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379A - Toilet bowl removable fan - Google Patents
Toilet bowl removable fa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4379A KR20110054379A KR1020090110998A KR20090110998A KR20110054379A KR 20110054379 A KR20110054379 A KR 20110054379A KR 1020090110998 A KR1020090110998 A KR 1020090110998A KR 20090110998 A KR20090110998 A KR 20090110998A KR 20110054379 A KR20110054379 A KR 201100543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suction
- outside
- band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에 구비되는 환풍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외부로 강제 배기시켜, 화장실이나 욕실의 이용환경을 보다 청결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양변기의 구조 변경없이 추가적으로 탈부착되는 흡입밴드를 변기몸체 내측에 장착하고,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와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들을 흡입팬을 통하여 흡입구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에서 발생한 악취와 세균들이 화장실, 즉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기 전에 이를 즉각적으로 흡입, 정화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제품의 실용화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apparatus provided in a toilet, and more specifically, the toilet for removing the toilet odor caused by toilet quickly to the outside to maintain a clean and comfortable use environment of the toilet or bathroom. It relates to a type ventil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uction band that is additionally detachabl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toilet bowl inside the toilet body, by sucking the bacteria such as odor and bacteria generated during the toilet to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suction fan to discharge to the outside, Odors and germs generated can be immediately inhaled and cleaned before polluting the toilet, that is, the surrounding air,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making it easy to use th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에 구비되는 환풍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외부로 강제 배기시켜, 화장실이나 욕실의 이용환경을 보다 청결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apparatus provided in a toilet, and more specifically, the toilet for removing the toilet odor caused by toilet quickly to the outside to maintain a clean and comfortable use environment of the toilet or bathroom. It relates to a type ventilator.
통상의 양변기(洋便器, A toilet stool / 좌변기)는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의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서양식 변기로, 수세식에 의해 용변을 배수구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A common toilet (A toilet stool) is a western-type toilet installed in a chair shape so that a user can sit and see the toilet, and the toilet is flushed to the drain by a flush.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10)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용변을 받아두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변기몸체(11)와 상기 변기몸체(11)의 후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변기몸체(11)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저수탱크(12)와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대(13)와 상기 좌대(13)의 상방에 위치되는 시트커버(14)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변기몸체(11)는 상부에 저수탱크(12)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지며, 공급된 물은 용변과 함께 하부로 씻겨 내려가 배수통로를 통해 정화조로 보내진다. The
한편, 상기 변기몸체(11)와 저수탱크(12)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저수탱크(12)내의 일정량의 물을 변기몸체(11) 내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장치가 설치되며, 이 밸브장치는 저수탱크(12)의 외측에 구비된 레버(15)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ipe connecting the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10)는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가 용변을 보는 당사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출입하는 모든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한다.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변기 주위 및 화장실 내부에 방향제나 공기청정제 등을 비치하기도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화장실 내의 악취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제나 공기청정제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통해 화장실의 악취를 중화시키는 것으로, 화장실의 악취제거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으며, 용변냄새와 방향제 냄새가 혼합됨으로써 이용자에게 더욱 심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o solve this problem, air fresheners and air fresheners are provided around the toilet and inside the toilet, but this does not remove the bad smell in the toilet at all, but rather smells from the air freshener and the smell of the toilet. By neutralizing, it can not be seen as a fundamental solution for removing the odor of the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more unpleasant discomfort to the user by mixing the smell of toilet and fragrance.
또한, 대부분의 화장실에서는 벽면 또는 천장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는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화장실 전체 실내공기를 점차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함이지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상기 용변시의 악취가 화장실 내부공기로 확산 된 다음에야 환기작용이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most toilets, ventilators are installed on the walls or ceilings to ventilate the indoor air, but this is to gradually ventilate the entire indoor air. Since there is no nu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ntilation action occurs only after the odor during the toilet is diffused into the air inside the toile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흡입밴드를 구비하여,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을 흡입팬으로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실용화가 용이한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d with a suction band detachable to the existing toile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and bacteria generated during the toilet immediately with a suction fa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nstallation co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bowl detachable ventilation device which is inexpensive and easy to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변기몸체와 좌대 및 저수탱크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구비되어 악취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환풍장치에 있어서, 변기몸체의 개방된 상부 내측을 감싸도록 탈,부착되는 밴드 형태로, 표면에 다수의 흡입구가 관통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구들과 연통하는 흡입통로가 구비되는 흡입밴드; 상기 흡입밴드를 통해 흡입된 악취 및 세균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흡입밴드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건물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해 흡입된 악취 및 세균을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seat consisting of the base and the reservoir tank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removing odors and bacteria, removable, attached to surround the open upper inside of the toilet body. A suction b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a su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holes therein; A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ba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o as to discharge odors and bacteria sucked through the suction band to the outside; And a suction fan for discharging odors and bacteria suck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또한,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user by a sens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또한, 상기 흡입밴드의 양 측방에는 상기 흡입통로에서 분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조인트가 각각 형성되되, 양측의 상기 연결조인트 중 어느 하나의 연 결조인트에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외 다른 연결조인트에는 막음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suction band is formed in each of the connecting joints branched from the suction passages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ng joints of both sides, The other connection j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cover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어부의 센서는, 사용자의 착석과 탈석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또는 압력 센서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nsor of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sensor or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seating and absence.
또한, 건물 외부로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망;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 blocking network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은 기존의 양변기의 구조 변경없이 추가적으로 탈부착되는 흡입밴드를 변기몸체 내측에 장착하고,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와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 등을 흡입팬을 통하여 흡입구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에서 발생한 악취와 세균들이 화장실, 즉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기 전에 이를 즉각적으로 흡입, 정화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제품의 실용화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uction band that is additionally detachabl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toilet bowl inside the toilet body, by sucking the odor and bacteria such as bacteria generated during the toilet to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suction fan to discharge to the outside, Odors and germs generated in the toilet can be immediately inhaled and cleaned before polluting the surrounding air, that is,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which makes it easy to use the produ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oilet demountabl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ilet demountable venti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는 흡입밴드(100), 배출관(200), 흡입팬(300) 및 제어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3, the toilet seat removable venti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흡입밴드(100)는 상방으로 개방형성되는 변기몸체(11)의 상부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밴드 형태를 이루고,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 내측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가변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밴드(100)의 표면에는 다수의 흡입구(110)가 관통형성되고, 그 내부로는 상기 흡입구(110)들과 연통하도록 흡입통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밴드(100)는 상기 흡입구(110)들이 변기몸체(11)의 내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변기몸체(11)의 상측단 또는 좌대(13)의 내측하단에 위치된다. A plurality of
상기 흡입밴드(100)는 탈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변기몸체(11)의 상부 내측 둘레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탈착부재로는 탄성밴드, 벨크로 테이프, 나사 등이 적용되어 상기 변기몸체(11) 또는 좌대(13)의 상단에 탈,부착될 수 있다. The
상기 흡입밴드(100)의 양 측방에는 상기 흡입통로(120)에서 분기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연결되는 연결조인트(130)가 형성된다. Both sides of the
배출관(200)은 일단부는 상기 흡입밴드(100)의 연결조인트(1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건물 외부로 연결된다.The
그리고 배출관(200) 내부에는 상기 흡입밴드(100)의 흡입구(110)로 악취 및 세균 등을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200)을 통해 흡입된 악취 및 세균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30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아파트 화장실에 구비된 양변기에 본 발명의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배출관(200)의 일단부가 상기 흡입밴드(100)의 연결조인트(130)에 연결된 상태로 화장실의 벽면을 통과하도록 내설되고, 타단부가 화장실 천장에 구비되는 통상의 환기구(換氣口) 일측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when the toilet seat detachable venti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oilet provided in the apartment toilet,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배출관(200)은 화장실 내의 양변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양변기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밴드(100)의 측부에 연결조인트(130)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연결조인트(130)들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배출관(200)이 연결되도록 사용되고, 나머지 다른 연결조인트(130)에는 막음덮개(132)가 구비되어 밀폐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흡입밴드(100)의 흡입통로(120) 및 흡입구(11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막음덮개(132)에 의해 밀폐된 상기 연결조인트(130)에는 물 호스를 연결하여 ,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활용가능하다. In order to clean the
또한, 건물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밴드(100)로부터 흡입된 악취 및 세균 등을 배출하게 되는 상기 배출관(200)의 타단부에는 외부에서 이물질 또는 벌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망(2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제어부(미도시)는 흡입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양변기의 사용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S)와 상기 흡입팬(3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는 순간, 이를 센서(S)를 통해 감지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흡입팬(300)을 가동시켜 악취가 변기몸체(11)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흡입밴드(100)의 흡입구(110)를 통해 즉각적으로 흡입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악취를 맡을 수 없고, 화장실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At the moment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the control unit, which senses this through the sensor S, operates the
상기 제어부의 센서(S)는 양변기(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온이나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또는 사용자의 체중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같은 통상의 센서가 사용된다. The sensor S of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기 사용 후에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흡입팬(300)을 가동시키거나, 양변기(10) 사용 전이라도 화장실의 공기 오염에 따라 흡입팬(300)을 가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uch,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ordinary technical ideas and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onventional toile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oilet seat removabl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removable venti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양변기 11: 변기몸체10: toilet 11: toilet body
12: 저수탱크 13: 좌대12: reservoir tank 13: base
14: 시트커버 15: 레버14: Seat cover 15: Lever
100: 흡입밴드 110: 흡입구100: suction band 110: suction port
120: 흡입통로 130: 연결조인트120: suction passage 130: connection joint
132: 막음덮개 200: 배출관132: blocking cover 200: discharge pipe
210: 차단망 300: 흡입팬210: cut off network 300: suction fan
S: 센서S: senso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10998A KR20110054379A (en) | 2009-11-17 | 2009-11-17 | Toilet bowl removable f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10998A KR20110054379A (en) | 2009-11-17 | 2009-11-17 | Toilet bowl removable fa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54379A true KR20110054379A (en) | 2011-05-25 |
Family
ID=443635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10998A Ceased KR20110054379A (en) | 2009-11-17 | 2009-11-17 | Toilet bowl removable fa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54379A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3881B1 (en) * | 2013-05-24 | 2014-06-30 | 박정현 | Deodorizing toilet seat for toilet |
| CN111877478A (en) * | 2018-08-21 | 2020-11-03 | 崔保山 |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method for squatting toilet |
| KR20200140524A (en) * | 2019-06-07 | 2020-12-16 | 금영성 | Deodorant device for toilet and deodorant seat for toilet with this |
| KR20230056380A (en) * | 2021-10-20 | 2023-04-27 | 신창토건 주식회사 | A Detachable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 |
| US11641987B1 (en) * | 2019-08-06 | 2023-05-09 | Marcelo A. De Jesus | Toilet seat having suction assembly |
| KR20240029219A (en) | 2022-08-26 | 2024-03-0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y-product gas treatment device |
| KR102745373B1 (en) * | 2023-12-01 | 2024-12-20 |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Smell exhausting device toilet |
-
2009
- 2009-11-17 KR KR1020090110998A patent/KR2011005437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3881B1 (en) * | 2013-05-24 | 2014-06-30 | 박정현 | Deodorizing toilet seat for toilet |
| CN111877478A (en) * | 2018-08-21 | 2020-11-03 | 崔保山 |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method for squatting toilet |
| KR20200140524A (en) * | 2019-06-07 | 2020-12-16 | 금영성 | Deodorant device for toilet and deodorant seat for toilet with this |
| US11641987B1 (en) * | 2019-08-06 | 2023-05-09 | Marcelo A. De Jesus | Toilet seat having suction assembly |
| KR20230056380A (en) * | 2021-10-20 | 2023-04-27 | 신창토건 주식회사 | A Detachable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 |
| KR20240029219A (en) | 2022-08-26 | 2024-03-0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y-product gas treatment device |
| KR102745373B1 (en) * | 2023-12-01 | 2024-12-20 |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Smell exhausting device toil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906009A (en) | Toilet bowl noxious fume and mist evacuation | |
| KR20110054379A (en) | Toilet bowl removable fan | |
| US20110047686A1 (en) |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 |
| KR101841104B1 (en) | Deodorizing toilet | |
| US20080301865A1 (en) |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 |
| KR101728672B1 (en) | Deodorizing toilet | |
| KR101656137B1 (en) | Bide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bad smell | |
| KR200432717Y1 (en) | Odor elimination toilet | |
| JP4057772B2 (en) | Simple toilet deodorizer and simple toilet with deodorizer | |
| KR100488298B1 (en) | Toilet seat ventilating apparatus | |
| JP7312025B2 (en) | unit urinal | |
| CN212641655U (en) | Toilet bowl deodorization device | |
| KR20140103621A (en) | A air curtain device of toilet bowl | |
| KR20130065907A (en) | Structure of toilet bowl with personally ventilation function | |
| JP3176071U (en) | Toilet deodorization equipment | |
| KR20040020232A (en) |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 |
| KR200480645Y1 (en) | Bathroom internal air pollution prevention toilet | |
| JP2019167780A (en) | Sanitary washing device | |
| KR102272300B1 (en) | A Outgasing Device of the Stool | |
| US8136172B1 (en) | Scented toilet seat | |
| KR20120117309A (en) | Bad smell clearance device of a toilet bowl | |
| KR200271567Y1 (en) | Removal device of foul smell from chamber-pot | |
| KR20110126946A (en) | Toilet bowl ventilation device | |
| KR200175338Y1 (en) | Discharge device of stink of a chamber pot | |
| KR100654209B1 (en) | Deodorizer for toilet bow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