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41783A -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783A
KR20110041783A KR1020090098768A KR20090098768A KR20110041783A KR 20110041783 A KR20110041783 A KR 20110041783A KR 1020090098768 A KR1020090098768 A KR 1020090098768A KR 20090098768 A KR20090098768 A KR 20090098768A KR 20110041783 A KR20110041783 A KR 2011004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ving object
distance
energy
power sa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김진규
금복희
서동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9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783A/ko
Priority to PCT/KR2010/007104 priority patent/WO2011046401A2/en
Publication of KR2011004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7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 에너지 검출부와,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와, 이동체나 급전장치의 지리정보 및 구동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와, 이동체의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와,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목적지 거리 산출부와,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절전 상태판단부와, 및 절전 주행 상태시 상기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절전모드 제어부가 전기로 구동되는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소비 전력량, 공급 가능한 전력량,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와, 이동체와 최단거리 내에 있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및 상기 이동체가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체, 소비 전력량, 전기 구동, 급전장치, 절전모드, 에너지

Description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ENERGY-SAV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공급 및 소비하여 구동되는 이동체가 에너지를 공급하는 급전장치까지 이동함에 있어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동체의 주행 가능 거리와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비교하여 절전모드 상태에서 에너지 소비장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과 제어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의 공급과 소모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체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최근들어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와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같은 이동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이동체의 경우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방전 또는 소비에 의해 전기에너지의 충전 상태가 주행함에 있어 충분하지 않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기에너지의 부족은 자율주행과 주행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기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한 장치 또는 설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 로 하여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소비장치와 에너지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에너지 절약과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와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같은 이동체의 자율 주행과 주행 안정성을 위하여. 충전 또는 급전을 위한 설비로의 이동과 관련한 단계적인 에너지 제어시스템이 필요하고 에너지 소비장치의 특성에 맞도록 전력량의 조절과 제어가 배분되는 신개념의 에너지 제어 시스템이나 제어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와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같이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이동체의 자율 주행과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전 또는 급전 설비로의 이동과 에너지 소모의 제어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절약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행이나 이동 경로상에 제한적으로만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충전 또는 급전설비의 한계로 인해 전기 구동 이동체의 도로 운행 상황이 악화되거나 다른 운전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동체의 에너지 소비를 상황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혹은 소비장치에 맞추어 배분적으로 소비 전력량의 제한을 할당하는 에너지 관리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소모 상태와 잔여 전력량을 검출하여 다음의 충전 또는 급전설비까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은 전기로 구동되는 이동체에 적용된다.
이하에서 이동체는 충전식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온라인 전기자동차, 전동식 자전거, 전동식 모터사이클, 철도 차량, 선박, 비행기, 로켓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특히 충전식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온라인 전기자동차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체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는 전기에너지를 지칭하며, 공급되는 전력량으로 전기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의 구동 또는 이동에 전력을 소모하는 에너지 소비장치와, 상기 소비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소비장치는 이동체의 이동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외한 이동체의 운용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공급장치는 전기 에너지 저장부로서 역할을 하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집전장치, 커패시터, 슈퍼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연료전지, 또는 전기 에너지 발전부로서 역할하는 전기에너지 발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절약 제어 시스템은 이동체의 이동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외한 이동체의 운용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 에너지 검출부와, 상기 이동체의 소비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장치의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와, 상기 이동체의 위치 및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상기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와, 상기 소비 전력량, 공급 가능한 전력량, 및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와,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로부터 이동체와 최단거리 내에 있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목적지 거리 산출부와, 상기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절전 상태판단부와, 및 상기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너지 공급장치의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거나 조절하여 제어하는 절전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에너지 소비장치는 이동체의 구동 모터이고, 상기 제2 에너지 소비장치는 이동체에 장착되는 조명수단, 온도조절 수단, 음향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네비게이션, 전동식 개폐수단, 내장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체의 구동에 기능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장치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로서, 또한 그 외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장치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로 정의된다.
상기 조명수단은 실내등, 외부조명등, 전조등 등의 발광수단이며, 상기 온도조절 수단은 에어컨과 같은 냉방수단, 또는 히터와 같은 난방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수단은 라디오, CD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현시할 수 있는 표시부로서 LCD,PDP 등일 수 있다. 또한 전동식 개폐수단은 이동체의 문 또는 썬루프 등을 개폐하는 전자식 자동 수단일 수 있으며, 내장 컴퓨터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행 정보 취득부는, 상기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저장하는 구동 상태정보 획득 모듈과, 상기 이동체의 위치 및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거나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지리정보 모듈과, 및 상기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검색 모듈을 포함하지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체 또는 급전장치의 위치 정보나 지리정보는 GPS 위치수신장치 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검색 모듈은 주행 정보 취득부가 아닌 상기 목적지 거리 산출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행 정보 취득부는 상기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와 목적지 거리 산출부와 연동되어 취득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와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활용하는 특정 위치의 검색모듈은 목적지 거리 산출부나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에도 구성되어 소정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는, 상기 주행가능 거리가 상기 목적지 거리 또는 상기 목적지 거리보다 소정의 거리를 더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를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소정의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목적지 거리의 5% 내지 10%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는, 상기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이동체의 운전자 또는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에 전달되는 알림 메시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알림 메시지 신호 역시 상기 이동체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이동체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 신호를 전달받은 후에 비로서 에너지 소비장치의 절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는, 소비 전력량, 중요도, 주행 연관성 또는 주행 환경 조건에 따른 상기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와 공급 전력량의 조절을 결정하는 제어순서 설정부, 이동체 운전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자동 절전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은 이동체의 이동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이동을 제외한 이동체의 운용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소 비 에너지 검출부와,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와, 이동체나 급전장치의 위치, 지리정보, 및 구동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와,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와,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목적지 거리 산출부와,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절전 상태판단부와, 및 절전 주행 상태시 상기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절전모드 제어부가 전기로 구동되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에서 상기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과, 공급 가능한 전력량과,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 거리 산출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로부터 이동체와 최단거리 내에 있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에서 상기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및 상기 이동체가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가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가능 거리가 상기 목적지 거리 또는 상기 목적지 거리에 목적지 거리의 5% 내지 10%에 해당하는 거리를 더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를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가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라면,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가 이동체의 운전자 또는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에 전달되는 알림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의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의 중단 또는 조절 단계가, 소비 전력량, 중요도, 주행 연관성 또는 주행 환경 조건에 따라 기결정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와 공급 전력량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와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같이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이동체의 충전 또는 급전 설비로의 이동과 에너지 소모의 제어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약 제어 시스템이나 제어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주행이나 이동 경로상에 제한적으로만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충전 또는 급전설비의 한계로 인해 전기 구동 이동체의 도로 운행 상황이 악화되거나 다른 운전자의 피해를 막을 수 있어, 전기자동차와 같은 전기 구동 이동체의 자율 주행과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수급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아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에너지 관리 제어시스템과 방법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차량(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온라인 전기자동차 등)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이동체는 차량으로 한정하도록 한다.
전력의 추가 공급을 위하여 충전소나 급전도로와 같은 급전설비를 이용하는 전기구동 차량의 경우, 이런 시설의 설치장소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보유한 전력량으로 다음 설비까지 주행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지속적인 에너지의 공급과 차량이 보유한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전소나 급전도로와 같은 급전설비가 이용하는 전기구동 차량의 효율적 에너지 관리를 위해, 현재 소모중인 전력량과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공급 가능한 전력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산출하고,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급전설비와의 거리를 산출한 후, 두 거리를 비교하여, 필요한 경우 에너지 절약모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명확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주지되어 있거나 배경기술과 중복되는 기술 설명은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 차량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기 구동 차량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의 구성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상태를 검출하는 소모 에너지 검출부(35),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를 검출하는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40); 상기 차량의 위치 및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상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45); 현재의 에너지 소모 패턴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산출하는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50);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과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목적지 거리 산출부(55); 산출된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모드의 주행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절전 상태 판단부(60); 에너지 절약모드의 주행이 필요한 경우 필요한 정보의 제공과 제어를 수행하는 절전모드 제어부(66)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소모 에너지 검출부(35)와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40)와, 주행 정보 취득부(45)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에너지 소비장치 및 에너지 공급장치와 위치수신장치, 또는 외부로부터 산출의 근거가 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획득한다.
즉, 상기 소모 에너지 검출부(35)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25)부터 에너지 소모 정보 데이터 또는 부하 정보 데이터를 검출한다. 전기 에너지를 절전하는 곳은 기본적으로 차량을 구동시키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는 제외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제2 에너지 소비장치(25)에 대한 부하 정보만을 취득하는 것이다.
소모에너지 검출부(35)는 차량의 소비장치 중에서 차량의 이동과 무관한 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차량이 소모중인 전력(
Figure 112009063520593-PAT00001
)을 계산한다.
차량의 제2 소비장치(25)에는 에어컨/히터, 라디오, CD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실내등, 전조등, 구동모터 등이 있다. 이중 차량의 이동과 무관한 소비장치는 에어컨/히터, 라디오, CD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실내등, 전조등이며, 차량의 이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소비장치는 구동모터이다.
각 소비장치의 소모 전력의 산출은 각 장치의 입력전압과 전류 값에 의해 계산되며 전압과 전류의 검출은 센서와 장치의 통신수단에 의해 얻어진다.
차량 이동에 필요한 소비장치 이외의 소비장치가 m개 있을 경우 각 소비장치의 소비전력을 PL1, PL2, ..., PL3이라 할 때, 총 소비전력 PLoad [kW] = PL1 + PL2 + ... + PLm가 된다.
또한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40)는 에너지 공급장치(30)으로부터 전원 정보 데이터 등을 검출한다.
즉 공급 가능 전력 검출부(40)는 차량의 각종 전원 장치가 공급하고 있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차량의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산출한다. 각 전원 장치에는 출력전압과 전류 값을 감지하는 센서 혹은 통신장치가 구비되어 공급 가능 전력 검출부(40)로 전압과 전류 값이 전달된다.
전기구동 차량에 구비되는 전원 장치에는 배터리, 집전장치, 슈퍼커패시터 등이 있다. 배터리의 경우, SOC(State of Charge)의 값과 배터리의 최대 공급가능 전력량을 기반으로 배터리의 공급가능 전력량 (PS1)이 산출된다.
전기구동 차량의 일 예인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경우 급전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집전하는 집전장치로부터 1차적인 전력이 공급된다. 집전장치로부터의 공급가능 전력량(PS2)은 차량이 급전라인 상에 있는 경우에는 집전장치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 값으로 산출되고 급전라인이 상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집전장치의 공급전력량은 0이다.
기타 다른 종류의 공급장치도 장치의 특성에 따라 공급가능 전력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전력량의 계산에는 대부분 전류/전압값이 이용된다.
만일 차량의 공급장치의 종류가 n개가 있을 경우 각 장치로부터의 공급가능 전력량을 PS1, PS2, ..., PSn이라 하면 총 공급 가능 전력량 PSource [kWh] = PS1 + PS2 + ... + PSn이 된다.
또한 주행 정보 취득부(45)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10)와, 외부 GPS 송신장치(15)나 지리정보 관제센터(20)로부터 차량의 구동 상태 정보나, 현재 차량의 GPS 위치정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지리정보 데이터, 주행 도로의 위치 정보나 지리정보, 거리 정보 등을 획득한다.
상기 주행 정보 취득부(45)는 취득된 데이터 정보에 따라 구동 상태정보 획득모듈(450), 지리정보 모듈(451), 및 검색모듈(452)로 나뉠 수 있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 가능 거리 산출부(50)은 상기 구동 상태정보 획득모듈(450)로부터 얻어지는 차량의 구동 상태 정보와, 차량의 총 소모 전력량(Pload)과 공급 가능 총 전력량(Psource)을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산출한다.
주행 가능 거리 산출부는 먼저, 주행정보를 제공받는다. 주행정보는 모터의 구동상태를 말하며, 모터의 구동토크 τ [kgm], 회전속도 ω [rpm], 구동효율 η를 포함한다.
모터의 소모 전력이 PMotor [kW]라 할 때, 소모 전력 PMotor [kW]의 계산은 다음과 같은 예시로 수행될 수 있다.
모터 소모 전력 계산 예: 모터의 제동 마력(BHP: Break Horse Power)은 (2 x π x τ x ω x η)/(75 x 60)이며, 모터의 소모 전력 PMotor [kW]은 대략 (2 x π x τ x ω x η)/(75 x 60)에 0.7457을 곱한 값이 된다.
모터의 주행정보는 MCU(Motor Control Unit)으로부터 CAN 통신과 같은 차량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주행 가능 거리 산출부(50)는 산출된 차량의 소모 전력 PLoad [kW]와 주행상태 PMotor [kW], 공급 가능 전력량 PSource [kWh]로부터 먼저 다음과 같이 주행 가능 시간 T를 산출한다.
T [h] = PSource [kWh] / (PLoad [kW] + PMotor [kW]).
주행 가능 시간 T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행 가능 거리 S [km]를 산출한다.
S [km] = T x V, V는 차량의 속도[km/h].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거리 산출부(55)는 지리정보 모듈(451) 및 검 색모듈(452)에 의한 지리정보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 위치에서 주행경로 상에 있는 가장 가까운 급전설비까지의 최단거리를 검색하고 산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급전설비 및 도로 정보는 지리정보 관제센터(20) 등에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을 수 있고 차량에서 무선통신으로 원격에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으로 질의를 보낸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주행경로를 탐색하면서 수신한 차량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급전설비를 찾은 다음 급전설비의 시작 위치와 차량의 위치 사이의 거리 D를 산출한다. 원격의 지리정보시스템은 산출한 결과를 차량에 무선통신으로 보내고 목적지 거리 산출부(4)가 이를 수신하여 상태 판단부(5)로 보낼 수도 있다.
상기 상태 판단부(60)는 주행 가능 거리 산출부(50)와 목적지 거리 산출부(55)로부터 각각 주행가능 거리 S와 다음 급전설비까지의 거리 D를 수신하여 두 거리 사이의 관계를 판단한다.
주행가능 거리가 급전설비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경우 즉, S < D인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고 절약모드로 주행하기 위하여 절전모드 제어부(65)에 알림 메시지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이 때 운전자에게 미리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주행가능 거리가 급전설비까지의 거리를 단순비교하지 않고, 주행가능 거리가 급전설비까지의 거리보다 큰 경우라도, 목적지까지의 거리 D에 덧붙여 D 거리의 5% 내지 10%의 거리만큼 여유거리가 있는 경우에도 미리 경고 메시지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고 절전모드 제어부(65)에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상기 절전모드 알림 메시지 신호는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수단과 같은 표시부를 통하여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절전모드 제어부(65)는 상태 판단부(6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이 에너지 절약 모드로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 소비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여기서의 소비장치는 차량의 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제 2 소비장치를 말한다.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65)는 소비 전력량, 중요도, 주행 연관성 또는 주행 환경 조건에 따른 상기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와 공급 전력량의 조절을 결정하는 제어순서 설정부(650)와, 이동체 운전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651)와, 상기 설정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자동 절전모드 제어부(652)로 구성된다.
소비장치의 상태조절 목적은 주행에 불필요한 소비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 공급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차단 및 조절을 위해, 상기 제어순서 설정부(650)에서 소비장치의 전력소모량과 주행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소비장치를 중요도가 낮은 순으로 정렬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운전자 화면에 정보를 제공하고 운전자가 각각을 확인한 후 전원공급 차단 혹은 조절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651)에서는 운전자의 입력을 받아 제어를 수행하며, 자동 절전모드 제어부(652)에서는 자동모드에서 운전자의 입력신호 없이 정렬 순서에 따라 필요한 만큼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한다.
중요도에 따른 소비장치의 정렬은 중요성이 낮은 장치가 앞으로 오며 중요성이 높은 장치는 뒤에 온다. 중요도의 결정은 주행과의 관련성과 에너지 소모량의 크기, 주행 환경 등이 주요 결정요소(factor)가 된다.
사용 중인 소비장치에 전조등, 실내등, 라디오, CD 플레이어, 에어컨이 있을 경우, 정렬순서이 일 예로서, 주간 주행 시, 에어컨 - 전조등 - 실내등 - CD 플레이어 - 라디오 순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을 순차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S10 단계에서 소모 에너지 검출부가 차량의 이동과 무관한 차량의 에너지 소비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차량의 에너지 소비상태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S11 단계에서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가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 가능 전력량을 산출한다.
S12 단계에서는 주행 정보 취득부로부터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의 구동 상태 정보와 차량의 위치 및 급전설비 또는 장치의 위치, 지리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S13 단계에서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는 차량 구동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장치가 소모하고 있는 에너지와 소모 에너지 검출부의 소비 에너지 정보를 입력받아서 현재의 에너지 소모 패턴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목적지 거리 산출부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과 차량의 외부장 치로서 차량에 추가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차량의 외부장치로서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의 일 예는, 전기구동 차량인 경우 충전소나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급전라인이 될 수 있다.
S14 단계에서는 절전 상태 판단부가 산출된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모드의 주행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S15 단계에서와 같이 주행가능 거리가 목적지 거리와 같거나 짧은 경우인지 혹은 주행가능 거리가 목적지 거리에 목적지 거리의 소정의 비율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더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인지 문의한다.
상기와 같은 주행 가능 거리가 충분한 임계범위 내인지 판단하여 만일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S16 과 같이 비절전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주행 가능 거리가 목적지 거리 또는 목적지 거리에 목적지 거리의 소정의 비율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더한 거리 이상일 경우가 임계 범위 또는 한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경우는 비절전 모드인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고 S17 단계에서와 같이 주행 가능 정도가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즉 주행 가능 거리가 목적지 거리 또는 목적지 거리에 목적지 거리의 소정의 비율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더한 거리보다 짧거나 같다면 절전모드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절전모드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알림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운전자 또는 절전모드 제어부에 전달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절전 주행 모드로 판정된다면 S18 단계에서 절약모드 제어부는 에너지 절약 모드 설정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장치의 절전 순서나 절전의 정도, 전력량의 차단 또는 소정의 수준까지 전력량을 줄이는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에서는 운전자에게 부하의 정도와 주행시 필요성 여부에 따라 소비장치를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해주고 운전자가 각 장치의 전원을 끄거나 줄일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자동 절전모드 제어부에서는 운전자의 입력없이 자동 절전 모드 제어부가 직접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소정의 수준으로 줄여서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S19).
상기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에 의해 에너지 소비장치가 제어되고, 제어되는 순서나 제어 정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절전 선택의 폭이 크고 차량의 에너지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절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 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처리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을 순차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제1 에너지 소비장치 15 : GPS 송신장치
20 : 지리정보 관제센터 25 : 제2 에너지 소비장치
30 : 에너지 공급장치 35 : 소모 에너지 검출추
40 :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 45 : 주행 정보 취득부
450 : 구동 상태정보 획득 모듈 451 : 지리정보 모듈
452 : 검색 모듈
50 :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 55 : 목적지 거리 산출부
60 : 절전 상태판단부 65 : 절전모드 제어부
650 : 제어순서 설정부 651 :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
652 : 자동 절전모드 제어부

Claims (13)

  1. 전기로 구동되는 이동체의 이동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외한 이동체의 운용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 에너지 검출부;
    상기 이동체의 소비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장치의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
    상기 이동체의 위치 및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상기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
    상기 소비 전력량, 공급 가능한 전력량, 및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로부터 이동체와 최단거리 내에 있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목적지 거리 산출부;
    상기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절전 상태판단부; 및
    상기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너지 공급장치의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거나 조절하여 제어하는 절전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충전식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온라인 전기자동차, 전동식 자전거, 전동식 모터사이클, 철도 차량, 선박, 비행기, 로켓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에너지 소비장치는 이동체의 구동 모터이고, 제2 에너지 소비장치는 이동체에 장착되는 조명수단, 온도조절 수단, 음향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네비게이션, 전동식 개폐수단, 내장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장치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집전장치, 커패시터, 슈퍼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 취득부는,
    상기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저장하는 구동 상태정보 획득 모듈;
    상기 이동체의 위치 및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를 수신하거나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지리정보 모듈; 및
    상기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검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는,
    상기 주행가능 거리가 상기 목적지 거리 또는 상기 목적지 거리보다 소정의 거리를 더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를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목적지 거리의 5% 내지 10%에 해당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는,
    상기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이동체의 운전자 또는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에 전달되는 알림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는,
    소비 전력량, 중요도, 주행 연관성 또는 주행 환경 조건에 따른 상기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와 공급 전력량의 조절을 결정하는 제어순서 설정부;
    이동체 운전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 절전모드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자동 절전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10. 이동체의 이동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이동을 제외한 이동체의 운용에 전력을 소모하는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소비 에너지 검출부와,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산출하는 공급가능 에너지 검출부와, 이동체나 급전장치의 위치, 지리정보, 및 구동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는 주행 정보 취득부와,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와,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목적지 거리 산출부와,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절전 상태판단부와, 및 절전 주행 상태시 상기 제2 에너지 소비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절전모드 제어부가 전기로 구동되는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가능 거리 산출부에서 상기 제1 에너지 소비장치와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소비 전력량과, 공급 가능한 전력량과, 이동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이동체의 이동가능한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거리 산출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로부터 이동체와 최단거리 내에 있는 급전장치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이동체와 급전장치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에서 상기 주행가능 거리와 목적지 거리를 비교하여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가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가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절전 주행 상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가능 거리가 상기 목적지 거리 또는 상기 목적지 거리에 목적지 거리의 5% 내지 10%에 해당하는 거리를 더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를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절전 주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절전 상태판단부가 이동체의 운전자 또는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에 전달되는 알림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제어부의 제2 에너지 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의 중단 또는 조절 단계가, 소비 전력량, 중요도, 주행 연관성 또는 주행 환경 조건에 따라 기결정된 제2 에너지 소비장치의 제어순서와 공급 전력량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방법.
KR1020090098768A 2009-10-16 2009-10-16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eased KR20110041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768A KR20110041783A (ko) 2009-10-16 2009-10-16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CT/KR2010/007104 WO2011046401A2 (en) 2009-10-16 2010-10-15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ly-drive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768A KR20110041783A (ko) 2009-10-16 2009-10-16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783A true KR20110041783A (ko) 2011-04-22

Family

ID=4387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768A Ceased KR20110041783A (ko) 2009-10-16 2009-10-16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41783A (ko)
WO (1) WO2011046401A2 (ko)

Cited B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6542A3 (en) * 2011-07-26 2013-04-25 Gogoro, Inc. Dynamically limiting vehicle operation for best effort economy
KR101273141B1 (ko) * 2011-12-12 2013-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KR20130068161A (ko) * 2011-12-14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전 상태 레벨에 따라 차량 에너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560147B2 (en) 2011-07-26 2013-10-1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KR101317138B1 (ko) * 2011-12-09 2013-10-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에코 드라이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6061B1 (ko) * 2013-08-26 2014-06-11 (주)한우리 경로 설정을 통한 다기능 무인 선박을 이용한 하천 관리 시스템
KR101417401B1 (ko) * 2012-11-12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주행가능 거리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US8798852B1 (en) 2013-03-14 2014-08-05 Gogoro,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vehicular components
US8862304B2 (en) 2011-07-26 2014-10-1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diagnostic data
US8862388B2 (en) 2011-07-26 2014-10-1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KR101450619B1 (ko) * 2012-09-28 2014-10-15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수집 및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주행효율 판단 장치와 그 방법
US8878487B2 (en) 2011-07-26 2014-11-0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to a user device information regarding availability of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at a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
US8901861B2 (en) 2011-07-26 2014-12-02 Gogoro, Inc. Thermal management of components in electric motor drive vehicles
KR101475912B1 (ko) * 2011-04-07 201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의 최적 운행을 위한 배터리 관리장치와 방법 및 배터리 팩
DE102014200450A1 (de) * 2014-01-13 2015-07-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nergiemanagementverfahren und Energiemanagementsystem für ein Fahrzeug
US9124085B2 (en) 2013-11-04 2015-09-0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ower storage device failure safety
US9123035B2 (en) 2011-04-22 2015-09-01 Angel A. Penilla Electric vehicle (EV) range extending charge systems, distributed networks of charge kiosks, and charge locating mobile apps
US9129461B2 (en) 2011-07-26 2015-09-08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9182244B2 (en) 2011-07-26 2015-11-10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9216687B2 (en) 2012-11-16 2015-12-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vehicle turn signals
US9390566B2 (en) 2013-11-08 2016-07-1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event data
US9407024B2 (en) 2014-08-11 2016-08-02 Gogoro Inc. Multidirectional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system
US9424697B2 (en) 2011-07-26 2016-08-23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artment
US9552682B2 (en) 2011-07-26 2017-01-2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etween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9597973B2 (en) 2011-04-22 2017-03-21 Angel A. Penilla Carrier for exchangeable batteries for use by electric vehicles
USD789883S1 (en) 2014-09-04 2017-06-20 Gogoro Inc.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device for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770996B2 (en) 2013-08-06 2017-09-26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ing electric vehicles using a single or multiple power cells
US9830753B2 (en) 2011-07-26 2017-11-28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s at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9837842B2 (en) 2014-01-23 2017-12-05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n array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9854438B2 (en) 2013-03-06 2017-12-26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rtable charging devi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10055911B2 (en) 2011-07-26 2018-08-2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ased on user profiles
US10065525B2 (en) 2013-08-06 2018-09-04 Gogoro Inc. Adjusting electric vehicle systems based on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thermal profile
US10186094B2 (en) 2011-07-26 2019-01-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10421462B2 (en) 2015-06-05 2019-09-24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load detection and response
KR20200027750A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세웅 사고 유형과 그에 대한 조치 기능 및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춘 고소작업차와 그 방법
US10744884B2 (en) 2016-04-05 2020-08-1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14172A (ko) 2019-03-27 2020-10-07 동강엠텍(주) 무인으로 운항되는 반잠수식 레저보트
US10839451B2 (en) 2011-04-22 2020-11-17 Emerging Automotive, Llc Systems providing electric vehicles with access to exchangeable batteries from available battery carriers
US11075530B2 (en) 2013-03-15 2021-07-27 Gogoro Inc. Modular system fo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storage devices
US11222485B2 (en) 2013-03-12 2022-01-1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vehicle via a mobile device
US11710105B2 (en) 2013-03-12 2023-07-2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changing portable electrical power storage device exchange pla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6893A (zh) * 2012-05-07 2013-11-13 庄嘉明 可即时切换能量储存装置的马达组件、切换方法及运输工具
CN112083647A (zh) * 2019-06-14 2020-12-15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列车恒速控制方法、装置、介质及设备
CN112009523A (zh) * 2020-09-17 2020-12-01 苏州市万松电气有限公司 列车运行状态与能耗监测装置
IL283080B2 (en) 2021-05-10 2024-03-01 Plasan Sasa Ltd A controllable electric vehicle and a control system for 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62B2 (ja) * 1983-06-15 199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車制御装置
KR19980059260A (ko) * 1996-12-31 1998-10-07 임경춘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4525448B2 (ja) * 2005-04-25 2010-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均衡制御型車両用電源系
JP2009171646A (ja) * 2008-01-10 2009-07-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自動車の節電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自動車
JP5020105B2 (ja) * 2008-01-10 2012-09-05 中国電力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節電運転支援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自動車

Cited B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12B1 (ko) * 2011-04-07 201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의 최적 운행을 위한 배터리 관리장치와 방법 및 배터리 팩
US10839451B2 (en) 2011-04-22 2020-11-17 Emerging Automotive, Llc Systems providing electric vehicles with access to exchangeable batteries from available battery carriers
US10245964B2 (en) 2011-04-22 2019-04-02 Emerging Automotive, Llc Electric vehicle batteries and stations for charging batteries
US10086714B2 (en) 2011-04-22 2018-10-02 Emerging Automotive, Llc Exchangeable batteries and stations for charging batteries for use by electric vehicles
US9925882B2 (en) 2011-04-22 2018-03-27 Emerging Automotive, Llc Exchangeable batteries for use by electric vehicles
US9738168B2 (en) 2011-04-22 2017-08-22 Emerging Automotive, Llc Cloud access to exchangeable batteries for use by electric vehicles
US9597973B2 (en) 2011-04-22 2017-03-21 Angel A. Penilla Carrier for exchangeable batteries for use by electric vehicles
US9335179B2 (en) 2011-04-22 2016-05-10 Angel A. Penilla Systems for providing electric vehicles data to enable access to charge stations
US9193277B1 (en) 2011-04-22 2015-11-24 Angel A. Penilla Systems providing electric vehicles with access to exchangeable batteries
US9177306B2 (en) 2011-04-22 2015-11-03 Angel A. Penilla Kiosks for storing, charging and exchanging batteries usable in electric vehicles and servers and applications for locating kiosks and accessing batteries
US9177305B2 (en) 2011-04-22 2015-11-03 Angel A. Penilla Electric vehicles (EVs) operable with exchangeable batteries and applications for locating kiosks of batteries and reserving batteries
US9129272B2 (en) 2011-04-22 2015-09-08 Angel A. Penilla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 vehicles with access to exchangeable batteries and methods for locating, accessing and reserving batteries
US9123035B2 (en) 2011-04-22 2015-09-01 Angel A. Penilla Electric vehicle (EV) range extending charge systems, distributed networks of charge kiosks, and charge locating mobile apps
US10186094B2 (en) 2011-07-26 2019-01-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10573103B2 (en) 2011-07-26 2020-02-2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US8996212B2 (en) 2011-07-26 2015-03-3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diagnostic data
US11139684B2 (en) 2011-07-26 2021-10-0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artment
US10055911B2 (en) 2011-07-26 2018-08-2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ased on user profiles
US8901861B2 (en) 2011-07-26 2014-12-02 Gogoro, Inc. Thermal management of components in electric motor drive vehicles
US9129461B2 (en) 2011-07-26 2015-09-08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8878487B2 (en) 2011-07-26 2014-11-0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to a user device information regarding availability of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at a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
US9176680B2 (en) 2011-07-26 2015-11-03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diagnostic data
US9908506B2 (en) 2011-07-26 2018-03-06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US8862388B2 (en) 2011-07-26 2014-10-1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9182244B2 (en) 2011-07-26 2015-11-10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8862304B2 (en) 2011-07-26 2014-10-1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diagnostic data
US8996308B2 (en) 2011-07-26 2015-03-3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9275505B2 (en) 2011-07-26 2016-03-0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US8560147B2 (en) 2011-07-26 2013-10-1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US10546438B2 (en) 2011-07-26 2020-01-28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diagnostic data
US10529151B2 (en) 2011-07-26 2020-01-07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s at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9424697B2 (en) 2011-07-26 2016-08-23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artment
US9437058B2 (en) 2011-07-26 2016-09-06 Gogoro Inc. Dynamically limiting vehicle operation for best effort economy
US9552682B2 (en) 2011-07-26 2017-01-24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etween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9911252B2 (en) 2011-07-26 2018-03-06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to a user device information regarding availability of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at a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
US10459471B2 (en) 2011-07-26 2019-10-29 Gorog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10345843B2 (en) 2011-07-26 2019-07-09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etween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WO2013016542A3 (en) * 2011-07-26 2013-04-25 Gogoro, Inc. Dynamically limiting vehicle operation for best effort economy
US9830753B2 (en) 2011-07-26 2017-11-28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s at reserving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US10209090B2 (en) 2011-07-26 2019-02-19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KR101317138B1 (ko) * 2011-12-09 2013-10-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에코 드라이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3141B1 (ko) * 2011-12-12 2013-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KR20130068161A (ko) * 2011-12-14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전 상태 레벨에 따라 차량 에너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50619B1 (ko) * 2012-09-28 2014-10-15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수집 및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주행효율 판단 장치와 그 방법
KR101417401B1 (ko) * 2012-11-12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주행가능 거리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US9216687B2 (en) 2012-11-16 2015-12-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vehicle turn signals
US9854438B2 (en) 2013-03-06 2017-12-26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rtable charging devi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10681542B2 (en) 2013-03-06 2020-06-09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rtable charging devi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11710105B2 (en) 2013-03-12 2023-07-2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changing portable electrical power storage device exchange plans
US11222485B2 (en) 2013-03-12 2022-01-1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vehicle via a mobile device
US8798852B1 (en) 2013-03-14 2014-08-05 Gogoro,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vehicular components
US11075530B2 (en) 2013-03-15 2021-07-27 Gogoro Inc. Modular system fo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storage devices
US9770996B2 (en) 2013-08-06 2017-09-26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ing electric vehicles using a single or multiple power cells
US10065525B2 (en) 2013-08-06 2018-09-04 Gogoro Inc. Adjusting electric vehicle systems based on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thermal profile
KR101406061B1 (ko) * 2013-08-26 2014-06-11 (주)한우리 경로 설정을 통한 다기능 무인 선박을 이용한 하천 관리 시스템
US9124085B2 (en) 2013-11-04 2015-09-0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ower storage device failure safety
US9390566B2 (en) 2013-11-08 2016-07-1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event data
US10467827B2 (en) 2013-11-08 2019-11-05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event data
DE102014200450A1 (de) * 2014-01-13 2015-07-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nergiemanagementverfahren und Energiemanagementsystem für ein Fahrzeug
US9837842B2 (en) 2014-01-23 2017-12-05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n array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US9407024B2 (en) 2014-08-11 2016-08-02 Gogoro Inc. Multidirectional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system
USD789883S1 (en) 2014-09-04 2017-06-20 Gogoro Inc.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device for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421462B2 (en) 2015-06-05 2019-09-24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load detection and response
US10744884B2 (en) 2016-04-05 2020-08-1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27750A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세웅 사고 유형과 그에 대한 조치 기능 및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춘 고소작업차와 그 방법
KR20200114172A (ko) 2019-03-27 2020-10-07 동강엠텍(주) 무인으로 운항되는 반잠수식 레저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6401A2 (en) 2011-04-21
WO2011046401A3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1783A (ko)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US10464547B2 (en) Vehicle with model-based route energy prediction, correction, and optimization
EP2177389B1 (en) Vehicle equipped with power storage device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power storage device
US10967748B2 (en) Electric vehicle
US10730504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80272878A1 (en)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charging method of the same
JP2010028963A (ja) 電気自動車システム
JP2009137340A (ja) 電力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及び電力マネージメント方法
US9758055B2 (e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KR101836250B1 (ko) 구동 모터를 구비한 차량의 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35008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80178A1 (en) Energy-efficient controlling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30032024A (ko) 전기자동차의 전기 사용 안내 방법
JP5003280B2 (ja) 駆動源制御装置
US11801822B2 (en) Operation of vehicle stationary generator
CN118129787A (zh) 基于物联网的冷链运输路径自学习智能规划方法
CN110103768A (zh) 一种电动汽车自动补电方法与装置
JP4396515B2 (ja) 電源装置
JP7215362B2 (ja) 車載用冷凍装置
US121100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hybrid vehicle power generation
KR2023010077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JP2014087228A (ja) 車載装置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US11555713B2 (en) Alerting device of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102200692B1 (ko) 차량, 그와 통신하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N112060943A (zh) 用于给电驱动的车辆的蓄电池充电的方法和电驱动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