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259A - An online music servic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ratings - Google Patents
An online music servic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ratin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5259A KR20110075259A KR1020090131669A KR20090131669A KR20110075259A KR 20110075259 A KR20110075259 A KR 20110075259A KR 1020090131669 A KR1020090131669 A KR 1020090131669A KR 20090131669 A KR20090131669 A KR 20090131669A KR 20110075259 A KR20110075259 A KR 201100752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ngs
- song
- user
- playlist
- sc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Recommending good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하기 위해 곡에 대한 스코어를 계산하여 사용자 라이브러리에 저장하고, 재생목록 생성 시 스코어값 기준 상위 N개를 선호곡으로 선정하고, 협력 필터링(CF: collaborating Filtering)를 이용하여 선호곡과 관련된 유사곡을 추출한 후 유사곡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이때, 재생목록을 생성할 시 곡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재생목록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재생목록 생성 시 곡에 대한 사용자의 감상이력 정보를 반영하여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메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가 이전에 생각하지 못한 곡을 추천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곡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재생목록에 반영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재생목록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score for the song to reflect the user preferences and ratings, and stores the score in the user library, selects the top N of the score value based on the score value when creating a playlist, collaborating filtering (CF: collaborating) After extracting the similar songs related to the favorite songs by using the filtering), the similar songs are created as a playlist and recommended to the user. At this time, when creating a playlist, the playlist is configured by reflecting the user's evaluation of the song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dditional metadata and recommends songs not previously thought by the user since the playlist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user's viewing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song when the playlist is preferred by the user. I can receive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 more accurate playlist by reflecting the user rating of the song in the playlist in real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선호곡을 선택하고, 협력 필터링(CF: collaborating Filtering) 기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선호곡과 관련된 유사한 곡을 추출하여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ore particularly, to selecting a user's favorite song based on user's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and collaborating filtering (CF). A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ratings that can generate a music playlist by extracting similar songs related to a selected favorite song using a filtering technique.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여러 종류의 음악, 예를 들어 가요, 팝송, 재즈, 클래식, 다양한 멜로디 등을 음악 서비스 서버에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 단말기(예컨데, 이동 단말기, PC 등)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The online music service is one of various content services, and subscribers (for example, mobile terminals, PCs, etc.) of various types of music, for example, songs, pop songs, jazz, classics, and various melodies, can be accessed from a music service server through a network network. It is a service provided by.
가입자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악을 다운받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는다.The subscriber terminal accesses a specific site through the Internet to download desired music or to receive a streaming service.
한편,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곡들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곡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3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line music service provides a service that recommends to the user by creating a playlist of the user's favorite songs. As a method of providing such a song recommendation service, three methods have been proposed as follows.
첫 번째 방법은, 음악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곡들을 파악하고, 이들로부터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것이다. 재생 회수, 스킵(Skip) 유무 등이 곡 별 선호도 계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생목록을 생성하여 추천을 하게 되면, 사용자가 이미 익숙한 곡들 위주로 추천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추천곡에 대해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없다.The first method is to identify the user's favorite songs in the music service server and create a playlist from them. The number of regenerations and the presence of skips are used to calculate the song preference. When a playlist is created and recommended in this way, the user is recommended based on songs that are already familiar. In other words, the user cannot feel a new feeling for the recommended song.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시드(seed) 곡을 입력하면 메타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드 곡과 유사한 곡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곡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메타 데이터로는 화음, 멜로디, 악기 구성, 가수, 앨범, 장르 등이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방법은 유사 곡 추출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양의 메타 데이터를 갖추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second method, when a user inputs a seed song, the user extracts songs similar to the seed song by using metadata and creates a playlist from the extracted songs. In this case, the metadata may include chords, melodies, musical instrument configurations, singers, albums, and genres. However, the second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have a sufficient amount of metadata necessary for similar song extraction.
세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시드(seed) 곡을 입력하면 이와 비슷한 곡들을 오디오 시그널 정보를 사용하여 곡을 추출하고, 추출된 곡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것이다. 오디오 시그널 정보에는 스펙트럼(spectrum), 플럭츄에이션 패턴(fluctuation patterns) 등이 있다. 이러한 세 번째 방법은 오디오 시그널의 유사가 사용자가 느끼는 유사함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third method, when a user inputs a seed song, similar songs are extracted using audio signal information, and a playlist is created from the extracted songs. The audio signal information includes spectrum, fluctuation patterns, and the like. This third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similarity of the audio signal does not match that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추천곡을 대하는 사용자에게 새롭고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create a music playlist that can create a new and fresh feeling for a user who encounters a recommendation song.
또한, 본 발명은 추천을 위한 음악 재생 목록 생성 시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음악 재생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without using metadata when generating a music playlist for recommendation.
또한, 본 발명은 추천을 위한 음악 재생 목록 생성 시 사용자가 선호하는 곡과 유사성을 가지는 곡들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extracting songs having similarities to a user's favorite song when creating a music playlist for recommendation.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는, 스트리밍, 다운로드 또는 평가한 곡들에 대한 사용자 감상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라이브러리와, 해당 곡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계산하는 스코어 계산부와, 상기 사용자 라이브러리로부터 스코어 값 기준 상위 N개를 선호곡으로 추출하는 선호곡 추출부와, 협력적 필터링(CF)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선호곡들과 연관된 유사곡을 추출하는 추천곡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유사곡들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하는 재생목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he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library for managing user viewing history information about songs that have been streamed, downloaded, or evaluated, and a score calculation for calculating a score representing a user's preference for the song. And a preference song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top N scores based on a score value from the user library as a favorite song, and extracting a recommendation song for extracting similar songs associated with the extracted favorite songs using a collaborative filtering (CF) method. And a playlist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extracted similar songs as a playlist.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스트리밍, 다운로 드 또는 평가한 곡들에 대한 감상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라이브러리를 구비하는 과정과, 곡의 최근 스코어, 사용자의 곡에 대한 평가, 곡의 재생회수, 곡 재생 퍼센트를 이용하여 스코어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스코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호곡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협력적 필터링(CF)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한 선호곡들과 연관된 유사곡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유사곡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line music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process of having a user library for managing the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ongs streamed, downloaded or evaluated by the user, the recent score of the song, the evaluation of the user's songs, songs A score is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times of play and the percentage of songs played, a process of extracting favorite songs from the user library using the calculated score value, and the extracted preference using a collaborative filtering (CF) method. And extracting the similar songs associated with the songs, and generating the extracted similar songs as a playlist.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스트리밍, 다운로드 또는 평가한 곡들에 대한 감상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라이브러리를 구비하는 과정과, 곡의 최근 스코어, 사용자의 곡에 대한 평가, 곡의 재생회수, 곡 재생 퍼센트를 이용하여 스코어를 계산하는 과정과, 협력적 필터링(CF)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르와 연관된 장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연관된 장르가 속하는 곡들 중 스코어가 높은 N개의 곡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line music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providing a user library for managing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ongs streamed, downloaded or evaluated by the user, the recent score of the song, the evaluation of the user's song, playback of the song Calculating scores using the number of times of recovery and song reproduction, extracting a genre associated with a genre input by a user by using a collaborative filtering (CF) method, and scores among songs belonging to the extracted related gen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generating a high N songs as a playlist.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스트리밍, 다운로드 또는 평가한 곡들에 대한 감상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라이브러리를 구비하는 과정과, 곡의 최근 스코어, 사용자의 곡에 대한 평가, 곡의 재생회수, 곡 재생 퍼센트를 이용하여 스코어를 계산하는 과정과, 협력적 필터링(CF)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아티스트와 연관된 아티스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연관된 아티스트를 속하는 곡들 중 스코어가 높은 N개의 곡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line music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providing a user library for managing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for the songs streamed, downloaded or evaluated by the user, the recent score of the song, the evaluation of the user's song, playback of the song A process of calculating scores using the number of times and the percentage of song reproduction, extracting an artist associated with an artist input by a user by using a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and a score among songs belonging to the extracted related artis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generating a high N songs as a playlist.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목록으로 구성되는 곡들이,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가 반영된 선호곡을 기초로 CF 기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유사곡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그러나 이전에는 몰랐던 곡을 추천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ongs composed of playlists are composed of similar songs extracted using CF techniques based on the preference songs reflecting user's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recommending songs that the user may like but did not know before There is an effect to receive.
또한, 사용자 선호의 음악 재생 목록 생성 시, 곡에 대한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를 반영하여 재생목록을 생성하므로 별도의 메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유사 곡 추출을 위한 메타 데이터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when creating a user's favorite music playlist, since the playlist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user's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on the song, it is not necessary to build metadata for extracting similar songs since no additional metadata is required.
또한, 곡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간으로 음악 재생 목록에 반영시킴으로써 보다 실시간으로 정확한 음악 재생 목록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user rating of the song in the music playlist in real time, it is effective to recommend the accurate music playlist in real ti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ai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악 감상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 선호곡들을 선택하고, 협력 필터링(CF) 기법을 이용하여 선호곡들과 유사한 유사곡들을 추출하여 이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user's favorite songs by using the user's music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and extracts similar songs similar to the favorite songs by using a cooperative filtering (CF) technique to generate a playlist.
여기서, 협력 필터링 기법은 선호도나 취향이 비슷한 고객들을 식별하여, 선 호도나 취향이 비슷한 고객들 간에 서로 관련 상품들을 추천하는 서비스에 사용되는 기법을 의미한다.Here, the cooperative filtering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used for a service that identifies customers with similar preferences or tastes and recommends related products among customers with similar preferences or tastes.
즉, 본 발명에서 협력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유사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들의 감상 이력 정보를 저장해 놓고, 어느 사용자의 선호곡이 주어졌을 때 이 주어진 곡을 선호하는 다른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를 근거로 유사곡을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유사곡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xtract similar songs using the cooperative filtering technique, the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of each user is stored and based on the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of another user who prefers the given song when the user's favorite song is given. Similar songs will be extracted. In this way, a playlist is generated from the extracted similar songs.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를 통해 음악 재생목록을 생성하므로 별도의 메타 데이터가 필요 없으며,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는 유사한 곡들과 비교할 때 보다 새롭고 신선한 곡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music playlist is generated through the user's 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no additional metadata is required, and new and fresh songs can be provided when compared to similar songs recogniz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음악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 music service server for generating a music playl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통신망(100)과 인터넷망(110)을 통해 음악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고, PC(20)는 인터넷망(110)을 통해 음악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여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서버(120)는 선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 장르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 아티스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으로 음악 재생목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선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은 사용자의 과거 감상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것이고, 장르와 아티스트 기반 방법은 감상 이력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로부터 시드(seed) 장르와 아티스트를 입력 받아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것이다.The
이와 같은 음악 서비스 서버(120)의 내부 구성은 도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서버(120)는 스코어 계산부(200), 사용자 라이브러리(user library)(201), 선호곡 추출부(202), 추천곡 추출부(203), 재생목록 생성부(204), 추천곡 제공부(2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사용자 라이브러리(201)는 사용자별 곡 감상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 감상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하거나 평가한 곡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각 곡에 대한 감상 이력 정보는 도 3과 같이 여러 항목으로 구성된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어느 한 사용자에 대한 감상 이력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3, it shows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for any one user.
감상 이력 정보는 곡 아이디(songid), 스코어(score), 곡이 속하는 장르(genere), 곡에 대한 최근 접근 일시(last access time), 사용자 평가(rating), 곡 재생 회수(playcount), 최근 감상 시 재생 퍼센트(percentage) 항목을 포함한다.Listen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song ID, score, genre to which the song belongs, last access time for the song, user rating, song count, and recent listening. Contains the percentage playback percentage item.
여기서, 스코어는 곡의 점수로, 해당 곡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나타내며, 0~100 사이의 숫자로 표현된다. 스코어는 사용자가 곡을 스트리밍 재생하거나 다운로드 할 때마다 다시 계산된다. 이러한 스코어 계산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 the score is a score of a song, which indicates a user's preference for the song, and is expressed as a number between 0 and 100. The score is recalculated every time the user plays streaming or downloads the song. Such a score calculation method is explained in full detail below.
사용자의 곡에 대한 평가(rating)는 0-10사이의 숫자로 표현되고, 사용자가 해당 곡에 대해 평가한 점수가 표기된다. 이때 평가값이 클수록 사용자가 좋아하는 곡이다. 소정의 곡에 대해서 사용자가 최고 선호하는 곡인 경우, 사용자는 그 곡을 최상위 선호곡(love)으로 설정할 수 있고, 최상위 선호곡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평가 점수가 10이 될 수 있다. 또한, 재생목록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금지곡(ban)을 설정할 수 있고, 금지곡으로 설정되는 경우 평가 점수는 0이 될 수 있다.The rating of a user's song is expressed as a number between 0-10 and the score that the user rated for the song is indicated. At this time, the larger the evaluation value, the more the user likes the song. If the song is a user's favorite song for a given song, the user may set the song as the top favorite song, and if the song is set as the top favorite song, the evaluation score may be 10. In addition, a ban for banning the playlist may be set, and when the ban is set, the evaluation score may be zero.
또한, 곡의 재생 회수(playcount)는 현재까지 재생된 회수가 표기되고, 다운로드 시 또는 프리 다운로드 시에는 미리 설정된 재생 회수만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는 10번 재생으로, 프리 다운로드(곡 일부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는 것)는 8번 재생으로 간주할 수 있다. 물론, 다운로드 또는 프리 다운로드 시 간주하고자 하는 재생 회수는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laybacks of the song is indicated by the number of times that has been played so far, and may be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playback in the case of download or free download. For example, a download may be regarded as 10 playbacks, and a free download (downloading a part of a song for free) may be regarded as 8 playbacks. Of course, the number of playback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download or pre-download can be set differently.
곡 재생 퍼센트 (percentage)는 0-100 사이의 숫자로 표현되고, 전체 곡의 길이에서 실제 재생된 퍼센트를 의미한다.Percentage of song playback is expressed as a number between 0 and 100, and refers to the percentage of actual playback of the total length of the song.
사용자 라이브러리(201)는 사용자가 감상 혹은 평가한 곡만을 관리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에 없는 곡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하거나 평가할 경우 해당 곡은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에 추가되며, 추가된 곡에 대한 감상 이력 정보도 생성된다. 만약,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소정의 곡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이 없으면 그 곡은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에서 제거된다.The
음악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의 스토리지 또는 관리 비용을 감안하여 사용자 당 관리되는 곡을 제한할 수 있다. 관리되는 곡 개수가 1000개로 한정되어 있을 때, 이를 초과하는 경우 LSF(Least Score First) 리플레이스먼트 기법을 사용해 기존 곡 정보들을 삭제한다. 즉, 스코어 값이 작은 순으로 삭제한다.The
스코어를 계산하는 방법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의 순으로 계산될 수 있다.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score may be calculated in the order of Equations 1 to 3 below.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참조하여 스코어 계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평가값(rating)과 이전 스코어(prevscore)를 이용하여 스코어 1(score 1)을 계산한다.Referring to Equation 1 to
다음으로 곡 재생 회수(playcount)를 반영하여 <수학식 2>를 통해 스코어 2(score 2)를 계산한다. 곡 재생 회수가 클수록 스코어가 커지나 스코어의 상한은 100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감가 상각 함수(exponential decay function)를 사용하여 스코어 값의 증가를 제한한다. 곡 재생 회수가 증가하면 즉 곡에 대한 감상이 증가하면, 곡의 스코어 2는 스코어 1에서 100으로 점차 증가한다.Next, the score 2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2 by reflecting the playcount of the song. The larger the number of song regenerations, the larger the score, but the upper limit of the score is set to 100. Therefore, an exponential decay function is used to limit the increase of the score value. As the number of song reproduction increases, that is, the listening to the song increases, score 2 of the song gradually increases from score 1 to 100.
마지막으로 최근 감상 시 재생 퍼센트(percentage)를 반영하여 수학식 3을 통해 스코어 3(score 3)을 계산한다. 여기서, 스코어 3이 최종적으로 감상 이력 정보에 저장되는 스코어가 된다. <수학식 3>에 의하면, 스코어 3은 스코어 2보다 클 수 없고, 재생 퍼센트가 스코어 2(score2)의 값에 대해 10%만 영향을 주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재생 퍼센트가 100%일 때 스코어 3은 스코어 2의 값과 동일하고, 재생 퍼센트가 100% 아래로 떨어지면 스코어 2의 값보다 작아진다. 여기서, 재생 퍼센트가 스코어 2의 값에 주는 영향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Lastly,
그러면, 이제 상기와 같이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에서 각 가입자의 감상 이력 정보가 관리되는 상태에서 음악 서비스 서버(120)가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in which the
이하에서, 선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 장르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 아티스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preference based playlist, a method of generating a genre based playlist, and a method of generating an artist based playli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먼저, 선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First, a method of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preferences will be described.
선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은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재생목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소정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즉, 선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동작은 감상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곡을 선정하고 선호곡과 연관되는 곡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한다. 이때, 선호곡과 연관되는 곡들은 협력 필터링(CF) 기법을 통해 추출한다.The preference-based playlist generation method does not need to set predetermined information separately because the playlist is generated by using the user's viewing history information. That is, the preference-based playlist generation operation selects a user's favorite song based on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and creates a playlist with songs associated with the favorite song. At this time, the songs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song are extracted through a cooperative filtering (CF) techniqu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선호곡 추출부(202)는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의 감상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선호곡들(PrefSongs)을 추출한다(S400).The
이때, 선호곡으로는 스코어 값 기준으로 상위 N개를 선정한다.At this time, the top N pieces a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 value as the preferred song.
이후, 추천곡 추출부(203)는 선정된 선호곡들과 연관되는 곡들을 CF 기법을 사용하여 추출한다(S402). 즉, 선정된 선호곡을 선호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라이브러리(201)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감상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연관된 곡들을 추출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recommended
재생목록 생성부(204)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추천곡들(CandiSongs)을 재생목록으로 생성한다. 이때, 재생목록 생성부(204)는 사용자의 곡 평가(rating)를 재생목록 생성에 실시간으로 반영한다(S404). 이를 위해 재생목록 생성부(204)는 평가 발생 시 마다 재생목록을 갱신한다. The
만약, 사용자가 소정의 곡에 대해 최상의 선호곡(love)으로 설정한 경우, 그 곡과 연관된 유사곡들을 협력 필터링(CF) 기법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곡들을 재생목록의 가장 앞쪽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곡과 비슷한 곡을 바로 들을 수 있다.If the user sets the best love for a given song, the similar songs associated with the song are extracted by a cooperative filtering technique, and the extracted songs are inserted at the front of the playlist. By doing this, the user can immediately listen to a song similar to his or her favorite song.
이때, 만약 협력 필터링으로 추출한 곡들 중 사용자가 금지곡(ban)으로 설정한 곡들 및 이들과 연관된 곡들이 있다면 이들은 재생목록에서 제외시킨다.At this time, if the songs extracted by the cooperative filtering are set by the user as a ban (ban) and the songs associated with them, they are excluded from the playlist.
이를 위해 별도로 금지곡 집합(ban set)을 관리할 수 있다. 금지곡 집합은 사용자가 금지곡으로 선택한 곡들 및 이들과 연관되는 곡들로 구성된다. 금지곡 집합에 곡 추가는 소정 곡에 대하여 사용자가 평가 점수를 0으로 기입할 때 수행된다.For this purpose, a ban set can be managed separately. The prohibited song set is composed of songs selected by the user as prohibited songs and songs associated with them. The addition of the song to the forbidden song set is performed when the user enters an evaluation score of 0 for the predetermined song.
사용자가 소정의 곡에 대해 금지곡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그 곡과 연관된 유사곡들을 CF 기법으로 추출하고, 이들 유사곡들을 재생목록에서 삭제한다. 아울러 선택된 금지곡과 유사곡들을 금지 집합에 추가한다.When the user sets a prohibited song for a predetermined song, similar songs associated with the song are extracted by the CF technique, and the similar songs are deleted from the playlist. In addition, the selected prohibited songs and similar songs are added to the prohibited set.
이후, 추천곡 재생부(205)는 재생목록의 순서대로 곡을 추천한다. 이때, 추천순서는 랜덤으로 할 수도 있고, 순번대로 추천할 수도 있다(S406). 이때, 사용자에게 동일한 곡이 연속적으로 추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천하는 곡은 최근에 재생된 10곡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Thereafter, the recommended
다음으로, 장르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Next, the genre-based playlist gen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장르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장르들을 선택하면, CF 기법을 이용하여 연관 장르를 추출하고, 연관 장르에 속하는 곡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한다. 이때, 장르는 음원 공급자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genre-based playlist generation method, when a user selects a favorite genre, a related genre is extracted by using a CF technique, and a playlist is created with songs belonging to the related genre. At this time, the genre is generally described by the sound source provider.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사용자에 의해 선호하는 한 개 이상의 장르가 입력되면, CF 기법을 이용하여 이들 장르와 연관된 장르들을 추출한다(S500, S502).When one or more genres preferred by the user are input, genres associated with these genres are extracted using CF techniques (S500 and S502).
그리고 이 연관 장르들에 속하는 곡들 중 스코어가 높은 N개의 곡을 추출한다(S504). 이때, 연관 장르들에 속하는 곡들은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에서 검색한다.In operation S504, N pieces of music having a high score are extracted among the pieces of music belonging to the related genres. At this time, songs belonging to the related genres are searched in the
이와 같이 추출된 곡들에 대해 사용자의 곡 평가(rating)를 반영시켜 재생목록을 생성한다(S505). 여기서, 재생목록 생성시 사용자의 곡 평가를 반영하는 동작은 상기의 도 4의 S404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재생목록에 사용자의 곡 평가가 반영되도록 수행된다.The playlists ar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song ratings of the extracted songs as described above (S505). Here, the operation of reflecting the user's song rating when generating the playlist is performed so that the user's song rating is reflected in the playlist in real time as described in operation S404 of FIG. 4.
이후, 재생목록의 순서대로 곡을 추천한다. 이때, 추천순서는 랜덤으로 할 수도 있고, 순번대로 추천할 수도 있다(S506). 이때, S506 단계는 상기의 도 4의 S40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곡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Then, the songs are recommended in the order of the playlist. At this time, the recommendation order may be random, or may be recommended in order (S506). At this time, in step S506, the song is recommended to the user by the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406 of FIG. 4.
마지막으로, 아티스트 기반 재생목록 생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Finally, we will look at how to create an artist-based playlist.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면, CF 기법을 이용하여 연관 아티스트를 추출하고, 연관 아티스트에 속하는 곡들로 재생목록을 생성한다.When the user selects his or her favorite artist, a CF technique is used to extract the associated artist and create a playlist of songs belonging to the associated artist.
도 6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사용자에 의해 선호하는 아티스트가 입력되면, CF를 이용하여 아티스트와 연관된 연관 아티스트를 추출한다(S600, S602).If a favorite artist is input by the user, the associated artist associated with the artist is extracted using the CF (S600 and S602).
그리고 이 연관 아티스트에 속하는 곡들 중 스코어가 높은 N개의 곡을 추출한다(S604). 이때, 연관 아티스트에 속하는 곡들은 사용자 라이브러리(201)에서 검색한다.Then, N pieces of songs having a high score are extracted among the songs belonging to the associated artist (S604). At this time, songs belonging to the associated artist are searched in the
이와 같이 추출된 곡들에 대해 사용자의 곡 평가(rating)를 반영시켜 재생목록을 생성한다(S605). 여기서, 재생목록 생성시 사용자의 곡 평가를 반영하는 동작은 상기의 도 4의 S404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재생목록에 사용자의 곡 평가가 반영되도록 수행된다.The playlists ar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song ratings of the extracted songs as described above (S605). Here, the operation of reflecting the user's song rating when generating the playlist is performed so that the user's song rating is reflected in the playlist in real time as described in operation S404 of FIG. 4.
이후, 재생목록의 순서대로 곡을 추천한다. 이때, 추천순서는 랜덤으로 할 수도 있고, 순번대로 추천할 수도 있다.(S606) 이때, S606 단계는 상기의 도 4의 S40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곡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Then, the songs are recommended in the order of the playlist. At this time, the recommendation order may be random, or may be recommended in sequence (S606). In step S606, the music is recommended to the user by the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406 of FI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e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종래 온라인 음악 서비스에서는 추천 재생음악 목록 구성 시 사용자가 선호하는 곡들로 구성하거나, 선호 곡들과 비슷한 곡들을 메타 데이터 또는 오디오 시그널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사용자 감상이력 정보로부터 선호곡을 선정하고, CF 기법을 이용하여 선호곡과 연관된 유사곡을 추출하고 추출된 유사곡들로 구성된 재생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곡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곡이면서도 보다 식상하지 않고, 신선한 느낌을 주는 곡들을 추천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온라인 음악 서비스 제공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online music service, the user may compose songs that the user prefers when composing the recommended play music list, or extract songs that are similar to the favorite songs by using metadata or audio signal information. By selecting the, and using the CF technique to extract the similar songs associated with the favorite songs and create a playlist consisting of the extracted similar songs to recommend the user to the user, the user is his favorite songs, but not more frustrated, Since it has the advantage of recommending songs that give a fresh feeling, it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field of providing online music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music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sic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라이브러리에서 관리되는 사용자별 곡 감상 이력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도시하는 예시도,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items representing a music listening history for each user managed by a user library of a music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호 기반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preference based play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장르 기반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genre based play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아티스트 기반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n artist-based play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 단말기 20: PC10: mobile terminal 20: PC
100: 이동 통신망 110: 인터넷망1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ternet network
120: 음악 서비스 서버 200: 스코어 계산부120: music service server 200: score calculation unit
201: 사용자 라이브러리 202: 선호곡 추출부201: user library 202: favorite song extraction unit
203: 추천곡 추출부 204: 재생목록 생성부203: recommended song extractor 204: playlist generation unit
205: 추천곡 제공부205: recommended song provider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31669A KR101422772B1 (en) | 2009-12-28 | 2009-12-28 |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31669A KR101422772B1 (en) | 2009-12-28 | 2009-12-28 |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5259A true KR20110075259A (en) | 2011-07-06 |
| KR101422772B1 KR101422772B1 (en) | 2014-07-29 |
Family
ID=4491528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31669A Active KR101422772B1 (en) | 2009-12-28 | 2009-12-28 |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22772B1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058253A1 (en) * | 2012-10-10 | 2014-04-17 | Woo Seong Beom | Sound source distribu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involving user participation via franchised outlet |
| KR20150000952A (en) * | 2013-06-25 | 2015-01-06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device applied to the same |
| KR20150112351A (en) * | 2014-03-27 | 2015-10-0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 |
| KR20180042934A (en) * | 2016-10-19 | 2018-04-27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s |
| KR20180090261A (en) * | 2015-10-21 | 2018-08-10 | 광저우 쿠고우 컴퓨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Playlist list determin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20200116813A (en) * | 2019-04-02 | 2020-10-1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ve Autoencoders |
| CN112860937A (en) * | 2021-01-28 | 2021-05-28 | 陕西师范大学 | KNN and word embedding based mixed music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
| KR20210067540A (en) * | 2019-11-29 | 2021-06-08 | 견두헌 | System for sound source playback changing sound sourse reproduction ptobability by user selection and method thereof |
| KR20220010222A (en) * | 2020-07-17 | 2022-01-25 | (주)서영아이앤티 | System for providing business platform service using instant price setting and payment for unpriced product |
| CN119415779A (en) * | 2025-01-07 | 2025-02-11 | 石家庄学院 | A user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92124B1 (en) | 2021-12-23 | 2023-01-27 | 주식회사 파이베이커리 | System of dividing and commercializing music copyrights and neighboring copyrights by modeling of valua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236922B2 (en) | 2000-07-11 | 2009-03-11 | ヤフ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Online playback system with community bias |
| JP2002358720A (en) | 2001-06-01 | 2002-12-13 | Pioneer Electronic Corp |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
| KR100631806B1 (en) | 2005-05-11 | 2006-10-12 | 김준태 |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
-
2009
- 2009-12-28 KR KR1020090131669A patent/KR101422772B1/en active Active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058253A1 (en) * | 2012-10-10 | 2014-04-17 | Woo Seong Beom | Sound source distribu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involving user participation via franchised outlet |
| KR20150000952A (en) * | 2013-06-25 | 2015-01-06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device applied to the same |
| KR20150112351A (en) * | 2014-03-27 | 2015-10-07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 |
| KR20180090261A (en) * | 2015-10-21 | 2018-08-10 | 광저우 쿠고우 컴퓨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Playlist list determin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20180042934A (en) * | 2016-10-19 | 2018-04-27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s |
| KR20200116813A (en) * | 2019-04-02 | 2020-10-1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Playlis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Collaborative Autoencoders |
| KR20210067540A (en) * | 2019-11-29 | 2021-06-08 | 견두헌 | System for sound source playback changing sound sourse reproduction ptobability by user selection and method thereof |
| KR20220010222A (en) * | 2020-07-17 | 2022-01-25 | (주)서영아이앤티 | System for providing business platform service using instant price setting and payment for unpriced product |
| CN112860937A (en) * | 2021-01-28 | 2021-05-28 | 陕西师范大学 | KNN and word embedding based mixed music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
| CN112860937B (en) * | 2021-01-28 | 2022-09-02 | 陕西师范大学 | KNN and word embedding based mixed music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
| CN119415779A (en) * | 2025-01-07 | 2025-02-11 | 石家庄学院 | A user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22772B1 (en) | 2014-07-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22772B1 (en) |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ethod thereof | |
| US7680959B2 (en) | P2P network for providing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 |
| US8583791B2 (en) | Maintaining a minimum level of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in the absence of online friends | |
| US929217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usic content in a P2P real time recommendation network | |
| KR100530475B1 (en) | Internet radio and broadcast method | |
| US840722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llection profile and for communicating based on the collection profile | |
| US7970922B2 (en) | P2P real time media recommendations | |
| US9037632B2 (en) |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with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 |
| US828577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ceived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 |
| US916499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 media item recommendation message comprising recommender presence information | |
| US20150019581A1 (en) | Selecting Friends In A Network Of Friends Loosely Coupled To A Subscription Service | |
| US20090055759A1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allowing management of a media item playlist based on a preference scoring system | |
| US20080301187A1 (en) | Enhanced media item playlist comprising presence information | |
| US12164826B2 (en) | Skip behavior analyzer | |
| US20060155754A1 (en) | Playlist driven automated content transmission and delivery system | |
| KR10255816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revenue of user's music sources | |
| KR10257003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s music sorces and conducting contests | |
| KR10247297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music sour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 KR10250787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and contesting user's music sources | |
| Pohle et al. | An approach to automatically tracking music preference on mobile players | |
| KR20100133174A (en) | Intro provision system and method in internet sound broadcasting ser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4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