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48223A -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223A
KR20120048223A KR1020100109743A KR20100109743A KR20120048223A KR 20120048223 A KR20120048223 A KR 20120048223A KR 1020100109743 A KR1020100109743 A KR 1020100109743A KR 20100109743 A KR20100109743 A KR 20100109743A KR 20120048223 A KR20120048223 A KR 20120048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quinazolin
anilino
sulfonyl
substitu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철규
김종우
윤정혁
이상욱
김남두
정윤성
이윤호
박상진
신중철
양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큐스앤자루
(주) 비엔씨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큐스앤자루, (주) 비엔씨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큐스앤자루
Priority to KR102010010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223A/ko
Publication of KR2012004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2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86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39/94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이 적으므로, C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3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2-Phenyl-4-[3-(substituted-sulfonyl)arylino]quinazoline derivatives, pha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e hepatitis C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HCV는 플라비바이러스 (flavivirus)에 속하는 바이러스로서 1989년 그 유전자의 일부가 동정되기 까지 비 A형, 비 B형 간염의 주요 병원균으로 알려졌다. HCV는 만성간염, 간경변과 간암을 일으킨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약 2억명 이상이 HCV에 감염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CV는 약 9.6 kb의 (+)-sense single strand RNA를 게놈으로 가지며, 한 개의 다단백질(poly-protein)으로부터 약 10종의 구조/비구조(structural/ non-structural)단백질을 만든다.
HCV 게놈은 IRE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가 속해 있는 5'-말단의 비해독 부위 (NCR, non-coding region), 구조 및 비구조 단백질을 암호화 하는 ORF (Open Reading Frame), 그리고 3'-말단의 비해독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러스 게놈의 아미노 말단은 바이러스 구조 단백질인 중심 항원 유전자(Core), E1, E2를 만들고 나머지 부위는 비구조 단백질을 만들게 된다. 중심 항원 유전자는 바이러스의 캡시이드(Capsid) 단백질, E1과 E2는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로 되어 있고 이들 단백질은 내형질쇄막(endoplasmic reticulum)에 있는 신호 펩티드 분해효소(signal peptidase)에 의해 분리된다. 비구조 단백질은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 (serine protease)인 NS3와 보조인자(cofactor)인 NS4A에 의해 분리된다. NS5B는 RNA-의존적인 RNA 중합효소(RNA-dependent RNA polymerase) 기능을 갖고 있으며 바이러스 복제에 가장 중요한 효소이다.
HCV에 의한 감염은 수혈 및 지역 특이적 전염(community-acquired)에 의해 일어나고, 신장 투석에 의해 약 70% 정도가 감염된다는 보고가 있다. HCV에 감염이 되면 약 20% 정도가 5년 내에 간경화를 수반한 급성 간염을 일으키게 되고 간암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Davis et al, New. Engl. J. Med., 321, 1501, 1989; Alter et al, in Current Pespective in Hepatology, p83, 1989) 이러한 높은 만성 감염율은 RNA 바이러스에서 보기 드문 일로서 HCV가 높은 비율의 간암을 일으키는 매개체임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모든 혈액에 대해서 HCV 검사가 잘 이루어지고 있어 수혈로 인한 감염은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지역 특이적 감염은 아직 조절할 수가 없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역학적으로 볼 때 HCV는 HBV와 달리 전 세계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전 세계 인구의 1.5~2%가 감염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HCV에 감염되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인데 간경화 및 간암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B형보다 상당히 높다. C형은 분류학적으로도 B형과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과에 속하기 때문에 B형 백신으로는 예방이 불가능하며 알파-인터페론(α-IFN)으로 치료를 시도하고 있으나 유전형에 따라 반응이 현저히 다르고 효과가 극히 미약하다. 특히 많은 수가 감염되어 있는 유전형 1b(genotype 1b)의 경우 알파-인터페론 치료 효과가 가장 미약하다.
HCV는 1989년 처음으로 클로닝에 의해 RNA 게놈(genome)이 분리된 이후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HCV 감염에 대한 치료제로, 인터페론과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 병용요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율이 낮고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그 효과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HCV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추가의 화합물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및 독성이 적고, HCV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에서 HCV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치환기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혀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이 적으므로, C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고;
R2는 -NR3R4 이거나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H2)n-R5로 치환된 3~12원의 모노 또는 바이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비치환 또는 할로겐,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및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C5~C10의 아릴; 비치환 또는 CN으로 치환된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고리 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3~12원의 모노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고리 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3~12원의 헤테로 아릴; C5~C10의 아릴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고리 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3~12원의 헤테로 사이클로알킬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5는 모노, 바이 또는 트리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이고, 이때 상기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및 헤테로 아릴은 고리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F, Cl, Br,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고;
R2는 -NR3R4 이거나 비치환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벤질로 치환된 아제판,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티오모르폴린, 아지리딘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비치환 또는 Cl, Br, 메톡시 또는 에톡시로 치환된 페닐, 메틸, 에틸, 프로필, 시아노메틸, 시아노에틸, 시아노프로필, 모르폴리노메틸, 모르폴리노에틸, 모르폴리노프로필, 티아졸릴 메틸, 티아졸릴 에틸, 티아졸릴 프로필 또는 아다만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Cl,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2는 -NR3R4 이거나 아제판, 모르폴린, 피페리딘, 비치환 또는 메틸 또는 벤질로 치환된 피롤리딘, 메틸 피페라진, 티오몰포르린 또는 아지리딘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에틸, 페닐, 프로필 시아나이드, 모르폴리노 에틸, Cl 또는 메톡시로 치환된 벤질, 티아졸릴 메틸, 아다만탄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체적인 화합물로는 다음과 같다.
1) 2-페닐-4-[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2) 2-페닐-4-[(3-디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3) 2-페닐-4-[(3-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4)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5)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6) 2-페닐-4-[(3-모르포리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
7) 2-페닐-4-[(3-피롤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8) 2-페닐-4-[3-(1,3,3-트리메틸-6-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6-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9) 2-페닐-4-[3-(4-메틸피페라진-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0) 2-페닐-4-[(3-아닐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1) 2-페닐-4-[3-(2-시아노에틸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2) 2-페닐-4-[3-(4-메틸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3)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톡시아닐리노]퀴나졸린;
14) 2-페닐-4-[3-(4-메틸-1,4-디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5) 2-페닐-4-[3-(티오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6) 2-페닐-4-[3-(2-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7) 2-페닐-4-[3-(아지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8) 2-페닐-4-[3-(3-클로로-4-메톡시벤질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9)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
20) 2-페닐-4-[3-(4-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21) 2-페닐-4-[3-(4-벤질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22)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23)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및
24)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표현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떨어뜨리지 않는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어떠한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들 염은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타르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옥살산, (D) 또는 (L) 말산, 말레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4-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벤조산 또는 말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은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스파테이트, 벤즈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메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큐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하이벤제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디드/요오디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알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라이신, 라이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아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아연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의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용매 하에서 화학식 3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1의 용매는 C1~C4의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독 또는 혼합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반응 용매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식 1의 반응은 0 내지 80 ℃에서 1 내지 24시간 또는 50 내지 80 ℃에서 1 내지 3일 동안 진행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응식 1의 출발물질인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화학식 6의 니트로 화합물을 팔라듐/수소 조건 하에서 환원시켜 화학식 3의 아민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4
(상기 반응식 2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반응식 2의 출발물질인 화학식 4 및 화학식 5의 화합물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거나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합성하여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은 생체외(in vitro) 실험에서 HCV RNA 중합효소에 대하여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은 생체외(in vitro) 실험에서 HCV RNA 레플리콘에 대하여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표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는 C형 간염을 유발시키는 HCV RNA 중합효소 및 HCV RNA 레플리콘에 대하여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므로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1-(2- 메틸 -5- 니트로페닐설포닐 ) 아제판의 제조
Figure pat00005

2-메틸 5-니트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5 g, 21.2 mmol)와 트리에틸아민(2.6 g, 25.4 m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헥사메틸렌이민(2.2 g, 22.6 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물로 씻어 주고,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에테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인 1-(2-메틸-5-니트로벤젠설포닐)아제판(5.4 g)을 78%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MHz): δ : 1.60-1.81 (m, 8H), 2.75 (s, 3H), 3.41-3.44 (m, 4H), 7.50-7.52 (m, 1H), 8.26-8.28 (m, 1H), 8.60 (s, 3H).
< 제조예 2> 3-( 아제판 -1- 일설포닐 )-4- 메틸아닐린의 제조
Figure pat00006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1-(2-메틸-5-니트로벤젠설포닐)아제판(1 g, 3.25 mmol)과 팔라듐 카본(0.1 g, 0.334 mmol)을 메탄올에 녹인 후 수소하에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액을 여과한 후 잔사를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표제 화합물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시켰다.
< 제조예 3> 1-(2- 클로로 -5- 니트로벤젠설포닐 )피페리딘의 제조
Figure pat00007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2-클로로-나이니트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0.3 g, 1.17 mmol)과 트리에틸아민(0.14 g, 1.4 mmol)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피페리딘(0.1 g, 1.23 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물로 씻어 주고,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에테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2-클로로-5-니트로벤젠설포닐)피페리딘(0.3 g)을 83%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MHz): δ : 1.49-1.78 (m, 6H), 3.12-3.15 (m, 2H), 3.33-3.35 (m, 2H), 7.71-7.73 (m, 1H), 8.31-8.34 (m, 1H), 8.75-8.91 (m, 1H).
< 제조예 4> 4- 클로로 -3-(피페리딘-1- 일설포닐 )아닐린의 제조
Figure pat00008

상기 제조예 3에서 수득한 1-(2-클로로-5-니트로벤젠설포닐)피페리딘(1 g, 3.25 mmol)과 팔라듐 카본(0.1 g, 0.334 mmol)을 메탄올에 녹인 후 수소 하에서 2시간 동안 실온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반응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표제 화합물 4-클로로-3-(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시켰다.
< 실시예 1> 2- 페닐 -4-[3-( 아제판 -1- 일설포닐 -4- 메틸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09

4-클로로-2-페닐퀴나졸린(0.25 g, 1.04 mmol)과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수득한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0.292 g, 1.09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10 mL)에 녹인 후 7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20 mL를 가하여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 2-페닐-4-[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0.386 g)을 73%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4.43 (bs, 1H), 11.62 (bs, 1H), 8.77 (d, J = 7.6 Hz, 1H), 8.70 (m, 1H), 8.52 (d, J = 7.3 Hz, 2H), 8.29 (d, J = 8.6 Hz, 1H), 8.22 (d, J = 6.6 Hz, 1H), 7.65 (m, 1H), 7.59 (t, J = 7.1 Hz, 2H), 7.39-7.47 (m, 2H), 3.47 (t, J = 5.8 Hz, 4H), 2.62 (s, 3H), 1.65 (m, 8H).
< 실시예 2> 2- 페닐 -4-[(3- 디에틸아미노 - 설포닐 -4- 메틸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0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디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디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75%).
1H-NMR (400MHz, CDCl3) δ 14.38 (bs, 1H), 11.59 (bs, 1H), 8.72 (d, J= 7.6 Hz, 1H), 8.60 (m, 1H), 8.41 (d, J = 7.3 Hz, 2H), 8.16 (d, J = 8.6 Hz, 1H), 8.09 (d, J = 6.6 Hz, 1H), 7.54 (m, 1H), 7.48 (t, J = 7.1 Hz, 2H), 7.27-7.36(m, 2H), 3.37 (q, 4H), 2.52 (s, 3H), 1.02 (m, 6H).
< 실시예 3> 2- 페닐 -4-[(3- 모르포리노설포닐 -4- 메틸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1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4-메틸-3-(모르포리노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80%).
1H-NMR (400MHz, DMSO-d6) δ 8.81 (d, J = 8.4 Hz, 1H), 8.59 (s, 1H), 8.41 (d, J = 7.4 Hz, 2H), 8.14-8.13 (m, 3H), 7.81 (t, J= 7.6 Hz, 1H), 7.59-7.67 (m, 4H), 3.60 (t, J = 4.9 Hz, 4H), 3.07 (t, J = 4.6 Hz, 4H), 2.62 (s, 3H).
< 실시예 4> 2- 페닐 -4-[(3-피페리딘-1- 일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2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85%).
1H-NMR (400 MHz, DMSO-d6) δ 8.81 (d, J = 7.8 Hz, 1H), 8.58 (s, 1H), 8.41 (d, J = 7.1 Hz, 2H), 8.21 (d, J= 7.8 Hz, 1H), 8.04-8.12 (m, 2H), 7.76-7.82 (m, 2H), 7.58-7.66 (m, 4H), 2.95 (m, 4H), 1.36-1.52 (m. 6H).
< 실시예 5> 2- 페닐 -4-[(3-피페리딘-1- 일설포닐 -4- 메틸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3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4-메틸-3-(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80%).
1H-NMR (400 MHz, DMSO-d6) δ 8.76 (d, J = 8.6 Hz, 1H), 8.58 (s, 1H), 8.40 (d, J = 7.3 Hz, 2H), 7.98-8.08 (m, 3H), 7.78-7.86 (m, 3H), 7.59 (m, 2H), 3.10 (m, 4H), 2.59 (s, 3H), 1.50 (m, 6H).
< 실시예 6> 2- 페닐 -4-[(3- 모르포리노설포닐 -4- 클로로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4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4-클로로-3-(모르포리노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모르포리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85%).
1H-NMR (400 MHz, DMSO-d6) δ 8.90 (s, 1H), 8.69 (d, J = 8.2 Hz, 1H), 8.46 (d, J = 7.4 Hz, 2H), 8.26 (d, J = 8.8 Hz, 1H), 8.01 (m, 2H), 7.84 (d, J = 8.9 Hz, 1H), 7.75 (m, 1H), 7.57 (m, 3H), 3.62 (t, J = 5.0 Hz, 4H), 3.21 (t, J= 4.4 Hz, 4H).
< 실시예 7> 2- 페닐 -4-[(3- 피롤리딘 -1- 일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5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피롤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피롤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80%).
1H-NMR (400 MHz, DMSO-d6) δ 8.89 (d, J = 8.0 Hz, 1H), 8.63 (s, 1H), 8.41 (d, J = 7.5 Hz, 2H), 8.21 (d, J= 8.0 Hz, 2H), 8.08 (t, J= 7.2 Hz, 1H), 7.76-7.84 (m, 2H), 7.66-7.72 (m, 2H), 7.61 (t, J= 7.3 Hz, 2H), 3.20 (t, J = 6.3 Hz, 4H), 1.65 (m, 4H).
< 실시예 8> 2- 페닐 -4-[3-(1,3,3- 트리메틸 -6- 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6-일- 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6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1,3,3-트리메틸-6-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6-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1,3,3-트리메틸-6-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6-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0%).
1H-NMR (400 MHz, DMSO-d6) δ 8.85 (s, 1H), 8.81 (m, 1H), 8.57 (d, J = 7.3 Hz, 2H), 8.43 (d, J= 7.7 Hz, 1H), 8.29 (d, J = 8.4 Hz, 1H), 7.77 (d, J = 7.4 Hz, 1H), 7.61-7.68 (m, 4H), 7.43 (t, J = 6.9 Hz, 1H), 7.27 (m, 2H), 4.19 (m, 1H), 3.37 (d, J = 9.4 Hz, 1H), 2.88 (d, J = 9.3 Hz, 1H), 1.52 (d, J = 14.16 Hz, 1H), 1.35 (d, J = 14.36 Hz, 1H), 1.26 (m, 2H), 1.25 (s, 3H), 1.13 (bs, 2H), 0.95 (s, 3H), 0.93 (s, 3H).
< 실시예 9> 2- 페닐 -4-[3-(4- 메틸피페라진 -1- 일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7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4-메틸피페라진-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4-메틸피페라진-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9%).
1H-NMR (400 MHz, DMSO-d6) δ 10.16 (s, 1H), 8.78 (m, 1H), 8.62 (d, J = 8.4 Hz, 1H), 8.51 (m, 2H), 8.28 (d, J = 8.2 Hz, 1H), 7.91 (d, J = 4.0 Hz, 2H), 7.74 (t, J = 8.0 Hz, 1H), 7.65-7.69 (m, 1H), 7.48-7.52 (m, 4H), 2.97 (m, 4H), 2.38 (m, 4H), 2.13 (s, 3H).
< 실시예 10> 2- 페닐 -4-[(3- 아닐리노 - 설포닐 )-4- 메틸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8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아닐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아닐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2%).
1H-NMR (400 MHz, DMSO-d6) δ 10.16 (s, 1H), 8.78 (m, 1H), 8.62 (d, J = 8.4 Hz, 1H), 8.51 (m, 2H), 8.28 (d, J = 8.2 Hz, 1H), 7.91 (d, J = 4.0 Hz, 2H), 7.74 (t, J = 8.0 Hz, 1H), 7.65-7.69 (m, 1H), 7.48-7.52 (m, 9H), 2.97 (m, 4H), 2.38 (m, 4H), 2.13 (s, 3H).
< 실시예 11> 2- 페닐 -4-[3-(2- 시아노에틸아미노 )- 설포닐)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19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2-시아노에틸아미노)-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2-시아노에틸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5%).
1H-NMR (400 MHz, DMSO-d6) δ 8.14 -8.18 (m, 3H), 7.82 -7.85 (m, 2H), 7.73-7.75 (m, 2H), 7.60-7.75 (m, 5H), 2.50-3.50 (m, 4H).
< 실시예 12> 2- 페닐 -4-[3-(4- 메틸피페리딘 -1- 일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0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4-메틸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4-메틸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90%).
1H-NMR (400 MHz, DMSO-d6) δ 8.66-8.72 (m, 3H), 8.43-844 (m, 2H), 8.21-8.23 (m, 1H), 8.01 (s, 1H), 7.75-7.76 (m, 6H), 3.64-3.67 (m, 4H), 2.34 (s, 3H), 0.82-1.23 (7H).
< 실시예 13> 2- 페닐 -4-[3-(피페리딘-1- 일설포닐 )-4- 메톡시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1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톡시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0%).
1H-NMR (400 MHz, DMSO-d6) δ 8.39-8.89 (m, 4H), 8.05-8.28 (m, 3H), 7.83-7.87 (m, 2H), 7.40-7.61 (m, 4H), 3.94 (s, 3H), 3.15 (s, 4H), 1.51-1.80 (m, 6H).
< 실시예 14> 2- 페닐 -4-[3-(4- 메틸 -1,4- 디아제판 -1- 일설포닐 )-4- 메틸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2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4-메틸-1,4-디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4-메틸-1,4-디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5%).
1H-NMR (400 MHz, CDCl3) δ 8.55-8.58 (m, 2H), 8.47 (d, J =7.3Hz, 1H), 8.11-8.13 (m, 1H), 7.93-8.04 (m, 2H), 7.82-7.86 (m, 1H), 7.63 (s, 1H), 7.40-7.60 (m, 6H), 3.45-3.54 (m, 4H), 2.64 (s, 7H), 2.35 (s, 3H), 1.84-1.90 (m, 2H).
< 실시예 15> 2- 페닐 -4-[3-( 티오모르포리노설포닐 )-4- 메틸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3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티오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티오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90%).
1H-NMR (400 MHz, DMSO-d6) δ 8.81 (d, J = 8.4 Hz, 1H), 8.59 (s, 1H), 8.41 (d, J = 7.4 Hz, 2H), 8.14-8.13 (m, 3H), 7.81 (t, J= 7.6 Hz, 1H), 7.59-7.67 (m, 4H), 3.60 (t, J = 4.9 Hz, 4H), 3.12 (t, J = 4.6 Hz, 4H), 2.62 (s, 3H).
< 실시예 16> 2- 페닐 -4-[3-(2- 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 ) 설포닐 -4- 메틸아닐리노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4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2-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2-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3%).
1H-NMR (400 MHz, DMSO-d6) δ 8.69-8.82 (m, 2H), 8.47-8.49 (m, 2H), 7.97-8.17 (m, 4H), 7.54 -7.72 (m. 5H), 3.71-3.90 (m, 4H), 3.03-3.92 (m, 8H), 2.63 (s, 3H).
< 실시예 17> 2- 페닐 -4-[3-(아지리딘-1- 일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5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아지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아지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90%).
1H-NMR (400 MHz, DMSO-d6) δ 8.65-8.78 (m, 2H), 8.45-8.46 (m, 2H), 8.01-8.13 (m, 3H), 7.56-7.76 (m, 5H), 2.82-2.89 (m. 4H).
< 실시예 18> 2- 페닐 -4-[3-(3- 클로로 -4- 메톡시벤질아미노 - 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6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3-클로로-4-메톡시벤질아미노-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3-클로로-4-메톡시벤질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0%).
1H-NMR (400 MHz, DMSO-d6) δ 8.15-8.18 (m, 3H), 8.33-8.35 (m, 1H), 7.80-7.86 (m. 3H), 7.50-7.60 (m, 6H), 5.31 (s, 2H), 3.5 (s, 3H).
< 실시예 19> 2- 페닐 -4-[3-(피페리딘-1- 일설포닐 )-4- 클로로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7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피페리딘-1-일설포닐)-4-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5%).
1H-NMR (400 MHz, DMSO-d6) δ 8.81 (d, J = 7.8 Hz, 1H), 8.58 (s, 1H), 8.41 (d, J = 7.1 Hz, 2H), 8.21 (d, J= 7.8 Hz, 1H), 8.04-8.12 (m, 2H), 7.76-7.82 (m, 2H), 7.58-7.66 (m, 4H), 2.95 (m, 4H), 1.36-1.52 (m. 6H).
< 실시예 20> 2- 페닐 -4-[3-(4- 메틸티아졸 -2- 일아미노 )-4- 메틸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8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4-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4-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90%).
1H-NMR (400 MHz, DMSO-d6) δ 8.76 (d, J = 8.6 Hz, 1H), 8.58 (s, 1H), 8.40 (d, J = 7.3 Hz, 2H), 7.98-8.08 (m, 3H), 7.78-7.86 (m, 3H), 7.59 (m, 2H), 3.10 (m, 4H), 2.59 (s, 3H), 2.20 (s, 3H), 1.50 (m, 6H).
< 실시예 21> 2- 페닐 -4-[3-(4- 벤질피페리딘 -1- 일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29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4-벤질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4-벤질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0%).
1H-NMR (400 MHz, DMSO-d6) δ 8.81 (d, J = 7.8 Hz, 1H), 8.58 (s, 1H), 8.41 (d, J = 7.1 Hz, 2H), 8.21 (d, J= 7.8 Hz, 1H), 8.04-8.12 (m, 2H), 7.76-7.82 (m, 2H), 7.58-7.66 (m, 9H), 5.31 (s,2H) 2.95 (m, 4H), 1.36-1.52 (m. 6H).
< 실시예 22> 2- 페닐 -4-[3-( 아다만탄아미노 - 설포닐 )-4- 메틸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30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5%).
1H-NMR (400 MHz, DMSO-d6) δ 8.86 (s, 1H), 8.62 (s, 1H), 8.44-8.45 (m, 2H), 8.05-8.18 (m, 4H), 7.50-7.94 (m, 5H), 2.62 (s, 3H), 1.40-2.01 (m. 2H).
< 실시예 23> 2- 페닐 -4-[3-( 아다만탄아미노 - 설포닐 ) 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31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85%).
1H-NMR (400 MHz, DMSO-d6) δ 8.86 (s, 1H), 8.62 (s, 1H), 8.44-8.45 (m, 2H), 8.05-8.18 (m, 4H), 7.50-7.94 (m, 5H), 1.40-2.01 (m. 2H).
< 실시예 24> 2- 페닐 -4-[3-( 아다만탄아미노 - 설포닐 )-4- 클로로아닐리노 ] 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32

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린 대신 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목적 화합물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을 얻었다(수율: 90%).
1H-NMR (400 MHz, DMSO-d6) δ 8.86 (s, 1H), 8.62 (s, 1H), 8.44-8.52 (m, 2H), 8.05-8.24 (m, 4H), 7.50-7.94 (m, 5H), 1.40-2.08 (m. 2H).
< 실험예 1> HCV RNA 중합효소 ( RNA 의존형 RNA 중합효소, NS5B )에 대한 생체외( in vitro ) 저해활성 조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HCV RNA 의존형 RNA 중합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생체외 실험을 실시하였다.
단계 1: 재조합 HCV RNA 중합효소 제조
HCV RNA 중합효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HCV-1b 형 C 형 간염바이러스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cDNA를 얻어낸 다음 PCR을 이용하여 NS5B (1773bps)부위를 증폭하여 배큘로바이러스 (baculovirus) 전이벡터 pVLHIS에 삽입한 재조합 전이벡터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이벡터를 wild-type AcNPV 벡터와 함께 곤충세포 (Sf 9cell line)에 감염 (cotransfection)시켜 히스티딘 표지 (histidine tag) 된 재조합 벡터 pVLHIS-NS5B를 가진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충분히 배양된 곤충세포에 감염 (infection) 하고 10 % FBS 가 첨가된 Grace' medium 에서 3-4일 간 배양한 다음 감염된 세포만을 원심분리 하여 얻어내었다.  얻어진 세포를 PBS 로 3차례 세척한 다음 초음파 분해 처리 (sonication)하고 NI-NTA His bind resin (Novagen 사)을 이용한 친화성 (affinity) 컬럼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거쳐 순수한 NS5B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단계 2: HCV 3'말단 (3'- UTR )을 포함하는 RNA 주형 ( RNA template ) 제조
HCV 3'-UTR을 포함하는 RNA 주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C형 간염환자의 혈액으로부터 얻어진 HCV RNA로부터 PCR 방법을 통해 cDNA를 얻어낸 다음 제한효소 Eco RⅠ을 이용하여 3'-UTR의 부위를 포함하는 DNA 절편을 얻어내었다. 이 DNA로부터 시험관내 전사 (in vitro transcription) 과정을 거쳐 3'-UTR을 포함하는 RNA를 제조하였다.
단계 3: 재조합 HCV RNA 중합효소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생체외 저해활성 측정
본 발명에 사용된 HCV RNA 중합효소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생체외 저해활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에 맞게 스트렙타비딘 (streptavidin)으로 코팅된 웰 (well)을 준비하고, 먼저, 각 웰에 2X 반응 완충액 [50mM Tris-Cl (pH 7.5), 100mM NaCl, 10mM MgCl2, 20mM KCl, 1mM EDTA, 1mM DTT]을 25㎕ 씩 가하고, 분리정제 된 HCV RNA 중합효소 200ng을 10㎕ 씩 가한 후, 측정하고자 하는 시험 물질을 최종 농도가 각각 10, 1, 0.1, 0.01
㎍/㎖ 이 되도록 하여 5㎕ 씩 첨가한 다음, 마지막으로 RNA 주형인 HCV 3'-UTR RNA와 반응을 위한 뉴클레오타이드로서 DIG-(digoxigenin)-UTP, biotin-UTP, ATP, CTP, GTP, UTP가 혼합된 반응 혼합액을 10㎕ 씩 가한 다음, 22 ℃에서 60분 간 반응시켰다. HCV 중합효소의 활성에 의해 RNA가 만들어지고 여기에는 바이오틴이 붙어있는 UTP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RNA는 웰에 코팅되어 있는 스트렙타비딘과 결합한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각 웰 당 200㎕의 세척 완충액 (washing buffer, pH 7.0, Roche 사)을 가한 다음 3차례 반복하여 씻어주었다. 그 다음 2차 항체인 항-DIG-POD (peroxidase, Roche 사)를 100㎕ 씩 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 완충액으로 각 웰을 씻어 주었다. 마지막으로 POD의 기질인 ABTSR (Roche 사)를 각각 100㎕씩 가하여 15-30 분간 반응시킨 다음 ELISA 판독기 (Bio-Tek instrument 사)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 (OD 값)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군 (positive control)과의 상대적인 흡광도 차이에 따라 HCV 중합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효과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HCV RNA 중합효소에 대한 생체외 (in vitro) 저해 활성 측정 결과
구분(실시예 화합물) IC50 (μM)
실시예 1 0.6
실시예 2 0.7
실시예 3 0.7
실시예 4 0.4
실시예 5 0.3
실시예 6 0.6
실시예 7 0.7
실시예 8 0.1
실시예 9 0.5
실시예 10 0.5
실시예 11 1
실시예 12 0.7
실시예 13 0.5
실시예 14 0.2
실시예 15 0.2
실시예 16 0.6
실시예 17 2
실시예 18 0.2
실시예 19 0.7
실시예 20 1
실시예 21 0.5
실시예 22 0.5
실시예 23 0.4
실시예 24 0.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경우 HCV RNA 중합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효과인 IC50의 경우 모두 2 μM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 5, 14, 15, 18, 23 및 24의 경우 0.5 μM 미만의 매우 낮은 IC50값을 나타내어 활성 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HCV 레플리콘 ( subgenomic RNA replicon ) 세포주에서 화합물의 HCV RNA 복제 저해활성 조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HCV 레플리콘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1) HCV 레플리콘 세포주 배양
HCV 바이러스 복제를 저해하는 화합물의 탐색은 HCV 레플리콘을 지니고 있는 세포주에 각 화합물을 가한 후 배양하고 이때 발현된 HCV RNA의 발현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그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HCV 레플리콘은 HCV-1b 형 C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를 이용하였고, HCV IRES, 네오마이신(neomycin) 저항 유전자(resistant gene, neomycin transferase gene), EMCV (encephalomyocarditis virus)의 IRES를 가지는 바이시스트로닉 레플리콘 (bicistronic replicon)이며, HCV 비구조유전자(nonstructural proteins) NS3에서 NS5B, 그리고 HCV 3' 말단(untranslational region)을 포함하는 서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HCV 레플리콘을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시험관내 전사(in vitro transcription) 하여 얻어진 HCV 레플리콘을 Huh-7 세포주 내로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방법으로 형질전환(transfection) 하였고, Huh-7 세포주 중에서 HCV 레플리콘을 가지는 세포주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항생제 G418(500 ㎍/ml)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선별된 세포주는 10% FBS와 비필수 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s), 500 ㎍/ml G418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s medi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 HCV 레플리콘에 대한 화합물의 저해활성 측정
HCV RNA 레플리콘을 포함하는 Huh-7을 6 웰 플레이트에 약 3 × 105 cells의 농도로 5% CO2 배양기에서 37 ℃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플레이트 바닥에 세포를 고정하였다. 각각의 웰을 2% FBS와 비필수 아미노산, 500 ㎍/ml G418이 첨가된 DMEM 배지로 갈아준 다음 DMSO로 녹인 실험 화합물을 정해진 농도에 따라 각 웰에 첨가하여 5% CO2 배양기에서 37 ℃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동시에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농도의 DMSO(음성 대조군)와 인터페론-α(양성 대조군)를 첨가하여 비교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1 ㎖의 PBS로 세척한 다음 250 ㎕의 트립신/EDTA를 첨가하여 플레이트로부터 세포를 분리하고 다시 PBS로 세척하여 배지성분을 제거한 세포를 회수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세포로부터 SV total RNA isolation system(Promega corporation)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고 GeneQuant pro(Amersham bioscience)를 이용하여 RNA를 정량하였다. 각 화합물들의 HCV 레플리콘에 대한 EC50은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측정하였다. HCV 1b의 NS5B 부분을 타겟으로 하는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였으며 AccessQuickTM RT-PCR system(Promega corporation)을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RT-PCR과 함께 보다 정확하고 정량적인 EC50의 계산을 위하여 정량적 실시간(quantitative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리된 RNA로부터 Reverse transcriptation system(Promega corporation)을 이용하여 cDNA를 얻어낸 다음 iQ SYBR Green Supermix(Bio-rad)를 사용하여 정량적인 real-time PCR 반응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Taqman probe를 사용한 one-step rael time RT-PCR 반응을 실시하여 각 화합물의 저해활성을 결정하였다. HCV 5'-UTR 부분을 타겟으로 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였고, 대조유전자(reference gene)로는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iCycler iQ5 system(Bio-rad)를 사용하였고 iCycler iQ5 optical system software(Bio-r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화합물들의 EC50 값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HCV 레플리콘에 대한 화합물의 생체외 (in vitro) 저해 활성 측정 결과
구분(실시예 화합물) EC50 (μM)
실시예 1 0.02
실시예 2 0.05
실시예 3 0.5
실시예 4 0.1
실시예 5 0.1
실시예 6 0.5
실시예 7 0.5
실시예 8 0.08
실시예 9 0.5
실시예 10 0.06
실시예 11 0.5
실시예 12 0.07
실시예 13 0.5
실시예 14 1
실시예 15 2
실시예 16 0.5
실시예 17 1
실시예 18 0.5
실시예 19 0.06
실시예 20 1.2
실시예 21 0.5
실시예 22 1
실시예 23 0.5
실시예 24 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HCV RNA 레플리콘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C50 값이 0.02 ~ 2μM로 강력한 HCV 바이러스 복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 2, 8, 10, 12, 19의 화합물은 100 nM 농도 이하의 EC50 값을 나타내는 우수한 HCV 바이러스 복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C형 간염을 유발시키는 HCV 바이러스 복제를 저해하므로, C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세포독성 시험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이 세포독성(Cytotoxicity)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Hep G2 세포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MTT 분석방법으로 시험관내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화합물들의 CC50 값이 모두 100 ㎍/㎖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세포에 대한 독성이 매우 적은 물질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3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할로겐,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고;
    R2는 -NR3R4 이거나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H2)n-R5로 치환된 3~12원의 모노 또는 바이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비치환 또는 할로겐,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및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C5~C10의 아릴; 비치환 또는 CN으로 치환된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고리 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3~12원의 모노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고리 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3~12원의 헤테로 아릴; C5~C10의 아릴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고리 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3~12원의 헤테로 사이클로알킬 C1~C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5는 모노, 바이 또는 트리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이고, 이때 상기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및 헤테로 아릴은 고리내 N, O 및 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F, Cl, Br,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고;
    R2는 -NR3R4 이거나 비치환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벤질로 치환된 아제판,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페라진, 티오모르폴린, 아지리딘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비치환 또는 Cl, Br, 메톡시 또는 에톡시로 치환된 페닐, 메틸, 에틸, 프로필, 시아노메틸, 시아노에틸, 시아노프로필, 모르폴리노메틸, 모르폴리노에틸, 모르폴리노프로필, 티아졸릴 메틸, 티아졸릴 에틸, 티아졸릴 프로필 또는 아다만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Cl,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2는 -NR3R4 이거나 아제판, 모르폴린, 피페리딘, 비치환 또는 메틸 또는 벤질로 치환된 피롤리딘, 메틸 피페라진, 티오몰포르린 또는 아지리딘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 에틸, 페닐, 프로필 시아나이드, 모르폴리노 에틸, Cl 또는 메톡시로 치환된 벤질, 티아졸릴 메틸, 아다만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 2-페닐-4-[3-(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2) 2-페닐-4-[(3-디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3) 2-페닐-4-[(3-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4)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5)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6) 2-페닐-4-[(3-모르포리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
    7) 2-페닐-4-[(3-피롤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8) 2-페닐-4-[3-(1,3,3-트리메틸-6-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6-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9) 2-페닐-4-[3-(4-메틸피페라진-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0) 2-페닐-4-[(3-아닐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1) 2-페닐-4-[3-(2-시아노에틸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2) 2-페닐-4-[3-(4-메틸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3)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메톡시아닐리노]퀴나졸린;
    14) 2-페닐-4-[3-(4-메틸-1,4-디아제판-1-일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5) 2-페닐-4-[3-(티오모르포리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6) 2-페닐-4-[3-(2-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17) 2-페닐-4-[3-(아지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8) 2-페닐-4-[3-(3-클로로-4-메톡시벤질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19) 2-페닐-4-[3-(피페리딘-1-일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
    20) 2-페닐-4-[3-(4-메틸티아졸-2-일아미노)-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21) 2-페닐-4-[3-(4-벤질피페리딘-1-일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22)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메틸아닐리노]퀴나졸린;
    23)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및
    24) 2-페닐-4-[3-(아다만탄아미노-설포닐)-4-클로로아닐리노]퀴나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용매 하에서 화학식 3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034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및 R2는 제 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C1~C4의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0 내지 80 ℃에서 1 내지 24시간 또는 50 내지 80 ℃에서 1 내지 3일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제 1항의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00109743A 2010-11-05 2010-11-05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bandoned KR20120048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43A KR20120048223A (ko) 2010-11-05 2010-11-05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43A KR20120048223A (ko) 2010-11-05 2010-11-05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23A true KR20120048223A (ko) 2012-05-15

Family

ID=4626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43A Abandoned KR20120048223A (ko) 2010-11-05 2010-11-05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2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709B1 (ko)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US9156839B2 (en) Fused bicyclic sulfamoyl derivatives and the use thereof as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US7923004B2 (en) 4-ethynyl pyrazole derivative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HCV
US20030092709A1 (en) 6-Methylnicotinamide derivatives as antiviral agents
KR100516434B1 (ko) 6-(4-치환된-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JP4767321B2 (ja) 5,6−ジメチルチエノ[2,3−d]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抗ウイルス用薬学的組成物
KR100700676B1 (ko) 6―(4―치환된―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90893B1 (ko) 2-메톡시-1,3,5-트리아진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94995B1 (ko) 신규한 2-페닐-벤즈이미다졸 또는 2-페닐-벤즈옥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48223A (ko)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5427402A (zh) 氨基磺酰胺衍生物
KR100502394B1 (ko) 2-[2-(4-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피리딘 유도체, 그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16432B1 (ko) 2-(4-치환된-아닐리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02395B1 (ko) 4-[4-(4-모르포리노)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53946B1 (ko) 6-메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90892B1 (ko) 4-(4-치환된-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61081B1 (ko) 항바이러스제로 유용한 6-메틸니코틴아미드 유도체
KR100638709B1 (ko) N-치환된- 설파모일벤조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46669B1 (ko) 2-(헤테로사이클릭-알킬아미노)피리딘 유도체, 그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57857B1 (ko) 2-[2-(3-인돌릴)에틸아미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WO2004076415A1 (en) 1- (hetero)ar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eful as anti.viral agents
KR100469085B1 (ko) 3,4,5-트리플루오로피리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CN106632278A (zh) 氮杂环类化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