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193A - Gravity sensor device - Google Patents
Gravity sens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9193A KR20110069193A KR1020090125816A KR20090125816A KR20110069193A KR 20110069193 A KR20110069193 A KR 20110069193A KR 1020090125816 A KR1020090125816 A KR 1020090125816A KR 20090125816 A KR20090125816 A KR 20090125816A KR 20110069193 A KR20110069193 A KR 201100691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vity
- housing
- unit
- sensing unit
- sensor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the indication being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of a liquid relative to its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볼록만곡면이며 상기 볼록만곡면에서 이어지는 상부는 측면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고체 형태의 중력이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면에는 전후좌우에 각각 감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을 전후좌우로 기울이면 상기 중력이동유닛이 중력에 의해 상기 감지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센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lower convex curved downwards and the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vex curved surface comprises a housing forming a side, and a gravity moving unit of the solid form moved by gravity in the housing, Each side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when the housing is tilt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gravity moving unit provides a gravity sensor device,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by gravity.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상에서 단순히 손목의 움직임이나 각도 조절만으로 각종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력 센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gravity sensor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input signals by simply adjusting a wrist movement or angle in a space.
중력, 감지, 센서, 하우징, 볼록만곡면 Gravity, Sensing, Sensor, Housing, Convex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력을 이용하여 센서기능을 하는 중력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ity sensor device having a sensor function using gravity.
일반적으로 센서(Sensor)는 어떤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을 말한다.In general, a sensor is a device or system that can sense a response to an external stimulus.
상기 센서는 전자제품이 생활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는 현대 생활에서 공기와 같이 일상생활에 사용되고 있다. Such sensors are used in everyday life like air in modern life where electronics dominate all areas of life.
이러한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근접 센서, 압력 센서 등이 있는데, 마우스나 리모컨과 같은 제품에는 압력 센서나 광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Types of such sensors include temperature sensors, ultrasonic sensors, optical sensors, proximity sensors, pressure sensors, and the like, and pressure sensors or optical sensors are mainly used in products such as a mouse and a remote controller.
최근 들어 전자 제품의 발달로 보다 다양한 입력 장치들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센서들로는 입력 장치의 기술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Recently, more various input devices are requi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products,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technology of the input devices with the existing sensors.
특히 마우스의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광 센서가 장착된 광마우스는 통상적으로 별도의 패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use, the optical mouse equipped with the optical sensor which is used most often has a problem that a separate pad must be used.
그리고 리모컨의 경우는 센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일일이 해당 버튼을 찾아서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In the case of the remote control, it is inconvenient to find and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in order to deliver the sensor signal.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리모컨처럼 필요로 하는 입력버튼을 일일이 눌러 신호를 전달하거나, 광마우스처럼 별도의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상에서 단순히 손목의 움직임이나 각도 조절만으로 각종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pressing the input button required as a remote control one by one to transmit a signal, or do not use a separate pad like an optical mouse, simply adjust the movement or angle of the wrist in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vity sensor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input signals only.
본 발명은 하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볼록만곡면이며 상기 볼록만곡면에서 이어지는 상부는 측면을 이루는 하우징과,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x curved surface of which the lower portion is convexly curved downward, and the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vex curved surface forms a side surface,
상기 하우징 내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고체 형태의 중력이동유닛Gravity moving unit of the solid form that is moved by gravity in the housing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측면에는 전후좌우에 각각 감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The side has a sensing unit form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respectively,
하우징을 전후좌우로 기울이면 상기 중력이동유닛이 중력에 의해 상기 감지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센서장치를 제공한다.When the housing is tilt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gravity moving unit provides a gravity sensor device,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by gravity.
그리고 상기 중력이동유닛의 둘레에 중간테두리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 둘레가 십자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력이동유닛의 둘레에 십자가 형태의 중간테두리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intermediate border protrusion may be formed around the gravity moving unit, and the side circumference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and a cross border intermediate protrusion may be formed around the gravity moving unit.
또한, 상기 중력이동유닛은 상기 중간테두리돌출부를 기준으로 상반구가 하반구보다 가벼운 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력이동유닛이 감지부와 처음부터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을 기울임에 따라서 중력이동유닛이 감지부에 점점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vity mov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upper hemisphere with a lighter weight than the lower hemisphere based on the intermediate rim projection, the gravity mov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with the sensing unit from the beginning, As the housing tilts, the gravity transfer unit can exert an increasing pressure on the detector.
한편, 본 발명은 하부가 막혀있으며 상기 하부에서 이어지는 상부는 측면을 이루는 하우징과,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ower portion is blocked and the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and the housing forming a side,
상기 하우징 내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액체 형태의 중력이동액체Gravity transfer liquid in liquid form moved by gravity in the housing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측면에는 전후좌우에 각각 감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The side has a sensing unit form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respectively,
하우징을 전후좌우로 기울이면 상기 중력이동액체가 중력에 의해 유동되면서 감지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센서장치도 제공한다.It also provides a gravity sens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housing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contact the sensing unit while the gravity moving liquid flows by gravity.
그리고 상기 감지부와 중력이동액체의 직접 접촉은 방지하되 접촉 감도 및 압력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감지부가 코팅되거나 하우징의 내측에 합성수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rect contact between the sensing unit and the gravity moving liquid may be prevented, but a sensing unit may be coated or a synthetic resin wall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to accurately transmit contact sensitivity and pressure.
또한, 상기 중력이동액체가 감지부와 처음부터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을 기울임에 따라서 중력이동액체가 감지부에 점점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vity moving liqui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maintains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from the beginning, the gravity moving liquid may apply a greater pressure to the sensing unit as the housing is tilted.
상기 측면을 덮는 상단면이 마련되고, 상기 상단면에 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는 기준압력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신호가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압력센서 또는 촉각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An upper surface covering the side surface may be provided, and a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signal only when a reference pressure or more is applied, and the sensing unit may be a pressure sensor or a tactile sensor. Can be prepar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상에서 단순히 손목의 움직임이나 각도 조절만으로 각종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력 센서를 제공하는 효과와, 센서 하부에 반사면이 있는 경우에도 센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내구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providing a gravity sensor that can generate various input signals by simply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wrist or the angle in the space, even if there is a reflective surface on the bottom of the sensor is made smoothly and durable This has an excellent effect.
또한, 센서의 정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며 감지부에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서 신호 방향 이동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cise contact of the sensor is made and the speed of the signal direction movemen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delivered to the sens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연직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며, 도 3는 도 2의 작동 상태도이다.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nd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gravity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gravity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1 실시예는 하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볼록만곡면(111)이며 상기 볼록만곡면(111)에서 이어지는 상부는 4개의 측면(121)을 이루고 상기 4개의 측면(121)은 상단면(131)에 의해 덮 혀 있는 형태인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 내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구형상의 중력이동유닛(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is a convex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4개의 측면(121)이 3개 이상의 다른 형태의 측면이나 원형태의 측면으로도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중력이동유닛(201)도 중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형태 안에서 복잡한 다각형 형상이나 골프공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four
그리고 상기 4개의 측면(121)에는 감지부(141, 151, 161, 171)가 형성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상단면(131)에도 감지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ou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중력이동유닛(201)이 위치되면 하우징(101)은 오뚜기처럼 작동하게 되어 중력이동유닛(201)은 기본적으로 하우징(101)의 볼록만곡면(111) 중앙에 위치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1)을 볼록만곡면(111)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기울이면 중력이동유닛(201)이 중력에 의해 하우징(101)의 부분 중 지구 중심과 가장 가까이 위치된 부분으로 이동되면서 측면(121)에 위치된 감지부(141, 151, 161, 171)들과 접촉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tilts the
도 1의 (a)는 하우징(101)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력이동유닛(201)이 하우징(101)의 볼록만곡면(111) 중앙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고, 도 1의 (b)는 하우 징(101)을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기울이기 시작하는 상황에서 볼록만곡면(111) 중앙에 위치하고 있던 중력이동유닛(201)이 좌측에 부착된 좌측감지부(151)와 접촉하는 것을 나타낸다.Figure 1 (a) shows that the
도 1의 (c)는 상기 도 1의 (b) 상태에서 하우징(101)을 같은 방향으로 더욱 기울임에 따라서 좌측감지부(151)와 중력이동유닛(201) 사이의 접촉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도 1의 (c)와 같이 위치된 하우징(101)이 도 1의 (b)와 같이 위치된 경우보다 좌측으로 더욱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중력이동유닛(201)도 좌측으로 좀 더 이동하게 되면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수직항력이 증가함에 따라 좌측감지부(151)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C) of FIG. 1 shows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도 1의 (d)는 하우징(101)의 상단면(131)에 하방으로 향하는 상단감지부(181)를 설치하고 하우징(101)을 상방으로 중력가속도보다 큰 가속도로 이동시키다가 정지하거나 하방으로 중력가속도보다 큰 가속도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중력이동유닛(201)이 관성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단감지부(181)와 접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Figure 1 (d) is installed on the
도 2 및 도 3은 하우징(101)의 수평단면도인데, 도 3의 (a)는 하우징(101)이 기울어지기 전의 상태이며, 도 3의 (b)는 하우징(101)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중력이동유닛(201)이 좌측감지부(151)와 접촉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3의 (c)는 하우징(101)이 좌측과 후측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중력이동유닛(201)이 좌측감지부(151) 및 후측감지부(161)와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다.2 and 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이 경우에는 좌측감지부(151) 및 후측감지부(161)의 중간 값 또는, 좌측감지 부(151)와 후측감지부(161)의 상대적 압력 비례 값에 반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 signal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인 중력선세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마우스에 적용할 경우에 컴퓨터 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cursor)는 중력이동유닛(201)이 하우징(101)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감지부(141, 151, 161, 171)에 접촉되면 감지부(141, 151, 161, 171)에서 보내는 신호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하우징(101)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이동유닛(201)이 감지부(141, 151, 161, 171)를 누르는 힘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힘의 증가는 커서의 이동속도에 그대로 반영된다.When apply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use, the cursor that appears on the computer screen moves the
따라서, 하우징(101)의 기울어짐이 클수록 커서의 이동속도는 증가한다.Therefore, as the inclination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인 중력선세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리모콘에 적용할 경우에는 하우징(101)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중력이동유닛(201)이 이동되면서 감지부(141, 151, 161, 171)에 접촉되면 신호가 전송되며, 이때 하우징(101)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이동유닛(201)이 감지부(141, 151, 161, 171)를 누르는 힘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힘의 증가는 신호 방향 이동 속도에 그대로 반영되어 속도가 증가한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 작동도이다.Figure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마련될 수도 있는데, 하우징(102)의 하부는 도 1과 같이 볼록만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볼록만곡면과 이어지는 측면(122) 둘레가 도 1과 상이하게 십자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4,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도 4의 (a)와 같이 하우징(102)이 볼록만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중력이동유닛(202)이 중앙에 위치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4, the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하우징(102)을 좌측으로 기울이며 도 4의 (b)와 같이 중력이동유닛(202)이 좌측감지부(152)와 접촉되며 하우징(102)의 기울어짐이 클수록 접촉강도는 커진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A, th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대비해서 가지는 특징은 하우징(102)이 십자가 형상의 수평 단면을 하고 있어서 하우징(102)이 기울어질 때 중력이동유닛(202)이 전후좌우 감지부(142, 152, 162, 172) 중 어느 하나와만 접촉된다는 것이고,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이 리모콘에 적용될 경우에 감지부들 사이의 동시 접촉으로 인한 신호와 신호 사이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in contrast to the first embodiment that the
도 5는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도 5의 (a)에서 좌측 그림은 하우징의 수직단면을 나타내고, 우측 그림은 하우징의 수평단면을 나타낸다.In FIG. 5A, the left figure shows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right figure show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그리고 도 5의 (b)와 (c)는 제 3 실시예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And (b) and (c) of FIG. 5 show operation state diagrams of the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3 실시예는 하부(113)가 막혀있으며 상기 하부(113)에서 이어지는 상부는 측면을 이루는 하우징(103)에 중력이동유닛 대신에 소정량의 중력이동액체(210)를 채워 넣은 형태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the
상기 하부(113)의 형상은 하방으로 볼록지게 볼록만곡면으로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중력이동액체(210)가 액체라는 특성상 하부(113)가 막혀 있는 형상인 경우에 평면형상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도 무방하다.Although the shape of the
그리고 상기 4개의 측면(123)에는 감지부(143, 153, 163, 173)가 형성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상단면(133)에도 감지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Sensing
상기 중력이동액체(210)와 감지부(143, 153, 163, 173, 183)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지부(143, 153, 163, 173, 183)의 부식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지부(143, 153, 163, 173, 183)를 코팅하거나 하우징(103)의 내측에 합성수지벽(191)을 형성하여 감지부(143, 153, 163, 173, 183)와 중력이동액체(21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Sensing unit to prevent corrosion or short circuit of the
상기 감지부(143, 153, 163, 173, 183)의 코팅층이나 합성수지벽(191)은 중력이동액체(210)가 감지부(143, 153, 163, 173, 183)에 접촉될 때 접촉 감도 및 압력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매우 얇은 박막이며 매우 탄성력이 뛰어난 재질이 사용된다.The coating layer or the
도 5는 합성수지벽이 형성된 하우징을 나타낸다.5 shows a housing in which a synthetic resin wall is formed.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하우징(103)이 하부(113)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위치된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103)을 일측으로 기울이면 중력이동액체(210)는 도 5의 (b)와 같이 하우징(103)이 기울어진 기울기에 비례하여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중력 이동액체(210)의 일부가 일측감지부(153)와 접촉된다.When the user tilts the
도 5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103)을 더욱 일측으로 기울이면 중력이동액체(210)는 도 5의 (c)와 같이 하우징(103)이 기울어진 기울기에 비례하여 일측으로 더욱더 이동되면서 중력이동액체(210)의 더욱더 많은 부분이 일측감지부(153)와 접촉한다.When the user tilts th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인 중력선세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마우스에 적용할 경우에 컴퓨터 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는 상기 중력이동액체(210)가 하우징(103)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감지부(143, 153, 163, 173)에 접촉되면 감지부(143, 153, 163, 173)에서 보내는 신호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하우징(103)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이동액체(210)가 감지부(143, 153, 163, 173)를 누르는 힘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힘의 증가는 커서의 이동속도에 그대로 반영된다.Whe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vity gravity apparatus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is applied to a mouse, the cursor appearing on the computer screen is detected while the
따라서, 하우징(103)의 기울어짐이 클수록 커서의 이동속도는 증가한다.Therefore, as the inclination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인 중력선세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리모콘에 적용할 경우에는 중력이동액체(210)가 하우징(103)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감지부(143, 153, 163, 173)에 접촉되면 신호가 전송되며, 이때 하우징(103)의 기울기에 따라 중력이동액체(210)가 감지부(143, 153, 163, 173)를 누르는 힘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힘의 증가는 신호 방향 이동 속도에 그대로 반영되어 속도가 증가된다.Whe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gravity moving liquid 21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gravity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와 (c)는 하우징의 수직단면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하우징의 수평단면을 나타낸다.6 (a) and 6 (c) show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and FIG. 6 (b) show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도 6과 같이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4 실시예는 하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볼록만곡면(114)이며 상기 볼록만곡면(114)에서 이어지는 상부는 4개의 측면(124)을 이루고 상기 4개의 측면(124)은 상단면(134)에 의해 덮혀 있는 형태인 하우징(104)과, 상기 하우징(104) 내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구형상의 중력이동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x
그리고 상기 4개의 측면(124)에는 감지부(144, 154, 164, 174)가 형성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상단면(134)에도 감지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The four
또한, 상기 중력이동유닛(240)은 상반구(242)와 하반구(244) 및 중간테두리돌출부(246)로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242)는 하반구(244)보다 가벼운 중량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중력이동유닛(240)은 상기 하반구(244)의 중심을 따라 작용하는 중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하우징(104)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중간테두리돌출부(246)가 수평면과 평행하게 위치된다.Therefore, sinc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하우징(104)이 볼록만곡면(114)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중력이동유닛(240)의 중간테두리돌출부(246)가 좌측감지부(154)에 신속하게 접촉하게 된다.When the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제 1 실시예를 비교하면, 제 4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중력이동유닛(240)이 중간테두리돌출부(246)만큼 감지부(144, 154, 164, 174)에 신속하게 접촉한다는 점이다.Comparing the fourth embodiment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embodiment has a
도 7은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 작동도이다.7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중력이동유닛(250)의 형태가 변형된 것이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gravity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즉, 하우징(105)의 측면(125) 둘레는 도 4와 같이 십자가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125)에는 4개의 감지부(145, 155, 165, 175)가 마련된다.That is, the periphery of the side 125 of the
다만, 중력이동유닛(250)의 형태가 상반구(252)와 하반구(254) 및 십자가 형태의 중간테두리돌출부(256)로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252)는 하반구(254)보다 가벼운 중량으로 형성된다.However, the
따라서, 상기 중력이동유닛(250)은 상기 하반구(254)의 중심을 따라 작용하는 중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하우징(105)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중간테두리돌출부(256)가 수평면과 평행하게 위치된다.Therefore, since the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도 7의 (a)와 같이 하우징(105)이 기울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중력이동유닛(250)이 중앙에 위치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하우징(105)을 좌측으로 기울이면 도 7의 (b)와 같이 중력이동유닛(250)이 좌측감지부(155)에 중간테두리돌출부(256)가 형성된 만큼 신속하게 접촉되며 하우징(105)의 기울어짐이 클수록 접촉강도는 커진다.When the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와 대비해서 가지는 특징은 중력이동유닛(250)에 십자가 형태의 중간테두리돌출부(256)가 형성되어 감지부(145, 155, 165, 175)와의 접촉이 그만큼 신속하다는 점이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in comparis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that the cross-shaped
한편,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중력이동유닛 또는 중력이동액체가 감지부와 처음부터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중력이동유닛 또는 중력이동액체가 감지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한 기준압력 이상을 감지부에 가하는 경우에만 신호가 전달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gravity moving unit or the gravity moving liquid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from the beginning, the gravity moving unit or the gravity moving liquid is detected The signal may be provided only when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or more is applied to the sensing unit while in contact with the unit.
중력이동유닛 또는 중력이동액체가 감지부와 처음부터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중력이동유닛의 크기 및 중력이동액체의 양 또는 감지부의 크기가 초기접촉에 필요한 만큼 증가된다.When the gravity moving unit or the gravity moving liquid is provided in the form of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from the beginning, the size of the gravity moving unit and the amount of the gravity moving liquid or the size of the sensing unit are increased as necessary for initial contact.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는 압력센서 또는 촉각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pressure sensor or a tactile senso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하부에 반사면이 있는 경우에도 센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내구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re is a reflective surface under the sensor, the sensor is smoothly operated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또한, 센서의 정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며 감지부에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서 신호 방향 이동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cise contact of the sensor is made and the speed of the signal direction movemen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delivered to the sensing uni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연직 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도 2는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Figure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도 4는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 작동도.Figure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vity sensor device.
도 5는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도 6은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도 7은 본 발명인 중력센서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 작동도.Figure 7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gravity sensor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102, 103: 하우징 111, 113: 볼록만곡면 101, 102, 103:
121: 측면 131: 상단면121: side 131: top side
141, 151, 161, 171, 181: 감지부 201, 202: 중력이동유닛141, 151, 161, 171, 181: sensing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5816A KR101241276B1 (en) | 2009-12-17 | 2009-12-17 | Gravity Sens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5816A KR101241276B1 (en) | 2009-12-17 | 2009-12-17 | Gravity Sensor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9193A true KR20110069193A (en) | 2011-06-23 |
| KR101241276B1 KR101241276B1 (en) | 2013-03-14 |
Family
ID=4440105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25816A Active KR101241276B1 (en) | 2009-12-17 | 2009-12-17 | Gravity Sensor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4127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055576A1 (en) * | 2011-10-14 | 2013-04-18 | Baker Hughes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east |
| CN116124359A (en) * | 2023-02-07 | 2023-05-16 | 中国航发湖南动力机械研究所 | Angle-adjustable force sensor verification auxiliar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87945A (en) * | 1996-04-24 | 1997-11-04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Tilt sensor |
| JP2002197953A (en) | 2000-12-25 | 2002-07-12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Tilt switch |
| JP2006317171A (en) | 2005-05-10 | 2006-11-24 | Pulstec Industrial Co Ltd | Inclination sensor |
| JP2009229202A (en) | 2008-03-21 | 2009-10-08 | Akebono Brake Ind Co Ltd | Inclination sensor |
-
2009
- 2009-12-17 KR KR1020090125816A patent/KR101241276B1/en active Active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055576A1 (en) * | 2011-10-14 | 2013-04-18 | Baker Hughes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east |
| CN103842613A (en) * | 2011-10-14 | 2014-06-04 | 贝克休斯公司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east |
| US8752305B2 (en) | 2011-10-14 | 2014-06-17 | Baker Hughes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east |
| EP2766567A4 (en) * | 2011-10-14 | 2015-07-15 | Baker Hugh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east |
| CN103842613B (en) * | 2011-10-14 | 2017-06-13 | 贝克休斯公司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easting direction |
| CN116124359A (en) * | 2023-02-07 | 2023-05-16 | 中国航发湖南动力机械研究所 | Angle-adjustable force sensor verification auxiliary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41276B1 (en) | 2013-03-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9690455B (en) | Finger-worn device with sensor and haptic | |
| KR102032336B1 (en) | Touch panel providing tactile feedback in response to variable pressur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EP3105660B1 (en) | Low-profile pointing stick | |
| JP4757488B2 (en) | Device for detecting mechanical operation of an input element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input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command for controlling a consumer device | |
| US9304587B2 (en) | Force sensing mouse | |
| EP3105662B1 (en) | Low-profile pointing stick | |
| US20090189854A1 (en) | User interface controller for a computer | |
| US20120011932A1 (en) | Input apparatus | |
| US20050012712A1 (en) | Hand-held pointing device | |
| EP3462287B1 (en) | Remote control device | |
| US7821494B2 (en) | Inertial mouse | |
| US9465476B1 (en) | Electronic device with seamless protective cover glass input | |
| KR2013010210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touch and nudge interface | |
| US20140253503A1 (en) | Touch system configured on metal surface with x-y and force detection | |
| KR101219676B1 (en) | Opera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US10379636B2 (en) | Trackball for touch sensor | |
| KR101241276B1 (en) | Gravity Sensor Device | |
| JP5824487B2 (en) | Pointing device, keyboard assembly and portable computer. | |
| EP2330495A2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ptical navigation devices | |
| US7825898B2 (en) | Inertial sensing input apparatus | |
| US11385718B2 (en) | Movement capability for buttonless touchpads and forcepads | |
| JP2001051790A (en) | Pointing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 |
| JP2006179000A (en) | Mouse input device with secondary input device | |
| JP6209563B2 (en) | Curs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 JP5955912B2 (en) | Pointing device and portable compu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