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4673U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673U
KR20110004673U KR2020090014337U KR20090014337U KR20110004673U KR 20110004673 U KR20110004673 U KR 20110004673U KR 2020090014337 U KR2020090014337 U KR 2020090014337U KR 20090014337 U KR20090014337 U KR 20090014337U KR 20110004673 U KR20110004673 U KR 20110004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othes
clamping member
support
shou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2020090014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673U/ko
Priority to PCT/KR2010/007674 priority patent/WO2011055959A2/ko
Publication of KR20110004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673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2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volving details of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3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을 걸어두기 위한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상의의 양 어깨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제1어깨받침부와 상기 제1어깨받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어깨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옷받침체와, 옷걸이봉에 걸릴 수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옷받침체의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의 연결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갈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옷받침체걸이부를 구비한 걸이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옷걸이, 옷받침체, 걸이체, 링, 걸림구멍, 집게

Description

옷걸이 { Clothes hanger }
본 고안은 옷을 걸어두기 위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옷을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옷걸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옷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종래의 옷걸이(1)는 걸이체(10)와 옷받침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이체(10)는 옷장의 옷걸이봉 등에 걸릴 수 있도록, 일측이 트여진 갈고리의 형태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옷받침체(20)는 걸이체(10)에 하측에 결합되며, 상의(上衣) 등이 걸리게 된다. 옷받침체(20)에 상의가 걸릴 때, 옷받침체(20)는 상의의 양 어깨부를 받쳐준다. 옷받침체(20)가 상의의 양 어깨부를 받쳐줄 때, 걸이체(10)가 상의의 목부분으로 빠져나와 옷걸이봉 등에 걸리게 된다. 종래의 옷걸이(1)에 있어서, 옷받침체(20)는 걸이체(10)에 분리 및 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형태로 결합된다. 특히, 종래의 옷걸이(1)는 옷받침체(20)와 걸이체(10)가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옷걸이(1)에 상의를 걸어두기 위해서는 옷받침체(20)를 상의의 안쪽으로 집 어넣고, 걸이체(10)를 상의의 목부분으로 빼내 주어야 한다. 이때, 상의의 앞쪽에 지퍼 또는 단추가 있는 경우, 옷받침체(20)를 상의의 안쪽으로 집어넣어 주기 위해서 지퍼를 열어주거나 또는 단추를 일일이 풀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티셔츠와 같이 앞쪽이 열리지 않는 상의의 경우, 옷받침체(20)를 상의의 안쪽으로 넣어주기 위해서, 상의의 목부분을 통하여 옷걸이(1)를 집어 넣어주거나, 상의의 아래쪽으로 옷걸이를 집어넣어 주어야 한다.
목부분을 통해서 옷걸이를 집어넣을 경우, 걸이체(10)가 목부분에 걸려서 옷받침체(20)가 상의의 안쪽으로 잘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옷걸이(1)를 상의의 안쪽으로 무리하게 집어넣는 과정에서 상의의 목부분이 늘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의의 아래로 옷걸이를 집어 넣어줄 경우, 상의의 안쪽에서 옷걸이의 위치를 잡아주어야 하므로, 옷걸이(1)의 걸이체(10)가 상의의 목부분으로 빠져나오도록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의의 목부분 등으로 용이하게 옷받침체를 넣을 수 있고, 옷받침체를 목부분으로 넣을 때, 상의의 목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해주는 옷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옷을 걸어두기 위한 옷걸이에 있어서, 상의의 양 어깨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제1어깨받침부와 상기 제1어깨받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어깨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옷받침체와, 옷걸이봉에 걸릴 수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옷받침체의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의 연결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갈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옷받침체걸이부를 구비한 걸이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에 따르면, 상의의 목부분 등으로 용이하게 옷받침체를 넣을 수 있다. 또한 상의의 목부분으로 옷받침체를 집어넣을 때, 상의의 목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옷걸이에 옷이 걸려있지 않을 때, 옷받침체가 보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 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옷받침체가 상의의 목부분으로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2의 옷받침체가 상의의 팔부분으로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2의 옷걸이가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는 옷받침체(200) 및 걸이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옷받침체(200)는 제1어깨받침부(210) 및 제2어깨받침부(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어깨받침부(210)와 제2어깨받침부(220)는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은 옷받침체(200)가 상의(T)의 안쪽에 넣어졌을 때, 상의의 양 어깨부를 받쳐준다. 제1어깨받침부(210)와 제2어깨받침부(220)가 연결되는 연결부분(230)의 하측에는 걸림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어깨받침부(210)와 제2어깨받침부(220)의 각 단부에는 걸림구멍(212,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체(100)는 옷받침체와는 별도로 마련되며, 고리부(110)와 옷받침체걸이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고리부(110)는 옷장의 옷걸이봉(B) 등에 걸릴 수 있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의 옷걸이(2)는 고리부(110)가 링(ring)형상으로 형성되어, 옷장의 옷걸이봉(B)에 끼워져 걸린다.
상기 옷받침체걸이부(120)는 고리부(110)의 하측에 연결되며, 옷받침체(200)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의 연결부분(230)이 걸릴 수 있도록, 단부가 상 측으로 굽어져 있는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옷받침체걸이부(120)는 옷받침체(200)의 걸림홈(232)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옷받침체(200)가 걸이체(100)에 걸리 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의 사용방법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옷걸이(2)의 옷받침체(200)를 상의(T)의 목부분으로 넣어준다. 본 실시예의 옷걸이(2)는 옷받침체(200)가 걸이체(100)와 분리되어 상의(T)의 목부분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걸이체(100)가 상의(T)의 목부분에 걸리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이하게 옷받침체(200)를 상의(T)의 안쪽으로 넣을 수 있다. 또한, 상의(T)의 목부분을 많이 벌리지 않고도 옷받침체(200)를 상의(T)의 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으므로, 상의(T)의 목부분이 늘어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옷걸이(2)의 옷받침체(2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T)의 팔부분을 통해서도 상의(T)의 안쪽으로 넣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옷받침체(200)는 걸이체(100)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걸이체(100)가 상의(T)의 팔부분에 걸리게 되는 불편함 없이 옷받침체(200)를 상의(T)의 안쪽으로 넣을 수 있다.
옷받침체(200)가 상의(T)의 안쪽에 넣어지면, 옷받침체(200)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가 상의(T)의 양 어깨부를 받쳐주도록, 옷받침체(200)의 위치를 잡아준다. 이때,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가 연결되는 연결부분(230)과 그 연결부분(230)에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32)이 상의(T)의 목부분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옷받침체(200)의 걸림홈(232)이 상의(T)의 목부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면, 옷받침체(200)의 걸림홈(232)이 걸이체(100)의 옷받침체걸이부(120)에 끼워져 걸리도록 함으로써, 옷받침체(200)가 걸이체(100)에 걸리도록 한다. 옷받침체(200)의 걸림홈(232)에 걸이체(100)의 옷받침체걸이부(120)가 끼워져 걸리므로, 옷받침체(200)는 걸이체(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옷받침체(200)에 상의(T)가 걸리면, 옷받침체(200)와 상의(T)의 무게중심은 옷받침체(200)가 걸이체(100)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점, 즉, 걸림홈(232)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므로, 옷받침체(200)는 걸이체(100)에 안정적으로 걸려있게 된다.
옷받침체(200)에 옷이 걸려있지 않을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받침체(200)의 걸림구멍(212,222) 중 하나에 걸이체(100)의 옷받침체걸이부(120)가 끼워지는 형태로, 옷받침체(200)를 걸이체(100)에 걸어둘 수 있다. 옷받침체(200)의 걸림구멍(212,222)에 걸이체(100)의 옷받침체걸이부(120)가 끼워진 형태로, 옷받침체(200)를 걸이체(100)에 걸어두면, 옷받침체(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걸이체(100)에 걸어둘 수 있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옷걸이(2)에는 옷이 걸려있고, 다른 일부의 옷걸이(2)에는 옷이 걸려있지 않을 경우, 옷이 걸려있지 않은 옷걸이(2)는 옷받침체(200)의 걸림구멍(212,222)에 의해서, 옷받침체(200)가 걸이체(100)에 걸려있는 형태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옷걸이(2)의 고리부(1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옷걸이봉(B)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고리부(110)가 옷걸이봉(B)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걸이체(100)가 옷걸이봉(B)에서 이탈되어 분실될 염려가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의 옷걸이에 바지가 걸리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3)는 옷받침체(200), 걸이체(100) 및 집게(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옷받침체(200) 및 걸이체(100)는 제1실시예의 옷걸이(2)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집게(300)는 옷받침체(200)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집게는(300)는 제1클램핑부재(310), 제2클램핑부재(320) 및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클램핑부재(310)와 제2클램핑부재(320)는 서로 대면되게 배치되며, 제2클램핑부재(320)는 그 일측(322)이 제1클램핑부재(310)에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는 일측이 제1클램핑부재(3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클램핑부재(320)에 결합되며, 아래쪽으로 트여진 형태의 판스프링(330)으로 이루어져 있다. 판스프링(330)은 제2클램핑부재(320)의 상기 일측(322)이 제1클램핑부재(3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제1클램핑부재(310)와 제2클램핑부재(320)의 상기 일측(322) 사이에 옷이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집게(300)는 옷받침체(200)를 제1클램핑부재(310)와 제2클램핑부재(320) 사이에 두도록, 옷받침체(200)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에 각각 하나씩 끼워지는 형태로 옷받침체(200)에 설치된다. 각 집게(300)가 옷받침체(200) 에 끼워져 설치될 때, 제2클램핑부재(320)의 상기 일측(322)은 옷받침체(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집게(300)는 옷받침체(200)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용이하게 옷받침체(200)에 착탈될 수 있다.
집게(300)가 옷받침체(200)에 끼워져 설치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램핑부재(310)와 제2클램핑부재(320)의 상기 일측(322)사이에 바지(T) 등과 같은 옷을 클램핑시켜 둘 수 있다. 즉, 바지(T) 등과 같은 옷을 옷받침체(200)의 하측에 매달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옷받침체(200)의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집게(300)에 옷이 클램핑될 경우, 집게(300)는 그 자중 및 옷의 무게에 의해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집게(300)는 옷을 클램핑하는 동시에 옷을 펴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4)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9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옷걸이(4)는 걸이체(105) 및 옷받침체(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이체(105)의 일측에는 옷걸이봉에 걸릴 수 있는 고리부(115)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옷받침체(200)가 걸릴 수 있는 옷받침체걸이부(125)가 마련된다.
상기 고리부(115)는 일측이 트여진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걸이체(105)가 쉽게 옷걸이봉(B)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옷걸이(4)의 옷받침체(200)는 상의의 어깨부를 고르게 받쳐줄 수 있도록,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어깨받침부(210) 및 제2어깨받침부(220)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옷걸이(4)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옷걸이(2,3)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의 단부에 걸림구멍(212,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210,220)의 연결부분(230)의 하측에는 걸림홈(23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옷걸이(4)는 걸이체(105)의 고리부(115)의 형상 및 옷받침체(200)의 형상에 차이가 있으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3,4)의 경우, 옷걸이봉(B)에 걸이체(100,105)가 걸리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걸이체(100,105)는 빨래줄, 건조대 등과 같이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곳이면, 얼마든지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3,4)의 경우, 걸림구멍(212,222)이 제1어깨받침부(210) 및 제2어깨받침부(220)에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걸림구멍은 제1어깨받침부(21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3,4)의 경우, 옷받침체(200)에 걸림홈(2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옷받침체(200)에 걸림홈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옷받침체(200)의 상기 연결부분(230)은 걸이체(100)에 걸릴 수 있으므로, 옷받침체(200)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옷걸이(3)의 경우, 집게(30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집게는 옷걸이(3)의 옷받침체의 하측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옷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옷걸이에 옷이 걸려있지 않을 때, 옷받침체가 보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옷받침체가 상의의 목부분으로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도2의 옷받침체가 상의의 팔부분으로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2의 옷걸이가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옷걸이에 바지가 걸리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종래의 옷걸이 2,3,4 ...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
100,105 ... 걸이체 110,115 ... 고리부
120,125 ... 옷받침체걸이부 200 ... 옷받침체
210 ... 제1어깨받침부 220 ... 제2어깨받침부
212,222 ... 걸림구멍 230 ... 제1 및 제2어깨받침부 연결부분
232 ... 걸림홈 300 ... 집게

Claims (7)

  1. 옷을 걸어두기 위한 옷걸이에 있어서,
    상의의 양 어깨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제1어깨받침부와 상기 제1어깨받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어깨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옷받침체와,
    옷걸이봉에 걸릴 수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옷받침체의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의 연결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갈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옷받침체걸이부를 구비한 걸이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받침부에는:
    상기 걸이체의 상기 옷받침체걸이부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받침체에는:
    상기 걸이체의 옷받침체걸이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의 연결부분의 하측에 결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옷걸이봉에 끼워져 걸리도록, 환형링(ring)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받침체에 옷을 클램핑하여 매달아 둘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어깨받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상기 옷받침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제1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클램핑부재에 일측이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클램핑부재와 상기 제2클램핑부재의 상기 일측 사이에 옷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클램핑부재의 상기 일측이 상기 제1클램핑부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클램핑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클램핑부재의 상기 일측이 옷받침체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옷받침체를 제1 및 제2클램핑부재 사이에 두고 상기 옷받침체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2020090014337U 2009-11-04 2009-11-04 옷걸이 Ceased KR2011000467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337U KR20110004673U (ko) 2009-11-04 2009-11-04 옷걸이
PCT/KR2010/007674 WO2011055959A2 (ko) 2009-11-04 2010-11-02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337U KR20110004673U (ko) 2009-11-04 2009-11-04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73U true KR20110004673U (ko) 2011-05-12

Family

ID=4397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337U Ceased KR20110004673U (ko) 2009-11-04 2009-11-04 옷걸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04673U (ko)
WO (1) WO201105595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5050A1 (en) * 2013-03-22 2016-02-18 Brompton Washscape Ltd Clothes hang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105A (zh) * 2012-12-08 2013-03-20 刘嘉驹 一种防风晾衣架
GB2552562B (en) * 2017-02-17 2018-10-24 The Janger Ltd A hangable garment hoo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70U (ja) * 1992-08-13 1994-03-08 智彦 吉田 引っ掛け部分と本体を分けたハンガー
JPH0626796U (ja) * 1992-09-17 1994-04-12 株式会社朝倉スーパーピンチ ハンガー
JP2003071193A (ja) * 2001-09-06 2003-03-11 Shuichi Kitamura タオル又はオムツ用ハンガー及びタオル又はオムツの取り付け方法。
KR20090080726A (ko) * 2008-01-22 2009-07-27 김재천 다기능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5050A1 (en) * 2013-03-22 2016-02-18 Brompton Washscape Ltd Clothes 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5959A2 (ko) 2011-05-12
WO2011055959A3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867A (en) Garment hanger
US20160157650A1 (en) Laundry Basket Hanger
US20230148777A1 (en) Clothing Hanger Storage System
KR20110004673U (ko) 옷걸이
KR200445082Y1 (ko) 다용도 옷걸이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KR101848305B1 (ko) 어깨부분 변형 방지 옷걸이
CN209807946U (zh) 一种晾衣架
KR20120009286A (ko) 바지 걸이용 옷걸이
KR101227054B1 (ko) 사용이 편리한 옷걸이
KR102238995B1 (ko) 옷걸이
JP3165963U (ja) 衣料用ハンガー
US10595655B2 (en) Multi-hook hangers for steaming fabrics
KR20110059361A (ko) 개폐형 바지걸이 겸용 다용도 옷걸이
JP4796759B2 (ja) 衣服用ハンガー
JP6046791B1 (ja) ハンガー
US10683603B1 (en) Clothes drying system
JP2009247783A (ja) 衣服ハンガー
US2286382A (en) Garment hanger
CA1272990A (en) Garment hanger
JP3131174U (ja) ハンガー
JP4708165B2 (ja) ベルト通し付き衣服用ハンガー
KR200413488Y1 (ko) 신개념 상의 바지걸이
JP2004230121A (ja) 横向きクリップ付き衣料用ハンガー
KR20250115811A (ko) 상,하의를 수월히 거치할 수 있는 실리콘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1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1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0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