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50153A -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153A
KR20110050153A KR1020090107009A KR20090107009A KR20110050153A KR 20110050153 A KR20110050153 A KR 20110050153A KR 1020090107009 A KR1020090107009 A KR 1020090107009A KR 20090107009 A KR20090107009 A KR 20090107009A KR 20110050153 A KR20110050153 A KR 2011005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remote control
signal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5803B1 (en
Inventor
김기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0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0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적어도 2 종류의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를 통하여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영상표시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at least two types of remote control device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used by the user and display a pointer accordingly. Through the object,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r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영상표시장치, 공간리모콘, 오브젝트, OSD Video Display, Spatial Remote, Object, OSD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2가지 종류의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a typ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t least two types of remote control apparatuses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hereto. It is about a method.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watch.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on a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shift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worldwide.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오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Digital broadcasts are more resistant to false noise than analog broadcasts, resulting in lower data loss, better error correction, higher resolution, and clearer pictures. In addition,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s.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추세와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송출되는 방송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다양한 채널 중에서 선택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종류와 개수가 증가하고,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영상표시장치로 입력할 수 있는 명령의 종류도 증가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trend of converting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broadcasts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various demands of users are increasing. As the number of channels increases,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channel from various channels increases. In addition, as the types and number of video signals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increase, and the types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vary, the types of commands that can be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lso increase. .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에 포인터를 표시해주는 원격제어장치가 출연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원격제어장치는 공간리모콘이라 불리기도 한다. 공간리모콘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해야 한다. Therefore, a remote control device has appeared that detects how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displays a pointer on the imag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hereto. This kind of remote control is also called a spatial remote control. When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roug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should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리모콘 또는 일반리모콘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른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be controlled using a spatial remote control or a general remote control.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facilitate user convenience by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according to the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in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가 공간리모콘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including generating an object on a display; Determining the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being used; And displaying the pointer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when the remote controller in use is determined a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가 공간리모콘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And when the event of displaying the object on the display occurs,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ler being used, and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rmined to be a spatial remote controller, the pointer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르게 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장치로 외부장치가 연결되거나, 예약동작 실행시간이 도달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영상표시장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포인터를 오브젝트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being used. The video display device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that inputs a comman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image display device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ed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r when an execution time of a reservation operation is reach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being used when displaying the object on the display and display the pointer together with the objec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음 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170), 음성출력부(17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deo / audio processor 101, an interface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 display 170, and an audio output unit. 175 and the controller 180 may be included.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deo / audio processor 101 processes an input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o output an image or an audio signal to the display 170 and the audio output unit 175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image / audio processor 101 may include a signal input unit 110, a demodulator 120, and a signal processor 140.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tuner unit 111, an A / V input unit 112, a USB input unit 113, and a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튜너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The tuner unit 111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To convert. 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analog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SIF). That is, the tuner 111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SIF output from the tuner 111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또한, 튜너부(11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uner 111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che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 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tuner units. In the case of having at least two tuner units, the second tuner unit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similarly to the first tuner unit, and intermediate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Convert to frequency signal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또한, 제2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제2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제2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uner may sequentially select the RF broadcast signals of all the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 them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The second tuner may periodically perform conversion of all broadcast channels. 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provide images of various channels converted through the second tuner in the form of thumbnails while displaying the image of the broadcast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first tuner. In this case, the first tuner converts the main RF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the user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and the second tuner selects all RF broadcast signals except for the main RF broadcast signal sequentially / periodically. This may be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복조부(120)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1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1 is an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1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DDMA demodulation.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 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 solomon decoder, and the like. Soloman decryption can be performed.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In more detail,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may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After the signal processor 140 performs demultiplexing and signal processing, the signal processor 140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70 and outputs an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unit 175.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two tuner units, a corresponding number of demodulators may be provided. The demodulat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을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라디오, 오디오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 게임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신호처 리부(140)로 입력한다.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refers to various kinds of video or audio output devices such as a video cassette player, a DVD player, a radio, an audio player, an MP3 player,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and a game device. The signal input unit 110 inputs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to the signal processor 140 capable of processing the image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신호 입력부(110)의 A/V 입력부(1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 / V input unit 112 of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input a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d an S-video to input video and audio signals of an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erminals (analog),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RGB terminal, D-SUB terminal, IEEE 1394 terminal, SPDIF terminal, Liquid (HD) HD terminal and the like. The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CVBS terminal and the S-video terminal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The digital signal input through other input terminals may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140 without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process.

USB 입력부(1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SB input unit 113 may input a video and audio signal through a USB terminal.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inputter 114 may connec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a wireless network.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input unit 114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it may be networked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communication standards.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영상표시장치와 셋탑 박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10 may connec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set-top box. For example, when the set-top box is a set-top box for an Internet Protocol (IP) TV,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f the set-top box for the IP TV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 so as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signals processed at can be transferred to the set-top box for IP TV.

신호처리부(14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demultiplex the received stream signal, for example, MPEG-2 TS, and separate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it may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cheme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H.264 decoder.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 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rocess brightness, tint, and color of the image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4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it can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speech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is an encoded voice signal of the MPEG 4 Bit Sliced Arithmetic Coding (BSAC) standard according to th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cheme, it may be decoded by an MPEG 4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audio signal of the AAC (Advanced Audio Codec) standard of MPEG 2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scheme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AAC decoder.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rocess a base, treble,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175)로 음성 출력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40 is output to the voice output unit 175.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may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t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i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ATSC scheme, and may include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 the DVB scheme. . The ATSC-PSIP information or the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stream, that is,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7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perform On Screen Display (OSD) processing. In detail, the signal processor 140 may be configur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70 based on an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at least one of the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data signal, and a user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0. Variou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a graphic or text format.

저장부(16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호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store a signal processed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to the signal input unit 110.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such as RAM, ROM (EEPROM, etc.).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produce a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nd provide the same to the user.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한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택한 채널이 신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튜너부(111)을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8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a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the received signal and control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uner 111 to input the selected channel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110.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is controlled to process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40 is controlled so that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70 or the audio output unit 17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신호 입력부(110)의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통하여 처리되고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other type of video or audio output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at is, the user may want to watch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or camcorder input through the USB input unit 113 instead of the broadcast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input unit 113 of the signal input unit 110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140 and through the display 170 or the audio output unit 175. The video / audio processor 101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로컬 키(155)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로컬 키(15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 온/오프 명령, 채널 변경명령, 볼륨 변경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로컬 키(155)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버튼이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로컬 키(155)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user command input by the local key 155 form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ddition to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hereto. Can be.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 on / off command, a channel change command, a volume change command, or the like, via the local key 155. The local key 155 may be formed of a button or a key form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al key 155 is manipulated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ly.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1, 202)의 사시도이다.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remote control apparatuses 201 and 202 capable of inputting commands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리모콘(201)과 공간리모콘(202)은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일반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전송한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리모콘(202)에 대응하는 포인터(203)가 표시될 수 있다.The general remote control 201 and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are on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neral remote control 201 transmits a signal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1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RF communication standar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ointer 203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사용자는 일반리모콘(20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반리모콘(201)은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전송하므로 공간리모콘(202)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적다. 일반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페어링되는 과정 없이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 power on / off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general remote control 201. Since the general remote control 201 transmits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power consump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The general remote control 201 may transmit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ithout being paired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2)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3)는 공간리모콘(202)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2b는 공간리모콘(202)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up, down, left, and right. The pointer 203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2B illustrates a bar in which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도 2b에서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2)을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3)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2)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공간리모콘(202)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202)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2)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203)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In FIG. 2B, when the user moves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to the left side, the pointer 203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lso moves to the left side correspon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is provided with a sensor that can determine the movement.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detected by the sensor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and calculates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203 corresponding thereto.

포인터(203)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리모콘(202)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203)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 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리모콘(202)이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2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3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ointer 203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ove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As another example,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hat is, whe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moves back and forth,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enlarged or reduced. Therefore,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2)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의 내부 블록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nterface unit 150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202)은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he user input unit 230, sensor unit 240, output unit 250, power supply unit 260, storage unit 270, control unit 280 It can be composed of).

무선통신부(22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2)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를 구비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IR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may include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include an IR module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2)은 영상표시장치(100)로 공간리모콘(202)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공간리모콘(202)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2)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미도시)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may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an IR module (not shown) as needed.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리모콘(202)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2)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리모콘(202)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or a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0.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by pushing a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input means that a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리모콘(202)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1. 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LED module 25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vibration module generating vibration. 253, a voice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audio,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2)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2)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2)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is operated.

저장부(270)는 공간리모콘(202)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2)이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리모콘(202)과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리모콘(202)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2)과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required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When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2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relessly throug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2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280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2 may store and refer to the storage unit 270 for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paired with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2. Can be.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2)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80 controls various aspect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he controller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150.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리모콘(202)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lculates coordinate valu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2 and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unit 202. A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54 can be provided.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2)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2)(또는 일반 리모콘(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hrough the RF module 152. In addition, through the IR module 153,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or the general remote controller 201)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공간리모콘(202)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3)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value calculator 154 corrects a hand shake or an error from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to display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203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x, y) can be calculated.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가 수신한 공간리모콘(202)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2)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리모콘(202)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and the key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ly.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2)은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may calculate a pointer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nd output the pointer coordinate value to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pointer coordinate value to the controller 180 without a separate camera shake or error correction process.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200) 중 공간리모콘(202)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공간리모콘(202)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1 and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2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hat ar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는 영상표시장치(100)를 공간리모콘(201)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공간리모콘(201) 외에 영상표시장치(100)로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장치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4 to 12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but various types of user inputs capable of displaying a pointer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ddition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pparatu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명령을 수신하면 명령을 전송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는 일반리모콘이거나 공간리모콘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되는 신호의 통신 규격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IR 통신 규격 신호가 수신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일반리모콘 전송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RF 통신 규격 신호가 수신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 전송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한 신호의 통신 규격에 바뀌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변경한다. 이하, 상술한다.4 is a flowchart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command.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a general remote control or a spatial remote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signal is receiv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general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is received. When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signal is receiv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spatial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ignal is received.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hanges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received signa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hanges information regarding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stored in the storage 160.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조작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소정 버튼이나 키를 조작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2)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2)을 움직여서 조작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하는 신호는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등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에 관 련된 신호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S10).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user may operate a predetermined button or key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When using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the user can operate by moving the space remote control (202).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a signal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uch as power on / off, volume up / down, channel up / dow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S10).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한 신호의 통신 규격 판별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한 원격제어장치(200)가 공간리모콘(202)인지 판별할 수 있다(S15). 신호를 전송한 원격제어장치(200)가 공간리모콘(202)으로 판별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최종 입력장치의 종류를 공간리모콘이라고 저장한다(S20). 신호를 전송한 원격제어장치(200)가 일반리모콘(201)으로 판별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최종 입력장치의 종류를 일반리모콘이라고 저장한다(S25).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at transmits the signal i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ndard determination of the received signal (S15).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at transmits the signal is determined a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2,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tores the type of the final input apparatus a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S20).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at transmits the signal is determined as the general remote controller 201,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tores the type of the final input device as the general remote controller (S25).

최종 입력장치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Information regarding the final input devic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170)에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30).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는 다음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외부 미디어 장치를 직접 연결하는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에 외부 미디어 장치를 블루투스 통신 규격 등을 통하여 무선 연결하는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에 USB를 연결하는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신호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70)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5 is a flowchart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generate an event in which an object need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S30). The event that should display the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vents. An event for directly connecting an external media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 event in which an external media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Event for connecting USB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ideo display device 100 software update event. Event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 event for notifying information about a signal state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occurring on the display 170.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은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할 수 있다.The objec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widgets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to input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widget may be displayed by an OSD (On Screen Display).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음성 출력(볼륨) 레벨, 채널 정보, 현재 시간 등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ex) 동영상)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오브젝트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object includes an image or text indicating information on an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uch as an audio output (volume) level, channel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o. The object may b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embodied in another form (ex)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e object of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브젝트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알리는 OSD 또는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선택 OSD일 수 있다. OSD는 다음의 O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외부 미디어 장치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OSD.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미디어 장치 중 소정 미디어 장치를 선택할 수 있거나 실행할 수 있는 OSD. 영상표시장치(100)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필요성이나 업데이트 상태를 알리는 OSD. 영상표시장치(100)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OSD.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예약동작에 대응하는 이벤트(ex)영상표시장치(100) 자동 전원 오프시간 도달 이벤트, 영상표시장치(100) 취침 예약시간 도달 이벤트, 소정 채널 또는 프로그램 예약 녹화 이벤트, 소정 채널 또는 프로그램 예약 시청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OSD.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예약동작에 대응하는 이벤트 관련 명령을 입력 할 수 있는 OSD. 영상표시장치(100)로 수신되는 신호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OSD.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may be an OSD for notifying that an event occurs or a selection OSD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ed to the event. The OS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OSDs. OSD indicating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edia device. An OSD capable of selecting or executing a predetermined media device among the external media devices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mage display device (100) OSD to inform the need for software update or update status. OSD for inputting a software update command. An event corresponding to a reservation operation stor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ex)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utomatic power off time arrival event,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leep time arrival event, predetermined channel or program reservation recording event, OSD indicating that a predetermined channel or program reservation watching event) has occurred. OSD for inputting an event-related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operation stor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SD for informing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상기한 이벤트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명령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아닌 영상표시장치(100) 내부 서비스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하면(S35), 영상표시장치(100)는 최종 입력장치가 공간리모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0).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최종 입력장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If an event occurs due to an internal servi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at is not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s described above (S35),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the final input device is a spatial remote control Check whether or not (S4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check the type of the final input apparatus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60.

만일 최종 입력장치가 공간리모콘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와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45). 만일 S30 단계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원격제어장치에서 전송한 명령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전송한 신호의 통신 규격을 통하여 공간리모콘에서 전송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 만일 공간리모콘에서 전송된 신호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전송한 명령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와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45).If the final input device i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d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170 (S45). If the event generated in step S30 is an event correspon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t may be (S50). If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170 (S45).

만일 최종 입력장치가 공간리모콘이 아닌 일반리모콘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55). 만일 S30 단계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일반리모콘이 전송한 명령에 대응하는 이벤트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일반리모콘이 전송한 명령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55). If the final input device is a general remote control instead of a spatial remote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vent on the display 170 (S55). If the event generated in step S30 is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general remote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general remote control on the display 170 (S55).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시간에 도달하면 소정 채널로 Tune-in하거나 소정 프로그램이 방영되면 소정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채널로 Tune-in하는 예약시청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ccordance with a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reserved viewing function of tuning in to a predetermined channel when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or tuning in to a channel where a predetermined program is broadcasted when a predetermined program is broadcasted.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소정 영상이 출력되는 도중 예약 시간이 도달하거나 예약된 프로그램이 방영되기 시작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시청 알림 OSD(301)가 표시된다. 또한, 예약동작 실행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예약동작 실행관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OSD(302)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6A, when a reserved time arrives or a reserved program starts to be broadcast while a predetermined image is out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reserved viewing notification OSD 301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6B. do. In addition, an OSD 302 is displayed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ed to execution of a reservation operation so that a user can select whether to execute the reservation operation.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OSD(301, 302)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예약 시간 도달 또는 예약 프로그램 방영 시작)가 발생함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최종 입력장치의 정보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마지막으로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가 일반리모콘이라고 판별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301 OSD 및 302 OSD를 표시한다.The controller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last input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160 as an event (reservation of a reservation time or start of a reservation program) that should display the OSDs 301 and 302 occurs. Se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ler which inputs the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60 is a general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301 OSD and the 302 OSD, which are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event occurring on the display 170.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마지막으로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가 공간리모콘이라고 판별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ler that last inputs the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60 i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화면이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도중 이벤트(예약 시간 도달 또는 예약 프로그램 방영 시작)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최종 입력장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As shown in FIG. 7A, when an event (reservation of reservation time or start of reservation program broadcast) occurs while a predetermine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the controller 180 is related to the last input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See information.

본 실시예에서 마지막으로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는 공간리모콘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303)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공간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면 301, 302 OSD와 함께 303 포인터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다. 따라서 공간리모콘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공간리모콘의 버튼 등을 별도로 조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포인터를 표시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st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that inputs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a spatial remote control. Thus, as shown in FIG. 7B,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pointer 303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170. 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when an event occurs, the 303 poin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together with the 301 and 302 OSD. Therefore, a process of inputting a command for displaying a pointer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y separately operating a butt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may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8A에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소정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마지막으로 사용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한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8A, an event that requires displaying an object may occur while a predetermine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a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type of the last used remote controller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60.

본 실시예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한 원격제어장치는 일반리모콘이다.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301 OSD와 302 OSD를 표시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st remote control device used by the user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efore the event occurs is a general remote control. When a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80 displays 301 OSD and 302 OSD on the display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8B.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일반리모콘을 사용하다가 이벤트가 발생한 후 공간리모콘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도 8B의 302 OSD 중 Yes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공간리모콘의 OK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예약 시청된 채널로 Tune-in한다. The user may change and use a type of remot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this embodiment, the user uses the general remote control before the event occurs and then uses the spatial remote control after the event occurs. The user may operate the OK butt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while the Yes icon is highlighted in the 302 OSD of FIG. 8B. In this cas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unes in to the reserved-viewed channel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채널이 전환되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채널이 전환되고 있음을 알리는 305 OSD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B의 Yes 아이콘이 공간리모콘을 통하여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여 조작된 것을 인지한다. 즉,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와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가 변경된 것을 인지한다. As illustrated in FIG. 8C, the controller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305 OSD on the display 170 informing the user that the channel is being switched during the channel switching tim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Yes icon of FIG. 8B has been operated in response to a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That is,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stored in the storage 160 and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currently used by the user are changed.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리모콘에 대응하는 포인터(306)를 305 OSD와 함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벤트가 발생한 후 일반리모콘 대신 공간리모콘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공간리모콘에 대응하는 포인터 표시명령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170)에 포인터(306)을 표시한다. Therefor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pointer 306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us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170 together with the 305 OSD. The user can use the spatial remote control instead of the general remote control after the event occurs.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utomatically displays the pointer 306 on the display 170 even when the user does not input a pointer display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ts operation 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some of these may optionally be combined.

한편,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processor readable codes on a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의 전면 사시도,2A and 2B are front perspective view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의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of a spatial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4 to 5 are flowcharts referred to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도시한 도이다. 6 to 8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영상표시장치 150 : 인터페이스부 100: image display device 150: interface unit

180 : 제어부 200 : 원격제어장치180: control unit 200: remote control device

201 : 일반리모콘 202 : 공간리모콘201: general remote control 202: space remote control

220 : 무선 통신부 280 : 제어부 2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0: control unit

Claims (14)

디스플레이에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n event that should display the object on the display;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Determining the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being used; And 상기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가 공간리모콘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And displaying the pointer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when the remote controller in use is determined a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벤트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입력된 명령에 기초한 이벤트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And the event is not an event based on a command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OS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And the object is an OSD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제어장치 판별단계는,The remote control device determining step,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막지막으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And determining a ty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which lastly inputs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before the event occur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The image display apparatus operating method further includes storing information regarding a type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inputting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상기 원격제어장치 판별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마지막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The determining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determining the type of the last remote control apparatus by referring to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which inputs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before the event occurs. How it work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가 일반리모콘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And displaying the object on the display when the remote controller in use is determined to be a general remote contro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한 후에,After displaying the object,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공간리모콘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And displaying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when a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디스플레이; 및display; And 상기 디스플레이에 오브젝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가 공간리모콘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In response to an event requiring an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rmin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rmined to be a spatial remote controller, the pointer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re displayed. And a control unit to display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제8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8, 상기 이벤트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는 이벤트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event is not an event based on a command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OS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object is an OSD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마지막으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nd a type of a remote control device which last inputs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before the event occur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The control unit stor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마지막 원격제어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nd determining the type of the last remote control device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which inputs a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before the event occur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중인 원격제어장치가 일반리모콘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nd displaying the object on the display when the remote controller in use is determined to be a general remote control.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한 후에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공간리모콘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nd displaying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on the display when a command is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rough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fter displaying the object.
KR1020090107009A 2009-11-06 2009-11-06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655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09A KR101655803B1 (en) 2009-11-06 2009-11-06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09A KR101655803B1 (en) 2009-11-06 2009-11-06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153A true KR20110050153A (en) 2011-05-13
KR101655803B1 KR101655803B1 (en) 2016-09-22

Family

ID=4436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0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5803B1 (en) 2009-11-06 2009-11-06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80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9652A1 (en) * 1998-03-26 1999-09-30 Hitachi, Ltd. Display and apparatus
KR20050076478A (en)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vent notifing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90043969A (en) * 2007-10-30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9652A1 (en) * 1998-03-26 1999-09-30 Hitachi, Ltd. Display and apparatus
KR20050076478A (en)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vent notifing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90043969A (en) * 2007-10-30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803B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98336B1 (en) Pairing method and operation method of space remote controller
KR2010012895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00130474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7284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101599738B1 (en)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KR10157284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101608649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00130091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2680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110032322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56534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55803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2981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55850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80793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3853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5850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736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596675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5143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8831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0013047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596673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12357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9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