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06393A -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 Google Patents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393A
KR20130006393A KR1020120133506A KR20120133506A KR20130006393A KR 20130006393 A KR20130006393 A KR 20130006393A KR 1020120133506 A KR1020120133506 A KR 1020120133506A KR 20120133506 A KR20120133506 A KR 20120133506A KR 20130006393 A KR20130006393 A KR 2013000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arking lot
underground parking
blower
venti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441B1 (ko
Inventor
정재원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4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4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환기에 필요한 급배기 공급량과 환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압 보상 기술에 의해서 음이온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공기 정화 장치가 부가된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은 송풍기(20)의 배기구(22)로 배출된 고속의 공기에 의하여 유인된 공기가 제 2 노즐 내지 제 3 노즐(40,50)에 의해 안내되어 역류 발생이 억제되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인 효과가 증대되고 이로 인하여 동일한 에너지로 동급 대비 환기효과 상승 및 와류에 의한 소음 저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A VENTILATION METHOD USING A VENTILATION DEVIC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REGAIN STATIC PRESSURE}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환기에 필요한 급배기 공급량과 환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압 보상 기술에 의해서 음이온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공기 정화 장치가 부가된 지하 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는 지하구조물의 환기시스템 특허 10-0502432와 특허 10-0827857에 따라서 지하주차장의 일측 벽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다량의 공기를 지하주차장으로 유인 공급하여 환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개의 환기장치(1)가 블록형태로 상하방향와 좌우측방향으로 규칙적인 형태로 쌓여진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환기장치(1)는 전후 사방이 개구된 케이싱(10)과, 전후방향으로 길고 전 후단에 흡기구(21)와 배기구(22)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30)과, 내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이 상기 송풍기(20)의 중심축선상에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제 2 노즐(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0)의 전방에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 1 노즐(2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30)이 작동되면 송풍기(20)의 흡기구(21)로 흡입된 공기가 배기구(22) 및 제 1 노즐(23)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바람은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전방으로 분사되어 환기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환기장치(1)는 고속 분사에 따른 유인 효과를 이용하기 때문에, 환기장치(1)에 부착된 제 1 노즐(23)에 의한 유인 공기 확산폭과 제 2 노즐(40)의 구경이 일치하지 않으면, 즉 제 2 노즐(40) 구경이 작을 경우 발생하는 막힘 현상 또는 제 2 노즐(40) 구경이 클 경우 발생하는 뚤림 현상으로 제 2 노즐(40) 둘레부 내부 또는 외부에 발생한 압력차에 의한 역류로 와류 현상이 초래되고 이로 인하여 유인 효과 저하 뿐 만이 아니라 정압 감소 현상이 발생하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2차적인 와류 소음 발생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게다가, 지하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의 원활한 운행을 위하여 주 차로의 층고는 2.1m, 차로의 층고는 2.3m로 규제하고 있고 이에 따라 지하구조물의 층고가 결정되므로 제품의 규격 결정에 제한적이며, 또한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공기 인입 또는 배출을 위한 샤프트가 건물마다 크기와 형태가 다르므로 환기장치(1)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 1 노즐(23)에 의한 유인 공기 확산폭과 제 2 노즐(40)의 구경이 일치하도록 일정한 규격으로의 표준화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표준화를 하였다 하더라도 각 건축물의 샤프트 크기에 따른 환기설비의 조정이 요구되므로, 이의 조정으로 표준품의 변형에 따른 역류 발생에 기인 한 정압 감소로 효율 상승과 에너지 절감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기존 특허 지하구조물의 환기시스템 특허 10-0502432와 특허 10-0827857의 단점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구조와 환기 설비의 표준화와 관계없이 환기장치를 설치하되 어떠한 경우라도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에 의하여 재취득 되어진 정압을 활용함으로써 와류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환기 효율을 유지하는 새로운 환기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온발생기를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속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음이온이 공기속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온발생기를 환기장치(1)의 전방에 설치하여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바람을 타고 멀리 퍼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음이온은 상기 환기장치(1)에 의해 공급되는 다량의 외부공기와 고속으로 접촉될 경우 쉽사리 중화되어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음이온이 중화되지 않으면서 가급적 멀리 퍼져나 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에 의하여 보상되어 취득된 정압에너지를 이용하여 저에너지로도 환기효과를 높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 기술에 의하여 재취득된 정압을 이용하여 음이온이 중화되지 않은 채 고속의 바람을 타고 멀리 퍼져나가도록 하는 지하 주차장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는 전후 사방이 개구된 케이싱과; 전후방향으로 길고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과; 내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케이싱의 전면패널 중앙부에서 중심축이 상기 송풍기의 중심축선상에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노즐과; 상기 제2 노즐보다 작은 지름의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노즐의 외측둘레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의 배기구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 1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노즐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노즐의 지름은 상기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유효범위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 노즐은 송풍기의 제 1 노즐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확산범위의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 전면의 모퉁이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노즐의 중심에는 브러시 타입의 이오나이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 노즐의 지름은 전면패널 길이의 1/4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전후방향으로 긴 사각박스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메쉬망이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는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이 설치되어지는 전면패널이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기방법은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바람에서 중앙부의 유효 고속범위의 바람만이 상기 제 2 노즐을 통과하면서 실질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른 속도로 공급하도록 하고, 실질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이 매우 적거나 미약한 유효범위 외측의 확산범위의 바람은 제 3 노즐을 통과하면서, 제 2 노즐을 통과한 속도가 증가된 바람에 의해서 둘레부주변의 정지된 공기가 역류를 하는 등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노즐의 중앙에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이오나이저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오나이저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제 3 노즐의 사이를 통과하여 고속 범위의 공기와 섞이지 않은 채 고속의 공기에 실려 퍼져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는 송풍기(20)의 배기구(22)로 배출된 고속의 공기에 의하여 유인된 공기가 제 2 노즐 내지 제 3 노즐(40,50)에 의해 안내되어 역류 발생이 억제되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인 효과가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일한 에너지로 동급 대비 환기효과 상승 및 와류 의한 소음 저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지하주차장 환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환기장치(1)가 블록형태로 상하방향과 좌우측방향으로 규칙적인 형태로 쌓여지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는, 전후 사방이 개구된 케이싱(10)과, 전후방향으로 길고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흡기구(21)와 배기구(22)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30)과, 내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기(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노즐(40)과, 상기 제 2 노즐(40)보다 작은 지름의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노즐(40)의 외측둘레부에 배치되는 제 3 노즐(50)과, 상기 제 3 노즐 (50)의 중심에 구비된 브러쉬 형상의 이오나이저(6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전후방향으로 긴 사각박스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메쉬망(11)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노즐(40,50)이 설치되는 전면패널(12)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20)는 강도가 높은 금속판을 원통형으로 벤딩 및 용접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금형에 의하여 플라스틱 사출되어 제작된 것으로, 배기구(22)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된 제 1 노즐(2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송풍기(20)의 내부 중간부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30)을 작동시키면, 상기 송풍기(20)의 흡기구(21)로 흡입된 공기는 배기구(22)와 제 1 노즐(23)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2 노즐(40)과 제 3 노즐(5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송풍기(20)의 배기구(22)로 배출된 바람을 속도에 따라 고속 구역과 저속구역으로 나누어져서 배출된 바람이 역류되지 않으면서 와류 현상도 없이 신선한 공기가 멀리까지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노즐(50)의 지름은 전면패널(12) 길이의 1/4보다 작게 형성되어진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풍팬(30)에 의해 상기 송풍기(20)의 제 1 노즐(23)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바람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 형상으로 점차 넓게 퍼지게 된다. 이때, 바람의 속도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속도가 가장 빠르고 외측으로 갈수록 속도가 늦어져 가장 바람의 최외각의 속도가 0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바람의 각 부분을 바람이 불어오는 면적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속도가 빨라서 실질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운반하는 중앙의 유효범위(A)와, 상기 유효범위(A)의 둘레부로부터 저속의 바람이 불어오는 최외각 부분까지의 면적을 나타내는 확산범위(B)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람은 원통형의 송풍기(20)를 통과하여 발생되므로, 바람은 전방의 지름이 큰 콘형상으로 퍼지게 되며, 상기 저속의 확산범위(B)와 유효범위(A)는 상호 동심원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효범위(A)는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노즐(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20)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확산범위(B)의 지름보다 지름이 작게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전면패널(12) 중앙부에서 중심축이 상기 송풍기(20)의 중심축선상에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노즐(40)은 상기 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바람의 유효범위(A) 내에서 빠르게 전방으로 전진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노즐(40)의 내주면을 따라 중앙부를 통과하면서도 속도가 변하지 않아 유인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3 노즐(50)의 위치는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송풍기(20)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확산범위(B)의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10) 전면의 모퉁이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3 노즐의(50)의 지름은 바람의 확산범위(B)를 벗어 난 상하 좌우 사각지대의 유효 공간 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지 못한 유효범위(A) 외곽의 확산범위(B)의 바람이 역류하지 않고 상기 제 3 노즐(5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 3 노즐(50)을 통과하여 제 2 노즐(40)의 둘레부와 둘레부 주변의 정지된 공기의 사이에서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고속 공기의 유인 효과에 의하여 발생된 차압을 상쇄하여 역류와 역류에 의한 와류를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역류 방지 효과로 둘레부에 의해서 손실된 정압을 재취득함과 동시에 둘레부 전면에서 발생하는 역류 또한 방지하여 둘레부 전후에 형성되던 와류에 의해 급격히 정압이 저하되는 것과 와류 현상에 의한 소음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지 못한 외곽의 바람은 상기 제 3 노즐(50)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한 바람에 의해 2차 유인 되므로 전체적으로 환기장치(1)의 유인효과를 향상시켜서 동일한 에너지로 보다 많은 양의 바람을 공급하게 되어 동급 대비 저에너지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오나이저(60)는 제 3 노즐(50)의 공간 중앙부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이 발생된 음이온은 제 2 노즐(40) 외곽의 저속 공기에 실려 실내에 넓게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는 상기 송풍팬(30)에 의해 상기 송풍기(20)의 배기구(22)로 배출되는 바람 중에서, 고속 바람은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지 못한 외각의 저속 바람은 제 3 노즐(50)을 통과하면서 제 2 노즐(40)에 둘레부(14) 내부 또는 외부에 발생된 차압에 의한 역류와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환기장치(1)의 효율이 급속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송풍기(20)에서 배출되는 바람에서 중앙부의 유효 고속범위(A)의 바람만이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면서 실질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른 속도로 공급하도록 하고, 실질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이 매우 적거나 미약한 유효범위(A) 외측의 확산범위(B)의 바람은 제 3 노즐(50)을 통과하면서, 제 2 노즐(40)을 통과한 속도가 증가된 바람에 의해서 둘레부(14)주변의 정지된 공기가 역류를 하는 등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보완함으로써, 환기장치(1)의 효율이 급속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3 노즐(50)로 인하여 유효범위(A) 외곽의 확산범위(B)의 바람이 상기 제 3 노즐(5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 3 노즐(50)을 통과하여 제 2 노즐(40)의 둘레부(14)와 둘레부(14) 주변의 정지된 공기의 사이에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둘레부에 의해서 손실된 정압을 재취득함과 동시에 역류를 방지하여 둘레부 주변에 정지된 공기에 의해 급격히 정압이 저하되는 것과 와류에 의한 2차 정압 손실 없이 정압을 유지하여 공기가 멀리까지 신속하게 전달되면서도 2차 유인 효과로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이오나이저(60)가 상기 제 3 노즐(50)의 중앙에 설치되므로, 이오나이저(60)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제 3 노즐(50)의 사이를 통과하여 고속 범위(A)의 공기와 섞이지 않은 채 고속의 공기에 실려 퍼져 나가게 된다. 이때, 음이온은 고속의 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퍼져나게 되므로, 지하주차장의 내부로 신속하게 넓게 퍼져나갈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 2 노즐(40)을 통과하는 바람과는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환기장치(1)에 의해 공급되는 다량의 공기와 접촉하여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0 : 케이싱 20 : 송풍기
30 : 송풍팬 40 : 제 2 노즐
50 : 제 3 노즐 60 : 이오나이저

Claims (5)

  1. 전후 사방이 개구된 케이싱(10)과; 전후방향으로 길고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흡기구(21)와 배기구(22)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30)과; 내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케이싱의 전면패널 중앙부에서 중심축이 상기 송풍기(20)의 중심축선상에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노즐(40)과; 상기 제 2 노즐(40)보다 작은 지름의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노즐(40)의 외측둘레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3 노즐(50)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20)의 배기구(22)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 1 노즐(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노즐(5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20)에서 배출되는 바람에서 중앙부의 유효 고속범위(A)의 바람만이 상기 제 2 노즐(40)을 통하여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범위(A) 외측의 확산범위(B)의 바람은 제 3 노즐(50)을 통과하면서, 제 2 노즐(40)을 통과한 속도가 증가된 바람에 의해서 둘레부(14) 주변의 정지된 공기가 역류를 하는 등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노즐(50)로 인하여 유효범위(A) 외곽의 확산범위(B)의 바람이 상기 제 3 노즐(5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 3 노즐(50)을 통과하여 제 2 노즐(40)의 둘레부(14)와 둘레부(14) 주변의 정지된 공기의 사이에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둘레부에 의해서 손실된 정압을 재취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노즐(50)의 중앙에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이오나이저(6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60)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제 3 노즐(50)의 사이를 통과하여 고속 범위(A)의 공기와 섞이지 않은 채 고속의 공기에 실려 퍼져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방법
KR1020120133506A 2012-11-23 2012-11-23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06A KR101233441B1 (ko) 2012-11-23 2012-11-23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06A KR101233441B1 (ko) 2012-11-23 2012-11-23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265A Division KR101233442B1 (ko) 2011-05-26 2011-05-26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93A true KR20130006393A (ko) 2013-01-16
KR101233441B1 KR101233441B1 (ko) 2013-02-14

Family

ID=4783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3441B1 (ko) 2012-11-23 2012-11-23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550A1 (en) * 2017-03-17 2018-09-20 ZHANG, Yiyan An air conditioning unit
CN112902345A (zh) * 2021-02-04 2021-06-04 黄开心 新风系统
KR20210078755A (ko) 2019-12-19 2021-06-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집효율이 개선된 유증기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432B1 (ko) * 2003-01-03 2005-07-20 이수빈 지하 구조물의 환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550A1 (en) * 2017-03-17 2018-09-20 ZHANG, Yiyan An air conditioning unit
US11364772B2 (en) 2017-03-17 2022-06-21 Yiyan ZHANG Air conditioning unit
KR20210078755A (ko) 2019-12-19 2021-06-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집효율이 개선된 유증기필터
CN112902345A (zh) * 2021-02-04 2021-06-04 黄开心 新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441B1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442B1 (ko)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
CN101516166B (zh) 一种横插框及通信机柜
KR101202892B1 (ko) 지하주차장 지능형 환기시스템
KR101233441B1 (ko)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CN204084668U (zh) 空调室外机风道系统及其降噪装置
US9751505B1 (en) Vehicle air dryer
CN104390268A (zh) 天花板空调器及该天花板空调器的送风方法
CN102182698B (zh) 一种远射程低噪音的高效轴流风机及喷雾装置
US20060285269A1 (en) Ion diffusing
CN204283598U (zh) 通风散热装置和车辆
CN204404418U (zh) 离心风扇组合式空气净化器
JP6957308B2 (ja) 空調システム
CN205783615U (zh) 一种组合式通风口
CN210260792U (zh) 电梯排气通风系统
JP2019157683A (ja) 送風装置
RU2731486C1 (ru) Кожух вентиля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воздушными каналами
KR102235968B1 (ko) 실내외 환기 시스템 용 저소음 블로어
CN106424010A (zh) 一种环流风淋室
CN111359793A (zh) 一种诱导风喷嘴及风机
CN221403343U (zh) 一种厢式电梯自动换气装置
KR102552843B1 (ko) 공기조화장치
CN102466306A (zh) 热交换通风机
Averkin et al. Developing an effective deflector for duct natural ventilation
CN204026944U (zh)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KR19980045508U (ko) 철도차량의 공기 배출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0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2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