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8976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976A
KR20120128976A KR1020110046954A KR20110046954A KR20120128976A KR 20120128976 A KR20120128976 A KR 20120128976A KR 1020110046954 A KR1020110046954 A KR 1020110046954A KR 20110046954 A KR20110046954 A KR 20110046954A KR 20120128976 A KR20120128976 A KR 20120128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mobile terminal
circuit board
fe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976A/en
Publication of KR2012012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97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연결부는 제1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급전시키는 제1 급전부와, 제2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급전부로부터 연장된 패턴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급전부를 포함함으로써, 안테나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하여 단말기의 내부 실장 효율을 개선하고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body including a circuit board formed to process a wireless signal, a radiator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feed connection part for feeding and connecting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The power supply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feeder configured to feed powe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pattern extending from the first feede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frequency band. By including a second feeder coupled to one end, the size of the antenna can be further miniaturized to improve the internal mounting efficiency of the terminal and to reduce material costs.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안테나 장치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mobile terminals are regarded as personal items for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and various design forms are required. The design form also includes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One of thes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can be considered for antenna device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성능이 향상된 안테나 장치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mproved antenn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작은 공간내에서 저주파 대역의 멀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ulti-radio signal of a low frequency band in a smaller spac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 기판(160)을 포함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회로 기판(160)을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연결부는 제1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급전시키는 제1 급전부와, 제2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급전부로부터 연장된 패턴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급전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including a circuit board 160 formed to process a radio signal, a radiator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feed connection part for feeding and connecting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160, wherein the feed connection part corresponds to a first feed part for feeding and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A second feed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pattern extending from the first feeder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 기판(160)을 포함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회로 기판(160)을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연결부는 상기 방사체가 서로 다른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급전 유닛들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rminal body including a circuit board 160 formed to process a radio signal, a radiator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160. A power supply connection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connection unit, and the power connection unit disclose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of different band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이중 공진 및 이중 급전을 하도록 형성되는 급전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안테나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하여 단말기의 내부 실장 효율을 개선하고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는 보다 슬림하게 구성되면서도, 저주파의 광대역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ed connection part formed to perform dual resonance and double feed, thereby further minimizing the size of the antenna, thereby improving internal mounting efficiency of the terminal and reducing material cost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figured to be slimmer and transmit /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low frequency broadb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9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이동 단말기의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with the rear case removed;
5 to 8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embodiments of the antenna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radi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graphs showing voltage standing wave ratios (VSWR) of a mobi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and desktop computer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ase 101 and a second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본체, 주로 제1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user input units 131 and 132,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irst case 101. .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1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By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and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인터페이스(170)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70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The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the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feeling.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unit 131 or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control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touch scree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제2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1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second case 102. The camera 121 ′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121.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have a low pixel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pixels. The camera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rotatable or pop-up.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와 거울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and a mirror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shoot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can be installed to be drawable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배터리 커버(190)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remov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built in by the battery cover 190.

제2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제2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case 102 may additionally be equipped with a touch pad (not shown) for sensing a touch. Like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pad may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light transmissive type.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from both sides, the visual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Information output on both surfaces may be controlled by the touch pad. Alternatively, a display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touch pad, and the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ase 102.

터치 패드는 제1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touch pad operates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unit 151 of the first case 101. The touch pa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pad may have a siz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151.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with the rear case removed.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00)는 모노폴로서 작동하는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로서, 제1 케이스(10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3)이 장착되고, 회로 기판(160)은 디스플레이 모듈(153)을 덮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n antenna device 20, 30, 200, 300 that operates as a monopole, and includes a first case. The display module 153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101, and the circuit board 160 is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module 153.

회로 기판(160)의 일면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되며, 상기 일면에는 전자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쉴드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재는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를 확장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60, and a shield memb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s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60. The shield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60 to extend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160.

회로 기판(16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회로 기판(160)은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전자기파)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복수의 송수신 회로(224, 225, 도 10 참조)들이 회로 기판(160)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160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ircuit board 16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the controller by a combination of the circuit boards 160.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devices 20, 30, 200, and 300, and is configured to process radio signals (or radio electromagnetic wave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antenna devices 20, 30, 200, and 300. . For the processing of the wireless signal,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s 224, 225 (see FIG. 10) may be formed o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60.

일 예로, 제1 송수신 회로(224)는 S band( 1.55~3.9GHz, 또는 2.5~4GHz 주파수대) 나 L band(390MHz~1.55GHz, 1~2GHz 또는 1.53~1.66GHz의 주파수대) 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송수신 회로(225)는 VHF band( 30-300MHz의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224 transmits a signal of an S band (1.55 to 3.9 GHz, or 2.5 to 4 GHz band) or an L band (390 MHz to 1.15 GHz, 1 to 2 GHz, or 1.53 to 1.66 GHz) or It may be formed to receive, and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circuit 225 may be formed to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in the VHF band (frequency band of 30-300MHz).

송수신기 회로들(224, 225)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및 관련 전기적 소자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 회로는 송신 집적 회로, 수신 집적회로, 스위칭 회로,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ransceiver circuits 224 and 225 may be formed including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s and associated electrical elements. In one example, the transceiver circuitry may include a transmit integrated circuit, a receive integrated circuit, a switching circuit, an amplifier, and the like.

복수의 송수신기 회로들(224, 225)은 방사체를 동시 급전함으로써,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수신할 수 있으며, 둘 다 송신하거나 둘다 수신을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ransceiver circuits 224, 225 can operate simultaneously by simultaneously feeding the radiator. For example, while either one is transmitting, the other can receive, both can transmit or both can receive.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의 일 예로서 배터리(191)가 배치되며, 배터리(191)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안착부재에 수용된다. 안착부재는 회로 기판(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를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안착부재, 쉴드부재 및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 레이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battery 191 is disposed as an example of the power supply inside the terminal, the battery 191 is accommodated in the metal seat member forming a seating space. The mounting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60 to serve to extend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160. 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the shield member, and the ground layer of the circuit board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ground of the terminal.

그리고,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는 그 일부가 단말기 본체의 중간 케이스(103)에 열융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가 중간 케이스(103)에 구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케이스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antenna devices 20, 30, 200, and 300 may be implemented by being thermally fused to the intermediate case 103 of the terminal body. Hereinafter, although the antenna devices 20, 30, 200, and 3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eing implemented in the intermediate case 10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ses may be integrally formed.

단말기 본체의 중간 케이스(103)에 열융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주파 발생 장치가 고주파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면,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 중 금속성의 방사체의 일부가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가압 장치가 피 융착물인 중간케이스(103)에 상기 일부를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 장치에 의한 가압은 상기 일부를 가열전, 가열중, 또는 가열후에 가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 전 가압을 하고, 충분히 냉각될 때까지 가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of thermal fusion to the intermediate case 103 of the terminal body is as follows. When the high frequency generator generates a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a part of the metallic radiator among the antenna devices 20, 30, 200, 300 is heated by induction heating. Then, the pressurizing device presses a part of the intermediate case 103 on the object to be fused. Here, the pressurization by the pressurization device may pressurize the above part before heating, during heating, or after heating, but it is preferable to pressurize before the induction heating and maintain the pressurization until it is sufficiently coo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 장치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는 데, 상단에는 FM radio 주파수 대역, Blue Tooth 또는 WIFI 등과 같은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들(20, 30, 200, 3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WS(advanced wireless service), DCN(digital communications network)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180)가 배치될 수 있다.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 devices, the antenna 20, 30, 200 operating in a band such as FM radio frequency band, Blue Tooth or WIFI on the top , 30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an antenna 180 formed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n advanced wireless service (AWS), a digital communications network (DCC), and a long term evolution (LTE) may be disposed. Can be.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는 상기한 FM radio 주파수 대역, Blue Tooth 또는 WIFI 등과 같은 대역에서 동작하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 위성신호 수신 안테나,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수신 안테나와 관련된다.In particular, the antenna device (20, 30, 200, 3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Bluetooth antenna, satellite signal reception operating in the band such as the FM radio frequency band, Blue Tooth or WIFI Antenna, and a data receiving antenna of the wireless Internet.

FM radio나 지상파 DMB 등 VHF(Very High Frequency)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그 주파수 특성상 파장이 1~10m에 달하기 때문에 안테나를 소형의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루프 안테나나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는 1/4 파장의 길이만 가져도 VHF(Very High Frequency)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노폴 안테나를 구현하였다.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the VHF (Very High Frequency) band, such as FM radio or terrestrial DMB, the wavelength is 1 to 10 m due to its frequency characteristics,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an antenna in a small terminal.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oop antenna or a dipole antenna, the antenna length should be sufficiently long, so that the antenna devices 20, 30, 200, and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ength of only 1/4 wavelength, but VHF (Very High Frequency) A monopole antenn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in a band is implemented.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60)의 일면에 배터리(191)가 적층되고, 스피커 모듈(133)과 카메라 모듈(125)이 배터리(191)의 상단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191)를 사이에 두고, 단말기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 근접하여 안테나들(180, 20, 30, 200, 300)이 형성된다. 안테나들(180, 20, 30, 200, 300)은 회로 기판(160)에 각각 접지 연결 또는 급전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4, the battery 191 is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60, and the speaker module 133 and the camera module 125 are disposed close to the top of the battery 191. The antennas 180, 20, 30, 200, and 300 are formed close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terminal body with the battery 19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antennas 180, 20, 30, 200, and 300 are grounded or feed-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60, respectively.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5 to 8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antenna apparatus 20, 30, 200,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20, 30, 200, 300)는 방사체(21, 31, 210, 310) 및 방사체와 회로 기판(160)을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22, 32, 220, 320)를 포함한다. 급전 연결부(22, 32, 220, 320)는 복수의 급전부 또는 급전 유닛을 포함하는데, 일 예로 두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하여는 제1 급전부(23, 33, 230, 330)와 제1 급전부로부터 연장된 패턴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급전부(24, 34, 240, 340)를 포함할 수 있다.Antenna device 20, 30, 200,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connecting portion 22, 32, 220 for feeding and connecting the radiator (21, 31, 210, 310) and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160 , 320). The feed connection parts 22, 32, 220, and 320 include a plurality of feed parts or feed units, for example, the first feed parts 23, 33, 230, and 330 to operate in two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second feeding part 24, 34, 240, 34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pattern extending from the first feeding part.

일 예로, 방사체와 제1 급전부까지의 경로는 2.4GHz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사체와 제2 급전부까지의 경로는 FM radio 주파수 대역(88 ~ 108MHz) 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급전부는 제1 송수신 회로(224)에, 제2 급전부는 제2 송수신 회로(225)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th between the radiator and the first feede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in a 2.4 GHz band, and a path between the radiator and the second feeder may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in an FM radio frequency band (88 to 108 MHz). It can be made to. The first feed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t / receive circuit 224 and the second feede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circuit 225.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로서 연장된 패턴(25)은 상기 FM radio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경로를 연장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도전체를 이용하여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전체의 길이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야 하므로, 안테나의 소형화를 달성하기 어렵다.As shown in FIG. 5, the pattern 25 extended as a conductor extends a path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of the FM radio frequency band. However, in this way, when the path is formed by using the conductor, it is difficult to achieve miniaturization of the antenna because the conductor must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체(31)를 평면 패치 형태로 형성하면, 도 5에 도시된 라인 형태의 방사체(21)에 비해 인덕턴스가 작고 커패시턴스가 크지만, 임피던스의 리액턴스 성분만 변화시키고 리액턴스 성분은 일정하므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안테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radiator 3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atch, the inductance is smaller and the capacitan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line-shaped radiator 21 illustrated in FIG. 5, but only the reactance component of the impedance is changed. Since the reactance component is constant, the size of the antenna can be reduc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mount of change in inductance and capacitance while maintaining the resonance frequency.

이와 관련된 식은 다음과 같다.The related expression is as follows.

Z = R + jX = R + jwL + jwCZ = R + jX = R + jwL + jwC

여기서, 공진 주파수는 reactance가 0인 주파수이므로, X = wL - 1/wC = 0을 계산하면, Here, since the resonance frequency is the frequency at which reactance is 0, when X = wL-1 / wC = 0,

f= 1/(2*phi*sqrt(LC))로 정의된다.f = 1 / (2 * phi * sqrt (LC))

또한, 연장된 패턴(35, 250, 350, 370)이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방사체(31), 연장된 패턴 및 제2 급전부가 FM radio 주파수 대역의 경로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즉, 안테나의 인덕턴스 성분을 축소하고, 급전회로에 인덕터(36, 260, 360, 371)를 추가함으로써, 방사체의 인덕턴스 성분을 대체하여 안테나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ded patterns 35, 250, 350, and 370 may include at least one inductor such that the radiator 31, the extended pattern, and the second feeder form a path of the FM radio frequency band. . That is, by reducing the inductance component of the antenna and adding the inductors 36, 260, 360, and 371 to the power supply circuit, the size of the antenna can be further reduced by replacing the inductance component of the radiator.

그리고, 연장된 패턴(25, 35, 250, 350)의 중간 부위에 제1 급전부(33, 230, 330)를 연결하면, 서로 다른 대역에서 공진하는 이중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feeders 33, 230, and 330 are connected to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extended patterns 25, 35, 250, and 350, dual resonance characteristics resonating in different bands may be obtained.

제1 급전부(33, 230, 330) 및 제2 급전부(34, 240, 340)를 통하여, 이중 급전(또는, 동시 급전)을 하게 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의해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간섭을 줄이도록 제1 급전부 및 제2 급전부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트랩회로(231, 331)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double feeding (or simultaneous fee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feeders 33, 230, 330 and the second feeders 34, 240, 340, interference occurs due to different frequency bands. To reduce such interference, the first feed part and the second feed part may include signal trap circuits 231 and 331 as shown in FIG. 7.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300)는 또 다른 연장 패턴(370) 및 제3 급전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3 급전부(330, 340, 380)를 통하여, 삼중 급전을 할 수 있으며, 안테나(30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패턴은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패턴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터브나 슬롯과 같이 다른 튜닝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antenna device 300 may include another extension pattern 370 and a third feed part 380. Accordingly, triple feed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feeding units 330, 340, and 380, and the size of the antenna 300 may be further reduced. Herein, although the extension pattern includes an inductor as an example, the extension pattern may be formed of only the pattern, and may include other tuning elements such as a stub or a slot, if necessary.

이와 같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다중 안테나를 하나의 방사체만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및 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As such, since multiple antennas operating i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can be formed to have only one radiator, the antenna and th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도 9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210)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9 to 10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radiator 2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방사체(210)는 복수의 멤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방사체(210)는 서로 이격된 갭이 슬롯(214)을 형성하도록 제1 멤버(211)와 제2 멤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214)이 포함됨으로써, 안테나는 모노폴 안테나로서 동작특성뿐만 아니라 슬롯 안테나로서의 동작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슬롯(214) 및 복수의 멤버들을 적절하게 튜닝함으로써, 방사체(210)는 이중 공진을 할 수 있다. 또한, 슬롯(214)은 공기로 채워지지만, 임의의 적합한 유전체로 채워질 수 있다.The radiator 2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s shown in FIG. 9, for example, the radiator 210 may include a first member 211 and a second member 212 such that gaps spaced from each other form a slot 214. By including such a slot 214, the antenna can exhibi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s a slot antenna as well a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s a monopole antenna. By properly tuning the slot 214 and the plurality of members, the radiator 210 can make a double resonance. Slot 214 is also filled with air, but can be filled with any suitable dielectric.

제1 멤버(211)와 제2 멤버(212)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평면 패치(Planar Patch)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멤버(211) 또는 제2 멤버(212) 중 어느 하나는 급전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211 and the second member 212 may be formed in a planar patch form by being disposed on the same plane, either one of the first member 211 or the second member 212. Can be connected to the feed connection.

제1 멤버(211) 또는 제2 멤버(212) 중 어느 하나는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터브로 인하여 안테나의 튜닝이 가능하다. Any one of the first member 211 or the second member 212 may include at least one stub 213 to expand the bandwidth. This stub allows tuning of the antenna.

급전 연결부(220)는 제1 멤버(211) 또는 제2 멤버(212)를 전기적 연결(또는 EM(Electro-Magnetic)급전방식)로 급전시킨다. 또한, 제1 멤버(211) 또는 제2 멤버(212)와 접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단락시켜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The feed connection unit 220 feeds the first member 211 or the second member 212 by an electrical connection (or an electro-magnetic feeding method). In addition, the antenn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211 or the second member 212 to be electrically shorted to achieve antenna resonance frequency and impedance matching.

급전 연결부는 급전 장치(미도시)와 제1 멤버(211) 또는 제2 멤버(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급전 연결부는 급전판(222), 급전암(arm, 221) 또는 급전선(16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판(222), 급전암(221) 또는 급전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급전 장치를 통해 급전되는 전류(또는 전압)를 방사부의 도체로 전달한다. 여기서, 급전선은 기판 상에 인쇄되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and the first member 211 or the second member 212. For this connection, the feed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eed plate 222, the feed arm 221, or the feed line 164. Here, the feed plate 222, the feed arm 221 or the feed lin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ransmits the current (or voltage) fed through the feed device to the conductor of the radiator. Here, the feed line may include a microstrip printed on a substrate.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판(222)은 회로 기판(160)에 형성되고, 급전암(221)은 제1 멤버(211) 또는 제2 멤버(212)와 급전판(22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방사체(210)의 일 평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전판(222)과 제1 송수신 회로(224) 및 제2 송수신 회로(225)가 급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급전판(222)과 송수신 회로 사이에는 일정 패턴이 형성되거나 패턴의 일부로서 인덕터가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eed plate 222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60, and the feed arm 221 connects the first member 211 or the second member 212 and the feed plate 222 to each other. In order to be connected, the radiator 210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in one plane of the radiator 210. In addition, the feed plate 222, the first transmit / receive circuit 224, and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circuit 225 may be connected by a feed line. 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formed between the feed plate 222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or an inductor may be included as part of the pattern.

도 11과 도 12는 이동 단말기의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1 and 12 are graphs showing voltage standing wave ratios (VSWRs) of mobile terminals.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가 수십 옥타브(Octave) 이상 떨어진 대역에서 각각 만족할 만한 광대역 안테나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FM radio 주파수 대역(88 ~ 108MHz)과 같은 저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2.4GHz 대역과 같은 고주파수 대역에서 광대역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11 and 12, it can be seen that antenn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satisfactory broadband antenna characteristics in bands in which the center frequency is several tens of octaves or more apart. 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wideband characteristic in a high frequency band such as a 2.4 GHz band as well as a low frequency band such as an FM radio frequency band (88 to 108 MHz).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have.

Claims (18)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연결부는 제1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급전시키는 제1 급전부와, 제2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급전부로부터 연장된 패턴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terminal body comprising a circuit board formed to process a wireless signal;
A radiator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feed connection part for feeding and connecting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The feed connection unit includes a first feeder configured to feed powe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frequency band, and one end of a pattern extending from the first feede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eeder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평면 패치(Planar Patch)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adiato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planar patch (Planar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일단이 상기 급전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연결되고, 이중 공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멤버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이 형성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adiator may include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feed connection portion; And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having at least one slot formed therebetween so as to allow double reson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는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 또는 상기 제2 멤버는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stub to expand the bandwid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VHF(Very High Frequency) ba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 mobile high frequency (VHF)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S band 또는 L ba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frequency band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 band or L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제1 송수신 회로와 제2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방사체를 통하여 서로 다른 대역의 무선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first transceiver circuit and a second transceiver circuit,
The circuit board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radiator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of different bands at the same ti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가 상기 방사체를 동시 급전시 각각의 주파수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는 각각 시그널 트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feed portion and the second feed portion reduce interference between respective frequencies when simultaneously feeding the radiator,
And the first feed part and the second feed part each include a signal trap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연장된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extended pattern comprises at least one inductor to operate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body includes: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terminal,
And the radiator is heat-sealed to an intermediate cas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회로 기판을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연결부는 상기 방사체가 서로 다른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급전 유닛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terminal body comprising a circuit board formed to process a wireless signal;
A radiator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feed connection part for feeding and connecting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The power supply conn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formed to allow the radiator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of different band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유닛들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급전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패턴의 일단에 다른 하나의 급전 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supply units can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f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ower supply un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attern extending from any one power supply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elongated pattern comprises at least one induc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유닛들은 각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된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방사체를 통하여 서로 다른 대역의 무선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feeding units include elongated patterns forming a path to resonate in each frequency band,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s formed to enable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of different bands through the radia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유닛들의 동시 급전시, 각각의 주파수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급전 유닛들은 각각 시그널 트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power supply units each include a signal trap circuit so as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respective frequencies when simultaneously feeding the power supply uni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여, 복수의 공진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radiator includes at least one slot,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allow a plurality of resonanc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은 복수의 멤버로 형성되고, 각각의 멤버들은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adiators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each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stub (stub) to expand the bandwidth.
KR1020110046954A 2011-05-18 2011-05-18 Mobile terminal Ceased KR201201289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954A KR20120128976A (en) 2011-05-18 2011-05-1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954A KR20120128976A (en) 2011-05-18 2011-05-1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976A true KR20120128976A (en) 2012-11-28

Family

ID=4751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954A Ceased KR20120128976A (en) 2011-05-18 2011-05-18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9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8412B2 (en) 2019-02-28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module supporting dual band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8412B2 (en) 2019-02-28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module supporting dual band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50255E1 (en) Mobile terminal
KR101257093B1 (en) Mobile terminal
CN103515693B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with same
KR101777606B1 (en) Mobile terminal
KR101224089B1 (en) Mobile terminal
KR101604759B1 (en)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18990B1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220021105A1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c device using the same
CN110416705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1978955B1 (en) Mobile terminal
KR102018548B1 (en) Mobile terminal
KR20130106213A (en) Mobile terminal
KR20120128976A (en) Mobile terminal
KR101850389B1 (en) Mobile terminal
KR20120121763A (en) Mobile terminal
KR20130053934A (en) Mobile terminal
KR20160035903A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9212B1 (en) Mobile terminal
CN118676576A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30135646A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1352022A (en) Multi-band antenna system with multiple plate condu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