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4948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948A
KR20100134948A KR1020090053324A KR20090053324A KR20100134948A KR 20100134948 A KR20100134948 A KR 20100134948A KR 1020090053324 A KR1020090053324 A KR 1020090053324A KR 20090053324 A KR20090053324 A KR 20090053324A KR 20100134948 A KR20100134948 A KR 2010013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isplaying
main
sub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케쉬 고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4948A/ko
Priority to US12/802,905 priority patent/US20100318905A1/en
Publication of KR2010013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94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은 복수의 부 메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 메뉴들을 포함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부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주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 개의 하위 메뉴를 탐색할 수 있으며, 메뉴 탐색 시 키 입력 횟수가 감소되며, 메뉴 탐색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 GUI(Graphic User Interface), 메뉴, 메뉴 선택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MENU LIST IN TOUCH SCREEN BASED DEVICE }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처럼 휴대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통신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여러 메뉴들을 탐색하여 실행하기 위한 메뉴 선택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중요성은 높아지게 되었다.
종래의 메뉴 선택 GUI는 일반적으로 계층식(hierarchical) 구조로 구성되었다. 계층식 구조는 사용자가 최상위 레벨 메뉴에서부터 최하위 레벨 메뉴까지 레벨 깊이(depth)를 증가시키면서 메뉴를 탐색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계층식 구조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초기 메뉴 화면에서 '부가 기능' 메뉴를 선택하고, '부가 기능' 메뉴의 하위 메뉴가 표시되면 '카메라' 메뉴를 선택하고, '카메라' 메뉴의 하위 메뉴가 표시되면 '촬영' 메뉴를 선택하여 카메라 촬영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메뉴 키, 방향 키, 확인 키 등을 이용하여 메뉴 탐색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휴대 단말기는 레벨 깊이에 대응하는 메뉴 목록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그런데 상기 계층식 구조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레벨 깊이에 따라 메뉴 목록을 전환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초기 메뉴 화면에서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하위 메뉴를 탐색하기는 어려웠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 메뉴를 탐색하다가('부가 기능'메뉴, '카메라'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 블루투스 설정 메뉴를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 초기 메뉴 화면으로 복귀하고('부가 기능' 메뉴의 하위 메뉴 화면, 초기 메뉴 화면으로 순차적으로 복귀) 새로운 메뉴 탐색 과정('부가 기능' 메뉴, '블루투스'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을 진행해야 한다. 초기 메뉴 화면으로 복귀하고 다시 일정한 레벨 깊이까지 메뉴 탐색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키를 입력해야하며, 메뉴 탐색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만약 초기 메뉴 화면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하위 메뉴를 탐색할 수 있다면, 메뉴 레벨 깊이에 따라 화면이 전환될 필요가 없으며, 키 입력 횟수가 적어지고, 메뉴 탐색 시간이 짧아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화면에서 두 개 이상의 하위 메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설정된 메뉴의 표시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화면에서 복수 개의 하위 메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설정된 메뉴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은 복수의 부 메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 메뉴들을 포함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부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주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복수의 부 메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 메뉴들을 포함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터치 센서를 제어하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부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주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 개의 하위 메뉴를 탐색할 수 있으며, 메뉴 탐색 시 키 입력 횟수가 감소되며, 메뉴 탐색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V, 컴퓨터, 노트북 등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 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메뉴 화면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130)는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주 메뉴 아이템 및 부 메뉴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 및 폰트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주 메뉴 아이템과 부 메뉴 아이템의 배열에 관한 정보 및 한 번의 드래그 동작에 대한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30)는 메뉴 화면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주 메뉴 또는 부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40)는 터치 센서(142) 및 표시부(144)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142)는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기구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펜(스타일러스 펜)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2)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 고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본 발명의 터치 센서(142)에 해당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2)는 표시부(144)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의 일면 또는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42)는 터치스크린으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입력 신호는 터치가 입력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4)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4)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4)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30)에 저장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144)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주 메뉴 아이템 및 부 메뉴 아이템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키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입력부(15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일측 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142)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입력부(1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메뉴 화면을 설정한다.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주 메뉴 또는 부 메뉴에 근거하여 메뉴 화면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의 배열 정보 및 한 번의 드래그 동작에 대한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 정보에 근거하여 메뉴 화면을 설정한다.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 설정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 또는 키 입력부(150)를 제어하여 메뉴 화면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저장부(130)로부터 미리 설정된 메뉴 화면을 추출하고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추출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 상에 터치 및 드래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를 제어하여 드래그 방향이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이 배열되는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한 번의 드래그 동작에 대한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에 따라 주 메뉴 아이템 또는 부 메뉴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화면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들을 일정한 GUI 형태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의 메뉴 화면은 레벨 깊이(depth)가 가장 낮은 초기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도 2a의 메뉴 화면은 주 메뉴 아이템(10a 내지 10d),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13a 내지 13d), 좌우 이동 가능 식별자(14a 및 14b)로 구성되며, 각각의 주 메뉴 아이템(10a 내지 10d)은 부 메뉴 아이템(11a 내지 11c)으로 구성되고,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은 복수의 주 메뉴 아이템(10a 내지 10d)들로 구성된다.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은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메뉴 객체로서 각각의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은 적어도 하나의 부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한다.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없는 메뉴(최하위 메뉴)는 주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없다. 도 2a에 도시된 '전화번호부', '메시지', '카메라', '다이어리'는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의 메뉴 명칭에 해당한다.
부 메뉴 아이템들(11a 내지 11c)은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메뉴 객체로서 일정한 개수의 부 메뉴 아이템들(11a 내지 11c)은 하나의 주 메뉴 아이템을 구성한다. 부 메뉴 아이템들은 주 메뉴 아이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최상위 레벨의 메뉴는 부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없다. '일정 관리', '모닝콜/알람', '메모장'은 부 메뉴 아이템들(11a 내지 11c)의 메뉴 명칭에 해당한다. 도 2a의 '다이어리' 주 메뉴는 '모닝콜/알람' 부 메뉴 아이템(11a), '일정 관리' 부 메뉴 아이템(11b) 및 '메모장'부 메뉴 아이템(11c)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어리'를 구성하는 부 메뉴('모닝콜/알람', '일정 관리' 및 '메모장')는 '다이어리'에 포함되는 하위 메뉴들 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은 메뉴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이어리'에 포함되는 하위 메뉴 중 상기 세 개의 메뉴를 제외한 하위 메뉴들은 부 메뉴 아이템 이 동 시, 새로운 부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a는 메뉴 화면을 하나의 주 메뉴 아이템에 3개의 부 메뉴 아이템이 포함되는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주 메뉴 아이템에 3개 이상 또는 이하의 부 메뉴 아이템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은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은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 동작 입력 시,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이 전환되는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a는 '전화번호부', '메시지', '카메라', '다이어리'의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이 하나의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을 형성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13a 내지 13d)는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 입력 시 부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식별자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 방향 화살표 형태의 이동 가능 식별자(13a 및 13b)가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주 메뉴 아이템(10d) 상에서 상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면 부 메뉴 아이템(11a 내지 11c)들은 상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 메뉴 아이템들은 한 개의 부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될 수도 있고, 세 개의 부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 방향 화살표 형태의 이동 가능 식별자(13a 및 13b)가 표시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상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면, 부 메뉴 아이템들은 이동되지 않고 현 위치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13a 및 13b)는 사용자가 터치한 주 메뉴 아이 템(10d)에만 표시될 수 있다.
좌우 이동 가능 식별자(14a 및 14b)는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 입력 시 주 메뉴 아이템이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식별자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우 방향 화살표 형태의 이동 가능 식별자(14b)가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주 메뉴 아이템(10d) 상에서 우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면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은 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은 한 개의 주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주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 단위로 이동될 수도 있다. 우 방향 화살표 형태의 이동 가능 식별자(14b)가 표시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우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면,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은 전환되지 않고 현 위치 상태가 유지된다.
도 2b는 두 개의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a 및 12b)으로 구성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도 2a와 비교하여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주 메뉴 아이템의 개수가 2배 많으며, 한 화면에 표시되는 주 메뉴 아이템의 개수가 많은 만큼, 주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하는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c는 주 메뉴 아이템과 부 메뉴 아이템의 배열 방향이 도 2a와는 반대로 설정된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도 2a에서는 주 메뉴 아이템들이 가로 방향, 부 메뉴 아이템들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도 2c에서는 부 메뉴 아이템이 가로 방향, 주 메뉴 아이템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c에서 사용자는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하 방향 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주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메뉴 화면은 레벨 깊이(depth)가 가장 낮은 초기 메뉴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을 설정하는 과정은 도 4 및 도 5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메뉴 화면 설정 과정을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310단계에서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설정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310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실시예에 해당하며, 이 중 도 2a의 메뉴 화면을 중심으로 메뉴 화면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도 2a의 메뉴 화면에서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13a 내지 13d) 및 좌우 이동 가능 식별자(14a 및 14b)를 생략하고, 주 메뉴 아이템(10a 내지 10d)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복수의 부 메뉴 아이템들로 하나의 주 메뉴 아이템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315단계에서 터치 센서(14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부 메뉴 아이템 상에 터치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터치를 입력하면 터치 센서(142)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터치 입력 신호에는 터치가 입력된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부 메뉴 아이템 상에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부 메뉴 아이템 상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가 입력된 부 메뉴 아이템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터치가 입력된 부 메뉴 아이템을 확인하고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 및 좌우 이동 가능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터치가 입력된 부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주 메뉴 아이템의 상단 및 하단에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좌단 및 우단에 좌우 이동 가능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 블록(12)을 구성하는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주 메뉴 아이템(10a) 및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주 메뉴 아이템(10d)의 상단 및 하단에 상하 이동 가능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주 메뉴 아이템(10a)의 좌단 및 주 메뉴 아이템(10d)의 우단에 좌우 이동 가능 식별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터치가 입력된 부 메뉴 아이템, 터치된 부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주 메뉴 아이템, 상기 주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주 메뉴 아이템 블록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 부 메뉴 아이템 및 주 메뉴 아이템 블록에 테두리를 표시할 수 있으며, 메뉴 아이템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320단계에서 터치 센서(142)를 제어하여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동작은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서, 터치가 이동된 위치에서 터치 상 태를 계속 유지하는 동작과 터치가 이동된 위치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40) 상에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면 터치 센서(142)는 드래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드래그 입력 신호에는 터치가 이동된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로부터 드래그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터치가 이동된 위치 정보를 통해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방향을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325단계에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방향이 상하 방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부 메뉴 아이템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상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부 메뉴 아이템들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부 메뉴 아이템들을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부 메뉴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할 때, 한 개의 부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부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터치스크린 상에 상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경우, 부 메뉴 아이템들이 이동되어 표시된 메뉴 화면에 해당한다. 도 7a는 한 개의 부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설정된 실시예에 해당하며, 부 메뉴 아이템들은 하나씩 위쪽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2a의 주 메뉴 아이템(10d)에서 상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경우,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모닝콜/알람' 부 메뉴 아이템(11a)은 표시부(144)에서 제거되고, '일정 관리' 부 메뉴 아이템(11b)이 '모닝콜/알람' 부 메뉴 아이템(11a) 위치에 표시되고, '메모장' 부 메뉴 아이템(11c)이 '일정 관리' 부 메뉴 아이템(11b) 위치에 표시되고, 새로운 부 메뉴 아이템인 '계산기'가 '메모장' 부 메뉴 아이템(11c)의 위치에 표시된다. 도 7b는 세 개의 부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설정된 실시예에 해당하며, 현재 표시된 세 개의 부 메뉴 아이템들(11a 내지 11c)이 표시부(144)에서 제거되고, 새로운 부 메뉴 아이템들('계산기', '단위 환산', '세계 시간')이 도 2a의 부 메뉴 아이템들(11a 내지 11c)의 위치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한 후, 표시된 부 메뉴 아이템들 중 최우선 순위 또는 최하위 순위로 설정된 부 메뉴 아이템들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최우선 순위의 부 메뉴 아이템이 표시된 경우, 상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더라도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상 방향으로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없다. 또한 최하위 순위의 부 메뉴 아이템이 표시된 경우, 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더라도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하 방향으로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없다. 상 방향으로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상 방향 화살표 형태의 이동 가능 식별자(13a)를 제거하고, 하 방향으로 부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하 방향 화살표 형태의 이동 가능 식별자(13b)를 삭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325단계에서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 로 판단하는 경우, 345단계에서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메뉴 아이템들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좌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들을 좌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주 메뉴 아이템들을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주 메뉴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할 때, 한 개의 주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 메뉴 아이템들로 구성되는 주 메뉴 아이템 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주 메뉴 아이템 블록 단위로 주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좌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경우, 주 메뉴 아이템들이 이동되어 표시된 메뉴 화면에 해당한다. 도 8a는 한 개의 주 메뉴 아이템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설정된 실시예에 해당하며, 주 메뉴 아이템들이 하나씩 왼쪽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2a의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전화번호 부' 주 메뉴 아이템(10a)은 표시부(144)에서 제거되고, '메시지'의 주 메뉴 아이템(10b)이 '전화번호 부'의 주 메뉴 아이템(10a) 위치에 표시되고, '카메라' 주 메뉴 아이템(10c)이 '메시지'의 주 메뉴 아이템(10b) 위치에 표시되고, '다이어리' 주 메뉴 아이템(10d)이 '카메라' 주 메뉴 아이템(10c) 위치 에 표시되고, 새로운 주 메뉴 아이템인 '블루투스'가 '다이어리'의 주 메뉴 아이템(10d)의 위치에 표시된다. 도 8b는 주 메뉴 아이템 블록 단위로 주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설정된 실시예에 해당하며, 현재 표시된 네 개의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이 표시부(144)에서 제거되고, 새로운 부 메뉴 아이템들('블루투스', '화면', '소리', '무선 인터넷')이 도 2a의 주 메뉴 아이템들(10a 내지 10d)에 위치하여 표시된다.
제어부(160)는 345단계에서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355단계에서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과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판단하는 기준 및 오차 범위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입력된 드래그 동작이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 또는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판단하는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하 방향의 드래그 동작인지 좌우 방향의 드래그 동작인지 결정할 수 있다.
320단계에서 제어부(160)가 터치 센서(142)를 제어하여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335단계에서 터치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드래그 동작의 입력 없이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60)는 터치가 입력된 부 메뉴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가 입력된 부 메뉴 아이템의 메뉴가 하위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상기 하위 메뉴를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4)를 제 어하여 전체 화면을 전환시켜 하위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현재 표시된 메뉴 화면을 유지하면서 하위 메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뉴 화면은 복수 개의 주 메뉴들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주 메뉴들은 복수 개의 부 메뉴들을 포함하고, 주 메뉴들과 부 메뉴들은 배열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 메뉴들이 배열된 방향과 부 메뉴들이 배열된 방향이 따라 드래그 동작을 입력하여 원하는 주 메뉴와 부 메뉴를 탐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305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4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 또는 키 입력부(150)를 제어하여 메뉴 화면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메뉴 화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410단계에서 메뉴 배열 방향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배열 방향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은 주 메뉴 아이템이 배열되는 방향만의 선택을 요구하도록 구성되거나, 주 메뉴 아이템이 배열되는 방향의 선택과 부 메뉴 아이템이 배열되는 방향의 선택을 함께 요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주 메뉴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들 중 최하위 메뉴를 제외한 최상위 메뉴 및 중간 레벨의 메뉴가 될 수 있으며, 부 메뉴는 주 메뉴의 하위 메뉴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주 메뉴들의 사용 빈도수를 측정하고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주 메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메뉴 배열 방향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415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매뉴 배열 방향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 메뉴 아이템이 배열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주 메뉴 아이템의 배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설정하고, 부 메뉴 아이템의 배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정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420단계에서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한 번의 드래그 동작에 대한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은 주 메뉴 아이템과 부 메뉴 아이템에 대해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 메뉴 아이템에 있어서 한 번의 드래그 동작에 대한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는 1개에서부터 메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주 메뉴 아이템의 개수까지 선택될 수 있다. 부 메뉴 아이템에 있어서도 이동 단위는 1개에서부터 1개의 주 메뉴 아이템을 구성하는 부 메뉴 아이템의 개수까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를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425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를 설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설정 완료를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 설정 과정을 완료하고 도 3의 310단계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305단계의 다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5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 또는 키 입력부(150)를 제어하여 메뉴 화면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메뉴 화면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510단계에서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 목록을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 목록은 최하위 메뉴를 제외한 최상위 메뉴 및 중간 레벨의 메뉴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메뉴 목록을 표시한 표시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에 있어서 '소리', '화면', '부가 기능'은 최상위 레벨 메뉴에 해당하며, '벨소리 선택', '배경화면 꾸미기', '조명 설정', ' 카메라', '블루투스', 'MP3'는 중간 레벨의 메뉴에 해당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센서(142) 또는 키 입력부(150)를 제어하여 표시된 메뉴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515단계에서 선택된 메뉴를 주 메뉴로 설정하고, 주 메뉴의 하위 메뉴를 부 메뉴로 설정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520단계에서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메뉴 배열 방향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520단계 내지 540단계는 도 4의 410단계 내지 430단계와 동일한 과정에 해당한다. 즉, 사용자가 메뉴 배열 방향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매뉴 배열 방향을 설정하고, 이어서 표시부(144)를 제어하여 드래그 입력 시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의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드래그 입력 시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를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메뉴 아이템의 이동 단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설정 완료를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메뉴 화면 설정 과정을 완료하고 도 3의 310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305단계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305단계의 다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화면 설정 과정에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에서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7a 및 도 7b는 상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경우, 전환되어 표시된 메뉴 화면에 해당한다.
도 8a 및 도 8b는 좌 방향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된 경우, 전환되어 표시된 메뉴 화면에 해당한다.

Claims (14)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 메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 메뉴들을 포함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부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주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부 메뉴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주 메뉴들을 상기 제2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방향으로 배열된 주 메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 메뉴 블록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복수의 부 메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고 이전 또는 다음 순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복수의 주 메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고 이전 또는 다음 순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를 주 메뉴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주 메뉴의 하위 메뉴를 부 메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 메뉴가 배열되는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한 번의 드래그 동작 입력에 대한 메뉴 이동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메뉴 이동 단위에 따라 상기 주 메뉴 또는 부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부 메뉴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은 부 메뉴가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부 메뉴를 포함하는 주 메뉴의 명칭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주 메뉴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 메뉴들 중 사용 빈도수가 높은 설정된 개수의 부 메뉴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13.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복수의 부 메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 메뉴들을 포함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터치 센서를 제어하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부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주 메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부 메뉴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주 메뉴들을 상기 제2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KR1020090053324A 2009-06-16 2009-06-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Ceased KR20100134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24A KR20100134948A (ko) 2009-06-16 2009-06-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US12/802,905 US20100318905A1 (en) 2009-06-16 2010-06-16 Method for displaying menu screen in electronic devicing hav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24A KR20100134948A (ko) 2009-06-16 2009-06-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48A true KR20100134948A (ko) 2010-12-24

Family

ID=4330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324A Ceased KR20100134948A (ko) 2009-06-16 2009-06-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318905A1 (ko)
KR (1) KR201001349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86A1 (ko) * 2011-11-24 2013-05-30 Kim Si-Han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807B1 (ko) * 2013-01-25 2013-12-10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7691A4 (en) 2010-01-20 2013-09-11 Nokia Corp USER INPUT
EP3518094A1 (en) * 2010-04-26 2019-07-31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516882B2 (ja) * 2010-07-29 2014-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端末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928562B2 (en) 2012-01-20 2018-03-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mode and input type recognition
JP5962085B2 (ja) 2012-03-15 2016-08-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310619B (zh) 2012-05-18 2021-06-04 苹果公司 用于操纵用户界面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20140033672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40189584A1 (en) * 2012-12-27 2014-07-03 Compal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256385B2 (en) 2013-09-19 2022-02-22 Micro Focus Llc Application menu modification recommendations
JP5937278B1 (ja) * 2014-09-04 2016-06-22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機能を有する装置
US10048856B2 (en) 2014-12-30 2018-08-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n experience mode transition
CN105867735B (zh) * 2016-03-29 2019-10-15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排序显示的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20180004385A1 (en) * 2016-06-30 2018-01-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oftware defined icon interactions with multiple and expandable layers
US11409410B2 (en) 2020-09-14 2022-08-09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CN114356177B (zh) * 2021-12-31 2024-12-17 上海洛轲智能科技有限公司 车载系统菜单栏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469A2 (en) * 1994-05-13 1995-11-30 Apple Computer, Inc. Unified hierarchical and tear-off menus in a graphical, event-driven computer system
WO1996009579A1 (en) * 1994-09-22 1996-03-28 Izak Van Cruyningen Popup menus with directional gestures
US6084585A (en) * 1998-07-29 2000-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directly accessing fields on electronic forms
TW509845B (en) * 1997-12-13 2002-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system with jog dial function and the user interface scheme thereof
SE514282C2 (sv) * 1999-04-22 2001-02-05 Nokia Multimedia Terminals Oy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rullbar krysspunktnavigering i ett användargränssnitt
US6292188B1 (en) * 1999-07-28 2001-09-18 Alltrue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in a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US7137073B2 (en) * 1999-12-18 2006-1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menu function in mobile station
KR100460105B1 (ko) * 2000-02-22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JP2001245025A (ja) * 2000-02-29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におけるメール読取り方法及び該メール読取り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US6690391B1 (en) * 2000-07-13 2004-02-10 Sony Corporatio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US6753892B2 (en) * 2000-11-29 2004-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esenting items in a menu
JP2002175139A (ja) * 2000-12-07 200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246329B1 (en) * 2001-05-18 2007-07-17 Autodesk, Inc. Multiple menus for us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US6944829B2 (en) * 2001-09-25 2005-09-13 Wind River Systems, Inc. Configurable user-interface component management system
JP4096541B2 (ja) * 2001-10-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US7606819B2 (en) * 2001-10-15 2009-10-20 Maya-Systems Inc. Multi-dimensional locating system and method
US6910191B2 (en) * 2001-11-02 2005-06-21 Nokia Corporation Program guide data selection device
US8250483B2 (en) * 2002-02-28 2012-08-21 Smiths Medical Asd, Inc. Programmable medical infusion pump displaying a banner
US7127685B2 (en) * 2002-04-30 2006-10-24 America Online, Inc. Instant messaging interface having a tear-off element
US7100122B2 (en) * 2002-06-27 2006-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miting unsolicited browser windows
WO2004073284A2 (en) * 2003-02-06 2004-08-26 Flextronics Sales & Marketing (A-P) Ltd.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US7386279B2 (en) * 2003-04-02 2008-06-10 Sun Microsystems, Inc. Context based main screen for mobile device
US7661075B2 (en) * 2003-05-21 2010-02-09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for set-top box device
GB2418509A (en) * 2003-06-03 2006-03-29 Forbes Holton Norris Iii Flexible, dynamic menu-based web-page architecture
US7164410B2 (en) * 2003-07-28 2007-01-16 Sig G. Kupka Manipulating an on-screen object using zones surrounding the object
JP4254950B2 (ja) *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US7634742B2 (en) * 2004-04-07 2009-12-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buttons and toolbars
US7681141B2 (en) * 2004-05-11 2010-03-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Fast scroll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853895B2 (en) * 2004-05-11 2010-12-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 of background media when foreground graphical user interface is invoked
EP1769324B1 (en) * 2004-05-12 2022-09-07 BlackBerry Limited Navigation of an n-dimensional hierarchical structure using a 2-dimensional controller
US8965457B2 (en) * 2004-08-09 2015-02-2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said display
US7552401B2 (en) * 2004-08-13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achable and reattachable portal pages
US7895531B2 (en) * 2004-08-16 2011-02-22 Microsoft Corporation Floating command object
JP4145868B2 (ja) * 2004-12-03 2008-09-0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20060123359A1 (en) * 2004-12-03 2006-06-08 Schatzberger Richard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user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US20060286534A1 (en) * 2005-06-07 2006-12-21 Itt Industries, Inc. Enhanced computer-based training program/content editing portal
US7761808B2 (en) * 2005-06-29 2010-07-20 Nokia Corporation Soft keys of the active idle plug-ins of a mobile terminal
EP1748630B1 (en) * 2005-07-30 2013-07-2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122516A (ja) * 2005-10-28 2007-05-17 Sony Corp 携帯情報端末
US8549442B2 (en) * 2005-12-12 2013-10-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Voice and video control of interactive electronically simulated environment
US7596761B2 (en) * 2006-01-05 2009-09-29 Apple Inc. Application user interface with navigation bar showing current and prior application contexts
JP4177873B2 (ja) * 2006-03-13 2008-11-0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TWI328185B (en) * 2006-04-19 2010-08-01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n
US20090213086A1 (en) * 2006-04-19 2009-08-27 Ji Suk Chae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144804B1 (ko) * 2006-07-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US8310446B1 (en) * 2006-08-25 2012-11-13 Rockwell Collins, Inc. System for integrated coarse and fine graphical object positioning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KR20080046511A (ko) * 2006-11-22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교차형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351989B2 (en) * 2007-02-23 2013-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899991B2 (ja) * 2007-03-30 2012-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290553A (zh) * 2007-04-17 2008-10-22 索尼(中国)有限公司 具有显示屏的电子设备
KR101424670B1 (ko) * 2007-05-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1415296B1 (ko) * 2007-05-29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US8091041B2 (en) * 2007-10-05 2012-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grouped toolbar icons
JP5147352B2 (ja) * 2007-10-16 2013-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処理装置の情報提供方法
KR100900295B1 (ko) *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101526965B1 (ko) * 2008-02-29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235201A1 (en) * 2008-03-11 2009-09-17 Aaron Baalbergen Methods for controlling display of on-screen menus
US9274681B2 (en) * 2008-03-26 2016-03-0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200945165A (en) * 2008-04-22 2009-11-01 Ht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1461954B1 (ko) *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I356340B (en) * 2008-07-01 2012-01-11 Compal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map-based menu interface
JP2010039772A (ja) * 2008-08-05 2010-02-18 Sharp Corp 入力操作装置
CN101655764A (zh) * 2008-08-19 2010-02-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简化界面操作的系统及方法
US20100070931A1 (en) * 2008-09-15 2010-03-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object
JP5228755B2 (ja) * 2008-09-29 2013-07-0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230341B2 (en) * 2008-11-26 2012-07-24 Eyecon Ip Holding Unified media devices controlling using pre-defined functional interfaces
EP2237140B1 (en) * 2009-03-31 2018-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601389B2 (en) * 2009-04-30 2013-12-03 Apple Inc. Scrollable menus and toolbars
KR101387270B1 (ko) * 2009-07-14 2014-04-18 주식회사 팬택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EP2336867B1 (fr) * 2009-12-21 2019-06-26 Orange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l'affichage sur un dispositif d'affichage d'une pluralité d'éléments d'une liste
US8756522B2 (en) * 2010-03-19 2014-06-1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86A1 (ko) * 2011-11-24 2013-05-30 Kim Si-Han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807B1 (ko) * 2013-01-25 2013-12-10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제어방법
WO2014115975A1 (ko) * 2013-01-25 2014-07-31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18905A1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RU2604990C2 (ru) Способ действия терминала на основе множественных вводов 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его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N102549931B (zh) 列表编辑方法以及适用该方法的移动设备
US9569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16296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P2177978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virtual keypad
JP6037566B2 (ja) タッチロック状態を有する端末機及びこれの運用方法
KR101662726B1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RU2666236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лок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рминал,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JP5777645B2 (ja) 携帯端末機の文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携帯端末機
KR20100078295A (ko)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92826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45138A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2013541776A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制御方法
JP2012505567A (ja) 開いているウインドウのライブプレビュー
KR20100086788A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CN104750400A (zh) 终端界面的优化操作方法和装置
KR20100097376A (ko)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JP6102474B2 (ja) 表示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30111405A1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