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7895A -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895A
KR20120137895A KR1020110057043A KR20110057043A KR20120137895A KR 20120137895 A KR20120137895 A KR 20120137895A KR 1020110057043 A KR1020110057043 A KR 1020110057043A KR 20110057043 A KR20110057043 A KR 20110057043A KR 20120137895 A KR20120137895 A KR 2012013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layer
ceramic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철
Original Assignee
나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철 filed Critical 나승철
Priority to KR102011005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895A/ko
Publication of KR2012013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895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4Inorganic
    • B32B2266/057Silicon-containing material,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0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4Tim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조건을 조절함으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성하는 조직의 밀도를 다르게 형성하도록 하여 비체적을 형성하는 공간이 서로 폐쇄(입계(粒界)와 입계(粒界) 사이의 거리 조절)되어 충격음이 차단되도록 하여 차음이 되고 다른 한 쪽면은 비체적을 형성하는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흡음이 되도록 구성된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ceramic panel and Process of producingthereof}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조건을 조절함으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성하는 조직의 밀도를 다르게 형성하도록 하여 비체적을 형성하는 공간이 차단된 폐쇄입계(粒界)와 공간이 서로 연결된 오픈입계(粒界)를 형성하여 일면은 차음이 되고 다른 한 쪽면은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흡음이 되도록 구성된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건축용 복합패널은 단열성능을 가진 스티로폼 또는 석면재의 양면에 강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패널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은 강도와 단열성능은 우수하여 건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였으나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내열성능이 약하여 화재에 약하고 화재시에 유해가스의 발생이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석면은 발암물질을 발산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대체 재료의 개발이 모색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65315호에서는 폐광물성섬유, 유리면, 암면, 세라믹화이바 등을 수집하여 타면기에 의해 타설하고 바인다를 혼합하여 정련기에 의해 일정 폭 넓이로 정련하면서 에이프런콘베어에 연속투입 저온가열가압하여 패널로 성형 후 용도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광물성섬유 폐기물을 재생가공함으로 기능이 다른 광물성 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0-0036620호에서는 금속 시트로 된 상 표면재; 금속 시트로 된 하표면재; 및 상기 상, 하 표면재 사이에 샌드위치된 금속 격자형 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 하 표면재와 심재는 이들 사이의 격자 공간에 충진된 알카리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질 발포체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어 고온에서 단열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방화성 단열복합패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992-0017819호에서는 스티로폼혼합경량콘크리트를 충전제로 이용하는 건축내외벽용 패널 구조체에 있어서,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보드에 아크릴수지시멘트접착제로 반고체상태의 스티로폼혼합경량콘크리트를 충전, 접합시키고, 상기 아크릴수지시멘트접착제를 바른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보드를 상부에 얹은 다음 동시에 압축, 탈형시켜 일체화로 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외벽용 경량복합패널구조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공지기술에서도 발암물질을 내포할 수 있는 유리면, 암면 등을 포함하는 광물성 복합패널을 제공하고 있어 인체 유해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경량콘크리트를 별도로 충전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금속 표면재와 격자를 사용하여 패널을 구성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고 접착제를 사용함으로 인한 유해물질 배출의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996-0012015호에서는 새로운 발포유리 제조방법으로서 탄산칼슘이나 돌로마이트를 이용한 발포유리 제조기술이 나타나 있으나, 이는 단일 층의 발포유리 구조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표면강도가 낮고 못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 시공성이 불편하여 건축용 내외장재로서는 사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타제품과 별도로 복합구조를 형성시킨 경우에만 내외장재로서 사용이 가능한 제한성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32625호가 제안된바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32625호의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폐유리분말 30~50중량부, 탄산칼슘 및 인산칼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인 발포제 0.5~5중량부, 나트륨 성분에 저밀도의 미립 Si02를 함유한 액상의 규산소다와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혼합된 분말상 나트륨화합물인 성형 및 소성 조제 10~30중량부 및 규조토, 점토 및 플라이애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미립의 다공성 무기질 분말 30~40중량부를 함유하는 고비중 세라믹발포층용 혼합물과; 폐유리분말 40~60중량부 , 상기 발포제 1~10중량부, 상기 성형 및 소성조제 10~30중량부 및 상기 미립의 다공성 무기질 분말 5~30중량부를 함유하는 저비중 세라믹발포층용 혼합물이 순차적으로 적층, 성형되고 소성된 패널이며, 650~850℃에서 10~30분간 소성후 고비중 세라믹발포층의 비중이 0.8~1.2이고 5~10%의 공극률을 가지며, 650~850℃에서 10~30분간 소성후 저비중 세라믹발포층의 비중이 0.1~0.4이고 60~80%의 공극률을 갖는 것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32625호의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외부층으로 고비중 세라믹발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혼합물과 내부층으로 저비중발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혼합물을 다중 층을 형성하도록 금형에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이들을 성형 및 소성한 것으로 우수한 불연성, 단열성, 흡음성 및 차음성을 가지며,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시 시공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복합패널이다.
그러나 상기한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중 층을 형성하기 위해 물성이 다른 다수개의 혼합물을 만들어야 하고 상기한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적층 성형되고 소성된 패널로서 여러 준비단계와 여러 작업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하나의 혼합물을 발포 형성시킬 때 상부와 하부가 다르게 발포되도록 발포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발포 조직의 구조를 다르게 구성(입계(粒界)와 입계(粒界) 사이의 거리 조절)하여 우수한 불연성, 단열성과 동시에 흡?차음성을 가지며,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시 시공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복합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에 있어서, 폐유리, 물유리, 퍼라이트,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상부혼합물층(흡음구간)과 폐유리, 물유리 및 3가알콜을 혼합한 하부혼합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상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0 ~ 95중량부, 물유리 4 ~ 6중량부, 퍼라이트 3 ~ 5중량부, 규조토 2 ~ 3중량부 및 발포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제는 탄산칼슘 또는 산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4~95중량부, 물유리 4~6중량부 및 3가알콜 0.4~0.6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가알콜은 농도가 78% ~ 82% 범위인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유리, 물유리, 퍼라이트,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점질의 상부층혼합물과 폐유리, 물유리 및 3가알콜을 혼합하여 된 점질의 하부층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혼합물을 발포성형기에 하부층혼합물을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채워넣고, 그 상부층으로 상기 상부층혼합물을 도포하여 채워 넣는 단계;
상기 하부층혼합물과 상부층혼합물을 채워넣은 발포성형기를 온도 800~850℃에서 30~40시간 가열 및 발포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 및 발포성형을 완료한 성형채를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층혼합물은 폐유리 90 ~ 95중량부, 물유리 4 ~ 6중량부, 퍼라이트 3 ~ 5중량부, 규조토 2 ~ 3중량부 및 발포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칼슘 또는 산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4~95중량부, 물유리 4~6중량부 및 3가알콜 0.4~0.6W%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가알콜은 농도가 78% ~ 82% 범위인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혼합물을 소성할 때 상부층을 형성하는 혼합물과 하부층을 형성하는 혼합물의 가열 및 냉각온도, 발포성 등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발포 조직의 구조를 다르게 구성하여 우수한 불연성, 단열성, 흡?차음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흡?차음성이 우수하며, 발암물질 및 유해가스를 내포하지 아니하는 친환경적인 복합패널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흡음판 구간의 조직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차음판 구간의 조직을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제조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인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흡음판 구간의 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차음판 구간의 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제조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층구조 세라믹패널(1)은 색체가 진하면서 기공이 서로 독립된 기공을 형성하는 일측의 차음패널구간(200)과 색체가 연하면서 기공이 서로 연결된 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타측의 흡음패널구간(1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음패널구간은 하층부 혼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흡음패널구간은 상층부 혼합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널의 구성은 폐유리, 물유리, 퍼라이트,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상부혼합물층과 폐유리, 물유리 및 3가알콜을 혼합한 하부혼합물층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발포 성형하여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0 ~ 95중량부, 물유리 4 ~ 6중량부, 퍼라이트 3 ~ 5중량부, 규조토 2 ~ 3중량부 및 발포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며, 상기 하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4~95중량부, 물유리 4~6중량부 및 3가알콜 0.4~0.6중량부를 포함하여 된다.
상기 상부혼합물층을 이루은 발포제는 탄산칼슘 또는 산화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혼합물층을 이루는 3가알콜은 농도가 78% ~ 82% 범위인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글리세린에 포도당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의 제조공정은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를 형성하는 혼합물과 하층부를 형성하는 혼합물을 준비(S100)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기에 일정 두께 수준을 유지하도록 순차적으로 투입(S110)한 다음, 성형기에서 일정온도로 가열(S120)하여 혼합물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발포온도에 도달시 일정시간 온도를 유지하여 발포 및 성형(S130)시킨 다음, 발포?성형된 성형체를 냉각(S140)시켜 완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폐유리, 물유리, 퍼라이트,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점질의 상부층혼합물과 폐유리, 물유리 및 3가알콜을 혼합하여 된 점질의 하부층혼합물을 준비(S100)하고, 상기 각각의 혼합물을 발포성형기에 하부층혼합물을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채워넣고, 그 상부층으로 상기 상부층혼합물을 도포하여 채워 넣은 다음(S110), 상기 하부층혼합물과 상부층혼합물을 채워넣은 발포성형기를 온도 800~850℃에서 30~40분 가열 및 발포성형(S120, S130)한 후, 상기 가열 및 발포성형을 완료한 성형체를 냉각(S140)하여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를 구성하는 혼합물의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 즉, 발포온도, 냉각온도 등에 따른 발포속도, 냉각속도 등의 차로 인하여 첨부도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 조직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되고, 그로 인해 서로 다른 색체로 형성되어 상호 구분이 가능한 다층 구조의 복합패널이 형성되게 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널(1)은 일측의 차음패널구간(100)은 색체가 진하면서 기공이 서로 독립된 기공을 형성하며 타측의 흡음패널구간(200)은 색체가 연하면서 기공이 서로 연결된 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음패널구간(10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층부 혼합물로 되며, 상기 흡음패널구간(200)은 상층부 혼합물로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세라믹패널은 하부층(차음구간)을 형성하는 혼합물과 상부층(흡음구간)을 형성하는 혼합물의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혼합물층과 하부혼합물층의 동일온도 구간에서 발포속도와 냉각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첨부도면 도 2(상부층) 및 도 3(하부층)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성질의 구성을 가지는 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부층은 비체적을 형성하는 기공(입계(粒界)와 입계(粒界) 사이의 거리 조절)들이 서로 연결되어 흡음이 가능한 구조(도 2)를 이루게 되며, 하부층은 비체적을 형성하는 기공들이 서로 독립된 폐기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차음이 가능한 구조(도 3)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하부혼합물층을 이루는 글리세린은 화학식 C3H8O3으로 표기되며, 상기 글리세린의 거품생성 작용에 의해 슬러리 중에 깨끗한 구상의 독립된 공기거품이 도입된다. 공기거품은 볼베어링과 같은 작용을 하므로 유동성이 개선되며 이 때문에,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혼합물층을 이루는 발포제인 탄산칼슘 또는 산화철은 발포 후 냉각되는 속도가 하부혼합물층보다 빠르게 되며, 하부혼합물층을 이루는 3가 알콜은 상기 상부혼합물층을 이루는 발포제에 비해 발포 후 냉각되는 속도가 상부혼합물층 보다 느리게 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발포제의 각각의 작용효과에 따라 상부혼합물층과 하부혼합물층의 물리적 기능의 차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혼합물층과 하부혼합물층의 서로 다른 발포특성은 혼합되는 발포제의 물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상부혼합물층과 하부혼합물층의 발포 속도, 냉각 속도 등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서로 다른 성질의 패널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혼합물 구성시 폐유리의 함량이 최대값을 초과하여 함유할 경우 결합력이 약해져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최소값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 발포 효율이 저하되어 패널의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혼합물 구성시 물유리가 최대값을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결합력이 강해져서 폐유리가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유리가 최소값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결합력이 약해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혼합물 구성시 하부혼합물층을 이루는 3가 알콜이 최대값을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과발포가 되어 패널을 형성하는 기포 형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3가 알콜이 최소값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발포가 잘 이루어지질 않아 차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분을 사용하지 않아 별도의 수분 건조공정이 불필요하다.
이때 상기 발포제로 사용되는 탄산칼슘 또는 산화철과 3가 알콜의 양이 미량이기 때문에 발포 효율의 극대화 및 균일한 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폐유리 전체 사용량의 80%이상을 분말입자 크기가 60㎛ ~ 30㎛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보다도 미세한 분말압자의 크기를 갖는 폐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상부층혼합물: 폐유리 92중량부, 물유리 5중량부, 퍼라이트 4중량부, 규조토 2.5중량부 및 발포제 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물을 준비
하부층혼합물: 폐유리 94.5중량부, 물유리 5중량부 및 3가알콜 0.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물을 준비
상기 하부층 혼합물을 성형기에 약15mm의 높이가 되도록 투입하고, 그 상면에 상부층 혼합물을 10㎜의 높이가 되도록 투입한다.
성형기에서 채워진 상기 혼합물들의 발포 및 성형을 위해 온도 850℃까지 가열하여 30~40분 동안 가열 및 발포성형을 하고,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상기 시편은 상층부 두께가 약 50 ~ 60mm, 하부층 두께가 약 4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준비된 시편의 물성 및 흡음성과 차음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상층부 하층부
비중 0.25 0
압축강도
(kgf/cm2)
30-38 25-35
단열성
흡음성 ×
차음성 ×
상기 표 1의 결과, 상층부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속도가 서서히 냉각되면서 비체적을 형성하는 기공(입계(粒界)와 입계(粒界) 사이의 거리)들이 서로 연결되어 흡음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되며, 하부층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의 속도를 하부층 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비체적을 형성하는 기공들이 서로 독립된 폐기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차음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하층부는 색체가 진하면서 기공이 서로 독립된 기공을 형성하며 상층부는 색체가 연하면서 기공이 서로 연결된 기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혼합물을 소성할 때 상부와 하부가 다르게 냉각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발포 밀도를 다르게 구성하여 우수한 불연성, 단열성, 흡음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며, 발암물질 및 유해가스를 내포하지 아니하는 친환경적인 복합패널이다.

Claims (10)

  1.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에 있어서,
    폐유리, 물유리, 퍼라이트,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상부혼합물층과 폐유리, 물유리 및 3가알콜을 혼합한 하부혼합물층이 발포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0 ~ 95중량부, 물유리 4 ~ 6중량부, 퍼라이트 3 ~ 5중량부, 규조토 2 ~ 3중량부 및 발포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칼슘 또는 산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4~95중량부, 물유리 4~6중량부 및 3가알콜 0.4~0.6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가알콜은 농도가 78% ~ 82% 범위인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혼합물층은 색체가 진하면서 기공이 서로 독립된 기공을 형성하며 상층부혼합물층은 색체가 연하면서 기공이 서로 연결된 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리의 분말입자 크기가 6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8. 폐유리, 물유리, 퍼라이트,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점질의 상부층혼합물과 폐유리, 물유리 및 3가알콜을 혼합하여 된 점질의 하부층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혼합물을 발포성형기에 하부층혼합물을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채워넣고, 그 상부층으로 상기 상부층혼합물을 도포하여 채워 넣는 단계;
    상기 하부층혼합물과 상부층혼합물을 채워넣은 발포성형기를 온도 800~850℃에서 30~40분 가열 및 발포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 및 발포성형을 완료한 성형채를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혼합물은 폐유리 90 ~ 95중량부, 물유리 4 ~ 6중량부, 퍼라이트 3 ~ 5중량부, 규조토 2 ~ 3중량부 및 발포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혼합물층은 폐유리 94~95중량부, 물유리 4~6중량부 및 3가알콜 0.4~0.6중량부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세라믹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10057043A 2011-06-13 2011-06-13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Abandoned KR20120137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43A KR20120137895A (ko) 2011-06-13 2011-06-13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43A KR20120137895A (ko) 2011-06-13 2011-06-13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895A true KR20120137895A (ko) 2012-12-24

Family

ID=4790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043A Abandoned KR20120137895A (ko) 2011-06-13 2011-06-13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8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2533A (zh) * 2018-08-10 2018-11-27 张家港市沐和新材料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硅藻土基多孔陶瓷浆料的配方
CZ307562B6 (cs) * 2017-03-29 2018-12-05 AMT s.r.o. Příbram Zpěnitelná směs pro výrobu pěnového skla a způsob její příprav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7562B6 (cs) * 2017-03-29 2018-12-05 AMT s.r.o. Příbram Zpěnitelná směs pro výrobu pěnového skla a způsob její přípravy
CN108892533A (zh) * 2018-08-10 2018-11-27 张家港市沐和新材料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硅藻土基多孔陶瓷浆料的配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1101B (zh) 一种无机保温装饰板及其生产工艺
CN104196188B (zh) 多层泡沫微晶保温装饰复合板材及其制作方法
CN201635206U (zh) 外墙内保温板
WO2015056138A1 (de) Stabile formkörper oder platten aus leichtbaumaterail zur wärmedämmung und zur verwendung als brandschutz, da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und ein damit augerüstetes bauwerk
NO152167B (no) Optisk boelgeleder-preform,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denne og anvendelse av preformen for fremstilling av boelgelederfibre
KR20150003995A (ko) 방화문용 하니콤모듈
KR20120137895A (ko)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CN111691569A (zh) 满足耐火极限要求的复合发泡陶瓷墙板和制备方法及其应用
EP3109217A1 (de) Stabile formkörper oder platten zur wärmedämmung und für den brandschutz, da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sowie bauwerk daraus
KR101164580B1 (ko) 단열, 내수성, 내화성을 가지는 초경량 실리카 에어로겔 시멘트 몰탈의 제조방법
KR20120021003A (ko) 기능성 나노소자 자연석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H0518042A (ja) 複合パネル材料
KR100732625B1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0300A (ko) 탄소섬유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고강도 산화마그네슘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809B1 (ko)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IT202300018105A1 (it) Materiale composito a densità ridotta per uso in edilizia
KR20190049320A (ko) 난연성 발포체를 이용한 건축용 난연 패널
KR20110096364A (ko) 다층구조의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04305048A (ja) 無機質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35319B1 (ko) 경량 건축 재료 제조용 조성물, 경량 건축 재료, 및 경량 건축 재료의 제조방법
CN105756225A (zh) 建筑节能墙体
JP3411242B2 (ja) 軽量陶磁器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8847B2 (ko)
JPH0985895A (ja) 軽量調湿パネル
CN216042310U (zh) 一种聚岩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3-oth-PC1904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2-nap-PC19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