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646A - Method of providing Wi-Fi based on the size of motion and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Wi-Fi based on the size of motion and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0646A KR20110020646A KR1020090078369A KR20090078369A KR20110020646A KR 20110020646 A KR20110020646 A KR 20110020646A KR 1020090078369 A KR1020090078369 A KR 1020090078369A KR 20090078369 A KR20090078369 A KR 20090078369A KR 20110020646 A KR20110020646 A KR 20110020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user
- size
- threshold
- magnitu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I providing method and a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I used for inputting an execution command for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and a device using the same.
UI는 디바이스와 사용자를 연결하여 주는 수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장하였다.The UI is a means of connecting a device and a user, and has appeared in order to input a desired command more conveniently.
이와 같은, UI는 사용자 명령 입력이라는 주된 목적 이외에, 사용자에게 사용자 명령 입력과 관련한 안내를 제공하고 엔터테인먼트를 느끼게 하는 부수적인 목적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o the main purpose of user command input, the UI has a secondary purpose of providing a user with guidance related to user command input and making entertainment feel.
근자에 이르러, UI의 개발은 후자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경향을 보인다. 후자의 목적을 보다 잘 나타내고 있는 UI를 채택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UI tends to be more focused on the latter. This is because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adopting the UI, which better reflects the latter purpose, is increasing.
이에, 입력 안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엔터테인먼트를 느끼게 하여 사용자가 보다 더한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는 UI를 통해 소비자들의 소 비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Accordingly, a search for a method of stimulating consumer's consumer sentiment through a UI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through input guidance and makes the user feel more fun by providing entertainment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모션의 크기를 기초로,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그 기능과 관련한 효과를 출력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UI for executing a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or output effects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user's motion and It is to provide a device applying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모션의 크기가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 이하이면, 상기 모션에 매핑된 기능과 관련한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UI providing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motion of a user; If the magnitude of the motion exceeds a first threshold magnitude, executing a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And outputting an effect related to a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if the magnitude of the mo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magnitude.
그리고, 상기 모션의 크기가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기 모션을 기술하는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ize, at least one of the parameters describing the motion may exceed the threshold.
또한, 상기 효과는, 시각적 효과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effect is a visual effect.
그리고, 상기 시각적 효과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직관 또는 암시할 수 있는 내용의 시각적 효과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visual effect is preferably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or imply the function.
또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utputting step, it is preferable to output different visual effect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otion.
그리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step may output a visual effect in which a motion that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motion appears.
또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 이하이고 상기 제1 임계 크기 보다 작은 제2 임계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시각적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may output the visual effect when the magnitude of the motion exceeds a second threshold size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size and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size.
그리고,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가능한 기능은 복수 개이면,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 이하이면, 복수의 기능들이 지시하는 기능들과 관련한 시각적 효과들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siz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there are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and if the size of the mo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the plurality of functions indicate a function. It is desirable to output the visual effects associated with these fields together.
또한,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가능한 기능은 복수 개이면, 상기 실행단계는,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면, 복수의 기능들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션을 수행하면서 지정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when the magnitud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ize, the executing step may include: when the magnitud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ize, the plurality of func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executes the designated function while performing the motion.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션을 수행하면서 지정한 기능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과 관련한 기능일 수 있다.The function designated by the user while performing the motion may be a function related to an icon selected by the user.
또한, 상기 효과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may be at least one of an auditory effect and a tactile effec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모션의 크기가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모션에 매핑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 이하이면 상기 모션에 매핑된 기능과 관련한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user; And executing the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mo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exceeds a first threshold, and if the motion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associated effect.
그리고, 상기 효과는, 시각적 효과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effect is a visual effect.
또한, 상기 시각적 효과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직관 또는 암시할 수 있는 내용의 시각적 효과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sual effect is preferably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or imply the func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각적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output different visual effect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o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output a visual effect in which a motion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motion appears.
그리고,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가능한 기능은 복수 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 이하이면, 복수의 기능들이 지시하는 기능들과 관련한 시각적 효과들이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when the siz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ize, the controller, if the size of the mo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size, the functions indicated by the plurality of functions.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visual effects related to the output together.
또한,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가능한 기능은 복수 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크기가 상기 제1 임계 크기를 초과하면, 복수의 기능들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션을 수행하면서 지정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when the siz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ize,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he user when the size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iz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so that the designated function is executed while performing the mo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의 크기를 기초로,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그 기능과 관련한 효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모션에 매핑되어 있는 기능이 무엇인지 안내받을 수 있게 되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제공되는 효과를 통해 디바이스 사용에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mapped to a motion can be executed or an effect related to the function can be output based on the size of a user's mo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be informed what function is mapped to his motion,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comman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n addition, the user can have fun using the device through the provided effec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1. One. 실시예Example #1 #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는 터치 스크린(TS)에 GUI가 나타난 모바일 폰(MP)을 도시하였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하나의 아이콘(I1)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llustrates a mobile phone MP having a GUI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S. As shown in FIG. 1A, it can be seen that one icon I 1 is displayed in the GUI.
한편, 도 1의 (b1)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세게" 흔드는 모션(Shake)을 의미한다. 도 1의 (b1)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세게 흔드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1의 (c1)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1 (b 1 ) refers to the "Shake" shaking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The change of GUI which appears when a user shakes a mobile phone MP hard according to FIG. 1 (b 1 ) is shown in FIG. 1 (c 1 ).
도 1의 (c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아이콘(I1) 외에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은 아이콘(I1)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나오는 방식으로 나타나도록 구현가능하다.As shown in (c 1 ) of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ub-icons I 11 , I 12 , I 13 , and I 14 appear in addition to the icon I 1 in the GUI.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sub-icons I 11 , I 12 , I 13 , I 14 may be embodied to appear in a way out from the bottom of the icon I 1 .
한편, 도 1의 (b2)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약하게" 흔드는 모션을 의미한다. 도 1의 (b2)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약하게 흔드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1의 (c2)와 (c3)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1 (b 2 ) refers to the motion of "weak" shaking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b 2 ) of FIG. 1, a change in the GUI that appears when the user shakes the mobile phone MP weakly is illustrated in FIGS. 1 (c 2 ) and (c 3 ).
도 1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이 아이콘(I1) 밑부분에서 밖으로 살짝 나타났다가 아이콘(I1) 밑부분 안으로 다시 들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GUI를 본 사용자는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이 아이콘(I1)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나오려다 실패'하였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As shown throughout (c 2 ) and (c 3 ) of FIG. 1, the sub-icons I 11 , I 12 , I 13 , I 14 appear briefly at the bottom of the icon I 1 in the GUI. Can be seen back into the bottom of the icon (I 1 ). Of Figure 1 (c 2) and (c 3) present the illustrated GUI users' sub-over-the icons (I 11, I 12, I 13, I 14) out from the bottom of the icon (I 1) Failed to come out.
따라서, 도 1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GUI는 '모바일 폰(MP)을 조금 더 세게 흔든다면,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이 아이콘(I1)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완전히 나와 터치 스크린(TS) 상에 나타날 것'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Icons (I 11, I 12, I 13, I 14) - Therefore, the (c 2) and (c 3) a GUI is lower if shaken a little harder "Mobile phone (MP) shown over a 1 It can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or infer that 'to come out from the bottom of the icon I 1 to appear completely on the touch screen TS'.
여기서,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이 아이콘(I1)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완전히 나와 터치 스크린(TS) 상에 나타나는 것'은, '모바일 폰(MP)을 흔드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해당한다.Here, 'sub-icons (I 11 , I 12 , I 13 , I 14 ) come out completely from the bottom of the icon (I 1 ) and appear on the touch screen (TS),' mobile phone (MP) Corresponds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swinging motion').
이에 따라, 1) 사용자에 의해 "세게" 흔들리면, 모바일 폰(MP)은 사용자의 흔드는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2) 사용자에 의해 "약하게" 흔들리면, 모바일 폰(MP)은 사용자의 흔드는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1) when the mobile phone MP is shaken "strongly" by the user, the mobile phone MP "performs" a function that is matched to the user's shaking motion, while 2) when the mobile phone MP is shaken "weakly" by the user. May be referred to as "providing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or infer a function matched to the user's shaking motion.
2. 2. 실시예Example #2 #2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아이콘(I1)'과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을, '폴더(F1)'와 '컨텐츠들(C11, C12, C13, C14)'로 대체한 것에 해당한다.2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icon I 1 and the sub-icons I 11 , I 12 , I 13 , and I 14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Corresponds to the replacement with the folder (F 1 ) and the contents (C 11 , C 12 , C 13 , C 14 ).
이 밖에,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대한 개념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대한 개념 설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onceptual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inferred from the conceptual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3. 실시예Example #3 # 3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는 터치 스크린(TS)에 GUI가 나타난 모바일 폰(MP)을 도시하였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하나의 사진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llustrates a mobile phone MP having a GUI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S. As shown in (a) of FIG. 3, it can be seen that one picture is displayed in the GUI.
한편, 도 3의 (b1)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위로 "높이" 올렸다가 내려놓는 모션(Bounce)을 의미한다. 도 3의 (b1)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위로 높이 올렸다가 내려놓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3의 (c1)와 (c2)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b 1 ) refers to the motion (Bounce) to "up" and down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up. According to (b 1 ) of FIG. 3, a change in the GUI that appears when the user raises and lowers the mobile phone MP up and down is illustrated in FIGS. 3 (c 1 ) and (c 2 ).
도 3의 (c1)와 (c2)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이미지가 페이지 넘어가듯 넘겨진 후, 이미지에 대한 상세 정보 및 메뉴 항목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c 1 ) and (c 2 ) of FIG. 3, after the image is turned over in the GUI, the detailed information and menu items of the image appear.
한편, 도 3의 (b2)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위로 "낮게" 올렸다가 내려놓는 모션(Bounce)을 의미한다. 도 3의 (b2)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위로 낮게 올렸다가 내려놓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3의 (c3)과 (c4)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b 2 ) refers to the motion (Bounce) to raise and lower the "mobile" (MP) up and down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Changes in the GUI displayed to the case according to Figure 3 (b 2) is put down over the low elevated user and the mobile phone (MP), is shown throughout the FIG 3 (c 3), and (c 4).
도 3의 (c3)와 (c4)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이미지가 페이지 넘어가듯 넘겨지려다 넘어가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c3)와 (c4)에 걸쳐 도시된 GUI를 본 사용자는 '이미지가 페이지 넘어가듯 넘겨지려다 실패'하였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As shown in (c 3 ) and (c 4 ) of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is not passed to the GUI as if the page is turned over. The user is also a city of over a third of the GUI (c 3) and (c 4) is given the feeling was, it seemed about to hand over the image beyond the page failed.
따라서, 도 3의 (c3)와 (c4)에 걸쳐 도시된 GUI는 '모바일 폰(MP)을 조금 더 높게 올렸다가 내려놓는다면, '이미지가 페이지 넘어가듯 넘겨진 후, 이미지에 대한 상세 정보 및 메뉴 항목이 나타날 것'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 3 (c 3) and (c 4) after 'if put down a raised slightly higher than your mobile phone (MP),' the city of the GUI seems the image beyond the page passed ove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mage And a menu item appearing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 or infer.
여기서, '이미지가 페이지 넘어가듯 넘겨진 후, 이미지에 대한 상세 정보 및 메뉴 항목이 나타나는 것'은, '모바일 폰(MP)을 올렸다가 내려놓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해당한다.Here, the "detailed information and menu items appearing after the image is flipped over the page" corresponds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mo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mobile phone MP.
이에 따라, 1) 사용자에 의해 "높게" 올려졌다가 내려 놓이면 모바일 폰(MP)은 이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2) 사용자에 의해 "낮게" 올 려졌다가 내려 놓이면, 모바일 폰(MP)은 이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1) the mobile phone (MP) "up" and "down" by the user, while the mobile phone (MP) performs "functions" matched to this motion, while 2) "up" and up and down by the user The mobile phone (MP) can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on or infer a function matched to this motion.
4. 4. 실시예Example #4 #4
도 4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는 터치 스크린(TS)에 GUI가 나타난 모바일 폰(MP)을 도시하였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하나의 사진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4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llustrates a mobile phone MP having a GUI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S. As shown in (a) of FIG. 4, it can be seen that one picture is displayed in the GUI.
한편, 도 4의 (b1)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스크린(TS)에 나타난 이미지를 터치한 상태로 모바일 폰(MP)을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세게" 부딪히게 하는 모션(Bump)을 의미한다. 도 4의 (b1)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세게" 부딪히게 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4의 (c1)와 (c2)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b 1 ) is a motion (bump) to hit the mobile phone (MP) to the other mobile phones around in a state of touch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S) performed by the user Means. A change in the GUI that appears when the user “hits” the mobile phone (MP) against other mobile phones nearby according to FIG. 4 (b 1 ) is shown in FIGS. 4 (c 1 ) and (c 2 ). Shown over.
도 4의 (c1)와 (c2)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이미지가 모바일 폰(MP)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으로 이동하여, 이미지가 모바일 폰(MP)에서 사라지면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서 출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이때, 이미지는 모바일 폰(MP)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으로 전송된다.As shown throughout FIGS. 4 (c 1 ) and (c 2 ), the GUI includes an image moving from the mobile phone MP to another mobile phone in the vicinity, so that the image disappears from the mobile phone MP while You can see that it appeared in other mobile phones. 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MP to other surrounding mobile phones.
한편, 도 4의 (b2)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약하게" 부딪히게 하는 모션(Bump)을 의미한다. 도 4의 (b2)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약하게" 부딪히게 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4의 (c3)과 (c4)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b 2 ) refers to the motion (Bump) to hit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weak" to other mobile phones around. A change in the GUI that appears when a user "weaks" a mobile phone MP to another nearby mobile phone according to (b 2 ) of FIG. 4 is illustrated in (c 3 ) and (c 4 ) of FIG. 4. Shown over.
도 4의 (c3)와 (c4)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이미지가 모바일 폰(MP)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으로 이동하려다 이동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c3)와 (c4)에 걸쳐 도시된 GUI를 본 사용자는 '이미지가 이동하려다 실패'하였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As shown through (c 3 ) and (c 4 ) of FIG. 4 , it can be seen in the GUI that the image failed to move from the mobile phone MP to another mobile phone in the vicinity. Fig of 4 (c 3) and the user present the GUI depicted throughout (c 4) will receive the impression was "image moves trying to fail.
따라서, 도 4의 (c3)와 (c4)에 걸쳐 도시된 GUI는 '모바일 폰(MP)을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조금 더 세게 부딪히게 한다면, '이미지가 모바일 폰(MP)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으로 이동할 것'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Thus, the GUI depicted across FIGS. 4 (c 3 ) and 4 (c 4 ) shows that if the mobile phone MP is hit harder with other mobile phones in the vicinit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mobile phone MP. 'S move to another mobile phone' provides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on or infer.
여기서, '이미지가 모바일 폰(MP)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으로 이동하며, 실제로는 이미지가 모바일 폰(MP)에서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으로 전송되는 것'은, '모바일 폰(MP)을 다른 모바일 폰에 세게 부딪히게 하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해당한다.Here, 'the image is moved from the mobile phone (MP) to the other mobile phone around, and actually the image is transferred from the mobile phone (MP) to the other mobile phone around,' 'mobile phone (MP) different Corresponds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motion of hitting the mobile phone hard.
이에 따라, 1) 사용자에 의해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세게" 부딪힌 모바일 폰(MP)은 이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2) 사용자에 의해 주변의 다른 모바일 폰에 "약하게" 부딪힌 모바일 폰(MP)은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1) a mobile phone (MP) that is "hard" hit by another mobile phone nearby by the user "performs" a function matched to this motion, while 2) a " A mobile phone (MP) that is "weak" may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content that allows a user to intuit or infer a function that is matched to motion.
5. 5. 실시예Example #5 # 5
도 5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터치 스크린(TS)에 GUI가 나타난 모바일 폰(MP)을 도시하였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홀드-아이콘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5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llustrates a mobile phone MP having a GUI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S. As shown in (a) of FIG. 5, it can be seen that a hold-icon is displayed in the GUI.
한편, 도 5의 (b1)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세게" 돌리는 모션(Rotate)을 의미한다. 도 5의 (b1)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세게 돌리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5의 (c1)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b 1 ) refers to the motion (Rotate) to rotate the "strong"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The change of GUI which appears when a user turns the mobile phone MP hard according to FIG. 5 (b 1 ) is shown in FIG. 5 (c 1 ).
도 5의 (c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홀드-아이콘이 회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모바일 폰(MP)은 홀드 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스크린(TS)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이 무시된다.FIG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bar 5 of (c 1), GUI, the hold-can confirm that it has the icon is rota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mobile phone MP is switched to the hold mode so that a user's oper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TS is ignored.
한편, 도 5의 (b2)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약하게" 돌리는 모션을 의미한다. 도 5의 (b2)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약하게 돌리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5의 (c2)와 (c3)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b 2 ) refers to the motion to "weak"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b 2 ) of FIG. 5, a change in the GUI that appears when the user turns the mobile phone MP weakly is illustrated in FIGS. 5 (c 2 ) and (c 3 ).
도 5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홀드-아이콘이 약간 회전하였다가 다시 역회전하여 원상복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GUI를 본 사용자는 '홀드-아이콘이 회전하려다 실패'하였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As shown in (c 2 ) and (c 3 ) of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hold-icon rotates slightly in the GUI and then rotates again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A user viewing the GUI shown in FIGS. 5 (c 2 ) and (c 3 ) will feel that the hold-icon has failed to rotate.
따라서, 도 5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GUI는 '모바일 폰(MP)을 조금 더 돌린다면, 홀드-아이콘이 회전할 것'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UI shown in FIGS. 5 (c 2 ) and (c 3 ) allows the user to intuit or infer that 'if the mobile phone MP is rotated a little more, the hold-icon will rotate'. It can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여기서, '홀드-아이콘이 회전하게 된 상태를 유지하고, 모바일 폰(MP)은 홀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모바일 폰(MP)을 돌리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해당한다.Here, the 'hold-icon keeps rotating, and the mobile phone MP switches to the hold mode' corresponds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motion of turning the mobile phone MP'.
이에 따라, 1) 사용자에 의해 "세게" 돌려지면, 모바일 폰(MP)은 사용자의 돌리는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2) 사용자에 의해 "약하게" 돌려지면, 모바일 폰(MP)은 사용자의 돌리는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1) when the mobile phone MP is turned "hard" by the user, the mobile phone MP "performs" a function that is matched to the user's turning motion, while 2) is turned "weak" by the user. MP) may be referred to as "providing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or infer a function that is matched to the user's turning motion.
6. 6. 실시예Example #6 # 6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는 터치 스크린(TS)에 아무런 컨트롤러도 나타나지 않은 GUI가 표시된 모바일 폰(MP)을 도시하였다.6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llustrates a mobile phone MP displaying a GUI in which no controlle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S.
한편, 도 6의 (b1)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의 아래 부분을 사용자의 손에 "세게" 치는 모션(Tap)을 의미한다. 도 6의 (b1)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세게 치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6의 (c1)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b 1 ) refers to the motion (Tap) to hit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to the user's hand "hard". The user changes the GUI appearing when hitting hard on the mobile phone (MP) according to (1 b) of Figure 6, shown in Figure 6 (c 1).
도 6의 (c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음악 재생기가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음악 재생기는 터치 스크린(TS)의 윗부분에서 아래로 나오는 방식으로 나타나도록 구현가능하다.As shown in (c 1 ) of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music player is shown in the GUI.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music player may be implemented to appear in a manner of coming out from the top of the touch screen TS.
한편, 도 6의 (b2)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의 아래 부분을 사용자의 손에 "약하게" 치는 모션(Tap)을 의미한다. 도 6의 (b2)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의 아래 부분을 사용자의 손에 약하게 치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6의 (c2)와 (c3)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b 2 ) refers to the motion (Tap) hitting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weak" in the user's hand. The user changes the GUI appearing when hitting weaken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MP) in the user's hand in accordance with (b 2) of Figure 6, is shown throughout in Figure 6 (c 2) and (c 3) .
도 6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음악 재생기가 터치 스크린(TS)의 윗부분에서 아래로 살짝 나타났다가 터치 스크린(TS)의 윗부분으로 다시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GUI를 본 사용자는 '음악 재생기가 터치 스크린(TS)의 윗부분에서 아래로 나오려다 실패'하였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6 (c 2 ) and (c 3 ), the GUI shows that the music player appears slightly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touch screen TS and then exits to the top of the touch screen TS again. have. The user who views the GUI shown in FIGS. 6 (c 2 ) and (c 3 ) may feel that the music player has failed to come out from the top of the touch screen TS.
따라서, 도 6의 (c2)와 (c3)에 걸쳐 도시된 GUI는 '모바일 폰(MP)의 아래 부분을 사용자의 손에 조금 더 세게 친다면, 음악 재생기가 터치 스크린(TS)의 윗부분에서 아래로 완전히 나와 터치 스크린(TS) 상에 나타날 것'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the GUI shown in FIGS. 6 (c 2 ) and (c 3 ) shows that if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MP is pushed harder in the user's hand, the music player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uch screen TS. It will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or infer the 'to appear completely on the touch screen TS'.
여기서, '음악 재생기가 터치 스크린(TS)의 윗부분에서 아래로 완전히 나와 터치 스크린(TS) 상에 나타나는 것'은, '모바일 폰(MP)의 아래 부분을 사용자의 손에 치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해당한다.Here, 'the music player appears completely on the touch screen TS from the upper part of the touch screen TS' is performed by 'the motion of hitting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MP in the user's hand'. Corresponds to the function.
이에 따라, 1) 사용자에 의해 아래 부분이 손에 "세게" 부딪히면, 모바일 폰(MP)은 이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2) 사용자에 의해 아래 부분이 손에 "약하게" 부딪히면, 모바일 폰(MP)은 이 모션에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1) when the lower part hits the hand "hard" by the user, the mobile phone MP performs "function" matching this motion, while 2) the lower part is "weak" by the user. "When bumped, the mobile phone (MP) can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or infer a function that matches this motion.
7. 7. 실시예Example #7 # 7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는 터치 스크린(TS)에 GUI가 나타난 모바일 폰(MP)을 도시하였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4개의 아이콘들(I1, I2, I3, I4)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7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llustrates a mobile phone MP having a GUI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S. As shown in FIG. 7A, it can be seen that four icons I 1 , I 2 , I 3 , and I 4 appear in the GUI.
한편, 도 7의 (b1)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폰(MP)을 "약하게" 흔 드는 모션을 의미한다. 도 7의 (b1)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폰(MP)을 약하게 흔드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7의 (c1)과 (c2)에 걸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b 1 ) refers to the motion of "weak" shaking the mobile phone (MP) perfo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b 1 ) of FIG. 7, a change in the GUI that appears when the user weakly shakes the mobile phone MP is illustrated in FIGS. 7 (c 1 ) and (c 2 ).
도 7의 (c1)과 (c2)에 걸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1) 아이콘(I1)의 하위-아이콘들이 아이콘(I1) 밑부분에서 밖으로 살짝 나타났다가 아이콘(I1) 밑부분 안으로 다시 들어갔고, 2) 아이콘(I4)의 하위-아이콘들이 아이콘(I4) 밑부분에서 밖으로 살짝 나타났다가 아이콘(I4) 밑부분 안으로 다시 들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agram shown over 7 of (c 1) and (c 2) bar, GUI: 1) icon (I 1), the lower of-icons are icons (I 1), briefly appeared out icon on the lower part (I 1) went back into the lower part 2) icon (a child of I 4) - the icons are icons (I 4) was slightly out from the bottom you can see the icon (I 4) has entered the bottom back in.
도 7의 (c1)과 (c2)에 걸쳐 도시된 GUI를 본 사용자는 '하위-아이콘들이 아이콘(I1)과 아이콘(I4)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나오려다 실패'하였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The user of the illustrated GUI over (c 1) and (c 2) of Figure 7-a was feeling "sub-icon to icon out naohryeo it fails in the base of the (I 1) and an icon (I 4), Will receive.
따라서, 도 7의 (c1)과 (c2)에 걸쳐 도시된 GUI는 '모바일 폰(MP)을 조금 더 세게 흔든다면, 하위-아이콘들이 아이콘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완전히 나와 터치 스크린(TS) 상에 나타날 것'을 사용자가 직관 또는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Thus, in Fig. 7 (c 1) and (c 2) a GUI is if shaken a little harder "Mobile phone (MP), sub-urban over-icons may completely come out from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TS) of the icon It will be said to provide a visual effect of th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be intuitive or inferred.
또한, 사용자는, '아이콘(I1)과 아이콘(I4)에는 하위-아이콘들이 존재하지만, 아이콘(I2)과 아이콘(I3)에는 하위-아이콘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is aware that 'the sub-icons exist in the icon I 1 and the icon I 4 , but the sub-icons do not exist in the icon I 2 and the icon I 3 .
도 7의 (b2)는 사용자가 "아이콘(I1)을 터치"한 상태로 모바일 폰(MP)을 "세게" 흔드는 모션을 의미한다. 도 7의 (b2)에 따라 사용자의 모션이 수행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GUI의 변화를, 도 7의 (c3)에 도시하였다.7 (b 2 ) refers to a motion of shaking the mobile phone MP “hard” while the user “touches the icon I 1 ”. Changes in the GUI displayed when the user's mo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b 2) of Fig. 7, is shown in Figure 7 (c 3).
도 7의 (c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에는 사용자가 터치한 아이콘(I1) 외에 그에 소속된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하위-아이콘들(I11, I12, I13, I14)은 아이콘(I1)의 밑부분에서 밖으로 나오는 방식으로 나타나도록 구현가능하다.As shown in (c 3 ) of FIG. 7, it is confirmed that the sub-icons I 11 , I 12 , I 13 , and I 14 belonging to the GUI ar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icon I 1 touched by the user. Can b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sub-icons I 11 , I 12 , I 13 , I 14 may be embodied to appear in a way out from the bottom of the icon I 1 .
8. 기타8. Other
(1) (One) 모션의Motion 크기에 따른 반응 Response to size
도 8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는 사용자에 의한 모션의 크기에 대해, 모바일 폰(MP)의 반응을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detail. 8 graphically depicts the response of a mobile phone (MP) to the magnitude of motion by a user. As shown in FIG. 8,
1) '제1 임계값(TH1) < 모션 크기' 이면, 모션에 매핑된 기능이 실행되고, 1) If the first threshold (TH 1 ) <motion size ', the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is executed.
2) '제2 임계값(TH2) < 모션 크기 ≤ 제1 임계값(TH1)' 이면,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지는 않지만, 이 기능을 암시하는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며,2) If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 2 <motion size ≤ first threshold value TH 1 ', it does not execute a function mapped to a motion, but outputs a visual effect implying this function.
3) '모션 크기 ≤ 제2 임계값(TH2)' 이면, 기능도 실행하지 않고 기능을 암 시하는 시각적 효과도 출력하지 않음, 즉, 아무런 반응도 없음3) If 'Motion Size ≤ Second Threshold (TH 2 )', no function is executed and no visual effect is implied, ie no response.
을 확인할 수 있다.can confirm.
여기서, 모션의 크기는, 모션을 기술하는 파라미터들인 모션의 a) 방향, b) 속도, c) 흔들림(회전) 정도 및 d) 움직임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모션의 크기와 임계값의 비교는, 그 모션에 대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이에 해당하는 임계값들을 각각 비교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션의 속도가 제1 임계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하거나, 모션의 속도가 제1 임계 속도를 초과하고 모션의 회전이 제1 임계 회전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magnitude of the motion may mean at least one of a) direction, b) speed, c) degree of shaking (rotation), and d) movement width of motions, which are parameters describing motion. The comparison of the magnitude of the motion and the threshold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of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parameters for the motion and corresponding thresholds, respectively. For example, if the speed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peed, implement to execute a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or the speed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peed and the rotation of the mo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speed of rotation. In one ca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o execute a function mapped to motion.
또한, "2)"에 해당하여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되는 시각적 효과는 모션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효과를 통해 나타나는 아이콘, 이미지 등의 움직임은 모션 파라미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구현가능하다.In addition, when outputting the visual effect corresponding to "2)", the output visual effec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tion. For example, movement of an icon, an image, etc., which are displayed through visual effects, may be implemented to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a motion parameter.
(2) 시각적 효과와 다른 효과(2) visual and other effects
위 실시예들에서는, 모션의 크기가 매우 크지 않은 경우, 그 모션에 매핑된 기능을 암시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when the size of the motion is not very large, it is assumed to provide a visual effect implying a function mapped to the motion,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모션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제공되는 시각적 효과는 청각적 효과나 촉각 적 효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f the size of the motion is not large, the provided visual effect can be replaced by an auditory or tactile effect.
9.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9.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디바이스device
위 실시예들에서는 모바일 폰에서 제공되는 UI를 상정하였는데, 모바일 폰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의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PMP 등의 다른 디바이스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assumed that the UI provided by the mobile phon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devices other than the mobile phon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devices such as an MP3 player, a digital camera, a digital camcorder, a PMP, and the like.
도 9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기능 블럭(110), 터치 스크린(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모션 감지부(150)를 구비한다.9 show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s shown in FIG. 9, the device includes a
기능 블럭(110)은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디바이스가 모바일 폰인 경우 기능 블럭(110)은 전화 통화, SMS 등을 수행하고, 만약, 디바이스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기능 블럭(110)은 MP3 파일 재생을 수행한다.The
터치 스크린(120)은 기능 블럭(110)의 기능 수행 결과, G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기능하고,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한다.The
저장부(140)는 기능 블럭(110)의 기능 수행과, GUI 제공에 필요한 프로그램, 컨텐츠, 기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The
모션 감지부(150)는 디바이스를 손에 든 상태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The
제어부(130)는 모션 감지부(150)의 모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모션의 종류 및 크기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파악 결과를 기초로, 기능 블럭(110)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120)의 GUI를 변경하는 한편,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 과정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30)는 모션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 모션의 종류와 크기를 파악한다(S210). 그리고, 제어부(130)는 모션의 크기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220 및 S240).As shown in FIG. 10, first, the
구체적으로, 모션 크기가 제1 임계값(TH1)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20-Y), 제어부(130)는 S210단계에서 감지된 종류의 모션에 매핑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기능 블럭(110)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120)의 GUI를 변경한다(S230).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size exceeds the first threshold value TH 1 (S220-Y), the
한편, 모션 크기가 제1 임계값(TH1)을 이하이지만 제2 임계값(TH2)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20-Y & S240-Y), 제어부(130)는 S210단계에서 감지된 종류의 모션에 매핑을 암시하는 시각적 효과를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출력한다(S250).On the other hand, if the motion size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TH 1 ) but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TH 2 ) (S220-Y & S240-Y), the
다른 한편, 모션 크기가 제2 임계값(TH2) 이하로 판단되면(S220-Y & S240-N), 제어부(130)는 아무런 반응도 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tion size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 2 (S220-Y & S240-N), th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1 to 7 are provid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부연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8 is a view provided to further expla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to 7;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 그리고,9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n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8369A KR101690521B1 (en) | 2009-08-24 | 2009-08-24 | Method for providing UI according magnitude of mo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
| EP10812252.4A EP2472374B1 (en) | 2009-08-24 | 2010-08-24 | Method for providing a ui using motions |
| PCT/KR2010/005662 WO2011025239A2 (en) | 2009-08-24 | 2010-08-24 | Method for providing a ui using motions, and device adopting the method |
| US13/392,364 US20120151415A1 (en) | 2009-08-24 | 2010-08-24 |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motion and device adopt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8369A KR101690521B1 (en) | 2009-08-24 | 2009-08-24 | Method for providing UI according magnitude of mo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20646A true KR20110020646A (en) | 2011-03-03 |
| KR101690521B1 KR101690521B1 (en) | 2016-12-30 |
Family
ID=439298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783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521B1 (en) | 2009-08-24 | 2009-08-24 | Method for providing UI according magnitude of mo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90521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07807A (en) * | 2004-03-31 | 2007-01-16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and control |
| KR20080085983A (en) * | 2007-03-21 | 2008-09-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provide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
-
2009
- 2009-08-24 KR KR1020090078369A patent/KR1016905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07807A (en) * | 2004-03-31 | 2007-01-16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and control |
| KR20080085983A (en) * | 2007-03-21 | 2008-09-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provide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90521B1 (en) | 2016-12-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461291B1 (en) | Implementation of a biometric enrollment user interface | |
| US9886108B2 (en) | Multi-region touchpad | |
| US10282081B2 (en) |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 |
| CN102999269B (en) |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 |
| US9354780B2 (en) | Gesture-based selection and movement of objects | |
| KR101869083B1 (en) | Method for calibrating touch screen sensitivitie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US11048401B2 (en) |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scrolling | |
| KR20140010003A (en) | Using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to enhance interpretation of input events produced when interact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 |
| JP6319298B2 (en) |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 |
| JP6562007B2 (en) | Pen-type input device and display input system | |
| JP2012079279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US20150012856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 |
| KR20110020642A (en) | Wi-Fi provis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user access | |
| CN105824493B (en) |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mobile terminal | |
| US20150193139A1 (en) | Touchscreen device operation | |
| CN106020692A (en) |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touch screen mobile phone | |
| CN104951293B (en) | A key response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 |
| KR101552004B1 (en) |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 |
| KR102296968B1 (en) | Control method of favorites mode and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performing the same | |
| JP2014203202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JP6289931B2 (en) | Handheld device with handle determination function | |
| KR20110020646A (en) | Method of providing Wi-Fi based on the size of motion and device | |
| CN114816212A (en) | Interface interaction method, interface intera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KR20150098366A (en) |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
| JP5795113B1 (en) | GAME CONTROL PROGRAM,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2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