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255A - Filt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Filtr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6255A KR20120096255A KR1020110015553A KR20110015553A KR20120096255A KR 20120096255 A KR20120096255 A KR 20120096255A KR 1020110015553 A KR1020110015553 A KR 1020110015553A KR 20110015553 A KR20110015553 A KR 20110015553A KR 20120096255 A KR20120096255 A KR 201200962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ion
- unit
- main body
- fiber yarn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1—Closed housing, vessels 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82—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by spray flush or jet flu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는 여과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입된 여과원수 내의 입자상 물질이 여과되어 유출되는 유출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두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여과원수로부터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상태인 여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원수 중의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와; 상기 여과부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여과부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견인부가 상기 여과부를 견인할 경우에는 상기 여과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의 공극이 작아져 여과가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부가 견인해제되어 상기 여과부를 이완시켜 상기 지지부와의 밀착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를 진동시키도록 공기분사부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여과부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여과효율이 높고 간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and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let for filtering raw water and an outlet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ter in the inflowing filtered water; A support part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two regions and ha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n which the particulate matter is removed from the filtered raw water passes; A filtering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support part and fixed at a lower area of the main body to filter particulate matter in the filtration raw water; A towing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ration part to pull the filtration part in one direction;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filtration unit to vibrate the filtration unit, and when the traction unit pulls the filtration unit, the air gap of the filtration unit becomes small in the state in which the filtration unit and the support uni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erform filtration. The traction unit may be pulled out to relax the filtration unit to release the air from the air injecting unit so as to vibrate the filtra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with the support is released.
Thereby, the filtration apparatus which has high filtration efficiency and can wash easily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 성능을 높이며, 여과된 후의 여과부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r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filtration performance and facilitate the washing of the filtration unit after being filtered.
일반적으로 하수처리 또는 상수처리 과정은 혼탁액을 깨끗한 청정액으로 만드는 단위공정으로 정수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여과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분리나 부상분리 또는 여과분리 등의 단위공정이 사용된다.Generally, sewage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process is a unit process for making turbid liquid into a clean and clean liquid, such as sedimentation, flotation or filtration separation in order to remov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filtered raw water flowing into a water treatment plant or sewage treatment plant. Unit processes are used.
여과공정으로 수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로는 섬유사부재를 이용한 여과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섬유사부재를 이용한 여과장치로써, 등록특허 제10-679231호가 제시되어 있다. 이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재로는 가느다란 실 형상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갖춘 섬유사부재가 있으며, 섬유사부재를 사용하여 수중의 입자상 물질을 여과-분리시키고, 여재인 섬유사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을 세척시키는 단위조작으로 물을 정화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여과장치에 구비되는 섬유사부재들은 그 하단만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단을 포함한 나머지 부분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여과시 섬유사부재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As a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in the water by a filtration process, a filtration device using a fiber yarn member may be used. As a filtration device using a fiber yarn member, Patent No. 10-679231 is presented. The filter medium used in this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fiber yarn member having a thin thread-like flexibility and elasticity. The fiber yarn member is used to filter-separate particulate matter in water and to trap particulate matter trapped in the filter fiber. Purify the water with a unit operation to wash. However, the fiber yarn members provide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re configured to freely move the remaining parts including the top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bottom thereof is fixed, so that the fiber yarn members may move freely during filtration.
또한, 여과시 섬유사부재들이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므로 섬유사부재들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ber yarn members move freely during filt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s is not formed equally.
또한, 여과원수의 유입으로 인한 저항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수중 입자상 물질의 포획이 불균일게 되어 여과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sistance due to the inflow of the filtration raw water is differ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pping of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water is uneven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relatively low.
또한, 종래의 섬유사부재를 이용한 다른 여과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0362594호가 제시되어 있다. 상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여과장치는 섬유사부재를 중앙에 위치한 다공관을 중심으로 배치하고, 다공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어 섬유사부재를 다공관 주위로 집중하여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Patent No. 10-0362594 is proposed as another filtration device using a conventional fiber yarn member. The filtration device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is arranged to arrange the fiber yarn member about the porous tube located at the center, and to twis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orous tube as a central axis to concentrate and filter the fiber yarn member around the porous tube. It is characterized by.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여과장치는 다공관 주위에 섬유사부재가 집중되었을 때 여과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과원수와 섬유사부재가 상호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여과효율이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filtration is performed when the fiber yarn member is concentrated around the perforated tube, so that the area where the filtration raw water and the fiber yarn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reduced, so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not hig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시 섬유사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o provide a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stably fix the fiber yarn members during filtration.
또한, 섬유사부재들 사이의 공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the gaps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s at regular intervals.
아울러, 여과원수의 유입으로 인한 저항을 고르게 형성하여 수중 입자상 물질의 포획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uniformly form a resistance due to the inflow of filtration raw water to maintain a uniform capture of particulate matter in the water.
따라서, 섬유사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섬유사부재들 사이의 공극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여과효율을 높힐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stably fix the fiber yarn members and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s,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여과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입된 여과원수 내의 입자상 물질이 여과되어 유출되는 유출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두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여과원수로부터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상태인 여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원수 중의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와; 상기 여과부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여과부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견인부가 상기 여과부를 견인할 경우에는 상기 여과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의 공극이 작아져 여과가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부가 견인해제되어 상기 여과부를 이완시켜 상기 지지부와의 밀착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를 진동시키도록 공기분사부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여과부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filtered raw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introduced filtered water is filtered out; A support part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two regions and ha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n which the particulate matter is removed from the filtered raw water passes; A filtering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support part and fixed at a lower area of the main body to filter particulate matter in the filtration raw water; A towing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ration part to pull the filtration part in one direction;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fluid toward the filtration unit to vibrate the filtration unit, and when the traction unit pulls the filtration unit, the air gap of the filtration unit becomes small in the state in which the filtration unit and the support uni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erform filtration. And the traction part is pulled out to relax the filtration part so as to vibrate the filtration part to vibrate the filtration part in a state where the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is released, thereby filtering the filtration part. Is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상기 여과부가 견인될 때, 상기 여과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밀착력이 높아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to form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filter part and the support part becomes high when the filter part is pulled out.
또한, 상기 여과부는 다수의 섬유사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섬유사부재와 상기 견인부 사이에 상기 견인부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섬유사부재에 전달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장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섬유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견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여과부가 견인되어 상기 지지부에 밀착되는 것이 여과부를 안정적으로 지지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lt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ber yarn member, the support portion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towing portion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 and the towing portion to be delivered to the fiber yarn member I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conver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side, one end of the fiber yarn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owing portion, the filtering portion is pulled by the tow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stably adhere a filtration part to a support part.
상기 여과부는 메쉬형태의 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망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섬유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망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망부재의 타단은 상기 견인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e filter portion further includes a mesh member of the mesh type, the fiber yarn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esh member, one end of the fiber yarn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is the main body It is fixed to the upper region of, one end of the mesh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of the mesh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또한, 상기 여과부는 메쉬형태의 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망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섬유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망부재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망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견인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portion further includes a mesh member of the mesh type, the fiber yarn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esh member, one end of the fiber yarn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is It is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esh member, one end of the network member may be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한편, 상기 분사부에 의해 세척된 상기 여과부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을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articulate matter trapped in the filter unit washed by the injection unit can easily discharge the pollutant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본체의 횡단면은 사각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설치되는 것이 다수의 여과장치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ration un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acing each other can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filtration apparatus compactly.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수를 여과할 때 섬유사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섬유사부재들 사이의 공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입자상 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저항을 고르게 형성하여 수중 입자상 물질의 포획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stably fix the fiber yarn members when fil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maintain voids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s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uniformly form a resistance due to the inflow of particulate matter to keep the capture of particulate matter in water uniformly.
따라서, 섬유사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섬유사부재들 사이의 공극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여과효율을 높힐 수 있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ly, a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fiber yarn members and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s,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1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도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제1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제2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cision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4 is a first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는 크게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부, 여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여과부를 견인하는 견인부, 여과부와 견인부 사이에 설치되는 장력변환부 및 여과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구비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filtration uni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unit, the traction unit to pull the filtration unit, the tension convers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ltration unit and the traction unit And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unit and the filter unit.
본체(10)는 하우징(11), 하우징(1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여과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2), 하우징(11)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여과원수로부터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여과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3)가 설치된다. The
하우징(11)은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며, 여과원수 및 여과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상단부에는 여과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2)가 설치된다. 하우징(11)의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므로 다수의 여과장치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유입부(1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원수를 하우징(11)의 내부로 안내하며, 본체의 단면적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게 된다. 유출부(13)는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입자상 물질이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로 안내하며, 하우징(11)의 하부 영역에 설치된다. The
여과부(20)는 실질적으로 여과원수를 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섬유사부재(21)와, 섬유사부재(21)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상부고정부(23)로 구성된다. 섬유사부재(21)는 다수의 가느다란 극세사의 다발로 마련된다. 섬유사부재(21)의 하단부는 하우징(11)의 하부영역에 고정된다. The
상부고정부(23)는 섬유사부재(21)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섬유사부재(21)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부고정부(23)는 후술할 견인부(40)와 연결되는 와이어(22)가 마련되어 견인부(40)의 운동에 의해 와이어(22)를 통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섬유사부재(21)는 견인부(40)에 연동되어 이동하게 된다. The
지지부(30)는 하우징(11)의 내부를 두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판상으로 마련되어,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1)의 내부는 지지부(30)를 중심으로 지지부(30)의 내부영역은 여과원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되며, 지지부(30)의 외부영역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여과수가 유출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30)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투과부(3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30)는 여과부(20)가 견인부(40)에 의해 견인될 때 여과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섬유사부재(21)와 밀착되어 여과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견인부(40)는 실린더(41)로 마련되어 하우징(11)의 상측에 설치된다. 실린더(41)의 단부는 상부고정부(23)와 연결된 와이어(22)와 결합된다. 또한, 상부고정부(23)와 실린더(41) 사이에는 장력변환부(42)가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어(22)는 상부고정부(23), 장력변환부(42)를 거쳐 실린더(41)에 연결된다. 장력변환부(42)는 실린더(41)로부터 발생되는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여과부(20)에 전달시켜 준다. 즉, 실린더(41)가 하향으로 신장되게 되면, 장력변환부(42)에 의해 여과부(20)는 상향으로 견인되게 되어 섬유사부재(21)의 공극이 줄어들게 된다. 장력변환부(42)는 아이들롤러로 마련되어 하우징(11)의 상측, 지지부(30)보다는 바깥쪽에 설치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60)는 하우징(11)의 하부에 마련된다. 세척부(60)는 여과부(20)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세척부(60)는 공기를 하우징(11)의 내부로 분사하여 섬유사부재(21)를 진동시키는 분사부(61), 여과부(20)로부터 떨어져 나온 입자상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를 토출시키는 토출부(62) 및 분사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타공부(63)를 구비한다. 분사부(61)는 외부의 에어펌프와 연통되어 있으며, 지지부(30)에 의해 구획되는 하우징(11)의 내부영역과 연통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토출부(62)도 지지부(30)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영역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분산타공부(63)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분사부(61)와 하우징(11) 사이에 설치되어 분사부(6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지금부터는 상술한 여과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여과시의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세척시의 작동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은 크게 여과단계와 세척단계로 나뉘게 된다. 먼저 여과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과단계에서는 분사부(61)와 토출부(62)를 패쇄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견인부(40)의 실린더(41)가 신장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42)와 연결된 와이어(22)가 장력변환부재(42)를 통하여 섬유사부재(21)를 상향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섬유사부재(21)의 개별 섬유사들은 상호 밀집된 상태로 된다. 또한, 하우징(11)에 설치된 지지부(30)와 섬유사부재(21)가 상호 밀착상태로 되며, 섬유사부재(21)는 더욱 더 촘촘한 상태로 되어 공극이 작게 형성된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filtration device will now be described. Figure 4 is an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filtra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washing.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filtration step and a washing step. First, the filtration step will be described. In the filtration step, the
이어, 유입부(12)를 통하여 여과원수가 유입되면 지지부(30)에 의해 구획되는 하우징(11)의 내부영역으로 안내되고, 지지부(30)에 의해 구획되는 외부영역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여과원수는 여과부(20)의 섬유사부재(21)를 통과하여 지지부(30)의 외부영역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섬유사부재(21)의 미세한 공극에 의해 여과원수 내의 입자상 물질은 섬유사부재(21)에 포획되고,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여과수는 섬유사부재(21)의 공극과 지지부(30)의 투과부(31)를 통하여 지지부(30)의 외부영역으로 통과하게 되어 여과가 이루어진다. 여과가 된 청정수는 지지부(30)의 외부영역과 연통된 유출부(13)를 통하여 여과장치의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filtration raw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여기서, 섬유사부재(21)는 판상의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여과원수와의 접촉면적을 지지부(30)의 면적에 대응되어, 여과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여과원수를 여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견인부(40)에 의해 섬유사부재(21)가 견인될 때, 지지부(40)가 지지해주므로 섬유사부재(21)를 보다 큰 힘으로 견인할 수 있어 아주 미세한 공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다음으로 세척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척단계는 일정 시간이 지나 여과장치 내부의 여과부(20)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세척단계에서는 유입부(12), 유출부(13), 토출부(62)를 패쇄하고, 여과부(20)는 견인부(40)에 의해 견인 해제된 상태로 된다. 즉, 견인부(40)의 실린더(41)가 신축되면, 장력변환부(42)에 의해 섬유사부재(21)에 인가된 힘이 해제되어 개별 섬유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섬유사부재(21)와 지지부(30)의 밀착상태는 해제된다. 이어, 분사부(61)를 통하여 공기가 하우징(11)의 내부영역으로 분사될 때 분사타공부(6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가 고르게 하우징(11)의 내부영역으로 분사된다. Next, the washing step will be described. The washing step refers to removing particulate matter trapped in the
따라서, 분사부(61)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섬유사부재(21)가 진동된다. 섬유사부재(21)는 실린더(41)에 의해 주어진 힘이 해제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됨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섬유사부재(21)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은 진동에 의해 섬유사부재(21)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지게 된다. 충분한 시간동안 분사부(61)가 섬유사부재(21)를 진동시킨 후, 토출부(62)를 개방하게 된다. 토출부(62)를 개방했을 때, 섬유사부재(21)로부터 떨어져나간 입자상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물인 역세척수가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공기의 힘으로 여과부(20)의 섬유사부재(21)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여과부, 장력변환부 및 견인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Next,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filtration part, the tension converting part, and the tow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are the same,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parts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부(20)는 섬유사부재(21)와 함게 메쉬형태의 망부재(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섬유사부재(21)의 하단부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섬유사부재(21)의 상단부는 상부고정부(23)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상부고정부(23)는 제1실시예와 달리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다.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망부재(24)는 메쉬형태로 마련되며, 지지부(30)에 섬유사부재(21)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망부재(25)의 하단부는 하우징(11)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견인부(40)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견인부(40)는 구동롤러(45)로 마련되어 지지부(30)의 외측에 마련되며, 망부재(25)의 상단부는 구동롤러(45)에 감길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45)가 구동하게 되면 망부재(25)의 상단부는 구동롤러(45)에 감기게 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섬유사부재(21)를 지지부(30)측으로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망부재(25)에 의해 섬유사부재(21)는 지지부(30)측으로 밀착하게 되어 섬유사부재(21)의 공극은 작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 섬유사부재(21)의 미세 공극에 의해 입자상 물질이 여과된다. The mesh member 24 is provided in a mesh form, and serves to closely contact the
한편, 여과부(20)를 세척할 경우에는 구동롤러(45)를 여과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망부재(25)가 견인 해제되어 섬유사부재(21)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ashing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망부재(2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섬유사부재(21)의 하단부는 하우징(11)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망부재(25)의 상부영역에 결합된다. 또한, 망부재(25)의 하단부는 하우징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상부영역은 견인부(4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견인부(40)는 구동롤러(45)로 마련되어 지지부의 외측에 마련되며, 망부재(25)의 상단부는 구동롤러(45)에 감길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45)가 구동하게 되면 망부재(25)의 상단부는 구동롤러(45)에 감기게 되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섬유사부재(21) 역시 망부재(25)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부(30)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섬유사부재(21)의 공극은 작아지게 되고, 미세공극에 의해 수중 입자상 물질이 여과되게 된다. Next,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마찬가지로, 세척단계에서는 견인부(40)가 망부재(25)를 견인해제하게 되면, 망부재(25)와 섬유사부재(21)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분사부(61) 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섬유사부재(21)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이 탈리하게 된다.Similarly, in the washing step, when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
10: 본체 11: 하우징
12: 유입부 13: 유출부
20: 여과부 21: 섬유사부재
22: 와이어 23: 상부고정부
25: 망부재 30: 지지부
31: 투과부 40: 견인부
41: 실린더 42: 장력변환부
45: 구동롤러 60: 세척부
61: 분사부 62: 토출부
63: 분산타공부 10: body 11: housing
12: inlet 13: outlet
20: filtration unit 21: fiber yarn member
22: wire 23: upper fixing part
25: mesh member 30: support portion
31: transmissive portion 40: towing portion
41: cylinder 42: tension converter
45: drive roller 60: cleaning unit
61: injection part 62: discharge part
63: dispersion punching
Claims (8)
상기 본체의 내부를 두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여과원수로부터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상태인 여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과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원수 중의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와;
상기 여과부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여과부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견인부가 상기 여과부를 견인할 경우에는 상기 여과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의 공극이 작아져 여과가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부가 견인해제되어 상기 여과부를 이완시켜 상기 지지부와의 밀착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를 진동시키도록 공기분사부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여과부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flow part through which the filtered raw water flows in and an outflow part through which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introduced filtered water is filtered out;
A support part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two regions and ha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n which the particulate matter is removed from the filtered raw water passes;
A filtering part installed adjacent to the support part and fixed at a lower area of the main body to filter particulate matter in the filtration raw water;
A towing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ration part to pull the filtration part in one direction;
An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fluid to the filtration unit side to vibrate the filtration unit,
When the towing unit pulls out the filtering unit, the gap between the filtering unit is reduc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lter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iltration is performed.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to vibrate the filtrat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filtration unit is released, and the filtration unit is washed.
상기 여과부가 견인될 때, 상기 여과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밀착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지지부는 곡면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filter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increased when the filter part is pulled out.
상기 여과부는 다수의 섬유사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ber yarn member.
상기 섬유사부재와 상기 견인부 사이에 상기 견인부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섬유사부재에 전달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장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섬유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견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여과부가 견인되어 상기 지지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tension converting part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support part to convert the direction of tension generated by the towing part between the fiber yarn member and the towing part and to transmit the tension yarn to the fiber yarn member.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unit, the filtration unit is pulled by the traction un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unit.
상기 여과부는 메쉬형태의 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망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섬유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망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망부재의 타단은 상기 견인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mesh member of the mesh type, the fiber yarn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esh member, one end of the fiber yarn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is the main body It is fix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filt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mesh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of the mesh member is connected to the towing unit.
상기 여과부는 메쉬형태의 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사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망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섬유사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망부재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망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영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견인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 portion further includes a mesh member of the mesh type, the fiber yarn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esh member, one end of the fiber yarn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the other end is the mesh It is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ember, one end of the mesh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unit.
상기 분사부에 의해 세척된 상기 여과부의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척수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backwash water including particulate matter of the filter unit washed by the injection unit.
상기 본체의 횡단면은 사각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iltering un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acing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15553A KR20120096255A (en) | 2011-02-22 | 2011-02-22 | Filtr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15553A KR20120096255A (en) | 2011-02-22 | 2011-02-22 | Filtr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96255A true KR20120096255A (en) | 2012-08-30 |
Family
ID=4688631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15553A Ceased KR20120096255A (en) | 2011-02-22 | 2011-02-22 | Filtr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20096255A (en) |
-
2011
- 2011-02-22 KR KR1020110015553A patent/KR20120096255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029405B2 (en) | Membrane separator | |
| JP4970599B2 (en) | Pull-up type air gap control fiber filter | |
| KR101592329B1 (en) | Hybrid Type Fiber Filtering Apparatus | |
| CN102658031A (en) | External filtering system for hollow fiber porous membrane bundle and technology thereof | |
| JP4724688B2 (en) | Filtration device | |
| KR20150090713A (en) | A gap regulating filter device in which filtration and cleaning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 |
| KR101510923B1 (en) | A pore controllable fiber filter with catridge filter,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 |
| KR20080102340A (en) | Ultrasonic Industrial Fiber Filter | |
| US10071924B2 (en) | Diffusion pipe and method for cleaning diffusion pipe | |
| KR101999068B1 (en) | Curved surface pressure type fiber filter using water pressure | |
| WO2013129227A1 (en) | Filtration device | |
| KR20120096255A (en) | Filtration apparatus | |
| KR101594197B1 (en) | Filtering device having a cleaning function | |
| JP4996379B2 (en) | Filtration device | |
| KR102299939B1 (en) | Submersed membrane filtering apparstus for wastewater treatment | |
| KR101629256B1 (en) | Back washing efficiency improving type filter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0274759B1 (en) | Microfiltr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textile hose | |
| KR101632734B1 (en) | A pore controlling type wastewater filtration unit using non woven fabric | |
| KR200373573Y1 (en) | Micro filter of recycle system | |
| KR102269801B1 (en) | Frame structure of submersed membrane module for wastewater treatment | |
| KR20110073223A (en) | Continuous Inlet Filtration Apparatus Using Fiber Yarn and Filtration Filter with Backwashing Function | |
| KR200424338Y1 (en) | Modular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Devices | |
| KR101011127B1 (en) | Cross-fiber yarn pore control filtration device | |
| KR102269800B1 (en) | Submersed membrane module for wastewater treatment | |
| KR101222638B1 (en) | Flexible fiber holder for a fiber filter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