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43U -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 Google Patents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3343U KR20120003343U KR2020100011408U KR20100011408U KR20120003343U KR 20120003343 U KR20120003343 U KR 20120003343U KR 2020100011408 U KR2020100011408 U KR 2020100011408U KR 20100011408 U KR20100011408 U KR 20100011408U KR 20120003343 U KR20120003343 U KR 2012000334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quid
- tube
- residual
- upp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63—Additional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하는 캡(116)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화장품, 목욕용품, 주방세제 등의 액체가 충진된 해당 용기 내부에 액체가 소량 잔류하지 않도록 외부로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ainer 100, the tube 20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00 and the insertion hole 210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to accommodate the liquid, and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tube (200) consists of an injection pump 300 for inhaling and injecting a liquid inside, the container 100 is a body 110, the neck portion 120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10 is opened; The body 110 includes a through hole 112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body 110, an accommodation part 114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nd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Installed in, but consists of a cap 116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ortion 114.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residual amount, which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a small amount of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container filled with liquids such as cosmetics, bath products, and dish detergent.
Description
본 고안은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세제, 목욕용품 등 해당 용기 내부의 액체가 소량 남았을때 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that can be smoothly discharged when a small amount of liquid inside the container, such as cosmetics, detergents, bath products.
일반적으로 화장품, 샴푸, 린스, 주방용세제 및 세탁세제 등의 액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방식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사하다.In general,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liquid contents, such as cosmetics, shampoo, rinse, dish detergent and laundry detergent, h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way of discharging the contents, but is generally similar.
액체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펌핑 작동에 의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핑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the liquid container,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a pump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a pumping oper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체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 내부의 하부면은 통상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가득 채워져 있을 때에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지만 내용물이 용기 바닥에 깔릴 정도로 남았을 경우에는 펌핑이 제대로 되지 않아 불편한 점이 있고, 비록 내용물이 남아 있더라도 펌핑이 되지 않아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자원의 손실을 초래한다.
Howeve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constituting such a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is generally formed flat, there is no problem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but when the contents remain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pump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It is inconvenient, and even though the contents remain, the pumping is not performed, so it is thrown away and causes a loss of resource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내측에 구비된 튜브내에 액체를 수용하고 액체가 소량 남았을 때 튜브의 하단을 용기의 하측으로 배출하여 튜브가 한곳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만들어 용기 내부 바닥에 깔린 액체의 소량까지 원활하게 토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the liquid in the tu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nd when a small amount of liquid left the bottom of the tu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where the tube The object is to smoothly discharge a small amount of the liquid sprea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y making it inclined about the cent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내의 액체가 소진됨에 따라 용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ontainer itself as the liquid in the container is exhaus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되되,Residual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상기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하는 캡(1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내의 액체가 소량 남았을때도 한곳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하여 마지막 남은 소량까지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amount removal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last remaining amount by inclining around one place even when a small amount of liquid in the container remains.
또한,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용기내의 액체가 토출됨에 따라 용기 외형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container is formed to be corrugated, as the liquid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olume of the container's appearance is reduced to facilitate storage.
이에 따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waste an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에 따른 용기 저면에 형성된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한 후 가압을 중단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에 따른 튜브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고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a is a view showing a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 mai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Figure 1a,
Figure 1c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change of the container occurs when the push portion of the pumping means of the pumping means of the remaining amount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change of the vessel occurs when the pressurization is stopped after pressing the push portion of the pumping means of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residual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change of the tube according to the liquid in the remaining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o form a corrugated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to form a residual liquid lif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rinkl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or custom.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b는 도 1a에 따른 용기 저면에 형성된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펌핑수단의 푸쉬부를 가압한 후 가압을 중단했을때 일어나는 용기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에 따른 튜브의 상태변화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고용 액체 용기를 주름지게 형성하여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a is a view sh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Figure 1a, Figure 1c is a coupling process of the remaining amount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change of the container occurs whe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pumping means of the pumping means of the remaining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of the remaining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change of the vessel occurs when the pressurization stops after pressing the pumping means of the pumping means,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change of the tube according to the liquid inside the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o form a corrugated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residual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to form a corrugated for the liquid container.
하기에서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C.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액체가 수용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된다.
Residual liquid remova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러한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와,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20)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20)를 개폐하는 캡(130)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용기(100)는 외주연 일측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튜브(200) 내의 세안액(샴프, 폼클렌징, 면도크림 등) 또는 세제 및 화장품 등의 액체가 토출됨에 따라, 상기 용기(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은 열십(十)자로 형성하며 관통홀(112)의 외벽은 탄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튜브(200)를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로 당기게되면 한곳을 중심으로 상기 튜브(200) 내의 액체가 모이게 되어 분사펌프(300)를 이용한 외부토출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200)가 당겨짐에 의해 상기 관통홀(112)의 외벽을 이루는 탄성벽(112-2)이 하방으로 휘어지되,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려는 탄성 때문에 상기 튜브(200)를 압박하여 튜브(200)내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된 튜브(200)가 아닌 용기(100)내부의 튜브(200)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hrough-
그리고 상기 튜브(200)를 당기던 물리적인 힘이 차단되면 상기 관통홀(112)이 정위치하려는 탄성에 의해 튜브(200)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physical force that pulls the
그리고 상기 튜브(2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210)에 결합되는 패킹(212)의 재질은 마찰력이 높은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가 소량 잔류하게 되면 상기 튜브(200)를 상기 용기(100)의 캡(116)을 개방한 후 관통홀(112)을 통해 잡아 당기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a small amount of liquid remains in the
이때, 상기 분사펌프(300)의 일측과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결합된 패킹(212)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가 흘러 넘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패킹(212)은 중공된 제1플레이트(212-2)와, 상기 제1플레이트(212-2)의 저면에 연장된 연결대(212-4)와, 상기 연결대(212-4)의 저면에 연장 확장된 제2플레이트(212-6)로 구성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튜브(200)는 저면에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0)의 하부에 고리(230)가 결합되어 상기 튜브(200)를 용이하게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에, 상기 용기(100)의 바디(110) 저면에 설치된 캡(116)을 개방한 후 상기 고리(230)를 이용하여 상기 튜브(200)를 용기(100)의 하측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튜브(200)의 일부는 미관상 미려함을 유지하도록 상기 용기(100)의 바디(110)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14)에 위치시키고 상기 캡(116)을 닫아 사용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fter opening the
그리고 상기 분사펌프(300)는,And the
상기 용기(100)와 체결되는 체결구(310)와, 상기 체결구(310)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320)과, 상기 체결구(310)의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흡입관(320)으로 흡입된 액체를 토출하도록 분사노즐(332)이 형성된 푸쉬부(330)로 구성된다.A
상기 푸쉬부(330)의 저부는 공기압을 일으키도록 상하로 일정거리 슬라이딩하는 공압부(334)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320)은 상부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요홈(h)에 설치되는 스프링(s)과, 상기 스프링요홈(h)의 하측에 형성된 테이퍼부(t)에 안착되는 볼(b)이 설치된다.
The bottom part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조립과정을 도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a to 3b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The assembly process may be modified and various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먼저, 용기(100)는 종래의 사용되던 용기와 동일한 것으로서, 바디(110)와, 나사산이 외주연에 형성된 목부(220)로 형성된다.First, the
이러한 용기는 금속 또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바디(110)와, 목부(120)로 구성된 용기(100)를 적당한 곳에 위치한 후 상기 용기(100) 내부의 상부 중앙에 삽입홀(210)이 형성된 튜브(200)를 설치한다.Such a container is formed of a metal or glass or synthetic resin and the
그리고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관통홀(112)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소정의 공간으로 수납부(114)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 가능하도록 캡(116)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튜브(200)는 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튜브(2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210)에 고무재질의 패킹(212)을 결합하되, 상기 패킹(212)의 제1,2플레이트(212-2)(212-6) 사이에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 외벽을 개재한 후 본딩하고 상기 튜브(200)의 내측에 액체를 수용시킨다.And the
상기의 용기(100)는 외주연에 일정간격 주름지게 형성한다. 이에,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의 수용량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용기(100)의 부피를 임의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The
또한, 상기 튜브(200)는 저면에 고리(230)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튜브(200)를 파지하고 잡아 당길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튜브(200) 내측의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를 설치한다.Then, the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튜브(200) 내의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된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본딩되는 패킹(212)에 상기 분사펌프(300)의 흡입관(320)을 삽입 체결하되, 상기 패킹(212)이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며 상기 튜브(200)를 하측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상기 패킹(212)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한다.In more detail, the suction pipe of the
더불어, 상기 분사펌프(300)의 체결구(310) 내주연에 형성된 수나사산(도시생략)과 상기 용기(100)의 바디(110)에 목부(120) 외주연에 형성된 암나나산(도시생략)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In addition, male thread (not shown)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이때, 상기 분사펌프(300)의 흡입관(320)이 상기 튜브(200)내의 액체를 흡입하게 되면 상기 용기(10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332)이 형성된 푸쉬부(330)가 상기 체결구(310)의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체결구(310)가 설치될 때 같이 설치된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분사펌프(300)의 흡입관(320)은 상부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요홈(h)에 스프링(s)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요홈(h)의 하측에 설치된 테이퍼부(t)에 볼(b)을 안착한 후 상기 푸쉬부(330)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볼(b)의 상면까지 슬라이딩하되, 슬라이딩함에 따라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부(334)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2a to 2c using state of the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용기(100)를 적당한 곳에 위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푸쉬부(33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푸쉬부(330)와 일체로 연결되되, 분사펌프(300)의 하부를 이루는 흡입관(310)으로 용기(100) 내측의 튜브(200)내 액체가 흡입되어 상기 분사펌프(300)의 상부를 이루는 푸쉬부(330)의 분사노즐(310)을 향해 토출되게 된다.First, the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푸쉬부(330)가 가압됨에 따라 푸쉬부(33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푸쉬부(33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쉬부(330)의 저면을 이루는 공압부(334)에 면접된 있는 스프링(s)이 수축된다.In more detail, as the
여기서 상기 푸쉬부(330)의 공압부(334)는 스프링(s)이 설치된 스프링요홈(h)의 하측에 테이퍼부(t)에 안착된 볼(b)까지 슬라이딩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푸쉬부(33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푸쉬부(330)의 공압부(334) 저면에 일정공간 형성된 공간부내의 공기가 분사노즐(310)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푸쉬부(330)에 가압을 중단하면 상기 스프링(s)이 정위치 하려는 탄성에 의해 푸쉬부(33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푸쉬부(33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t)에 안착된 볼(b)이 공기압에 의해 상측으로 떠오르게 된다.As the
이때, 상기 용기(100)의 내측에 설치된 튜브(200) 내의 액체가 일정량 상기 테이퍼부(t)로 차오르게 되고 일정량의 액체가 차오르게되면 상기 볼(b)은 중력에 의해 다시 테이퍼부(t)에 안착되며 상기 튜브(200)와 상기 흡입관(320)을 밀폐하게 되는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liquid in the
그리고 상기 튜브(200) 내의 액체가 소량 잔류하게 되면 흡입관(320)의 사선으로 형성된 저부에 의해 상기 튜브(200)가 수용한 액체가 원활하게 흡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small amount of liquid remains in the
이에, 상기 용기(100)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캡(116)을 개방하고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에 일정부분 돌출된 상기 튜브(200)의 저면에 연장된 연장부(220)를 하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Thus, an extension part exte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튜브(200)의 저면에 연장된 연장부(220)를 잡아당기게 되면 평평하게 고여있던 액체가 한곳을 중심으로 모여 상기 흡입관(320)을 통한 흡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상기 관통홀(112)의 탄성벽(112-2)이 상기 관통홀(112)을 통해 배출되는 튜브(200)의 일부분을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튜브(200)가 배출될때 내측에 액체는 탄성벽(112-2)을 지날수 없게 하여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 것이다.In more detail, when the
또한, 상기 튜브(200)가 하측으로 배출되기 위해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결합된 패킹(212)이 슬라이딩되며 튜브(200)가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용기(1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주름으로 인하여 액체의 잔량에 따른 용기의 부피축소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그리고 관통홀(112)을 통해 배출된 튜브(200)의 일부는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에 수납한 후 상기 캡(116)을 닫아 외관상 미려하게 보관이 가능 한것은 물론 상기 튜브(200)의 저면을 이루는 연장부(220)를 더욱 용이하게 당기기 위해 연장부(220)에 고리(230)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And a part of the
즉, 해당 용기 내부의 액체를 남기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since it can be used without leaving the liquid inside the container, it is effective to minimize energy waste and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subject innovation, which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subject innovation, it is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ubject innova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limitation 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is not.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110 : 바디
112 : 관통홀 112-2 : 탄성벽
114 : 수납부 116 : 캡
200 : 튜브 210 : 삽입홀
212 : 패킹 212-2 : 제1플레이트
212-4 : 연결대 212-6 : 제2플레이트
220 : 연장부 230 : 고리
300 : 분사펌프 310 : 체결구
320 : 흡입관 330 : 푸쉬부
332 : 분사노즐 334 : 공압부
h : 스프링요홈 s : 스프링
b : 볼 t : 테이퍼부<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container 110: body
112: through hole 112-2: elastic wall
114: storage portion 116: cap
200: tube 210: insertion hole
212: packing 212-2: first plate
212-4: Connecting rod 212-6: Second plate
220: extension 230: ring
300: injection pump 310: fastener
320: suction pipe 330: push section
332: injection nozzle 334: pneumatic part
h: spring recess s: spring
b: ball t: taper
Claims (6)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튜브(200) 내측에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펌프(300)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100)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면이 개구된 목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2)과;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114)와;
상기 바디(1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납부(114)를 개폐하는 캡(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A container (100), a tube (200)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00)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210) formed at an upper center thereof to accommodate liquid;
Consists of the injection pump 30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and injects and sprays the liquid inside the tube 200,
The container 100,
Body 110, and the upper portion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is composed of a neck 120 is opened,
The body 110,
A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110);
An accommodation part 11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10;
Residual liquid removal contain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10,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1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portion 114 is formed.
상기 용기(100)는 외주연 일측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100 is a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residual amou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ide is formed to wrinkle.
상기 바디(110)의 관통홀(112)은 열십(十)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hole 112 of the body 110 is a liquid container for removing the residual amou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ifteen).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결합되는 패킹(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Residual liquid removal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packing (212)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210 of the tube (200).
상기 튜브(2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Residual liquid removal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ring (23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ube (200).
상기 분사펌프(300)는,
상기 용기(100)와 체결되는 체결구(310)와;
상기 체결구(310)의 하부에 수직하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튜브(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320)과;
상기 체결구(310)의 상부에 수직상방으로 체결되되, 상기 흡입관(320)으로 흡입된 액체를 토출하도록 분사노즐(332)이 형성된 푸쉬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제거용 액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pump 300,
Fasteners 310 are fastened to the container 100;
A suction pipe 320 which is fastened vertically downwar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er 31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0 of the tube 200 to suck liquid;
Residual removal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vertical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er 310, the push portion 330 is formed with a spray nozzle 332 to discharge the liquid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320 Vesse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00011408U KR20120003343U (en) | 2010-11-05 | 2010-11-05 |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00011408U KR20120003343U (en) | 2010-11-05 | 2010-11-05 |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03343U true KR20120003343U (en) | 2012-05-15 |
Family
ID=466124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00011408U Abandoned KR20120003343U (en) | 2010-11-05 | 2010-11-05 |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20003343U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04822A1 (en) * | 2018-06-26 | 2020-01-02 | 이영주 | Pump container |
| KR20240134690A (en) * | 2023-03-02 | 2024-09-10 | 김성훈 | Tube container |
-
2010
- 2010-11-05 KR KR2020100011408U patent/KR20120003343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04822A1 (en) * | 2018-06-26 | 2020-01-02 | 이영주 | Pump container |
| KR20240134690A (en) * | 2023-03-02 | 2024-09-10 | 김성훈 | Tube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177481B (en) | Drop type cosmetic container | |
| AU2019330440B2 (en) | Environment-friendly sucking device applying vacuum principle | |
| US10328451B2 (en) |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 |
| KR200471808Y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push button having flexible upright type nozzle | |
| TWI500566B (en) | Squeeze the cover of the container | |
| KR101817066B1 (en) | One touch of automated spuit container | |
| US11014106B2 (en) | Dispenser device for liquids | |
| KR100811777B1 (en) | Pumping device with folding nozzle | |
| KR101379846B1 (en) | A Dispenser Vessel | |
| KR20200001908A (en) | Remaining amount removal fluidal courage | |
| KR20120003343U (en) |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 |
| KR101038011B1 (en) | Pumps for Liquid Storage Containers | |
| KR101238168B1 (en) | A pump bottle for pump-dispenser | |
| CN219216022U (en) | Emulsion pump beneficial to environmental protection | |
| JP5253267B2 (en) | Thin container with pump | |
| KR101399816B1 (en) | Portable bidet | |
| KR101539632B1 (en) | Packaging container and pumping apparatus thereof | |
| JP4268398B2 (en) | Liquid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thin-walled containers and dispensing containers consisting of thin-walled containers | |
| CN111902219B (en) | Suctio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 |
| KR20140131887A (en) | Packaging container and pumping apparatus thereof | |
| JP5308890B2 (en) | Thin container with pump | |
| CN211632986U (en) | Water tap capable of containing hand sanitizer | |
| KR20080001894A (en) | Dispenser container | |
| CN112793914B (en) | A press-type liquid discharging container | |
| KR101101288B1 (en) | Fluid reservoir with fluid suction mean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105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