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98091A - How to control refrigerators and freezers - Google Patents

How to control refrigerators and freez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091A
KR20110098091A KR1020100017533A KR20100017533A KR20110098091A KR 20110098091 A KR20110098091 A KR 20110098091A KR 1020100017533 A KR1020100017533 A KR 1020100017533A KR 20100017533 A KR20100017533 A KR 20100017533A KR 20110098091 A KR20110098091 A KR 2011009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ice tray
storag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5222B1 (en
Inventor
이동훈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222B1/en
Publication of KR2011009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0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2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에 제공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에 대응하는 높이에 도달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서부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정회전시켜 추가 이빙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역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각도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이스 트레이는 이빙 후 뒤집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얼음 저장부의 만빙 해제후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제빙 장치가 고장난 경우, 고장 위치가 급수부 계통인지 또는 만빙 센서인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 ice making chamber provided in said storage compartment or door; An ice tray rotatably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and allowing ice to be produced; A driving unit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below the ice tray and storing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has reached a height corresponding to full ice, and when the full ic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ice tray rotates forward and additionally ices the ice tray. Rotating the ice 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tray remains inverted after ice and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the ice storage is released from ice, so if the ice maker breaks down, the failure position is water supply system or ic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easily check whether it is a sensor.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저장실, 즉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냉동 사이클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수단 및 증발기가 포함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can keep food fres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cooling a storage compartment, that is, a freezer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while repeating a freezing cycle. The refrigeration cycle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expansion means and an evaporator.

냉장고에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 공간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며, 사용자는 상기 저장물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that forms a storage space and a door that selectively shields the main body. A storag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user may open the door to take out the storage.

또한, 냉장고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제빙 장치에서 제조된 얼음이 외부로 취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 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 장치는 냉장고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n ice making device for producing ice and a dispenser device for discharging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ing device to the outside. Here, the ice maker may be disposed in the refrigerator door.

상기 제빙 장치에는,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물로부터 얼음이 생성되는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 장치에는,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에 일정량 이상 저장된 것을 감지하는 만빙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ice making apparatus includes an ice tray in which ice is generated from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unit, and an ice storage unit in which ice generated in the ice tray is stored. The ice mak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ce sensor that detects that ice is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for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종래의 냉장고에 의하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아이스 트레이가 얼음을 이빙한 후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상기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딸려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nterferes with the ice tray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ice tray rotatably provided ice. In this cas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ice comes up on the ice tray.

또한, 상기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저장되지 않은 상태 또는 만빙되지 않은 상태 (꽉 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급수, 제빙 및 이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빙 장치의 문제가 급수 계통에 있는지 아니면 만빙 센서에 있는지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water is not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or if the ice tray is not watered, iced, or iced in a non-frozen state, the problem of the ice maker is in the water supply system. Or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if there was an ice sensor.

따라서, 상기 제빙 장치가 고장난 경우, 상기 제빙 장치의 내부를 분해하여 급수부 또는 만빙 센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ice maker breaks down, it is troublesome to disassemble the inside of the ice maker and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ice sens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빙 장치의 고장유무 및 그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check the location of the ice making device and its location.

또한, 얼음 저장부에 저장되는 얼음의 저빙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allows the amount of ice storag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to be increa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에 제공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에 대응하는 높이에 도달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서부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정회전시켜 추가 이빙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역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각도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 ice making chamber provided in said storage compartment or door; An ice tray rotatably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and allowing ice to be produced; A driving unit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below the ice tray and storing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has reached a height corresponding to full ice, and when the full ic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ice tray rotates forward and additionally ices the ice tray. Rotating the ice 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는, 아이스 트레이가 정위치에 배치되며,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는 단계;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정회전시켜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로 이빙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역회전시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단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tray disposed at a proper position and supplying water; Generating ice in the ice tray; Detecting whether the ice reservoir is full; If the ice reservoir is full, rotating the ice tray forward so that ice is iced into the ice reservoir; And rotating the ice tray in reverse to maintain the lower end of the ice tray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또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는, 아이스 트레이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하는 단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로 이빙되는 단계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tray disposed at an initial position; Detecting whether the ice reservoir is full; If the ice reservoir is full, rotating the ice tray by a predetermined angle; Detecting whether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is released;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when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unit is released; Generating ice in the ice tray; And iced the ice of the ice tray to the ice storag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이스 트레이는 이빙 후 뒤집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얼음 저장부의 만빙 해제후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제빙 장치가 고장난 경우, 고장 위치가 급수부 계통인지 또는 만빙 센서인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tray remains in an inverted state after the ice, and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is released. Or it is easy to check whether it is an ice sensor.

또한, 상기와 같이 고장 위치를 확인하여 수리가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pair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failure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얼음 저장부가 1차 만빙인 것으로 감지되더라도, 추가적인 이빙이 가능하므로 얼음 저장부 내의 저빙량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it is detected that the ice storage unit is the first full 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ice storage unit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additional ice is possible.

또한, 커버가 아이스 트레이의 하단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므로, 검빙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검빙 센서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is configured to shield the lower end of the ice tray, the inspection senso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inspection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와 아이스 뱅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가빙을 위하여 제 1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가 제 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in an open state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rom which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ce tray and an ice b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a first position for ice tray garb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ice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cond posi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in an open state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11, 15)가 포함된다. 1 and 2,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refrigerator door 11 and 15 mov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10. ) Is included.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장실(102) 및 상기 냉장실(102)의 하부에 위치되는 냉동실(104)이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102)과 냉동실(104)은 구획부(103)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The cabinet 10 is form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and a freezing compartment 104 position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02 and the freezer compartment 104 may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103.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냉장고(1)의 구조 뿐만 아니라, 냉동실이 상부에 형성되고 냉장실이 하부에 형성되는 탑 마운트(Top mount) 타입 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타입에도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a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1, but also a top mount type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formed at a lower side, or a side by side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by side) is also applicable.

상기 냉장고 도어(11, 15)에는, 상기 냉장실(10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냉동실(104)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15)가 포함된다. The refrigerator doors 11 and 15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104.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캐비닛(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arranged from side to side. The plurality of doors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10.

상기 냉동실 도어(15)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5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arranged up and down. The plurality of doors may be provided to be pulled out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0.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디스펜서 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 장치(20)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누름부(22)가 포함된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device 20 through which water or ice is taken out. The dispenser device 20 includes a pusher 22 operable by a user to take out water or ice.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가 제거된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from which the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1)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1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배면을 형성한다. 3 and 4,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includes an outer case 111 forming a front appearance and a door liner 112 coupled to the outer case 111. The door liner 112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제빙실(ice compartment: 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빙실(120) 내에는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제빙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은 제빙실 도어(13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제빙실 도어(130)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힌지(139)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door liner 112 forms an ice compartment 120. An ice making assembly 200 for generating and storing ice is dispos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20. The ice making chamber 120 is opened and closed by an ice making door 130. The ice making room door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liner 112 by a hinge 139.

상기 제빙실 도어(130)에는,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상기 제빙실(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되기 위한 핸들(140)이 구비된다. The ice making room door 130 is provided with a handle 140 to be coupled to the door liner 112 while the ice making door 130 is closed with the ice making room 120.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128)는 상기 핸들(140)의 일부를 수용한다. The door liner 112 has a handle engaging portion 128 to which a portion of the handle 140 is coupled. The handle coupling portion 128 receives a portion of the handle 140.

상기 캐비닛(10)에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공급 덕트(106) 및 상기 제빙실(120)로부터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본체 회수 덕트(108)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 및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는 증발기(미도시)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The cabinet 10 includes a main body supply duct 106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ice making chamber 120 and a main body recovery duct 108 for recovering cold air from the ice making chamber 120. The body supply duct 106 and the body recovery duct 108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a space in which an evaporator (not shown) is located.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제빙실(120)의 냉기를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로 회수하는 도어 회수 덕트(124)가 포함된다.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1 has a door supply duct 122 for supplying the cool air of the main body supply duct 106 to the ice making chamber, and the cold air of the ice making chamber 120 to the main body recovery duct 108. A door return duct 124 is included.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 및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도어 라이너(110)의 외측벽(113)에서 상기 제빙실(120)을 형성하는 내측벽(114)까지 연장된다. The door supply duct 122 and the door recovery duct 124 extend from the outer wall 113 of the door liner 110 to the inner wall 114 forming the ice making chamber 120.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와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door supply duct 122 and the door recovery duct 124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oor supply duct 122 is disposed above the door recovery duct 124.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door supply duct 122 and the door return duct 124 is not limited.

상기 냉장실 도어(11)가 상기 냉장실(102)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는 상기 본체 공급 덕트(106)와 연통되며, 상기 도어 회수 덕트(124)는 상기 본체 회수 덕트(108)와 연통된다. Wit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shiel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2, the door supply duct 122 communicates with the body supply duct 106, and the door recovery duct 124 is the body recovery duct ( 108).

그리고, 상기 제빙실(200)에는 상기 도어 공급 덕트(122)를 유동한 냉기를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290)에는 냉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덕트(290)를 유동한 냉기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공급된다. The ice making chamber 200 includes a cold air duct 290 for guiding the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door supply duct 122 to the ice making assembly 200. The cold air duct 290 is form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cold air flows, and the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cold air duct 290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assembly 200.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290)에 의하여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측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신속한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Cold air may be concentrated toward the ice making assembly 200 by the cold air duct 290, thereby enabling rapid generation of ice.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125)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125)는 상기 제빙실(120)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 특히 아이스 트레이(210 : 도 5 참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26)이 구비된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ice making assembly 200. The connector 125 is exposed to the ice making chamber 120.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126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assembly 200, particularly the ice tray 210 (see FIG. 5).

상기 급수관(126)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실(120)의 상부에 위치된다.The water supply pipe 126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11 and the door liner 112, and one end thereof passes through the door liner 112 and is positioned above the ice making chamber 120.

상기 내측벽(114)의 하측에는 얼음이 토출되는 개구부(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20)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부(127)와 연통되는 얼음 덕트(150)가 배치된다. An opening 127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is formed below the inner wall 114. An ice duct 150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127 is disposed below the ice making chamber 12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실(120) 및 제빙 어셈블리(200)가 냉장실 도어(11)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동일한 구성이 상기 냉장실(102) 내부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making chamber 120 and the ice making assembly 200 ar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1, but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102.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0)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생성된 얼음을 지지하는 아이스 트레이(210)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20) 및 상기 구동원(220)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224)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5, the ice making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tray 210 defining a space where ice is generated and supporting the generated ice, and the ice tray 210. In order to separate the ice in the drive source 220 for providing power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ice tray 210 and the gearbox 224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source 220 to the ice tray 210 is Included.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회전축(21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12)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관통하여 상기 기어 박스(224)에 결합될 수 있다.The ice tray 21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212 that provides a rotation center of the ice tray 210. The rotating shaft 212 may be coupled to the gear box 224 through the ice tray 210.

상기 구동원(220)이 작동되면, 회전력은 상기 기어박스(224)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212)에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212)이 회전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driving source 220 is operate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212 through the gear box 224. When the rotating shaft 212 is rotated, the ice tray 210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물이 공급될 때,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커버하는 커버(230) 및 상기 급수관(126)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안내하는 물 안내부(24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210,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supplied from the cover 230 and the water supply pipe 126 to cover the ice tray 210 to prevent water overflow. Water guide portion 240 for guiding the water to the ice tray 210 is included.

또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5)가 구비되는 지지 기구(250)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로서의 아이스 뱅크(300)와,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센서(270) 및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모터(28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ncludes a support mechanism 250 including a seating portion 215 on which the ice tray 210 is seated, and ice storage for storing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210. Ice bank 300 as a "", a ice sensor 300 for sensing the ice of the ice bank 300, and a drive motor 280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ce bank 300.

상세히, 상기 지지기구(250)에는, 제 1 지지부(252) 및 상기 제 1 지지부(252)와 결합되는 제 2 지지부(260)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support mechanism 25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252 and a second support part 260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252.

상기 제 1 지지부(252)는 상기 제빙실(120)에 안착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52)에는 상기 구동 모터(28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252)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서 토출된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개구(253)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300)는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다. The first support part 252 is se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20. The drive motor 280 is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part 252. In addition, an ice opening 253 through which ice discharged from the ice bank 300 passes is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252. The ice bank 300 is seated on the first support 252.

상기 구동 모터(28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 모터(28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뱅크 결합부(285)가 제공된다. 상기 뱅크 결합부(285)는 상기 아이스 뱅크(300)와 결합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제공되는 파쇄부재(미도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On one side of the drive motor 280, a bank coupling portion 285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280 is provided. The bank combiner 285 is coupled to the ice bank 30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a crushing member (not shown) provided in the ice bank 300.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 모터(280)는 상기 아이스 뱅크(30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는,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상기 제빙실(120)에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When the ice bank 300 is seated on the first support part 252, the driving motor 280 is connected to the ice bank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te in which the ice bank 300 is seated on the first support part 252 means a state in which the ice bank 300 is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20.

상기 만빙 센서(27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부(26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만빙 센서(27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하측에 위치된다. The ice sensor 270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26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ce tray 210. In addition, the ice sensor 270 is located below the ice tray 210.

상기 만빙 센서(270)에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71) 및 상기 송신부(271)와 이격되며 상기 송신부(271)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72)가 포함된다.The ice sensor 270 includes a transmitter 271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a receiver 272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er 271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271.

상기 송신부(271) 및 상기 수신부(272)는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상기 제 1 지지부(25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The transmitter 271 and the receiver 272 ar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ce bank 300 with the ice bank 300 seated on the first support 252.

또한,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제빙실(120)의 내부 온도가 감지되도록 하는 제빙실 온도센서(245 : 도 6 참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provided with an ice making room temperature sensor 245 (see FIG. 6)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room 120.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와 아이스 뱅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가빙을 위하여 제 1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가 제 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side view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ce tray and an ice b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irs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ice tray is in a first position for icing,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ice tr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cond position.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급수관(126)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부터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회전축(212)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212)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6 to 9, in the ice making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e tray 210 and ice tray 210 for generating ice from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26. Rotation axis 212 is provided that provides a center of rotation. The rotating shaft 212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210.

상기 회전축(212)에는, 상기 기어 박스(224)에 결합되는 제 1 단부(212a) 및 상기 제 1 단부(212a)의 맞은편 단부를 형성하는 제 2 단부(212b)가 포함된다. The rotation shaft 212 includes a first end 212a coupled to the gear box 224 and a second end 212b forming an opposite end of the first end 212a.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 궤도(211)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 궤도(211)의 하단부는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에 해당하는 높이로부터 소정 거리(g1) 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The ice tray 210 forms a rotating track 211 in a process of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track 21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1) from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ull ice of the ice bank 300.

상기 소정 거리(g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이빙된 후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저장된 얼음(350)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의하여 퍼올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the predetermined distance g1 is formed, the ice 350 stored in the ice bank 300 is lifted up by the ice tray 210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ice tray 210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ice tray 210 is iced. Losing can be prevented.

상기 구동원(220)의 구동력이 상기 기어 박스(224)에 전달되면, 상기 회전축(212) 및 아이스 트레이(210)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시계 방향을 "정회전 방향"이라 칭한다.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ource 220 is transmitted to the gear box 224, the rotating shaft 212 and the ice tray 210 may be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Here,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forward rotation direction".

이 때, 상기 제 1 단부(212a)는 상기 구동원(220)의 구동력에 대응하는 제 1 각도만큼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부(212a)에 인접한 아이스 트레이(210)의 소정 부분은 상기 제 1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nd 212a is rotated by a first angl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220. Thu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ce tray 210 adjacent to the first end 212a may be rotated by the first angle.

다만, 상기 제 2 단부(212a)에 인접한 아이스 트레이(210)의 소정 부분은 스토퍼(218)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 1 각도보다 작은 각도(제 2 각도)로 회전된다.Howev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ce tray 210 adjacent to the second end 212a is rotated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second angle) while interfering with the stopper 218.

상기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크기 차이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비틀리는(twist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내부에 생성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로 낙하 및 저장된다.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gles, the ice tray 210 is twisted. In this process,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tray 210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ice bank 300.

이러한 아이스 트레이(210)의 이빙 동작은 상기 아이스 뱅크(300) 내부가 만빙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추가 이빙" 동작이라 칭한다. The ice tray 210 may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ice bank 300 is full. This is called an "additional ebbing"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궤도(211)와 만빙 높이 사이에는 이격된 거리(g1)가 형성되므로, 얼음이 추가 이빙되더라도 얼음과 아이스 트레이(21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얼음의 저빙량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spaced distance g1 is formed between the rotational track 211 and the ice level, interference may not occur between the ice and the ice tray 210 even if ice is additionally iced. By such a contro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ice storage can be increased.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이빙이 완료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상기 정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시계 방향, 역회전)으로 회전되면서 비틀림 현상이 해제된다. 즉, 상기 스토퍼(218)에 간섭되었던 아이스 트레이(210)의 소정 부분이 상기 스토퍼(218)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의 비틀림 부하는 해제된다 (무부하).After the ice tray 210 is finished, the ice tray 21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clockwise, reverse rotation), thereby releasing the torsion phenomenon. That i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ce tray 210 that has been interfered with the stopper 218 is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218 so that the torsional load in the ice tray 210 is released (no load).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소정 각도만큼 역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220)의 구동이 중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소정 위치에서 대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tray 210 is reverse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driving of the driving source 220 is stopped, whereby the position of the ice tray 210 may be maintained. That is, the ice tray 210 may be wai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역회전 된 상태에서, 수평선(L1)과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선(L2)이 이루는 각도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α를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line L1 and the line L2 extend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tray 210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tray 210 is reversely rotated is α as shown in FIG. 9. Form.

상기 α가 180°인 경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완전히 뒤집혀지는 상태에 해당하며, 상기 α가 0°인 경우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원래 위치에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When the α is 180 °, the ice tray 210 is completely inverted. When the α is 0 °, the ice tray 210 is in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Corresponds to

여기서, 상기 α는 90°이상의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가 만빙된 상태에서, 상기 α가 90°미만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저장된 얼음(350)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의하여 퍼올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ere, α may be maintained at a value of 90 ° or more. If the α maintains an angle of less than 90 ° while the inside of the ice bank 300 is full, the ice 350 stored in the ice bank 300 is moved by the ice tray 210. Problems with spreading may occur.

여기서, 상기 α의 상한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각도에서 형성될 것이다. 즉, 상기 α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비틀림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limit of α will be formed at an angle at which the torsion of the ice tray 210 does not occur. That is, the α may be formed in a range where no torsional load occurs in the ice tray 210.

이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회전 궤도(211) 최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결국,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역회전 될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 궤도(211)의 최하단 이상으로 유지된다.In this case, the ice tray 210 may b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rotational track 211 of the ice tray 210. As a result, when the ice tray 210 is reversely rotated, the lower end of the ice tray 210 is maintained above the lowermost end of the rotation track 211.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역회전되어 대기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이 해제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급수, 제빙 및 이빙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ice tray 210 is reversely rotated and waited, when the ice bank 300 is completely freed, the ice tray 210 is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and processes of water supply, ice making, and ice breaking are performed. Could be.

만약,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역회전 되어 대기된 상태에 있고,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에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얼음이 저장되지 않는다면 상기 만빙 센서(270)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ice tray 210 is in a reverse rotation state and is in a standby state and a failure occurs in the ice making assembly 200 and no ice is stored in the ice bank 300, the ice tray 210 may be broken. It may be judged.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Another embodiment is proposed.

본 실시예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비틀리는 작용에 의하여, 이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내부에 이빙 히터가 제공되고, 상기 이빙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이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tray 210 has been described by the action of twist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 ice heater is provided inside the ice tray 210.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ce is made by the heating of the ice heat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켜지고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면,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의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 된다 (S11,S12).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refrigerator is turned on and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the ice making system of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initialized (S11 and S12).

상기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 됨에 따라,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상기 급수관(126)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며, 냉기를 공급받아 제빙이 이루어진다 (S13,S14).As the ice making system is initialized, the ice tray 210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126, and is supplied with cold air to make ice (S13, S14).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내부에 제빙이 이루어지면, 상기 아이스 뱅크(300), 즉 "얼음 저장부"가 만빙 되었는지 1차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었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정회전되면서 이빙(추가 이빙)이 이루어진다.When ice is formed in the ice tray 210, the ice bank 300, that is, the “ice storage unit” is primarily sensed whether the ice tray 210 is filled with ice. If the ice bank 300 is full, as shown in Figure 8, the ice tray 210 is rotated forward and the ice (additional ice) is mad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하단부와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 높이 사이에는 소정거리(g1)이 형성되므로,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된 상태에서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추가 이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300) 내의 저빙량이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predetermined distance g1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ce tray 210 and the ice level of the ice bank 300, the ice tray 210 even when the ice bank 300 is full. May further be obtained. By this operation,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ice bank 300 can be increased.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추가 이빙이 이루어진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역회전하면서 일정 위치에 유지(대기)된다. 반면에,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지 않았으면 S13 단계로 돌아간다 (S17,S18).After the further ice of the ice tray 210 is made, as shown in FIG. 9, the ice tray 210 is maintained (standb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rotating in reverse. On the other hand, if the ice bank 300 is not full,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3 (S17, S18).

만약, 이 상태에서 제빙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얼음이 만빙되지 않았는데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역회전 대기된 상태에 계속 있다면, 이는 상기 만빙 센서(27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f a problem occurs in the ice making system in this state and the ice tray 210 is still waiting for the reverse rotation even though the ice is not iced in the ice bank 300, this may indicate an abnormality in the ice sensor 270.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역회전 대기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 되었는지 2차적으로 감지된다(S19).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었으면 S19 단계로 돌아가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ice tray 210 is waiting for the reverse rotation, it is secondarily detected whether the ice bank 300 is full (S19). If the ice bank 300 is full,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9 and waits until the ice bank 300 is completely frozen.

반면에,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이 해제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여 만빙이 해제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ull ice of the ice bank 300 is released,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out ice and the full ice is released, the ice tray 21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7. do.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급수 및 제빙이 이루어지며,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이빙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S20,S21,S22).Then, water supply and ice making are performed on the ice tray 210, and the process of icing on the ice bank 300 may be repeated (S20, S21, and S22).

만약, 아이스 트레이(21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빙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얼음이 만빙되지 않았는데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급수 및 제빙등의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상기 급수관(216)을 포함한 급수부 계통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f the ice tray 210 is in the initial position, a problem occurs in the ice making system and even though the ice is not filled in the ice bank 300, the water supply and ice making of the ice tray 210 is not performed. If no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wat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water supply pipe 216.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켜지고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면,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의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 된다 (S31,S32).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refrigerator is turned on and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the ice making system of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initialized (S31 and S32).

상기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 됨에 따라,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상기 급수관(126)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며, 냉기를 공급받아 제빙이 이루어진다 (S33,S34).As the ice making system is initialized, the ice tray 210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126, and is supplied with cold air to make ice (S33, S34).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내부에 제빙이 이루어지면, 상기 아이스 뱅크(300), 즉 "얼음 저장부"가 만빙 되었는지 1차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일방향 회전되며 일정 위치에서 대기된다 (일방향 회전 및 대기).When ice is formed in the ice tray 210, the ice bank 300, that is, the “ice storage unit” is primarily sensed whether the ice tray 210 is filled with ice. When the ice bank 300 is full, the ice tray 2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wai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e-way rotation and standby).

여기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일방향 회전되는 상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위치만큼 회전된 상태 (역회전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ice tray 2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state in which a torsion load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position (reverse rotation state) as shown in FIG. 9.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얼음이 제빙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일방향 회전 대기되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S35,S36,S37).That is, in the state where ice is iced on the ice tray 210, the point in which the ice tray 210 is wait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35, S36, S37).

반면에,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지 않았으면 또는 만빙 해제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S38). On the other hand, if the ice bank 300 is not full or if the ice is not full, the ice tray 21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7 (S38).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 내부의 얼음이 이빙된 후, 다시 급수 및 제빙되는 단계가 실시된다 (S39,S40).Then, after the ice in the ice tray 210 is iced, water supply and ice-making are performed again (S39 and S40).

만약, 제빙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얼음이 만빙되지 않았는데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일방향 회전 및 대기된 상태에 계속 있다면, 이는 상기 만빙 센서(27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f a problem occurs in the ice making system and the ice tray 210 continues to rotate and wait in one direction even though the ice bank 300 is not iced, this indicates that the ice sensor 270 is abnormal. Can be judged.

반면에, 제빙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얼음이 만빙되지 않았는데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초기위치인 상태에 계속 있다면, 이는 급수부 계통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problem occurs in the ice making system and the ice tray 210 is still in the initial position even though the ice is not iced in the ice bank 30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water supply system. .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켜지고 냉동 사이클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최초 만빙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초기 만빙여부 감지). 예를 들어, 정전등으로 인해 냉장고 전원이 OFF 된후 다시 ON 되었을 때, 냉장고 전원이 OFF되기 전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2,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 ice bank 300 is initially iced while the refrigerator is turned on and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initial ice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refrigerator is turned off after being turned off due to a power failure lam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ce bank 300 is full before the refrigerator is turned off.

이 때, 냉장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는, EEPROM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EEPROM 메모리는 냉장고 전원이 OFF된 후 다시 ON 되더라도, OFF되기 전의 일정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EEPROM memory may be mounted in the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The EEPROM memory may store certain information before being turned off even if the refrigerator is turned on again after being turned off.

즉, 본 실시예에서, 초기 만빙여부 감지는 상기 EEPROM에 기억된 정보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S51,52).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ction of whether the initial full ice may be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EEPROM (S51, 52).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지 않았다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급수 및 제빙을 한 후, 상기 만빙 센서(270)에 의하여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한다 (S54,S55,S56).If the ice bank 300 is not full, after watering and deicing the ice tray 210, the ice sensor 300 primarily detects whether the ice bank 300 is full (S54, S55, S56).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정회전시켜 추가 이빙하는 단계(S59)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이빙시킨 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S57,S58).When the ice bank 300 is full, the ice tray 210 is rotated forward to further ice the ice (S59).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 bank 300 is not full, the ice tray 210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the ice tray 210 is iced (S57, S58).

한편, S53 단계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에 만빙이 이루어졌다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정회전하여 이빙 작동을 한 후, 다시 역회전 하여 일정위치에 대기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53, if the ice is made inside the ice bank 300, the ice tray 210 is rotated forward and after the ice operation, and then again rotates to st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다만,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얼음이 제빙된 상태라면 얼음의 추가 이빙이 이루어질 것이며, 제빙되지 않은 상태라면 얼음의 추가 이빙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S59,S60).However, if ice is iced on the ice tray 210, additional ice will be made of ice, and if ice is not iced, ice will not be further iced (S59, S60).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정회전 및 역회전 대기작동을 수행한 후, 상기 아이스 뱅크(300)에 만빙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한다 (S61).After performing the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standby operation of the ice tray 210, it is secondarily detects whether or not the ice bank 300 is full of ice (S61).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된 상태에 있다면, S61 단계로 돌아가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 해제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만빙이 해제되었다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초기위치로 복원되어 급수 및 제빙 작동이 수행된다 (S62,S63,S64).If the ice bank 300 is in the full ice stat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 and waits for the ice bank 300 to be unfrozen. However, if the ice of the ice bank 300 is released, the ice tray 210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water supply and ice making operations are performed (S62, S63, S64).

제 1,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빙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위치가 역회전 대기상태 또는 초기위치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이상이 발생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ice making system, the posi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depending on whether the position of the ice tray 210 is in the reverse rotation standby state or the initial position state. It will be easy to figure out.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냉장고의 전원이 켜지고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면,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의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 된다 (S71,S72). When the refrigerator is turned on and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the ice making system of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initialized (S71 and S72).

상기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 되면,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의 외부 만빙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S73). 여기서, "외부 만빙"이라 함은,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개방된 상태로서 규정될 수 있다. When the ice making system is initialized, it is detected whether the external ice making of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performed (S73). Here, the term “outer ice” may be defined as an open state of the ice making room door 130.

상기 제빙실 도어(130)가 개방되면, 냉장고 외부의 자연광(自然光)에 의하여, 상기 만빙 센서(270)의 감지 결과가 오판(誤判)될 수 있으므로, 이 때에는 만빙된 것으로 판단된다.When the ice compartment door 130 is opene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ce sensor 270 may be misjudged by natural light outside the refrigerator.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외부 만빙되었으면, S73 단계로 돌아가 외부 만빙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된다 (S74).If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externally ic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73 and waits until the external ice is released (S74).

반면에, 상기 제빙 어셈블리(200)가 외부 만빙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 만빙여부가 감지된다. 여기서, "내부 만빙"이라 함은, 외부 만빙과 구별하여, 제 1-3 실시예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만빙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상기 만빙 센서(270)에 의하여 감지되는 만빙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S75).On the other hand, if the ice making assembly 200 is not externally iced, whether or not the ice bank 300 is internally full is detected. Here, the term "internal ice" is a term referring to general i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ternal ice,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may be defined as ice that is detected by the ice sensor 270 (S75). .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내부 만빙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일방향 회전 및 대기된다. 이는, 제 2 실시예의 S37 단계에서 설명한 작동에 대응된다. 반면에,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내부 만빙되지 않았다면, S81 단계로 이동하여 아이스 트레이(210)의 급수 및 제빙 작동이 수행된다 (S76,S77).When the ice bank 300 has been fully frozen inside, the ice tray 210 is rotated and waited in one direction. This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described in step S37 of the second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if the ice bank 300 has not been internally iced, the process moves to step S81 and water supply and ice making operations of the ice tray 210 are performed (S76 and S77).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일방향 회전 및 대기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외부 만빙 또는 내부 만빙여부가 다시 감지된다 (S78).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tray 210 is rotated and waited in one direction, whether the external ice or the internal ice of the ice bank 300 is detected again (S78).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외부 만빙 또는 내부 만빙된 경우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일방향 회전 및 대기된 상태에 계속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아이스 뱅크(300)가 만빙 해제된 경우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S79,S80).If the ice bank 300 is externally or internally immersed, the ice tray 210 remains in a one-way rotation and in a standby state. However, if the ice bank 300 is released from full ice, the ice tray 21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S79, S80).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초기위치로 복귀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는 급수 및 제빙 동작이 수행되고, 이빙이 이루어진다 (S81,S82).After the ice tray 21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ice tray 210 is subjected to a water supply and an ice making operation, and an ice is performed (S81 and S82).

한편, 제빙 시스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만빙 해제" 여부는 대략 2분(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을 주기로 만빙 센서(270)를 이용하여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이빙이 이루어지면, 상기 만빙 센서(270)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내부만빙 여부가 다시 한번 확인된다.Meanwhile, in the ice making system, whether the ice bank 300 is "released internally" is detected using the ice sensor 270 at intervals of about 2 minutes (preset time period). When the ice tray 210 is iced, whether or not the ice bank 300 is iced by using the ice sensor 270 is once again checked.

이 때, 이빙 후 내부만빙 여부가 확인되는 시점과 상기 2분 주기의 감지시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82 단계에서 이빙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빙 시스템은 초기화, 즉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는 초기화될 수 있다 (S83).At this time, an error may occur when a time poin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internal freezing is performed after the ice and the detection time of the 2-minute period does not coincide. Therefore, after the ice is performed in step S82, the ice making system may be initialized, that is, the preset time period may be initialized (S83).

물론, 상기 제빙 시스템이 초기화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의 제빙 및 이빙 동작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after the ice making system is initialized, the ice making and ice-making operations of the ice tray 21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of an ice making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200)에는, 아이스 트레이(210)로 물이 공급될 때,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커버하는 커버(230)가 포함된다.The ice making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230 that covers the ice tray 210 to prevent water overflow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210. .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는, 물이 급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부(210a)가 포함된다. 상기 얼음 생성부(210a)는 얼음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공간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The ice tray 210 includes an ice generator 210a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generate ice. The ice generator 210a may be defined as a recessed space downward so that the ice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 얼음 생성부(210a)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저장된 물질이 물인지 얼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빙 센서(219)가 제공된다. 상기 검빙 센서(219)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 얼음이 저장된 것으로 감지되면,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ce generator 210a is provided with an ice sensor 219 for checking whether the material stored in the ice tray 210 is water or ice. If the ice sensor 219 detects that ice is stored in the ice tray 210, ice may be obtained.

상기 커버(230)는 상기 검빙 센서(219)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210a)의 하단부 하측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커버(230)는 상기 얼음 생성부(210a) 및 검빙 센서(219)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ver 230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ce generator 210a in order to prevent the detection sensor 219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cover 230 may extend downward to completely cover the ice generator 210a and the ice sensor 219.

이와 같이, 상기 커버(230)가 상기 검빙 센서(219)를 완전히 차폐함으로 인하여, 상기 검빙 센서(219)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cover 230 completely shields the detection sensor 219, the detection sensor 219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 user's operation or an external environment.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Another embodiment is proposed.

본 실시예는, 상기 커버(23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검빙 센서(219)를 차폐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아이스 뱅크(300)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검빙 센서(219)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ver 230 extends downward to shield the sensing sensor 219. Alternatively, an upper end of the ice bank 300 is further extended upward to detect the sensing sensor 219. It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11 : 냉장실 도어 120 : 제빙실
130 : 제빙실 도어 200 : 제빙 어셈블리
210 : 아이스 트레이 300 : 아이스 뱅크
11: refrigerator door 120: ice-making room
130: ice making room door 200: ice making assembly
210: ice tray 300: ice bank

Claims (13)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에 제공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에 대응하는 높이에 도달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서부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정회전시켜 추가 이빙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역회전시켜 미리 설정된 각도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storage room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 ice making chamber provided in said storage compartment or door;
An ice tray rotatably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and allowing ice to be produced;
A driving unit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An ice storage unit provided below the ice tray and storing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And
I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has reached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ull ice,
The driving unit,
When the ic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ice tray is rotated forward and further iced, and then the ice tray is rotated in reverse to maintain the ice tray at a predetermined ang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is released,
The driv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to rotate the ice tray to the initial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저장된 물이 얼음 상태에 있는지 감지하는 검빙 센서;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물넘침을 방지하며, 상기 검빙 센서를 차폐하는 커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 ice sensor to detect whether water stored in the ice tray is in an ice state; And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 cover for preventing water overflow of the ice tray and shielding the ic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궤도 최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et angle is,
And the ice tray is set at a position higher than a lowermost end of the rotational track of the ice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의 이빙은, 비틀림 작용 또는 이빙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Refrigeration in the ice tray,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he torsion action or the heating of the ice heater.
아이스 트레이가 정위치에 배치되며,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는 단계;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정회전시켜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로 이빙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역회전시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단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An ice tray is disposed at a proper position and water supply is made;
Generating ice in the ice tray;
Detecting whether the ice reservoir is full;
If the ice reservoir is full, rotating the ice tray forward so that ice is iced into the ice reservoir; And
And rotating the ice tray in a reverse direction so that a lower end of the ice tray is maintain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단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ice tray is maintain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detecting whether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is releas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급수가 가능한 초기 위치로 복원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when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unit is released, the ice tray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storing the ice tray to an initial position where water can be supplied.
아이스 트레이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이 해제되었으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하는 단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로 이빙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Placing the ice tray in an initial position;
Detecting whether the ice reservoir is full;
If the ice reservoir is full, rotating the ice tray by a predetermined angle;
Detecting whether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is released;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when the ice storage of the ice storage unit is released;
Generating ice in the ice tray; And
And freezing ice of the ice tray to the ice storage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 궤도 최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et angle is,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tray is set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st end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ce tr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빙실 도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여부 판단에는,
상기 제빙실 도어의 개방에 따른 외부만빙 여부 판단; 및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을 유지함에 따른 내부만빙 여부 판단이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 ice making room door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ice storage unit is further included.
In determining whether the ice storage unit is full of ic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external ice sheet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ice-making chamber do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inside of the ice storage unit ice is kept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의 만빙해제 여부 판단은,
상기 외부만빙 및 내부만빙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freeze the ice storage unit,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to determine whether the outer ice and the inner ice are relea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만빙의 해제여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판단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얼음이 이빙된 후, 상기 시간 주기는 초기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lease of the internal ice is determine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after the ice of the ice tray is iced, the time period is initialized.
KR1020100017533A 2010-02-26 2010-02-26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Active KR101635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533A KR101635222B1 (en) 2010-02-26 2010-02-26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533A KR101635222B1 (en) 2010-02-26 2010-02-26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091A true KR20110098091A (en) 2011-09-01
KR101635222B1 KR101635222B1 (en) 2016-06-30

Family

ID=4495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533A Active KR101635222B1 (en) 2010-02-26 2010-02-26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22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328A (en) * 2018-10-02 2021-05-07 Lg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697678A (en) * 2022-02-28 2023-09-0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US12228323B2 (en) 2019-06-19 2025-02-1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9067B1 (en) * 2019-07-06 202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553B2 (en) * 1994-02-15 1998-02-10 三星電子株式会社 Ice machine control method
KR100273052B1 (en) * 1997-07-11 2000-12-01 니시무로 타이죠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KR100790031B1 (en) * 2006-08-11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Icing method of heating type ice machine
KR20080019904A (en) * 2006-08-29 200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553B2 (en) * 1994-02-15 1998-02-10 三星電子株式会社 Ice machine control method
KR100273052B1 (en) * 1997-07-11 2000-12-01 니시무로 타이죠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KR100790031B1 (en) * 2006-08-11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Icing method of heating type ice machine
KR20080019904A (en) * 2006-08-29 200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328A (en) * 2018-10-02 2021-05-07 Lg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072133B2 (en) 2018-10-02 2024-08-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2228323B2 (en) 2019-06-19 2025-02-1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CN116697678A (en) * 2022-02-28 2023-09-0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222B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327B1 (en) Refirgerator
US7748231B2 (en) Ice-cube complete filling detec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EP2988079B1 (en) Refrigerator
KR101455392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KR20130028324A (en) Refrigerator
CN102388284B (en)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KR20090115307A (en) Ice detection system for refrigerator ice maker and its detection method
KR102490558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442497A1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US1128053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80448B1 (en)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795886B1 (en) Ice maker
KR20110098091A (en) How to control refrigerators and freezers
US20120125018A1 (en) Ice dispenser system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ice
KR101451658B1 (en)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KR100758325B1 (en) Refrigerator
KR101690126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17855B1 (en) Ice making assembl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42838B1 (en) De-ic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flow of ice-making assembly
KR101335894B1 (en) Refrigerator
KR101535483B1 (en)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KR102858612B1 (en) Initi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ce maker
KR101500732B1 (en) Method for estimating completion of ice-making for an ice making assembly of refrigerator
KR100710222B1 (en) Refrigerator ic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