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1326A -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326A
KR20110071326A KR1020090127862A KR20090127862A KR20110071326A KR 20110071326 A KR20110071326 A KR 20110071326A KR 1020090127862 A KR1020090127862 A KR 1020090127862A KR 20090127862 A KR20090127862 A KR 20090127862A KR 20110071326 A KR20110071326 A KR 2011007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ortable terminal
external output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시학
김희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326A/ko
Priority to US12/944,983 priority patent/US20110151936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인식하는 키 입력 인식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는 입력 키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키를 입력하고, 휴대 단말기가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입력된 키를 외부로 출력할 때, 외부로 출력된 영상을 보는 사람들에게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프로젝터(projector)

Description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PUT KEY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를 휴대 단말기 상에서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프로젝터 모듈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스크린, 벽 등에 영상을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영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들을 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 이외에도 기본적으로 LCD 등의 표시부를 구비 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여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동시에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휴대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 및 표시부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를 출력한다. 이 때, 휴대 단말기가 어떠한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 및 표시부를 통해 입력된 키를 출력하는지가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는 외부로 출력된 영상을 보는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와도 연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키를 입력하고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입력된 키를 외부로 출력할 때, 외부로 출력된 영상을 보는 사람들에게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인식하는 키 입력 인식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는 입력 키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키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는 키를 입력 받는 입력부; 키 입력 창 및 상기 입력된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키 입력 창 및 상기 입력된 키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를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를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이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키를 입력하고, 휴대 단말기가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입력된 키를 스크린에 출력할 때, 스크린에 출력된 영상을 보는 사람들에게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젝터 모듈 및 표시부를 구비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도 1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반의 휴대 단말기(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표시부(160)가 형성되는 위치에 터치 패널이 함께 형성된다. 프로젝터 모듈(130)은 사용자가 표시부(160)를 확인하면서 외부로 출력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130)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프로젝터 모듈(130), 저장부(140), 입력부(150), 표시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프로젝터 모듈(130)은 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로서 텍스트 및 그림, 사진, 동영상 등의 이미지를 스크린(screen)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130)은 조사 램프(미도시)와 초점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사 램프는 빛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초점 조절부는 스크린에 출력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초점 조절부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출력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 별도로 조절 장치(예를 들어, 휠 키(wheel key))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외부로 출력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프로젝터 모듈(130)의 외부 출력 조건 설정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130)의 외부 출력 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문자 또는 문자열과 일치하는 조건인 경우, 저장부(140)는 상기 외부 출력 조건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프로젝터 모듈(130)의 외부 출력 모드의 설정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출력 모드는 조건 외부 출력 모드와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건 외부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시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프로젝터 모듈(130)로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하며,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시 무조건 입력된 문자를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입력부(150)는 3*4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들(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방송 시청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오디오 녹음 기능, 계산기, 일정 관리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등)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며, 입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5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 이외에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스크린에 출력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조절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 외부에 별개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블루투스 통신 장치와 채널을 형성한 경우, 외부 블루투스 통신 장치에 형 성되는 입력 키들은 본 발명의 입력부(150)가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복수 개의 프로젝터 모듈(130)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모듈(130)이 가상의 키보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된 가상의 키보드 역시 본 발명의 입력부(150)가 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 해당하는 경우, 표시부(160)는 입력부(150)와 결합하여 터치스크린부를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문자 입력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창 영역과 문자 입력 키 영역을 구분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60)는 문자 입력 창을 표시할 때,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60)는 스크롤바(scroll bar)를 문자 입력 창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된 스크롤바를 조작하여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이다.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과 문자 입력 키를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한다. 문자 입력을 인식하면,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외부 출력 모드를 조건 외부 출력 모드와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건 외부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시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프로젝터 모듈(130)로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하며,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시 무조건 입력된 문자를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출력 모드가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문자 입력을 인식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 출력 모드가 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문자 입력을 인식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프로젝터 모듈(130)로 외부 출력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한다. 본 발명 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후, 띄어쓰기가 입력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중 최종 입력된 문자가 문장 부호인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장 부호(punctuation mark)는 글의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추가하는 부호로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가운뎃점(ㅇ), 쌍점(:), 쌍반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입력된 문자들이 이루는 라인의 개수와 다른 라인의 개수로 입력된 문자들을 구성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각각의 라인에 배열되는 문자의 개수와 다른 문자의 개수로 각각의 라인을 구성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는 입력된 문자들을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하여 표시하고, 입력된 문자들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표시부(160) 및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 된 문자에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란 문자의 크기, 밝기, 색깔 등의 변경, 문자에 특정 이미지 부가, 문자를 동적 이미지로 변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는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표시부(160) 및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에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여 출력한다.
이상으로 입력 문자를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301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과 문자 입력 키를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 및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출력할 때, 문자 입력 창의 가로 및 세로의 비율을 서로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 4:3 비율의 문자 입력 창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6:5 비율의 문자 입력 창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302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한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입력부(150)에 키를 입력하면, 입력부(150)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하고,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한다.
입력부(150)를 통해 문자 입력을 인식하면, 제어부(170)는 303단계에서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외부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이 입력 문자를 출력하는 형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표시부(160)가 문자 입력 창(402)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이 문자 입력 창(401)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풀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표시부(160)는 문자 입력 창(402)과 문자 입력 키(403)를 함께 표시하고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알파벳 'G'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4의 [b]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60)에 'G'를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를 스크린에 출력한다.
도 4의 [c]는 사용자가 알파벳 'o'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하며,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Go'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휴대 단말기(100)가 표시부(160) 및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지만, 프로젝터 모듈(130)로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501단계 및 502단계는 도 3의 301단계 및 302단계와 동일한 과정에 해당한다. 즉,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402)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401)을 외부로 출력하며,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한다.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하면, 503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504단계에서 현재 상황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70)가 표시부(160)에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피드백 제공에 해당한다. 외부 출력 조건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며,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외부 출력 조건을 확인하고,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출력 조건은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후 띄어쓰기가 입력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출력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중 최종 입력된 문자가 문장 부호인 조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6 내지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 조건에 따른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 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 조건에 해당할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저장부(140)가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 목록으로 'Good'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의 [a]는 표시부(160)가 문자 입력 창(402)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 듈(130)이 문자 입력 창(401)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가 알파벳 'Goo'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6의 [b]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Goo'를 실시간으로 표시부(160)에 표시하지만, 'Goo'는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로 'Goo'를 외부로 출력하지 않는다.
도 6의 [c]는 사용자가 알파벳 'd'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6의 [c]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Goo'에 'd'를 추가하여 'Good'을 표시부(160)에 표시하며 'Good'는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 목록에 포함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ood'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 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후, 띄어쓰기가 입력되는 조건에 해당할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표시부(160)가 문자 입력 창(402)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이 문자 입력 창(401)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의 [b]는 사용자가 알파벳 'Good'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7의 [b]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Good'를 실시간으로 표시부(160)에 표시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띄어쓰기가 입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ood'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7의 [c]는 사용자가 띄어쓰기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7의 [c]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커서를 한 칸 이동시켜 표시부(160)에 표시하며, 띄어쓰기가 입력되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ood'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 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중 최종 입력된 문자가 문장 부호인 조건일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8의 [a]는 표시부(160)가 문자 입력 창(402)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이 문자 입력 창(401)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8의 [b]는 사용자가 알파벳 'Good'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8의 [b]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Good'를 실시간으로 표시부(160)에 표시하지만, 문장 부호가 입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로 'Good'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8의 [c]는 사용자가 문장 부호 '!'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 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8의 [c]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Good'에 '!'를 추가하여 'Good!'을 표시부(160)에 표시하며 문장 부호가 입력되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ood!'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에 해당할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 후,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기까지 필요한 대기 시간이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9의 [a]는 표시부(160)가 문자 입력 창(402)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이 문자 입력 창(401)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알파벳 'Good'를 입력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b]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Good'를 실시간으로 표시부(160)에 표시하지만,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므로 휴대 단말기(100)는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ood'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9의 [c]는 사용자가 'Good' 입력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의 표시부(160)가 표시하는 문자 입력 창(402)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외부로 출력하는 문자 입력 창(401)을 도시한다. 도 9의 [c]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60)의 'Good'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으므로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Good'를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커서를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휴대 단말기(100)가 표시부(160)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지만, 프로젝터 모듈(130)로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띄어쓰기 입력, 문장 부호 입력, 기 저장된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 문자 입력, 문자 입력 후 일정 시간 경과 등의 외부 출력 조건은 입력된 문자가 하나의 의미 단위를 이루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문자를 외부로 출력할 때, 하나의 의미 단위를 이루어 외부로 출력하게 되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통해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불필요한 중간 입력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프레젠테이션을 보는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의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1001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외부 출력 모드를 조건 외부 출력 모드 및 무조 건 외부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조건 외부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하며,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시, 입력된 문자를 무조건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 출력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포함하며,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외부 출력 모드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조건 외부 출력 모드 또는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외부 출력 모드를 설정하고, 저장부(140)에 설정 내용을 저장한다.
1002단계 내지 1004단계는 도 5의 501단계 내지 503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문자 입력 창을 외부로 출력하며,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1005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외부 출력 모드의 설정 내용을 확인한다. 즉, 제어부(170)는 외부 출력 모드가 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외부 출력 모드가 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1006단계에서 입력된 문자 또는 현재 상황이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입력된 문자가 기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 자열 목록에 포함되는지, 또는 문자 입력 이후에 띄어쓰기가 입력되는지, 또는 입력된 문자들 중 최종 입력된 문자가 문장 부호에 해당하는지, 또는 문자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1007단계에서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1003단계로 복귀하여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을 인식한다.
외부 출력 모드가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1007단계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입력된 문자들이 이루는 라인의 개수와 다른 라인의 개수로 입력된 문자들을 구성하여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각각의 라인에 배열되는 문자의 개수와 다른 문자의 개수로 각각의 라인을 구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부(160)에 입력된 문자들을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하여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들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입력 창에 복수의 문자들을 입력할 때,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에 해당한 다.
도 11의 [a]는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60) 화면에 해당하며, 도 11의 [b]는 프로젝터 모듈(130)에 의해 외부로 출력된 화면에 해당한다.
도 11의 [a]에서 표시부(160)는 복수의 문자들을 3개의 라인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도 11의 [b]에서 프로젝터 모듈(130)은 6개의 라인으로 복수의 문자들을 출력하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60)의 화면과 프로젝터 모듈(130)로 출력하는 화면에서 하나의 화면에 포함되는 최대 라인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a]는 문자 입력 창의 우측에 스크롤바(scroll bar)를 표시하고 있다. 이는 입력된 문자들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반면, 도 11의 [b]는 스크롤바를 표시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60)의 화면을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하고 프로젝터 모듈(130)로 출력하는 화면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동일한 내용을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출력하지만, 문자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a]에서 'Navy'는 첫 번째 라인의 첫 번째 단어로서 위치하지만, 도 11의 [b]에서 'Navy'는 네 번째 라인의 세 번째 단어로서 위치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60)의 화면과 프로젝터 모듈(130)이 출력하는 화면에서 하나의 라인에 포함되는 문자의 개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단어들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표시부(160) 및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에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란 문자의 크기, 밝기, 색깔 등의 변경, 문자에 특정 이미지를 부가, 문자를 동적 이미지로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이용하여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하는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표시부(160) 및 프로젝터 모듈(1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문자에 문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입력 문자 출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 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130)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이 입력 문자를 출력하는 형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 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 조건에 해당할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후, 띄어쓰기가 입력되는 조건일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 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중 최종 입력된 문자가 문장 부호인 조건일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문자 출력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출력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에 해당할 때의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 문자 출력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입력 창에 복수의 문자들을 입력할 때, 표시부(160)와 프로젝터 모듈(130)의 입력 문자 출력 형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Claims (17)

  1.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인식하는 키 입력 인식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는 입력 키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키 입력 창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 창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창 출력 단계는
    키 입력 창 영역과 키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창 영역만을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띄어쓰기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 중 최종 입력된 키가 문장 부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입력된 키들이 이루는 라인의 개수와 다른 라인의 개수로 입력된 키들을 구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각각의 라인에 배열되는 키의 개수와 다른 개수로 각각의 라인을 구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입력된 키들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로 출력하며, 입력된 키들을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조건 외부 출력 모드 및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외부 출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모드가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의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모드가 무조건 외부 출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입력 키 출력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실시간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문자 출력 방법.
  15. 키를 입력 받는 입력부;
    키 입력 창 및 상기 입력된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키 입력 창 및 상기 입력된 키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를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를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이 상기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문자 또는 문자열 목록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띄어쓰기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 중 최종 입력된 키가 문장 부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키 입력이 기 설정된 외부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127862A 2009-12-21 2009-12-21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110071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62A KR20110071326A (ko) 2009-12-21 2009-12-21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US12/944,983 US20110151936A1 (en) 2009-12-21 2010-11-12 Input key output method and apparatus of projector-enable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62A KR20110071326A (ko) 2009-12-21 2009-12-21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26A true KR20110071326A (ko) 2011-06-29

Family

ID=4415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862A Ceased KR20110071326A (ko) 2009-12-21 2009-12-21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51936A1 (ko)
KR (1) KR201100713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3932B2 (en) * 2008-11-14 2013-08-06 Sony Mobile Commi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motion input device
US9134799B2 (en) * 2010-07-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user interface using orientation sensors
JP5679803B2 (ja) * 2010-12-24 2015-03-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D676008S1 (en) * 2011-07-25 2013-02-1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20130076633A1 (en) * 2011-09-27 2013-03-28 Ctx Virtual Technologies Integrated, portable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
USD694729S1 (en) * 2011-10-21 2013-12-0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TW201329733A (zh) * 2012-01-13 2013-07-16 Hon Hai Prec Ind Co Ltd 用於掌上型電子裝置上的即時通訊方法及系統
USD692407S1 (en) * 2012-04-26 2013-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713366S1 (en) * 2012-05-21 2014-09-16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20712S1 (en) * 2012-10-05 2015-01-0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16252S1 (en) * 2012-10-18 2014-10-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18268S1 (en) * 2013-01-14 2014-11-25 Huawei Device Co., Ltd. Mobile phone
USD733085S1 (en) * 2013-02-12 2015-06-3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39392S1 (en) * 2013-02-12 2015-09-2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2368S1 (en) * 2013-02-1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19121S1 (en) * 2013-03-04 2014-12-09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22582S1 (en) * 2013-04-22 2015-02-17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36204S1 (en) * 2013-12-05 2015-08-11 Matsunichi Communication Holdings R&D (Shenzhen) Co., Ltd. Tablet PC
USD746250S1 (en) * 2014-01-20 2015-12-29 Suzhou Snail Digital Technology Co., Ltd. Handset
USD745855S1 (en) * 2014-01-20 2015-12-22 Suzhou Snail Digital Technology Co., Ltd. Handset
USD767520S1 (en) * 2014-03-13 2016-09-27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0999S1 (en) * 2014-04-22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18980S1 (en) * 2014-10-0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68105S1 (en) * 2014-10-01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78270S1 (en) * 2014-10-01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DE102015001812A1 (de) * 2015-02-12 2016-08-18 Martin Lorenz Schmidhofer Tragbarer, handlicher Schrift- und Symbolprojektor mit der Möglichkeit der direkten Text- und Symboleingabe sowie -bearbeitung an demselben Gerät.
US10935420B2 (en) 2015-08-13 2021-03-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cal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JP1562069S (ko) * 2015-08-26 2016-10-31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4567B1 (en) * 1996-07-30 2002-08-13 Carlos De La Huerga Method for specifying enterprise-wide database address formats
JP4150924B2 (ja) * 2003-07-02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2006346A (zh) * 2004-09-21 2011-04-06 株式会社尼康 投影仪装置
KR100832622B1 (ko) * 2005-05-25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변조기 및 그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WO2007029805A1 (ja) * 2005-09-09 2007-03-15 Nikon Corporation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機器
US20070205875A1 (en) * 2006-03-03 2007-09-06 De Haan Ido G Auxiliary device with projection display information alert
GB2447979B (en) * 2007-03-30 2009-09-23 Ashley Kalman Ltd Projection method
US8245155B2 (en) * 2007-11-29 2012-08-14 Sony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JP2009141489A (ja) * 2007-12-04 2009-06-25 Toshiba Corp 電子機器
US8051077B2 (en) * 2008-02-21 2011-11-01 Maphook, Inc. Geo-trip notes
JP5277703B2 (ja) * 2008-04-21 2013-08-2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
US8949743B2 (en) * 2008-04-22 2015-02-03 Apple Inc. Language input interface on a device
US8285256B2 (en) * 2008-07-28 2012-10-09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information from a wireless device
KR20100039024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537596B1 (ko) * 2008-10-15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537598B1 (ko) * 2008-10-20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0689B1 (ko) * 2008-10-22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방법
KR101527014B1 (ko) * 2008-12-02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EP2197184B1 (en) * 2008-12-15 2017-05-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90163A (ko) * 2009-02-05 201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8700097B2 (en) * 2009-02-05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US20100235730A1 (en) * 2009-03-13 2010-09-16 Microsoft Corporation Consume-first mode text insertion
KR101653828B1 (ko) * 2009-07-13 2016-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rg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듀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23783B1 (ko) * 2009-10-08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추출 방법
KR101595029B1 (ko) * 2009-11-18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9958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10069946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조사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1936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1326A (ko)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US8382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controllably scrolling Braille text
US10296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KR101785323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6355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 device
US945979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3519913A (ja) 三つの表示部を有する端末のデータ運用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端末
EP3142107A1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018541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9444423B2 (en) Method for adjusting volu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7196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30038476A (ko)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6354471A (zh) 音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7565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terminal device, and medium
JP202203635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16320642B (zh) 多媒体资源的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20129230A1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15123B2 (en) Video play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video playing device, and video playing system
US2009005518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message thereto
KR20130123146A (ko)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7389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644971B2 (en) Keyboard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00129416A (ko) 복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입력 모드 운용 방법
EP45461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ock screen interface and storage medium
US8284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