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47167A -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167A
KR20120047167A KR1020100108888A KR20100108888A KR20120047167A KR 20120047167 A KR20120047167 A KR 20120047167A KR 1020100108888 A KR1020100108888 A KR 1020100108888A KR 20100108888 A KR20100108888 A KR 20100108888A KR 20120047167 A KR20120047167 A KR 20120047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device
notification signal
extinguisher
fire al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474B1 (ko
Inventor
오재응
임익순
이민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4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 경보 장치가 개시된다. 소화기의 위치 및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려주는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센서부; 화재를 감지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센서부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 상기 제1 화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화재 센서부에서 화재를 감지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화기 위치 알림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 중 서로 다른 2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화재 확산 방향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경보 장치의 순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FIRE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ING DIRECTION OF FIRE EXTENSION}
본 발명은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의 위치 및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려주는 장치 및 화재의 확산 방향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자연재해와 달리 인간의 부주의에 의해 일어난다. 화재의 발생시 초기 진압은 작은 불에서 큰 불로 번져 참사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초기 진압에 유용한 것이 소화기 이다.
그러나 화재 발생시 평소 소화기를 인지하지 않던 사람들이 소화기를 찾아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소화기의 위치를 평소 인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갑작스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인지 능력의 저하로 소화기를 찾아 화재를 진압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재 경보 장치의 원리는 화재 감지기의 작동 시 화재 경보 장치에 화재 신호가 입력이 되고 그에 따라 경고음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는 측광도료를 이용한 스티커 부착방식으로서 대부분 소방 대상물에는 측광도료를 이용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 경보 장치의 경우 화재를 감지한 수신기에 연결된 소화기만이 식별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의 경우 어두운 환경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측광도료)의 확인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를 발견한다 하더라도 화재의 발화점을 모르거나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지 못해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그비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화기의 위치를 알리는 동시에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려주는 화재 경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재의 확산 방향을 이용하여 탈출 경로를 표시하는 화재 경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의 위치 및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려주는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려주는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센서부; 화재를 감지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센서부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 상기 제1 화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화재 센서부에서 화재를 감지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화기 위치 알림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 중 서로 다른 2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화재 확산 방향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소화기 위치 알림부는 상기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센서부는 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조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는 상기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는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는 상기 2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화재 알림 신호의 수신 순서 및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온/오프하여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주변의 평면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주변의 평면도 상에 상기 LED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주변에서 상기 소화기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이용하여 건물에서의 탈출 방향을 표시해주는 탈출 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재로 인해 상용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경보 장치 주변에 상기 소화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소화기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소화기 위치 알림부는 상기 소화기 인식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존재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화기에는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 인식부는 상기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소화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경보 장치에서의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된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향의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는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의 수신 순서 및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기의 위치 알림을 통해 사용자의 신속한 소화기 인지를 가능하게 하고,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경보 장치의 순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용이해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화재 경보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100)는, 화재 센서부(102), 통신부(104),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 탈출 방향 표시부(112), 보조 전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화재 센서부(102)는 화재를 감지한다. 화재 센서로는 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조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경보 장치(100)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열 감지 센서는 건물 안의 열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급격한 열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온도를 측정 하는 것으로서 온도의 변화에 응답하는 센서를 말한다. IC 온도 센서, 서미스터(thermistor) 등이 주로 사용된다. 온도 센서에서는 미리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50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가스 감지 센서는 가스 감지 가스 누출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특정 가스를 포획하는 입자를 도포한 반도체나, 특정 가스 입자를 포획하면 고유 진동에 영향을 받도록 설계된 진동자형이 사용된다.
연기 감지 센서는 건물 내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조도 감지 센서는 화재 발생시 연기로 인해 실내가 어두워졌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화재 센서부(102)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화재의 발생을 다른 화재 경보 장치에 알리기 위한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부(104)는 제1 화재 방생 알림 신호를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미도시)에 송신하거나 화재를 감지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는 다른 화재 경보 장치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발생되는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화재 경보 장치는 본 발명의 화재 경보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 것을 본다.
일례로서, 통신부(104)는 지그비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송신하거나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지그비 통신 모듈이란 저전력, 저가격, 사용의 용이성을 가진 근거리 무선센서네트워크의 대표적 기술의 하나로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5 표준 중 하나를 말하며, 듀얼 PHY 형태로 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DS-SS)이며, 는 20~250kbps이다.
지그비 통신 모듈은 저전력 소모, 시스템 구성의 저비용, 많은 네트워크 노드의 수용, 비교적 간단한 프로토콜 구조 등의 특징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04)는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와 함께 화재 경보 장치(100)의 주소 값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와 함께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는 화재 센서부(102)에서 화재를 감지하거나 통신부(104)가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준다.
화재 경보 장치(100)는 소화기를 구비하는 소화전이나 소화기가 설치된 위치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람들은 소화전 내지 벽면에 설치된 화재 경보 장치(100)에 부착되어 있는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에서 발생하는 알람을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는 소화기의 위치 알림을 위해 경고등을 반복적으로 온/오프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경고음은 비프음(beep)일 수도 있고, 소화기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는 화재 경보 장치(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는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화재를 인식한 화재 경보 장치(100)의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를 작동시켜 소화기의 위치를 알린다.
이는 화재 발생시 건물에 설치된 모든 화재 경보 장치(100)의 소화기 알림을 작동 시키는 경우 어느 소화기가 화재 발생지에서 근접한 소화기인지를 사람들이 인식 할 수 없어 화재의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화재 경보 장치(100)를 작동시켜 소화기 위치를 알림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주변의 소화기를 빠르게 찾아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를 감지하지 않고,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한 화재 경보 장치(100)의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화재를 인식한 화재 경보 장치(100)의 경우에는 소화기 알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화재를 감지한 화재 경보 장치(100) 주위에 설치된 소화기에 화재로 인해 접근 하기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소화기에 접근하더라도 화재로 인해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를 감지한 적이 없고 화재를 감지한 화재 경보 장치(100)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를 작동시킴으로써 안전하게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화재 발생시 주변 화재 경보 장치에서 소화기 알림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화재 경보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화재 경보 장치(201)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센서부(102)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는 제1 화재 경보 장치(201)가 설치된 곳에 존재하는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제1 화재 경보 장치(201)는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발생 알림 신호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통신부(104)는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제1 화재 경보 장치(201)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제2 화재 경보 장치(202) 및 제5 화재 경보 장치(205)로 전송한다.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 받은 제2 화재 경보 장치(202) 및 제5 화재 경보 장치(205)는 각각의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를 통해 제2 화재 경고 장치(202)와 제5 화재 경보 장치(205)가 설치된 곳에 존재하는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제2 및 제5 화재 경보 장치(202,205)는 제1 화재 경보 장치(201)에 인접한 장치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7 화재 경보 장치(207)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3 화재 경보 장치(203), 제6 화재 경보 장치(206), 제8 화재 경보 장치(208) 및 제11 화재 경보 장치(211)에서도 각각의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를 통해 소화기 위치 알림이 발생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는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한다.
화재의 확산 방향 분석은 중앙서버를 두고 방향 분석을 하는 것이 아닌 복수의 화재 경보 장치(100)들간의 개별적인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한 화재 경보 장치(100)가 2 이상이라는 뜻이며 따라서 화재가 화재의 시작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는 이러한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의 수신된 순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제2 화재 발생 신호와 함께 통신부(104)에 수신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에서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4 화재 경보 장치(204)의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에서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화재의 제1 화재 경보 장치(201)의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제2 화재 경보 장치의 주변으로 화재가 확산된 경우 제3 화재 경보 장치(203) 및 제4 화재 경보 장치(204)의 통신부(104)는 제1 화재 경보 장치(201)로부터 제1 화재 경보 장치(201)의 주소 값을 수신 받은 후 제2 화재 경보 장치(202)로부터 제2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순차적으로 수신 받게 된다.
제3 화재 경보 장치(203)의 통신부(104)에 제3 화재 경보 장치(203)의 좌측에 주소 값을 가진 제1 화재 경보 장치(201)의 주소 값이 우선 수신되고, 제1 화재 경보 장치(201)와 제3 화재 경보 장치(203)의 사이의 주소 값을 가진 제2 화재 경보 장치(202)의 주소 값이 수신되므로 화재의 확산 방향은 제3 화재 경보 장치(203)의 좌측으로부터 제3 화재 경보 장치(203)의 방향으로 확산됨을 알 수 있다.
제4 화재 경보 장치(204)의 경우에도 제3 화재 경보 장치(203)에서의 화재 방향 분석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제4 화재 경보 장치(204)의 좌측으로부터 제4 화재 경보 장치(204)의 방향으로 화재가 확산됨을 분석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는 상기와 같이 분석된 화재의 방향을 표시한다.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 할 수 있으며 LED 의 온/오프를 통해 화재의 확산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LED는 화재로 인한 연기 속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점멸 및 직진성이 강한 고휘도 LE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는 건물의 평면도 상에 설치된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평면도 상에 LED가 설치된 위치는 화재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평면도는 건물에 대해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주변의 평면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주변의 평면도 상에 상기 LED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주변에서 상기 소화기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의 LED를 온/오프 하여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고,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의 LED를 순차적으로 온/오프 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의 LED의 색상과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의 LED의 색상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탈출 방향 표시부(112)는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에서 분석된 화재의 확산 방향을 이용하여 건물에서의 탈출 방향을 표시해준다. 탈출 방향 표시부(112)를 통해 화재 경보 장치(100)는 화재의 확산 방향과 함께 탈출 방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탈출 방향 표시부(112)는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로부터 수신 받은 화재의 발생 지점과 화재의 확산 방향을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 지점과 확산 방향을 피하여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안전한 탈출 방향을 표시하여 준다.
이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불가능할 정도로 화재가 많이 확산 된 경우 무리하게 소화기를 통해 화재를 진압하기 보다는 안전한 경로로 탈출을 꾀하는 것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탈출 방향의 표시부(112)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LED의 온/오프를 통해 사용자가 탈출 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출 방향 표시부는(112) 건물의 상에 설치된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재 위치와 탈출 경로에 대해 LED를 온/오프 하여 사용자의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출 방향 표시부(112)는 건물의 평면도에 상에 설치된 LED로 구성된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와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재 위치, 화재 확산 방향, 탈출 경로에 대해 LED를 온/오프 하여 함께 표현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114)는 화재로 인해 상용 전원이 차단된 경우 화재 경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보조 전원부(114)는 일반적인 AA 또는 AAA사이즈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고 상용 전원이 차단 되는 경우에는 충전 배터리를 이용하여 화재 경보 장치(100)를 작동 시킨다.
소화기 인식부(114)는 화재 경보 장치(100)의 주변에 소화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소화기는 이동식 또는 휴대성이 있는 장치로서 소화기를 설치한 곳에 화재 경보 장치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화재 발생 당시에는 소화기의 분실 또는 이동으로 화재 경보 장치(100)의 주변에 소화기가 없을 수가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비상 상황에서 빠른 소화기의 위치 파악과 소화기를 통한 초기 진압이 중요하므로 만약 소화기가 분실된 곳의 화재 경보 장치(100)로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소화기 위치 알림부(106)는 상기 소화기 인식부(116)에서 상기 소화기의 존재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소화기 인식부(116)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소화기를 통해 소화기를 인식할 수도 있다.
무선주파수인식(RFID) 기술은 초기에 미국에서 군사용으로 아군의 비행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현재는 생활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RFID 태그에는 초소형칩을 내장시켜 이를 무선 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소화기 인식부(116)는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RFID 태그가 장착된 소화기를 감지하여 소화기의 존재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FID 태그에 소화기의 내구연환, 충약시기, 불량여부, 점검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소화기 인식부(116)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인식하여 화재 발생시 소화기 알림부(106)를 작동 시킬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어 있다.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110)가 L4, L5, L6의 LED를 순차적으로 온/오프 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 ←쪽 방향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L2, L5, L8의 LED를 순차적으로 온/오프 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 ↓쪽 방향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L1, L5, L9의 LED를 순차적으로 온/오프 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 ↘쪽 방향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L3, L5, L7의 LED를 순차적으로 온/오프 하는 경우에는 불이 ↗, ↙쪽 방향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통신 유지 알림부(401)는 복수의 화재 경보 장치(100)의 통신부(104)간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린다. 통신 유지 알림부(401)는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오프 됨으로써 정상 통신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S500)에서는 통신부(104)가 화재를 감지한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
화재 발생 알림 신호에는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510)에서는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는 복수의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한다.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08)는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재 발생 알림 신호의 수신 순서 및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먼저 수신된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과 차후에 수신된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비교하여 화재가 확산되어 오는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화재 경보 장치102: 화재 센서부
104: 통신부106: 소화기 위치 알림부
108: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110: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
112: 탈출 방향 표시부114: 보조 전원부
116: 소화기 인식부
201: 제1 화재 경보 장치202: 제2 화재 경보 장치
203: 제3 화재 경보 장치204: 제4 화재 경보 장치
205: 제5 화재 경보 장치206: 제 6 화재 경보 장치
207: 제7 화재 경보 장치208: 제 8 화재 경보 장치
211: 제11 화재 경보 장치401: 통신 유지 알림부

Claims (16)

  1. 화재 경보 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제1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센서부;
    화재를 감지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센서부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 상기 제1 화재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된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센서부에서 화재를 감지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화기 위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 경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위치 알림부는
    미리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위치 알림부는
    상기 화재 경보 장치가 화재를 감지 하지 않고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제 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는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확산 방향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화재 알림 신호의 수신 순서 및 상기 제2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화재 확산 방향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 확산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온/오프하여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주변의 평면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주변의 평면도 상에 상기 LED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주변에서 상기 소화기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이용하여 건물에서의 탈출 방향을 표시해주는 탈출 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경보 장치 주변에 상기 소화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소화기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위치 알림부는 상기 소화기 인식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존재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에는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 인식부는 상기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소화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장치.
  14. 화재 경보 장치에서의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한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된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향의 분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는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향의 분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다른 화재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의 수신 순서 및 상기 화재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한 다른 화재 경보 장치의 주소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재의 확산 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향의 분석 방법.
KR1020100108888A 2010-11-03 2010-11-03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4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88A KR101146474B1 (ko) 2010-11-03 2010-11-03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88A KR101146474B1 (ko) 2010-11-03 2010-11-03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167A true KR20120047167A (ko) 2012-05-11
KR101146474B1 KR101146474B1 (ko) 2012-05-21

Family

ID=4626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8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6474B1 (ko) 2010-11-03 2010-11-03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47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75A1 (ko) * 2015-02-27 2016-09-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05711A (ko) * 2015-02-27 2016-09-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131320A1 (ko) * 2016-01-25 2017-08-03 임인택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CN111751406A (zh) * 2020-07-02 2020-10-09 应急管理部沈阳消防研究所 一种火灾蔓延方向的量化鉴定方法
KR20210064777A (ko) * 2019-11-26 2021-06-03 경상남도 대피 경로 제공 시스템
KR20230123335A (ko) * 2022-02-16 2023-08-23 김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피난안내도
KR102576716B1 (ko) * 2022-03-10 2023-09-11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내진, 전자파 차폐,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고, 케이블트레이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재해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2580324B1 (ko) * 2022-12-16 2023-09-20 주식회사 더정진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KR20240008587A (ko) 2022-07-12 2024-01-19 한국전력공사 화재 대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93A (ko) 2021-06-08 2022-12-15 케이에스이씨 주식회사 수소가스 위험시설물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85A (ko) * 2000-03-30 2001-11-01 오종환 무선형 화재탐지 장치
KR100549232B1 (ko) * 2003-05-13 2006-02-03 (주)해도옵틱스 비상대피유도장치
KR100628837B1 (ko) * 2003-10-21 2006-09-27 (주)웰텍코리아 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4794A (ko) * 2008-04-30 2009-11-04 (주)브로드웨이브 지능형 산불확산 추적 검지 기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75A1 (ko) * 2015-02-27 2016-09-0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05711A (ko) * 2015-02-27 2016-09-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131320A1 (ko) * 2016-01-25 2017-08-03 임인택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CN108780598A (zh) * 2016-01-25 2018-11-09 林仁泽 用于无线灾害火灾探测和犯罪预防的具有便携式灯的社会安全网络系统
US10553086B2 (en) 2016-01-25 2020-02-04 In Taek Lim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20210064777A (ko) * 2019-11-26 2021-06-03 경상남도 대피 경로 제공 시스템
CN111751406A (zh) * 2020-07-02 2020-10-09 应急管理部沈阳消防研究所 一种火灾蔓延方向的量化鉴定方法
CN111751406B (zh) * 2020-07-02 2023-05-30 应急管理部沈阳消防研究所 一种火灾蔓延方向的量化鉴定方法
KR20230123335A (ko) * 2022-02-16 2023-08-23 김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피난안내도
KR102576716B1 (ko) * 2022-03-10 2023-09-11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내진, 전자파 차폐,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고, 케이블트레이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재해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20240008587A (ko) 2022-07-12 2024-01-19 한국전력공사 화재 대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0324B1 (ko) * 2022-12-16 2023-09-20 주식회사 더정진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WO2024128652A1 (ko) * 2022-12-16 2024-06-20 주식회사 더정진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474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US118426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man-down alarms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WO2017035928A1 (zh) 智能报警系统及方法
CN206133827U (zh) 一种室内应急逃生导航装置
KR101332414B1 (ko)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JP7376162B2 (ja) 人工知能連動知能型災難安全管理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方法を遂行するシステム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WO2016137195A1 (ko) 축압식 소화기의 상시 압력 감지장치
KR101783003B1 (ko)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00128482A (ko) 생체 정보 반응형 휴대용 조명등
KR20180023118A (ko) 화재감지 시스템
CN106323287A (zh) 一种安全逃生路线选择系统及安全逃生路线选择方法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KR20130120279A (ko)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 시스템
Okeke et al. Design and simulation of gas and fire detector and alarm system with water sprinkle
JP6439016B1 (ja) 警報システム
JP7507937B2 (ja) 携帯情報端末
KR20050102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냄새 식별 장치
CN108806141B (zh) 一种紧急逃生系统的控制方法
CN109712352A (zh) 消防救援的指引系统及方法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50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