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583A -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및 그 조립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및 그 조립 장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1583A KR20110061583A KR1020117006872A KR20117006872A KR20110061583A KR 20110061583 A KR20110061583 A KR 20110061583A KR 1020117006872 A KR1020117006872 A KR 1020117006872A KR 20117006872 A KR20117006872 A KR 20117006872A KR 20110061583 A KR20110061583 A KR 20110061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er
- plug
- press
- valve
- valve b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4 r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comprising lock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2057/0062—Tools specially adapted for assembly of transmiss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3—Details of electro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는,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밸브 보어와, 밸브 보어 내에 배치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와, 밸브 보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면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가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 부재와, 밸브 보디에 형성되고 리테이너 부재를 밸브축의 직교 방향으로부터 삽입하는 리테이너 구멍과, 리테이너 구멍과 연통하여 밸브 보어에 형성되고 스프링력 하에서 리테이너 부재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리테이너 홈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부재는, 리테이너 홈의 내측의 위치까지 플러그가 밸브 보어 내에 압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리테이너 홈 내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및 그 조립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로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가 배치된 밸브 보어가 형성되고, 리테이너 부재에 의해 일단부측에 보유 지지되고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되도록 한 밸브 보디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유압 제어 밸브는 이하의 수순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스풀이 밸브 보어에 삽입된다. 플러그가 밸브 보어에 배치되고, 그 다음에 플러그가 밸브 보디의 리테이너 구멍의 내측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스프링을 압축 상태로 되게 하면서 손가락으로 밀어 넣는다. 리테이너 부재는 밸브 보디의 상면으로부터 리테이너 구멍에 삽입된다. 손가락과 리테이너 부재의 접촉시에 손가락은 빼내진다. 리테이너 부재는 리테이너 구멍의 아래까지 밀어 넣어진다. 플러그가 스프링의 복원력 하에 고정 위치로 복귀될 때, 리테이너 부재는 리테이너 구멍의 벽면에 대해 압박된다.
상기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에 대해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플러그를 통해 리테이너 부재에 작용하면, 손가락을 뺀 후에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의 하부 아래까지 밀어 넣는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테이너 부재의 설정 위치가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플러그는 손가락에 의해 밀어 넣어질 수 있다. 그러나, 리테이너 부재의 설정 위치가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로부터 내측의 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손가락으로 플러그를 밀어 넣을 수 없어, 압입 지그를 사용하여 압박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경우, 압입 지그의 선단부에 의해 플러그의 하측을 밀어 넣어, 리테이너 부재가 압입 지그의 선단부에 접촉한 시점에서 압입 지그를 빼고,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의 하부로 아래까지 밀어 넣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압 제어 밸브는, 플러그가 압입 지그의 압박에 의해 편측으로 기울게 되고, 그러한 기울어진 위치로 밸브 보어의 내면에 대해 플러그가 압박 고정되는 소위 플러그 고착 상태를 유발하기 쉬운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플러그 고착 상태를 방지하면서, 리테이너 부재의 조립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와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이며,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밸브 보어와, 밸브 보어 내에 배치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와, 밸브 보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면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를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 부재와, 밸브 보디에 형성되고, 리테이너 부재가 밸브축의 직교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리테이너 구멍과, 리테이너 구멍과 연통하여 밸브 보어에 형성되고, 스프링력 하에서 리테이너 부재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리테이너 홈을 포함하고, 리테이너 부재는, 플러그가 리테이너 홈의 내측 위치까지 밸브 보어 내에 압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리테이너 홈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의 리테이너 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를 조립 장착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이며, 유압 제어 밸브는,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밸브 보어와, 밸브 보어 내에 배치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와, 밸브 보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면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를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 부재와, 밸브 보디에 형성되고 리테이너 부재가 밸브축의 직교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리테이너 구멍과, 리테이너 구멍과 연통하여 밸브 보어에 형성되고 스프링력 하에서 리테이너 부재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리테이너 홈을 포함하고,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로부터 밸브 보어 내에 스프링과 스풀과 플러그를 삽입하는 밸브 부품 삽입 단계와, 리테이너 홈의 내측의 위치까지 플러그를 균등 압박에 의해 밀어 넣는 플러그 압입 단계와, 플러그를 균등 압박에 의해 리테이너 홈의 내측의 위치까지 압입하면서,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삽입하여 리테이너 홈 내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하는 리테이너 삽입 단계와, 리테이너 삽입 단계 완료 후, 플러그에의 압입력을 해제하는 압입력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리테이너 플레이트(리테이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리테이너 플레이트(리테이너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밸브 부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방향 화살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에서 유발되는 유압 제어 밸브의 플러그 고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밸브 부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플러그 압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압입력 해제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에 있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이 저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에 있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이 저지되는 상태에서 압입 지그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리테이너 플레이트(리테이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리테이너 플레이트(리테이너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밸브 부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방향 화살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에서 유발되는 유압 제어 밸브의 플러그 고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밸브 부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플러그 압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압입력 해제 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에 있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이 저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 조립 장착 방법 중 리테이너 삽입 단계에 있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이 저지되는 상태에서 압입 지그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와 그 조립 장착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제어 밸브의 일례로서,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밸브 유닛 내에 설정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시에 유로를 전환하는 밸브로서) 시프트 밸브를 예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압 제어 밸브는, 밸브 보디(1)와, 밸브 보어(2)와, 스프링(3)과, 스풀(4)과, 플러그(5)와, (리테이너 부재로서의) 리테이너 플레이트(6)와, 리테이너 구멍(7)과, 리테이너 홈(8)을 구비한다.
밸브 보어(2)(실린더의 내경에 상당함)는, 밸브 보디(1)의 측면에 형성되고, 밸브 보어(2) 내에 스프링(3)과 스풀(4)과 플러그(5)가 배치된다. 또한, 밸브 보어(2)에는, 스풀(4)의 스트로크 위치에 의해 연통이나 차단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유로를 구비한다.
플러그(5)는,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의 유압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 부재로서 제공되고,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삽입되고, 스프링(3)을 압축하도록 밸브 보어(2) 내에 밀어 넣어진다. 플러그(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입 지그(9)를 사용하여 균등 압박함으로써 가압된다. 압입 지그(9)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5)의 플러그면 중앙부 영역을 면 압박하는 센터 압박 선단부(9a)(균등 압박 선단부)를 갖는다.
리테이너 구멍(7)은, 밸브축의 직교 방향[즉, 밸브 보어(2)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밸브 보디(1)에 형성된다. 또한, 리테이너 홈(8)은, 리테이너 구멍(7)과 연통하는 환 형상 홈으로서 밸브 보어(2) 내에 형성된다.
리테이너 플레이트(6)는, 스프링(3), 스풀(4), 플러그(5)를 밸브 보어의 일단부측(도 1의 우측 단부측)에서 위치하여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스톱퍼 부재로서, 리테이너 구멍(7)을 통해 리테이너 홈(8)에 삽입된다. 밸브가 정상적으로 조립 장착되면, 스프링(3)의 힘이 스풀(4) 및 플러그(5)를 통해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 작용하여, 리테이너 플레이트(6)가 리테이너 홈(8)에 위치 결정 및 보유 지지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플레이트(6)는 리테이너 홈(8)의 내측으로 위치까지 플러그(5)를 압입 지그(9)에 의해 압입된 상태로, 리테이너 구멍(7)을 통해 리테이너 홈(8)에 도달하는 삽입 완료 위치까지의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을 허용하는 절결 개구(6a)(개구)를 갖는다. 이 절결 개구(6a)는, 압입 지그(9)의 센터 압박 선단부(9a)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리테이너 구멍(7)으로부터의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절결한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는, 절결 개구(6a)의 양측면에, 센터 압박 선단부(9a)를 절결 개구(6a)에 보유 지지하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을 안내하는 만곡된 삽입 안내면(6b, 6b)을 갖고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 구멍(7)의 구멍 폭과 리테이너 홈(8)의 홈 폭은, 동일한 폭 치수로 설정하고, 또한 리테이너 구멍(7)을 통해 리테이너 홈(8)으로의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성을 고려하여,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두께/폭보다도 큰 폭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밸브 보어(2)의 개구부로부터의 오일의 누출 방지를 위한 시일성을 고려하여, 플러그(5)의 외경 치수는 밸브 보어(2)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다.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밸브 유닛은, 일반적으로 상기 구성의 유압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각종 유압 제어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트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제어 밸브의 밸브 보디(상부 보디, 하부 보디)를 겹쳐 연결하고 있으므로, 제어 밸브 유닛의 내측을 통해 개미집과 같이 유압 통로의 네트워크가 연장된 유압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유압 제어 밸브는 이하의 수순으로 조립 장착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스풀, 플러그의 순으로 밸브 보디의 밸브 보어 내에 삽입된다. 플러그는 압입 지그(또는 손가락)에 의해 내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의 압입을 내측으로 행하면서, 리테이너 부재는 밸브 보디의 리테이너 구멍으로 삽입된다. 리테이너 부재의 삽입측 단부면이 압입 지그의 반원 형상의 선단부에 접촉하면, 스풀의 조립 장착 완료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 판단이 행해지면, 압입 지그가 제거된다. 리테이너 구멍에서 도중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리테이너 부재는 밸브 보디의 리테이너 홈으로 끼워맞춤된다. 이에 의해, 밸브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압입 지그(또는 손가락)를 빼면, 스프링력이 리테이너 부재를 기울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리테이너 부재에 작용하여,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의 단부로 밀어 넣는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립 작업 중에 압입 지그의 선단부에 의해 플러그의 하측이 압박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압입 지그에 의해 가압되어 플러그가 편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밸브 보어의 개구부로부터의 오일 누설 방지를 위해 시일성을 고려하여, 플러그의 외경 치수는 밸브 보어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된다. 그로 인해, 조립 장착시에 플러그가 약간 기울어지는 것만으로 밸브 보어 내주와 접촉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보어의 내주면에 대해 기울어진 위치로 고착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플러그 고착 상태의 발생은, 플러그가 밸브 보어 내에서 리테이너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육안에 의해 확인할 수 없다.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홈으로 삽입 끼워맞춤할 때, 조립 장착 작업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플러그 고착 상태에서는, 리테이너 부재와 플러그가 서로 비접촉으로 되어, 리테이너 부재에는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테이너 부재는 프리 상태로 되어, 예를 들어 다른 밸브 보디와의 조립 장착 등의 후단계에 있어서 밸브 보디의 방향을 바꾸거나 하면,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빠져 탈락되어 버린다. 그 후, 스프링력에 의해 서서히 플러그가 고착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플러그 고착 상태가 완전하게 해제되면, 스톱퍼 부재로서 리테이너 부재가 없음으로써, 스풀, 스프링 및 플러그가 밸브 보어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플러그 고착 상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상황에 비추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을, 이하의 밸브 부품 삽입 단계와, 플러그 압입 단계와, 리테이너 삽입 단계와, 압입력 해제 단계에 의해 행한다.
(밸브 부품 삽입 단계)
밸브 부품 삽입 단계에서는,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밸브 보어(2) 내에, 스프링(3)과, 스풀(4)과, 플러그(5)를 순차적으로 이 순서로 삽입한다. 실제의 라인 조립 장착시에는, 밸브 보어(2)가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밸브 보디(1)를 수직 위치로 보유하여,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밸브 보어(2) 내에, 스프링(3)과, 스풀(4)과, 플러그(5)를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넣어진다.
(플러그 압입 단계)
플러그 압입 단계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압입 지그(9)를 삽입하여, 압입 지그(9)의 센터 압박 선단부(9a)가 플러그(5)의 플러그면 중앙부 영역을 균등 압박함으로써,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보유 지지하는 리테이너 홈(8)보다도 내측의 위치까지 플러그(5)를 밀어 넣는다. 실제의 라인 조립 장착시에는,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압입 지그(9)를 하방으로 삽입하고, 플러그(5)를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어 넣는다.
(리테이너 삽입 단계)
리테이너 삽입 단계에서는, 압입 지그(9)에 의해 플러그(5)를 리테이너 홈(8)보다도 내측의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로,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리테이너 구멍(7)으로부터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U자 형상의 절결 개구(6a)가 압입 지그(9)의 센터 압박 선단부(9a)를 통과하여, 리테이너 플레이트(6)가 리테이너 홈(8) 내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되도록 한다. 즉, 플러그(5)를 압입 지그(9)에 의해 균등 압박한 상태로,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을 완료한다. 실제의 라인 조립 장착시에는, 횡방향으로부터 리테이너 구멍(7)에 압입 지그(9)를 삽입한다.
(압입력 해제 단계)
압입력 해제 단계에서는,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을 완료한 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압입 지그(9)를 빼낸다. 실제의 라인 조립 장착시에는, 압입 지그(9)를 상방으로 빼내서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제거한다.
상기한 밸브 조립 장착 방법에서는, 플러그(5)를 압입 지그(9)에 의해 균등 압박한 상태로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을 완료한다. 따라서, 압입 지그(9)에 의한 플러그(5)의 편측 압박에 의한 플러그 기울어짐의 결과로 발생하는 플러그 고착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력이 플러그(5)를 통해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 작용하여, 리테이너 플레이트(6)는 적절하게 제위치에 보유 지지될 수 있다. 후속의 라인 단계에 있어서 밸브 보디(1)의 방향을 바꾸거나 해도, 리테이너 플레이트(6)가 리테이너 구멍(7)으로부터 빠져 탈락되지 않고, 스풀(4), 스프링(3) 및 플러그(5)가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 조작 중에 플러그(5)를 압입 지그(9)에 의해 균등 압박하므로, 스프링(3)의 복원력이 플러그(5)를 통해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기울게 하는 방식으로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신속하게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을 완료할 수 있어,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조립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압입 지그(9)에는 균등 압박 선단부[센터 압박 선단부(9a)]가 형성된다. 그러한 압입 지그(9)를 사용함으로써 플러그(5)의 설정 위치가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2a)로부터 안쪽에 위치해도, 압입 지그(9)에 의해 용이하게 플러그(5)의 플러그면을 균등하게 면 압박할 수 있는 동시에,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면 압박에 의해 플러그(5)를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압입 지그(9)의 센터 압박 선단부(9a)의 외형을 따른 형상인 U자 형상의 절결 개구(6a)가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 형성된다. 그러한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사용함으로써, 리테이너 플레이트(6)가 1개의 절결 개구(6a)를 갖는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면서, 플러그 고착 상태를 방지하고,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조립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면 압박에 의해 플러그(5)를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 삽입 단계에 있어서, 리테이너 구멍(7)으로부터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삽입하였을 때, 플러그(5)의 플러그면 센터 위치로부터 센터 압박 선단부(9a)가 변위되어 있으면,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이 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압박 선단부(9a)의 플러그 접촉 위치를, 도 11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U자 형상의 절결 개구(6a)가 센터 압박 선단부(9a)를 통과하는 도 11b에 도시하는 위치로 변위되도록 압입 지그(9)가 이동된다.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는 절결 개구(6a)의 양측면에 삽입 안내면(6b, 6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 안내면(6b, 6b)에 의해, 절결 개구(6a)가 센터 압박 선단부(9a) 상에 통과하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6)의 삽입이 안내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압입 단계으로 복귀하여 압입 지그(9)에 의한 플러그(5)의 압입 작업을 다시 하는 일 없이, 압입 지그(9)를 이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센터 압박 선단부(9a)의 플러그(5)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약간의 어긋남을 허용하면서, 플러그(5)를 균등 압박에 의해 밀어 넣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5)가 밸브 보어(2)의 내주면에 대해 기울어진 위치로 고착되는 플러그 고착 상태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리테이너 부재(6)의 조립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 부재로서, 리테이너 플레이트(6) 대신에, 도 12에 도시하는 리테이너 핀(6')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압입 지그(9)에는, 리테이너 핀(6')의 양측면 상에서 플러그(5)의 플러그면의 영역을 압박해서 플러그(5)를 균등 압박하기 위한 배분 압박 선단부(9a', 9a')가 형성된다. 또한, 리테이너 구멍(7')과 리테이너 홈(8')이 리테이너 핀(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밸브 보어(2)의 개구 단부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플러그(5)는, 압입 지그(9) 대신에 손가락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절결 개구가 손가락의 통과 및 끼워맞춤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리테이너 플레이트(6)에 절결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홈(8)보다도 내측 위치까지 플러그(5)를 균등 압박에 의해 압입된 상태로, 리테이너 플레이트(6)를 리테이너 구멍(7)으로부터 리테이너 홈(8)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보디(1)의 밸브 보어(2) 내에 스프링(3)과 스풀(4)과 플러그(5)를 차례로 배치하였지만, 또 다르게는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를 차례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스풀과 하나의 스프링이 설치되었지만, 또 다르게는 복수의 스풀 및/또는 복수의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는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밸브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밸브 이외의 임의의 유압 제어 밸브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밸브 보디에 형성한 밸브 보어 내에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를 배치하고,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로 보유 지지하면서 일단부측을 리테이너 부재에 의해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한 자동 변속기의 임의의 유압 제어 밸브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이며,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밸브 보어와,
밸브 보어 내에 배치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와,
밸브 보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면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를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 부재와,
밸브 보디에 형성되고, 리테이너 부재가 밸브축의 직교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리테이너 구멍과,
리테이너 구멍과 연통하여 밸브 보어에 형성되고, 스프링력 하에서 리테이너 부재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리테이너 홈을 포함하고,
리테이너 부재는, 플러그가 리테이너 홈의 내측 위치까지 밸브 보어 내에 압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리테이너 홈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의 리테이너 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압입 지그의 균등 압박 선단부에 의해 플러그의 플러그면을 균등하게 압박함으로써 밸브 보어 내에 압입되고, 리테이너 부재는,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 방향을 따라 압입 지그의 균등 압박 선단부의 외형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 절결 개구를 갖는 리테이너 플레이트인,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 제2항에 있어서, 압입 지그는, 상기 균등 압박 선단부로서, 플러그의 플러그면 중앙부 영역을 압박하는 센터 압박 선단부를 갖고, 리테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절결 개구로서,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의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 방향을 따라 압입 지그의 센터 압박 선단부의 외형을 따른 U자 형상의 절결 개구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 제3항에 있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는, 절결 개구의 양측면에, 센터 압박 선단부를 절결 개구 내에 보유 지지하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을 안내하는 만곡된 삽입 안내면이 형성된,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를 조립 장착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이며,
유압 제어 밸브는,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밸브 보어와, 밸브 보어 내에 배치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와, 밸브 보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면서 스풀과 스프링과 플러그를 밸브 보어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 부재와, 밸브 보디에 형성되고 리테이너 부재가 밸브축의 직교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리테이너 구멍과, 리테이너 구멍과 연통하여 밸브 보어에 형성되고 스프링력 하에서 리테이너 부재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리테이너 홈을 포함하고,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로부터 밸브 보어 내에 스프링과 스풀과 플러그를 삽입하는 밸브 부품 삽입 단계와,
리테이너 홈의 내측의 위치까지 플러그를 균등 압박에 의해 밀어 넣는 플러그 압입 단계와,
플러그를 균등 압박에 의해 리테이너 홈의 내측의 위치까지 압입하면서,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삽입하여 리테이너 홈 내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하는 리테이너 삽입 단계와,
리테이너 삽입 단계 완료 후, 플러그에의 압입력을 해제하는 압입력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플러그 압입 단계는, 균등 압박 선단부를 갖는 압입 지그를 제공하여,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로부터 압입 지그를 삽입하고, 균등 압박 선단부에 의해 플러그의 플러그면을 균등하게 압박하여 리테이너 홈의 내측의 위치까지 플러그를 밀어 넣고, 리테이너 삽입 단계는, 플러그를 내측으로 압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압입 지그의 균등 압박 선단부를 통과하여 리테이너 홈 내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수행되고, 압입력 해제 단계는, 리테이너 삽입 단계 완료 후, 밸브 보어의 개구 단부로부터 압입 지그를 빼냄으로써 수행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압입 지그는, 상기 균등 압박 선단부로서, 플러그의 플러그면 중앙부 영역을 압박하는 센터 압박 선단부를 갖고, 리테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절결 개구로서,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의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 방향을 따라 압입 지그의 센터 압박 선단부의 외형을 따른 U자 형상의 절결 개구를 갖고, 리테이너 삽입 단계는, 플러그를 내측으로 압입한 상태에서, U자 형상의 절결 개구를 센터 압박 선단부를 통과시킴으로써 리테이너 부재를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리테이너 홈 내에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수행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는, 절결 개구의 양측면에 센터 압박 선단부를 보유 지지하면서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삽입을 안내하는 만곡된 삽입 안내면을 구비하고, 리테이너 삽입 단계는, 리테이너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리테이너 부재가 센터 압박 선단부에 의해 저지되면, 센터 압박 선단부의 플러그 접촉 위치를 U자 형상의 절결 개구가 센터 압박 선단부를 통과하는 위치로 되도록 압입 지그를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압 제어 밸브의 조립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2008221115 | 2008-08-29 | ||
| JPJP-P-2008-221115 | 2008-08-29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1583A true KR20110061583A (ko) | 2011-06-09 |
Family
ID=417212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7006872A Withdrawn KR20110061583A (ko) | 2008-08-29 | 2009-07-02 |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및 그 조립 장착 방법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10140026A1 (ko) |
| EP (1) | EP2317184A4 (ko) |
| JP (1) | JPWO2010024040A1 (ko) |
| KR (1) | KR20110061583A (ko) |
| CN (1) | CN102138030A (ko) |
| WO (1) | WO20100240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018269B2 (en) * | 2014-10-31 | 2018-07-1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ormally high acting linear force solenoid |
| CN108247347B (zh) * | 2018-03-21 | 2023-12-19 | 重庆安木科技有限公司 | 一种差速器装配线 |
| DE102022200603A1 (de) * | 2022-01-20 | 2023-07-20 | Zf Friedrichshafen Ag | Schieberventil und Montagehilfsvorrichtung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548521Y2 (ja) * | 1990-10-17 | 1997-09-24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油圧弁のプラグ抜け止め構造 |
| JPH10103532A (ja) * | 1996-09-24 | 1998-04-21 | Tosok Corp | スプール弁 |
| JP3620958B2 (ja) * | 1997-12-17 | 2005-02-16 | ジヤトコ株式会社 | 自動変速機の油圧コントロールバルブの抜け止め構造 |
| US6042084A (en) * | 1999-02-16 | 2000-03-28 | Daimlerchrysler Corporation | Valve assembly having a valve spring retainer |
| US6832671B1 (en) * | 2001-08-10 | 2004-12-21 | Sonnax Industries, Inc. | Torque converter clutch apply valve |
| US6722385B1 (en) * | 2001-09-14 | 2004-04-20 | Sonnax Industries, Inc. | Hydraulic valve repair kit and method of use |
| JP3987700B2 (ja) * | 2001-09-26 | 2007-10-10 | ジヤトコ株式会社 | 直列配列の油圧バルブ構造 |
| US7104273B1 (en) * | 2003-04-28 | 2006-09-12 | Sonnax Industries, Inc. | Torque converter clutch regulator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KR100598803B1 (ko) * | 2003-12-30 | 2006-07-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 |
| KR20080054239A (ko) * | 2006-12-12 | 2008-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
-
2009
- 2009-07-02 KR KR1020117006872A patent/KR20110061583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07-02 EP EP09809695A patent/EP231718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7-02 WO PCT/JP2009/062089 patent/WO201002404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7-02 CN CN2009801335207A patent/CN102138030A/zh active Pending
- 2009-07-02 JP JP2010526617A patent/JPWO2010024040A1/ja active Pending
- 2009-07-02 US US13/058,265 patent/US2011014002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2138030A (zh) | 2011-07-27 |
| JPWO2010024040A1 (ja) | 2012-01-26 |
| EP2317184A1 (en) | 2011-05-04 |
| WO2010024040A1 (ja) | 2010-03-04 |
| US20110140026A1 (en) | 2011-06-16 |
| EP2317184A4 (en) | 2012-04-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7054327B (zh) | 止回阀 | |
| KR101622146B1 (ko) | 체크밸브 | |
| JP5965811B2 (ja) | コネクタ | |
| WO2009107790A1 (ja) |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 |
| KR20110061583A (ko) |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밸브 및 그 조립 장착 방법 | |
| JP4596281B2 (ja) | 管継手 | |
| US8833389B2 (en) | Captured check ball valve cartridge | |
| KR20080080982A (ko) | 링형 부재의 제조방법, 및 백업 링, 및 연료 분사 밸브의밀봉 구조 | |
| US8186370B2 (en) | Solenoid plunger core seal | |
| US7784492B2 (en) | Direction control valve | |
| CN111566400B (zh) | 用于液压耦联部的耦联元件 | |
| EP1744053B1 (en) | Fuel path sealing structure | |
| JP2023534710A (ja) | ハウジング内の受入凹部に挿入するためのコネクタ | |
| US6722385B1 (en) | Hydraulic valve repair kit and method of use | |
| JP2011067879A (ja) | バルブ組立方法及びバルブ組立用治具 | |
| JP2006125506A (ja) | チェーンテンショナ | |
| JP2011194548A (ja) | バルブ部品組み付け用治具 | |
| JP2002327856A (ja) | 電磁弁 | |
| JP2001304477A (ja) | 継 手 | |
| JP4102549B2 (ja) | スプールバルブ構造 | |
| EP3458751B1 (de) | Ventilpatrone für ein magnetventil und zugehöriges magnetventil | |
| JP6975186B2 (ja) | ソケット装置 | |
| WO2019053783A1 (ja) | コントロールバルブ | |
| KR102005902B1 (ko) |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 |
| DE102016002513A1 (de) | Hydraulisches Ventilspielausgleichselement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entsprechender Ventiltrieb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ntiltrieb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3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