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655A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3655A KR20120053655A KR1020100114882A KR20100114882A KR20120053655A KR 20120053655 A KR20120053655 A KR 20120053655A KR 1020100114882 A KR1020100114882 A KR 1020100114882A KR 20100114882 A KR20100114882 A KR 20100114882A KR 20120053655 A KR20120053655 A KR 201200536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d area
- screen
- displaying
- self
- r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페이지, 전자책 등의 컨텐츠를 열람시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의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와 용도를 갖는 디스플레이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은 디지털 TV, 모니터 등 다소 큰 디스플레이를 요하는 기기로부터, 휴대폰, PDA 등 작고 편리한 디스플레이를 요하는 휴대용 기기들까지 다양한 기기들에 탑재된다. 그런데, 특히 휴대용 기기는 대형 기기와는 달리 충전식 배터리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사용시간을 늘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근래 들어, 휴대용 기기는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투과형 디스플레이에 비해 개선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는 표시 영상의 휘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는데 비해,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는 표시 영상의 빛의 세기(휘도)에 비례하는 전력을 소모한다. 즉,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는 밝은 빛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전류를 필요로 한다.
웹 페이지, 전자책 등의 컨텐츠가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저전력화가 필수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전자책 컨텐츠의 열람시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재 페이지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단계와, 현재 페이지 화면에서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견지로서,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이동 가능한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웹페이지, 전자책 등의 컨텐츠를 열람시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가 동작되어 페이지 전환에 따른 가독 영역이 표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가 동작되어 페이지 전환에 따른 가독 영역이 표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페이지, 전자책 등의 컨텐츠를 열람시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PDA, 셀룰러폰 등이 될 수 있고, 웹페이지, 전자책 등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11)와,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12)를 구비한다. 모바일폰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3)와,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11)는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11)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제공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11)는 보조적 또는 상기 키패드(12)를 대신하여 데이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한다 가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웹페이지, 전자책 등의 컨텐츠를 열람시 사용자의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시선을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화면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전자책이 구동되면, 사용자는 표시되는 글을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읽어 내려간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지 아니한 화면 영역의 휘도를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절전 모드를 시작하여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처리한다. 가독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의 객체가 두드러지게 표시된다. 상기 가독 영역은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을 살펴볼 수 있다. 사용자는 나머지 영역보다 밝은 가독 영역에 시선을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독 영역의 밝기는 상기 절전 모드가 동작하기 전의 전체 화면의 밝기보다 어두워도 상관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는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와, 상기 메모리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2)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3)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입력부(23)로부터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면 절전 모드를 동작시킨다.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처리한다. 상기 입력부(23)로부터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가독 영역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부(23)로부터 화면 전환 신호가 발생하거나 상기 가독 영역이 화면의 끝에 이동되고도 밖으로 벗어나는 스크롤 신호가 더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24)는 화면을 전환하고 상기 가독 영역을 다시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표출하는 빛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가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24)는 가독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파 참조값을 근간으로하는 블렌딩(blend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4)는 301 단계에서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절전 모드를 구동시키고 303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절전 모드 구동 신호는 터치 화면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발생할 수 있다.
3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4)는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가독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 305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4)는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3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크롤 신호에 따라 가독 영역이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되게 한다. 상기 스크롤 신호는 해당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 구비된 스크롤 바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309 단계에서 가독 영역의 해제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가독 영역의 해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311 단계로 진행하여 가독 영역을 해제한 후 화면 전체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되게 한 후 절전 모드를 종료시킨다. 상기 가독 영역 해제 신호는 가독 영역이 이동되기 전후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독 영역 해제 신호는 가독 영역 또는 나머지 영역을 터치하면 발생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01 단계에서 전자책 실행 중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절전 모드를 구동시키고 403 단계로 진행한다.
4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4)는 전체 화면 세로폭의 1/n을 차지하는 가독 영역을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되게 한다.
다음, 405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4)는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07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페이지 화면에서 가독 영역이 하방향(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되게 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24)는 409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페이지 화면에서 가독 영역이 화면 하단(또는 상단)에 이동된 후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가 더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가독 영역이 화면 하단(또는 상단)에 이동된 후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11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또는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다음(또는 이전) 페이지 화면의 상단(또는 하단)에 상기 가독 영역을 표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413 단계에서 가독 영역의 해제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가독 영역의 해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15 단계로 진행하여 가독 영역을 해제한 후 화면 전체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되게 한 후 절전 모드를 종료시킨다. 상기 가독 영역 해제 신호는 가독 영역이 이동되기 전후에 발생할 수 있다. 도 4a의 일 예는 도 5a 내지 도 6c에서 후술될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17 단계에서 전자책 실행 중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절전 모드 구동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절전 모드를 구동시키고 419 단계로 진행한다.
419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4)는 전체 화면 세로폭의 1/n을 차지하는 가독 영역을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마스크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되게끔 한다.
다음, 42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4)는 페이지 전환 신호,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 신호 없음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한다.
421 단계에서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24)는 423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페이지 화면에서 가독 영역이 하방향(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되게끔 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24)는 425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페이지 화면에서 가독 영역이 화면 하단(또는 상단)에 이동된 후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가 더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가독 영역이 화면 하단(또는 상단)에 이동된 후 하방향(또는 상방향)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27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또는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다음(또는 이전) 페이지 화면 상단(또는 하단)에 상기 가독 영역이 표시되게 한다.
또한, 상기 421 단계에서 페이지 전환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24)는 427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또는 이전) 페이지로 화면을 전환하고, 전환된 화면 상단(또는 하단)에 상기 가독 영역이 표시되게끔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429 단계에서 가독 영역의 해제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가독 영역의 해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431 단계로 진행하여 가독 영역을 해제한 후 화면 전체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되게 한 후 절전 모드를 종료시킨다. 상기 가독 영역 해제 신호는 가독 영역이 이동되기 전후에 발생할 수 있다. 도 4b에 따른 일 예는 도 7에서 후술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책 실행 중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 영역에 구비된 절전 모드 버튼을 터치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시킨다. 절전 모드가 실행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의 1/n(예 ; 1/3, 1/4 등)만큼의 세로폭을 갖는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처리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독 영역을 터치 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최초 화면 상단에 위치하였던 가독 영역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터치 이동의 거리 비례하여 상기 가독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 하단에 이동된 후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터치 이동을 더 수행하면 다음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다음 페이지 화면의 상단에 가독 영역이 다시 표시된다. 반대로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 상단에 이동된 후 사용자가 위 방향으로 터치 이동을 더 수행하면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이전 페이지 화면의 하단에 가독 영역이 다시 표시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책 실행 중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 영역에 구비된 스크롤 바를 길게 눌러, 즉, 터치 후 임계치 시간 이상 눌러 절전 모드를 실행시킨다. 절전 모드가 실행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의 1/n(예 ; 1/3, 1/4 등)만큼의 세로폭을 갖는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처리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상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터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가독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 하단에 이동된 후 사용자가 스크롤 바를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다음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다음 페이지 화면의 상단에 가독 영역이 다시 표시된다. 반대로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 상단에 이동된 후 사용자가 스크롤 바를 위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이전 페이지 화면의 하단에 가독 영역이 다시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절전 모드가 동작된 후 페이지 전환에 따른 가독 영역이 표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실시 예는 도 5a 내지 도 6c의 실시 예와 달리 페이지 전환을 위한 버튼이 구비된다. 전자책 실행 중 절전 모드가 동작되어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에 표시되고, 도 5b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가독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페이지 전환 버튼을 터치하면 다음(또는 이전) 페이지로 전환되고 전환된 페이지 화면에 가독 영역이 다시 표시된다. 즉, 도 5a 내지 도 6c의 실시 예는 가독 영역이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이동된 후 사용자가 스크롤 동작을 더 수행하면 페이지 전환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7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페이지 전환 버튼을 간단히 누르면 페이지가 전환된다.
더욱이, 상기 전자책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면, 기울기 방향에 상응하는 가독 영역의 이동 및 페이지 화면 전환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전자책 단말기의 하단이 위로 치켜세워진다면 아래 방향 스크롤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가독 영역이 아래로 이동되고, 차후 가독 영역이 표시된 다음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더욱이,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전자책 단말기의 상단이 위로 치켜세워진다면 위 방향 스크롤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가독 영역이 위로 이동되고, 차후 가독 영역이 표시된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독 영역이 이동되는 속도는 상기 가속도 센서가 감지하는 기울기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다면, 도 7에서 전술한 페이지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전자책 단말기의 하단을 위로 두 번 치켜세우면 다음 페이지로 곧바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열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페이지 화면을 넘긴 후 기울기가 멈추는 시점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감지하여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거나 페이지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 영역을 해제하고, 화면 전체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화면이 전환되면, 전환된 화면에 가독 영역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가독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재 페이지 화면에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단계;
현재 페이지 화면에서 가독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 영역을 해제하고, 현재 페이지 화면 전체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다음 또는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면, 전환된 페이지 화면에 가독 영역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가독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 영역은,
전체 화면 세로폭의 1/n을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의 하단에 이동된 후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다음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고, 다음 페이지 화면의 상단에 가독 영역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 영역이 현재 페이지 화면의 상단에 이동된 후 위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전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되고, 이전 페이지 화면의 하단에 가독 영역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이동 가능한 가독 영역을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의 밝기를 상기 가독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가독 영역 해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가독 영역을 해제하고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를 설정된 밝기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스크롤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가독 영역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화면 전환 신호가 발생하면, 화면을 전환하고 전환된 화면에 가독 영역을 다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가 감지한 기울기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독 영역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감지한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가독 영역을 해당 속도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14882A KR20120053655A (ko) | 2010-11-18 | 2010-11-18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3/298,517 US20120127218A1 (en) | 2010-11-18 | 2011-11-17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erminal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14882A KR20120053655A (ko) | 2010-11-18 | 2010-11-18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53655A true KR20120053655A (ko) | 2012-05-29 |
Family
ID=4606397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14882A Withdrawn KR20120053655A (ko) | 2010-11-18 | 2010-11-18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20127218A1 (ko) |
| KR (1) | KR2012005365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4164389A (ja) * | 2013-02-22 | 2014-09-08 | Kyocera Corp |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制御方法 |
| KR102353766B1 (ko) * | 2014-04-15 | 2022-01-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2277097B1 (ko) | 2014-09-12 | 2021-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9836114B1 (en) * | 2015-09-15 | 2017-12-05 | Amazon Technologies, Inc. | Event-based trigger for managing battery consumption |
| CN108345375A (zh) * | 2017-01-25 | 2018-07-3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屏幕显示方法及装置、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630502B2 (ja) * | 2001-08-30 | 2011-02-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20030052903A1 (en) * | 2001-09-20 | 2003-03-20 | Weast John C. | Method and apparatus for focus based lighting |
| JP5083049B2 (ja) * | 2008-06-05 | 2012-11-28 | 富士通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プレビュー表示方法、及び表示機能を備えたプログラム |
| US8375322B2 (en) * | 2008-06-20 | 2013-02-12 | International Busniess Machines Corporation | Context sensitive paging |
| CN101866208A (zh) * | 2009-04-17 | 2010-10-20 | 宏碁股份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省电方法 |
| KR101620465B1 (ko) * | 2009-08-14 | 2016-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
| JP5446624B2 (ja) * | 2009-09-07 | 2014-03-19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8407617B2 (en) * | 2009-09-11 | 2013-03-26 | Visual Study Bible, Llc |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various resources related to passages of classic literature |
| US9086956B2 (en) * | 2010-05-21 | 2015-07-21 | Zetta Research and Development—RPO Series |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n on-screen document |
| US20120036485A1 (en) * | 2010-08-09 | 2012-02-09 | XMG Studio | Motion Driven User Interface |
-
2010
- 2010-11-18 KR KR1020100114882A patent/KR2012005365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11-17 US US13/298,517 patent/US2012012721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120127218A1 (en) | 2012-05-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646577B2 (en) | Display screen having regions of differing pixel density | |
| JP5638084B2 (ja) | 表示方法 | |
| US7932839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ouch keypad thereof | |
| JP5813353B2 (ja) | 携帯端末、表示装置、輝度制御方法及び輝度制御プログラム | |
| KR20110017698A (ko)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 |
| JP2014021497A (ja) | 表示制御方法と装置、及び記録媒体 | |
| KR10123744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 |
| KR20120053655A (ko)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 CN102917140A (zh) | 一种电子终端的节电显示方法、电子终端和移动通信终端 | |
| JP5727310B2 (ja) | 携帯端末、輝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US10134319B2 (en) | Illumination display device with illumination region contro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 CN105808034A (zh) | 显示区域大小切换系统、方法及电子装置 | |
| JP2015012339A (ja) | 携帯端末装置 | |
| US10923026B2 (en) | Keyboard backlights via display surfaces | |
| KR102073172B1 (ko) |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 KR20090124089A (ko) | 디스플레이를 부분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 |
| JP2014147125A (ja) | 照度センサを搭載した携帯端末、携帯端末の省電力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の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 |
| KR102628417B1 (ko) |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 |
| JP5464349B2 (ja) |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表示省電力状態からの復帰制御方法 | |
| JP2011065431A (ja) | 情報処理装置、そのカーソル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 |
| US20140043262A1 (en) | Power saving method | |
| JP2015210504A (ja) |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 |
| JP2001265463A (ja) | 情報機器 | |
| JP5542629B2 (ja) | 携帯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 |
| JP2012181412A (ja) |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表示装置の点灯範囲制御方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