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382A -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5382A KR20110025382A KR1020090083418A KR20090083418A KR20110025382A KR 20110025382 A KR20110025382 A KR 20110025382A KR 1020090083418 A KR1020090083418 A KR 1020090083418A KR 20090083418 A KR20090083418 A KR 20090083418A KR 20110025382 A KR20110025382 A KR 201100253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arrangement order
- screen
- input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53—Query execution of query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정하고,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동일한 뜻을 가진 미리 정한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하는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다국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rangement order of languages for screen display or voice output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key input of a key input unit, and a database is searched when a user inputs a key, so that a user can select words from various countries having the same meaning as input or selected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ngu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 learning terminal for calling words in an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a user and displaying the words in the arrangement order on the screen.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language of the or output by voice, and the display or voice (pronunciation) in a predetermined language arrangement order specified by the user to be output, so that the user can efficiently learn multilanguage as desi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다국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the learning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s displayed on a screen in a language of various countries or outputted as a vo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learning terminals that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in an arrangement order or output as a voice (pronounced sound) to enable multilingual learning as desired by a user.
일반적으로,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 또는 방법은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하나로 지정된 순서에 맞추어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나타낸다.In general, the multilingual display apparatus or method of the learning terminal displays a single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n various languages on the screen or outputs it by voice,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in one country in a specified order. In the languages of
그렇게 하여, 사용자는 한국어 중심으로만 학습가능한 한계가 있음과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언어로도 학습하게 하여 학습 효율을 저하시킨다. In this way, the user has a limitation that can be learned only in the center of Korean language, and the learning efficiency is lowered by allowing the user to learn in a language that is not des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수출시 자국에서 프로그램 변경없이 사용가능한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isplay a single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n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or output it in a voice, and display it in a screen in a languag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s that can be outputted in a (pronounced) sound and can be used without changing a program in the home country upon expor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는Multilingual display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키 입력부,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정하는 배열 순서 설정부,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동일한 뜻을 가진 미리 정한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하는 단어 호출부,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key input section, an arrangement order setting section for setting the order of languages for screen display or voice output according to the key input section of the key input section, and searching a database when a user key is inputted to search for a database of various predetermined countrie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input or selected word. And a word calling unit for calling the words in an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ords called in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in the arrangement ord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units.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호출하는 이미지 호출부,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배열 순서에 맞추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image caller for searching a database when a user key is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call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word,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그 배열 순서대로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words in the arrangement order specifi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방법은Multilingual display method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키 입력부의 키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정하는 단계,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동일한 뜻을 가진 미리 정한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etting an order of arrangement of languages to be displayed or spoken according to key input of a key input unit; searching a database when a user inputs a key, and assigning a user-specified arrangement of words from various countrie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input or selected word Calling in the o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displaying the called words in the arrangement order on the screen specified by the user specified arrangement order.
바람직하게,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배열 순서에 맞추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searching a database when a user key is input, call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 selected word, and display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그 배열 순서대로 음성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voice words in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본 발명은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다국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s displayed on a screen or output as a voice in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Multi-language lear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s desired by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한 것이다.1 illustrates a multilingual display apparatus for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s displayed on a screen or output as a voice in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It i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as a voice (pronounced sound) in a predetermined language arrangement or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론,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한국어 단어를 여러 나라의 타국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타국어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한 것이다.Another examp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Korean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as a voice in other languages of several countries, and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It is to be displayed or output by voice (pronounced soun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장치는 키 입력부(101), 배열 순서 설정부(102), 단어 호출부(103), 표시부(104),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Specifically, the multilingual display apparatus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키 입력부(101)의 키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정하는 배열 순서 설정부(102),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동일한 뜻을 가진 미리 정한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하는 단어 호출부(103),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104)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at is, an arrangement
추가로,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 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호출하는 이미지 호출부(미도시)와,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배열 순서에 맞추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an image caller (not shown) which searches a database when a user key is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아울러,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그 배열 순서대로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0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배열 순서 설정부(102)는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여러 나라 언어들을 선택하고, 선택한 여러 나라들의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 순서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자의 키 입력 순서에 맞추어 정한다.The arrangement order setting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어학 학습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여러 나라의 언어들을 선택하고, 언어들을 선택한 순서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배열 순서로 정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for screen display or voice output are selected during language learning, and the order of languages is selected as an arrangement order for screen display or voice output.
좀 더 구체적으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어학 학습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여러 나라의 언어로 예컨대, 일본어, 영어, 중국어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언어들을 선택한 순서대로 예컨대, 영어, 일본어, 중국어 순서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배열 순서로 정한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for example, Japanese, English, Chinese are selected as the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to display or output audio when the language is learned, and in the order in which the users select languages, for example, English, Japanese, Chinese Set the order to the sequence of screen display or audio output.
단어 호출부(103)는 키 입력부(101)의 키 입력시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같은 선상에 있는 예를 들어, 동일한 뜻을 가지면서 아울러 화면에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 을 찾은 후, 이렇게 찾은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다.The
표시부(104)는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다국어(또는, 한국어를 제외한 타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음성 출력부(106)는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그 배열 순서대로 음성(발음)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multilingual display apparatus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는 표시부(104)가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언어들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다국어(또는, 한국어를 제외한 타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First, in the multilingual display apparatus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예를 들어, 먼저 "언어 배열 순서" 란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런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언어 배열 순서" 란이 클릭될 경우 여러 나라 언어, 예컨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언어 목록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 즉, 다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For example, first, a display window in which the "language arrangement order" column appears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n, when the "Language Arrangement Order" field is click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a list of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German", "French", etc. is displayed. A display window, that is, a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a multilingual arrangement ord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다음, 표시부(104)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다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하면, 즉,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여러 나라 언어 목록들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하면, 배열 순서 설정부(102)는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선택된 여러 나라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자의 선택 키 입력 순서에 맞추어 정한다.Next, when the
즉, 배열 순서 설정부(102)는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여러 나라 언어들을 선택하고, 선택한 여러 나라들의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 순서에 해당하는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자의 키 입력 순서에 맞추어 정한다.That is, the arrangement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어학 학습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여러 나라의 언어로 예컨대, 일본어, 영어, 중국어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언어들을 선택한 순서대로 예컨대, 영어, 일본어, 중국어 순서대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배열 순서로 정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for example, Japanese, English, Chinese are selected as the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to be displayed or voice output when the language is learned. Set the order of screen display or audio output.
다음, 이렇게 배열 순서를 정한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단어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단어 호출부(103)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한다.Next, after arranging the arrangement in this way, when a predetermined word is input or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key operation, the
그런 후,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같은 선상에 있는 예를 들어, 동일한 뜻을 가지면서 아울러 화면에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찾은 후, 이렇게 찾은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다.Then, after searching for words in several countries that are defined by the user to have the same meaning and display or voice on the screen, for example, on the same line as the input or selected word, the words of the various countries found Called in the array order specified by.
예를 들어,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가 "아버지"이고, 화면에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언어가 일본어, 영어, 중국어인 경우, 우선 "아버지"에 해당하는 일본어, 영어, 중국어 단어를 찾은 후, 이렇게 찾은 세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 즉, 영어, 일본어, 중국어 순서대로 호출한다.For example, if the input or selected word is "Father" and the language set by the user to be displayed or voiced on the screen is Japanese, English, or Chinese, first, the Japanese, English, and Chinese words corresponding to "Father" After finding, the words of these three countries are called in the order that you specify: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다음, 표시부(104)는 제어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한다.Next, the
아울러,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그 배열 순서대로 음성(발음)으로 음성 출력부(106)를 통해 출력한다.In addition, the words called in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are output through the
도 2a와 도 2b의 표시창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표시창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언어들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다국어(또는, 한국어를 제외한 타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 것이다.2A and 2B illustrate the display window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order of languages to be displayed on a screen or output by voice, multi-language (or The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the order of arrangement in other languages except Korean is displayed on the screen.
먼저 "언어 배열 순서" 란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런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언어 배열 순서" 란이 클릭될 경우 여러 나라 언어, 예컨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언어 목록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 즉, 다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First, the display window showing the "Language arrangement order" column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n, when the "Language Arrangement Order" field is click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a list of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German", "French", etc. is displayed. A display window, that is, a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a multilingual arrangement ord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3의 다국어 배열 순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배열 순서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어학 학습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여러 나라의 언어로 예컨대, 한국어, 영어, 독일어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언어들을 선택한 순서대로 예컨대, 영어, 한국어, 독일어 순서대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배열 순서를 정하며, 아울러, 이미지를 맨 마지막 번째로 한 것이다.The multi-language arrangement order of FIG. 3 is an example of a multi-language arrangement or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language of various countries to display a screen or output audio when learning a language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for example, Korean In this case, the user selects English, German, sets the order of display or audio output in the order of the languages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English, Korean, and German, and makes the image last.
한국에서는 한국어 기반으로,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한국어 단어를 여러 나라의 타국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타국어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한 것이다.In Korea, a Korean word with a certain mean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in a different language in different languages, bu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arrangement order specified by the user. )
수출시에는 타국어 기반으로 자국에서 프로그램 변경없이 사용가능하다.When exporting, it can be used in other countries without changing the program.
도 4의 다국어 표시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단어를 여러 나라의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한 것이다.The multilingual display method of FIG. 4 illustrates a multilingual display method of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one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s displayed on a screen or output as a voice in various languages. It i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as a voice (pronounced sound) in a predetermined languag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론, 소정의 뜻을 가진 하나의 한국어 단어를 여러 나라의 타국 언어들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시키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타국어 언어 배열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발음)으로 출력시키도록 한 것이다.Another examp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Korean word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 as a voice in other languages of several countries, and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It is to be displayed or output by voice (pronounced sound).
구체적으론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먼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방법은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언어들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다국어(또는, 한국어를 제외한 타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First, in the multilingual display method of th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 in order to determine the order of languages to be displayed on a screen or output by voice, other languages except for Korean (or Korean) may be used according to user key manipulation. Korean) Displays the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the arrangement order.
예를 들어, 먼저 "언어 배열 순서" 란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런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언어 배열 순서" 란이 클릭될 경우 여러 나라 언어, 예컨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언어 목록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 즉, 다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For example, first, a display window in which the "language arrangement order" column appears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n, when the "Language Arrangement Order" field is click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a list of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German", "French", etc. is displayed. A display window, that is, a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a multilingual arrangement ord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다음,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다국어 배열 순서 선택용 표시창이 화면에 표시되면, 즉,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여러 나라 언어 목록들이 나타나 있는 표시창이 화면에 표시되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선택된 여러 나라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자의 선택 키 입력 순서에 맞추어 정한다(S401).Next, when the display window for selecting the multilingual arrangement ord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that is, a list of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German", "French", etc. are displayed. When the display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language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key oper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key input order of the user (S401).
즉,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여러 나라 언어들을 선택하고, 선택한 여러 나라들의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 순서에 해당하는 언어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자의 키 입력 순서에 맞추어 정한다.That is, various languag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languages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splay or audio output order of the selected various countri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ord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어학 학습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여러 나라의 언어들을 선택하고, 언어들을 선택한 순서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배열 순서로 정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languages of various countries for screen display or voice output are selected during language learning, and the order of languages is selected as an arrangement order for screen display or voice output.
좀 더 구체적으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어학 학습시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여러 나라의 언어로 예컨대, 한국어, 영어, 독일어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언어들을 선택한 순서를 예컨대, 영어, 한국어, 독일어 순서를 화면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할 배열 순서로 정한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for example, Korean, English, German is selected as the language of various countries to display or voice output the language, and the order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languages, for example, English, Korean, German Set the order to the sequence of screen display or audio output.
이렇게 배열 순서를 정한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단어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한다.After arranging the arrangement in this way, if a predetermined word is input or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the database is searched.
그런 후,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와 같은 선상에 있는 예를 들어, 동일한 뜻을 가지면서 아울러 화면에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찾은 후, 이렇게 찾은 여러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다(S402).Then, after searching for words in several countries that are defined by the user to have the same meaning and display or voice on the screen, for example, on the same line as the input or selected word, the words of the various countries found It is called in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S402).
예를 들어, 입력 또는 선택된 단어가 "아버지"이고, 화면에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기로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언어가 한국어, 영어, 독일어인 경우, 우선 "아버지"에 해당하는 한국어, 영어, 독일어 단어를 찾은 후, 이렇게 찾은 세 나라들의 단어들을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 즉, 영어, 한국어, 독일어 순서대로 호출한다.For example, if the input or selected word is "Father" and the language set by the user to be displayed or voiced on the screen is Korean, English, or German, first, the Korean, English, and German words corresponding to "Father" are After finding, the words of these three countries are called in the order that you specify: English, Korean, German.
다음, 사용자가 지정한 배열 순서대로 호출한 단어들을 화면에 그 배열 순서대로 표시한다(S403).Next, the words called in the arrangement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arrangement order (S403).
아울러, 그 배열 순서대로 음성(발음)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404).In addition, the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the arrangement order (S404).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lingual display of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표시창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2A and 2B illustrate examples of a display window of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배열 순서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lingual arrangement or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단말기의 다국어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lingual display method of a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키입력부 102 : 배열순서설정부101: key input unit 102: array order setting unit
103 : 단어호출부 104 : 표시부103: word call unit 104: display unit
105 : 제어부 106 : 음성 출력부105: control unit 106: audio output uni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83418A KR20110025382A (en) | 2009-09-04 | 2009-09-04 |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83418A KR20110025382A (en) | 2009-09-04 | 2009-09-04 |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25382A true KR20110025382A (en) | 2011-03-10 |
Family
ID=439329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83418A Ceased KR20110025382A (en) | 2009-09-04 | 2009-09-04 |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25382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49482A (en) | 2022-10-08 | 2024-04-16 | 김준서 | An easy-to-pick can |
-
2009
- 2009-09-04 KR KR1020090083418A patent/KR2011002538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49482A (en) | 2022-10-08 | 2024-04-16 | 김준서 | An easy-to-pick ca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48201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using indexed database | |
| RU2379767C2 (en) | Error corre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ystems | |
| US20060293890A1 (en) | Speech recognition assisted autocompletion of composite characters | |
| JP411881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 US8069030B2 (en) | Language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face | |
| JP2006031092A (en) | Voice character input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 |
| JP2005196140A (en) | Method for inputting text | |
| US20150186357A1 (en) | Language Preference Selection for a User Interface Using Non-Language Elements | |
| KR101670326B1 (en) | System for generating language sentence patterns suggestions | |
| US20210398523A1 (en) | Presentation Assistance Device for Calling Attention to Words that are Forbidden to Speak | |
| JP2004133915A (en) |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Hangul character input device, Hangul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 JP2007193166A (en) | Dialog device, dialog method, and program | |
| KR20110025382A (en) | Multiling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learning terminal | |
| KR20230115567A (en) | Multilingual display methods and devices that enable multilingual learning as desired by the user | |
| JP6676093B2 (en) | Interlingual communication support device and system | |
| KR20090052843A (en) | Word learning method and word learn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12013932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characteristics, system for educating korean language in online using it | |
| US64459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characters with accents or extensions into an electronic device | |
| JP4924148B2 (en) | Pronunciation learning support device and pronunciation learning support program | |
| JP7013702B2 (en) | Learning support device, learn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 |
| JP2017054038A (en) | Learning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the learning support device | |
| JP4229627B2 (en) | Dict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 |
| JPH11252281A (en) | Telephone terminal device | |
| JP2004258231A (en) | Device and method of assisting language learning | |
| KR100214085B1 (en) | Voice dial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