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0302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029A
KR20110103029A KR1020100022132A KR20100022132A KR20110103029A KR 20110103029 A KR20110103029 A KR 20110103029A KR 1020100022132 A KR1020100022132 A KR 1020100022132A KR 20100022132 A KR20100022132 A KR 20100022132A KR 20110103029 A KR20110103029 A KR 20110103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initial transmission
retransmission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029A/ko
Publication of KR2011010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02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11Semi-persistent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은, 가용 자원을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된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 각각에서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을 구분하여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동일한 자원에 초기전송과 재전송이 발생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정보 전송 횟수를 감소시켜 시스템 전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HARQ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패킷이 지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비동기 셀룰러 이동통신 표준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음성 패킷(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음성 패킷 서비스를 무선 패킷 접속시스템 또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성 패킷 서비스에서의 지연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음성 패킷 서비스에서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 제공된 동적 스케줄링(DS: Dynamic Scheduling)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자원할당 정보를 단말로 알리기 위한 제어정보가 증가하여 음성 패킷의 지연에 대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원할당을 알리는 제어정보의 전송이 증가하면,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정보의 전송 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 주기마다 해당 주기 동안 지속되는 자원을 할당하는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Semi-Persistent Scheduling)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은 기지국이 상향 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정보(UL grant)를 단말로 전송하면, 이후 기지국과 단말이 다음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기 전까지 이전에 전송한 제어정보에 따라 음성 패킷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이전의 제어정보에 의해 할당된 자원은 SPS 활성(activation) 혹은 SPS 비활성(deactivation, 혹은 SPS 해제(release))이 발생 되기 전까지 유효하다. 상기와 같이 단말에 할당된 자원은 음성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음성구간 상태(talkspurt period state)에서 묵음구간 상태(silent period state)로 천이되는 상황 등과 같이 상태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변경된다.
한편, 상기 반지속적인 스케줄링(SPS)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의 블라인드(blind)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의 초기전송을 매 정해진 주기에서만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상기 반지속적 스케줄링 시, 단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에서 전송받은 주기마다 초기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코덱인 AMR을 이용하는 경우, 단말은 20ms마다 초기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단말에 대한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자원이 소정 주기 동안 고정적으로 할당되므로,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ARQ 전송 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반지속적인 스케줄링을 이용한 HARQ 전송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K+1번째 단말은 UL SPS grant를 한번 수신(100)하면, 이후에 UL SPS grant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주기(SPS Periodicity, 110) 마다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초기전송을 수행(120)한다. 또한, K 번째 단말 역시 UL SPS grant를 한번 수신(102)하면, 이후에 상기 UL SPS grant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주기 마다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초기전송을 수행(130)한다. 이때, 상기 K+1 번째 단말과 K번째 단말의 주파수 자원이 중복되는 경우, 상기 K+1 번째 단말의 초기전송 주기와 상기 K번째 단말의 재전송 주기의 반복으로 인해 상기 K+1 번째 단말의 초기전송(120)과 상기 K번째 단말의 재전송(132)이 동일한 자원을 통해 수행되어 패킷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K+1 번째 단말의 초기전송과 K 번째 단말의 재전송이 동일한 자원으로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 기지국이 K번째 단말을 위해 적응적 HARQ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정보(150)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K 번째 단말이 상기 K+1번째 단말의 초기전송(154)과는 다른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재전송을 수행(152)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단말 간의 자원 할당의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서 적응적 할당 자원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정보의 전송으로 인해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단말 간의 자원 할당 중복이 예상되는 시점에 재전송을 수행할 단말의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기법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단말에 추가적인 버퍼가 필요하게 되고, 패킷의 지연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패킷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지속적인 스케줄링 방식을 통해 단말 간의 자원 중복을 회피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을 구분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은, 가용 자원을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된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 각각에서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할당된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초기전송에 해당하는지 혹은 재전송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인지 여부에 따라 초기전송 자원 혹은 재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장치는, 가용 자원을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구분된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 각각에서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자원 할당 처리부와,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할당된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제어 정보 확인부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초기전송에 해당하는지 혹은 재전송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인지 여부에 따라 초기전송 자원 혹은 재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전송블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패킷 서비스를 위하여 반지속적인 스케줄링 방식을 통해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을 구분하여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정보 전송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시스템 전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HARQ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패킷이 지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단말의 버퍼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반지속적인 스케줄링을 이용한 HARQ 전송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및 HARQ 전송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지속적인 스케줄링 방식을 통해 단말 간의 자원 중복을 회피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및 HARQ 전송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가용 자원을 주파수 영역에 따라 초기전송 영역(203)과 재전송 영역(201)으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재전송 영역은 초기전송 영역에 비해 좁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의 초기전송 수행에 비해 재전송을 수행할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초기전송의 10%에 해당하는 BLER(BLock Error Rate)를 목표로 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 발생 확률은 초기전송 발생량의 10%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단말로 할당할 수 있는 전체 가용 주파수 자원 중에서 10%의 주파수 자원을 재전송 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단말 K에 대한 자원 할당이 필요할 시, 상기 초기전송 영역(203)과 재전송 영역(201)에서 상기 단말 K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한 후, 결정된 자원들을 포함하는 UL grant를 상기 단말 K로 전송(210)한다.
상기 단말 K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UL grant가 수신(210)되면, 상기 UL grant에 포함된 단말 K의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고, 초기전송 자원을 통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212). 여기서, 상기 단말은 해당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되어 재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초기전송 자원과 다른 주파수를 갖는 재전송 자원을 통해 해당 패킷 데이터를 재전송한다(216). 이때,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K의 재전송(216)은 단말 K+1의 초기전송(220)과 동일한 시점에 발생되지만,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복에 의한 패킷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301단계에서 가용 자원을 주파수 영역에 따라 초기전송 영역(203)과 재전송 영역(201)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재전송 영역은 초기전송 영역에 비해 좁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재전송 발생 확률은 시스템이 목표로 하는 초기전송의 BLER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은 전체 가용 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초기전송의 BLER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을 재전송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303단계에서 특정 단말의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은 주기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고, 비주기적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음성구간 상태(talkspurt period state)에서 묵음구간 상태(silent period state)로 천이되는 시점에 상기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이 필요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말의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이 필요할 시, 상기 기지국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초기전송 자원을 상기 초기전송 영역(203)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결정하고, 상기 재전송 자원을 상기 재전송 영역(201)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결정한다. 또한, 여기서 초기전송 자원은 해당 단말이 소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당되며, 상기 재전송 자원은 해당 단말이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하도록 할당된다. 즉, 상기 재전송은 초기전송의 BLER 확률에 따라 발생되므로, 그 발생 횟수가 적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재전송 자원을 복수의 단말에 할당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동일한 재전송 자원을 할당받은 복수의 단말에서 재전송이 동시에 발생하여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단말이 동시에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한 별도의 규칙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축에서 서로 다른 채널 특성을 가지도록 주파수 축을 기준으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초기전송 영역을 할당받은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상기 동일한 재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307단계에서 상기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을 나타내는 UL grant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로 상기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 각각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해서는 홉핑(Hopping) 규칙을 통해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홉핑 규칙은 상기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상기 재전송 자원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UL grant는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만을 포함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 미리 약속한 홉핑 규칙을 저장하고 있어, 상기 홉핑 규칙에 따라 상기 초기전송 자원으로부터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이 반복적으로 할당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401단계에서 자원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UL grant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주기적으로 수신될 수도 있고, 비주기적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주기에 상기 UL grant가 수신되거나 음성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음성구간 상태에서 묵음구간 상태로 천이되는 시점에 상기 UL grant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UL grant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UL grant로부터 상기 단말에 할당된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5단계에서 상기 UL grant로부터 획득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해당 패킷을 전송한 후, 상기 401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상기 단말로 할당된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 각각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해서는 홉핑 규칙을 통해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홉핑 규칙은 상기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상기 재전송 자원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UL grant는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만을 포함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 미리 약속한 홉핑 규칙을 저장하고 있어, 상기 홉핑 규칙에 따라 상기 초기전송 자원으로부터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이 반복적으로 할당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UL grant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이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할 패킷을 처음 전송하는 것인지 이전에 전송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이 초기전송일 시, 409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수신된 UL grant로부터 획득한 초기전송 자원을 통해 해당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현재 전송이 재전송일 시,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미리 수신된 UL grant로부터 획득한 재전송 자원을 통해 해당 패킷을 재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4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재전송영역 설정부(500),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의 판별부(502), 자원할당 처리부(504), UL grant 생성부(506), 데이터 처리부(508) 및 송수신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전송영역 설정부(500)는 상기 기지국의 가용 자원을 주파수 영역에 따라 초기전송 영역(203)과 재전송 영역(201)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재전송 영역은 초기전송 영역에 비해 좁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재전송 발생 확률은 시스템이 목표로 하는 초기전송의 BLER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은 전체 가용 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초기전송의 BLER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을 재전송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특정 단말의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전송영역 설정부(500)에서 결정된 초기전송 영역과 재전송 영역에 따라 해당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을 상기 초기전송 영역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결정하고, 상기 재전송 자원을 상기 재전송 영역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초기전송 자원을 해당 단말이 소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당하며, 상기 재전송 자원을 해당 단말이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하도록 할당된다. 즉, 상기 재전송은 초기전송의 BLER 확률에 따라 발생되므로, 그 발생 횟수가 적기 때문에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동일한 재전송 자원을 복수의 단말에 할당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동일한 재전송 자원을 할당받은 복수의 단말에서 재전송이 동시에 발생하여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상기 복수의 단말이 동시에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한 별도의 규칙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축에서 서로 다른 채널 특성을 가지도록 주파수 축을 기준으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초기전송 영역을 할당받은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상기 동일한 재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해당 단말로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단말로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이 필요할 시, 상기 해당 단말로 할당된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UL grant 생성부(506)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 할당에 대한 제어 정보 전송은 주기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고, 비주기적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HARQ 전송이 초기전송 인지 혹은 재전송인지를 제공받아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 영역에 해당 자원을 할당한다.
상기 UL grant 생성부(506)는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로부터 제공되는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L grant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UL grant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 각각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해서는 홉핑 규칙을 통해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홉핑 규칙은 상기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상기 재전송 자원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UL grant는 상황에 따라 상기 홉핑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UL grant는 기지국과 단말이 홉핑 규칙을 미리 약속한 경우에, 상기 홉핑 규칙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UL grant 생성부(506)는 상기 UL grant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이패스시킨다.
상기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의 판별부(502)는 해당 단말에 대한 HARQ 전송이 초기전송인지 혹은 재전송인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504)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508)는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부호 및 변조를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부(510)로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부(5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한다. 상기 송신부(5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 교환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600), 데이터 처리부(602), UL grant 판독부(604), 전송 블록 생성부(6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부(600)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 교환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602)는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변조 및 부호화하여 상기 송수신부(600)로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부(600)로부터의 입력되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해당 블록으로 제공한다.
상기 UL grant 판독부(604)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60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UL grant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UL grant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로 할당된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고, 이를 상기 전송 블록 생성부(606)에 제공한다.
상기 전송블록 생성부(606)는 상기 UL grant 판독부 (604)로부터 제공되는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에 따라 전송블록을 생성한 후, 생성된 전송블록을 상기 데이터 처리부(602)와 송수신부(600)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전송블록 생성부(606)는 상기 UL grant 판독부(604)로부터 현재 수신 데이터에 UL grant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UL grant로부터 획득한 초기전송 자원 및 재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초기전송에 해당하는지 혹은 재전송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전송블록 생성부(606)는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초기전송에 해당하면 상기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전송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재전송에 해당하면 상기 재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전송블록을 생성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시스템의 가용 자원을 상기 시스템이 목표로 하는 BLER에 따라 초기전송 영역과 재전송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초기전송 영역과 재전송 영역은 다른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재전송영역 설정부 502: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의 판별부
504: 자원할당 처리부 506: UL grant 생성부
508: 데이터 처리부 510: 및 송수신부
600: 송수신부 602: 데이터 처리부
604: UL grant 판독부 606: 전송 블록 생성부

Claims (20)

  1.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가용 자원을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된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 각각에서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자원은 시스템의 목표 블럭 에러 율(BLock Error Rate)에 따라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초기전송 자원 영역에서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초기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할당될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자원은,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홉핑(Hopping) 규칙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자원은, 복수의 단말로 중복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초기전송 자원으로부터 재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홉핑(Hopping)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할당된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초기전송에 해당하는지 혹은 재전송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인지 여부에 따라 초기전송 자원 혹은 재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초기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할당될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자원은, 상기 확인된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홉핑(Hopping) 규칙에 따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초기전송 자원으로부터 재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홉핑(Hopping)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장치에 있어서,
    가용 자원을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구분된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 각각에서 단말로 할당할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자원 할당 처리부와,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시스템의 목표 블럭 에러 율(BLock Error Rate)에 따라 상기 가용 자원을 초기전송 자원 영역과 재전송 자원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 영역에서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초기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재전송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할당될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홉핑(Hopping) 규칙에 따라 상기 재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처리부는, 상기 재전송 자원을 복수의 단말로 중복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초기전송 자원으로부터 재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홉핑(Hopping)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할당된 자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초기전송 자원과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제어 정보 확인부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초기전송에 해당하는지 혹은 재전송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초기전송 혹은 재전송인지 여부에 따라 초기전송 자원 혹은 재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전송블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확인부는,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할당될 초기전송 자원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에 소정 기간 동안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할당될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확인부는, 상기 확인된 초기전송 자원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홉핑(Hopping) 규칙에 따라 상기 재전송 자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초기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재전송 자원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 상기 초기전송 자원으로부터 재전송 자원을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홉핑(Hopping)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22132A 2010-03-12 2010-03-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10103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32A KR20110103029A (ko) 2010-03-12 2010-03-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32A KR20110103029A (ko) 2010-03-12 2010-03-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29A true KR20110103029A (ko) 2011-09-20

Family

ID=4495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132A Withdrawn KR20110103029A (ko) 2010-03-12 2010-03-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30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9164A (zh) * 2013-04-08 2013-08-14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一种链状无线网络的资源调度方法及基站
KR101451418B1 (ko) * 2012-07-17 2014-10-1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블록오류율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418B1 (ko) * 2012-07-17 2014-10-1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블록오류율 관리 방법
CN103249164A (zh) * 2013-04-08 2013-08-14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一种链状无线网络的资源调度方法及基站
CN103249164B (zh) * 2013-04-08 2015-10-28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一种链状无线网络的资源调度方法及基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9330A1 (en) Method for indicating the allocated resources for a harq message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a low-complexity, narrowband terminal
KR1025132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631964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相关设备
US849827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s in a mobile station
EP3570618A1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0440735B2 (en) Uplink hopping pattern for contention-based reliable communication
US8477745B2 (en) Moblie station for transmitting an uplink shared signal and base st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the uplink shared signal
US1170675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2021119703A (ja)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端末と基地局
CN108242970B (zh) 基于资源单位的非许可传输的反馈方法及设备
US12375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on configured grant resources
KR20220074884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 기기
US12375250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EP4189884A1 (en) Communications devices, network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US8675692B2 (en) Method for acquiring processing time of wireless signal
EP343940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030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14208361A (zh) 用于竞争窗口调整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90174496A1 (en) Ul scheduling timing in tdd with 1 ms tti and reduced processing time
WO2020144813A1 (ja) 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4342431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4175708A (zh) 终端装置、基站装置和无线通信系统
KR2011010750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을 운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802747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190224A1 (en) Communication controll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gnal generating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ignal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