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579A - Content recept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 Google Patents
Content recept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0579A KR20110020579A KR1020090078263A KR20090078263A KR20110020579A KR 20110020579 A KR20110020579 A KR 20110020579A KR 1020090078263 A KR1020090078263 A KR 1020090078263A KR 20090078263 A KR20090078263 A KR 20090078263A KR 20110020579 A KR20110020579 A KR 201100205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content
- information
- external device
- 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3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bjects detected or recognised in the video content
- G06F16/78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bjects detected or recognised in the video content the detected or recognised objects being peopl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 수신 방법, 컨텐츠 송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컨텐츠 수신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A content receiving method, a content transmitting method, and a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 receiving method, the user'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eive the desired content from the other person using the multimedia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수신 방법, 컨텐츠 송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컨텐츠 송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eiving method, a content transmitting method, and a multimedia device apply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eiving method for receiving content related to a user from an external device, a content transmitting method, and a multimedia device applying the same.
최근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급격하게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한 후 바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 데이터를 컴퓨터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편리성에 의해 많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digital cameras for storing pictures taken in the form of digital data are rapidly spreading. Digital cameras have been used by many users because of their convenience, as well as being able to check immediately after taking a picture, and store the picture data in the form of a computer file.
또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은 다른 사람들에게 사진 파일을 복사해주거나 이메일을 통해 전송해주는 방법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photos taken with digital cameras can be shared with various people by copying photo files to others or sending them via e-mail.
하지만, 다른 사람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파일을 수신받기 위해, 사용자는 다른 사람의 디지털 카메라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컴퓨터로 촬영된 사진 파일들을 복사하는 방식을 이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다른 사람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을 받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receive a picture file taken by another person's digital camera, the user must connect another person's digital camera to a computer and copy the picture files taken by the computer. As such,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hrough a very complicated procedure in order to receive a picture taken by another person's digital camera.
또한, 사용자는 여러 사진 중에 자신이 찍힌 사진을 찾기 위해, 현재 저장된 사진들을 일일이 확인해봐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찍힌 사진을 찾기 위해, 저장된 사진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복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ust check the currently stored pictures in order to find a picture taken among the pictures. Therefore, in order to find a picture taken by the user, it is inconvenient to check a list of stored pictures and select and download or copy a desired picture.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더욱 쉽게 얻을 수 있기를 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수신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The user wants to be able to obtain the desired content more easily.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easily receiving a desired content from another user by using a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receiving method for transmitting the user's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and receiv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lied multimedi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며, 검색된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transmission method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retriev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Is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컨텐츠 수신 방법은,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eiving a content of a multimedia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And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일 수도 있다.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may be photo content or video content including the user's face.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ID,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의 사진, 및 얼굴 특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 ID, a user name, a 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a picture of the user, and facial feature data.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일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as a user of the multimedia apparatu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컨텐츠 송신 방법은,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of a multimedia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Searching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외부 기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The searching may include searching for photo content or video content including the face of the external device user by referring to the user information.
또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사용자의 얼굴사진에서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특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 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earching may include: searching a face picture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 an address book; Extracting facial feature data of the user from the retrieved face photograph of the user; And searching for photo content or video content including the face of the user based on the face feature data.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들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Transmitting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content transmission step may transmit content selected by the received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from among contents included in the list to the external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device for receiving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일 수도 있다.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formation may be photo content or video content including the user's face.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ID,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의 사진, 및 얼굴 특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 ID, a user name, a 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a picture of the user, and facial feature data.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일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as a user of the multimedia apparatu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컨텐츠가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to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so as to communicat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f a user from the external device, search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control the searched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외부 기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photo content or video content including a face of the external device user by referring to the us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주소록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의 얼굴사진에서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얼굴 특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a face pictur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 an address book, extract the face feature data of the user from the searched face picture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face feature data. The included photo content or video content may be searched fo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들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generates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list to the external device, receives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selects the received content from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list. Contents selected by the information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ntent receiving method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and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applying the same may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receive the desired content from others using the multimedia device.
특히, 멀티미디어 기기가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들을 일괄적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 다. In particular, since the multimedia device receives the content by transmitting the user's information, the user can collectively download the pictures including their fa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렌즈부(110), 촬상소자(120), 영상처리부(130), 제어부(140), 조작부(150), 영상출력부(160), 디스플레이(170), 코덱(180), 저장부(190) 및 통신부(195)를 구비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렌즈부(110)는 피사체의 빛을 모아서 촬상영역에 광학상이 맺히게 한다. The
촬상소자(12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전기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상소자(120)는 화소 및 AD 컨버터를 구비한다. 각 화소는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며, AD 컨버터는 이를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영상처리부(130)는 촬상소자(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 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코덱(180)으로 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The
구체적으로, 영상처리부(130)는 촬상소자(12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포맷변환과 영상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등을 수행한다. In detail, the
또한, 영상 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구 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30)는 얼굴 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과정과 얼굴의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얼굴을 검출하는 과정은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얼굴의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은 다른 얼굴들과 구분하기 위해 얼굴의 특징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In addition, the
얼굴 검출 과정은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 에지 기반 눈영역 검출, 얼굴영역 정규화 및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얼굴 영역 검증을 거쳐 이루어진다. The face detection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color-based face region detection, edge-based eye region detection, face region normalization, and SVM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face region verification.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은 얼굴의 피부색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은 입력된 영상의 YCbCr 정보를 이용하여 살색 필터를 생성하여 얼굴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즉,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은 입력된 영상에서 살색 부분만 추출하는 과정이다. Color-based face region detection is a process of detecting a face in an input image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of the face. In detail, the color-based face region detection generates a flesh color filter using YCbCr information of the input image to extract the face region. That is, color-based face region detection is a process of extracting only the skin part from the input image.
그 다음, 에지기반 눈 영역 검출은 명암 정보를 이용하여 눈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경우 쉽게 눈 영역의 분리가 가능하지만,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여성이나 안경 등에 의해 오류가 발생될 여지가 발생한다. Next, edge-based eye region detection is a process of detecting eye regions using contrast information. In general, the eye area can be easily separate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rror may occur due to various hairstyles of women or glasses.
그 후에, 검출된 눈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정규화하게 된다. 그리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얼굴영역을 검증하게 된다. SVM 얼굴 영역 검증기를 이용할 경우 잘못된 얼굴 영역의 검출 가능성이 1% 미만으로 감소된다. Thereafter, the detected eyes are used to normalize the face area. Then, the normalized face region is verified by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Using the SVM face area verifier reduces the likelihood of detecting false face areas to less than 1%.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영상 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검 출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한편, 얼굴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은 크게 전체적인(Holistic) 접근방법 및 분석적인(Analytic) 접근방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facial feature data is largely a holistic approach and an analytic approach.
전체적인 접근방법은 얼굴 패턴의 전체 영역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고유 얼굴(Eigenface) 방식, 형판 정합 기반(Template Matching-based) 방식 등이 있다. The overall approach is to recognize the fa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area of the face pattern. Such methods include an eigenface method, a template matching-based method, and the like.
분석적인 접근방법은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분석적인 접근방법은 빠른 인식속도와 적은 메모리를 요구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얼굴의 특징을 선택하고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The analytical approach is to extract facial features to recognize faces. The analytical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requiring fast recognition speed and low memory, but it is difficult to select and extract facial features.
얼굴 특징 데이터의 인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영상 처리부(130)는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30)는 얼굴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눈, 코, 입 등)를 추출한다. 그 다음, 영상 처리부(130)는 얼굴이 회전된 경우 및 조명이 비춰지는 경우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영상 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영상 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Recognition of facial feature data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steps. The
결국, 영상 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의 전반적인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얼굴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영상 처리부(130)는 얼굴 인식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또한, 영상 처리부(13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을 코덱(180)을 통해 수신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컨텐츠의 영상을 영상 출력부(16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영상 출력부(160)는 영상처리부(13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내부 디스플레이(170) 또는 외부 출력 단자로 출력한다.The
디스플레이(170)는 촬영된 영상 또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The
코덱(180)은 영상처리부(130)에서 수신한 영상신호를 인코딩한다. 그리고, 코덱(130)은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저장부(190)로 전송한다. 또한, 코덱(180)은 저장부(19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코덱(180)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0)로 전송한다.The codec 180 encodes an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즉, 코덱(180)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인코딩을 하고, 저장된 컨텐츠 영상을 영상처리부(130)로 출력하는 경우 디코딩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codec 180 encodes when storing the captured image, and decodes when outputting the stored content image to the
저장부(19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90)는 사진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및 문서 컨텐츠 등을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들은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의해 직접 촬영된 컨텐츠일 수도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일 수도 있다. The
또한, 저장부(190)는 촬상소자(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압축된 형태로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주소록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소록은 사용자가 원하는 인물들에 대한 연락처를 기록해놓은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한다. 주소록은 인물들의 이름,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주소록은 각 인물들에 대응되는 사진이 함께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부(190)는 기기 정보와 기기 사용자 정보를 서로 대응시킨 상태로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기기 정보는 기기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기 정보는 기기 ID, IP 주소, MAC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의 사진, 얼굴 특징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저장부(190)는 플레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DVD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조작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받는다. 조작부(15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표면에 버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70) 상에서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통신부(195)는 인터넷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통신부(195)는 유선랜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기기에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e
또한, 통신부(195)는 외부 기기들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컨텐츠 수신단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및 기기 정보가 외부기기로 전송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기기 정보는 기기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기 정보는 기기 ID, IP 주소, MAC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의 사진, 얼굴 특징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리스트가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The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운로드 대상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컨텐츠 선택 정보와 함께 다운로드 요청을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컨텐츠 선택 정보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컨텐츠 선택 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제목, 고유번호 등이 포함된 정보이다. The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택된 컨텐츠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The
한편,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송신단으로써 기능을 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기기 정보의 기기 ID 및 시리얼 넘버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종류 및 특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기기 정보의 IP 주소 및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에 관련된 설정을 하게 된다. The
그리고, 제어부(14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서 외부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수신된 외부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 추출한다. The
얼굴 특징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과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도 있다. 또한, 얼굴 특징 데이터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으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의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사용자가 저장부(190)에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주소록에 외부 기기의 사용자가 포함된 것으로 검색된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The facial feature data may be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or may be extracted using a picture of the user and a face recognition func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acial feature data may be extracted from the pictur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그리고,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와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 외부 기기의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한다. 그 후에, 제어부(140)는 검색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외부기기 전송한다. The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와 함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컨텐츠를 송신하는지 아니면,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기능하게 된다. As suc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자신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도 1의 멀티미디어 기기(100)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 which the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으로 자신의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기기에 제공한다. The
구체적으로,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은 수신된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 추출 한다. 얼굴 특징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과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또한,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은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된 사진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은 멀티미디어 기기(100)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한다.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 PC(260), 및 인터넷(270)은 검색된 컨텐츠들의 리스트와 검색된 컨텐츠들을 멀티미디어 기기(100)로 전송한다. The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와 동영상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와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100)와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일단,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 전송한다(S310). 여기에서, 기기 정보는 기기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기 정보는 기기 ID, IP 주소, MAC 어드레스,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고유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의 사진, 얼굴 특징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First, the
그러면,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315).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기기 정보의 기기 ID 및 시리얼 넘버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종류 및 특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기기 정보의 IP 주소 및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통신에 관련된 설정을 하게 된다. Then, the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S320). 구체적으로,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 추출한다. The
얼굴 특징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과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도 있다. 또한, 얼굴 특징 데이터는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에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으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가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주소록에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가 포함된 것으로 검색된 경우,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저장된 주소록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The facial feature data may be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or may be extracted using a picture of the user and a face recognition func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acial feature data may be extracted from a picture of a user included in an address book stored in the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 사용자의 얼굴 특징 데이터와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한다. The
그 후에,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검색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멀티미디어 기기(100)로 전송한다(S325). 그러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다(S330). Thereafter, the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화면에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운로드 대상 컨텐츠를 선택한다(S335).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컨텐츠 선택 정보와 함께 다운로드 요청을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한다(S340). 여기에서, 컨텐츠 선택 정보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컨텐츠 선택 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제목, 고유번호 등이 포함된 정보이다. The
그러면,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와 함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S345).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선택된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S350). 그러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컨텐츠를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수 신하게 된다(S355). Then,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이용하여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자신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Through such a process,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receiving content including the face of the user of the
이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인물 사진을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수신된 특정 인물 사진으로부터 얼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서 특정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검색한다. 그리고,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는 검색된 특정 인물에 대한 사진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가 아닌 다른 특정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컨텐츠를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100)가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얼굴 인식이 가능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기기라면 어느 기기로부터라도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는 외부의 PC, 인터넷을 통해 연 결되는 기기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실제 작동 화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인 DSC(4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n actual operation screen of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DSC(Digital Still Camera)(4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410)가 화면에 표시된다. 메뉴(410)에는 DSC에 있는 추천 사진 보기, DSC에 있는 추천 사진 저장하기, DSC에 있는 추천 동영상 보기, 및 DSC에 있는 추천 동영상 저장하기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항목들은, DSC(4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표시 및 다운로드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들이다. As shown in FIG. 4A,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410)에서 사용자가 'DSC에 있는 추천 사진 보기'를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DSC(4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A, when the user selects 'view recommended photos in the DSC' in the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사용자가 사진들의 리스트에서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사진을 DSC(400)로부터 다운로드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사진들의 리스트에서 확인해볼 수 있듯이, 모든 사진에 사용자의 얼굴(45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B,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picture from the list of pictures, the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에 해당되는 PC(5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51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PC(5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510)(즉, 사진 공유 서비스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메뉴(510)에는 사진 업로드, 친구 사진첩 보기, 추천사진 보기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추천사진 보기 항목은, PC(5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5A, th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510)에서 사용자가 '추천사진 보기'를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PC(5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selects 'view recommended photo' in the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사용자가 사진들의 리스트에서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사진을 PC(500)로부터 다운로드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사진들의 리스트에서 확인해볼 수 있듯이, 모든 사진에 사용자의 얼굴(55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B,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picture from the list of pictures, the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들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을 일괄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자신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을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h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멀티미디어 기기(100) 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registering a face picture of a user in th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600)을 터치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설정 아이콘(600)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설정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A, the
도 6b는 설정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메뉴에서 "내 정보 등록" 항목을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내 정보 등록" 항목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setting menu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6B, when the user selects the item "Register My Information" in the setting menu, the
따라서, 도 6c와 같이, 내 정보 등록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이름과 이메일을 기재하고, 사진 등록 버튼(610)을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진 등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사진 등록 과정은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의 사진을 등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6C, it is displayed on the My Information registration screen. Here, when the user enters a name and an e-mail and selects a
따라서, 사용자가 사진 등록 버튼(610)을 선택하면, 도 5d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진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목 록에서 원하는 사진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터치된 사진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 그에 따라, 도 6e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선택된 사진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또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사진에 얼굴이 포함되어 있으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진에 포함된 얼굴들을 인식하고 얼굴의 주위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도 6e에는 제1 얼굴(620)과 제2 얼굴(630)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얼굴(620)과 제2 얼굴(630)의 주위에 박스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E, if a face is included in the selected picture, the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얼굴(620)을 터치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제1 얼굴(620)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얼굴 부분의 사진을 별도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버튼(640)이 제1 얼굴(620)의 사진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 버튼(640)은 선택된 얼굴 사진이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게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5E, when the user touches the
따라서,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장 버튼(640)을 터치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제1 사진(620)을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저장하게 된다. 그 후에,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되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등록이 종료된 후에 다시 설정 메뉴가 표시된 화면으로 복귀되게 된다.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6F, when the user touches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얼굴인식기능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 내에 저장된 사진이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도록, 사진을 등록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such a process, the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rectly photographing a picture and registering the same with user information of the
도 6a 내지 도 6c의 과정 후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버튼(710)을 터치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진 촬영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인물의 얼굴을 촬영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촬영된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fter the process of FIGS. 6A to 6C, when the user touches the photographing
그리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촬영된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진을 주소록의 선택된 인물에 대응시켜 저장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저장 버튼(720)을 터치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촬영된 사진을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 즉, 도 7c에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김연아"에 대응되도록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저장이 완료되면,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7C, the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사진 목록에서 사진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진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얼굴인식 기능을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기기라면, 어느 기기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가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 PC, 및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 which a multimedia device receives content through an external multimedia device, a PC, and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와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operations of a multimedia device and an external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인 DSC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4A illustrates a menu screen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DSC, which is an external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list of photos including a user's 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멀티미디어 기기에 해당되는 PC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5A illustrates a screen displaying a menu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PC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list of photos including a user's 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6A to 6H illustrate a process of registering a user's photo on a multimedia device using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자 정보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rectly photographing a picture and registering the same with user information of the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8263A KR20110020579A (en) | 2009-08-24 | 2009-08-24 | Content recept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
| PCT/KR2010/005657 WO2011025234A2 (en) | 2009-08-24 | 2010-08-24 |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image pickup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 EP10812247.4A EP2471254B1 (en) | 2009-08-24 | 2010-08-24 | METHOD FOR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n IMAGE PICKUP APPARATUS |
| CN201080038034.XA CN102577348B (en) | 2009-08-24 | 2010-08-24 | Send the method for image and the image pick up equipment of application the method |
| US12/862,443 US9912870B2 (en) | 2009-08-24 | 2010-08-24 |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image pickup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8263A KR20110020579A (en) | 2009-08-24 | 2009-08-24 | Content recept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20579A true KR20110020579A (en) | 2011-03-03 |
Family
ID=4392978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78263A Withdrawn KR20110020579A (en) | 2009-08-24 | 2009-08-24 | Content recept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20579A (en) |
-
2009
- 2009-08-24 KR KR1020090078263A patent/KR20110020579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577348B (en) | Send the method for image and the image pick up equipment of application the method | |
| US10523839B2 (en) | Context and content based automated image and media sharing | |
| JP5763075B2 (en) |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to which the object information is applied | |
| US995321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lbum display, and storage medium | |
| WO2014178228A1 (en) | Client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system | |
| US12154251B2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 |
| JP5587390B2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mages picked up by image pickup apparatus | |
| US9203986B2 (en) |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image management server,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ing method, and image management method | |
| US20220215050A1 (en) | Picture Search Method and Device | |
| CN112989092A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 |
| CN106023083A (en) |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ombined image | |
| JP2015198300A (en) | Information processor, imaging apparatus, and image management system | |
| JP6396798B2 (en) | RECOMMEND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 |
| US1171532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ng images based on a standard | |
| US20170289630A1 (en) | Image management device | |
| US8629911B2 (en) | Automatic photograp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KR101619091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and image pickup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
| KR20110020579A (en) | Content reception metho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 |
| JP2011175406A (en) | File sharing system, terminal equipment, and file sharing setting method | |
| JP2010098409A (en) |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display and base device | |
| JP2022012283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JP2015032934A (en) |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transmiss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terminal, recep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 |
| KR20100111491A (en) |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ving taken picture in address book automaticall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