 유도체(예를 들어, 불균화, 다이머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된 로진)을 기초로 한 수지,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형태의 수지가 있다.
1차 항산화제, 및 더욱 바람직하게 2차 항산화제도 기술된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의 제조 및 가공은 용액 및 용융물로부터 수행할 수 있다. 용융물로부터 감압 접착제를 가공하는 것의 장점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매우 높은 코트 두께(코트 중량)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코팅 작업 후에, 제거할 용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제조 및 가공 기술은 용융물로부터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에, 적합한 생산 공정은 배치 공정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을 포함한다. 압출기에 의해 감압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적절하게 높은 온도에서 타겟 기재에 직접 또는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 상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코팅 공정은 슬롯 다이로의 압출 코팅, 및 캘린더 코팅이다.
도포에 따른 코트 중량(코팅 두께)은 10 내지 300 g/㎡,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250 g/㎡이다. 반창고 테이프 도포의 경우에, 코트 중량은 이러한 수치의 보다 낮은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향이 있으며; 접합부용 밀봉 테이프, 및 윈드 씰, 증기 확산 지연제 및 방습재용 어셈블리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250 g/㎡의 코트 중량을 갖는다.
캐리어 물질로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과 같은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와 이들의 코폴리머, 이러한 폴리머의 블랜드 또는 이오노머로 제조된 필름,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축성 필름은 보강재, 바람직하게 필라멘트 스크림으로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압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에 의해 얻어진 페이퍼-플라스틱 복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포에 따라, 열린-공극 형태 또는 직물/플라스틱 복합물로서의 직물 물질은 캐리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난연제, 예를 들어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또는 브롬-함유 난연제, 옐르 들어 Saytex® 80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물질은 30 내지 150 ㎛, 바람직하게 50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코팅 면 상에, 캐리어의 표면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예를 들어, 코로나)으로 사전처리될 수 있으며, 이들의 후면은 접착방지 물리적 처리 또는 코팅으로 처리될 수 있다.
감압 접착 테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단면 또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는 1개 또는 2개의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로 라이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버젼은 실리콘처리되거나 불소처리된 필름 또는 페이퍼, 예를 들어, 글라신, HPDE 또는 LDPE 코팅된 페이퍼르 사용하며, 여기에는 또한 실리콘 도는 불소처리된 폴리머를 기초로 한 이형 코트가 제공된다.
접착 테이프의 이러한 구체예는 특히 콘크리트, 반창고, 돌 또는 목재와 같은 거친 기재 및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비극성 표면 상에 결합시키기 위해 에이징-안정성 접착 테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해 적합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접합부용 밀봉 테이프로서, 반창고 테이프로서, 또는 윈드 씰, 증기 확산 지연제 또는 방습재용 단면 또는 양면 결합 어셈블리 테이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의 에이징 저항성으로 인하여, 윈드 씰, 증기 확산 지연제 또는 방습재용 어셈블리 테이프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F1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PRO 10394,
2 phr Irganox 1726.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캐리어에 노즐 코팅으로 용융물로부터 30 g/㎡로 도포하였다. 캐리어는 100 중량부의 PVC (K 값 65), 45 중량부의 폴리머 가소제 (Palamoll 652), 15 중량부의 충전제 (쵸크), 0.2 중량부의 윤활제 (스테아르산), 5 중량부의 안료 (티타늄 옥사이드), 및 3 중량부의 안정화제 (칼슘-아연 타입)로부터 제조된 필름이며, 후면 상에 실리콘-PMMA 코폴리머가 코팅되어 있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8.1 N/cm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10℃에서도 석조(masonry)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F2
하기 포뮬라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F1에서와 같은 접착제::
100 phr IN FUSE 95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Escorez 1310,
2 phr Irganox 1076.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노즐 코팅을 이용하여 이형지에 용융물로 200 g/㎡로 도포하였다. 캐리어 필름은 70 ㎛ 두께이고, 91.3% (w/w)의 노볼렌 (Novolen) 2309 L 블록 코폴리머 (BASF, 230℃ 및 2.16 kg에서의 용융 지수 6 g/10 분, 에틸렌 함량 대략 6.5% (w/w)), 8.4% (w/w)의 티타늄 옥사이드, 및 0.3% (w/w)의 HALS 안정화제 Tinuvin 7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팅 전에 이의 한면을 코로나-처리하였다. 코팅된 이형지로부터 적층함으로써 캐리어 물질의 코로나-처리된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접착 테이프를 이형지의 제거 없이 점보(jumbo)에 감았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4.2 N/cm이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7.9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90%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0℃에서도 석조,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unsanded sawn wood),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F3
하기 포뮬라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F1에서와 같은 접착제::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Foral 85,
2 phr Irganox 1076
5 phr Tinuvin 111.
접착제를 실시예 F2에서와 같이 코팅하였다. 접착 테이프를, 캐리어의 양면을 코로나-처리하고 접착제로 코팅하는 것을 제외하고 유사하게 생산하였다. 제 2 전사 코팅 후에, 제 2 이형지를 제거하고, 접착 테이프를 점보에 감았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6.9 N/cm이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10.5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97%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0℃에서도 석조,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 폴리에틸렌 필르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F4
하기 포뮬라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F1에서와 같은 접착제: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Regalite R1100
2 phr Irganox 1076.
접착제를 실시예 F2에서와 같이 코팅하고, 이형지의 제거 없이, 점보에 감았다. 예를 들어 권취 밀봉, 증기 확산 지연제, 및 방습재를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에 부착시키기 위해, 양면 접착 전사 테이프를 캐리어-부재의 형태로 도포하였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5.0 N/cm이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8.1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96%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0℃에서도 석조,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F5
하기 포뮬라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F1에서와 같은 접착제: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Regalite R1100
2 phr Irganox 1076.
단지 70 g/㎡의 코트 중량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F2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코팅하였다. 이형지의 제거 없이, 접착제를 점보에 감았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9.4 N/cm이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5.3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95%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0℃에서도 석조,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F6
하기 포뮬라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F1에서와 같은 접착제: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Wingtack extra,
2 phr Irganox 1076.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노즐 코팅에 의해 이형지에 용융물로부터 200 g/㎡로 도포하였다. 캐리어 물질은 100 ㎛의 두께를 가지고, 폴리에틸렌-코팅된 크라프트지 (20 g/㎡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져 있다. 코팅된 이형지로부터 적층에 의해, 크라프트지 캐리어 물질의 측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이형지의 제거 없이, 접착 테이프를 점보에 감았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6.3 N/cm이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10.1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92%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0℃에서도 석조,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F7
하기 포뮬라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F1에서와 같은 접착제: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Wingtack 10
212 phr Wingtack extra
2 phr Irganox 1076.
접착제를 실시예 F2에서와 같이 코팅하고, 접착 테이프를 동일한 방식으로 생산하였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5.3 N/cm이다.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3.6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89%이다. 접착 테이프는 심지어 0℃에서도 석조, 샌딩처리되지 않은 제재목,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 F1
표준 상업 포뮬라에 따라 조성물이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F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100 phr Vector 4113,
97 phr Escorez 1310,
21 phr Ondina 933,
1 phr Irganox 1726.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8.1 N/cm이다. 에이징 후에, 폴리에틸렌에 대한 결합 강도는 본래 결합 강도의 74%로서, 이는 겨합 강도의 현저한 감소 및 심각한 에이징에 해당하는 것이다.
비교 실시예 F2
실시예 F1에서와 같이 실행;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PB 0300 M
212 phr Escorez 5400
8 phr Irganox 1076.
접착제는 실제로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비교 실시예 F3
사용되는 접착제는 롬 앤 하스사(company Rohm and Haas)에서 상품명 프리말(Primal) PS83D (고형물 함량 53 중량%; 암모니아 함량 < 0.2 중량%; pH 9.1 내지 9.8)의 수성 아크릴레이트 분산제이다.
이형 필름에 와이어 닥터(wire doctor)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코팅하였다. 와이어 닥터 및 코팅 속도를, 코팅된 필름이 건조된 후에, 대략 100 g/㎡의 코트 중량이 측정되도록 셋팅하였다. 코팅 속도 및 건조기 출력을, 건조 후 접착제에서 측정된 물 함량이 0.03 중량% 내지 0.13 중량%이도록 셋팅하였다. 실시예 F2에 기술된 필름의 한면을 코로나-처리하였다. 코팅된 이형지로부터 적층에 의해 코로나-처리된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100 g/㎡의 코트 두께의 제 1 도포 후에, 이형지를 제거하고, 접착제의 제 2 층을 제 1 층 상에 적층하여, 대략 200 g/㎡의 코트 중량을 획득하였다.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건조시키는 것의 어려움은 작업 경비의 증가를 요하는데, 왜냐하면 1회 작업에서 200 g/㎡의 층 두께를 생산하는 것이 코팅을 위한 비경제적으로 긴 건조 시간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접착제가 물에 노출될 때, 이는 팽창하고 강도 및 접착력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추가적으로 롤 반창고 또는 개별 반창고로서, 배변 주머니 또는 전극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이컷으로서, 활성 화합물 패치로서, 상처 피복재로서, 정형외과용 또는 정맥학용 붕대로서, 또는 절개 필름으로서 매우 특별히 유리하게 적합하며, 본 발명의 하나의 추가의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적어도 한면 상에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적어도 105℃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강력하게 접착하는 정형외과용 붕대 및 다른 의학적 제품에는 통상적으로 이의 전체 영역 위에 통상적으로 아연 고무 접착제가 코팅된다. 피부 상에 이러한 제품의 결합은, 이러한 것들이 제거된 후에, 뚜렷한 피부 자극 및 피부의 기계적 스트레싱을 나타낸다. 보조 수단 없이, 이러한 결합은 단지 고통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또한, 사용되는 접착제는 피부로 접착제의 이동을 초래한다.
이들의 낮은 전단 안정성 및 점착성으로 인하여,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은 피부-친화적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고려 가치가 없다. 후처리, 보다 특히 가교를 통한 개선이 가능하지만, 전반적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복수의 가닥을 갖는 순환적으로 적용되는 드레싱의 경우에, 이러한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는 안정한 기능적 드레싱을 위해 충분치 않다. 고유 효과는 아연 고무 접착제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것에 비해 낮다.
통상적인 블록 코포리머를 기초로 한 다른 공지된 접착제 시스템은 먼저 높은 수준의 안정화제의 첨가로 인하여 또는 높은 응집성이 산업적 적용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피부-친화적이지 않으며, 두번째로 피부에 대한 강력한 결합 및 끈적임을 위해 포뮬레이션될 수 없다.
일부 코팅의 경우에, 가능한 코트 중량에 대한 한계는, 특히 무거운 캐리어 물질의 경우에 결합 강도가 너무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술된 접착제는 감압 자가-접착제 조성물이며, 가공을 위해 캐리어 매트릭스에 존재할 수 있다. 캐리어 매트릭스는 통상적인 유기 또는 무기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캐리어 매트릭스 없는 시스템은 100% 시스템이라 칭하고, 마찬가지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것들은 열가소성 상태로 가공된다. 하나의 통상적인 가공 모드는 용융이다.
이러한 부류의 감압 핫멜트 접착제는 또한 종래 기술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및/또는 다른 합성 폴리머를 기초로 한 것이다. 이들의 높은 경도로 인하여, 이러한 100% 시스템에 대한 피부 접착성은 문제가 딘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자가-접착제 조성물을 전체 영역에 걸쳐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접착제의 도트가 또한 이들의 크기 및/또는 분포에 있어 상이할 수 있는 (EP 0 353 972 B1) 스크린 프링팅(DE 42 37 252 C1) 또는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서로연결되는 라인의 그라비어 프린팅(DE 43 08 649 C1)에 의해 도트 패턴의 형태로 도포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패턴화된 도포의 장점은, 적절히 다공성인 캐리어 물질이 제고된 접착제 물질이 공기 및 수증기에 투과적이고,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재탈착가능하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생성물의 단점은 그 자체로 불투과성인 접착제 층에 의해 덮혀진 영역이 너무 큰 경우에, 공기 및 수증기 투과성이 상응하게 감소하고, 접착제의 소비가 증가하며, 접착제 층에 의해 덮혀진 영역이 작은 경우에, 접착 성질이 떨어지고, 즉 특히, 무거운 섬유 캐리어 물질의 경우에, 생성물의 일부가 기재로부터 너무 쉽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의학적 제품, 예를 들어 정형 드레싱(orthopedic dressing)은 접착 성질과 관련하여 엄격한 요건으로 처리된다. 이상적인 적용을 위하여, 자가-접착제 조성물은 큰 점착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피부 및 캐리어의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가 기능적으로 적절할 것이다. 또한, 가닥이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자가-접착제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피부 사에 우수한 접착 성질을 나타낸다.
매우 적합한 것으로 입증된 점착제 수지는 로진 (예를 들어, 발삼 수지) 또는 로진 유도체 (예를 들어, 불균화, 다이머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된 로진)을 기초로 한 수지,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형태의 수지이다.
감압 핫멜트 접착제가 하프톤 프린팅(halftone printing), 열적 스크린 프린팅 또는 그라비어 프린팅에 의해 캐리어 물질에 일부 도포되는 것이 의학 제품의 경우에서 사용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연속 도포된 라인에서 자가-접착적으로 처리된 캐리어 물질이 도포 시에 피부의 기계적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도포는 조절된 채널을 통해 경피 수분 손실을 제거하고 특히 사용되는 캐리어 물질이 공기 및 수증기에 투과적일 때 증기 형태의 피부로부터의 땀의 제거를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신체 유체의 축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예를 들어 침용(maceration)이 방지된다. 제거 채널 셋업은 다층 드레싱이 사용될 때에도 유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중기하학적 돔, 및 특히 직경 대 높이의 비가 5:1 미만인 돔의 형태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리어 물질 상에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영문숫자 조합, 또는 격자, 스트립 및 지그재그 라인과 같은 패턴 형태의 프린팅된 이미지와 같이, 다른 형태 및 패턴의 프린팅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이는 분무에 의해 도포되어, 다소 불규칙한 도포된 이미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접착제는 캐리어 물질 상에 균질하게 분포될 수 있지만 제품의 기능에 적절한 방식으로, 영역에 걸쳐 상이한 두께 또는 밀도로 도포될 수 있다.
자가-접착제 핫멜트는 열적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열적 스크린 프린팅의 원리는 노즐을 이용하여 감압 핫멜트를 공급하는 회전하는 가열된 이음새없는 드럼 모양의 천공된 실린더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이다. 특별한 모양의 노즐 립(원형 또는 직사각형 바)은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자가-접착제 조성물을 스크린 벽의 천공을 통해 이를 지나 이동되는 캐리어 웹으로 가압시킨다. 이러한 웹은 회전하는 스크린 드럼의 원주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가열된 스크린 드럼의 외부 자켓에 대항하여 후면 롤을 이용하여 가이딩된다.
이러한 작업에서, 접착제의 작은 돔이 하기 메카니즘에 따라 형성된다:
노즐 바의 압력은 스크린 천공을 통해 자가-접착제 조성물을 캐리어 물질 상으로 이동시킨다. 형성된 돔의 크기는 스크린 천공의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스크린은 캐리어 웹의 이동 속도(스크린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캐리어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자가-접착제 조성물의 높은 접착력 및 핫멜트의 내부 응집력의 결과로서, 천공에서 감압 핫멜트의 제한된 공급이 캐리어에 이미 접착한 돔의 베이스로부터 좁은 범위로 뽑아지고, 바의 압력에 의해 캐리어로 이동된다.
이러한 운송의 종결한 후에, 다소 크게 구부러진 돔의 표면은 감압 핫멜트의 유동성에 따라, 사전결정된 베이스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돔의 높이-대-베이스의 q율은 스크린 드럼의 벽 두께에 대한 천공 직경의 비율, 및 자가-접착제 조성물의 물리적 성질(유동 거동, 표면 장력, 및 캐리어 물질 상의 접촉각)에 의존적이다.
열적 스크린 프린팅에서 스크린 스텐실의 경우에, 웹-대-홀 비는 2:1 미만, 바람직하게 1:1 이하일 수 있다.
돔 형성의 상술된 메카니즘은 우선적으로 감압 핫멜트에 의해 흡수되거나 적어도 습윤화될 수 있는 캐리어 물질이 요구된다. 비습윤 캐리어 표면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기술에 의해 사전처리되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코로너 방전, 또는 습윤화를 향상시키는 물질로의 코팅과 같은 추가적인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명시된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여, 규정된 방식으로 돔의 크기 및 외형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도포에 대해 관련되고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결합 강도 수치는, 적절한 코팅의 경우에, 매우 좁은 공차내에 놓이게 된다. 돔의 베이스 직경은 10 ㎛ 내지 5000 ㎛이며, 돔의 높이는 20 ㎛ 내지 대략 2000 ㎛, 바람직하게 50 ㎛ 내지 1000 ㎛이며, 낮은 직경 범위는 매끄러운 캐리어의 경우에 관찰되며, 보다 큰 직경 및 큰 돔 높이의 범위는 거칠거나 고도로 다공성인 캐리어 물질의 경우에 관찰된다.
캐리어 상에서 돔의 위치지정은 광범위한 한계내에서 변경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유닛의 기하학, 예를 들어 그라비어 또는 스크린 기하에 의해 규정된 방식으로 세워진다. 명시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조정가능한 변수에 의해, 다양한 캐리어 물질 및 도포에 대해 맞춰진, 코팅 성질의 요망되는 프로필을 매우 높은 정확성으로 셋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2 m/분의 속도, 바람직하게 20 내지 100 m/분의 속도로 코팅되며, 선택된 코팅 온도는 연화 온도 보다 높다.
감압 핫멜트로 코팅되는 영역의 백분율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20%이어야 하고 최대 95%일 수 있으며, 특별한 제품의 경우, 바람직하게 40% 내지 60%, 및 70% 내지 95%이다. 이는 적절한 경우에, 다중 도포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또한 요망되는 경우 상이한 성질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는 적어도 1.5 N/cm의 캐리어의 후면에 대한 결합 강도, 특히 2.5 N/cm 내지 5 N/cm의 결합 강도를 갖는다. 다른 기재 상에서, 보다 높은 결합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자가-접착제 조성물과 일부 코팅의 조합은 특히 피부 상의 의학적 제품의 신뢰성있는 결합을 확보하고, 다른 한편으로, 적어도 실제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알레르기 또는 기계적 피부 자극은 심지어 수일에 걸쳐 확장되는 경우에 배제된다.
상응하는 신체 구역의 제모 및 피부로 조성물의 이동은, 접착제의 높은 응집력으로 인하여 무시해도 좋은데, 왜냐하면 접착제가 피부 및 모발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이며; 대신에 최대 12 N/cm (샘플 폭)의, 캐리어 물질에 대한 접착제의 부착력은 특히 의학적 적용에 대해 매우 양호하다.
코팅에서 형성된 의도된 파손 지점의 결과로서, 피부의 층들은 탈착 동안에 더 이상 서로 또는 서로에 대해 옮겨지지 않는다. 피부 층의 이동의 부재, 및 비교적 낮은 수준의 제모는 이러한 강력하게 결합하는 시스템에 대해 전례없는 통증 정도를 초래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의 결합 강도의 명백한 감소를 나타내는 결합 강도의 개개의 생체기계적 제어는 탈착능력에 도움이 된다. 도포된 드레싱은 양호한 고유수용성 효과를 나타낸다.
캐리어 물질 및 이의 온도 감수성에 따라, 자가-접착제는 직접 도포될 수 있거나 보조 캐리어에 도포된 후에 최종 캐리어로 옮겨질 수 있다.
적합한 캐리어 물질은 합성 및 천연 원료 물질로부터 제조된 모든 강성 및 탄성 시트형 구조물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도포 후에, 기능적으로 적절한 드레싱의 성질들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 물질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직조물, 니트, 스크림, 부직포, 라미네이트, 네트, 필름, 폼 및 페이퍼와 같은 직물이 기술된다.
접착 테이프는 1 ㎤/(㎠*s) 초과, 바람직하게 15 ㎤/(㎠*s)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 70 ㎤/(㎠*s) 초과의 공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고, 또한 500 g/(㎡*24 h) 초과, 바람직하게 1000 g/(㎡*24 h) 초과, 바람직하게 2000 g/(㎡*24 h) 초과의 수증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닥의 어셈블리에서, 접착 테이프는 1 g/(㎡*24 h)의 공기 투과도 및 500 g/(㎡*24 h)의 수증기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포 후에, 접착 테이프는 싸여질 수 있거나 상처 패드 및/또는 큐셔닝화(cushioning)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가 보다 특히 방사선에 의해 멸균처리될 수 있는 것이 특별한 장점인데, 왜냐하면 접착제의 폴리머가 가교 경향을 갖는 이중 결합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제로 코팅된 측면과 반대편의 측면 상에, 캐리어는 수반발층 또는 물 또는 땀과 접촉시에 빠른 소킹(soaking)을 방지하는 함침으로 처리될 수 있다. 공지된 함침 시스템 이외에, 이는 또한 필름, 유리하게 수증기 투과성 필름의 연신된 부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캐리어에는 추가적으로 접착제의 결합 강도를 감소시키는 이형층 또는 이형 함침 및/또는 코팅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본원에서, 공지된 이형 물질 이외에, 필름, 유리하게 수증기 투과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인간 피부 상에 도포하기에 상당히 적합하다. 예로는 롤 반창고 및 개별 반창고, 배변 주머니 및 전극의 결합을 위한 다이컷, 활성 화합물 패치(경피 패치), 상처 커버, 및 정형 또는 정맥 붕대, 및 절개 필름이 있다. 이러한 적합성은 접착 성질의 결과로서 제공되지만, 피부 자극 물질을 방지할 가능성, 또는 다른 화학적 작용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하산화제의 결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피부에 대한 접착성과 사용 후 피부 자극없이 피부로부터의 용이한 탈착 간의 우수한 균형을 나타낸다.
실시예 G1
접착제는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0 phr IN FUSE 9107,
78.4 phr Ondina 933,
212 phr Wingtack extra
접착제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용융물로부터 노즐 코팅을 이용하여 캐리어 상에 70 g/㎡로 도포하였다. 캐리어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피부색 필름으로서, 이의 하부면(코팅면) 상에 폴리프로피렌 웹이 적층되어 있다. 캐리어에 도포한 후에, 접착제에는 상처 피복재 물질이 제공되며, 실리콘 페이퍼 라이너로 라니이된다. 공기 홀을 갖는 개별 반창고는 이러한 물질로부터의 다이컷이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9 N/cm이다. 접착 테이프 (반창고)는 피부로부터의 가역적인 탈착을 나타내었고, 양호한 공기 및 수증기 투과성을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고, 반창고의 제거 후 관찰되는 제모가 무시할 정도로 작았다.
실시예 G2
하기 포뮬라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G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100 phr NOTIO PN-0040,
78.4 phr Wingtack 10,
212 phr Escorez 1310,
1 phr Irganox 1076.
이를 핫멜트 스크린 프린팅(스크린 두께 300 ㎛, 메시수 25)을 이용하여 직조 코튼 직물(최종 인장 강도 60 N/cm, 파단시 신장율 10%)에 도포하였다. 코트 중량은 120 g/㎡이었다. 스틸에 대한 결합 강도는 11 N/cm이다 접착 테이프(붕대)는 피부로부터 가역적인 탈착을 나타내었고 또한 양호한 공기 수증기 투과성을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의 경우가 관찰되지 않았고, 반창고의 제거 후 관찰되는 제모가 무시할 정도로 적었다.
실시예 G3
하기 포뮬라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G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100 phr Softell CA02,
50 phr Ondina 933,
212 phr Regalite R1100 and
20 phr Salicylic acid.
접착제를 직조된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직물에 70 g/㎡로 도포하였다. 이는 와트 반창고(wart plaster)로서 적합하다.
비교 실시예 G1
IN FUSE 9107 대신에 LD25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G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코팅은 끈적이기 보다는 오일성 표면을 갖는 경질이다.

Claims (26)

  1. 후면(backing); 및
    후면 상의 한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105℃ 이상의 미세결정 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을 갖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올레핀의 폴리머의 밀도가 0.86 내지 0.88 g/㎤, 바람직하게 0.86 내지 0.87 g/㎤이고/거나, 올레핀 폴리머가 105℃ 이상, 바람직하게 1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135℃ 이상의 미세결정 융점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올레핀 폴리머가 8 g/10 분 미만, 바람직하게 1.5 g/10 분 미만의 용융 지수를 가지고/거나, 50 MPa 미만, 바람직하게 26 MPa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 17 MPa 미만의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핀 폴리머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및 C2 내지 C10 올레핀, 바람직하게 C2 내지 C10 α-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코모노머(comonomer), 더욱 바람직하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copolymer), 에틸렌과 부트-1-엔의 코폴리머, 에틸렌과 옥트-1-엔의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부트-1-엔의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부트-1-엔의 테르폴리머(terpolym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핀 폴리머가 폴리프로필렌을 기초로 한 블록 코폴리머(block polymer), 그라프트 폴리머(graft polymer) 또는 이종상 폴리머(heterophasic polym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2.1 미만, 바람직하게 1.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6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 1.0 내지 1.4의 다분산도를 갖는 점착제 수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 수지가
    - 로진 또는 로진 유도체,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로진 또는 로진 유도체를 기초로 한 수지,
    - C5 모노머,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C5 모노머를 기초로 한 탄화수소 수지,
    - 방향족-함유 탄화수소 수지의 수소첨가로부터의 탄화수소 수지,
    - 수소첨가된 시클로펜타디엔 폴리머를 기초로 한 탄화수소 수지, 및/또는
    - 폴리테르펜, 바람직하게 일부 또는 전부 수소첨가된 폴리테르펜을 기초로 한 수지, 및/또는
    - 테르펜-페놀성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접착제 중의 점착제 수지의 양이 바람직하게 130 내지 350 phr, 더욱 바람직하게 200 내지 240 phr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미네랄 오일, 이소부텐 호모폴리머(homopolymer) 및/또는 이소부텐-부텐 코폴리머의 액상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굴곡 탄성율이 바람직하게 10 MPa 미만이고 미세결정 융점이 바람직하게 50℃ 미만인, 에틸렌, 프로필렌, 부트-1-엔, 헥스-1-엔 및/또는 옥트-1-엔의 코폴리머 또는 테르폴리머를 포함하거나, 4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함량 및/또는 0.8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87 g/㎤ 미만의 밀도를 갖는 EPM 또는 EPDM을 포함하며, 코폴리머 또는 테르폴리머의 양이 바람직하게 100 phr을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i) 1차 항산화제, 바람직하게 2 ph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6 phr 이상의 양의, 및/또는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기를 갖는, 1차 항산화제,
    ii) 0 내지 5 phr, 바람직하게 0.5 내지 1 phr 양의, 및/또는 황 화합물의 부류 또는 포스파이트(phosphite)의 부류로부터의, 2차 항산화제,
    iii) 광안정화제, 바람직하게 HALS, 및/또는
    iv) UV 흡수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미네랄 오일-부재이고, 보다 특히 미네랄 오일-부재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미네랄 오일-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캐리어 상에, 10 내지 300 g/㎡, 바람직하게 70 내지 160 g/㎡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3. 롤 반창고(roll plaster) 또는 개별 반창고(individual plaster), 배변 주머니(colostomy bag) 또는 전극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이컷(dicut), 활성 물질 패치, 상처 피복재(wound covering) 또는 정형외과용 또는 정맥학적 붕대(orthopedic or phlebological bandage), 또는 절개 필름(incision film)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
  14. 패키징 적용(packaging application)을 위한, 바람직하게 강화 카드보드 패키징을 위한, 보다 특히 다이컷의 영역에서, 인열-개방 스트립(tear-open strip)으로서, 운반 손잡이로서, 팔레트 고정(pallet securement)을 위한, 상품의 전달 고정(transmit securement)으로서, 번들링(bundling)을 위한, 및 보다 특히 접철식 상자(folding carton)의 밀봉을 위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
  15. 제 14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캐리어 상에 무용매로(solventlessly)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올레핀 폴리머가 에틸렌 폴리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7. 통풍 파이프(ventilation pipe) 또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번들링하거나, 보호하거나, 라벨링하거나, 절연시키거나, 밀봉시키기 위한, 및 바람직하게 자동차에서 케이블 하네스(cable harnesses)를 랩핑(wrapping)하기 위한 권취 테이프(winding tape)로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
  18. 제 17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 1차 항산화제, 바람직하게 2 ph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6 phr 이상의 양의 1차 항산화제, 및/또는
    - 0 내지 5 phr, 바람직하게 0.5 내지 1 phr의 양의 2차 항산화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9. 케이블을 감싸는 테이프(cable bandaging tape)로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
  20. 제 19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캐리어 상에 무용매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올리펜 폴리머가 에틸렌 폴리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2.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섬유 캐리어(textile carri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3. 옥외 적용(exterior application)을 위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로서, 접착 테이프가, 상부면 상에 압출 코팅, 분산 코팅 또는 필름 적층에 의해 도포되는 추가 층이 제공되고 하부면 상에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105℃ 이상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있는, 15 내지 150 g/㎡의 평량을 갖는 섬유 캐리어를 갖는, 접착 테이프의 용도.
  24. 거칠고/거나 오염된 표면 상에 접착 결합시키기 위한, 바람직하게 반창고 테이프로서, 접합부(joint)를 밀봉시키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로서, 접착 테이프가 캐리어; 및 캐리어 상의 한면 또는 양면에 용융물로부터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105℃ 이상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의 용도.
  25. 제 24항에 있어서, 윈드 씰(wind seal), 증기 확산 지연제(vapor diffusion retarder), 및 방습재(vapor barrier)용 한면 또는 양면 접착 어셈블리 테이프로서의 용도.
  26. 롤 반창고 또는 개별 반창고, 배변 주머니 또는 전극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이컷, 활성 물질 패치, 상처 피복재 또는 정형외과용 또는 정맥학적 붕대, 또는 절개 필름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로서, 접착 테이프가 캐리어; 및 캐리어 상의 한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고, 0.86 내지 0.89 g/㎤의 밀도 및 105℃ 이상의 미세결정 융점을 갖는 올레핀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가지는, 접착 테이프의 용도.
KR1020107026956A 2008-04-30 2009-04-30 접착 테이프 Abandoned KR20100134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1741A DE102008021741A1 (de) 2008-04-30 2008-04-30 Abdeckklebeband aus einem Ethylenpolymer
DE102008021742A DE102008021742A1 (de) 2008-04-30 2008-04-30 Mineralölfreies Klebeband
DE102008021744.1 2008-04-30
DE102008021744A DE102008021744A1 (de) 2008-04-30 2008-04-30 Klebeband für Verpackungsanwendungen
DE102008021743.3 2008-04-30
DE102008021739.5 2008-04-30
DE102008021739A DE102008021739A1 (de) 2008-04-30 2008-04-30 Klebeband und Verwendung als Bandagierungsband für Kabelbäume
DE102008021741.7 2008-04-30
DE102008021742.5 2008-04-30
DE102008021743A DE102008021743A1 (de) 2008-04-30 2008-04-30 Klebeband zur Verklebung niederenergetischer Oberflächen
DE102008025982A DE102008025982A1 (de) 2008-05-30 2008-05-30 Wickelband mit Polyolefinhaftkleber
DE102008025979A DE102008025979A1 (de) 2008-05-30 2008-05-30 Klebeband insbesondere für Außenanwendungen mit einem textilen Träger
DE102008025980A DE102008025980A1 (de) 2008-05-30 2008-05-30 Klebeband für Bauanwendungen
DE102008025984A DE102008025984A1 (de) 2008-05-30 2008-05-30 Klebeband insbesondere für die Hautverklebung
DE102008025979.9 2008-05-30
DE102008025982.9 2008-05-30
DE102008025980.2 2008-05-30
DE102008025984.5 2008-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800A true KR20100134800A (ko) 2010-12-23

Family

ID=4097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956A Abandoned KR20100134800A (ko) 2008-04-30 2009-04-30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67799A1 (ko)
EP (1) EP2274390B1 (ko)
JP (1) JP2011519989A (ko)
KR (1) KR20100134800A (ko)
CN (1) CN102076800A (ko)
CA (1) CA2722299A1 (ko)
ES (1) ES2518417T3 (ko)
MX (1) MX2010011247A (ko)
PL (1) PL2274390T3 (ko)
WO (1) WO200913317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6068A1 (en) * 2011-12-22 2013-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fin block copolym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20170039238A (ko) * 2014-07-31 2017-04-10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모울드에서 바디를 모울딩하는 방법
KR102178980B1 (ko) * 2020-06-15 2020-11-13 권오식 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6672A1 (de) * 2008-06-04 2009-12-10 Tesa Se Klebstoff aus Polypropylenharz
DE102009005517A1 (de) 2009-01-20 2010-07-22 Tesa Se Verfahren zur Korrosionsschutzbehandlung
DE102009041898A1 (de) * 2009-09-18 2011-04-07 Tesa Se Abriebfestes Gewebeklebeband
DE102009046363A1 (de) * 2009-11-03 2011-05-05 Tesa Se Montageklebeband für den Innenausbau
US20120028524A1 (en) * 2010-08-02 2012-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ct tape with foam film backing layer
CN107890583A (zh) * 2011-01-21 2018-04-10 艾利丹尼森公司 含有葡萄糖酸洗必泰的粘合剂
DE102011009510A1 (de) * 2011-01-26 2012-07-26 Tesa Se Klebeband, das insbesondere zur Transportsicherung eingesetzt werden kann
JP5441271B2 (ja) * 2011-01-27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非水系電池用積層体
TWI537355B (zh) * 2011-05-13 2016-06-11 羅門哈斯公司 水性黏合劑
WO2012158483A2 (en) 2011-05-16 2012-11-22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containing microparticles
JP2013173464A (ja) * 2012-02-27 2013-09-0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ワイヤーハーネス保護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9422463B2 (en) * 2012-02-29 2016-08-23 Hollister, Inc. Buffered adhesive compositions for skin-adhering medical products
JP5644896B2 (ja) * 2012-07-04 2014-1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接着層及び粘接着シート
US20140065377A1 (en) * 2012-09-04 2014-03-06 Berry Plastics Corporation Abrasuib-resistant, hand-tearable adhesive tape
AU2013329252B2 (en) 2012-10-09 2017-05-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s and related methods
EP2915858B1 (en) * 2012-11-02 2020-12-02 Idemitsu Kosan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using same
CN104768981B (zh) 2012-11-02 2017-10-24 出光兴产株式会社 聚烯烃、含有其的粘接剂组合物和使用其的粘接胶带
DE102012112606B4 (de) * 2012-12-19 2020-07-09 Surtec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ntenleiste, Kantenleiste und Verwendung einer Kantenleiste
CA2893634A1 (en) * 2013-01-02 2014-07-10 Kci Licensing, Inc. A flexible, adherent, and non-polyurethane film wound drape cover
US20220275255A1 (en) * 2013-01-17 2022-09-01 Nirotek A.C.S. Ltd. Transfer tape comprising adhesive for a protective wrap
PL2954019T3 (pl) 2013-02-07 2019-01-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Kleje przeciwbakteryjne o ulepszonych właściwościach
WO2014151355A1 (en) 2013-03-15 2014-09-25 Avery Dennison Corporation Transparent cover dressing application system and inclusion of label strip
FR3005661B1 (fr) * 2013-05-16 2016-06-10 Novacel Sa Film adhesif sensible a la pression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surfaces
FR3007413B1 (fr) * 2013-06-20 2020-11-27 Les Stratifies Procede de bordurage de panneaux composites, ruba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panneau obtenu par le procede et machine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EP2832780B1 (en) 2013-08-01 2019-09-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ubb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am
US9640303B2 (en) 2013-11-21 2017-05-02 Abb Hv Cables (Switzerland) Gmbh Bundle of cables, a method of laying cables and use of a securing means
DE102013113120B4 (de) 2013-11-27 2023-06-29 Loparex Germany Gmbh & Co. Kg Folie für Etiketten und Abdeckbahnen
DE102013022606B3 (de) 2013-11-27 2022-12-15 Loparex Germany Gmbh & Co. Kg Folie für Etiketten und Abdeckbahnen
DE102014206349A1 (de) 2014-04-02 2015-10-08 Tesa Se Klebeband
DE102014105609A1 (de) * 2014-04-22 2015-10-22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Handeinreißbares Gewebeklebeband mit hoher Abriebfestigkeit und Geräuschdämpf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3151813B1 (en) 2014-06-05 2020-12-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Articles with active agent concentrated at the substrate contacting surface and related methods
US10181364B2 (en) * 2014-07-03 2019-01-15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High reliability power cables for subsea application
JP6405033B2 (ja) * 2014-07-17 2018-10-17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織物−エラストマー結合のための方法
EP3205751B1 (en) * 2014-10-06 2024-08-28 Nitto Denko Corporation Masking sheet for anodizing
CN104575844B (zh) * 2014-11-24 2017-02-22 宁波日月电线电缆制造有限公司 一种计算机用数字信号传输线
WO2016127056A1 (en) 2015-02-05 2016-08-11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ssemblies for adverse environments
EP3279283A4 (en) * 2015-04-01 2018-12-26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tape
DE202015104283U1 (de) * 2015-08-13 2015-08-26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Ausgasungsarmes Klebeband zum Ummanteln von langgestreckten Objekten
DE102015217376A1 (de) * 2015-09-11 2017-03-16 Tesa Se Haftklebstoff auf Basis EPDM
JP6650730B2 (ja) * 2015-10-22 2020-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超小型固定用テープ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US20170143103A1 (en) * 2015-11-19 2017-05-25 Giselle Howard Anti-wrinkling pad and method
DE202016101644U1 (de) * 2016-03-24 2017-06-27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Überputzbares Klebeband
CN109642127A (zh) * 2016-05-23 2019-04-16 日东电工株式会社 防潮层材料
US11008444B2 (en) 2016-12-19 2021-05-18 Eastman Chemical Company Tires comprising polyindane resins and uses thereof
US10851270B2 (en) * 2016-12-19 2020-12-01 Eastman Chemical Company Adhesives comprising polyindane resins
WO2018118767A1 (en) 2016-12-22 2018-06-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verti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s
EP3363958A1 (de) * 2017-02-17 2018-08-22 CEMproof Group GmbH Abdichtung für ein beton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ichtung
DE102017203066A1 (de) * 2017-02-24 2018-08-30 tesa SE, Kst. 9500 - Bf. 645 Klebeband
US10654399B2 (en) * 2017-06-13 2020-05-19 Matthew Bullock Load restraint strip with stitchbond fabric base layer
US20190031923A1 (en) 2017-07-26 2019-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ing for adhesive tape with thermal resistance
US9909035B1 (en) * 2017-09-29 2018-03-06 Mayapple Baby Llc Mountable articles, dual-adhesive-adhesive tape and mounting methods using them
DE102018102508A1 (de) * 2018-02-05 2019-08-08 Huhtamaki Flexible Packaging Germany Gmbh & Co. Kg Verpackungsmaterial,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Verpackungsmaterials und dessen Verwendung
US10898606B2 (en) 2018-05-15 2021-01-26 Legacy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LLC Self-fusing low density silicone
EP3916063A4 (en) * 2019-01-22 2022-09-21 Sekisui Chemical Co., Ltd.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TION
DE102019103121A1 (de) * 2019-02-08 2020-08-13 Tesa Se Schrumpffolie und Verfahren zum Ummanteln von langgestrecktem Gut insbesondere Leitungen
WO2020231955A1 (en) * 2019-05-10 2020-11-19 Silver Defender, Corp Antimicrobial adhesives
WO2021003320A1 (en) * 2019-07-03 2021-01-07 Berry Global, Inc. Tape
EP4096919A1 (de) * 2020-01-28 2022-12-07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halter mit unterbrochener haftschicht
US20220376289A1 (en) * 2020-04-06 2022-11-24 Lg Energy Solution, Ltd.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2378446B2 (en) 2020-04-27 2025-08-05 Teraoka Seisakusho Co., Ltd. Adhesive tape
WO2022208605A1 (ja) * 2021-03-29 2022-10-06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CN111933877B (zh) * 2020-06-30 2021-12-21 江苏厚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涂覆用高粗糙度基膜及其制备方法
DE102021205196A1 (de) * 2021-05-20 2022-11-24 Tesa Se Klebeband zum Ummanteln von langgestrecktem Gut wie insbesondere Kabelsätzen und Verfahren zur Ummantelung
WO2022266329A2 (en) * 2021-06-18 2022-12-22 Mantrose-Haeuser Co., Inc. Water vapor barrier coating composition
US11569006B1 (en) 2021-08-20 2023-01-31 Tesa Se Cover for a cable harness with different color layers
DE102021126466A1 (de) * 2021-10-13 2023-04-13 Tesa Se Klebeband und Verfahren zum Ummanteln von langgestrecktem Gut insbesondere Leitungen
IT202200009716A1 (it) 2022-05-11 2023-11-11 Magri Maurizio Composizioni per la produzione industriale di nastri adesivi in poliestere noisy e low noisy per imballi su supporto bopet con pet riciclato
CN114907786B (zh) * 2022-06-01 2024-03-29 安姆龙(广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印刷布基胶带及其制备方法
CN218477123U (zh) * 2022-11-04 2023-02-14 赵芝君 屏幕保护组件及电子设备
CN219423135U (zh) * 2023-02-13 2023-07-28 常州市北飞无纺布技术有限公司 医用绷带
US12059873B1 (en) 2023-05-10 2024-08-13 Mbull Holdings, Llc Load restraint strip with nonwoven fabric base layer and polymer film outer layer
DE102023135041A1 (de) 2023-12-13 2025-06-18 Tesa Se Selbstklebende Brandschutzdichtungen
CN117903711B (zh) * 2024-01-03 2024-08-20 江西欣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锂电池的蓝色绝缘胶带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3598A (en) * 1970-04-17 1974-12-10 Scholl Inc Adhesive tape
US4022728A (en) * 1975-06-10 1977-05-10 Eastman Kodak Company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4516976A (en) * 1983-06-13 1985-05-14 Anchor Continental Inc. Adhesive tape fasteners
US4865912A (en) * 1986-07-08 1989-09-12 Hokusan Kabushiki Kaisha Precious-wood-faced sheet for decoration, board having the same laminated thereup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CA2023097C (en) * 1990-01-16 1999-07-06 Kenji Tsubota Method for producing an air-permeable adhesive tape
CA2092581C (en) * 1992-12-22 2003-10-14 Judith K. Faass Self-adhesive nonwoven elastic compressible composite material
DE4308649C2 (de) * 1993-03-18 1995-11-16 Lohmann Gmbh & Co Kg Medizinisches Pflastermaterial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AU1608595A (en) * 1994-01-27 1995-08-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US5563217A (en) * 1994-03-18 1996-10-08 Bridgestone/Firestone, Inc. Adhesive tape compositions
US5504136A (en) * 1994-10-27 1996-04-02 Bridgestone/Firestone, Inc. Adhesive tap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covering roofs
US5859114A (en) * 1994-10-27 1999-01-12 Bridgestone/Firstone, Inc. Adhesive tap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covering roofs
US5798175A (en) * 1997-01-31 1998-08-25 American Tape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tape product prepared therefrom
DE19751873A1 (de) * 1997-11-22 1999-08-05 Beiersdorf Ag Partiell selbstklebend ausgerüstetes Trägermaterial
US6096420A (en) * 1998-01-30 2000-08-01 Tredegar Corporation Thin plastic film
US6107219A (en) * 1998-02-11 2000-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eathable backing for an adhesive article
US6833404B2 (en) * 1998-06-30 2004-12-21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Hot melts utilizing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substantially aliphatic tackifying resin
US6355344B1 (en) * 1999-05-21 2002-03-12 Tyco Adhesives Lp Non-fogg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material
FR2797268B1 (fr) * 1999-08-02 2002-03-22 Scapa Tapes France S A Ruban adhesif sur tissu de polyester dechirable a la main
DE20022503U1 (de) * 2000-06-27 2001-11-15 Silu Verwaltung Ag, Meggen Montageklebeband zur verbesserten Fugenabdichtung und Montagebanddispenser
US6497949B1 (en) * 2000-08-11 2002-1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blends compris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8043674B2 (en) * 2001-02-22 2011-10-25 Exxonmobil Oil Corporation Sealable packaging structures and applications related thereto
US6653385B2 (en) * 2001-10-18 2003-11-25 Bostik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blend of amorphous poly-α-olefin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EP1308271A1 (en) * 2001-11-02 2003-05-07 Milliken Europe N.V. Insulating web
US6646046B2 (en) * 2001-12-06 2003-11-11 Permachel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ing the composition
DE10341163A1 (de) * 2002-12-19 2004-07-01 Tesa Ag Leicht reißbares Wickelband mit Alkalimetallionen
DE10348483A1 (de) * 2003-10-14 2005-06-02 Tesa Ag Alterungsbeständige weiche Wickelfolie aus Polyolefin
DE102004044086A1 (de) * 2004-09-09 2006-03-16 Tesa Ag Thermisch vernetzte Acrylat-Hotmelts
US20060194493A1 (en) * 2005-02-25 2006-08-31 Grant Chene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urgical drapes
CN101291964B (zh) * 2005-03-17 2011-07-2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由乙烯/α-烯烃共聚体制造的粘结剂和标记组合物
EP1719809A3 (en) * 2005-05-06 2007-05-30 Eastman Chemical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CA2625996A1 (en) * 2005-10-12 2007-04-26 Exxonmobil Oil Corporation Sealable packaging structures and applications related thereto
US8581094B2 (en) * 2006-09-20 2013-11-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evice module comprising polyolefin copolym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6068A1 (en) * 2011-12-22 2013-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fin block copolym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20170039238A (ko) * 2014-07-31 2017-04-10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모울드에서 바디를 모울딩하는 방법
KR102178980B1 (ko) * 2020-06-15 2020-11-13 권오식 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18417T3 (es) 2014-11-05
PL2274390T3 (pl) 2015-01-30
US20110067799A1 (en) 2011-03-24
CN102076800A (zh) 2011-05-25
JP2011519989A (ja) 2011-07-14
EP2274390A1 (de) 2011-01-19
CA2722299A1 (en) 2009-11-05
WO2009133175A1 (de) 2009-11-05
MX2010011247A (es) 2010-11-12
EP2274390B1 (de)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4800A (ko) 접착 테이프
KR10159006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CN108779376B (zh) 用于包护细长物品如特别地电缆线束的胶带以及包护方法
CN110272689B (zh) 用于包护细长物品如特别地电缆线束的胶带以及包护方法
JP4693418B2 (ja) 容易に引裂き得る巻付け用テープ
US20090291303A1 (en) Adhesive tape with textile carrier for cable bandaging
US20060240208A1 (en) Waterproof and airtight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10056616A1 (en) Adhesive tape and its use as a cable bandaging tape
JP2008208374A (ja) 低い巻き戻り力の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10049706A (ko) 내부 마감처리를 위한 접착제 어셈블리 테이프
JP2020063414A (ja) 長尺材料、特にケーブルハーネスをジャケッティングするための接着テープおよびジャケッティング方法
JP2007508431A (ja) ポリプロピレンコポリマ−及びポリプロピレンと親和性のないポリマ−の巻き付けフィルム
MXPA06004105A (es) Lamina de envoltura de poliolefina suave resistente al envejecimiento.
CN114008157B (zh) 用于包护细长物品例如特别地电缆束的胶带以及包护方法
CN113928909B (zh) 用于制造胶带板卷的方法
DE102008026670A1 (de) Klebstoff aus isotaktischem 1-Butenharz
MXPA06002320A (es) Tira enrollada facilmente rasgable que consiste de una pelicula co-extruida.
DE102008025980A1 (de) Klebeband für Bauanwendungen
EP2303977A1 (de) Klebeband mit einem träger aus einem gewebe
JP2007510013A (ja) カレンダー加工された巻き線箔
DE102008021742A1 (de) Mineralölfreies Klebe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