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29757A -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757A
KR20110029757A KR1020090087572A KR20090087572A KR20110029757A KR 20110029757 A KR20110029757 A KR 20110029757A KR 1020090087572 A KR1020090087572 A KR 1020090087572A KR 20090087572 A KR20090087572 A KR 20090087572A KR 20110029757 A KR20110029757 A KR 2011002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unit
cor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권
신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757A/ko
Priority to US12/882,475 priority patent/US8559883B2/en
Publication of KR2011002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75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 및 상기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을 위한 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보정(calibration)을 위한 RF 커넥터 및 상기 RF 커넥터에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부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 간의 통신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통신 모드를 구분하고, 구분하는 통신 모드별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87572
무선 단말, 안테나, 방사, 스위치, RF 보정, RF 커넥터, 스위치 플렉서

Description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 RADIATED PERFORMANCE OF A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가 채용된 무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무선 단말의 특정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방사 성능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 단말은 자동 로밍을 위하여 대부분의 단말에 다중 밴드(band)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또한, 종래 무선 단말에서는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계하다가 최근에는 무선 단말 내측에 설계하는 인테나(intenna)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무선 단말은 경박 단소해지는 특성에 따라 내측에 배치되는 안테나의 실장 공간이 매우 한정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무선 단말은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무선 단말의 마이크(MIC)가 배치되는 위치에 주로 안테나를 실장하고 있다. 즉, 무선 단말의 경우 주로 상단부에는 스피커 및 카메라 등 안테나 성능을 저하시키는 금속물이 실장됨에 따라, 넓은 공간 확보가 가능한 하단부에 하나의 안테나로 구현되고 있다.
그런데, 마이크가 배치되는 상기 무선 단말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특정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파지하게 되는 영역이어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손에 의하여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사용자의 손에 의한 방사 특성 손실이 6dB 이상을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통화 품질 또는 데이터 통신 품질에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 제조 시에는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을 제한된 구조에서 최대한 확보하여야 한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단말에서 통신 품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상기 무선 단말의 통신 품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을 위해, 분리된 안테나 및 통신 패스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의 편차 보상 과정인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보정(calibration)을 위한 보정 모드에 따른 통신 패스와, 사용자의 통화 모드에 따른 통신 패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통화 모드에 따른 통신 패스와, 방사 특성 점검을 위한 보정 모드에 따른 통신 패스를 구분하고, 복수개의 안테나들 중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특정 안테나로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에 복수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들을 무선 단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계하고, 전체 다중 밴드에 대한 RF 보정 시 하나의 통신 패스를 이용하여 추가 공정 없이 상기 전체 다중 밴드에 대한 일괄적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의 안테나를 상기 무선 단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통신 이벤트에 따라 개별 통신 패스를 선택적으로 사 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이벤트에 따른 개별 통신 패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모드에서는 안테나 방사 특성 손실을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정 모드에서는 통신 패스의 추가 공정 없이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전체 다중 밴드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보정(calibration)을 위한 RF 커넥터 및 상기 RF 커넥터에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부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 간의 통신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통신 모드를 구분하고, 구분하는 통신 모드별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은, 상기 무선 단말의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대역을 지원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테나는 마이크가 배치된 단말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스피커가 배치된 단말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테나가 지원하는 상기 통합 대역은 상기 제2안테나의 상기 특정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보정 방법에 있어서, 통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통신 이벤트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이벤트가 보정 이벤트이면,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 중 보정 모드를 위한 특정 안테나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칭 제어에 의하여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상기 특정 안테나와 통신 패스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통합 대역에 대한 RF 보정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대역을 지원하는 제2안테나와; 상기 RF 보정을 위한 RF 커넥터와; 상기 RF 커넥터에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분배하는 스위치 플렉서와;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 간의 통신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안테나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무선 단말에서 안테나를 무선 단말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분리하여 구현할 시, RF 보정에 따른 공정 절차를 하나의 패스에 의해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RF 보정 공정에 따른 시간 단축 및 무선 단말의 생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된 안테나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시, 스위치 플렉서를 거치는 기존 패스를 사용하여 추가 공정 없이, 상기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전체 다중 밴드들에 대한 일괄적인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안테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단말에서, 사용자가 통화 모드를 진입할 시 상기 스위치 플렉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상단부에 마련된 안테나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품질 및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된 안테나 구조로 인하여 무선 단말에서 탁월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의 개발기간 단축은 물론 사용자의 통화 품질 향상 및 무선 단말의 성능 확보로 인하여 추가 네트워크 투자비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단말(100)은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110)와, 입력부(120)와, 오디오처리부(130)와, 표시부(140)와, 저장부(150)와, 검출부(160) 및 제어부(17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제1안테나(111), 제2안테나(113) 및 검출부(160) 등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별 편차 보상 과정인 RF 보장(calibration)을 하기 위한 RF 커넥터(connector)를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무선 단말(100)은 상기 검출부(160)에서 RF 보정을 위한 상기 RF 커넥터에 RF 케이블(cable)이 삽입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안테나들(111, 113)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패스를 기반으로 신호 송수신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 무선 단말(100)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기지국)와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음성 통신, 영상 통신)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의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 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그에 대응하여 다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제1안테나(111) 및 제2안테나(113)를 포함하며, 각 안테나들(111, 113)은 지원하는 대역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안테나(111)는 복수 개의 통신 방식 예를 들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방식, DCS(Data Communication System) 방식,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 및 WCDMA(Wireless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방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길이 또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안테나(113)는 상기 제1안테나(111)의 길이 또는 체적에 비하여 적은 길이 또는 체적을 가지며 특정 통신 방식 예를 들면, WCDMA 방식 등을 지원하는 대역에 해당하는 길이 또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111) 및 제2안테나(113)는 상기 검출부(160)가 검출하는 검출신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부(170)와의 통신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의 상세 구성 및 설명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무선 단말(100)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기 각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활성화하여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MP3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처리부(130)는 통신 패스를 형성한 안테나 종류에 따라 이를 알람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오디오처리부(130)는 제1안테나(111)를 기반으로 통신 패스를 형성할 경우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제2안테나(113)를 기반으로 통신 패스를 형성할 경우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 113) 별 오디오 신호 출력은 사용자 설정 또는 설계 의도에 따라 생략되거나, 서로 다른 진동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5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4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의 활성화에 따른 통화 화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1안테나(111) 기반의 통신 패스 연결 시와 상기 제2안테나(113) 기반의 통신 패스 연결 시, 각각 서로 다른 아이콘이나 이미지 등을 화면 일 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무선 단말(100)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 부(예컨대, 기지국, 상대방 무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통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무선 단말(100)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부(150)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150)는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통신 이벤트를 구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통화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 통화 이벤트와, 상기 무선 단말(100)의 RF 보정을 위한 보정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 보정 이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RF 보정을 위한 상기 보정 모드의 구분을 위한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의 RF 커넥터로 RF 케 이블이 인입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RF 케이블의 인입을 검출할 시 그에 따른 검출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상기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보정 모드를 인지하고, 상기 보정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패스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100)은 상기 검출부(160)의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보정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패스(즉,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검출부(1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의 상기 RF 커넥터에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무선 단말(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단말(100)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와, 상기 입력부(1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130)와, 상기 표시부(140)와, 상기 저장부(150) 및 상기 검출부(16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통신 이벤트가 요청될 시 상기 통신 이벤트를 분석하고, 상기 통신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 이벤트가 통화 모드 진입을 위한 통화 이벤트일 시, 상기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의거하여 통신 기능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별도로 마련된 제2안테나(113)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형성된 해당 통신 패스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 이벤트에 따른 통신 수행에 필요한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안테나(113)는 안테나 방사 특성 손실을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 단말(100)이 다중 밴드를 지원하는 경우일지라도, 방사 성능 확보를 위해 마련된 상기 제2안테나(113)에 의해 기본적인 통신을 메인으로 수행하고, 선택적으로 사용자 요청 또는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안테나(111)에 의한 통신 패스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 이벤트가 보정 모드 진입을 위한 보정 이벤트일 시, 즉 상기 검출부(160)로부터 검출신호가 전달될 시, 상기 검출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안테나들(111, 113) 중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전체 다중 밴드들의 RF 보정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보정(calibration)을 위한 상기 RF 커넥터로 RF 케이블이 인입에 의해 보정 모드가 활성화될 시,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RF 케이블의 인입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100)이 RF 보정을 위한 보정 모드로 진입됨을 인지하고, 상기 보정 모드를 위한 통신 패스를 상기 제1안테나(111)로 형성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제1안테나(111) 또는 제2안테나(113)와의 통신 패스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발생하는 상기 제어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안테나(111) 및 제2안테나(113) 간의 통신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부(도 3의 400)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안테나(111)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필요한 GSM/DCS/PCS/WCDMA 대역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상기 무선 단말(1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안테나(113)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체적으로 구현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통신 기능 이용 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선 단말(100)의 파지 상태에 따른 방사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170)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무선 단말(100)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17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17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무선 단말(100) 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통해 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 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무선 단말(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선 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안테나들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100)은 전면에 상기 표시부(140)가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140) 상단 케이스 일측에는 스피커(SPK)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40) 하단 케이스 일측에는 마이크(MIC)가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 단말(100)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100) 케이스를 파지하는 경우, 왼손 또는 오른손에 관계없이 상기 스피커(SPK)를 사용자의 귀가 있는 쪽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마이크(MIC)를 사용자의 입이 있는 쪽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100)의 케이스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MIC)가 위치한 영역이 감싸지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 단말(100)의 배면은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중앙 부분과, 스피커 및 카메라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상단 부분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부(160) 및 마이크(MIC)가 배치되는 하단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단 부분의 케이스 내 일측에는 상기 제1안테나(111)가 배치되며, 상기 상단 부분의 케이스 내 일측에는 상기 제2안테나(11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안테나(111)는 상기 무선 단말(100)이 다양한 통신 방식 예를 들면, GSM, DCS, PCS, WCDMA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형태의 통합 대역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는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송수신하기 위하여 저주파수 대역 기준의 안테나 길이 또는 체적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안테나(111)는 상대적으로 큰 길이 또는 체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보다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마이크(MIC)가 마련된 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단 부분은 실질적으로 카메라모듈, 상기 스피커(SPK) 등이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 단말(100)의 하단 부분에 비하여 안테나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 및 스피커(SPK) 등은 안테나 배치 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금속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들과의 적절한 이격거리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단 부분은 하단 부분에 비하여 안테나 실장 공간이 상대 적으로 협소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안테나(113)는 상기 제1안테나(111)에 비하여 길이 또는 체적이 적은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안테나(113)는 상기 제1안테나(111)가 수신할 수 있는 저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테나의 길이 또는 체적을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안테나(111)가 저주파수 대역 또는 통합 대역에 포함하는 GSM, DCS, PCS 통신 방식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제2안테나(113)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WCDMA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방사 성능 보정을 하나의 패스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안테나(111)의 대역에 상기 제2안테나(113)가 지원하는 대역까지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제1안테나(111)는 저주파수 대역 또는 저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통합 대역을 비롯하여, 상기 제2안테나(113)를 이용하는 고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 지원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안테나(113)는 고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 지원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안테나(113)는 상기 제1안테나(111)에 비하여 길이 또는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에 형성되는 RF 커넥터에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회로로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검출부(160)를 통해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검 출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RF 보정을 위한 보정 모드 진입 시 기존 통신 패스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전 대역에 대한 보정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기 무선 단말(100)의 전 대역에 대한 보정 공정 시, 상기 제1안테나(111)의 RF 커넥터 및 그의 패스에 대한 RF 보정 공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안테나(113)의 대역에 위한 RF 보정의 추가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제1안테나(111)와, 제2안테나(113)와, 검출부(160)와, 통합신호 처리부(300)와, 스위치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와,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 상기 제2안테나(113)로의 통신 패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 아날로그 스위치(analog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제어부(170)가 전송하는 제어신호(Control Signal)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에 의한 통신 패스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안테나(113)에 의한 통신 패스가 연결되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제어신호(Control Signal)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와 통신 패스 설정을 위한 스위칭 시,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 형 성 및 상기 제2안테나(113)와의 통신 패스 형성을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칭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1안테나(111)와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 사이에는 RF 커넥터가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RF 커넥터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 사이를 분리시켜 안테나 특성 검사 공정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RF 커넥터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100) 설계자는 상기 RF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전체 다중 대역들에 대한 고유 특성 검사 및 일괄적인 RF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 케이블의 인입 등에 의해 보정 모드로 진입할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부(160)가 발생하는 검출신호(Detection Signal)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400)에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전달함으로써, RF 보정 공정을 위한 통신 패스를 상기 제1안테나(111)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기 설계자는 상기 제1안테나(111) 및 그의 통신 패스만으로, 상기 제1안테나(111)의 RF 보정뿐만 아니라, 상기 제2안테나(113)의 RF 보정을 일괄적으로 빠르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스위치부(400)에 의하여 결정된 통신 패스 즉,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합 신호 처리부(30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업 컨버터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 컨버터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수신 기능 활성화 시,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한 후,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업 컨버터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송신 기능 활성화 시, 송신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400)를 거쳐 특정 안테나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무선 단말(100)이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각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증폭기 예를 들면, GSM 증폭기, WCDMA 증폭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WCDMA 방식이 지원되는 경우, WCDMA 방식에 따른 WCDMA 듀플렉서(Duplex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신호 처리부(300)는 다중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각각 분배할 수 있는 스위치 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신호 처리부(300)는 다중 통신 방식 지원을 하나의 처리기로 지원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각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통신 칩들이 독립적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 칩들과 형성된 신호 라인과,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방식 또는 디폴트로 선택되는 통신 방식들에 따라 특정 통신 칩만을 활성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및 복호하거나, 외부로 송신할 신호를 변조 및 암호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부(160)가 전달하는 검출신호(Detection Signal)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 또는 상기 제2안테나(113) 중 어느 하나와의 통신 패스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상기 스위치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어부(170)는 상기 무선 단말(100)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선택된 통신 방식, 또는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 또는 제2안테나(113) 중 어느 하나와의 패스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안테나(111)가 다중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합 대역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상기 제2안테나(113)가 고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기 제1안테나(111)에 대한 특성 검사, 즉 RF 보정을 위한 RF 커넥터가 활성화는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RF 커넥터 활성화는 상기 RF 커넥터에 RF 보정을 위한 RF 케이블이 인입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부(160)로부터 상기 RF 케이블의 인입을 검출하는 검출신호(Detection Signal)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신호(Detection Signal)에 따라 보정 모드 진입을 인지하고 상기 제1안테나(111)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상기 무선 단말(100)을 이용한 통신 기능 활성화 요청 신호가 감지될 시, 예컨대, 발신이 요청될 시,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통화 모드 진입을 인지하고 상기 제2안테나(113)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선택된 통신 방식, 또는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 모드 진입 시에는, 상기와 같이 통신 방식이 지정되지 않는 경우, 안테나 방사 특성 손실을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통 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2안테나(113)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통화 모드에서는 상기 제2안테나(113)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방사 특성 손실을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보정 모드에서는 상기 제2안테나(113)의 RF 보정 공정을 위한 RF 커넥터 및 그에 따른 패스의 추가 공정 없이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전체 다중 대역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선 단말(100) 사용자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통신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케이스를 파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이어폰 또는 무선 헤드셋 등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100)을 파지하지 않고 특정 위치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손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100)은 상기 검출부(160)에서 검출신호(Detection Signal)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안테나(113)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기준으로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111) 및 상기 제2 안테나(113)는 구현상 케이스 공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무선 단말(100) 상단의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제2안테나(113)가 고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제1안테나(111)의 실장 공간에 비하여 열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안테나(111)가 상기 제2안테나(113)가 지원하는 고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1)의 성능이 상기 제2안테나(113)의 성능보다 양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 손의 영향이 없는 경우라면, 상기 제1안테나(111)를 기반으로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보 다 양호한 품질의 서비스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음 표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112009057008351-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 1>은 상기 제1안테나(111)가 상기 무선 단말(10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안테나(113)가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무선 단말(100)의 케이스 하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관찰되는 Mute율, 송신성공율, 수신성공율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상기 제1안테나(111)가 배치된 상기 무선 단말(100)의 케이스를 파지하는 경우 Mute율, 송신성공율, 수신성공율이 저조하며, 상기 제2안테나(113)를 통한 통신 패스에서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9057008351-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 2>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케이스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제1안테나(111)가 WCDMA 대역으로 이용되는 경우에서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와 TRP(Total Radiated Power)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 결과에서 상기 TIS는 낮을수록, 그리고 상기 TRP는 높을수록 통신 서비스 품질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자유 공간(Free Space) 상태에서의 TIS와 TRP는 손에 의한 영향(Hand Phantom) 상태에 비하여 6dB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6dB 이상의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Figure 112009057008351-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안테나(111)와 제2안테나(113)를 각각 자유 공간(Free Space) 상태와 손에 의한 영향(Hand Phantom) 상태에서 WCDMA 기반으로 송수신되는 신호의 특성을 측정할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측정 결과에서 TIS는 낮을수록, 그리고 TRP는 높을수록 통신 서비스 품질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손에 의한 영향 상태에서 상기 제2안테나(113)의 특성이 상기 제1안테나의 특성에 비하여 5dB 향상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제2안테나(113)의 특성이 자유 공간 상태에서의 상기 제1안테나(111) 특성에 비하여 다소 저하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제1안테나(111)의 특성에 비해서는 매우 양호한 특성을 나타냄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양호한 통신 서비스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단말(100)은 사용자 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기 무선 단말(100)의 케이스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안테나(113)를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100)의 RF 보정 시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전체 대역에 대한 RF 보정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RF 보정 공정 시, 통신 패스를 상기 무선 단말(100)의 전체 대역을 이용할 수 있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안테나(113)를 이용하는 지원 대역의 RF 보정을,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에 의해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의 상세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제1안테나(111)와, 제2안테나(113)와, 검출부(160)와, 통합신호 처리부(300) 및 스위치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400)에 의해 상기 제1안테나(111) 및 제2안테나(113)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 연결되는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320)와, GSM AMP(330)와, WCDMA AMP(340)와, 듀플렉서(Duplexer)(350) 및 신호 처리부(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안테나(111)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 사이에는 RF 커넥터(3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RF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RF 보정을 위한 공정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36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업 컨버터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SM AMP(330)는 상기 신호 처리부(360)에서 전달되는 GSM 방식의 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이를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WCDMA AMP(340)는 상기 듀플렉서(350)와 상기 신호 처리부(360) 사이에 위치하여 WCDMA 방식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며, 상기 듀플렉서(350)는 WCDMA 방식 신호의 송신과 수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듀플렉서(350)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테나(111) 운용 즉, 보정 모드 진입 시에는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와 상기 듀플렉서(340) 사이에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제2안테나(113) 운용 즉, 통화 모드 진입 시에는 상기 듀플렉서(340)와 상기 제2안테나(113) 사이에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패스를 지원한다.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는 상기 제1안테나(111) 운용 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무선 단말(100)의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 배분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는 상기 제1안테나(111) 운용에 의한 보정 모드에서 상기 무선 단말(100)의 전체 대역들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RF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배분을 담당한다. 즉,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는 상기 제2안테나(113)의 지원 대역에 대한 신호 배분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부(160)가 전달하는 검출신호(Detection Signal)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400)의 온/오프를 위한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1안테나(111)와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는 보정 모드에서 RF 보정 시,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를 거치는 기존 패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안테나(113)를 이용하는 통신 방식 예컨대, WCDMA 통신 방식의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이에 의해, RF 보정 시 상기 제2안테나(113)의 RF 보정을 위한 RF 커넥터 및 스위치 플렉서의 단품 추가 없이, 전체 다중 대역들에 대한 일괄적인 RF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합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제2안테나(113) 운용 시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를 거치지 않고 WCDMA 통신 방식의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게 됨으로, 상기 스위치 플렉서(320)에 의한 신호 감쇄를 방지하여 보다 양호한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100)은 사용자의 무선 단말(100) 파지에 의한 방사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는 상기 제2안테나(113)를 특정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직접 패스에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100)은 상기 검출부(160)의 검출신호(Detection Signal)에 따른 RF 보정 공정 시, 상기 제1안테나(111)를 상기 무선 단말(100)이 지원하는 모든 통신 방식을 위한 통합 패스에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RF 보정 공정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단말(100)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무선 단말(100)의 운용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70)는 대기 모드에서(501단계) 통신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시(503단계), 상기 통신 이벤트를 분석한다(505단계, 507단계).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통신 이벤트는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통화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통화 이벤트, 상기 무선 단말(100)의 RF 보정을 위한 보정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보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이벤트는 상기 검출부(160)의 검출신호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505단계 및 507단계에서 상기 통신 이벤트의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 이벤트 분석 시, 상기 검출부(160)로부터의 검출신호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 이벤트가 상기 보정 모드로 진입하는 보정 이벤트인지, 또는 사용자의 통화 모드 진입에 따른 통화 이벤트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507단계에서 보정 이벤트로 판단하면, 보정 모드를 위한 스위칭을 제어한다(509단계).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4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스위칭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안테나(111)와의 통신 패스를 구성한다(511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공정 절차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100)의 전체 다중 대역에 대한 RF 보정에 따른 동작을 처리한다(513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RF 보정에 따른 동작 처리 중, 상기 RF 보정 공정의 종료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521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170)의 상기 종료 여부 판별은 상기 RF 커넥터(310)에 인입되는 RF 케이블의 탈착에 따라 상기 검출신호의 전달이 중단되거나, 또는 RF 케이블의 탈착을 알리는 검출신호가 새로이 전달될 시, 상기 RF 보정 공정의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RF 보정 공정을 종료하거나, 또는 523단계로 진입하여 상기한 RF 보정 공정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507단계에서 통화 이벤트로 판단하면, 통화 모드를 위한 스위칭을 제어한다(515단계). 즉, 상기 제어부(170)는 설정, 선택 또는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111) 또는 상기 제2안테나(113)와의 통신 패스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40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도 5에서는 안테나 방사 성능을 위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상기 제2안테나(113)를 이용하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즉, 상기 제2안테나(113)는 통신 기능 이용 시 사용자의 파지 상태에 따라 방사 성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테나로서, 예를 들면, 상기 무선 단말(100)의 스피커(SPK)가 마련된 위치에 배치되는 안테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스위칭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2안테나(113)와의 통신 패스를 구성한다(517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형성된 패스 기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519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 기능 지원 중, 상기 통화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521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170)의 상기 종료 여부 판별은 사용자의 상기 통화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 또는 상기 통화 모드에 따른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 단절 등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 모드를 종료하거나, 또는 523단계로 진입하여 상기한 통신 기능을 계속하여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기 무선 단말(100)의 상기 제1안테나(111)는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로서 설명하고, 상기 제2안테나(113)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안테나(113) 또는 두 개 이상의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안테나(11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장 공간을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대역을 지원하는 길이 또는 체적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제2안테나(113)는 하나의 대역 또는 두 개 이상의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안테나들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Claims (16)

  1. 무선 단말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보정(calibration)을 위한 RF 커넥터 및 상기 RF 커넥터에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부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 간의 통신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통신 모드를 구분하고, 구분하는 통신 모드별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은,
    상기 무선 단말의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대역을 지원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마이크가 배치된 단말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안테 나는 스피커가 배치된 단말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테나가 지원하는 상기 통합 대역은, 상기 제2안테나의 상기 특정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는,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무선주파수부의 스위치 플렉서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와 연결되는 상기 스위치 플렉서와의 패스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안테나와의 직접 패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상기 검출신호가 전달될 시, 보정 모드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모드 요청을 감지할 시, 상기 통화 모드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 또는 제2안테나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 시, 상기 통화 모드 수행에 지정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고, 상기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안테나와의 통신 패스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모드 요청을 감지할 시, 상기 통화 모드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안테나와의 통신 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대역의 통신 방식 지원 시 상기 스위치 플렉서를 고립시키고, 상기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대역의 통신 방식 지원 시, 상기 스위치 플렉서와 패스를 연결하여, 상기 제1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 단말.
  11.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보정 방법에 있어서,
    통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통신 이벤트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이벤트가 보정 이벤트이면,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들 중 보정 모드를 위한 특정 안테나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칭 제어에 의하여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상기 특정 안테나와 통신 패스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통합 대역에 대한 RF 보정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통합 대역을 지원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대역을 지원하는 제2안테나와, 상기 RF 보정을 위한 RF 커넥터와, 상기 RF 커넥터에 RF 케이블의 인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분배하는 스위치 플렉서와, 상기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 간의 통신 패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를 포함하는 통신 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가 지원하는 상기 통합 대역은, 상기 제2안테나의 상기 특정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통화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통화 이벤트, 상기 무선 단말의 RF 보정을 위한 보정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보정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이벤트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가 통화 이벤트이면, 지정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 또는 상기 제2안테나와의 통신 패스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의 RF 보정 방법.
KR1020090087572A 2009-09-16 2009-09-16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10029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72A KR20110029757A (ko) 2009-09-16 2009-09-16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US12/882,475 US8559883B2 (en) 2009-09-16 2010-09-15 Wireless device and signal path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72A KR20110029757A (ko) 2009-09-16 2009-09-16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57A true KR20110029757A (ko) 2011-03-23

Family

ID=4373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72A Withdrawn KR20110029757A (ko) 2009-09-16 2009-09-16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9883B2 (ko)
KR (1) KR201100297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636A1 (ko) * 2012-03-15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모뎀,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62B1 (ko) * 2004-04-14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덮개 닫힘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0048860B2 (en) 2006-04-06 2018-08-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
US8335476B2 (en) * 2009-07-06 2012-12-18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US8577321B2 (en) 2010-12-02 2013-11-05 Apple, Inc. Methods for selecting antennas to avoid signal bus interference
US9367085B2 (en) 2012-01-26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taking into account which limb possesses the electronic device
KR101958425B1 (ko) * 2012-08-29 2019-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CN103856224B (zh) * 2012-12-04 2016-12-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天线自动配置功能的电子装置及天线配置方法
US9215302B2 (en) * 2013-05-10 2015-12-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user handedness and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WO2015089198A1 (en) * 2013-12-10 2015-06-18 Vysk Communications, Inc. Camera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8724020B1 (en) 2013-12-10 2014-05-13 Vysk Communications, Inc. Microphone and camera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8731186B1 (en) 2013-12-10 2014-05-20 Vysk Communications, Inc. Microphone disruption apparatus and method
US9971496B2 (en) 2014-08-04 2018-05-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341149B1 (ko) 2015-04-28 2021-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510289B1 (en) * 2015-11-05 2016-11-29 Silicon Laboratories, Inc. In system calibration of wake up timer
DE112016007559T5 (de) * 2016-12-29 2019-09-26 Xi'an Yep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Ltd Adaptives antennenumschaltsystem und umschaltverfahren und intelligentes endgerät
US10580402B2 (en) * 2017-04-27 2020-03-0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Voice-based control in a media system or other voice-controllable sound generating system
CN107395248B (zh) * 2017-08-08 2022-11-18 大器物联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能实现双角色通讯的设备及在单一设备上实现双角色通讯的方法
CN113660005B (zh) * 2021-08-16 2022-11-0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天线切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502B1 (ko) * 1996-12-30 1999-06-15 정장호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시험회로
US6252542B1 (en) * 1998-03-16 2001-06-26 Thomas V. Sikina Phased array antenna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rray clusters
US6208287B1 (en) * 1998-03-16 2001-03-27 Raytheoncompany Phased array antenna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DE19931252C1 (de) * 1999-07-07 2001-03-29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Prüfung eines Rundfunkempfangssystems
US6163296A (en) * 1999-07-12 2000-12-19 Lockheed Martin Corp. Calibration and integrated beam control/conditioning system for phased-array antennas
US6084545A (en) * 1999-07-12 2000-07-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Near-field calibration system for phase-array antennas
US6456675B2 (en) * 1999-10-12 2002-09-24 Memorylink Corporation Diversity reception employing periodic testing
JP2002135186A (ja) * 2000-10-24 2002-05-10 Sony Corp 受信機
US6549078B1 (en) * 2000-11-18 2003-04-15 Ashvattha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ly modulat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use in frequency/phase modulated systems
WO2003043129A1 (en) * 2001-10-05 2003-05-22 Hantel Co., Ltd. Calibration apparatus for smart antenna and method thereof
TWI237249B (en) * 2003-06-20 2005-08-01 Mediatek Inc Write pulse generator with alignment calibration
JP4299641B2 (ja) * 2003-11-17 2009-07-22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無線基地局試験方法及び試験装置
US7254379B2 (en) * 2004-07-09 2007-08-0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RF receiver mismatch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US7289924B2 (en) * 2005-07-20 2007-10-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lf-calibrating sensor
CN101305520B (zh) * 2005-11-11 2010-05-19 Nxp股份有限公司 包括西格马德尔塔模-数转换器的信号处理电路
US7339367B2 (en) * 2006-04-28 2008-03-04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rface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multiple test probes
KR20100034838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안테나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기를 지원하기 위한 보정 장치 및 방법
GB2467773B (en) * 2009-02-13 2012-02-01 Socowave Technologies Ltd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n antenna array
JP5620757B2 (ja) * 2010-09-01 2014-11-0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レーダ装置
US20120113828A1 (en) * 2010-11-09 2012-05-10 Thomas Williston Head Beam-former hu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636A1 (ko) * 2012-03-15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모뎀, 전기제품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9883B2 (en) 2013-10-15
US20110065392A1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9757A (ko) 무선 단말의 방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KR101650331B1 (ko)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US1124610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US94560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8942642B2 (en) Cellular phone and apparatus for tuning to a selected frequency modulation station and downconverting a corresponding radio frequency signal for audio play out
US8958760B2 (en) Dynamic transmit configurations in devices with multiple antennas
KR101790042B1 (ko) 이어폰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 방법
US10554229B2 (en) Transmitter apparatus of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135812A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20200043615A (ko) 통신 상태에 기반한 상향링크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528495B1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정합 장치
KR20200067336A (ko) 안테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13099A (ko)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899908B (zh) 音频处理装置、方法及系统
US8929960B2 (en) Voice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N201178407Y (zh) 一种具有收音机功能的便携终端
KR20110018788A (ko)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를 가지는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무선 통신부 운용 방법
US882511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for mobile telephony and television, and corresponding accessory
US83918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20120094602A1 (en)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phone
KR20090054563A (ko)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KR100619984B1 (ko) 라디오 안테나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라디오 수신방법
US20250260422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Having Multiple Antennas for Communication Diversity
KR101077365B1 (ko) 휴대용 기기의 다기능 이어폰
KR100672306B1 (ko)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