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1940A -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940A
KR20110121940A KR1020100041464A KR20100041464A KR20110121940A KR 20110121940 A KR20110121940 A KR 20110121940A KR 1020100041464 A KR1020100041464 A KR 1020100041464A KR 20100041464 A KR20100041464 A KR 20100041464A KR 20110121940 A KR20110121940 A KR 20110121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at
passenger
disposed
iden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유태
황재호
황영수
이성훈
문진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940A/en
Publication of KR2011012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940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에 전도체가 놓이더라도 승객식별을 정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싱감도가 향상되고, 유아와 성인의 식별이 명확해지며, 핸드폰, 수분 및 시트히터 등과 같은 외부요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승객식별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는,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에 배치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의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전극과,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에 의한 상기 전기장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계와, 상기 시트에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Even if the conductors are placed on the seat, passengers can not only accurately identify passengers, but also improve sensing sensitivity, identify infants and adults, and minimize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such as mobile phones, moisture, and seat heaters. An identification device is provided.
To this end,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at provided so that the passenger can si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forms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ammeter for measuring a current valu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by a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and the shee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And a switch operated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Description

승객식별장치{An apparatus for differentialing passengers}An apparatus for differential passengers

본 발명은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에 앉은 승객을 식별하기 위해 서로 간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가 연결된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form an electric field with each other to identify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It relates to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to which a switch operated switch is connected.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각종 안전장치가 구비되는 바, 그 중에 하나로 자동차 충돌시에 자동차 구조물과 승객의 사이에서 부풀어올라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을 들 수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safety devices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 and one of them includes an airbag that inflate between the vehicle structure and the passenger during a car collision to protect the passenger.

이러한 에어백은 자동차 충돌 사고시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게 되는데, 성인의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유아, 어린이 또는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성인의 경우에는 팽창된 에어백이 오히려 이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These airbags are deployed in the event of a car crash to protect passengers. For adults, there is no problem, but for infants, children or adults with poor physical conditions, inflated airbags may pose a risk to their lives. There is a possibility.

따라서, 각국에서는 에어백 전개에 따른 실제적인 조수석 승객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는 바, 이러한 규정을 만족하고자 조수석 시트에 승객식별장치를 마련하여 시트에 착석한 승객을 구분하여서, 에어백의 전개여부 및 전개조건을 달리하고 있다.
Therefore, in each country, provisions are made for the actual passenger safe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airbags.In order to satisfy these regulations,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passenger seats to classify passengers seated on the seats. The status and development conditions are different.

본 발명은 시트에 앉은 승객을 식별하기 위해 서로 간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가 연결되어서, 상기 시트에 전도체가 놓이더라도 승객식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승객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form an electric field between each other to identify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the switch which is switched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is connec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identifying a passenger even when a conductor is placed.

또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모두 상기 시트에 배치시켜서 센싱감도가 향상되고, 상기 시트에 절연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유아와 성인의 식별이 명확해질뿐만 아니라, 핸드폰, 수분, 시트히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승객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by placing bo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n the sheet, the sensing sensitivity is improve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insulator on the sheet, not only the identification of the infant and adult, but also the mobile phone, moisture, she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a heat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는,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에 배치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의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전극과,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에 의한 상기 전기장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계와, 상기 시트에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at provided so that the passenger can si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or forming an electric field in the electric field, an ammeter for measuring a current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by a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to the sheet or It is provided to be released, the switch is switched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본 발명에 따른 승객식별장치는, 시트에 일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만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에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에 상기 승객보다 가벼운 전도체가 놓여지더라도 이를 성인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that is operated by a passenger load on the seat so that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nly when a load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seat, Even if a lighter conductor than the passenger is placed on the seat, it can be prevented from misrecognizing it as an adult.

또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모두 시트에 배치하여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크게할 수 있고 전기장이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감도가 향상되고 상기 시트에 절연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since bo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hee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increased, and the electric field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sensing sensitivity Is improv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insulator on the sheet.

또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모두 시트에 배치되는 경우, 전기장이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 시트로 국한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서 발생된 전기장이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와 간섭되어 산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센싱감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bo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heet,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is limited to the sheet,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fferent from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interference and scattering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sensing sensitivity is improved.

또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모두 시트에 배치되는 경우, 유아에 대한 정전용량값과 성인에 대한 정전용량값의 차이가 커져서, 유아와 성인의 구분이 명확해진다.In addition, when bo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hee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pacitance value for the infant and the capacitance value for the adult becomes large, so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fant and the adult becomes clear.

또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모두 시트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시트에 핸드폰이 놓여져 있거나, 상기 시트에 물이 적셔져 있거나, 상기 시트에 상기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시트히터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이러한 핸드폰, 물, 시트히터의 영향으로 승객식별이 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bo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heet, even if a mobile phone is placed on the sheet, water is moistened on the sheet, or a sheet heater for heating the sheet is disposed on the sheet.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uch a cell phone, water, and seat heater can be minimized to prevent passenger identification.

또한, 승객감지센서의 상판 및 하판에 모두 두판의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에어출입구가 형성되되, 상판의 에어출입구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재가 배치되어서, 상기 승객감지센서를 뒤집어서 좌/우측 시트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passenger sensor sensor is formed in the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ion space of the two plates, the shield member for shielding the air outlet of the upper plate is disposed, the passenger sensor is inverted to the left / right seat Each can be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의 승객식별에 대한 정전용량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의 외부요소에 대한 정전용량 그래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승객감지센서의 분해도,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승객감지센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B-B선에 따른 승객감지센서의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FIG. 1;
4 is a capacitance graph of passenger identification of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apacitance graph of the external elements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ssenger sensor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ssenger sensor along the line AA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ssenger sensor along the line BB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100)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shown in FIG. 1, FIG. It is a block diagra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승객(1)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10)에 배치된다. 승객식별장치(100)는 시트(10)에 앉은 승객(1)을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50)와, 승객감지센서(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시트(10)가 공석인지, 시트(10)에 앉은 승객(1)이 1세 이하의 유아, 어린이 또는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5% 여성인지를 식별하는 제어장치(40)를 포함한다.1 to 3,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seat 10 provided to allow a passenger 1 to sit.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is a passenger detection sensor 50 for detecting a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and whether the seat 10 is vacancies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50, seat ( 10) includes a control device 40 for identifying whether the passenger 1 sitting in the seat 1 is an infant, child, or 5% female with poor physical condition.

시트(10)는 승객(1)의 엉덩이 부분이 놓여지는 착석부(12)와 승객(1)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4)를 포함한다.The seat 10 includes a seating portion 12 on which the hip portion of the passenger 1 is placed and a backrest portion 14 supporting the back of the passenger 1.

승객식별장치(100)는 시트(10)의 착석부(12)에 배치될 수도 있고, 등받이부(14)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승객식별장치(100)는 시트(10)의 착석부(12)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고, 시트(10)는 착석부(12)를 의미한다.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12 of the seat 10 or may be disposed in the backrest portion 14. Hereinafter,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is limited to the seating unit 12 of the seat 10, and the seat 10 refers to the seating unit 12.

승객감지센서(50)는 시트(10)에 배치된 제1 전극(20)과, 시트(10)에 제1 전극(20)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전극(30)과, 시트(10)에 배치되어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해제되는 스위치(60)를 포함한다.The passenger sensor 5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0 disposed on the seat 10, a second electrode 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20 on the seat 10, and a seat 10. And a switch 60 disposed a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respectively.

제1 전극(20), 제2 전극(30) 및 스위치(60)는 후술할 제1 필름(72) 및 제2 필름(74)으로 이루어진 필름(70) 내에 봉입되고, 제어장치(40)는 스위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모듈화된 후, 시트(10) 내에 설치된다.The first electrode 20,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switch 60 are enclosed in a film 70 composed of the first film 72 and the second film 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 device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60,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dularized, and then installed in the seat 10.

여기서, 제1 전극(20), 제2 전극(30) 및 스위치(60)가 함께 필름(70) 내에 봉입된 것으로 도시되어져 있으나, 이것은 다만 일 실시예로 예시한 것일 뿐 제1 전극(20), 제2 전극(30) 및 스위치(60)가 각각의 필름(70) 내에 봉입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전극(20), 제2 전극(30) 및 스위치(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필름(70) 내에 봉입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1 전극(20), 제2 전극(30) 및 스위치(60)가 모두 필름(70) 내에 봉입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Here,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20,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switch 60 are shown to be encapsulated together in the film 70, this is only illustrated as an example and the first electrode 20.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switch 60 may be encapsulated in each film 7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20,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switch 60 may be a film ( It is also possible to encapsulate the film 70,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electrode 20,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switch 60 are not all encapsulated in the film 70.

제1 전극(20)은 시트(10)에 앉은 승객(1)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60)가 온(ON)되면 제어장치(40)로부터 교류전원을 인가받는다. 또한, 제2 전극(30)은 차체에 접지된다. 물론, 제1 전극(20)이 차체에 접지되고, 제2 전극(30)이 제어장치(40)로부터 교류전원을 인가받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제1 전극(20)이 제어장치(40)로부터 교류전원을 인가받고, 제2 전극(30)이 차체에 접지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When the switch 60 is turned on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the first electrode 20 receives AC power from the control device 40.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30 is grounded to the vehicle body. Of course, the first electrode 20 may be ground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30 may be disposed to receive AC power from the control device 40. Hereinafter, the first electrode 20 receives AC power from the control device 4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grounded to the vehicle body.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이 모두 시트(1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차체에 접지되는 제2 전극(30)은 시트(10)가 아닌 차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스위치(60)도 시트(10)에 배치되는 제1 전극(2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2 전극(30)에는 스위치(60)가 연결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 중 어느 하나만 시트(10)에 배치되면 가능하고, 스위치(60)는 시트(10)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될 수 있도록 시트(10)에 배치되어서,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면 가능하다. 이하,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이 모두 시트(10)에 배치되고, 스위치(60)도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트(10)에 배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on the seat 10 in the above, the second electrode 30 grounded to the vehicle body is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instead of the seat 10. It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switch 60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only to the first electrode 20 disposed on the sheet 10, and the switch 6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30. That is, it is possible if only one of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disposed on the seat 10, the switch 60 is the seat so that the switch can be operated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10 It is possible if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10 and connected to at least any one of the 1st electrode 20 and the 2nd electrode 30. FIG. Hereinafter, both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disposed on the sheet 10, and the switch 6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respectively. It will be described by limiting the arrangement to (10).

시트(10)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60)가 온되어 제1 전극(20)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은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교대로 동작되면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When the switch 60 is turned on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10 and AC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positive (+) electrodes. While alternately operating with the negative (-) electrod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일반적으로, 전기장의 세기는 쿨롱의법칙(Coulomb's law)에 의해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을 서로 가깝게 배치할수록 전기장의 세기가 커지게 되어서 승객(1)을 감지하는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general,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ccording to Coulomb's law, and thus,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 Closer to each other,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can be improved sensitivity to detect the passenger (1).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이 모두 시트(10)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서 센싱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disposed on the sheet 10,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first electrode 20 are formed. Sensitivity may be improve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30 is close.

또한, 전기장은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일부의 전기장만이 승객(1) 감지에 관여하게 되므로, 센싱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전기장이 사방으로 퍼지지 않도록 시트(10)에 절연체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이 모두 시트(10)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절연체를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field is spread in all direction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ncreases, so that only a part of the electric field is involved in the detection of the passenger 1, thus the sensing sensitivity may be reduced. 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far, the insulator is provided on the sheet 10 so that the electric field does not spread in all directions,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100, since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both disposed close to the sheet 10, such an insulator can be omitted.

또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이 시트(10)에 국한되기 때문에,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에서 발생된 전기장이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와 간섭되어 산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센싱감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limited to the sheet 10,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at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an electronic device. Scattering sensitivity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scattering due to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은 서로 가깝게 배치되기 위해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10)내에서 시트(10)의 상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preferably arranged on the same plane in order to b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sheet 1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10.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40)는 제1 전극(20)으로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교류전원계(42)와, 시트(10)에 앉은 승객(1)에 의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변화에 따른 전류값(I)을 측정하는 전류계(44)와,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에 기초하여 시트(10)에 앉은 승객(1)을 식별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device 40 includes an AC power supply 42 for applying AC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first electrode 20 by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10 based on the ammeter 44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I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change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1) and a control section 46 for identifying.

상기 전류값(I)은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대상의 유전율(Permittivity)에 따라 상기 전류값(I)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The current value I depends on the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That is, the current value I has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permittivity of the obje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통상적으로, 공기의 유전율은 약 1이고, 물의 유전율은 80, 습기(기체)의 유전율은 1, 얼음의 유전율은 100, 플라스틱류의 유전율은 2~3으로서, 각각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래의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대상의 유전율에 따라,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은 달라진다.Typically, the dielectric constant of air is about 1, th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is 80, the dielectric constant of moisture (gas) is 1, the dielectric constant of ice is 100, and the dielectric constant of plastics is 2 to 3, each having a different value. Therefore,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electrostatic for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depends o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obje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The dose C is different.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정전용량, ε:유전율, A: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의 면적의 합, d: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거리이다.In Equation 1, C: capacitance, ε: dielectric constant, A: sum of the areas of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d: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 30) distance between.

제어부(46)는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정전용량(C)을 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6 may obtain the capacitance C through Equation 2 below using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I: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 C:정전용량, V:교류전원계(42)에서 인가되는 전압이다. 즉,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은 교류전원계(42)에서 인가되는 전압(V)을 시간의 함수로 미분한 값에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곱한 값과 같다.In Equation 2, I: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ammeter 44, C: capacitance, V: voltage applied by the AC power supply 42. That is,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is the value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voltage V a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42 as a function of time, and thus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t is equal to the product of the capacitance (C) in between.

제어부(46)는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을 이용하여 계산된 정전용량(C)을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과 비교한다.The controller 46 compares the capacitance C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with the capacitance preset in the controller 46.

상기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은 실험에 의한 값이고, 그 값들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The capacitance set in advance in the controller 46 is an experimental value, and the values are shown in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의 승객식별에 대한 정전용량 그래프이다.4 is a graph of capacitance for passenger identification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은 승객(1)의 유무 및 승객(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has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ssenger 1 and the type of the passenger 1. .

시트(10)가 공석일 경우에는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0 페타패럿(Pf;Peta farad)으로 하고, 1세 이하의 유아가 앉은 유아보호장치(CRS;Child Restraint System)를 시트(10)에 장착하였을 경우, 시트(10)에 어린이가 앉았을 경우, 시트(10)에 신체조건이 열악한 5% 여성이 방석을 깔고 앉았을 경우, 시트(10)에 상기 5% 여성이 앉았을 경우, 각각의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100분위 값으로 환산하였다.In the case where the seat 10 is a vacancy,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0 peta farad (Pf), and an infant under 1 year old is sitting. When a child restraint system (CRS) is mounted on the seat 10, when a child sits on the seat 10, when 5% of women with poor physical conditions sit on the seat 10, the seat ( When the 5% female sat in 10), the capacitance C between each of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was converted into a quantile value.

자세하게 살펴보면, 1세 이하의 유아가 앉은 유아보호장치를 시트(10)에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은 5 이하의 값을 가졌고, 시트(10)에 어린이가 앉았을 경우에는 31~42의 값을 가졌으며, 시트(10)에 5% 여성이 방석을 깔고 앉았을 경우에는 37~48의 값을 가졌고, 시트(10)에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에는 75~100의 값을 가졌다.In detail, when the infant protection device in which the infant 1 year old or young is seated is mounted on the sheet 10,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has a value of 5 or less. , When the child is seated on the seat 10 had a value of 31 to 42, 5% female seated on the seat 10 had a value of 37 to 48, 5% on the seat 10 When women sat down, they had a value of 75-100.

상기 시트(10)에 앉은 승객(1)에 따른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의 값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성인의 정전용량과 유아의 정전용량의 차이(A)가 32이다. 즉, 성인인 5% 여성의 최소값인 37과 유아의 최대값인 5의 차이값이 32이다. 따라서, 유아와 성인을 식별하기 위한 정전용량(C)의 값의 차이(A)가 비교적 크게 구분되기 때문에, 유아와 성인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ccording to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100 has a difference A between the adult capacitance and the infant capacitance.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37, the minimum value of 5% of adults, and 5, the maximum value of infants, are 32. Therefore, since the difference (A) of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C) for identifying the infant and adult is distinguished relatively large, the infant and the adult can be clearly identified.

제어부(46)는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을 이용하여 계산된 정전용량(C)을 도 4에 도시된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과 비교하여, 만족하는 값에 따라 시트(10)가 공석인지, 시트(10)에 앉은 승객(1)이 1세 이하의 유아인지, 어린이인지, 5% 여성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6 compares the capacitance C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with the capacitance set in the controller 46 shown in FI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the seat 10 is vacancies, whether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is an infant 1 year old or younger, a child, or 5% female.

따라서, 제어부(46)는 상기와 같이 시트(10)가 공석, 시트(10)에 앉은 승객(1)이 1세 이하의 유아, 어린이, 5% 여성으로 식별된 경우에 에어백을 전개되지 않도록 하거나, 전개된다 하더라도 저압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46 may prevent the airbag from being deployed when the seat 10 is vacant and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is identified as an infant, child, or 5% female of 1 year or less as described above. Even if it is developed, it can be developed at low pressure.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의 외부요소에 대한 정전용량 그래프이다.5 is a capacitance graph of an external element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5는 시트(10)가 공석일 경우에는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0 페타패럿(Pf;Peta farad)으로 하고, 시트(10)에 핸드폰이 놓여져 있을 경우나, 시트(10)에 물이 적셔져 있을 경우나, 시트(10)를 가열하기 위한 시트히터가 시트(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5% 여성이 앉았을 경우나, 상기 시트히터가 시트(1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에, 각각의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실험하여 100분위 값으로 환산한 값이다.5 shows that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0 peta farad (Pf) when the sheet 10 is vacant, the sheet 10 ), The mobile phone is placed in the seat 10, the seat 10 is moistened with water, or the seat heater for heating the seat 10 is placed inside the seat 10, or 5% female is sitting. When the 5% female is seated with the seat heater disposed on the seat 10,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tested to determine the 100th percentile value. It is the value converted into.

자세하게 살펴보면, 시트(10)에 핸드폰이 놓여져 있을 경우에는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은 1 이하의 값을 가졌고, 시트(10)에 물이 적셔져 있을 경우에는 37의 근사값을 가졌으며, 상기 시트히터가 시트(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에는 37~48의 값을 가졌고, 상기 시트히터가 시트(1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에는 75~100의 값을 가졌다.In detail, when the mobile phone is placed on the sheet 10,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has a value of 1 or less, and the sheet 10 is moistened with water. It had an approximate value of 37 when it was held, and had a value of 37-48 when 5% female sat while the seat heater was placed inside the seat 10, and the seat heater was placed on the seat 10. When the 5% women sat down, they had a value of 75 ~ 100.

그런데, 도 4와 도 5의 그래프를 비교하여 보면, 도 5에 도시된 정전용량값들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되는 정전용량(C)값들에 포함되는 값들이다. 따라서, 시트(10)에 핸드폰이 놓여져 있거나, 시트(10)에 물이 적셔져 있거나, 시트(10)에 시트히터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되는 정전용량값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핸드폰, 수분, 시트히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트히터가 시트(10)에 배치된 상태에서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들은 도 4에 도시된 5% 여성의 값들과 거의 같은 값을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100)는 특히 시트히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히터가 제1 전극(20) 제2 전극(3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쉴드(Shield; 미도시)를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과 상기 시트히터 사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However, when comparing the graphs of FIG. 4 and FIG. 5, the capacitance values shown in FIG. 5 are values included in the capacitance C values preset in the controller 46 shown in FIG. 4. Therefore, even if a mobile phone is placed on the sheet 10, water is wetted on the sheet 10, or a sheet heater is placed on the sheet 10, the capacitances preset in the controller 46 are affected. Not crazy That is,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mobile phone, moisture, seat heaters. In particular, the capacitance values when the 5% female was seated with the seat heater disposed on the seat 10 had almost the same values as those of the 5% female shown in FIG. 4. Therefore, since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seat heater,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hield (not show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sheet heater to prevent the impact on the sheet heater.

한편, 승객감지센서(50)에 스위치(60)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이 제어장치(4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기장을 형성한다면, 시트(10)에 전도체가 놓여졌을 경우에 이를 성인으로 오인식할 우려가 있다. 즉, 공기보다 유전율(ε)이 좋은 전도체가 시트(10)에 놓여지게 되면, 시트(10)에 승객(1)이 앉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성인과 비슷한 정전용량(C) 값이 측정됨으로서 성인으로 오인식 할 우려가 있다. 예를들어, 시트(10)에 알루미늄 포장지에 포장된 김밥이 놓여졌을 경우에, 시트(10)에 성인이 앉아 있는것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witch 60 is not provided in the passenger sensor 50,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to form an electric field, If a conductor is placed in (10), it may be mistaken as an adult. That is, when a conductor having a better permittivity (ε) than air is placed on the sheet 10, the capacitance (C) value similar to that of the adult is measured even though the passenger (1) is not seated on the seat (10). There is a risk of misunderstanding. For example, when gimbap packaged in aluminum wrapping paper was placed on the sheet 10, it was found that the adult 10 was misidentified as sitting on the sheet 10.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10)에 일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만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시트(10)에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시트(10)에 전도체가 놓여지더라도 이를 성인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switch by the passenger load on the seat 10 such that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only when a load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seat 10. Since the switch 60 is provided, even if the conductor is placed on the sheet 1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sidentification of this as an adult.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스위치(60)와, 스위치(60)에 관련된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 그리고 필름(70)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switch 60, the first electrode 20, the second electrode 30, and the film 70 related to the switch 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승객감지센서(50)의 분해도,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승객감지센서(5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 전극(20) 및 제2 전극(3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1 전극(20)만을 도시하였고 제2 전극(30)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ssenger sensor 50 shown in Figure 2,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ssenger sensor 50 along the line A-A of FIG. Here, since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made of the same structure, only the first electrode 20 is shown and th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the second electrode 30 will be omitt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극(20)은 실버재질로 이루어져서 제1 필름(72)에 프린트되어 제1 판(80)을 이루고, 제1 전극(20)과 마주보도록 실버재질의 전도부재(22)가 제2 필름(74)에 프린트되어서 제2 판(90)을 이루며, 제1 판(80)과 제2 판(90)과의 사이에 스페이서(85)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판(80)은 시트(10)의 상측을 향해 배치된 것을 의미하고, 제2 판(90)은 제1 판(80)의 하측에서 시트(10)의 하측을 향해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6 and 7, the first electrode 20 is made of a silver material, printed on the first film 72 to form a first plate 80, and made of silver material so as to face the first electrode 20. The conductive member 22 is printed on the second film 74 to form the second plate 90, and the spacer 8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80 and the second plate 90. Herein, the first plate 80 means that the sheet 10 is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plate 9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80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heet 10. it means.

제1 필름(72) 및 제2 필름(74)은 시트(10)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인 피이티(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irst film 72 and the second film 74 ar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hich is a material that can be bent under a load of a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10.

전도부재(22)는 제어장치(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ducting member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스페이서(85)는 제1 전극(20)과 전도부재(2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전극(20) 및 전도부재(22)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홀(86)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전극(20)과 전도부재(22)와의 사이에 이격공간(86)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격공간(86)은 스페이서(85)의 홀(86)이 형성하는 공간이므로 홀(86)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The spacer 8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and a hole 86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face each other. A space 8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Here, since the space 86 is a space formed by the holes 86 of the spacer 8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holes 86 are given.

따라서, 시트(10)에 승객(1)이 앉았을 경우에 승객(1)의 하중에 의해 제1 전극(20) 및 전도부재(22)는 이격공간(86)에서 서로 접촉되고, 이로 인해 제1 전극(20)은 제어장치(40)로부터 교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시트(10)가 공석이거나 시트(10)에 가벼운 물체가 놓여져 있을 경우에는 제1 전극(20) 및 전도부재(22)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전극(20)에는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assenger 1 is seated on the seat 10,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ng member 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eparation space 86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1, thereby causing the first The electrode 20 can receive the AC power from the control device 40. Of course, when the seat 10 is vacant or a light object is placed on the seat 10, since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do not contact each other, AC power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 It is natural not to.

이와 같이, 제1 전극(20)과 전도부재(22)와의 사이에 이격공간(86)을 형성하는 스페이서(85)와 전도부재(22)는, 시트(10)에 앉은 승객(1)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하는 스위치(60) 기능을 수행하여서, 제1 전극(20)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way, the spacer 85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forming the space 86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are the loads of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By performing a switch 60 function to operate by the switch, it performs a function to enable or release the AC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20).

스페이서(85)는 양면접착부재로 이루어져서 제1 판(80)과 제2 판(90)을 접착시킨다. 즉, 스페이서(85)의 일면에는 제1 전극(20)과 제1 필름(72)이 접착되고, 스페이서(85)의 타면에는 전도부재(22)와 제2 필름(74)이 접착된다.The spacer 85 is formed of a double-sided adhesive member to bond the first plate 80 and the second plate 90. That is,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first film 72 ar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spacer 85, and the conductive member 22 and the second film 74 are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pacer 85.

이와 같은 구조의 승객감지센서(50)는 이격공간(86) 내에 채워진 에어가 외부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어야 스위치(6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Passenger detection sensor 50 of such a structure should be able to freely enter and exit the air filled in the separation space 86 to the outside so that the switch 60 can operate smoothly.

즉, 이격공간(86)이 밀폐되어 있다면, 제1 전극(20)과 전도부재(20)가 서로 접촉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에 따라 이격공간(86) 내의 에어가 팽창 또는 수축을 하게 되어서, 승객감지센서(50)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at is, if the separation space 86 is sealed, not only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conductive member 20 are hard to contact each other, but also the air in the separation space 86 expands or contract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of the passenger sensor 50.

따라서, 제2 판(90)에는 이격공간(86)내로 에어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이격공간(86)과 연통되는 에어출입구(76)가 형성된다. 에어출입구(76)는 시트(10)에 물이 엎질려졌을 경우에 수분이 이격공간(86)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10)의 상측을 향해 배치된 제1 판(80)에는 형성되지 아니하고, 시트(10)의 하측을 향해 배치된 제2 판(90)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air inlet 76 is formed in the second plate 90 to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space 86 so that air can enter and exit the separation space 86. The air inlet 76 may include a first plate 80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eat 10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86 when water is spilled on the seat 1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ot formed on the second plate, but is formed only on the second plate 90 dispos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heet 10.

그런데, 각국의 생활습관 및 교통법규 등으로 말미암아, 운전석 및 조수석은 나라별로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운전석이 좌측에 있고 조수석이 우측에 있는 자동차를 사용하는 나라가 있는 반면에, 운전석이 우측에 있고 조수석이 좌측에 있는 자동차를 사용하는 나라도 있다.However, due to the lifestyles and traffic laws of each country,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re located in different countries. In other words, there are countries where the driver's seat is on the left and the passenger seat is on the right, while in some countries the driver's seat is on the right and the passenger seat is on the left.

따라서, 자동차 업체에서는 운전석 및 조수석을 각각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된 2가지로 생산하여서, 각 나라에 따라 운전석 및 조수석의 위치를 좌우 다르게 자동차에 장착하여 수출하게 된다.Therefore, the automaker produces two types of symmetrical structures for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nd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re mounted on the vehicle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country and exported.

이와 같이, 좌우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좌/우측 시트(10)에 승객감지센서(5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승객감지센서(50)도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는바, 승객감지센서(50)를 좌측 시트(10)에 설치되는 것과 우측 시트(10)에 설치되는 것을 따로 생산하게 되면 원가상승 및 작업성이 복잡해질 수 있다.As such, in order to install the passenger sensor 50 in the left / right seat 10 having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passenger sensor 50 should also be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e passenger sensor ( When the 50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left seat 10 and the right seat 10, the cost increase and workability may be complicated.

따라서, 좌측 시트(10)에 설치하기 위한 승객감지센서(50)와 우측 시트(10)에 설치하기 위한 승객감지센서(50)를 따로 생산하지 않고, 좌우 대칭될 수 있도록 뒤집어서 좌/우측 시트(10)에 각각 설치할 수 있는 승객감지센서(52)가 요구된다. 이에 대해 아래의 제2 실시예에서 살펴보기로 한다.Therefore,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50 for installation on the left seat 10 and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50 for installation on the right seat 10 are not produced separately, and are invert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seats ( There is a need for a passenger sensor 52 that can be installed in each of the 10). This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200)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B-B선에 따른 승객감지센서(52)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8 is a view showing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ssenger sensor 52 along the line B-B of FIG.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mbodim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200)의 승객감지센서(52)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8 and 9, it can be seen that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52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공기출입구(76)가 제1 판(80) 및 제2 판(90)에 모두 형성되고, 시트(10)의 상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1 판(80)에 형성된 공기출입구(76)를 차폐하는 차폐부재(78)가 제1 판(80)에 배치된다. 물론, 여기서는 제1 판(80)이 시트(10)의 상측을 향해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10)에 물이 엎질러졌을 경우에 수분이 공기출입구(76)를 통해 승객감지센서(52)의 이격공간(86)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폐부재(78)가 제1 판(80)에 배치되지만, 승객감지센서(52)가 뒤집혀서 설치된다면 제2 판(90)이 시트(10)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 때에 차폐부재(78)는 제2 판(90)의 공기출입구(76)를 차폐할 수 있도록 제2 판(90)에 배치된다.That is, the air inlet 76 is formed in both the first plate 80 and the second plate 90, and the air inlet 76 formed in the first plate 80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heet 10. A shielding member 78 for shielding is disposed on the first plate 80. Of course, since the first plate 80 is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eat 10 here, when water is spilled on the seat 10, the water is separated from the passenger sensor 52 through the air inlet 76. The shield member 78 is disposed on the first plate 80 to prevent penetration into the space 86, but if the passenger sensor 52 is installed upside down, the second plate 90 is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10. In this case, the shield member 78 is disposed on the second plate 90 so as to shield the air inlet 76 of the second plate 90 at this time.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200)의 승객감지센서(52)는, 제1 판(80) 및 제2 판(90)에 이격공간(86)과 연통되는 공기출입구(86)를 모두 형성하되, 상측의 에어출입구(76)를 차폐부재(78)를 통해 차폐하여서 수분이 이격공간(86)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측의 에어출입구(76)는 그대로 개방된 상태로 두어서 이격공간(86) 내로 에어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승객감지센서(52)를 뒤집어서 좌/우측 시트(10)에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52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ion space 86 in the first plate 80 and the second plate 90. While forming all of the 86, the upper air inlet 76 is shielded through the shielding member 78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86, the lower air inlet 76 is opened as it is By allowing the air to enter and exit the space 86 by leaving it in the state, the passenger sensor 52 is to be turned upside down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eats 1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차폐부재(78)는 승객감지센서(52)의 제품정보가 담긴 바코드가 인쇄된 부착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승객감지센서(52)에 반드시 부착되어야 할 바코드가 인쇄된 부착물을 통해 에어출입구(76) 중 하나를 차폐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ielding member 78 is formed of an attachment on which a barcode contain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sensor 52 is printed. As such, since one of the air inlets and outlets 76 may be shielded through an attachment in which a bar code must be attached to the passenger sensor 52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the production cost may be reduc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식별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시트(10)에 승객(1)이 앉으면 승객(1)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60)가 온(ON)되어서, 교류전원계(42)로부터 제1 전극(20)으로 교류전원이 인가된다. 물론, 시트(10)에 승객(1)보다 가벼운 전도체가 놓이게 되면 스위치(60)는 오프(OFF)된 상태로 그대로 있게 되어서 제1 전극(20)으로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식별장치의 스위치(60)는 시트(10)에 앉은 대상의 하중이 일정값이상일 경우에만 온 되도록 하여서 시트(10)에 앉은 대상이 승객(1)일 경우에만 작동되고, 승객(1)보다 가벼운 대상이 시트(10)에 놓이면 오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시트(10)에 승객(1)보다 가벼운 전도체가 놓였을 때, 이를 성인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irst, when the passenger 1 is seated on the seat 10, the switch 60 is turned on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1, so that AC power is applied from the AC power source 42 to the first electrode 20. do. Of course, when a conductor lighter than the passenger 1 is placed on the seat 10, the switch 60 remains off and no AC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 That is, the switch 60 of the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only when the load of the object sitting on the seat 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when the object sitting on the seat 10 is the passenger 1. Only when the object is lighter than the passenger 1 is placed on the seat 10, the lighter than the passenger 1, when the lighter than the passenger (1) is placed on the seat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istaken as an adult Will be.

이와 같이, 시트(10)에 앉은 승객(1)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60)가 온되면,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은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교대로 동작되면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As such, when the switch 60 is turned on by the load of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ile alternately operating as,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이후, 상기 전기장에 승객(1)이 접촉되면서 전기장이 변하고, 이러한 전기장 변화에 따른 전류값(I)의 변화를 전류계(44)에서 측정한다.Thereafter, the electric field changes as the passenger 1 contacts the electric field, and the change of the current value I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change is measured by the ammeter 44.

이후, 제어부(46)는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을 이용하여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계산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46 calculates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using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이후, 제어부(46)는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을 이용하여 계산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을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값과 비교한다. 즉, 제어부(46)에 미리 설정된 시트(10)가 공석일 경우의 정전용량값, 1세 이하의 유아가 앉은 유아보호장치를 시트(10)에 장착한 경우의 정전용량값, 시트(10)에 어린이가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 시트(10)에 5% 여성이 방석을 깔고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 시트(10)에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과 비교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46 transmits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to the controller 46. Compare with the preset capacitance value. That is,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seat 10 set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46 is vacancies,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infant protection device in which an infant 1 year old or younger is seated on the seat 10, the sheet 10 It is compared with the capacitance value when a child sits in the seat,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5% woman sits on the seat 10, and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5% woman sits on the seat 10. FIG.

이후, 제어부(46)는 전류계(44)에서 측정된 전류값(I)을 이용하여 계산된 제1 전극(20)과 제2 전극(30) 사이의 정전용량(C)이, 시트(10)가 공석일 경우의 정전용량값을 만족하면 시트(10)가 공석이라고 식별하고, 1세 이하의 유아가 앉은 유아보호장치를 시트(10)에 장착한 경우의 정전용량값을 만족하면 시트(10)에 1세 이하의 유아가 앉은 것으로 식별하고, 시트(10)에 어린이가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을 만족하면 시트(10)에 어린이가 앉은 것으로 식별하고, 시트(10)에 5% 여성이 방석을 깔고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 또는 시트(10)에 5% 여성이 앉았을 경우의 정전용량값을 만족하면 시트(10)에 5% 여성이 앉은 것으로 식별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46 determines that the capacitance 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30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value I measured by the ammeter 44 is the sheet 10. When the capacity is satisfied, the seat 10 is identified as a vacancy, and when the infant protection device seated by an infant under 1 year old is seated on the seat 10, the seat 10 is satisfied. Infant 1 years old or younger is identified as having a child sitting on the seat 10, and if the capacitance value when the child is seated on the seat 10 is identified, the child is seated on the seat 10, and the seat 10 is 5% female. If the capacitance value when sitting on the cushion or the 5% female sitting on the seat 10 is satisfied, it is identified as the 5% female sitting on the seat 10.

이후, 제어부(46)는 상기와 같이 시트(10)가 공석, 시트(10)에 앉은 승객(1)이 1세 이하의 유아, 어린이, 5% 여성으로 식별된 경우에 에어백을 전개되지 않도록 하거나, 전개된다 하더라도 저압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46 prevents the airbag from being deployed when the seat 10 is vacant and the passenger 1 sitting on the seat 10 is identified as an infant, a child, or a 5% female of 1 year or less. Even if it is developed, it can be developed at low pressu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승객 10: 시트
12: 착석부 14: 등받이부
20: 제1 전극 22: 전도부재
30: 제2 전극 40: 제어장치
42: 교류전원계 44: 전류계
46: 제어부 50,52: 승객감지센서
60: 스위치 70: 필름
72: 제1 필름 74: 제2 필름
76: 공기출입구 78: 차폐부재
80: 제1 판 85: 스페이서
86: 이격공간 90: 제2 판
100,200: 승객식별장치
1: Passenger 10: Seat
12: sitting part 14: backrest part
20: first electrode 22: conductive member
30: second electrode 40: controller
42: AC power meter 44: Ammeter
46: control unit 50, 52: passenger detection sensor
60: switch 70: film
72: first film 74: second film
76: air inlet 78: shielding member
80: first plate 85: spacer
86: separation space 90: second edition
100,200: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Claims (13)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의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전극;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에 의한 상기 전기장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계; 및
상기 시트에,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at provided for the passenger to sit on;
A second electrod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forming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 ammeter for measuring a current valu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by a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And
And a switch provided in the seat, the switch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or released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the switch being operated by a load of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identifying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based on the current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시트 내에서 동일평면상에 배치된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in the sea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을 봉입하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더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encapsulating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필름에 배치된 전도부재와,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부재가 스위치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전도부재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first film,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on the second film so as to face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member so that the conductive member can be switched. And / or a spacer forming a spa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memb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양면접착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페이서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1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판이 접착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타면에는 상기 전도부재와 상기 제2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2 판이 접착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pacer is made of a double-sided adhesive member,
One surface of the spacer is bond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plate made of the first film,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to which the second plate consisting of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film is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pac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시트의 상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제2 판은 상기 시트의 하측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2 판에는 상기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공기출입구가 형성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late is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heet, the second plate is dispos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heet,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is formed in the second plate is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ion sp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시트의 상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제2 판은 상기 시트의 하측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는 공기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판에는 상기 공기출입구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배치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late is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heet, the second plate is dispos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hee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formed with an air inlet,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shield member for shielding the air inlet on the first pla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제품정보가 담긴 바코드가 인쇄된 부착물인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hield member is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is a bar code printed material containing inform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필름에 프린트되는 실버재질을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electrode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comprises a silver material printed on the first film.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는 상기 제2 필름에 프린트되는 실버재질을 포함하는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ductive member comprises a silver material printed on the second fil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은 피이티(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로 이루어진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s a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교류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시트에 배치되어 차체에 접지된 승객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is supplied with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seat is grounded to the vehicle body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KR1020100041464A 2010-05-03 2010-05-03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Withdrawn KR201101219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464A KR20110121940A (en) 2010-05-03 2010-05-03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464A KR20110121940A (en) 2010-05-03 2010-05-03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940A true KR20110121940A (en) 2011-11-09

Family

ID=4539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464A Withdrawn KR20110121940A (en) 2010-05-03 2010-05-03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9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4714B2 (en) 2014-11-20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margin of classifying passengers in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4714B2 (en) 2014-11-20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margin of classifying passengers i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691B1 (en) An automobile
US8970231B2 (en) Capacitive sensor assembly
US20070132559A1 (en) Seat occupancy detection system
US8970232B2 (en) Capacitive sensor assembly
JP4766166B2 (en) Capacitance type occupant sensor and capacitance type occupant sensor device
JP2006521958A (en) System for detecting seat occupancy
US8599004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JP2010159043A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US10315601B2 (en) Capacitive occupant classification sensor with load-dependent antenna area
CN202956124U (en) An occupant classification sensor and an occupant detection system using it
KR20110121940A (en)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KR101232432B1 (en) 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100999681B1 (en)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for vehicle that supplies DC voltage and AC voltage by alternating switching with seat heater and passenger sensor
KR101684946B1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occupant of an automobile
KR20100060763A (en) A passenger identification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voltage and alternate voltage by alternative switching
US7671740B2 (en) Capacitive transmitter electrode
Becker et al. TOR (total occupant recognition) system
KR20120126645A (en) 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20120037766A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occupant of an automobile
KR20120037767A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occupant of an automobile
JP5560029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KR20100045781A (en) Apparatus for occupant classification in a vehicle
KR20130080979A (en) 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of vehicles
KR20130080977A (en) 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of vehicles
KR20120051333A (en) 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