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63A -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0063A KR20110040063A KR1020090097189A KR20090097189A KR20110040063A KR 20110040063 A KR20110040063 A KR 20110040063A KR 1020090097189 A KR1020090097189 A KR 1020090097189A KR 20090097189 A KR20090097189 A KR 20090097189A KR 20110040063 A KR20110040063 A KR 201100400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reheater
- hybrid vehicle
- relay
- main re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성에 프리히터를 포함시키고, 이 프리히터를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저온 영역에서 배터리의 충방전 작동을 빠른 시간내에 정상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preheater in a circuit configuration inside a battery pack, and operates the preheater by using regenerative braking power of the hybrid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allow the battery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normally in a low temperature reg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방전 단속을 위하여, 배터리의 양극측에 연결되는 제1메인릴레이와, 상기 배터리의 음극측에 연결되는 제2메인릴레이를 포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제1메인릴레이의 출력단과 상기 제2메인 릴레이의 출력단 간에 배선 연결되어, 회생제동에 따른 모터의 발전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예열시키는 프리히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power relay assembly including a first main relay connected to a positive side of the battery and a second main relay connected to a negative side of the batter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A preheat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ain relay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main relay to preheat the battery using the generated power of the motor according to regenerative braking; It provides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성에 프리히터를 포함시키고, 이 프리히터를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저온 영역에서 배터리의 충방전 작동을 빠른 시간내에 정상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preheater in a circuit configuration inside a battery pack, and operates the preheater by using regenerative braking power of the hybrid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allow the battery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normally in a low temperature region.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원을 보조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미래형 차량을 말한다.The hybrid vehicle refers to a future vehicle that can adopt a motor driving sourc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as well as an engine, and can reduce exhaust gas and improve fuel efficiency.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을 위한 일 구성예를 첨부한 도 8을 참조로 살펴보면, 엔진(100), 모터(200), 자동변속기(300)가 일축상에 직결되어 있고, 상기 엔진(100) 및 모터(200)간에는 클러치(400)가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의 동작을 위한 구성으로서 고전압배터리(500)가 인버터(600)를 통해 상기 모터(200)와 충방 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8 attached to a configuration example for power transmission of the hybrid vehicle,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 및 주행모드를 보면, 상기 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electric vehicle)모드(도 8의 (a) 참조)와, 엔진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상기 모터(20)의 회전력을 보조 동력으로 이용하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모드(도 8의 (b) 참조)와, 엔진 동력만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동시에 모터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발전기(generator) 역할을 하게 되는 엔진 단독 모드(도 8의 (c) 참조)와,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시 차량의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상기 모터에서 발전을 통하여 회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회생제동(RB: Regenerative Braking)모드(도 8의 (d) 참조) 등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power transmission and driving mode of the hybrid vehicl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 (electric vehicle) mode (see Fig. 8 (a)) which is a pure electric vehicle mode using only the power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as the main power While the HEV (hybrid electric vehicle) mode (see (b) of FIG. 8)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상기와 같은 주행을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중 배터리는 하나의 유니트인 배터리 팩으로 구성되는데,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팩의 주 운전영역의 폭은 상당히 좁은데 반하여, 실제 운행해야 할 영역에서의 배터리 팩 온도는 일정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hybrid vehicle that runs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is configured as a battery pack, which is a unit. As shown in FIG. 7, the width of the main driving region of the battery pack is quite narrow, but the actual driving must be performed. The battery pack temperature in a reg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constantly.
특히, 배터리 팩의 저온 영역에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배터리의 특성상 방전시보다 충전시 전해액의 염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it may cause a problem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of the battery pack, because the nature of the battery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chloride of the electrolyte proceeds faster than the charge during discharge.
한편,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중 모터, 인버터, 배터리 등은 고온 방지를 목적으로 수냉 혹은 공랭의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냉각되는데, 모터의 경우는 수냉의 형태로 냉각되고, 인버터는 공랭이나 수냉의 형태로 냉각되며, 배터리는 주로 공랭 형태의 냉각 시스템에 의하여 냉각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a hybrid vehicle, a motor, an inverter, a battery, etc., are cooled by a water cooling or air cool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high temperature. In the case of a motor, the motor is cooled in the form of water cooling, and the inverter is cooled in the form of air cooling or water cooling. The battery is mainly cooled by an air cooling type cooling system.
그러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일반 전자제품과 달리 저온과 고온영역에서 모두 작동되어야 하는 기계이므로, 각 구성에 대한 온도 변화에 따른 가혹도는 더할 것이고, 이중 온도에 가장 취약한 부품으로 배터리를 들 수 있다.However, since a hybrid vehicle is a machine that must be operated in both low and high temperature regions unlike general electronics, the sever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for each component will be added, and the battery is the most vulnerable part of the dual temperature.
고온 동작(45℃이상)의 경우, 배터리 모듈 내부의 BCM(BATTERY CONTROL MODULE)에서 그 출력을 제한하여 배터리 모듈 스스로를 보호하려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 감소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상 4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랭식 쿨링팬(COOL’G FAN)을 적용하여 배터리 온도를 제어한다.In the case of high temperature operation (above 45 ℃), the BCM (BATTERY CONTROL MODULE) inside the battery module restricts its output to protect the battery module itself, which causes a reduction in fuel efficiency of the hybrid vehicl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ir temperature cooling fan (COOL'G FAN) is appli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below 45 ° C at all times to control the battery temperature.
배터리 온도 제어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저온 영역에서 작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저온 영역에서 배터리는 그 용량이 감소하게 되고, 사용량에 따라 전해액의 염화가 진행됨으로써, 수명이 줄어드는 요인이 되고, 결국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재료비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의 내구 수명저하로 이어지게 된다.In the battery temperature control,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operation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occurs, the battery has a reduced capacity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the chloride of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use, which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life, As a result, battery life,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material cost in a hybrid vehicle, is reduced.
여기서, 종래의 배터리 팩 내부 구조 및 그 동작을 첨부한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attached to a conventional battery pack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thereof are as follows.
종래의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조를 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10)와, 안전플러그(18: safety plug)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 PRA: Power Relay Assembly)로 크게 나누어진다.As shown in FIG. 5, a circui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is largely divided into a
보다 상세하게는, 각 배터리 셀(12)들이 안전플러그(18)에 의하여 연결되고, 배터리(10)의 양극쪽에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의 제1메인릴레이(21)가 연결되는 동시에 배터리(10)의 음극쪽에는 전류센서(23)와 제2메인릴레이(22)가 연결되며, 전류센서(23)의 출력단에는 프리차지 릴레이(24)가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each
또한,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21,22), 그리고 프리차지 릴레이(24)는 배터리 제어기인 BMS(40)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따라서, 도 6의 순서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배터리(10) 온도가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배터리 충방전 작동에 따른 엔진+모터 어시스트 주행 모드)이 가능한 온도인지를 판단하여, BMS(40)에서 각 릴레이(21,22)를 여자시켜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the flowchart of FIG. 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조에서는 저온 영역에서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필요한 경우, 배터리의 저온 특성상 방전작동시의 경우보다 충전작동시 배터리 전해액의 염화가 급속히 발생하여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배터리 온도가 상승할 때까지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중지한 상태로 있다가 일정온도로 상승시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다시 시작하는 형태의 운용만이 가능하고, 결국 저온상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연료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저온에서 가능한 빨리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시작할 수 있는 온도까지 배터리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However, in the circui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when hybrid mode operation is required in a low temperature region, the battery electrolyte is rapidly chlorided during charging operation due to the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thereby shortening battery life. It is only possible to operate the hybrid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hybrid mode operation is suspended until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n resume the hybrid mode opera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to a certain temperature. As a result, the company needs a way to raise the battery temperature to a temperature where it can start hybrid mode operation as quickly as possible at low temperatures.
특히, 하이브리드 상용차량(버스)의 경우 배터리 팩이 루프(ROOF)쪽에 장착됨으로써, 루프에 구성되는 실내 덕트 및 배관을 통한 엔진냉각수 유입이나 히팅 에어(HEAT’G AIR) 유입으로 인해 배터리의 열손실이 심하게 발생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ybrid commercial vehicle (bus), the battery pack is mounted on the roof (ROOF) side, so that the heat loss of the battery due to the inflow of engine coolant through the indoor ducts and pipes or the heat'G air inflow in the roof This happens bad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배터리의 저온 구간에서 하이브리드의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저온상태에서의 배터리 온도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서,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성에 프리히터를 포함시키고, 이 프리히터를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온도를 미리 가열시키면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빠른 시간에 정상화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battery temperature management method in a low temperature state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assist (MOTOR ASSIST) of the hybrid in the low temperature section of the battery, the circuit configuration inside the battery pack By including the preheater and operating the preheater using the power from the regenerative braking of the hybrid vehicle, the battery pack can be rapidly heated while preheat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thereby normalizing the hybrid mode operation in a short time and fuel econom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방전 단속을 위하여, 배터리의 양극측에 연결되는 제1메인릴레이와, 상기 배터리의 음극측에 연결되는 제2메인릴레이를 포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제1메인릴레이의 출력단과 상기 제2메인 릴레이의 출력단 간에 배선 연결되어, 회생제동에 따른 모터의 발전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예열시키는 프리히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power relay assembly including a first main relay connected to a positive side of the battery and a second main relay connected to a negative side of the battery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A preheat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ain relay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main relay to preheat the battery using the generated power of the motor according to regenerative braking; It provides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comprising a.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제1메인릴레이의 출력단과 프리히터간에 연결되어, BMS에 의한 온오프 제어를 받게 되는 프리히팅용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heating relay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re-heater of the first main relay, the on-off control by the BMS.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프리히터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감싸는 배터리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유로내의 냉각유체를 가열하는 히팅 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heater is a heating core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case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heat the cooling fluid in the flow path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ca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온도가 하이브리드 작동이 가능한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배터리의 온도가 하이브리드 작동이 가능한 범위 이하인 저온 상태이면, 배터리 팩내의 회로 구성중 하나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1메인릴레이와 프리히터간에 연결된 프리히팅용 릴레이를 온으로 여자시키는 단계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에 따른 모터의 발전 전력이 상기 프리히팅용 릴레이를 통해 프리히터로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프리히터의 가열 작동에 의하여 배터리 팩내의 각 배터리 셀들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s a range capable of hybrid operation; If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a range capable of hybrid operation, exciting the preheating rela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ain relay and the preheater of the power relay assembly, which is one of circuit configurations in the battery pack, to be turned on; Supplying generated electric power of a motor according to regenerative braking of a hybrid vehicle to a preheater through the preheating relay; Heating each battery cell in a battery pack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heating operation of the preheater; It provides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성에 프리히터를 포함시켜서, 배터리의 저온 구간에서 프리히터를 회생제동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 로써, 배터리 팩내의 배터리 셀들의 온도를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가능한 온도까지 빠른 시간내에 상승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저온 구간에서 하이브리드의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 성능 즉,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 성능이 신속하게 발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preheater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inside the battery pack, by operating the preheater using the power of the regenerative braking in the low temperature section of the battery, the hybrid mod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pack It is possible to raise the temperature as quickly as possible, so that the hybrid motor assist performance, ie hybrid mode operating performance, can be quickly exhibited in the low temperature section of the batter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온도 조건이 최적의 배터리 운행 구간에서 바깥 범위에 있을 경우, 즉 배터리의 온도가 저온 상태인 경우, 배터리 충방전을 막기 위해 BCM(BATTERY CONTROL MODULE)은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중지하는 제어를 하게 되고, 배터리의 온도가 운행 가능 범위에 상승하기까지 기다리게 되는데, 이는 엔진 동력 이외에 모터 어시스트가 작동을 하지 못하여, 즉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하지 못하여 연비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 battery's temperature condition is outside the optimum battery operating range, i.e. when the battery's temperature is low, the BCM (BATTERY CONTROL MODULE) stops the hybrid mode operation to prevent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t is controlled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rises to the operating range, which is the engine assist in addition to the engine power can not operate, that is, the hybrid mode of operation can be a factor that inhibits fuel economy.
또한,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 모터에 의한 회생 제동력을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가 되어, 브레이크(BRAKE) 성능도 저하될 수 있고, 특히 배터리 저온 상태에서 회생 제동력을 이용하여 발전된 에너지(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게 된다면 배터리 수명이 저하되는 환경을 만들게 된다.In addition, if the hybrid mode operation is not performed, it is difficult to use the regenerative braking force by the motor, and the brake performance may also be reduced. In particular, energy (power) generated by u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force in a low temperature state of the battery may be reduced. Charging the battery creates an environment that reduces battery lif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팩내에 프리히터를 설치하고, 이 프리히터를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온도를 미리 가열시키면서 빠르게 상승시켜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빠른 시간내에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In view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reheater in the battery pack, and operates the preheater using the power generated by regenerative braking of the hybrid vehicle, thereby rapid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while preheating the hybrid mode of operation. The main focus is on getting things up and running quickly.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조를 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10)와, 안전플러그(18: safety plug)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 PRA: Power Relay Assembly)로 크게 나누어지고, 각 배터리 셀(12)들이 안전플러그(18)에 의하여 연결되며, 또한 배터리(10)의 양극쪽에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의 제1메인릴레이(21)가 연결되는 동시에 배터리(10)의 음극쪽에는 전류센서(23)와 제2메인릴레이(22)가 연결되고, 전류센서(23)의 출력단에는 프리차지 릴레이(24)가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circuit structure inside the battery pack, as shown in FIG. 1, the
특히,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는 배터리(10)에 대한 충방전 단속을 위한 구성으로서, 배터리(10)의 양극측에 연결되는 제1메인릴레이(21)와, 상기 배터리(10)의 음극측에 연결되는 제2메인릴레이(22)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메인릴레이(21)의 출력단과 상기 제2메인 릴레이(22)의 출력단 간에 회생제동에 따른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0)를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시키는 프리히터(30)가 배선 연결되어진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제1메인릴레이(21)의 출력단과 프리히터(30)간에는 BMS(40)에 의한 온/오프 제어를 받으면서 프리히터(30)의 작동을 단속하는 프리히팅용 릴레이(32)가 연결된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21,22), 프리차지 릴레이(24), 그리고 프 리히팅용 릴레이(32)는 배터리 제어기인 BMS(40)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된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프리히터(30)는 배터리의 저온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에 따른 모터의 발전 전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히팅 코어로서,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 셀(12)을 감싸는 배터리 케이스(14)의 바닥면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heater 30 is a heating core that is operated by the generated power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regenerative braking of the hybrid vehicle in the low temperature state of the battery, as shown in Figure 4 attached to a plurality of
이에, 상기 프리히터(30) 즉, 히팅 코어가 회생제동에 따른 모터의 발전 전력에 의하여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 케이스(14)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유로(16)내의 냉각유체를 가열하게 되고, 그 가열된 열이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전달되어 배터리 셀들을 가열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가 회생 제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회로 구성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generative braking. to be.
먼저, 배터리(10)의 온도가 하이브리드 모드(엔진+ 모터 어시스트 모드) 작동이 가능한 범위인지를 판정한다.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그 판정 결과, 배터리(10)의 온도가 하이브리드 작동이 가능한 범위 이하인 저온 상태로 판정되면, BMS(4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0)의 제1메인릴레이(21)와 프리히터(30)간에 연결된 프리히팅용 릴레이(32)가 온으로 여자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물론, 배터리(10)의 온도가 하이브리드 작동이 가능한 범위로 판정되면, 제1 및 제2메인릴레이(21,22)를 온으로 여자시켜서, 배터리의 충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Of cours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상기 프리히팅용 릴레이(32)가 온으로 여자되면, 상기 프리히터(40)는 모터(MG: Motor & Generator)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preheating
이때,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이 이루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회생제동에 따른 모터의 발전 전력이 상기 프리히팅용 릴레이(32)를 통해 프리히터(30)로 공급되어, 프리히터(30)의 가열 작동이 시작된다.At this time, when regenerative braking of the hybrid vehicle is performed,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according to regenerative braking is supplied to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4)의 바닥면에 설치된 프리히터(30) 즉, 히팅 코어가 가열 작동을 시작하여, 배터리 케이스(14)의 측면부에 형성된 유로(16)내의 냉각유체를 가열하게 되고, 이 가열된 열로 인하여 배터리 케이스내의 배터리 셀들이 가열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렇게 상기 프리히터(30)의 가열 작동에 의하여 배터리 팩내의 각 배터리 셀(12)들이 소정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가능한 배터리 온도까지 가열된다.The heating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이, 저온 상태의 배터리를 신속하게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가능한 온도까지 가열해 줌으로써, 하이브리드 모드 작동이 빠른 시간내에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해준다.In this way, the low-temperature battery is quickly heated to a temperature at which hybrid mode operation is possible, thereby allowing the hybrid mode operation to operate normally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1 is a circuit block diagram showing a battery pre-heating device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가 회생 제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회로 구성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free heating device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generative brak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프리 히팅장치 구성중 프리히터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heater structure of a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배터리 팩 내부 회로 구성도,5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internal circuit,
도 6은 종래의 배터리 팩 내부의 회로 구성에 의한 충방전 순서도,6 is a flowchart of charge and discharge according to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도 7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온도에 따른 운전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7 is a graph illustrating driv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attery temperature of a hybrid vehicle;
도 8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을 위한 일 구성예 및 그 주행 모드를 설명하는 개략도.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power transmission of a hybrid vehicle and a driving mode thereof.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배터리 12 : 배터리 셀10
14 : 배터리 케이스 16 : 유로14 battery case 16: euro
18 : 안전플러그 20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8: safety plug 20: power relay assembly
21 : 제1메인릴레이 22 : 제2메인릴레이21: the first main relay 22: the second main relay
23 : 전류센서 24 : 프라차지 릴레이23: current sensor 24: precharge relay
30 : 프리히터 32 : 프리히팅용 릴레이30: preheater 32: relay for preheating
40 : BMS40: B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97189A KR20110040063A (en) | 2009-10-13 | 2009-10-13 |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97189A KR20110040063A (en) | 2009-10-13 | 2009-10-13 |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40063A true KR20110040063A (en) | 2011-04-20 |
Family
ID=440464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97189A Ceased KR20110040063A (en) | 2009-10-13 | 2009-10-13 |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40063A (en)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165953A (en) * | 2011-12-19 | 2013-06-19 | 苏州能健电气有限公司 | Heating return circuit of battery box |
| KR20130007324U (en) * | 2012-06-14 | 2013-12-2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Power Relay assembly |
| WO2014181983A1 (en) * | 2013-05-08 | 2014-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ystem for preheating batteries and method for preheating batteries using same |
| KR20150062372A (en) * | 2013-11-29 | 2015-06-08 | 최지현 | Battery heat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50068245A (en) * | 2013-12-11 | 2015-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battery output |
| WO2016182199A1 (en) * | 2015-05-14 | 2016-11-17 |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9851388B2 (en) | 2014-05-09 | 2017-12-26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of battery heating system and relays |
| US10250047B2 (en) | 2015-07-20 | 2019-04-02 | Lsis Co., Ltd. | Battery disconnect unit |
| CN112693364A (en) * | 2020-12-28 | 2021-04-23 |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 Power battery preheating and charging heat preservation control method |
-
2009
- 2009-10-13 KR KR1020090097189A patent/KR2011004006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165953A (en) * | 2011-12-19 | 2013-06-19 | 苏州能健电气有限公司 | Heating return circuit of battery box |
| KR20130007324U (en) * | 2012-06-14 | 2013-12-2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Power Relay assembly |
| WO2014181983A1 (en) * | 2013-05-08 | 2014-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ystem for preheating batteries and method for preheating batteries using same |
| US9866049B2 (en) | 2013-05-08 | 2018-01-09 | Lg Chem, Ltd. | Battery warm up system and method for warming up battery using the same |
| KR20150062372A (en) * | 2013-11-29 | 2015-06-08 | 최지현 | Battery heat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50068245A (en) * | 2013-12-11 | 2015-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battery output |
| US9851388B2 (en) | 2014-05-09 | 2017-12-26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of battery heating system and relays |
| KR20160133957A (en) * | 2015-05-14 | 2016-11-23 |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 Battery preheat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WO2016182199A1 (en) * | 2015-05-14 | 2016-11-17 |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07667449A (en) * | 2015-05-14 | 2018-02-06 | 大华合成技术株式会社 |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 EP3296142A4 (en) * | 2015-05-14 | 2019-01-09 | Dae Wha Alloytech Co., Ltd. |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
| US20190016232A1 (en) * | 2015-05-14 | 2019-01-17 | Dae Wha Alloytech Co., Ltd. |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0703212B2 (en) | 2015-05-14 | 2020-07-07 | Dae Wha Alloytech Co., Ltd. |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0250047B2 (en) | 2015-07-20 | 2019-04-02 | Lsis Co., Ltd. | Battery disconnect unit |
| CN112693364A (en) * | 2020-12-28 | 2021-04-23 |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 Power battery preheating and charging heat preservation control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10040063A (en) | Hybrid vehicle battery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 CN109070758B (en) | Battery temperature and charg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 |
| US9919710B2 (en) | Power storage system | |
| CN105612081B (en) | Accumulating system for vehicle | |
| CN105939878B (en) | The method of vehicle and control vehicle | |
| CN102139646B (en) | Power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594824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storage battery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 KR101736201B1 (en) | Energy storag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apable of heating the low temperature batte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08016229A (en) | Control device of battery for vehicle | |
| CN103085679A (en) | Battery warm-up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 JP2015166204A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 RU2659307C2 (en) | Vehicle and method of vehicle control | |
| JP2007221886A (en) | Secondary battery charge / discharge controller | |
| JP2015071334A (en) |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 |
| JP2014018018A (en) | Battery system controller | |
| US9718453B2 (en) | Hybrid vehicle | |
| JP2008049877A (en) | Battery control device | |
| JP2016152067A (en) | Power storage system | |
| WO2014002544A1 (en) | Charg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 JP2017004848A (en) | In-vehicle secondary battery cooling system | |
| KR20170057681A (en) | Motor syste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 |
| JP2013062081A (en) | Battery temperature control unit | |
| JP2013141337A (en) | Controller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 JP5042816B2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 |
| JP6466787B2 (en) | In-vehicle secondary battery cool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