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410A - Vegetation block, anchor for fixing vegetation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Vegetation block, anchor for fixing vegetation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2410A KR20110042410A KR1020090099070A KR20090099070A KR20110042410A KR 20110042410 A KR20110042410 A KR 20110042410A KR 1020090099070 A KR1020090099070 A KR 1020090099070A KR 20090099070 A KR20090099070 A KR 20090099070A KR 20110042410 A KR20110042410 A KR 201100424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anchor
- vegetation block
- retaining wall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504 Po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부; 패널부의 상부면 일측에 양측면을 연장하여 형성된 제 1 요입홈; 패널부의 하부면 일측에 제 1 요입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 1 요철부; 패널부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삽입홈; 패널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급수공; 패널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공; 및 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급수공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박스형상의 식생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을 구현한바, 식생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의 전면부에 풀, 꽃 또는 관목 등을 식생하여 옹벽의 미관이 수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옹벽의 상단부에 저류수조 역할을 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우수를 모아 흄관을 통해 식생 블록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생하는 식물이 마르지 않고, 별도의 관리인 또는 관리장치가 없어도 식생 식물을 용이하게 식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nel unit consisting of a hexahedral shape; A first recesse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to extend both sides; A first uneven portion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ssed groove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water supply 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Fixing hole penetrating the panel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box-shaped vegetation box which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hole is opened to allow vegetation to be grown inside. By implementing a vegetation block, a vegetation block fixing anchor,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e grass, flowers, or shrubs are vegetated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is beautiful.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built a natural friendly retaining wall.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with a drainage tank that acts as a storage tank to collect rainwater and supply water to the vegetation block through the fume pipe so that the vegetation does not dry out, and the vegetation plant can be easily vegetated without a separate manager or management device. Can be.
식생, 블록, 박스, 패널, 앵커, 옹벽, 시공방법 Vegetation, Block, Box, Panel, Anch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 전면부에 식생박스를 이용한 화단을 만들어주고, 사면절취시 발생한 기존 토양과 풀, 꽃 또는 관목 등 기존의 식물들을 식생박스에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주변과 친화적인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an anchor for fixing the vegetation block,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nd more specifically, to make a flower bed using a vegetation box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existing soil generated when the slope is cut. Vegetation blocks, anchors for fixing vegetation blocks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s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retaining walls, which can provid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retaining walls by recycling existing plants such as plants, grasses, flowers or shrubs in vegetation boxes will be.
토목 또는 건축 현장은 일반적으로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절토부에 대한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여기서, 절토부는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generally need to consider reinforcement of the cut surface of the cut formed by cutting the rock or the ground, or the slope of the fill section with respect to the cut created between the different altitudes in the process of laying the ground. . Here, the cut portion is a structure for the incision surface having a slope formed by the arbitrary incision, the fill portion is a structure for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filling.
우리나라는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 철도건설 및 산업단지, 주택지 확충 등 토목구조물의 건설에 따른 절토사면의 발생은 필연적이다. 더구나 지가 상승으로 절토 구배가 점점 가파르게 되어 최근 콘크리트 계단식 옹벽과 PC(Precast Concrete)옹벽을 비교적 많이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법은 주변 지역과 어울리지 않는 비친환경적인 공법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More than 70% of the country is made up of mountains, so the cut slope is inevitable due to the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uch as roads, railway construction, industrial complexes, and residential areas. Moreover, as the land price rises, the cut gradient becomes steep, and recently, the concrete staircase retaining wall and the PC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re relatively applie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of being an unfriendly environment that does not match the surrounding area.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생 박스를 이용한 옹벽이 많이 개발되었지만, 식생 박스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식생되는 식물에 수분 공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비가 장기간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식생되는 식물이 말라 죽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공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관리 유지비용이 상승하고, 유지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any retaining walls using vegetation box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even when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using vegetation boxes, it is not easy to supply moisture to vegetation plants. There is a problem, and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artificially spray water, so the maintenance cost of maintenance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is cumberso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옹벽 전면부에 식생박스를 이용한 화단을 만들어주고, 사면절취시 발생한 기존 토양과 풀, 꽃 또는 관목 등 기존의 식물들을 식생박스에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주변과 친화적인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create a flower bed using a vegetation box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recycling the existing plants, such as soil and grass, flowers or shrubs generated during the slope cutting in the vegetation box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block, an anchor for fixing a vegetation block, a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which can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retaining wal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부; 패널부의 상부면 일측에 양측면을 연장하여 형성된 제 1 요입홈; 패널부의 하부면 일측에 제 1 요입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 1 요철부; 패널부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삽입홈; 패널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급수공; 패널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공; 및 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급수공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박스형상의 식생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블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panel portion made of a hexahedron shape; A first recesse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to extend both sides; A first uneven portion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ssed groove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water supply 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Fixing hole penetrating the panel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box-shaped vegetation box which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hole is opened to allow vegetation to be grown inside. It can be achieved by a vegetation block.
이때, 패널부는 일측면에 제 2 요입홈이 더 형성되고, 제 2 요입홈이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제 2 요입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 2 요철부가 더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recessed groove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panel, and a second recessed and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on which the second recessed groove is formed to protru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cessed groove.
또한, 삽입홈은 식생박스의 결합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양측벽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both side wall is wi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vegetation box.
또한, 삽입홈의 양측면 일측에 나사체결홈이 형성되고, 식생박스의 양측면에 나사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식생박스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screw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the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box is inserted into the vegetation box is fixed by the screw coupling.
또한, 고정공은 급수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hol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또한, 삽입홈의 하부 일측에는 패널부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 In addition, a drain hole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portion is further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홀에 시공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식생 블록을 고정하는 앵커에 있어서,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종단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앵커체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는 금속링; 금속링에 지지되어 앵커체가 삽입되는 종단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앵커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하 이동체;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종단부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펼치지는 중앙부가 절곡된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날개; 쐐기날개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쐐기날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오링; 오링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링의 일측에 일측 종단이 결합되고, 타측 종단은 천공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연결체; 및 천공홀 외부로 노출되는 앵커체의 종단에는 앵커체의 쐐기날개가 형성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는 식생 블록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nother catego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chor for fixing a vegetation block that is constructed in a drilling hole to form a retaining wall, wherein the metal is fixed to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body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end portion of the anchor body inserted into the drilling hole. ring; A coil spring supported by the metal ring and providing elasticit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anchor body is inserted; An up and down moving body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body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Wedge wing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anchor body inserted into the drilling hole, and formed in a plate body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bent by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moving body is bent; An O-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lade to prevent the wedge blade from being unfolded by the coil spring; One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ring to remove the O-ring,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ength having a lengt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e;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vegetation block to the other end of the anchor body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rilling hole and opposite to the one side where the wedge wing of the anchor body is formed.
이때, 쐐기날개는 앵커체와 결합하는 일측면을 테이퍼가 지도록 관통된 통공 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통공이 앵커체와 접촉하는 면은 쐐기날개가 원활하게 펼쳐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wedge wing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is formed so that the tapered on on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anchor body is coupled by the bolt,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anchor body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o smoothly spread the wedge wing.
또한, 쐐기날개의 외주면에는 천공홀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톱니형상의 피치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tooth-shaped pitc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blad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punching hole.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식생 블록 및 앵커를 이용한 옹벽에 있어서, 옹벽이 설치되는 절토사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식생 블록을 지지하는 기초부; 절토사면에 삽입되어 고정된 앵커; 절토사면의 전면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트랜치 상부에 적층되는 식생 블록; 앵커에 식생 블록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와이어; 식생 블록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절토사면의 상부에 구비된 배수로와 최상단에 적층된 식생 블록과 연통되어 배수로의 물을 식생 블록으로 공급하는 흄관; 및 절토사면과 적층된 식생 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식생 블록이 절토사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블록 및 앵커를 이용한 식생 옹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catego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us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anchor described above, the bas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cut slope that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to support the vegetation block; An anchor inserted and fixed to the cut slope; A vegetation block stacked on the front of the cut slo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res for connecting and fixing vegetation blocks to anchors; Fixing means for fixing the wire to the vegetation block; A fum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path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t slope and the vegetation block stacked on the top thereof, and supplying water from the drainage path to the vegetation block; And a soil layer provided between the cut slope and the stacked vegetation block to prevent the vegetation block from inclining toward the cut slope.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anchor may be achieved.
이때, 흄관은,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반원형상의 관로; 관로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류하는 잡석; 및 관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다공망;을 포함한다. 이때, 다공망은 메쉬 형상의 망사 또는 부직포이다. At this time, the fume pipe, semi-circular pipe for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Rubble provided in the pipeline to store water; And a porous network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ipelin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t this time, the porous network is a mesh-shaped mesh or nonwoven fabric.
또한, 절토사면과 식생 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절토사면에서 배출되는 물을 식생 블록으로 공급하도록 토사층의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흄관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auxiliary fume pip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ut slope and the vegetation block so as to supply water discharged from the cut slope to the vegetation block.
또한, 흄관이 식생 블록과 결합되는 일측 종단은 식생 블록의 급수공과 연통 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ume pipe coupled with the vegetation block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hole of the vegetation block.
또한, 와이어는 식생 블록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of the vegetation block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또한, 고정수단은, 와이어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는 볼트설치공이 형성되어 식생 블록을 지지하는 고정부재; 와이어와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가 와이어의 고정 위치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링; 및 볼트설치공에 삽입되어 와이어를 압착하는 볼트;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the fix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vegetation block is formed by a bolt installation hole penetrating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anti-slip ring provided between the wire and the fixing member to prevent the fixing member from sliding at a fixed position of the wire; And a bolt inserted into the bolt installation hole to compress the wire.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절토사면에 앵커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제 1 단계; 절토사면의 하단부에 기초부를 타설하여 최하단 식생 블록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최하단 식생 블록 상단에 식생 블록의 패널부를 적층하는 제 3 단계; 식생 블록과 절토사면 사이를 토사층으로 뒷채움하는 제 4 단계; 식생 블록의 패널부와 앵커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식생 블록을 고정하는 제 5 단계; 적층된 식생 블록 중 최상단에 설치된 식생 블록의 패널부에 형성된 급수공과 절토사면의 상부에 구비된 배수로가 연통되도록 흄관을 설치하는 제 6 단계; 및 적층된 패널부의 전면부에 식물을 식생한 식생 박스를 결합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블록 및 앵커를 이용한 식생 옹벽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catego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tep of fixing by inserting the anchor to the cut slope;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lowermost vegetation block by placing a foundation at a lower end of the cut slope; Stacking a panel of the vegetation block on top of the lowest vegetation block; A fourth step of backfilling the soil layer between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cut slope; A fifth step of fixing the vegetation block by connecting the panel portion and the anchor of the vegetation block with a wire; A sixth step of installing a fume pipe so that a water supply hole formed at a panel of the vegetation block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acked vegetation blocks and a drainage path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ut slop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 seventh step of coupling the vegetation box in which the plants are vegetated to the front panel of the laminated panel portion. The method may be achieved by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vegetation blocks and anchors.
이때, 제 1 단계는, 앵커를 삽입하기 위해 절토사면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제 1-1 단계; 천공홀에 앵커를 삽입하는 제 1-2 단계; 천공홀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체를 이용하여 앵커의 쐐기날개를 고정하는 오링을 제거하는 제 1-3 단계; 및 앵커의 금속링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체가 이동하여 쐐 기날개를 펼쳐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 1-4 단계;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step, the first step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cut slope to insert the anchor; Inserting the anchor in the drilling hole; A first to third step of removing the O-ring for fixing the wedge blades of the anchor by using the connect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e; And a first step of moving the vertical movable bod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supported by the metal ring of the anchor to expand the wedge blades and fix it to the wall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또한, 제 1 단계는, 앵커의 고정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천공홀 내부를 그라우팅하는 제 1-5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step further includes a first to fifth step of grouting the inside of the drill hole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anchor.
또한, 제 2 단계는 기초부에 최하단 식생 블록의 높이에 40% 내지 60%를 묻도록 설치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step is installed so as to bury 40% to 60% in the height of the lowest vegetation block in the base.
또한, 제 3 단계는, 식생 블록의 양측 종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적층한다. In the third step, the both ends of the vegetation block are stacked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또한, 식생 블록은 상부에 적층된 식생 블록의 배수공이 하부에 적층된 식생 블록의 식생박스를 향하도록 적층한다. In addition, the vegetation block is stacked so that the drainage holes of the vegetation blocks stacked on the top face the vegetation box of the vegetation blocks stacked on the bottom.
또한, 제 5 단계는, 앵커의 고정부와 식생 블록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양측에 고정하여 식생 블록을 고정한다. In addition, the fifth step, by fixing the wire to both sides by using the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fixing portion of the anchor and the vegetation block to fix the vegetation block.
또한, 제 4 단계 및 제 5 단계는, 식생 블록을 한층씩 적층할 때마다 시공한다. In addition, a 4th step and a 5th step are constructed whenever a vegetation block is laminated one by one.
또한, 제 7 단계에서 식생되는 식물은 절토사면을 절토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토사 및 식물을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plant vegetated in the seventh step uses the soil and plan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cut slope.
또한, 토사층 상부에 식물을 식생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eighth step of vegetation of the plant on the soil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의 전면부에 풀, 꽃 또는 관목 등을 식생하여 옹벽의 미관이 수려하고, 자연 친화적인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식물은 절토사면을 형성하며 남은 토사 및 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block is used to plant grass, flowers or shrubs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are beautiful and a natural friendly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In addition, since these plants form the cut slope and use the remaining soil and plants, there is no effect of additional costs.
또한, 옹벽의 상단부에 저류수조 역할을 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우수를 모아 흄관을 통해 식생 블록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생하는 식물이 마르지 않고, 별도의 관리인 또는 관리장치가 없어도 식생 식물을 용이하게 식생할 수 있다. 또한, 최상단 식생 블록에만 물을 공급하여도 배수공을 통해 최하단 식생 블록까지 모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흄관을 통해 절토사면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배면의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식생 블록의 물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wall is provided with a drainage tank that acts as a storage tank to collect rainwater and supply water to the vegetation block through the fume pipe so that the vegetation does not dry out, and the vegetation plant can be easily vegetated without a separate manager or management device. Can be. In addition, even if water is supplied only to the uppermost vegetation block,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the lowermost vegetation block through the drain hole. In addition, by us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ut slope through the auxiliary fume pipe can reduce the water pressure of the bac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supply of the vegetation block more smooth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식생Vegetation 블록의 구성> Block Organiz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100)은 전체적으로 패널부(110)와 식생 박스(12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패널부의 구성)(Composition of the panel part)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1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 일측에는 패널부(110)를 용이하게 적층하기 위해 양측면을 연장하도록 제 1 요입홈(111)이 형성된다. 또한, 패널부(110)의 하부면 일측에는 제 1 요입홈(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1 요철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사용양태에 따라 패널부(110)를 더 안정적으로 적층하기 위하여 패널부(110)의 일측면에 제 2 요입홈(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입홈(111')이 형성된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상기 제 2 요입홈(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 2 요철부(1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패널부(110)의 전면부에는 식생 박스(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삽입홈(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116)은 식생 박스(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측 벽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16) 양측 벽면의 경사각도는 약 5°내지 1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삽입홈(116)의 양측 벽면 일측에는 식생박스(12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N)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체결홈(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패널부(110)의 재질로는 콘크리트, 수지계열 또는 철강재 등을 사용한다. 이때, 패널부(110)의 내부에는 이형 철근 및 와이어 매쉬를 내부에 배근하여 패널부(110)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An
본 발명의 삽입홈(116)의 상단부 일측면에는 식생박스(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114)이 패널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삽입홈(116)의 중심부 일측에는 옹벽(10) 제작시 식생 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15)이 패널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급수공(114)과 고정공(115)은 각각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고, 사용양태와 제조상태에 따라 고정공(115)을 급수공(11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의 패널부(110) 하부면에는 전술한 급수공(114)을 통해 급수된 물을 하부에 적층되는 패널부(110)로 이송하기 위하여 삽입홈(116)의 하부 일측에 패널부(110)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17)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공(117)을 통하여 최상단 급수공(114)을 통해서만 물이 급수되어도 자연배수에 의해 최하단 식생 블록(100)까지 물이 전달되어 식생박스(120)에서 식생되는 식물(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식생박스의 구성)(Configuration of Vegetation Box)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박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박스(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10)의 삽입홈(1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식물(800)을 식생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10)의 급수공(114)을 통해 물이 흡수될 수 있도록 후면, 즉, 패널부(110)의 급수공(114)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개방된 면은 급수공(114)에서 공급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이 개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식생박스(120)의 양측면에는 패널부(110)의 삽입홈(116) 양측면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13)과 대응되는 체결공(121)이 형성하여 나사(N) 결합을 통해 삽입홈(116)에 고정된다.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본 발명에 다른 식생박스(120)는 방부목재, FRP, ABS수지, 우레탄 수지, 콘크리트 등 여러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또한, 식생박스(120)의 전면부에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더 구비하여 시작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앵커의 구성><Configuration of Ancho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확장 전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확장 후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200)는 전체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앵커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앵커 쐐기가 금속링(210), 코일 스프링(220), 상하 이동체(230), 복수의 쐐기날개(240), 오링(250) 및 연결체(260)로 이루어진다. 5 is a side view before expansion of the anch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after expansion of the anch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링(210)은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체(280)의 종단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앵커체(28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220)을 지지한다. 이러한 금속링(210)은 앵커체(280)와 일체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용접 또는 볼트 너트 고정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스프링(220)은 금속링(210)에 지지되어 상하 이동체(230)에 탄성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220)은 금속링(210)에 지지되고, 앵커체(28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체(230)는 코일 스프링(220)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220)의 탄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쐐기날개(240)를 펼치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220)의 탄성을 복수의 쐐기날개(240)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상하 이동체(230)는 앵커체(2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vertical moving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쐐기날개(240)는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체(280)의 종단부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 이동체(230)의 이동에 의해 펼쳐져 천공홀을 압착 하여 앵커(200)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쐐기날개(240)는 중앙부가 소정의 각도로 꺽어진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꺽어진 부분을 상하 이동체(230)가 코일 스프링(220)에 탄성에 의해 밀어내면 확장되어 천공홀을 압착한다. 쐐기날개(240)는 앵커체(280)와 결합하는 일측면을 테이퍼가 지도록 관통된 통공(242)을 통해 볼트(B) 결합에 의해 앵커체(280)에 고정된다. 또한, 통공(242)이 앵커체(280)와 접촉하는 면은 상기 쐐기날개(240)가 원활하게 펼쳐지도록 경사면(2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가 형성된 통공(242) 및 경사면(24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날개(240)가 확장될 때 마찰력이 감소하여 쐐기날개(240)가 원활하게 펼쳐진다. The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쐐기날개(240)가 천공홀과 접촉하는 일측에는 천공홀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톱니형상의 피치(241)가 복수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ooth-shaped
본 발명에 따른 오링(250)은 쐐기날개(24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쐐기날개(240)가 코일 스프링(220)의 탄성에 의해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쐐기날개(240)를 앵커체(280)로 압착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링(250)은 쐐기날개(240)에서 용이하게 이탈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의 오링(250)을 이용한다. O-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260)는 앵커(200)가 천공홀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기 위해 천공홀 외부로 힘을 가하면 쐐기날개(240)를 고정하는 오링(250)을 제거하여 쐐기날개(240)가 펼쳐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결체(260)는 일측 종단이 오링(250)과 연결되고, 타측 종단은 천공홀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또는 노끈 등의 끈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200)의 천공홀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종단에는 식생 블록(100)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7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부(270)는 U볼트 또는 콘 등으로 이루어져 앵커(200)와 연결되어 식생 블록(100)을 고정하는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400) 등을 결합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One end of the
<< 식생Vegetation 옹벽의 구성> Retaining Wall Structur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10)은 기초부(300), 앵커(200), 식생 블록(100), 와이어(400), 고정수단(500), 흄관(600) 및 토사층(700)으로 이루어진다.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300)는 옹벽(10)이 설치되는 절토사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옹벽(10)을 형성하는 최하단 식생 블록(10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초부(300)는 최하단 식생 블록(100)을 40% 내지 60%가 묻히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한다. The bas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본 발명에 따른 앵커(20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갖는 앵커(200)를 이용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100)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갖는 식생 블록(100)을 이용한다. 이러한 식생 블록(100)은 기초부(300)에 의해 고정된 최하단 식생 블록(100) 상부에 제 1 요입홈(111)과 제 1 요철부(112) 및 제 2 요입홈(111')과 제 2 요철부(112')를 이용하여 적층한다. 이러한 식생 블록(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과 상부층의 식생 블록(100)의 양측 종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적층하고, 바람직하게는 상부층의 식생 블록(100)의 배수공(117)이 하부층의 식생 블록(100)의 식생박스(120)를 향하도록 하여 상부층에 공급된 물이 배수공(117)을 통해 하부층의 식생박스(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적층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400)는 앵커(200)와 식생 블록(100)을 연결하여 앵커(200)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식생 블록(100)이 절토사면의 타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400)는 후술하는 뒷채움된 토사층(700)의 수평토압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름이 8mm 이상인 와이어(400)를 사용한다. 만약, 지름이 8mm 미만인 와이어(4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사층(700)의 수평토압에 의해 와이어(400)가 절단되어 적층된 식생 블록(100)이 무너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500)은 일측이 앵커(200)의 고정부(270)에 고정되고,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에 형성된 고정공(115)으로 삽입된 와이어(400)의 타측을 패널부(110) 내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고정수단(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0), 미끄럼 방지링(520) 및 볼트(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부재(510)는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로 삽입된 와이어(400)의 종단에 구비되고, 와이어(400)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는 볼트설치공(511)이 형성되어 볼트(B)를 통해 와이어(400)를 압착하여 와이어(400)를 고정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링(520)은 와이어(400)와 고 정부재(510)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510)가 토사층(700)의 토압에 의해 와이어(400)의 고정위치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링(520)은 와이어(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510)로 삽입되는 일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thod of the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side is fixed to the fixin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흄관(600)과 식생 블록(100)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흄관(600)은 절토사면의 상부에 구비된 배수로와 적층된 식생 블록(100) 중 최상단 식생 블록(100)을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배수로를 흐르는 물을 식생 블록(100)으로 제공하여 식생 블록(100)의 식생박스(120)에서 식생하는 식물(800)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흄관(600)은 배수로에서 식생 블록(100)으로 물이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반원형상의 관로(610), 관로(6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류하는 잡석(620) 및 토사층(700)의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관로(6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로(61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다공망(6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관로(6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에 형성된 급수공(114)과 접하도록 구비되며, 다공망(630)은 매쉬형상의 망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한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옹벽(1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최상단의 식생 블록(100)과 연통된 흄관(600)에서 공급되는 물만으로 모든 식생 블록(100)에서 식생되는 식물(800)에 물의 공급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절토사면에서 배출되는 물을 적층된 식생 블록(100) 중 중심 높이에 해당하는 식생 블록(100)에 공급할 수 있는 보조 흄관(650)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 흄관(650)은 흄관(6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When the height of the retaining
본 발명에 따른 토사층(700)은 절토사면과 적층된 식생 블록(100) 사이에 구비되어 식생 블록(100)이 절토사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토사층(700)은 절토사면과 식생 블록(100) 사이를 가득 채우도록 구비되고, 토사층(700)을 형성하는 토사는 절토사면을 형성하며 발생한 토사를 재사용한다. The
<< 식생Vegetation 옹벽의 시공방법>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식생 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해 절토사면에 앵커(20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S200). 앵커(200)를 삽입하는 과정(S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앵커(200)를 삽입하기 위해 절토사면에 천공홀을 형성한다(S110). 이러한 천공홀은 앵커(200)의 길이를 고려하여 천공한다. 1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다음으로, 천공홀에 앵커(200)를 삽입한다(S120).Next, the
다음으로, 천공홀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체(260)를 이용하여 앵커(200)의 복수의 쐐기날개(240)를 고정하는 오링(250)을 제거한다(S130).Next, using the connecting
다음으로, 앵커(200)의 금속링(210)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체(230)가 이동하여 쐐기날개(240)를 펼쳐 천공홀의 벽면에 쐐기날개(240)를 고정한다(S140). Next, the vertical moving
다음으로, 앵커(200)의 고정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천공홀 내부를 그라우팅한다(S150). Next, grouting the inside of the drilling hole in order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anchor (200) (S150).
다음으로, 절토사면의 하단부에 기초부(300)를 타설하여 최하단 식생 블록(100)을 설치한다(S200). 이때, 설치되는 식생 블록(100)은 기초부(300)에 40% 내지 60%가 묻히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식생박스(120)를 제거한 상태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Next, the
다음으로, 기초부(300)에 고정된 최하단 식생 블록(100) 상단에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를 복수 층으로 적층한다(S300). 이때,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는 식생 블록(100)의 양측 종단이 서로 어긋나도록 적층하고,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적층된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에 형성된 배수공(117)이 하부층에 적층된 식생 블록(100)의 식생박스(120)를 향하도록 적층한다.Next, the
다음으로, 적층된 식생 블록(100)과 절토사면 사이를 토사층(700)으로 뒷채움한다(S400). 이때 사용되는 토사는 절토사면을 형성하며 발생한 토사를 재사용하여 공사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Next, backfilled with the
다음으로, 적층된 식생 블록(100)의 패널부(110)와 앵커(200)를 와이어(400)로 연결하여 식생 블록(100)을 고정한다(S500). 이때, 와이어(400)는 전술한 앵커(200)의 고정부(270)와 식생 블록(10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와이어(400)의 양측을 고정함으로써 식생 블록(100)을 고정할 수 있다. Next, the
전술한 토사층(700)으로 뒷채움하는 단계(S400) 및 식생 블록(100)과 앵커(200)의 고정단계(S500)는 식생 블록(100)을 한층씩 적층할 때마다 시공하여 적층된 식생 블록(100)의 붕괴를 방지한다. Backfilling step (S400) and the fixing step (S500) of the
다음으로, 적층된 식생 블록(100) 중 최상단에 설치된 식생 블록(100)의 패 널부(110)에 형성된 급수공(114)과 절토사면의 상부에 구비된 배수로가 연통되도록 흄관(600)을 설치한다(S600). 이러한 흄관(600)은 최상단에 적층된 식생 패널과 연통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지만, 식생 패널이 적층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중간에 적층된 식생 패널에도 급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토사면과 연결되는 보조 흄관(6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Next, the
다음으로, 적층된 패널부(110)의 전면부에 식물(800)을 식생한 식생 박스(120)를 결합한다(S700). 이때, 식생되는 식물(800)은 절토사면을 형성하며 발생한 토사, 화초 또는 관목 등을 이용한다. Next, the
마지막으로, 토사층(700)의 상부에 식물(800)을 식생한다(S800). 이와 같이, 토사층(700)의 상부에 식물(800)을 식생함으로써 빗물 등에 의해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사층(700) 상부에 식물(800)을 식생하는 과정은 토사층(700)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그 과정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Finally,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배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박스의 배면 사시도,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확장 전 측면도,5 is a side view before expansion of the anch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확장 후 측면도,6 is a side view after the expansion of the anch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정면도,8 is a front view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thod of the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흄관과 식생 블록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fume tube and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식생 옹벽 100 : 식생 블록10: vegetation retaining wall 100: vegetation block
110 : 패널부 111 : 제 1 요입홈110: panel portion 111: first recessed groove
111' : 제 2 요입홈 112 : 제 1 요철부111 ': second recessed groove 112: first uneven portion
112' : 제 2 요철부 113 : 나사체결홈112 ': Second uneven portion 113: Screw tightening groove
114 : 급수공 115 : 고정공114: water supply hole 115: fixed hole
116 : 삽입홈 117 : 배수공116: insertion groove 117: drain hole
120 : 식생박스 121 : 체결공120: vegetation box 121: fastener
200 : 앵커 210 : 금속링200: anchor 210: metal ring
220 : 코일 스프링 230 : 상하 이동체220: coil spring 230: vertical moving body
240 : 쐐기날개 241 : 톱니형상 피치240: wedge wing 241: tooth pitch
242 : 통공 243 : 경사면242: through hole 243: slope
250 : 오링 260 : 연결체250: O-ring 260: connector
270 : 고정부 280 : 앵커체270: fixing part 280: anchor body
300 : 기초부 400 : 와이어300: base 400: wire
500 : 고정수단 510 : 고정부재500: fixing means 510: fixing member
511 : 볼트설치공 520 : 미끄럼 방지링511: bolt installation hole 520: anti-slip ring
600 : 흄관 610 : 관로600: Hume pipe 610: Pipe line
620 : 잡석 630 : 다공망620: rubble 630: porous network
650 : 보조 흄관 700 : 토사층650: auxiliary fume pipe 700: soil layer
800 : 식생 식물 N : 나사800: vegetation plant N: screw
B : 볼트B: Bolt
Claims (2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99070A KR20110042410A (en) | 2009-10-19 | 2009-10-19 | Vegetation block, anchor for fixing vegetation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99070A KR20110042410A (en) | 2009-10-19 | 2009-10-19 | Vegetation block, anchor for fixing vegetation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42410A true KR20110042410A (en) | 2011-04-27 |
Family
ID=440478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99070A Abandoned KR20110042410A (en) | 2009-10-19 | 2009-10-19 | Vegetation block, anchor for fixing vegetation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42410A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12000A (en) * | 2017-07-26 | 2019-02-08 | 이창호 | Drainage Panel and Building Facility Using the Same |
| KR102445385B1 (en) * | 2021-10-18 | 2022-09-20 | 주식회사 여명건설 | Retaining wall panel with drainage cha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retaining wall panel |
| CN115281059A (en) * | 2022-07-21 | 2022-11-04 | 江苏翔宇灌溉设备有限公司 | Winch assembly of winch type sprinkling irrigation machine |
| KR102494390B1 (en) | 2022-04-25 | 2023-02-06 | 공학봉 | Reinforced retaining wall with plantation panel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09
- 2009-10-19 KR KR1020090099070A patent/KR2011004241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12000A (en) * | 2017-07-26 | 2019-02-08 | 이창호 | Drainage Panel and Building Facility Using the Same |
| KR102445385B1 (en) * | 2021-10-18 | 2022-09-20 | 주식회사 여명건설 | Retaining wall panel with drainage cha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retaining wall panel |
| KR102494390B1 (en) | 2022-04-25 | 2023-02-06 | 공학봉 | Reinforced retaining wall with plantation panel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15281059A (en) * | 2022-07-21 | 2022-11-04 | 江苏翔宇灌溉设备有限公司 | Winch assembly of winch type sprinkling irrigation machine |
| CN115281059B (en) * | 2022-07-21 | 2024-04-26 | 和县扶农农业发展有限公司 | Winch assembly of winch type sprinkl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23660B1 (en) | Retaining wall using anchor and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 MXPA03001816A (en) | Integrated footings. | |
| KR101501733B1 (en) | The eco-friendly precast l type retaining wall fixed with an anchor | |
| KR20110042410A (en) | Vegetation block, anchor for fixing vegetation block,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 |
| KR100654936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 |
| KR10080233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fill section using landscape stone | |
| KR20070073434A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slope recording stability | |
| KR101015619B1 (en) | Adjustable fasteners fo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 |
| KR101334749B1 (en) |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 KR100635927B1 (en) | Building slope reinforcement method | |
| KR100827009B1 (en) | Earth plate for water and sewage pipe laying | |
| KR100872836B1 (en)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200393176Y1 (en) | structure raising the ground level with a landscape architecture stone | |
| KR101018903B1 (en) | Stabilization assembly to prevent slope flow and greening of slopes | |
| KR101201570B1 (en) | Eco-Matrix Panel and Connecting Structure of Eco-Matrix Panels | |
| KR20090073330A (en) | Landscape Retaining Wall Structures | |
| KR100665338B1 (en) | Lattice type retaining wall fixed by small nailing (anchor) | |
| KR100568120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planting box | |
| KR100758231B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sloped block structure for landscaping | |
| JP2006002435A (en) | Slope reinforcing technique | |
| KR100734812B1 (en) | Concrete step retaining wall with drainage and vegetation functions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1012655B1 (en) |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 |
| KR101841506B1 (en) | Stone wall infrastructure of using natural stone | |
| KR200424468Y1 (en) | Soil Nailing Set Lattice Prefab Retaining Wall | |
| KR20150113514A (en) | Guid Apparatus for Soil Pin of reinforcing a slop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2 |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