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366A -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 Google Patents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6366A KR20120026366A KR1020100088543A KR20100088543A KR20120026366A KR 20120026366 A KR20120026366 A KR 20120026366A KR 1020100088543 A KR1020100088543 A KR 1020100088543A KR 20100088543 A KR20100088543 A KR 20100088543A KR 20120026366 A KR20120026366 A KR 201200263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ehicle
- inverter
- current collector
-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에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부,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를 발생하여 차량을 충전하는 집전장치와 간접,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각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상황에 맞게 충전이 되도록 집전량을 제어하거나, 차량이 충전된 상태에 따라서 급전량을 제어할 수 있는 등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차량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efficient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can monitor and control each other by indirectly and directly communicating with an inverter for supplying power, a power supply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a current collecting device for charging a vehicle by generating a curr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harging of the vehicle more efficiently because it can control the current collection amount to be char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or control the feeding amount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vehicle.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주 정차시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at a parking stop.
최근에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Recently, 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soared, efforts to purify exhaust gas emitted from automobiles have been spreading.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휘발유 등의 화석연료와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최근 출시되고 있으며, 전기나 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하여 운행이 이루어지는 차량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As part of this effort, hybrid vehicles using fossil fuels such as gasoline and electricity as energy have recently been released, and a lot of studies on vehicles using electricity or hydrogen as energy have been conducted.
온라인 전기자동차(OLEV: On-line Electric Vehicle)는 도로에 전선이 매설되어, 전선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전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전자기장을 차량에서 무선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생성된 전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력으로 사용한다.On-line electric vehicles (OLEVs) are wired on the road, which generates electromagnetic fields as current flows through them, and wirelessly receives the electromagnetic fields from the vehicle to receive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effects of received electromagnetic fields. It is used as a vehicle power.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도로를 달리는 과정이나 주정차시 도로에서부터 무선으로 바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 충전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On-line electric vehicle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do not require a separate battery charging time because they can be powered wirelessly from the road during the course of a road or stop.
하지만, 이렇게 도로에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과금을 하거나 해당하는 전기자동차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하여, 무분별하게 충전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such as charging indiscriminately because there is a lack of a system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ic car that is wirelessly supplied from the road and the electric car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또한, 전기자동차에서 집전하는 위치가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급전부와 정확하게 대응하여 위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집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rrent collecting position in the electric vehicle is difficult to efficiently colle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accurately.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자동차 충전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atic car charg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se issu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으로 충전하는 차량의 더욱 효율적인 충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re efficient charge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ging wirelessl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차량 충전관리 시스템은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인버터와 통신하는 복수의 급전부;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동력으로 이용하며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는 차량; 및 상기 인버터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인버터를 통해 상기 급전부와 상기 차량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e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includes: an inverter for supplying power;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inverter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verter; A vehicle that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induc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nd uses the power to communicate with the power supply unit; And a management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nverter; Includes, the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vehicle through an inverter.
그리고 상기 인버터는,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인버터 통신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통신부는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며 상기 급전부로부터 충전하려는 차량의 집전정보 및 차량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verter, the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n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power feeding uni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inverter communica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power supply unit and receive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to be charg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특정 급전부로 공급할 전력이 부족할 때, 타 인버터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타 인버터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통신단과 통신하는 인버터로부터 부족한 전력을 공급받아 해당 급전부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other inverter to receive power from another inverter when power to be supplied to a specific feeder is insufficient; It includes, and receives the insufficient power from the inverter to communicate with the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eeder.
그리고 급전부는, 상기 인버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받아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선; 상기 인버터와 통신하는 제1급전통신부; 및 상기 차량과 통신하며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를 전송받아 제1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급전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eder may include: a feeder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in response to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inverter; A first fee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verter; And a second feed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집전장치; 상기 집전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부; 및 상기 충전부와 연결되어 충전상태를 상기 집전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the current collector for generating a current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ower supply; A charging unit which charges electric power by using a current generated by the current collector; An apparatus unit using power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And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to transmit a charging state to the curren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며 집전부; 상기 차량통신부와 통신하며 충전부의 정보를 전송받는 제1집전통신부;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여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를 상기 급전부로 전송하고 제1집전통신부와 연결된 제2집전통신부; 및 제1집전통신부 및 제2집전통신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집전정도를 제어하는 집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rent collector may generate a current under the influen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to charge the charging unit; A first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charging unit; A second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feeder to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or information to the power feeder,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collector; And a current collect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urrent collecting degree through signals from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집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전제어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집전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part to adjust a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part through a signal from the current collector controll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버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 상기 급전부의 급전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급전 제어부; 상기 차량의 집전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차량충전 제어부; 및 상기 각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인버터 통신부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anagement server is an inverter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inverter; A feeding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feeding degree of the feeding unit; A vehicle charging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urrent collecting degree of the vehicle; And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control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버터에서 차량에 공급한 전력량에 따른 요금을 연산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요금은 관리서버 통신부를 통해서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th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har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vehicle from the inverter; Further comprising, the fee calcul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unit.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집전장치는 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는 집전부; 차량통신부와 통신하며 충전부의 정보를 전송받는 제1집전통신부; 급전부와 통신하여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를 상기 급전부로 전송하고 제1집전통신부와 연결된 제2집전통신부; 제1집전통신부 및 제2집전통신부와 연결되어 집전정도를 제어하는 집전제어부; 및 상기 집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전제어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집전회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o achieve this object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collector is a current collector to generate a current by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ower supply unit to charge the charging unit; A first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charging unit; A second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a power supply unit to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on unit; A current collect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a current collecting degree; And a current collect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unit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unit through a signal from the current collecting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 다른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인버터는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인버터 통신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특정 급전부로 공급할 전력이 부족할 때, 타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타 인버터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통신단과 통신하는 타 인버터로부터 추가 전력을 공급받아 해당하는 급전부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the inverter includes 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An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management serv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power feeding uni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switch unit includes a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inverter to receive power from another inverter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unit is insufficient, and receives additional power from another inverter communicating with the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corresponding feed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관리서버에서 차량을 인식하여 충전 승인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어느 차량에나 충전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등록된 차량에 한해서 충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management server recognizes the vehicl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is approved,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charged indiscriminately and to be charged only for the registered vehicle.
둘째, 관리서버에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부,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를 발생하여 차량을 충전하는 집전장치와 간접,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각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상황에 맞게 충전이 되도록 집전량을 제어하거나, 차량이 충전된 상태에 따라서 급전량을 제어할 수 있는 등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차량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management server can monitor and control each of the vehicle b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current collector that charges the vehicle by generating electric curr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verter that supplies power,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section that generates the electromagnetic field,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harging of the vehicle more efficiently because it can be integrated management, such as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to be char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to control the amount of feed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vehicle.
셋째, 급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집전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since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feeding unit, the vehicle can be charged more efficientl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특히 차량이 주정차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e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nd in particular, a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when the vehicle is parked will be describ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서는 버스 정류장에서 차량이 정차하여 무선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차량이 주정차시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은 마트나 아파트 단지 등의 주차 공간, 버스 전용 정차 공간, 공공기관 내의 주차공간 등이 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vehicle stops at the bus stop and wirelessly charges. However, the vehicle can be charged at a parking stop, such as a parking space such as a mart or an apartment complex, a bus stop space, or a parking space in a public institution. have.
이러한 공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100) 및 급전부(200)가 매설되어 있으며 급전부(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으로 차량(300)에 장착된 집전장치(310)에 유도 전류가 형성되어 이것을 이용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In such a spac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100) 및 급전부(200)는 도로에 매설되는 형태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1에서는 인버터(100) 및 급전부(200)가 표면상에 드러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전자는 관리서버(400)에 자신의 차량을 등록한다. 그리고 각 차량을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해서 차량에는 차량정보를 저장한 태그가 부착된다.In order to charge the vehicle by using the charge management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first registers his vehicle in the
인버터(100)에는 이러한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110)가 있는데 차량의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400)로 보낸다.The
관리서버(400)에서는 전송받은 차량정보를 미리 저장된 차량등록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차량인 것이 확인되면 무선충전 승인신호를 전송하고, 차량은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The
이렇게 프로세스를 통해 관리서버에서는 충전할 차량을 승인해주는 동시에 차량을 충전시키는 급전부(200) 및 인버터(100)를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management server can confirm the
<시스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100), 급전부(200), 차량(300), 관리서버(400) 등을 포함하며 구성된다.The charging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인버터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inverter>
인버터(100)는 연결되어 있는 급전부(200)로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버터(100)는 도로에 매설되어 있는 형태이며, 매설깊이는 지면으로부터 약 60c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버터(100)는 슬라이드 방식의 기구부를 통하여 손쉽게 점검이 가능하다.The inverter 100 supplies power to the
인버터(100)가 도로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차량(300)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버터(100)의 확장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인버터(100)는 관리서버(400)와 통신을 하며 급전부(200)와 집전장치(310)로부터 오는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110), 스위치부(120), 인버터 통신부(130), 제어부(140), 등을 포함하며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인식부(110)는 차량(300)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차량(300)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인식부(110)와 차량(300)에 부착된 태그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인식부(110)로 인식한 차량(300)의 정보는 인버터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전송되고 관리서버(400)에서는 미리 저장하고 있던 차량(300)의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300)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비교과정을 거친 뒤 차량(300)의 충전을 승인하는 신호를 인버터 통신부(130)로 전송한다.The information of the
인버터 통신부(130)는 관리서버(400) 및 급전부(200)와 통신하며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거나 정보를 전송한다.The
인버터 통신부(130)는 차량(300)의 충전정보나 차량(300)에 대한 정보들을 급전부(200)로부터 전송받아 관리서버(400)로 전달하고 관리서버(400)로부터 이를 바탕으로 급전부(200)나 집전장치(310)를 제어하는 신호를 받아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면서, 관리서버(400)에서 전체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The
또한, 인버터(100)와 관리서버(400)의 통신은 관리서버(400)에서 인버터(100)가 급전부(200)로 공급하는 전력을 체크할 수 있어 급전이 가능한 인버터(100)를 인식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400)에서는 차량(300)의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인버터(100)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어 이러한 정보를 받은 인버터(100)에서는 급전부(200)로 공급하는 전력을 조절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제어부(140)는 관리서버(400)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200)로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한다.The
인버터(100)에는 복수의 급전부(200)가 연결된다. 차량(300)은 복수의 급전부(200) 중 어느 특정 급전부(200)에 정차하여 충전을 하게 된다.A plurality of
차량(300)이 충전을 하게 되면서 차량(300)의 충전 정보 및 차량 정보는 인버터(100)를 통해서 관리서버(400)로 보내어 지고, 관리서버(400)에서는 이러한 충전정보를 받아 인버터(100)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한다.As the
예를 들어, 차량(300)의 충전이 완료 되었다면 차량(300)의 충전상태를 받은 관리서버(400)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인버터(100)로 보내고 전력이 공급되고 있던 급전부(20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harging of the
또한, 복수의 급전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인버터(100)가 전력을 공급할 때 모든 급전부(200)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충전을 하기 위한 차량(300)이 인식된 급전부(200)로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 급전부(200)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스위치부(120)는 해당하는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140)에서는 관리서버(400)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200)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120)를 제어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스위치부(120)는 스위치 통신단(121)을 포함하여, 특정 급전부(200)로 공급할 전력이 부족할 때 주위 인버터(100)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주위 인버터(100)와 통신한다.The
예를 들어, 인버터(100)가 공급 가능한 최대 출력이 200kw인데, 해당하는 인버터(100)서 충전하려는 차량이 240kw의 충전이 필요할 경우, 제어부(140)에서는 스위치부(120)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스위치 통신단(121)은 주변의 인버터(100)와 통신하여 전력공급이 가능한 타 인버터로부터 부족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maximum output that the
스위치 통신단(121)를 통하여 주변의 인버터(100)로 전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낸다. 그 다음 스위치부(120)를 통해서 타 인버터로부터 부족한 전력을 공급받아 해당하는 급전부(200)로 전력이 공급된다.
The
<급전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feeding part>
급전부(200)는 인버터(100)에 연결되어 인버터(100)로부터 오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선(210), 제1급전통신부(220), 제2급전통신부(230) 등을 포함하며 구성된다.Th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선(210)은 인버터(100)에 연결되어 차량(300)이 정차 또는 주차하는 공간에 설치된다. 차량(300)이 위치하여 차량(300) 하부의 집전장치(310)를 통해 충전될 수 있도록 일정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인버터(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As shown in FIG. 1, th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210)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차가 주정차되는 공간에 다수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원형으로 이루어진 급전선(210)의 상부에 차량의 집전장치(310)가 대응되어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게 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전선(210)을 다수개의 원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외에도 차량의 집전장치(3100가 효율적으로 급전선(210)으로부터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것이든지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급전선(210)은 일반적인 전선이 될 수 있다. 급전선(210)은 인버터 회로부(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인버터 회로부(12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The
제2급전통신부(230)는 제1급전통신부(2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집전장치(310)의 제2집전통신부(315)와 통신한다. 제2집전통신부(315)를 통해서 차량(300)의 정보 및 차량(300)의 집전 상태, 집전량등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러한 정보를 연결된 제1급전통신부(220)로 전송한다.The second
제1급전통신부(220)는 인버터 통신부(130)와 통신하며 제2급전통신부(230)로부터 받은 차량(300)의 집전상태 및 차량(300)의 정보를 전송하고, 인버터 통신부(130)로부터 오는 급전정보 및 차량(300)의 충전 승인 정보에 대한 사항을 받아 제2집전통신부(315)로 전송한다.The first power
즉, 인버터 통신부(130)로부터 오는 급전정보 및 차량(300)의 충전 승인 정보 등에 대한 정보는 제1급전통신부(220)에서 제2급전통신부(230)로 전송되고 제2집전통신부(315)와 무선통신을 하여 이러한 정보를 전송되게 되는데, 집전장치(310)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집전부(311)에서 차량(300)으로 집전하는 양이나 충전 양을 제어한다.
That is,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and the charge approval information of the
<차량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300)은 충전을 위해 급전부(200) 상에 위치하여 급전선(21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유도 전류를 형성해서 배터리를 충전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3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장치(310), 충전부(320), 장치부(330), 차량 통신부(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집전장치(310)는 도로에 매설되어 있는 급전부(20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차량(30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충전부(320)는 집전장치(310)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한다. 차량(300)은 전력이 충전된 충전부(320)를 동력으로 이용한다.The charging
장치부(330)는 충전부(320)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차량(300)의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The
차량통신부(340)는 충전부(320)와 연결되며 충전상태를 집전장치(310)로 전송한다.The
<집전장치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310)는 집전부(311), 집전제어부(312), 집전회로부(313), 제1집전통신부(314), 제2집전통신부(315) 등을 포함하며 구성된다.The
집전부(311)는 급전부(20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충전부(320)를 충전시킨다.The
제1집전통신부(314)는 차량통신부(340)와 통신하며 충전부(320)의 충전정보를 전송 받아 연결된 집전제어부(312)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한다.The first current
제2집전통신부(315)는 제1집전통신부(314)와 함께 집전제어부(3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집전제어부(312)와 연결된 집전부(311)와 제1집전통신부(314)로부터 충전정보 및 집전정보를 전송받으며, 급전부(200)의 제2급전통신부(230)와 통신하여 상기의 정보를 전송한다.The second current
또한, 제2집전통신부(315)는 급전부(2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이러한 자기장에 대한 정보를 집전제어부(312)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urrent
여기서, 제2급전통신부(230)와 제2집전통신부(330)는 자기장통신을 한다.Here, the second
집전제어부(312)는 제1집전통신부(314) 및 제2집전통신부(315)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300)의 충전부(320)를 충전하기 위해 집전하는 집전정도를 제어한다.The current collecting control unit 312 is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또한, 급전부(200)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제2집전통신부로부터 전자기장세기에 대한 정보를 받아 집전부(3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t serves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집전회로부(313)는 집전부(311)와 연결되어 상기 집전제어부(312)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상기 집전부(311)의 위치를 조절한다.The
급전부(200)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은 집전장치(310) 측으로 발생된다.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집전장치(310)는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어 차량이 주정차 하면서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급전부(200)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을 통해서 충전이 이루어진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급전부(200)는 다수개의 원형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집전부(311)는 급전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차량을 충전하게 되는데, 이때 급전부(200)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집전부(311)가 급전부(200)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전력을 충전하게 되면 급전부(20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충분히 받지 못하게 되고 그로인해 집전장치(310)에서의 집전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한다. 이것은 차량의 원활하지 못한 충전을 야기하기 때문에 급전부(200)와 집전부(311)의 위치 대응 더욱 중요하다.When the
급전부(200)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2집전통신부에서 감지하고, 이러한 정보가 집전제어부(312)로 전송되면, 집전제어부(312)에서는 집전장치(310)가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집전회로부(313)로 보낸다.When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집전회로부(313)는 집전제어부(312)에서의 신호에 따라 집전부(311)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The
<관리서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400)는 인버터(100), 급전부(200) 및 집전장치(310)를 제어하며 인버터(100)와 직접 통신한다.The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 통신부(410), 인버터 제어부(420), 급전 제어부(430), 차량충전 제어부(440), 연산부(450), 디스플레이부(460), 조작부(470) 등을 포함하며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anagement
도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의 무선충전을 위해 운전자가 미리 등록한 차량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가 포함되어 있다.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 차량의 태그가 인버터를 통해서 인식되면 관리부에 있는 저장부에서는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충전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of a vehicle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driver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vehicle is included. When the tag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by the inverter to charge the vehicle, the storage unit in the management unit may transmit the charging approval signal in comparison with the stored information.
관리서버 통신부(410)는 인버터 통신부(130)와 통신하며 인버터(100)로부터 오는 정보를 전송받고, 인버터 제어부(420), 급전 제어부(430), 차량충전 제어부(440)에서 오는 신호를 인버터 통신부(130)로 전송한다.The manag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관리서버 통신부(410)는 급전부(200) 및 집전장치(310)와 직접 통신하지 않지만 급전부(200) 또는 집전장치(310)와 통신하는 인버터(100)를 통해서 이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 management
전송받는 정보에는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가 포함된다.The received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차량정보에는 차량의 고유정보가 포함되며 차량의 충전상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충전상황에 대한 정보란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빠른 시간내에 충전해야할 경우와 주차를 하면서 충전을 해야할 경우 등이 포함되어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us includes a case in which charging should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in case of parking while charging.
이러한 충전상황에 대한 정보는 운전자가 선택하여 그 선택한 사항이 차량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에 까지 전송된다.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ituation is selected by the driver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집전정보란 집전장치(310)에서는 급전부(200)에서 발생시킨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유도된 전류로 충전부(320)를 충전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충전시키는 양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The current collector information is used to charge the charging
집전정보 또한 차량정보와 동일하게 집전장치(310)의 제2통신부와 급전부(200)의 제2통신부가 통신하여 관리서버(400)로 전송된다.The current collector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관리서버(400)에서는 전송받은 집전정보를 바탕으로 급전부(200)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도록 한다.The
인버터 제어부(420)는 관리서버 통신부(410)로부터 오는 인버터(100)의 정보를 받아 인버터(100)를 모니터링하고 상황에 맞게 인버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관리서버 통신부(410)로 전송한다.The
급전 제어부(430)는 관리서버 통신부(410)로부터 오는 급전부(200)의 급전정보를 받아 모니터링하고 급전부(200)의 상태나 상황에 맞게 급전부(20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관리서버 통신부(41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인버터 통신부(130)를 통해서 제1급전통신부(220)로 전송되어 지며 급전부(200)는 이러한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차량충전 제어부(440)는 관리서버 통신부(410)로부터 오는 차량의 정보를 받아 모니터링하고 차량(300)의 충전 상황에 맞게 집전장치(31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관리서버 통신부(410)로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는 인버터 통신부(130)를 통해 급전부(200)로 전송되어 지고 이것을 급전부(200)와 통신하는 집전장치(310)로 전달된다.The vehicle
집전장치(310)는 이러한 정보를 제2집전통신부(315)에서 받아 집전제어부(312)에서 집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연산부(450)는 인버터에서 차량이 충전되도록 공급한 전력량에 따른 요금을 연산하며, 연산된 요금은 관리서버 통신부(410)를 통해서 해당 차량으로 전달된다. The
디스플레이부(460)는 관리서버(400)의 관리자가 인버터(100), 급전부(200) 및 집전장치(310)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 통신부(41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표시된다.The
디스플레이부(460)를 통해 인버터(100), 급전부(200) 및 집전장치(310)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들을 디스플레이부(460)와 연결되어 있는 조작부(470)를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설명과 같이 관리자가 직접 모니터링하면서 차량(300)이 충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관리서버(400) 자체에 어떠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차량(300)이 효율적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at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서버(400)는 차량(300)의 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충전을 위해 주정차한 차량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300)이 충전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하며, 해당하는 급전부(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In the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인버터(100)와 통신하여 차량(300)의 집전장치(310), 급전부(200)의 정보와 인버터(100)의 정보를 받게 되는데, 관리서버(400)에서는 이를 통하여 이들 각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또한, 충전 정보, 차량 정보들을 바탕으로 인버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인버터 통신부(130)로 신호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서는 각각의 장치들과 직접, 간접적으로 통신하며 통합관리 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차량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and in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devices, and integrated management, so that the vehicle can be efficiently char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인버터
110 : 인식부
120 : 스위치부
121 : 스위치 통신단
130 : 인버터 통신부
140 : 제어부
200 : 급전부
210 : 급전선
220 : 제1급전통신부
230 : 제2급전통신부
300 : 차량
310 : 집전장치
311 : 집전부 312 : 집전제어부
313 : 집전회로부 314 : 제1집전통신부
315 : 제2집전통신부
320 : 충전부
330 : 장치부
340 : 차량통신부
400 : 관리서버
410 : 관리서버 통신부
420 : 인버터 제어부
430 : 급전 제어부
440 : 차량충전 제어부
450 : 연산부
460 : 디스플레이부
470 : 조작부100: inverter
110: recognition unit
120: switch unit
121: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130: inverter communication unit
140: control unit
200: feeder
210: feeder
220: first dispatch communication unit
230: second dispatch communication unit
300: vehicle
310: current collector
311: current collector 312: current collector
313: current collector circuit 314: first current collector
315: Second Collection Communication Department
320: charging unit
330: device
340: vehicle communication unit
400: management server
410: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unit
420: inverter control unit
430: power supply control unit
440: vehicle charging control unit
450: calculator
460: display unit
470: control panel
Claims (11)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인버터와 통신하는 복수의 급전부;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동력으로 이용하며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는 차량; 및
상기 인버터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인버터를 통해 상기 급전부와 상기 차량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An inverter for supplying power;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inverter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verter;
A vehicle that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induc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nd uses the power to communicate with the power supply unit; And
A management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nverter; Including;
The management server monitors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vehicle through an inverter.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인버터는,
상기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인버터 통신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통신부는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며 상기 급전부로부터 충전하려는 차량의 집전정보 및 차량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rter,
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n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power feeding uni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The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power feeding unit and receives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to be charged from the power feeding unit.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스위치부는 특정 급전부로 공급할 전력이 부족할 때, 타 인버터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타 인버터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통신단과 통신하는 인버터로부터 부족한 전력을 공급받아 해당 급전부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other inverters to receive power from other inverters when there is not enough power to supply a specific feeder; Including;
Receiving insufficient power from the inverter communicating with the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eeder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급전부는,
상기 인버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받아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선;
상기 인버터와 통신하는 제1급전통신부; 및
상기 차량과 통신하며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를 전송받아 제1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급전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Feeding section,
A feeder for receiving an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inverter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A first fee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verter; And
A second feed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차량은,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집전장치;
상기 집전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부; 및
상기 충전부와 연결되어 충전상태를 상기 집전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A current collector for generating a current by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 charging unit which charges electric power by using a current generated by the current collector;
An apparatus unit using power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And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to transmit a charging state to the curren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며 집전부;
상기 차량통신부와 통신하며 충전부의 정보를 전송받는 제1집전통신부;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여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를 상기 급전부로 전송하고 제1집전통신부와 연결된 제2집전통신부; 및
제1집전통신부 및 제2집전통신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집전정도를 제어하는 집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The current collector,
A current collector to generate a current to charge the charging unit by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A first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charging unit;
A second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feeder to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or information to the power feeder,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collector; And
A current collect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urrent collecting degree through signals from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집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전제어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집전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urrent collector,
A current collector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part to adjust a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part through a signal from the current collector control part; ≪ RTI ID = 0.0 >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버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
상기 급전부의 급전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급전 제어부;
상기 차량의 집전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차량충전 제어부; 및
상기 각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인버터 통신부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n inverter controller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inverter;
A feeding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feeding degree of the feeding unit;
A vehicle charging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urrent collecting degree of the vehicle; And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control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버터에서 차량에 공급한 전력량에 따른 요금을 연산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요금은 관리서버 통신부를 통해서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The management server,
A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inverter to the vehicle; More,
The fee calcul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unit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차량통신부와 통신하며 충전부의 정보를 전송받는 제1집전통신부;
급전부와 통신하여 차량정보 및 집전정보를 상기 급전부로 전송하고 제1집전통신부와 연결된 제2집전통신부;
제1집전통신부 및 제2집전통신부와 연결되어 집전정도를 제어하는 집전제어부; 및
상기 집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전제어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통해 상기 집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집전회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A current collector which generates a current under the influen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power supply unit to charge the charging unit;
A first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charging unit;
A second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ng with a power supply unit to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and current collection informa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collector communication unit;
A current collect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a current collecting degree; And
A current collector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part to adjust a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part through a signal from the current collector control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urrent collector.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인버터 통신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급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특정 급전부로 공급할 전력이 부족할 때, 타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타 인버터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통신단과 통신하는 타 인버터로부터 추가 전력을 공급받아 해당하는 급전부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n invert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management serv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witch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power feeding uni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cluding;
The switch unit includes a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inverters to receive power from another inverter when there is insufficient power to supply to a specific feeder, and receives additional power from another inverter communicating with the switch communication terminal Inverte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eed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8543A KR101166867B1 (en) | 2010-09-09 | 2010-09-09 |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8543A KR101166867B1 (en) | 2010-09-09 | 2010-09-09 |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26366A true KR20120026366A (en) | 2012-03-19 |
| KR101166867B1 KR101166867B1 (en) | 2012-07-19 |
Family
ID=461322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885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6867B1 (en) | 2010-09-09 | 2010-09-09 |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6686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365587A (en) * | 2014-08-14 | 2016-03-02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0592B1 (en) | 2019-11-21 | 2022-03-08 | 한국과학기술원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Vehicle Position Based Wireless Charging Inverter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121791A (en) * | 2004-10-20 | 2006-05-1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Noncontact power feeder for vehicle |
| JP4453741B2 (en) | 2007-10-25 | 2010-04-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an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
-
2010
- 2010-09-09 KR KR1020100088543A patent/KR1011668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365587A (en) * | 2014-08-14 | 2016-03-02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9738169B2 (en) | 2014-08-14 | 2017-08-22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
| CN105365587B (en) * | 2014-08-14 | 2019-05-28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For controlling the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wireless charg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66867B1 (en) | 2012-07-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511641B2 (en) |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intelligent driving electric vehicles and charging method thereof | |
| CN104578328B (en) | Intelligent mobile charging automobile system and method | |
| KR101262166B1 (en) | System for Electric Car Charging | |
| KR101827790B1 (en) | Power charging and billing system for moving electric vehicle | |
| US20110031047A1 (en) | In-motion inductive charging system having a wheel-mounted secondary coil | |
| KR20160138114A (e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wireless charging management | |
| CN111201691A (en) | Mobile charging unit, in particular for electric vehicles, and management system for delivering an amount of electricity upon request | |
| CN106505657B (en) | Charging pi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based on user's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 |
| KR10192393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ed vehicle charging | |
| KR101299109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a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 |
| CN101882700A (en) | Judge the method for the remote electrical socket of electro-motive vehicle | |
| KR101192004B1 (en) | System for charging/billing of billing device equipped within electric moving bodies | |
| KR20120109023A (en) | Automatic recharging and fee levy system for electric car | |
| KR101166867B1 (en) |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 |
| JP2014045615A (en) | Charging and generating system for vehicle | |
| JP2013172501A (en) |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method | |
| KR20190056069A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height adjust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 |
| KR2020012025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payment of parking an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 |
| KR10124275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of bycycles | |
| CN108960354A (en) | Battery case location determining method, battery compartment, battery case and battery management main system | |
| JP6097484B2 (en) | Charging system, in-vehicle device, charging device, vehicle | |
| KR20110044006A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 |
| KR20170006752A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battery power between electric vehicles | |
| JP2013172502A (en) |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method | |
| KR10125163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Battery with Non Contact Electromagnetic Inductive Charging in Parking Lo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7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713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7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71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