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8092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922A
KR20120080922A KR1020110002400A KR20110002400A KR20120080922A KR 20120080922 A KR20120080922 A KR 20120080922A KR 1020110002400 A KR1020110002400 A KR 1020110002400A KR 20110002400 A KR20110002400 A KR 20110002400A KR 20120080922 A KR20120080922 A KR 2012008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display
window
user interface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양경혜
김정근
윤수연
조선행
김유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922A/ko
Priority to EP11193329.7A priority patent/EP2474879A3/en
Priority to US13/347,234 priority patent/US20120179969A1/en
Publication of KR2012008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2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되면,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 메뉴나 앵커와 같은 GUI 아이템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에 의한 GUI는 이미 보편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원하는 아이템으로 이동시키고, 입력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아이템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GUI를 선택하여 GUI에 대응하는 위젯 프로그램 또는 어플레이케이션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을 위한 서브탭등을 호출하기 위하여, 메뉴창을 실행시키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아울러,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어떠한 사진 또는 동영상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체화면에 실행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GUI를 이용함에 있어, 편리한 조작 방식을 추구하게 되는바, 편리하게 원하는 GUI 아이템에 대응하는 위젯 프로그램 또는 이미지 썸네일 또는 동영상 프리뷰를 실행할 수 있는 조작 방법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일부에 위젯 프로그램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기능창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창의 크기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1 임계 크기 이상 제 2 임계 크기 미만이면, 상기 기능창의 크기는 디폴트 크기로 결정되며,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 상에 상기 기능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방법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방법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동영상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동영상를 나타내는 프리뷰(preview)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크기 및 도형의 형태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기능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슈링크(shrink)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기능창을 상기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방법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면서 상기 기능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며,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기능창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크기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1 임계 크기 이상 제 2 임계 크기 미만이면, 디폴트 크기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전체상에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동영상 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동영상을 나타내는 프리뷰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을 기설정된 크기 및 도형의 형태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기능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슈링크(shrink)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기능창을 상기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면서 상기 기능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인 방식으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위젯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위젯 창을 복수 개의 아이콘과 함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함에 따라서, 멀티태스킹을 더욱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위젯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다시 배경 화면으로 복귀함에 있어서도, 상술한 직관적인 방식의 역동작으로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복귀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터치(touch)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기타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 접촉에 따른 터치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접촉은 사용자의 손끝은 물론 터치 가능한 기타 다양한 물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시하는 아이콘과 같은 GUI 아이템을 표시하는 배경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제어부(400)의 지시를 받아,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가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화면을,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아 표시하는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자극을 입력하는 것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지점에 입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자극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터치 자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 지점을 벌리는 듯한 모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러한 모션을 스트레치 모션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아이콘에 대한 기능 중 일부를 실행시키면서, 동시에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인터페이스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창은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창으로, 예를 들어 위젯 창, 이미지 썸네일창, 또는 동영상 프리뷰 창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기능창이 위젯 창인 경우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아이콘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아이콘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는 아이콘 기능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도표와 같은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아이콘을 기능창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에니메이션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은 스트레치 모션에 대응하여 크기가 증가하면서 임의의 순간에 기능창으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가 변환된 위젯 창과 함께 복수 개의 아이콘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도 3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메뉴와 관련한 서브탭 호출의 필요 없이, 직관적인 스트레치 모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입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저장부(200), 센서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400)는 인터페이스부(410), 프로세싱부(420) 및 GUI 생성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입력받은 스트레치 모션이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좌표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400) 내의 인터페이스부(4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의 인터페이스부(410)는 제어부(400)와 여타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저장부(200) 또는 센서부(300)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10)에 전송된 인터페이스부(100)의 좌표는 프로세싱부(420)에 전송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부(2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부(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저장부(200) 또는 센서부(300)와 같은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싱부(420)는 인터페이스부(4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상의 좌표를 이용하여,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좌표인 (xp1, yp1)과 (xp2, yp2)에 초기 터치 자극을 입력한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초기 좌표인 (xp1, yp1) 및 (xp2, yp2)는 데이터화되어 프로세싱부(420) 및 저장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싱부(42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초기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결정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결정된 초기 터치 지점간의 거리는 저장부(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스트레치 모션을 수행하여, (xf1, yf1)과 (xf2, yf2)에 터치 자극을 입력하면, 좌표 (xf1, yf1)과 (xf2, yf2)는 데이터화되어 프로세싱부(42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싱부(420)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결정할수 있다.
Figure pat00002
프로세싱부(420)는 수학식 2에 의하여 결정된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저장부(2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저장부(200)에는 터치 지점간의 거리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싱부(420)는 저장부(200)로부터 상기의 터치 지점간의 거리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를 독출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터치 지점간의 거리가 증가하였으며 거리의 증가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싱부(420)는 GUI 생성부를 제어하여 위젯 창을 포함하는 배경화면에 대한 GUI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프로세싱부(420)는 저장부(200)에 기저장된 위젯 창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와 배경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여 GUI 생성부(430)로 전송할 수 있다.
GUI 생성부(430)는 위젯 창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와 배경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디스플레이될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GUI 생성부(430)는 위젯 창을 나머지 아이콘과 혼재하는 방식으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GUI 생성부(430)는 위젯 창을 화면 전체에 해당하도록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GUI 생성부(430)는 위젯 창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 즉 디폴트 크기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위젯 창의 크기를 사용자가 입력한 스트레치 모션에 대응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GUI 생성부(430)는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1 임계값 이상 제 2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위젯 창의 크기를 디폴트 크기로 형성시키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위젯 창의 크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전체 화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GUI 생성부(430)는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위젯을 전체 화면 어플리케이션(full screen application)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생성된 화면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생성된 화면 데이터, 즉 위젯 프로그램을 식별하도록 하는 위젯 창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위젯 창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또는 배경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입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한 데이터도 시계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00)가 상술한 구성 이외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 프로그램 자체를 저장하거나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반적인 이동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수평 방향으로 팬닝(panning)하는 동작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기준점으로부터 팬닝하는 거리 및 변위, 속도 또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특정한 방향으로 틸팅(tilting)하는 동작,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팬닝 또는 틸팅 또는 바이브레이팅 동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부(300)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선형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는 센서부(300)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며, 센서부(3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팬닝 또는 틸팅 또는 바이브레이팅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GUI 생성부(430)가 위젯 창을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형성하는 구성에 대하여서만 상술하였지만, GUI 생성부(4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의 종류에 따라 위젯 창 뿐만 아니라,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 썸네일에 대한 슬라이드 쇼, 동영상 파일에 대한 프리뷰 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저장 아이콘을 지정하여 스트레치 모션을 입력하면, GUI 생성부(430)는 저장부(200)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독출하여, 이미지 파일들의 개괄적인 식별을 용이하게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 썸네일을 포함한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이미지 썸네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화면 일부에 다른 아이콘과 혼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저장 아이콘을 지정하여 스트레치 모션을 입력하면, GUI 생성부(430)는 저장부(200)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독출하여, 동여상 파일들이 어떠한 파일인지 식별하게 할 수 있는 프리뷰 창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동영상 프리뷰 창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화면 일부에 다른 아이콘과 혼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위젯에 대한 아이콘(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위젯 프로그램은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는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게 하는 위젯에 대한 아이콘(1)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위치 상에 두 개의 터치 자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두 개의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을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이 위젯 창으로 변환되면서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의 하단에 배치된 세 개의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젯 창의 크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스트레치 모션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된 터치 지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젯 창의 크기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된 경우, 일괄적으로 기설정된 크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위젯 프로그램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치 모션의 역동작인 두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감소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슈링크(shrink) 모션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슈링크 모션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지정할 수 있다. 아이콘의 지정은 아이콘을 임계치 시간 이상 동안 운지하는 동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젯에 대한 아이콘이 지정되면,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기설정된 크기 및 도형의 형태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모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에 입력할 수 있다.
드래그 모션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젯 창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드래그한 도형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 기설정된 크기의 위젯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위젯 프로그램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젯 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위젯 창 내부를 드래그하는 역-드래그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이에 대응하여 4a에 도시된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위젯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지정할 수 있다. 아이콘의 지정은 아이콘을 임계치 시간 이상 동안 운지하는 동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젯에 대한 아이콘이 지정되면,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틸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센서부(300)는 틸팅 동작을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이에 대응하여 아이콘을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틸팅 동작 이외에 팬닝 또는 바이브레이팅 동작에 의하여서 본 실시 예의 구성이 구현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사용자가 위젯 프로그램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젯 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팬닝, 틸팅 또는 바이브레이팅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이에 대응하여 5a에 도시된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에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10).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에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620-Y),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아이콘을 기능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30).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아이콘 중 나머지 아이콘을 기능창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기능창의 크기는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능창의 크기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1 임계 크기 이상 제 2 임계 크기 미만이면, 디폴트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 크기 이상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체 화면상에 기능창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기능창은 전체 화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아이콘 중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콘 중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아이콘을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창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복수의 아이콘 중 동영상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아이콘을 상기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동영상를 나타내는 프리뷰(preview) 창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크기 및 도형의 형태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모션이 입력되면,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가 실행될 수 있으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이 입력되면,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가 실행되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능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슈링크(shrink) 모션이 입력되면, 기능창은 상기 아이콘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에서 기능창으로 변환되는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 저장부
300 : 센서부 400 : 제어부

Claims (24)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기능창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의 크기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1 임계 크기 이상 제 2 임계 크기 미만이면, 상기 기능창의 크기는 디폴트 크기로 결정되며,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 상에 상기 기능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동영상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동영상를 나타내는 프리뷰(preview)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크기 및 도형의 형태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슈링크(shrink)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기능창을 상기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면서 상기 기능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며,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나머지 아이콘을 상기 기능창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크기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1 임계 크기 이상 제 2 임계 크기 미만이면, 디폴트 크기의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트레치 모션의 크기가 제 2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전체상에 상기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위젯에 대한 아이콘을 위젯 컨텐츠를 나타내는 위젯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동영상 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벌리는 스트레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동영상파일에 포함된 동영상을 나타내는 프리뷰 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을 기설정된 크기 및 도형의 형태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팬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또는 바이브레이팅(vibrating)하는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 중 일부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 중 일부에 대응하는 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기능창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슈링크(shrink)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기능창을 상기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면서 상기 기능창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02400A 2011-01-10 2011-0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eased KR20120080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00A KR20120080922A (ko) 2011-01-10 2011-0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11193329.7A EP2474879A3 (en) 2011-01-10 2011-12-13 Dispaly apparatus and dislaying method thereof
US13/347,234 US20120179969A1 (en) 2011-01-10 2012-01-10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00A KR20120080922A (ko) 2011-01-10 2011-0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16A Division KR20170126432A (ko) 2017-11-09 2017-1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22A true KR20120080922A (ko) 2012-07-18

Family

ID=4544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400A Ceased KR20120080922A (ko) 2011-01-10 2011-01-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79969A1 (ko)
EP (1) EP2474879A3 (ko)
KR (1) KR201200809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890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03195A1 (ko) * 2021-03-23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미리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33B1 (ko) * 2011-03-21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52753A (ko) * 2011-08-16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D691156S1 (en) * 2011-11-04 2013-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96676S1 (en) * 2011-11-04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1503S1 (en) * 2011-11-17 2015-06-09 Axell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1506S1 (en) * 2011-11-17 2015-06-09 Axell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1504S1 (en) * 2011-11-17 2015-06-09 Axell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1507S1 (en) * 2011-11-17 2015-06-09 Axell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5238872B2 (ja) * 2011-12-02 2013-07-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88578B2 (en) 2012-02-03 2015-03-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improved image preview functionality
USD820878S1 (en) * 2012-04-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256349B2 (en) * 2012-05-09 2016-0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resizable icons
KR20140009713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US9268457B2 (en) * 2012-07-13 2016-02-23 Google Inc. Touch-based fluid window management
USD732570S1 (en) * 2012-08-17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026027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49254A (ko) * 2012-10-17 201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데이터표시 장치 및 방법
US9229632B2 (en) 2012-10-29 2016-01-05 Facebook, Inc. Animation sequence associated with image
US9507757B2 (en) 2012-11-14 2016-11-29 Facebook, Inc. Generating multiple versions of a content item for multiple platforms
US9607289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Content type filter
US9547416B2 (en) 2012-11-14 2017-01-17 Facebook, Inc. Image presentation
US9081410B2 (en) 2012-11-14 2015-07-14 Facebook, Inc. Loading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US9696898B2 (en) 2012-11-14 2017-07-04 Facebook, Inc. Scrolling through a series of content items
US9218188B2 (en) * 2012-11-14 2015-12-22 Facebook, Inc. Animation sequence associated with feedback user-interface element
US9684935B2 (en) 2012-11-14 2017-06-20 Facebook, Inc. Content composer for third-party applications
US9507483B2 (en) 2012-11-14 2016-11-29 Facebook, Inc. Photographs with location or time information
US9547627B2 (en) 2012-11-14 2017-01-17 Facebook, Inc. Comment presentation
US9606717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Content composer
US9245312B2 (en) 2012-11-14 2016-01-26 Facebook, Inc. Image panning and zooming effect
US9235321B2 (en) 2012-11-14 2016-01-12 Facebook, Inc. Animation sequence associated with content item
US9606695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Event notification
KR20140115731A (ko) * 2013-03-22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US10229258B2 (en)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WO2014157897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WO2014157894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WO2014157886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WO2014157893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WO2014157885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US9996246B2 (en)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WO2014157908A1 (en) *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CN103279261B (zh) * 2013-04-23 2016-06-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讯设备及其窗口小部件的添加方法
US9880727B2 (en) * 2013-05-29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manipulations for configuring system settings
CN103336665B (zh) * 2013-07-15 2016-07-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9575621B2 (en) 2013-08-26 2017-02-21 Venuenext, Inc. Game event display with scroll bar and play event icons
US10500479B1 (en) 2013-08-26 2019-12-10 Venuenext, Inc. Game state-sensitive selection of media sources for media coverage of a sporting event
US10282068B2 (en) 2013-08-26 2019-05-07 Venuenext, Inc. Game event display with a scrollable graphical game play feed
GB2519124A (en) 2013-10-10 2015-04-15 Ibm Controlling application launch
US20150113429A1 (en) * 2013-10-21 2015-04-23 NQ Mobile Inc. Real-time dynamic content display layer and system
US9578377B1 (en) 2013-12-03 2017-02-21 Venuenext, Inc. Displaying a graphical game play feed based on automatically detecting bounds of plays or drives using game related data sources
CN103686309A (zh) * 2013-12-25 2014-03-26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视频标题的方法及服务器
KR2015013680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ui 및 전자 장치
CN105335118B (zh) * 2014-08-08 2019-03-1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件的显示方法和装置
US20160048305A1 (en) * 2014-08-14 2016-02-18 Microsoft Corporation Group-Based User Interface Rearrangement
CN105373327B (zh) * 2014-09-02 2019-06-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5468272A (zh) * 2014-09-03 2016-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CN104571811B (zh) * 2014-12-01 2020-04-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532697B2 (ja) * 2015-02-25 2019-06-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81401A (ko)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5231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399033B (zh) * 2017-02-07 2020-01-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视图切换方法及装置
KR102332483B1 (ko) 2017-03-06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53487B1 (ko) * 2017-08-10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748481A4 (en) * 2018-03-26 2021-03-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PROCEDURE AND ELECTRONIC DEVICE
US11455075B2 (en) * 2018-04-19 2022-09-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when application is exited and terminal
US10969910B2 (en) * 2018-12-18 2021-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 size user input device for vehicle
KR20240170585A (ko) * 2019-09-27 2024-12-03 애플 인크. 그래픽 객체들을 맞춤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US11609640B2 (en) 2020-06-21 2023-03-21 Apple Inc. Emoji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472B2 (ja) * 1991-06-25 2004-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3886019B2 (ja) * 1995-10-11 2007-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ウインドウ表示方法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6496206B1 (en) * 1998-06-29 2002-12-17 Scansoft, Inc. Displaying thumbnail images of document pages in an electronic folder
DE60014984T2 (de) * 1999-02-02 2005-03-10 Casio Computer Co., Ltd. Fensteranzeigesteuergerät und dessen Programmspeichermedium
US7688306B2 (en) *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US20050055645A1 (en) * 2003-09-09 2005-03-10 Mitutoy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izing tiles on a computer display
US20070152980A1 (en) * 2006-01-05 2007-07-05 Kenneth Kocienda Touch Screen Keyboar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790078B1 (ko) * 2006-03-14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CN101606124B (zh) * 2007-01-25 2013-02-27 夏普株式会社 多窗口管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
KR100801650B1 (ko) * 2007-02-13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KR101390103B1 (ko) * 2007-04-03 201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어방법 및 이동단말기
US9179086B2 (en) * 2007-05-07 2015-11-0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ally updating applications in a television display environment
US7949954B1 (en) * 2007-08-17 2011-05-24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ynamic functionality based on window characteristics
KR20090116932A (ko) * 2008-05-08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8726B1 (ko) * 2008-05-27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00031202A1 (en) * 2008-08-04 2010-02-04 Microsoft Corporation User-defined gesture set for surface computing
KR20110066950A (ko) * 2008-09-24 2011-06-1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지점 터치 감응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683390B2 (en) * 2008-10-01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objects on multi-touch user interface
EP3232315B1 (en) * 2008-11-25 202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N102362251B (zh) * 2008-12-30 2016-02-10 法国电信公司 用于提供对应用程序的增强控制的用户界面
US8279185B2 (en) * 2009-05-08 2012-10-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ositioning icons on a touch sensitive screen
KR101597553B1 (ko) * 2009-05-25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US8970448B2 (en) * 2009-06-18 2015-03-03 Hiperwall,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ipulation of images on tiled displays
US8766928B2 (en) * 2009-09-25 2014-07-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20110064334A (ko) * 2009-12-08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98762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US8736561B2 (en) * 2010-01-06 2014-05-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ontent display modes and display rotation heuristics
KR101699739B1 (ko) * 2010-05-14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8957920B2 (en) * 2010-06-25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Alternative semantics for zoom operations in a zoomable scene
US20120092381A1 (en) * 2010-10-19 2012-04-19 Microsoft Corporation Snapping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Touch Input
KR101729523B1 (ko) * 2010-12-21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890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6983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03195A1 (ko) * 2021-03-23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미리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4879A2 (en) 2012-07-11
EP2474879A3 (en) 2016-11-02
US20120179969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9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4100824B1 (en) Cursor integration with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CN103314351B (zh) 编辑触摸显示的方法与装置
EP3424208B1 (en) Movable user interface shutter button for camera
JP5456529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EP2715499B1 (en) Invisible control
US10963136B2 (en) Highlighting of objects on a display
US9372590B2 (en) Magnifier panning interface for natural input devices
US200900273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enabled computer systems
US20140372923A1 (en) High Performance Touch Drag and Drop
EP238363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30191768A1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graphical object and an interactive input system employing the same
HK1222731A1 (zh) 平移和選擇姿勢檢測
JPH09269885A (ja) ウィンドウのサイズ変更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2013008017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110788A (ko) 3d 모델들에 대한 시스템 전체 거동을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JP6141301B2 (ja) 間接的対話装置の対話モデル
JP200419257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EP2791773B1 (en) Remote display area including input lenses each depicting a reg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701264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363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및 커서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JP2001282405A (ja) 座標入力装置
WO2024200685A1 (en) Improved touchless user interface for computer devices
AU2015202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touch display
TH1901008217A (th) วิธีการแสดงส่วนต่อประสานกับผู้ใช้ทางเรขภาพและอุปกรณ์อิเล็กทรอนิก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1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8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