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9526A -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526A
KR20110069526A KR1020090126290A KR20090126290A KR20110069526A KR 20110069526 A KR20110069526 A KR 20110069526A KR 1020090126290 A KR1020090126290 A KR 1020090126290A KR 20090126290 A KR20090126290 A KR 20090126290A KR 20110069526 A KR20110069526 A KR 20110069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ata
interaction
function
mobile terminal
external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운
장시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9526A/ko
Priority to US12/964,244 priority patent/US20110151926A1/en
Priority to EP10837887.8A priority patent/EP2514104A4/en
Priority to PCT/KR2010/009016 priority patent/WO2011074891A2/en
Priority to CN201080057717.XA priority patent/CN102668390B/zh
Publication of KR2011006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5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사용자 환경에 대응하는 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 기반의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감지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모듈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프로젝터, 감지모듈, 근접센서, 카메라모듈, 인터랙션, 외부 출력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사용자 환경에 대응하는 감지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들은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데이터를 휴대단말 자체에 구비된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들이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는 휴대단말의 외형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대체로 작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작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혼자서는 볼 수 있지만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TV-OUT 기능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정보를 외부 대형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별도의 대형 표시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며,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에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휴대단말에 영상 투사 기능을 구비하여 보다 큰 크기의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시도들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시로,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벽이나 바닥 등을 외부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는 휴대단말의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제어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휴대단말 내에 포함되는 제어수단(예컨대,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에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제어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 자체에 물리적인 접촉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휴대단말이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휴대단말의 흔들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외부 스크린에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 역시도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위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중 또는 영화 감상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흔들림 및 보정을 위한 휴대단말의 조작으로 인해 프리젠테이션 또는 영화 감상에 방해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휴대단말의 위치를 재조정하거나 프로젝터 기능의 옵션을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 무선 제어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 및 무선 제어수단 모두를 휴대해야 함에 따라 휴대의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스크린으로의 화면데이터 출력 및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지원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과 그의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 중에 휴대단말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외부 출력 제어 조작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화면 데이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휴대단말에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휴대단말에서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밝은 환경에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환경에 따라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제어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 기반의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감지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모듈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의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기반의 외부 출력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고 외부 출력 중 상기 감지모듈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옵션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환경에 따른 감지모듈을 이용하여 간단한 제스처만으로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간단한 사용자 제스처로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함에 따라 외부 스크린에 투사 중인 화면데이터의 흔들림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 이용 시 어두운 곳 또는 밝은 곳 등의 사용자 이용 환경에 따른 감지모듈 운용에 의해 휴대단말에 근접된 공간에서 간단한 제스처만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채널전환, 화면전환, 페이지전환, 볼륨가감, FF, REW, 일시정지, 재생, 이미지전환, 슬라이드 쇼 등의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이하, '프로젝터 휴대단말'이라 칭함)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에서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중에 사용자 환경에 대응하는 감지 모듈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사용자 환경(예컨대, 어두운 장소 또는 밝은 장소)에 대응하는 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중에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은 근접센서, 조도센서 등의 근접센싱모듈과 카메라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근접센싱모듈 및 카메라모듈 모두를 포함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예시 및 그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 및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 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은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전면으로 가지는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는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이 구별된 바 타입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단말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수단(100)과,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입력수단(200)과, 휴대단말에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3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focus)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과,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사용자 음성 등의 외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사용자 제스처 인식을 위한 감지모듈(410, 430, 45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410, 430, 450)은 휴대단말 내부에 구비되어 휴대단말에 근접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근접센서(410)와, 화상통신 서비스(Video communication service) 시의 사용자 피사체 또는 일반 카메라 기능에 의한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고,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기능으로 동작 시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카메라모듈(430)과, 휴대단말에 근접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조도센서(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410, 430, 450)은 사용자 제스처를 추 적하여 그에 따른 결과 값의 생성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모듈(410, 430, 450)의 위치는 반드시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이 근접센서(410), 카메라모듈(430) 및 조도센서(450)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어느 하나의 감지모듈로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 감시모듈이 상기 근접센서(410)에 의해 운용될 시 상기 카메라모듈(430) 및 조도센서(450) 중 어느 하나의 구성 또는 모든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모듈의 구성은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410, 430, 450)은 상기한 각 디바이스들(근접세선, 카메라모듈, 조도센서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센서(410) 및 조도센서(450)의 조합, 근접센서(410) 및 카메라모듈(430)의 조합, 카메라모듈(430) 및 조도센서(450)의 조합, 근접센서(410), 카메라모듈(430) 및 조도센서(450)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410, 430, 450)의 상기 디바이스들(근접세선, 카메라모듈, 조도센서 등) 각각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접센서(41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단말 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네 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멀티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상기 조도센서(45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단말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네 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멀티조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상기 근접센서(41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단말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멀티근접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도센선(4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의 두 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멀티조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 또는 서로 다른 형태의 디바이스들을 여러 개 사용하여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다양한 움직임을 보다 세밀하게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 하측, 좌측, 우측 각각에 배치된 감지모듈에 의하여 사용자 제스처의 진행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단말이 상기 도 1과 같이 놓이고 사용자가 마이크(MIC) 쪽에서 휴대단말을 주시하는 상태를 가정하고, 사용자 제스처가 휴대단말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좌측의 감지모듈을 통해 특정 물체(사용자 손 등)(이하, '오브젝트'라 칭함)의 근접을 감지하고 소정 시간(예컨대, n초, n은 자연수) 후 우측의 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좌측의 감지모듈과 상기 우측의 감지모듈 사이의 위치와 두 감지모듈들에서 센싱한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이는 방향뿐만 아니라 빠르기까지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휴대단말의 타입이 바 타입인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휴대단말의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감지모듈(400) 운용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이 근접센서(410) 및 카메라모듈(430)을 감지모듈로서 구비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입력부(200)와, 오디 오처리부(500)와, 표시부(100)와, 저장부(600)와, 프로젝터 모듈(300)과, 감지모듈(400) 및 제어부(70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0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모듈(400)은 근접센싱모듈(420) 및 카메라모듈(43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에 대한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들을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예컨대, 프로젝터 기능 실행을 위한 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예컨대, 3*4 방식, 4*3 방식 등)의 키패드(keypad),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및 돔 키(Dome ke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200)는 프로젝터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입력부(200)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따른 터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0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성분은 비디오데이터 또는 오디오데이터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신호, 프로젝터 기능 실행에 따른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재생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0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입력부(200) 의 구성은 상기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700)에서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상기 프로젝터 기능에 따른 외부 출력의 기능 제어를 위한 특정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다른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외부 출력 기반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GUI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방송데이터, 사진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문서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지원하는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기능 수행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600)는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그의 기능 제어를 위해 설정된 가상아이템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 시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 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옵션정보는 외부 출력 중 인터랙션 발생 시 모드 활성화 절차 없이 즉, 가상아이템의 표시 없이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 제어를 바로 수행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의 표시 방식이 설정된 표시정보와,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매핑되는 가상아이템의 매핑정보 및 각 어플리케이션별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후 그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 생성 시 상기 가상아이템을 외부 화면데이터(외부 스크린 상의 화면데이터) 및 내부 화면데이터(표시부(100) 상의 화면데이터)에 모두 표시, 상기 가상아이템을 내부 화면데이터에만 표시, 상기 가상아이템의 표시 생략 등에 대한 설정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600)는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에서 처리된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에 왜곡 없이 투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감지모듈(400)은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예컨대, 사용자 손의 이동방향, 사용자의 손동작, 사용자 손모양 등)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결과 값을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감지모듈(400)은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 움직임 속도 및 제스처 모양(손 모양 등) 등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모듈(400)은 상기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모듈(400)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함께 구동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400)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에 의해 특정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시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이러한 감지모듈(400)은 근접센싱모듈(420) 및 카메라모듈(43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 다.
상기 근접센싱모듈(4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근접센서(410) 및 조도센서(450)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근접센싱모듈(420)이 상기 근접센서(410)인 것을 대표적인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근접센싱모듈(420)은 상기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한다. 상기 근접센싱모듈(420)은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의 손 등의 오브젝트)가 상기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상태(근접정보) 및 그의 움직임(변화정보)을 추적하고 그에 따른 결과 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근접센싱모듈(420)은 상기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모듈(43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00) 및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모듈(430)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광)을 센서(Sensor)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모듈(430)은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모듈(430)은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 간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한다. 상기 카메라모듈(430)은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의 손 등)가 촬영범위에 인입(근접정보)됨을 감지할 시 그의 움직임(변화정보)을 추적하고 그에 따른 결과 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카메라모듈(430)은 촬영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이때, 프로젝터 기능에 의한 외부 출력 시 상기 카메라모듈(430)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100)로의 표시(예컨대, 프리뷰 표시)는 생략된다. 즉, 프로젝터 기능 수행 중에 상기 카메라모듈(430)이 인식하는 데이터는 백그라운드 처리되어 사용자 제스처 인식을 위한 정보로만 활용된다.
한편, 상기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디바이스 구성에서는 상기 근접센싱모듈(420) 및 카메라모듈(430)을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것을 대표적인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은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정보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의 디바이스 기반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터치정보, 상기 마이크 기반의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기능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 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입력부(20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500)와, 상기 표시부(100)와, 상기 저장부(600)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및 감지모듈(400)(근접센싱모듈(420) 및 카메라모듈(430)) 등과 같은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외부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근접센싱모듈(420) 및 카메라모듈(430) 등의 감지모듈(400)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모듈(400)에서 인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 입력으로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표시부(100)를 통한 화면데이터(내부 화면데이터) 출력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화면데이터(외부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제어 시 상기 표시부(100)를 오프(off)하거나 또는 표시부(100) 기반의 내부 화면데이터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를 동일한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모든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화 면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재생/실행되는 해당 화면데이터 자체만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감지할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의 제어정보에 따라 모드 활성화 여부 즉, 가상아이템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어정보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를 결정할 시 상기 표시부(100) 상의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로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기능 제어를 위한 직관적인 GUI의 가상아이템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옵션정보 중 표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아이템의 출력을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제어정보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드 활성화에 의해 가상아이템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가상아이템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모듈(400) 기반으로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한다.
정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외부 출력 중에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제1정보(최초 감지되는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모드 활 성화를 통해 가상아이템을 표시정보에 따라 출력 제어하고, 상기 가상아이템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제2정보(모드 활성화 이후에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제2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방송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을 이용하여 외부 출력 중에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제1정보가 전달될 시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가상아이템을 출력 제어하고, 이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제2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제2정보에 따라 볼륨 가감, 채널전환, 빨리감기(FF, Fast Forward), 뒤로감기(REW, Rewind), 일시정지, 재생, 페이지전환, 이미지전환, 슬라이드 쇼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감지할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의 제어정보에 따라 모드 활성화 여부 즉, 가상아이템 표시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어정보 기반으로 모드 비활성화를 결정할 시 상기 가상아이템의 출력은 생략하고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된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바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동작에서 모드 활성화 동작은 생략하고 해당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700)의 상세 제어 동작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도 2 및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프로젝터 모듈(300) 운용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 제어와 관련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부(700)에 의한 일련의 제어 기능은 해당 기능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등의 위치정보 수신기,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모드 활성화 및 가상아이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41>은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특정 화면데이터가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특정 장치의 구성 요소(예컨대, 화이트 스크린 등)를 활용하거나 또는 벽면, 바닥 등과 같은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가 투사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물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4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 중인 화 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제스처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사용자 손을 가져다 놓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근접센서, 조도센서 및 카메라센서 중 휴대단말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모듈(400)에 의해 상기 사용자 손과 같은 오브젝트의 근접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감지모듈(400) 기반으로 사용자의 오브젝트를 인지할 시 기 설정된 제어정보 및 표시정보를 식별하여 참조부호 <43>, 참조부호 <45>, 참조부호 <47> 및 참조부호 <49>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기능 제어를 위한 GUI(즉, 가상아이템) 제공 및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43>의 경우, 상기 제어정보가 외부 출력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의 표시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참조부호 <41>과 같은 상태에서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화면데이터의 기능을 바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정보가 가상아이템의 표시를 생략하는 방식의 정보인 경우 모드 활성화 및 그에 따른 가상아이템의 표시는 생략하고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 제어를 바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45>의 경우, 상기 제어정보가 모드 활성화 방식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정보가 외부 출력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800)을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되는 화면데이터(이하, '외부 화면데이터'라 칭함) 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출력된 가상아이템(800)을 참조하여 희망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를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공간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최초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표시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상기 가상아이템(80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가상아이템(800)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47>의 경우, 상기 제어정보가 모드 활성화 방식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정보가 외부 출력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850)을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이하, '내부 화면데이터'라 칭함) 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출력된 가상아이템(850)을 참조하여 희망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를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공간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최초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표시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상기 가상아이템(85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가상아이템(850)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49>의 경우, 상기 제어정보가 모드 활성화 방식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정보가 외부 출력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800, 850)을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모두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내부 화면데이터 또는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출력된 가상아이템(800, 850)을 참조하여 희망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를 휴대단말에 근접하는 공간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최초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표시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상기 가상아이템(800, 850)의 동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가상아이템(800, 850)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옵션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의 표시를 생략하거나,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 터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가상아이템의 표시를 생략하는 경우 최초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해당 기능을 바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아이템을 표시하는 경우 최초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모드를 활성화 하고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가상아이템 표시를 제어하고 이후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모드 활성화 후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및 모드 활성화 동작은 생략하고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한 각 실시 예들에 대하여 하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모드 활성화 후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전술한 도 4에서 모드 활성화 후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예시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 동작 설명을 위한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도 5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에 의하여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를 통해서도 함께 표시되거 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재생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재생되는 동적인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뷰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표시되는 정적인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1>과 같이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중에 상기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스처를 참조부호 <52>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감지모듈(400)은 상기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를 인지하고 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표시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850)을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출력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3>과 같이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모드 활성화 및 가상아이템 표시를 제어한 후 참조부호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희망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제스처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감지모듈(400)은 상기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를 인지하고 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능 기반의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 정보 기반의 해당 기능 제어를 통해 화면데이터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화면데이터가 예컨대, 특정 동영상 재생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하고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FF 기능 제어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화면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구간만큼의 FF 기능 제어를 통해 화면데이터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외에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채널전환, 볼륨가감, 일시정지, REW,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페이지전환, 이미지전환, 화면전환, 슬라이드 쇼, 스크롤,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특정 기능 제어 시 해당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아이콘, 텍스트 등의 실행정보를 설정시간 또는 기능제어 동안 표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행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표시된 후 제거되거나 또는 해당 기능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표시된 후 해당 기능 해제 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4>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특정 기능 제어 후 희망하는 기능 제어가 완료될 시 해당 화면데이터의 시청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설정된 시간 이상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참조부호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출력된 가상아이템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부(700)는 사용자 제스처 또는 기 설정된 단축 아이콘 등의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아이템의 표시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모드 활성화 없이 외부 출력을 바로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에 의하여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를 통해서도 함께 표시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화면데이터는 재생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재생되는 동적인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데이터는 뷰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표시되는 정적인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61>과 같이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중에 상기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스처를 참조부호 <63>과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감지모듈(400)은 상기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를 인지하고 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능 기반의 제어를 바로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인터랙션 정보 기반의 해당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면데이터가 예컨대, 특정 동영상 재생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하고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일시정지 기능 제어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일시정지 기능 제어를 통해 화면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정지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외에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채널전환, 볼륨가감, REW, FF, 줌인, 줌아웃, 페이지전환, 화면전환, 슬라이드 tu, 스크롤,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특정 기능 제어 시 해당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950)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해당 기능(예컨대, 상기 일시정지 기능) 제어 시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재생 기능이 일시정지 됨을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실행정보(950)를 표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행정보(950)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표시된 후 제거되거나 또는 해당 기능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표시된 후 해당 기능 해제 시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 제스처 또는 기 설정된 단축 아이콘 등의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실행정보(950)의 표시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여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젝터 기능을 휴대단말에 형성된 입력수단 등을 이용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젝터 모듈(300)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 의한 프로젝터 기능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하는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701단계). 여기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를 통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 중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감지모듈(400)을 구동할 수 있다(703단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상기 감지모듈(400)의 자동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감지모듈(400)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기반의 입력신호가 생성될 시 상기 감지모듈(400)의 수동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외부 출력 중에 상기 감지모듈(400)에 의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705단계).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에 근접하여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특정 제스처(예컨대, 상기 도 1과 같이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전면부에 근접하여 발생하는 제스처 등)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감지모듈(400)은 상기 휴대단말에 근접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모듈(400)은 인지하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인터 랙션을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인터랙션 발생을 인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해 기 설정된 옵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707단계). 상기 옵션정보는 외부 출력 중 인터랙션 발생 시 모드 활성화 절차 없이 즉, 가상아이템의 표시 없이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 제어를 바로 수행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의 표시 방식이 설정된 표시정보와,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매핑되는 가상아이템의 매핑정보 및 각 어플리케이션별 매핑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한다(709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에 의하여 모드 활성화 없이 외부 출력의 기능 제어 시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바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에 의하여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모드를 활성화 하고 모드 활성화 후 발생하는 새로운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옵션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 상세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외부 출 력을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800단계) 기 설정된 옵션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옵션정보를 최초 감지하는 인터랙션에 따라 모드 활성화를 수행하는 제1모드와 모드 활성화 없이 최초 감지하는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제2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동작 예시는 상기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 체크에 의하여 제1모드로 동작할 시(811단계) 상기 감지된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모드를 활성화 한다(813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의 표시정보에 따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GUI 기반의 가상아이템 출력을 제어한다(815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가상아이템 출력 후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새로운 인터랙션을 감지하면(817단계) 상기 새로운 인터랙션을 분석한다(819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새로운 인터랙션이 어떠한 기능 제어를 위한 것인지 상기 옵션정보의 매핑정보 기반으로 분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새로운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에 대한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821단계). 이러한 동작 예시는 상기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옵션정보 체크에 의하여 제2모드로 동작할 시(821단계) 상기 감지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인터랙션을 분석한다(833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어떠한 기능 제어를 위한 것인지 상기 옵션정보의 매핑정보 기반으로 분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에 대한 해당 기능을 바로 제어한다(835단계). 이러한 동작 예시는 상기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 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모드 활성화 및 가상아이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모드 활성화 후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모드 활성화 없이 외부 출력을 바로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여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 기반의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감지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모듈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인터랙션 감지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를 체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하는 과정은
    상기 옵션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옵션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활성화를 결정할 시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가상아이템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아이템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새로운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옵션정보의 표시정보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정보에 대응하여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상기 가상아이템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옵션정보를 기반으로 모드 비활성화를 결정할 시 가상아이템의 출력 없이 상기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바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하는 과정은
    상기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활성화 하거나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활성화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8.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의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기반의 외부 출력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고 외부 출력 중 상기 감지모듈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옵션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정보는
    외부 출력 중 전달되는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 제어를 바로 수행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의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표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사용자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 움직임 속도 및 제스처 모양을 측정하며, 상기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상기 휴대단말과 인접된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접센싱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촬영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카메라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 상기 감지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모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드 활성화 시 상기 표시정보에 따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가상아이템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가상아이템 출력 후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새로운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드 비활성화 시 가상아이템 출력은 생략하고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전달된 상기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90126290A 2009-12-17 2009-12-17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110069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90A KR20110069526A (ko) 2009-12-17 2009-12-17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964,244 US20110151926A1 (en) 2009-12-17 2010-12-09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mobile device
EP10837887.8A EP2514104A4 (en) 2009-12-17 2010-12-1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A MOBILE DEVICE
PCT/KR2010/009016 WO2011074891A2 (en) 2009-12-17 2010-12-16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mobile device
CN201080057717.XA CN102668390B (zh) 2009-12-17 2010-12-16 用于控制移动装置的输出的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90A KR20110069526A (ko) 2009-12-17 2009-12-17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26A true KR20110069526A (ko) 2011-06-23

Family

ID=4415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290A Ceased KR20110069526A (ko) 2009-12-17 2009-12-17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51926A1 (ko)
EP (1) EP2514104A4 (ko)
KR (1) KR20110069526A (ko)
CN (1) CN102668390B (ko)
WO (1) WO20110748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464A (ko) * 2014-1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347B1 (ko) 2009-12-18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125166A (ja) * 2011-12-15 2013-06-24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
CN102622087B (zh) * 2012-04-28 2015-01-21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解锁方法
CN102883053A (zh) * 2012-09-18 2013-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紧急状况下的隐蔽呼救方法
JP6089551B2 (ja) 2012-10-09 2017-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
US8938558B2 (en) 2013-03-04 2015-01-20 Microsoft Corporation Modifying functionality based on distances between devices
US10139925B2 (en) 2013-03-04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using specific location of an object provided to a device
KR102097452B1 (ko) 2013-03-28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3049B1 (ko) * 2013-04-01 2019-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KR20130088104A (ko) * 2013-04-09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 장치 및 방법
US20140342660A1 (en) * 2013-05-20 2014-11-20 Scott Fullam Media devices for audio and video projection of media presentations
KR101999958B1 (ko) *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5183143A (zh) * 2014-06-13 2015-12-23 洪水和 平板式投影装置的手势辨识系统及其辨识方法
CN107113949B (zh) * 2014-12-26 2019-02-05 麦克赛尔株式会社 照明装置
CN104777991B (zh) * 2015-04-22 2019-03-29 深圳市华拓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的远程互动投影系统
CN104932698B (zh) * 2015-06-30 2018-03-27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手持交互设备装置及其投影交互方法
US9769596B2 (en) 2015-11-24 2017-09-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output to external device
US12061742B2 (en) * 2016-06-28 2024-08-13 Nik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US10990226B2 (en) * 2018-03-08 2021-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ting information using a virtual canvas
KR102803131B1 (ko) 2020-04-02 202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1447A (zh) * 2004-09-30 2005-03-30 清华大学 手机游戏的互动信息感知方法及手机外挂的智能游戏平台
KR100726128B1 (ko) * 2005-07-22 2007-06-12 정 현 이 영상 투사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20070105557A (ko) * 2006-04-26 2007-10-3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프로젝터 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80018591A1 (en) * 2006-07-20 2008-01-24 Arkady Pittel User Interfacing
US8354997B2 (en) * 2006-10-31 2013-01-15 Navisense Touchless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7957762B2 (en) * 2007-01-07 2011-06-07 Apple Inc. Using ambient light sensor to augment proximity sensor output
US7926958B2 (en) * 2007-07-30 2011-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874681B2 (en) * 2007-10-05 2011-01-25 Huebner Kenneth J Interactive projector system and method
KR20090036227A (ko) * 2007-10-09 2009-04-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벤트 구동 빔-프로젝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471868B1 (en) * 2007-11-28 2013-06-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jector and ultrasonic gesture-controlled communicator
US8599132B2 (en) * 2008-06-10 2013-12-03 Mediate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signals from digital camera and sensor modules
KR20100041006A (ko) *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2010005018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 제어 방법
US20110070920A1 (en) * 2009-09-24 2011-03-24 Saied Aasim M Method for a phone with content proj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464A (ko) * 2014-1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4104A2 (en) 2012-10-24
WO2011074891A3 (en) 2011-11-10
CN102668390B (zh) 2015-04-01
CN102668390A (zh) 2012-09-12
US20110151926A1 (en) 2011-06-23
EP2514104A4 (en) 2016-04-27
WO2011074891A2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526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5347B1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66674B1 (ko) 촬영 방법 및 단말
KR20110071349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24835B1 (ko)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7000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CN103729160B (zh) 多显示设备和多显示方法
CN110602321B (zh) 应用程序切换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US116045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CN105700804B (zh) 一种响应操作轨迹的方法以及操作轨迹响应装置
KR20110084653A (ko) 휴대단말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WO2011074797A2 (en) Mobile device having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47385A (ko)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07274A (ko)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35922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plit vision content sharing control and method
WO2012153228A1 (en) Camera control
CN107544810A (zh) 控制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US10257411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ouch operations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CN113613053B (zh) 视频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127777A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1592990B1 (ko)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EP3823302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JP6663131B2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