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983A - 전기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기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6983A KR20110076983A KR1020117010188A KR20117010188A KR20110076983A KR 20110076983 A KR20110076983 A KR 20110076983A KR 1020117010188 A KR1020117010188 A KR 1020117010188A KR 20117010188 A KR20117010188 A KR 20117010188A KR 20110076983 A KR20110076983 A KR 201100769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weight
- composition
- acrylate
- alky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BAPJBEWLBFYGME-UHFFFAOYSA-N Methyl acrylate Chemical group COC(=O)C=C BAPJBEWLBFYGM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897 ter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1451 organic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JIGUQPWFLRLWPJ-UHFFFAOYSA-N 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C JIGUQPWFLRLWP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PNJWIWWMYCMZRO-UHFFFAOYSA-N pent‐4‐en‐2‐one Natural products CC(=O)CC=C PNJWIWWMYCMZR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VOZRXNHHFUQHIL-UHFFFAOYSA-N glycidyl methacrylate Chemical group CC(=C)C(=O)OCC1CO1 VOZRXNHHFUQHI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924 oxira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4
- 150000002118 epoxide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150000001252 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3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241 carbon black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 alkyl methacryl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5250 alkyl acryl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3055 glycidyl group Chemical group C(C1CO1)*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0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3 cross-link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MNIXWIUMCBBBL-UHFFFAOYSA-N 2-(2-phenylpropan-2-ylperoxy)propan-2-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C)OOC(C)(C)C1=CC=CC=C1 XMNIXWIUMCBB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57 Non-nutritive fee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TXGQCSETZTARF-UHFFFAOYSA-N buta-1,3-diene;prop-2-ene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C=CC#N NTXGQCSETZTA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2 furnac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4 met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395 meth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67 vinyl 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WLQXEFXDBYHMRG-UPHRSURJSA-N (z)-4-(oxiran-2-ylmethoxy)-4-oxobut-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CC1CO1 WLQXEFXDBYHMRG-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FPAZNLSVMWRGQB-UHFFFAOYSA-N 1,2-bis(tert-butylperoxy)-3,4-di(propan-2-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OOC(C)(C)C)C(OOC(C)(C)C)=C1C(C)C FPAZNLSVMWRG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DBCKCWTWALFKM-UHFFFAOYSA-N 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3-yn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CC(C)(C)OOC(C)(C)C ODBCKCWTWALF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MWVYCCGCQPJEA-UHFFFAOYSA-N 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an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CC(C)(C)OOC(C)(C)C DMWVYCCGCQPJE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TMDPCBYJCIZOD-UHFFFAOYSA-N 2-(2,4-dinitroanilino)-4-meth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NC1=CC=C([N+]([O-])=O)C=C1[N+]([O-])=O STMDPCBYJCIZ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CIUZPXMSXBQKY-UHFFFAOYSA-N 2-(cyclohex-2-en-1-yloxymethyl)oxirane Chemical compound C1OC1COC1CCCC=C1 PCIUZPXMSXBQ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JRUAPNVLBABCN-UHFFFAOYSA-N 2-(ethenoxymethyl)oxirane Chemical compound C=COCC1CO1 JJRUAPNVLBAB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OXQRTZXKQZDDN-UHFFFAOYSA-N 2-Ethylhex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C GOXQRTZXKQZD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DRAKJQFCQVBMP-UHFFFAOYSA-N 2-but-2-enyl-3-methyl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C(C)C(O)=O XDRAKJQFCQV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RDXTHSSNCTAGY-UHFFFAOYSA-N 2-cyclohexylpyrrol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1C1CCCCC1 KRDXTHSSNCTA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FVWNXQPGQOHRJ-UHFFFAOYSA-N 2-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FVWNXQPGQOH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662 Aneth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1 Cross lin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66 I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72 Syzygium cord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50 Syzygium cord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GYHLZZASRKEJE-UHFFFAOYSA-N [3-[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yloxy]-2,2-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yloxymethyl]prop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1=C(O)C(C(C)(C)C)=CC(CCC(=O)OCC(COC(=O)CCC=2C=C(C(O)=C(C=2)C(C)(C)C)C(C)(C)C)(COC(=O)CCC=2C=C(C(O)=C(C=2)C(C)(C)C)C(C)(C)C)COC(=O)CCC=2C=C(C(O)=C(C=2)C(C)(C)C)C(C)(C)C)=C1 BGYHLZZASRKE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TPIWUHKYIJBCR-UHFFFAOYSA-N bis(oxiran-2-ylmethyl) cyclohex-4-ene-1,2-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1C=CCC(C(=O)OCC2OC2)C1C(=O)OCC1CO1 KTPIWUHKYIJB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58 condu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0 dimethyl polysiloxa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GPRUXZTHGTMKW-UHFFFAOYSA-N ethene;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GPRUXZTHGTMK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99 exfol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1 hypa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HBHZANLOWSRM-UHFFFAOYSA-N ita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O LVHBHZANLOWS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79 medium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1 medium-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8 metallocene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0 microcrystalline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8 microcrystalline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13 non-polar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WGOROJDSDNILMB-UHFFFAOYSA-N octatriacontanediamide Chemical group N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N)=O WGOROJDSDNIL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UTROBBXLUEMDQ-UHFFFAOYSA-N oxiran-2-ylmethyl cyclohex-3-ene-1-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O1 KUTROBBXLUEMD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864 peroxy group Chemical group O(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23 prote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2 ultra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69—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with unsaturated acids, e.g. [meth]acrylic acid; with unsaturated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23/0884—Epoxide-containing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92—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with monom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01B3/004—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with conductive additives or conductive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 가교된 에틸렌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도성 화합물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 가교된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도전성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케이블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주제는 에틸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의 가교 중합체, 및 또한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중간-전압 또는 높은-전압 전기 케이블, 즉 5000 볼트 초과의 적용 전압을 갖는 케이블은 종종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전도성 와이어, 및 주변 환경으로부터 와이어를 절연하는 절연 조성물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절연층은 일반적으로 비극성 중합체, 예를 들어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높은 전압에서 전기가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러한 케이블은 전도성 와이어와 절연층 사이에 제 1 중간체 반-전도성 반-절연층 (통상 "내부 반도전 (semiconducting)" 층으로서 나타내어짐) 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층의 주요 역할은 전도성 와이어를 따라 방출되는 전자를 포획하고 케이블 내부의 전기장이 균질하게 되도록 하여 케이블에 대한 조기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 2 반도전층은 일반적으로 절연층을 피복한다. 이러한 제 2 반도전층은 통상 "외부 반도전층" 으로서 나타내어지며; 이의 주요 역할은 누설 전류를 방지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외부 반도전층 및 보호 외피로 연속하여 둘러싸인 전기적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내부 반도전층은 전도성 와이어 및 절연층에 결합하는 한편 박리가능하게 남아 있어야 한다. 더욱이, 외부 반도전층은 절연층과의 이의 경계면에서 박리가능하거나, 다른 한편, 절연층에 완전히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및/또는 외부 반도전층은 하나 이상의 가교 또는 비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에서, 반도전층은 케이블 내 균질한 전기장을 얻고 전기 에너지의 소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유전 특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전도성 화합물이 조성물에 완전히 분산될 필요가 있다.
기술적 수준
반도전성 조성물은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출원 US2008/0050588 (D1) 은 전도성 화합물 및 다양한 에틸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단일-위치 촉매를 포함하는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를 포함하며, 0.87 내지 0.93 의 밀도, 1 내지 30 범위의 용융 흐름 지수 및 10 이하의 다분산 지수를 갖는 반도전성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1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유전 특성이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문헌은 반도전성 조성물의 양호한 열 안정성을 교시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케이블의 작동 동안, 또한 상기 케이블 제조시 분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반도전성 조성물이 양호한 열 안정성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특히, 케이블이 가교되어야 하는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은 170 내지 400℃ 일 수 있는 온도에서 가교 단계를 거친다.
D1 에서는 사용된 중합체의 신속한 가교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조성물이 존재하는 케이블이 신속히 제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늘 증가하는 전세계 에너지 수요량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의 생산적 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해결책 발견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기 케이블이 수년의 수명을 갖도록 하기 위해 내부 반도전층과 전도물 사이의 점착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문헌 D1 은 극성 결합제 첨가를 추천한다. 이러한 결합제의 존재는 제조 동안, 특히 케이블의 제조 동안의 온도 거동, 및 반도전성 조성물의 중합체와 이러한 작용제 사이의 상 분리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더욱이, 케이블은 전도물을 둘러싼 다양한 층의 공압출에 의해 D1 에 따라 제조된다. 이러한 공정 동안, 케이블의 2 개 말단에서의 반도전층의 수축 (shrinkback) 현상이 일반적으로 관찰되며, 즉 내부 반도전층은 냉각시 전기 케이블의 전도성 와이어보다 더 오므라든다. 전도물은 이의 말단에서 노출되는데, 이는 전기 케이블의 절연을 복잡하게 하며 이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수축 현상은 전도물과 반도전층 사이의 점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된다.
더욱이, 출원 EP 1 065 672 (D2) 는 특이적 특성을 갖는 카본 블랙 기재의, 및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에스테르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기재의 외부 또는 내부층에 대한 반도전성 조성물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성물은 전도성 와이어에 대한 이러한 층의 수축 현상을 향상시킬 수 없다. 상기 문헌 D2 에서는 더 양호한 열 안정성을 교시하고 있지 않다. 최종적으로, 반도전층의 중합체의 신속한 가교에 대해서 아무것도 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문헌 EP 1 025 161 (D3) 은 에틸렌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범위의 양임) 를 포함하는 내부 반도전성 조성물을 나타낸다. 내부 반도전층이 전도성 와이어 및 절연층과의 접촉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 이온 또는 전자의 형태를 취하는 전기 전하가 축적되어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하는 케이블의 조기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전기 케이블 내부 전기장의 분포를 변형시킨다. 실제로, D3 의 조성물은 이러한 현상을 향상시킬 수 없다. 반도전층이 특히 평활한 표면 상태 및 균일한 두께 (매우 특히 내부층에 대해) 를 갖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이는, "포인트 효과 (point effect)" 가 생성되는 것으로 통상 나타내어지는 반대의 경우에서도 전기 케이블의 파손이 또한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D3 의 조성물은 이러한 현상을 향상시킬 수 없다. 상기 문헌 D3 에서는 조성물의 유전 특성에서의 향상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더욱이, 조성물이 약간 향상된 열 안정성을 갖는다 해도, 에틸렌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상이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이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가교 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없다.
특허 US 6 248 374 (D4) 는 박리가능한 외부 반도전층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층은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 초과이거나, 이의 용융점은 60 내지 80℃ 범위이거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의 배합물은 120℃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다. 이러한 층은 단지 외부층으로서 사용되며 내부층으로서 사용될 수 없다. 이러한 층의 열 안정성은 매우 불량하다. 더욱이, 이의 유전적 특성은 전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으며 포인트 효과 현상도 향상되지 않는다.
에틸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 기재의 중합체는 이러한 중합체에 의해 향상된 충격 특성을 갖는 사출 성형된 폴리아미드 부품의 제조에 대해 문헌 EP 0 802 226 (D5) 에서 기재되며, 에폭시드 관능기는 에틸렌으로 그래프트되거나 공중합된다. 상기 문헌은 반도전성 조성물 또는 전기 케이블에 관한 것이 아니며; 더욱이, 전기 케이블은 사출 성형에 의해 결코 형성되지 않으며 공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문헌 WO 2005/030870 A1 (D6) 은 반응성 관능기, 특정 크기의 보강제 및 전기 전도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보강물 3 내지 30%, 폴리에스테르 40%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중합 보강물은 가교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채색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는 케이블에 사용되는 반도전성 조성물과 매우 상이한 저항성을 갖는다.
문헌 WO 96/28510 A1 (D7) 의 주제는 주로 폴리아세탈 수지,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체,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추가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5 내지 5 중량% 의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올레핀 중합체는 가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표는 폴리아세탈 수지의 열에 대한 저항성 및 또한 지방 및 마찰에 대한 이의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문헌은 전기 케이블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상술한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켜 전기 케이블의 제조를 촉진시킬 수 있는 신규한 "반도전성"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정확히, 박리가능하도록 남아 있으면서 수많은 지지체에 점착되는 반도전층 조성물이다. 특히, 상기 불이익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케이블에서의 내부 및/또는 외부층으로서의 용도이다.
발명의 요약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매우 유리한 특성을 가지며 전기 케이블의 제조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박리가능한 반도전성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에틸렌, 불포화 에폭시드 및 임의로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이며, 이들 에스테르는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용어로 조합되고; 이러한 공중합체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48 내지 99.9 중량%, 특히 48 내지 94.9 중량% 의 에틸렌;
ㆍ 0 내지 40 중량%, 특히 5 내지 4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1 내지 12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C-C 결합을 통해 가교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종래 기술의 조성물에 대해 상기 기재된 하나 이상의 특성에 있어서의 향상, 즉 유전 특성 및/또는 열 저항성 및/또는 중합체의 가교 속도 및/또는 전도성 와이어에 대한 상기 조성물의 점착성 및/또는 상기 조성물 층의 표면 상태에서의 향상을 나타내는 반도전성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전기 케이블이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문헌 JP 06116362 (D8) 의 요약은 에폭시기를 수반하는 올레핀 중합체, 에폭시기와 가교하는 작용제 및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한다. 따라서, 에폭시 관능기는 가교제와 반응하고, 상기 가교제는 가교 중합체의 구조에 관계하며; 상기 에폭시 관능기는 가교제와 반응하고 중합체는 C-O-C 결합을 통해 가교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C-C 결합을 통해 가교되고 에폭시 관능기가 가교제와 반응하지 않으며 중합체의 구조가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러한 조성물의 한 문제점은 금속 전도성 와이어에 강력하게 점착되어, 내부 반도전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절연층으로부터 외부 반도전층을 박리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서, 에폭시 관능기가 따라서 이용가능하다. 임의의 한 이론에 구속됨이 없이, 본 출원인은 에틸렌 포함 가교 중합체 상의 이러한 에폭시 관능기의 존재로 중합체가 가교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극성 지지체에 점착되면서도, 이의 에폭시 관능기가 가교제와 반응하는 가교 중합체와 비교하여 보다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마찬가지로, 에틸렌 포함 가교 중합체 내의 이러한 에폭시 관능기의 존재는 또한 용융 상태에서 금속과 접촉시 수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중합체가 금속에 점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관능기가 가교제와 반응하는 중합체와 비교하여, 단순 응력이 가해질 때 박리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전기 케이블, 특히 내부 또는 외부 반도전층 제조용 전기 케이블의 제조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가교 중합체는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가교가 C-C 결합을 통해 실행되는지를 측정하는 유리한 방법은, 가교 중합체에 포함되는 에폭시드 관능기를 수반하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위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양은 비가교 중합체에 포함되는 것의 98%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매우 바람직하게는 99.5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 "중합체" 는 라디칼 경로에 의해 중합될 수 있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른 공단량체와 함께,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에폭시드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에서 유래하는 에틸렌, 불포화 에폭시드 및 임의로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66 내지 77.1 중량% 의 에틸렌;
ㆍ 22.5 내지 3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4 내지 4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본 발명은 또한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보다 특히, 중합체에 추가로, 반도전 효과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전도제를 포함하는 반도전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놀랍게도, 반도전성 조성물로서 및 특히 전기 케이블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기에 필요한 모든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비가교 중합체를 유기 퍼옥시드와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를 가열하여 중합체를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교 중합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다양한 구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전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이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C-C 결합을 통해 가교된, 에틸렌, 불포화 에폭시드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이며, 이러한 에스테르는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용어로 조합되고; 상기 중합체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48 내지 99.9 중량%, 특히 48 내지 94.9 중량% 의 에틸렌;
ㆍ 0 내지 40 중량%, 특히 5 내지 4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1 내지 12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유리하게는, 중합체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62 내지 77.9 중량% 의 에틸렌;
ㆍ 22 내지 32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1 내지 6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66 내지 77.1 중량% 의 에틸렌;
ㆍ 22.5 내지 3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4 내지 4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69.5 내지 76.5 중량% 의 에틸렌;
ㆍ 23 내지 28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5 내지 2.5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유리하게는, 에틸렌의 양은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75 중량% 미만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ㆍ 69.5 내지 75 중량% 의 에틸렌;
ㆍ 22.5 내지 3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2.5 내지 0.5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본 발명에 따른 삼원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해, 알킬 사슬은 2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알킬 사슬이 1 내지 12 개, 유리하게는 1 내지 6 개, 심지어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유형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의 경우보다, 이를 사용하여 더 양호한 분산성의 전도성 화합물이 수득된다.
중합체 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예를 들어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22 내지 32 중량%, 유리하게는 22.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8 중량% 범위 내에 있다.
예로서, 불포화 에폭시드,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컨대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말레에이트 및 이타코네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지환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컨대 2-시클로헥센-1-일 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시딜 시클로헥센-4,5-디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시클로헥센-4-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5-노르보르넨-2-메틸-2-카르복실레이트 및 디글리시딜 엔도-시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불포화 에폭시드로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한데, 이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서의 분산 및 가교의 특성을 촉진하는 이의 높은 극성으로 인한 것이다.
중합체 내의 에폭시드의 양은 예를 들어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6 중량%, 유리하게는 0.4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 범위 내에 있다.
중합체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량체의 양은 표준 ISO8985 를 사용하여 적외선 분광술로 측정될 수 있다.
표준 ASTM D 1238 에 따라 190℃, 2.16 kg 에서 측정된 비가교 중합체의 용융 흐름 지수는 유리하게는 1 내지 500 g/10 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g/10 분, 매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 g/10 분이다.
전기 케이블의 압출 방법은 이러한 유동성 범위 내에서 특히 향상되며; 특히 이는 놀랍게도 전기 케이블의 신속한 압출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반도전층은 내부층으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한 특히 평활한 표면 상태를 갖는다. 중합체의 가교 동안, 반도전층은 우수한 치수적 및 열 안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표준 ASTM D 1525 에 따라 측정된 본 발명의 중합체의 Vicat 연화 온도는 90℃ 미만이다.
에틸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의 비가교 중합체는 에틸렌,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200 내지 2,500 bar 의 압력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라디칼 중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이러한 중합 방법은 다음의 2 가지 주요 반응기 유형을 사용하여 산업적으로 실행된다: 오토클레이브형 반응기 또는 관형 반응기.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제조된다.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의 이러한 고압 중합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 출원 FR 2 498 609, FR 2 569 411 및 FR 2 569 412 에서 기재되고; 중합체는 말레 무수물을 불포화 에폭시드로 대체함으로써 이러한 방법에 따라 수득된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 사용시, 관형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와 비교하여, 반도전성 조성물 층의 제조에 있어서 조성물 내 전도성 화합물의 더 양호한 분산 및 향상된 표면 상태가 수득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전기 케이블이 향상된 특성을 나타내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C-C 결합을 통해 가교된다. 가교제는 가교 중합체에 관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중합체는 예를 들어 유기 퍼옥시드 (예를 들어 출원인 회사에서 시판되는 Luperox 범위의 것들) 를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용어 "유기 퍼옥시드" 는 O-O 퍼옥시 유형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탄화수소 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디큐밀 퍼옥시드, tert-부틸 큐밀 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비스(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 및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스-3-인이 언급될 수 있다. 가교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2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 중량% 범위 내에 포함되는 양으로 존재한다.
중합체의 가교는 일반적으로 겔 함량의 측정에 의해 정량화된다. 이러한 겔 함량은 표준 ASTM D 2765-01 (2006) 의 방법 A 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중합체의 겔 함량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예를 들어 50 이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비가교 중합체를 유기 퍼옥시드와 배합하는 단계, 및 중합체를 가열하여 이를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교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퍼옥시드를 비가교 중합체와 배합하는 단계는 퍼옥시드의 분해 온도 미만의 온도, 예를 들어 80 내지 150℃, 예를 들어 90 내지 120℃ 범위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상기 배합물은 열가소성 조성물을 배합하는 정상적인 기술, 예를 들어 단일 축 압출, 이축 압출에 의해, 또는 내부 혼합기, 외부 혼합기 또는 Buss 형 혼합기와 같은 임의 유형의 혼합기로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를 가교시키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퍼옥시드의 분해 온도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70 내지 400℃, 유리하게는 200 내지 380℃ 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배합 단계 후에, 중합체를 형성하고 임의로는 이를 다층 구조로 다른 물질과 조합하여 이를 원하는 최종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대상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는 또한 조성물 내에서 다른 성분과 배합되는 경우, 특히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서 배합되는 경우 가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반도전성 조성물이다. 이는 가교 중합체에 추가로, 일반적으로 카본 블랙인 전도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도성 카본 블랙의 임의의 유형, 예를 들어 아세틸렌 블랙 또는 퍼니스 블랙 (furnace black) 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표준 ISO 3915 에 따라 23℃ 에서 측정된 1000 ohm.c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ohm.cm 미만의 부피 저항성을 나타내는 경우 반도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저항성을 수득하기 위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중량% 양의 카본 블랙을 사용한다. 전도성 화합물은 또한 카본 나노튜브, 또는 카본 블랙과 카본 나노튜브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전성 조성물 내의 중합체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 심지어 55 내지 75 중량% 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배합물 및 "희석 폴리올레핀" 으로서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와 상이한 폴리올레핀의 배합물에 의해 대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 대한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희석 폴리올레핀으로서, 에틸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다. 에틸렌 공중합체는 3 내지 20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올레핀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수득된 폴리에틸렌 또는 또한 EPR 또는 EPDM 형의 에틸렌 및 프로필렌 고무가 언급될 수 있다. 에틸렌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의 알킬 사슬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함) 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및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 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가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에틸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외의 희석 폴리올레핀으로서, 예를 들어 프로필렌 또는 이소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희석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중합체가 희석 폴리올레핀과 배합되는 경우, 희석 폴리올레핀/중합체 비는 유리하게는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범위 내에 포함된다.
유리하게는, 배합물 (중합체 + 희석 폴리올레핀) 의 총 중량에 대한 에폭시드의 중량% 수준은 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 중량%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임의로 관계하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또한 가교된다.
조성물은 또한 전기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에서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전성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중, 충전제, 가공조제 및 윤활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및 오존 보호제, 수 트리 (water tree) 또는 통기 트리 (vented tree) 현상을 방지하는 첨가제, 점착 방지제 (antitack agent) 또는 가수분해 보호제가 언급될 수 있다.
충전제 중, 탈크, 탄산 칼슘 또는 점토가 언급될 수 있다.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가공조제 및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페놀 화합물이 산화방지제 및 오존 보호제로서 언급될 수 있다.
점착 방지제의 예는 에틸렌비스-스테아라미드이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 기재 작용제가 가수분해 보호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또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미드 왁스, 규소 오일,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클로로프렌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첨가제" 중합체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 첨가제로, 이에 따라 수득된 조성물은 심지어 폴리에틸렌 상에서 더 용이하게 박리가능하며; 유리하게는 외부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이 이러한 유형의 중합체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조성물의 열 안정성이 더 양호하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첨가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층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이다.
전기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두 단계로 제조된다. 전도성 와이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프리케이블 (precable)" 은 압출된 후 케이블 드럼에 감긴다. 감기는 동안의 프리케이블의 외부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70℃ 이다. 상기 온도에서, 프리케이블은 그 자체에 약간 점착될 수 있다. 이후 이는 반도전층의 특성을 손상시킬 수 있는 점착 방지지에 첨가되거나, 케이블의 제조 속도를 저하시켜 이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외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놀라운 이점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비해 이러한 온도에서 덜 점성이라는 것이다. 임의의 한 이론에 구속됨이 없이, 본 출원인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보다 더 높은 조성물의 삼원중합체의 Vicat 결정화 또는 연화 온도에 의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중합체 첨가제 외 첨가제의 총량은 0.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구현예에 따르면, 반도전성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ㆍ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는 희석 폴리올레핀과 중합체의 배합물;
ㆍ 반도전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충분량의 전도성 화합물;
ㆍ 임의로는, 반도전성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
이러한 반도전성 조성물은 내부층 뿐 아니라 외부층으로서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이점을 만들어낸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하며:
ㆍ 5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중량% 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는 희석 폴리올레핀과 중합체의 배합물;
ㆍ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중량% 의 카본 블랙;
ㆍ 임의로는, 반도전성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
구성물의 합은 100 중량% 이다.
이러한 구현예의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양으로 첨가제(들)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다양한 구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전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가소성 조성물을 배합하기 위한 통상적인 기술, 예를 들어 단일 축 압출, 이축 압출에 의해, 또는 내부 혼합기, 외부 혼합기 또는 Buss 형 혼합기와 같은 임의 유형의 혼합기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합 온도는 80 내지 170℃, 예를 들어 80 내지 150℃ 범위 내에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조성물 내 다른 성분과 배합되는 경우 가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구성물, 즉 비가교 중합체, 전도성 화합물, 유기 퍼옥시드, 임의로는 희석 폴리올레핀 및 임의로는 상술한 첨가제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 방법은 조성물의 가교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합 단계는 퍼옥시드의 분해 온도 미만의 온도, 예를 들어 80 내지 150℃ 또는 90 내지 120℃ 범위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배합물은 열가소성 조성물을 배합하기 위한 통상적인 기술, 예를 들어 단일 축 압출, 이축 압출에 의해, 또는 내부 혼합기, 외부 혼합기 또는 Buss 형 혼합기와 같은 임의 유형의 혼합기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가교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퍼옥시드의 분해 온도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70 내지 400℃, 유리하게는 200 내지 380℃ 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배합 단계 후에, 중합체를 형성하고 임의로는 이를 다층 구조로 다른 물질과 조합하여 이를 원하는 최종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성은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의 압출에 의해 배합 단계와 동시에 임의로 실행될 수 있거나, 가교될 중합체 층이 케이블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전기 케이블에서 반도전층으로서의 조성물의 용도이다. 이는 특히 내부층 및/또는 외부층으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 및/또는 외부층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케이블 제조 방법이다.
케이블은 전도성 와이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및/또는 외부 반도전층은 본 발명에 따른 것임) 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물 층의 공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유리하게는 가교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 처리는 통상 170 내지 400℃, 유리하게는 200 내지 380℃ 범위 내에서 실행된다.
실시예
반도전성 조성물을 하기 생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ㆍ 74 중량% 의 에틸렌, 24 중량% 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2 중량% 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표준 ASTM D 1238 에 따라 190℃ 및 2.16 kg 에서 측정된 용융 흐름 지수 50 g/10 분을 갖는 삼원중합체;
ㆍ 전도성 화합물: 퍼니스 블랙;
ㆍ 산화방지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ㆍ 가교제: 디큐밀 퍼옥시드.
실시예
1
실시예 1 의 조성물은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63.5 중량% 의 삼원중합체;
ㆍ 35 중량% 의 카본 블랙;
ㆍ 0.5 중량% 의 산화방지제;
ㆍ 1 중량% 의 가교제.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조성물은 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한다:
ㆍ 51.5 중량% 의 삼원중합체;
ㆍ 12 중량% 의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ㆍ 35 중량% 의 카본 블랙;
ㆍ 0.5 중량% 의 산화방지제;
ㆍ 1 중량% 의 가교제.
실시예 1 및 2 에 따른 조성물은 C-C 결합을 통해 가교된 삼원중합체를 포함한다.
실시예
CP
(
비교예
)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가교제가 퍼옥시드가 아니라 1% 의 말레산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CP 에 따른 조성물은 에폭시 관능기를 통해, 그리고 이에 따라 C-O-C 결합을 통해 가교되는 삼원중합체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및 실시예 CP 의 조성물을 내부 반도전층으로서 케이블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2 (본 발명에 따른) 및 실시예 CP 의 조성물을 외부 반도전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케이블은 하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전도성 와이어/(내부 반도전성) 조성물/가교 폴리에틸렌/(외부 반도전성)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들이 전기 케이블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 예상된 이점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의 경우, 조성물은 전도성 와이어에 점착되나 조성물 층을 당길 때 박리가능하게 남아 있었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에 점착되면서 박리가능하게 남아 있었다. 비교하여, 실시예 CP 의 조성물은 전도성 와이어에 양호하게 점착되지만 박리가능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및 2 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실시예 CP 의 경우에서보다 가교된 폴리에틸렌 상에서 더욱 용이하게 박리가능하였다.
Claims (15)
- C-C 공유 결합을 통해 가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하는 에틸렌, 임의로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에폭시드의 가교 중합체:
ㆍ 48 내지 99.9 중량% 의 에틸렌;
ㆍ 0 내지 4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1 내지 12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 제 1 항에 있어서, 구조가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불포화 에폭시드 유래의 단위량이 가교 전 중합체 유래의 단위량의 9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퍼옥시드를 통한 가교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ㆍ 66 내지 77.1 중량% 의 에틸렌;
ㆍ 22.5 내지 30 중량% 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ㆍ 0.4 내지 4 중량% 의 불포화 에폭시드.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 사슬이 1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에폭시드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 전도성 화합물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 제 9 항에 있어서, 중합체와 상이한 가교된 희석 폴리올레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중합체 및 전도성 화합물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의 총 중량에 대해 성분들의 합이 100 중량% 가 되도록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ㆍ 50 내지 80 중량% 의 중합체, 또는 희석 폴리올레핀과 중합체의 배합물;
ㆍ 20 내지 50 중량% 의 카본 블랙 및/또는 카본 나노튜브;
ㆍ 임의로는, 중합체 및 전도성 화합물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 - 조성물의 다양한 구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전기 케이블에서 반도전층으로서의 용도.
-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층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FR0856851 | 2008-10-09 | ||
| FR0856851A FR2937041B1 (fr) | 2008-10-09 | 2008-10-09 | Composition semi-conductrice pour cables electriqu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6983A true KR20110076983A (ko) | 2011-07-06 |
Family
ID=404338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7010188A Withdrawn KR20110076983A (ko) | 2008-10-09 | 2009-10-08 | 전기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10240330A1 (ko) |
| EP (1) | EP2344584A1 (ko) |
| KR (1) | KR20110076983A (ko) |
| CN (1) | CN102177202A (ko) |
| FR (2) | FR2937041B1 (ko) |
| WO (1) | WO2010040964A1 (ko)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80009B1 (ko) * | 2013-05-16 | 2015-01-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압 또는 초고압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컴파운드 및 이를 적용한 초고압 전력 케이블 |
| KR20160040523A (ko) * | 2013-06-26 | 2016-04-14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전압-안정화된 폴리머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2444455A1 (en) * | 2010-10-21 | 2012-04-25 | Borealis AG | A semi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which contains epoxy-groups |
| ES2461149T3 (es) | 2010-10-21 | 2014-05-16 | Borealis Ag | Cable que comprende una capa formada por una composición que contiene grupos epoxi |
| US11688529B2 (en) | 2012-02-16 | 2023-06-27 | Borealis Ag | Semi-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
| EP3476885B1 (en) | 2017-10-31 | 2020-06-17 | Borealis AG | A cross-linkable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epoxy-groups and a cross-linking agent |
| EP3567073A1 (en) * | 2018-05-08 | 2019-11-13 |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 Process for curing (meth)acrylate-containing resins |
| CN112424278A (zh) | 2018-05-23 | 2021-02-26 | 博里利斯股份公司 | 一种包含第一烯烃聚合物和第二烯烃聚合物的可交联的聚烯烃组合物 |
| KR20250092214A (ko) * | 2022-10-20 | 2025-06-23 | 마티브 룩셈부르크 | 반도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E2323741B2 (de) * | 1972-05-13 | 1976-07-15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saka (Japan) | Beschichtetes metallband und dess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ummantelten schichtkabels |
| GB1411023A (en) * | 1972-05-13 | 1975-10-22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 Laminated tape for sheathing cable |
| AU1359976A (en) * | 1975-05-07 | 1977-11-10 | Union Carbide Corp | Electrical conductors |
| US4370517A (en) * | 1977-12-29 | 1983-01-25 | Hitachi Cable Limited | Polyolefin compositions for electrical insulation |
| US5091478A (en) * | 1986-11-14 | 1992-02-25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artially graft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
| WO1990002153A1 (en) * | 1988-08-22 | 1990-03-08 |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 Surface blush-resistant, fire-retardan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
| JPH04311732A (ja) * | 1991-04-10 | 1992-11-04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保護シート |
| JP3175297B2 (ja) * | 1991-06-24 | 2001-06-11 | 日本油脂株式会社 | エチレン系ポリマーの架橋用組成物、架橋方法及び電力ケーブル |
| US5194516A (en) * | 1991-10-01 | 1993-03-16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rocess for modifying visosity of ethylene copolymers |
| US5824412A (en) * | 1991-10-24 | 1998-10-20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Thermoplastic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for wire coating applications |
| JPH0641370A (ja) * | 1992-05-11 | 1994-02-15 | Sumitomo Chem Co Ltd | ゴム組成物 |
| JPH06116362A (ja) * | 1992-10-02 | 1994-04-26 | Nippon Petrochem Co Ltd | 半導電性樹脂組成物 |
| JP3315020B2 (ja) * | 1995-03-13 | 2002-08-19 |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成形品 |
| IT1276762B1 (it) * | 1995-06-21 | 1997-11-03 | Pirelli Cavi S P A Ora Pirelli | Composizione polimerica per il rivestimento di cavi elettrici avente una migliorata resistenza al"water treeing"e cavo elettrico |
| EP0785239B1 (en) * | 1996-01-19 | 2001-03-07 |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 Granulated acetylene black,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
| FR2747391B1 (fr) * | 1996-04-16 | 1998-05-22 | Atochem Elf Sa | Pieces injectees en polyamide et resistant au choc |
| EP0858081A3 (en) * | 1997-02-07 | 1999-02-03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Semiconductiv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SE9703798D0 (sv) * | 1997-10-20 | 1997-10-20 | Borealis As | Electric cable and a method a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US6013202A (en) * | 1998-07-29 | 2000-01-11 | Bicc General Uk Cables Limited | Compositions of matter and electric cables |
| DE69923086D1 (de) * | 1998-09-16 | 2005-02-10 | Japan Polyolefins Co Ltd | Verwendung eines harzmaterials zur elektrischen isolerung und elektrische leitung und kabel, bei dem dieses verwendet wird |
| JP4181681B2 (ja) * | 1999-02-19 | 2008-11-19 | 日本ユニカー株式会社 | 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電線・ケーブル |
| EP1043731B1 (en) * | 1999-03-29 | 2004-10-20 |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 Carbon black,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its applications |
| US6492454B1 (en) * | 1999-04-01 | 2002-12-10 | The Yokohama Rubber Co., Ltd. |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rubber, mercapto-triazine and epoxy grafter polymer |
| FR2828493B1 (fr) * | 2001-08-07 | 2005-06-03 | Atofina | Composition a base de polypropylene et d'un copolymere ethylene/acrylate d'alkyle |
| US20050186438A1 (en) * | 2003-09-24 | 2005-08-25 | Alms Gregory R. |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s |
| JP4696458B2 (ja) * | 2004-03-19 | 2011-06-08 | 住友化学株式会社 | 絶縁電線被覆材 |
| BRPI0418777B1 (pt) * | 2004-04-27 | 2016-08-23 | Prysmian Cavi Sistemi Energia |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abo, e, cabo |
| EP2444455A1 (en) * | 2010-10-21 | 2012-04-25 | Borealis AG | A semi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which contains epoxy-groups |
| ES2461149T3 (es) * | 2010-10-21 | 2014-05-16 | Borealis Ag | Cable que comprende una capa formada por una composición que contiene grupos epoxi |
-
2008
- 2008-10-09 FR FR0856851A patent/FR2937041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2-05 FR FR0950696A patent/FR2937036A1/fr active Pending
- 2009-10-08 KR KR1020117010188A patent/KR20110076983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10-08 WO PCT/FR2009/051925 patent/WO2010040964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0-08 CN CN2009801397379A patent/CN102177202A/zh active Pending
- 2009-10-08 US US13/122,870 patent/US2011024033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10-08 EP EP09755996A patent/EP2344584A1/fr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80009B1 (ko) * | 2013-05-16 | 2015-01-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압 또는 초고압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컴파운드 및 이를 적용한 초고압 전력 케이블 |
| KR20160040523A (ko) * | 2013-06-26 | 2016-04-14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전압-안정화된 폴리머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0040964A1 (fr) | 2010-04-15 |
| FR2937036A1 (fr) | 2010-04-16 |
| FR2937041B1 (fr) | 2012-07-20 |
| EP2344584A1 (fr) | 2011-07-20 |
| CN102177202A (zh) | 2011-09-07 |
| US20110240330A1 (en) | 2011-10-06 |
| FR2937041A1 (fr) | 2010-04-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10076983A (ko) | 전기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 |
| KR100909927B1 (ko) | 전도성 중합체 복합재료 및 이를 사용하는 케이블 | |
| CA2641266C (en) | Semiconductive compositions | |
| KR102690696B1 (ko) | 케이블 코팅물을 위한 폴리올레핀 화합물 | |
| JP6295886B2 (ja) | 電線被覆材用組成物、絶縁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 |
| US20130206453A1 (en) | Semiconductive polyolefin composition which contains epoxy-groups | |
| AU2002240535A1 (en) | Semiconducting shield compositions | |
| EP1156493A1 (fr) | Composition semi-conductrice réticulable et cable électrique à pellicule semi-conductrice | |
| JP3175297B2 (ja) | エチレン系ポリマーの架橋用組成物、架橋方法及び電力ケーブル | |
| US20230407066A1 (en) |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wire and cable applications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
| CN1856844B (zh) | 绝缘屏蔽组合物、包含该组合物的电力电缆及其制造方法 | |
| US20180268956A1 (en) | Composition for electric wire coating material, insulated electric wire, and wire harness | |
| WO1998009808A1 (en) | Polymeric compositions for power cables | |
| WO2019181398A1 (ja) | 電線被覆材用組成物、絶縁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 |
| CN102421813A (zh) | 包含在水解时形成酸或碱的硅烷基的可交联聚烯烃组合物 | |
| CA3001160A1 (en) | Semiconductive shield composition | |
| TWI866988B (zh) | 含有三有機胺基膦的基於乙烯之聚合物組合物 | |
| TWI814904B (zh) | 含三有機基膦之以乙烯為主之聚合物組成物 | |
| TWI821396B (zh) | 包含膦氧化物之以乙烯為主之聚合物組成物 | |
| KR102754828B1 (ko) | 반도전성 중합체 조성물 | |
| JPH09245520A (ja) | 電力ケーブルの半導電層用組成物 | |
| WO2009145436A1 (en) | Cable supporting high water crosslinking temperatures and strippabilit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5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