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17860A -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860A
KR20130117860A KR1020137022049A KR20137022049A KR20130117860A KR 20130117860 A KR20130117860 A KR 20130117860A KR 1020137022049 A KR1020137022049 A KR 1020137022049A KR 20137022049 A KR20137022049 A KR 20137022049A KR 20130117860 A KR20130117860 A KR 20130117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nagement
illumination
identification means
assumed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우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860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용자를 경로로 유도할 수 있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관리 영역 내에 마련되어 접근한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식별 수단 근방을 시점으로 한 관리 영역 내의 상정(想定) 경로를 이용자마다 기억한 기억 수단과, 식별 수단이 이용자를 식별했을 경우에,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시점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로부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종점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를 향해서,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를 차례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Provided is a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guiding a user to a path. To this end,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and accessing a user provided in a management are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vices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s, and a storage means for each user storing an assumed path in the management area in the vicinity of the identification means. And when the identification means identifies a user, toward the apparatus containing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end point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from the apparatus containing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viewpoint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It wa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which in turn controls the apparatus containing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Description

빌딩 설비 관리 장치{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IC 태그를 이용해 조명을 제어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IC 태그를 휴대한 이용자 근방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IC tags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is apparatus,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user who carried an IC tag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그렇지만, 이용자가 경로를 잘못 든 경우에도, 이용자 근방의 조명이 제어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를 경로로 유도할 수 없다. However, even when the user takes a wrong route, the illumination near the user is controlled. For this reason, the user cannot be guided to the path.

이것에 반해, 빌딩의 경로를 표시하는 단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단말장치에 의하면,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apparatus which displays the route of a building is proposed. According to this terminal apparatus, a route can be confirm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7-20071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00715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 10-4978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49786

그렇지만,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이용자 근방에 경로의 표시부가 없으면 이용자는 경로를 확인할 수 없다. However, in what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 user cannot confirm a path | route unless there is a display part of a path | route in the vicinity of a user.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용자를 경로로 유도할 수 있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which can guide a user to a path | route.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설비 관리 장치는,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관리 영역 내에 마련되어 접근한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 근방을 시점(始點)으로 한 상기 관리 영역 내의 상정 경로를 상기 이용자마다 기억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이 이용자를 식별했을 경우에,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시점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로부터 상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종점(終點)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를 향해서, 상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를 차례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and accessing a user provided in a management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s are provided; As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from a device including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assumed path within each user and lighting near the viewpoint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when the identification means identifies the user.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which in turn controls the apparatus containing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assumed rout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toward the apparatus containing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end point of a path | route.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를 경로로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guided to the pa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게 관리되는 관리 구역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게 관리되는 관리 구역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게 관리되는 관리 구역의 횡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agement area managed by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agement area managed by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i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agement area managed by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i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attached drawing. In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r omitted as appropriate.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관리 영역(도시하지 않음)은 복수의 관리 구역으로 나눠진다. 각 관리 구역에는, 기기(1)가 설치된다. 관리 영역의 이용자는 핸즈 프리의 IC 태그(2)를 휴대한다. In FIG. 1, a management area (not show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anagement areas. In each management zone, the device 1 is installed. The user of the management area carries the hands-free IC tag 2.

각 관리 구역은 제휴 시스템(3)에 의해서 관리된다. 제휴 시스템(3)은 입퇴실 관리 장치(4)와 빌딩 관리 장치(5)를 구비한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이다. 입퇴실 관리 장치(4)는 각 이용자의 입퇴실을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빌딩 관리 장치(5)는 각 기기(1)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Each management zone is managed by the affiliated system 3. The cooperation system 3 is a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device provided with an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device 4 and a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The entrance and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is provided with the function which manages the entrance and exit room of each user.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is equipped with the function which controls each apparatus 1.

다음으로, 입퇴실 관리 장치(4)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room entrance management apparatus 4 is demonstrated concretely.

입퇴실 관리 장치(4)는 IC 태그 판독부(4a), 기억부(4b), 인증부(4c), 판정부(4d)를 구비한다. The entrance and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includes an IC tag reading unit 4a, a storage unit 4b, an authentication unit 4c, and a determination unit 4d.

IC 태그 판독부(4a)는 각 관리 구역에 마련된다. IC 태그 판독부(4a)는 이용자가 휴대하는 IC 태그(2)의 정보를 판독하여,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4b)는 개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개인 정보에는 이용자마다의 인증 정보, 화상 정보, 상정(想定) 경로 정보가 포함된다. 인증부(4c)는 IC 태그(2)의 정보와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판정부(4d)는 인증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IC tag reader 4a is provided in each management zone. The IC tag reading part 4a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IC tag 2 which a user carries, and functions as an identification means which identifies a user. The storage unit 4b functions a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mage information, and assumed path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4c has a function of authenticating a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IC tag 2. The determination unit 4d has a function of acquiring assumed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ed user.

다음으로, 빌딩 관리 장치(5)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is demonstrated concretely.

빌딩 관리 장치(5)는 기기 제어부(5a), 기억부(5b), 제어부(5c)를 구비한다.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is equipped with the apparatus control part 5a, the memory | storage part 5b, and the control part 5c.

기기 제어부(5a)는 각 기기(1)에 대응해서 마련된다. 기기 제어부(5a)는 각 기기(1)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기억부(5b)는 기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기기 정보에는 각 기기(1)에 대응지어진 관리 구역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5c)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판정부(4d)가 취득한 상정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기기 제어부(5a)를 통하여 각 기기(1)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5a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device 1. The device control section 5a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each device 1. The storage unit 5b has a function of storing device information.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zone corresponding to each device 1. The control part 5c functions as a control means which controls each device 1 via each device control part 5a based on the assumed rout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termination part 4d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제휴 시스템(3)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system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스텝 1에서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IC 태그 판독부(4a)가 IC 태그(2)의 검출 처리를 행한다. IC 태그(2)가 검출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IC 태그(2)가 검출될 때까지, 제휴 시스템(3)은 대기 상태가 된다. 이것에 반해, IC 태그(2)가 검출되었을 경우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First, in step 1, the IC tag reading unit 4a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performs the detection process of the IC tag 2. When the IC tag 2 is not detected, the associated system 3 is in a standby state until the IC tag 2 is detected. On the other hand, when IC tag 2 is detected, it progresses to step S2.

스텝 S2에서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인증부(4c)가 이용자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이것에 반해, 이용자가 인증되었을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In step S2, the authentication part 4c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f the user is not authentica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is authenticated, it progresses to step S3.

스텝 S3에서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판정부(4d)가 경로 판정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판정부(4d)는 당해 IC 태그(2)의 번호와 당해 IC 태그(2)를 검출한 IC 태그 판독부(4a)의 번호에 대응한 상정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정 경로상의 각 관리 구역의 정보를 취득한다. In step S3, the determination part 4d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performs a route determination process.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4d of the entrance / exit management apparatus 4 is assu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IC tag 2 and the number of the IC tag reading unit 4a that detected the IC tag 2. Based on the information, information of each management zone on the assumed route is obtained.

그 후, 스텝 S4로 진행하여, 빌딩 관리 장치(5)의 제어부(5c)가 제어 기기 결정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빌딩 관리 장치(5)의 제어부(5c)는 상정 경로상의 각 관리 구역에 대응한 기기(1)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 Thereaft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4, and the control unit 5c of the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performs the control device determination processing.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c of the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determines that the device 1 corresponding to each management zone on the assumed route is to be controlled.

그 후, 스텝 S5로 진행하여, 빌딩 관리 장치(5)의 제어부(5c)가 제어 출력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빌딩 관리 장치(5)의 제어부(5c)는 제어 대상의 기기(1)에 대응한 기기 제어부(5a)에 대해, 제어 지령을 출력하고, 스텝 S1로 돌아간다. Thereaft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5, where the control unit 5c of the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performs control output processing.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c of the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outputs a control command to the device control unit 5a corresponding to the device 1 to be controlled, and returns to step S1.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조명을 기기(1)로 했을 경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Next, the control method at the time of making illumination into the apparatus 1 is demonstrated using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게 관리되는 관리 구역의 종단면도이다.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agement area managed by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3에 있어서, 이용자의 상정 경로상에는, 제1 관리 구역과 제2 관리 구역이 인접해 있다. 제1 관리 구역의 천장면에는 조명(6a)이 마련된다. 제2 관리 구역의 천장면에는 조명(6b)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명(6a, 6b)은 소등되어 있다. In FIG. 3, the 1st management zone and the 2nd management zone are adjacent on the assumed path | route of a user. Illumination 6a is provided in the ceiling surface of a 1st management area. The lighting 6b is provided in the ceiling surface of a 2nd management area. These lights 6a and 6b are turned off.

이 상태에서, 이용자(7)가 제1 관리 구역에서부터 제2 관리 구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제휴 시스템(3)은 이용자(7)가 제1 관리 구역 내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때, 제휴 시스템(3)은 제1 관리 구역의 조명(6a)을 점등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관리 구역 전체가 밝아진다. 이것에 반해, 제휴 시스템(3)은 제2 관리 구역의 조명(6b)의 소등을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2 관리 구역 전체는 어두운 상태를 유지한다. In this state, consider the case where the user 7 moves from the first management zone to the second management zone. In this case, the cooperation system 3 detects that the user 7 is in the first management zone. At this time, the cooperation system 3 lights the illumination 6a of a 1st management area. Thereby, the whole 1st management area | region becomes bright.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on system 3 keeps the lights out of the illumination 6b of a 2nd management area. As a result, the entire second management zone remains dark.

그 후, 이용자(7)가 제2 관리 구역으로 이동하면, 제휴 시스템(3)은 이용자(7)가 제2 관리 구역 내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때, 제휴 시스템(3)은 제1 관리 구역의 조명(6a)을 소등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관리 구역 전체가 어두워진다. 이것에 반해, 제휴 시스템(3)은 제2 관리 구역의 조명(6b)을 점등한다. 이것에 의해, 제2 관리 구역 전체가 밝아진다.Thereafter, when the user 7 moves to the second management zone, the cooperation system 3 detects that the user 7 is in the second management zone. At this time, the affiliated system 3 turns off the illumination 6a of the first management zone. As a result, the entire first management zone is darkened.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on system 3 lights the illumination 6b of a 2nd management area. Thereby, the whole 2nd management area | region becomes bright.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식별된 이용자(7)에 대응한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6a, 6b)이 차례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경비 상태의 각 관리 구역을 순회하는 순회자 등의 이용자(7)를 경로(經路)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조명(6a, 6b)의 제어에 맞추어 경비 모드의 해제, 안내 등의 점등이나 점멸, 버저나 음성 가이던스의 명동(鳴動), 상정 경로상의 관리문의 해정 제어 등을 하면, 이용자(7)는 조명(6a, 6b) 등을 조작하지 않고 안심하고 상정 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 1 demonstrated above, illumination 6a, 6b of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7 is controlled one by on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a user 7 such as a circulator traveling through each of the administrative areas in the state of security can be guided by a path. 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lights 6a and 6b, if the release of the guard mode, the lighting or blinking of the guidance, the buzzer or the voice guidance are performed, the control of the control door on the assumed path is performed. The assumed path can be moved in peace without operating the lights 6a, 6b and the like.

또, 상정 경로상 근방에서 이용자(7)가 식별되고 있는 경우에, 이용자(7)를 식별하고 있는 식별 수단 근방의 조명(6a, 6b)이 제어된다. 이 때문에, 조명(6a, 6b)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7 is identified in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the illuminations 6a and 6b near the identification means identifying the user 7 are controlled. For this reason, the power consumption of illumination 6a, 6b can be suppressed.

또한, 반드시, 입퇴실 관리 장치(4)의 IC 태그 판독부(4a)를 각 관리 구역에 마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관리 영역의 출입구에만 입퇴실 관리 장치(4)의 IC 태그 판독부(4a)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이용자(7)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시점을 관리 영역의 출입구로 하고, 상정 경로의 시점 근방의 조명에서부터 상정 경로의 종점 근방의 조명을 향해서,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을 차례로 제어하면 된다. 이 제어에 의해서도, 이용자(7)를 경로로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provide the IC tag reading part 4a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in each management area. For example, the IC tag reading unit 4a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may be provided only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anagement area. In this case, the viewpoint of the assumed route corresponding to the user 7 is used a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anagement area, and the illumination near the assumed route may be sequentially controlled from the illumination near the viewpoint of the assumed route to the illumination near the end point of the assumed route. . This control can also lead the user 7 to a path.

또, 상정 경로상 근방에서 이용자(7)가 식별되고 있는 경우에, 이용자(7)를 식별하고 있는 식별 수단 근방의 조명의 이동처측에 인접한 조명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이용자(7)는 이동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7 is identified in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the illumination adjacent to the moving destination side of the illumination near the identification means identifying the user 7 may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user 7 can easily recognize the moving destination.

또, 이용자(7)를 경로로 유도하는 방법을 조명의 점등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을 차례로 점멸시켜도, 이용자(7)를 경로로 유도할 수 있다.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의 조광(照光)을 차례로 일시적으로 변경해도, 이용자(7)를 경로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상정 경로 근방의 전조명을 점등시킨 후에 차례로 소등시키면, 이용자(7)는 올바른 경로를 통과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method of guiding the user 7 to the path of lighting. For example, the user 7 can be guided to the path even if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is blinked in sequence. Even if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near the assumed path is temporarily changed in order, the user 7 can be guided to the path. On the other hand, if the lighting is turned off after turning on the illumination of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the user 7 can confirm that the correct path has been passed.

이와 같이, 목적에 따라서, 상정 경로상의 조명에 대한 모든 제어 중에서 제어해야 할 내용을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면, 오피스 빌딩의 순회에 있어서, 상정 경로를 되돌아오는 경우에, 가는 길과 돌아오는 길에서, 다른 제어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는 길에서는, 이용자(7)의 이동에 맞춰서,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을 차례로 점등해도 좋다. 이것에 반해, 돌아오는 길에서는, 이용자(7)의 이동에 맞춰서, 상정 경로상의 조명을 차례로 소등해도 된다. 이 제어에 의하면, 이용자(7)를 경로로 유도하면서, 순회 종료 후에 자동적으로 조명을 소등할 수 있다. Thu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the content to control from all the control about the illumination on an assumed path according to the objective. For example, in returning to an assumed route in a tour of an office building, different control may be performed on the way and the way back. Specifically, on the way, the illumination near the assumed path may be sequentially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 7. On the other hand, on the way back, the illumination on the assumed route may be turned off in sequenc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 7. According to this control, illumination can be turned off automatically after the end of the circulation while guiding the user 7 to the path.

또, 제어 대상의 기기(1)를 빌딩 관리 장치(5)로 제어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공조기(空調機)를 제어 대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조명과 마찬가지로, 상정 경로상의 공조기에 대한 모든 제어 중에서 목적에 따라서 제어해야 할 내용을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공조기의 온·오프, 냉방·난방, 온도 설정, 습도 설정 등을 제어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device 1 to be controlled may be any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may be a control object. In this case, similarly to lighting, the content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may be selected from all the control with respect to the air conditioner on an assumed path | route. For examp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ntrol ON / OFF of an air conditioner, cooling and heating, temperature setting, humidity setting, etc.

또, 관리 영역이 공장인 경우, 이용자(7)의 이동에 맞춰서, 밸브, 팬, 펌프 등을 구동하는 전동기를 제어해도 된다. Moreover, when the management area is a factory, you may control the electric motor which drives a valve, a fan, a pump, etc.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7.

실시 형태 2. Embodiment 2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s Embodiment 1,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제휴 시스템(3)에 의해서, 각 관리 구역이 관리되고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제휴 장치(8)에 의해서, 각 관리 구역이 관리되고 있다. 제휴 장치(8)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기능과 빌딩 관리 장치(5)의 기능을 일체화한 것이다. In Embodiment 1, each management area was managed by the cooperation system 3. On the other hand, in Embodiment 2, each management area is managed by the cooperative device 8. The cooperation device 8 integrates the function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and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 2 demonstrated above, the effect similar to Embodiment 1 can be acquired.

실시 형태 3. Embodiment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5 is a block diagram of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s Embodiment 1,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 형태 3의 각 관리 구역에는, 카메라(9)가 마련된다. 실시 형태 3의 입퇴실 관리 장치(4)에는 화상 판정부(4e)가 마련된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이용자(7)의 검출과 인증은, IC 태그(2)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것에 반해, 이용자(7)의 추적은 카메라(9)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The camera 9 is provided in each management zon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image determination part 4e is provided in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of Embodiment 3. As shown in FIG. In Embodiment 3,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of the user 7 are performed using the IC tag 2. On the other hand, tracking of the user 7 is performed using the camera 9.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제휴 시스템(3)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system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텝 S1 ~ S5는, 실시 형태 1의 도 2와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스텝 S5 후,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화상 판정부(4e)가 화상 판정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입퇴실 관리 장치(4)의 화상 판정부(4e)는, 개인 정보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7)를 검출한다. Steps S1 to S5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In Embodiment 3, it progresses to step S6 after step S5. In step S6, the image determination part 4e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performs image determination processing. Specifically, the image determining unit 4e of the room entering / exiting management apparatus 4 detects the user 7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이용자(7)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제휴 시스템(3)은 이용자(7)를 검출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이용자(7)가 검출되었을 경우는, 스텝 S3로 돌아가서, 입퇴실 관리 장치(4)의 판정부(4d)가 경로 판정 처리를 반복한다. When the user 7 is not detected, the alliance system 3 is in a waiting state until the user 7 is detected. When the user 7 is dete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 and the determination unit 4d of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repeats the route determination processing.

이때, 당초의 상정 경로로부터 떨어진 카메라(9)가 이용자(7)를 검출하면, 제휴 시스템(3)은 제어 대상으로 하는 기기(1)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휴 시스템(3)은 이용자(7)를 검출한 카메라(9)에 대응한 기기(1)로부터 당초의 상정 경로 근방의 기기(1)를 향해서, 기기(1)를 차례로 제어한다. At this time, when the camera 9 separated from the originally assumed path detects the user 7, the cooperation system 3 changes the device 1 to be controlled. Specifically, the cooperation system 3 sequentially controls the device 1 from the device 1 corresponding to the camera 9 that has detected the user 7 toward the device 1 near the originally assumed path. .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경로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7)가 경로를 잘못 든 경우에도, 올바른 경로로 다시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ath determination process is repeated. For this reason, even if the user 7 carries a wrong path, it can lead to the correct path again.

또, 이용자(7)의 추적은 카메라(9)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히 이용자(7)를 식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7 is tracked by the camera 9. For this reason, the user 7 can be identified more reliably.

실시 형태 4. Embodiment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게 관리되는 관리 구역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agement area managed by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i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s Embodiment 1,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이용자(7)가 제1 관리 구역에서부터 제2 관리 구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설명했다. 한편,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이용자(7)가 관리문으로부터 자기 자리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In Embodiment 1, the example in which the user 7 moves from a 1st management area to a 2nd management area was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in Embodiment 4, the case where the user 7 moves to a seat from a management door is demonstrated.

도 7에 있어서, 각 관리 구역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에는, 관리문(10)이 마련된다. 각 관리 구역에는, 각 이용자(7)의 자기 자리(11)가 마련된다. 각 관리 구역의 천장면에는, 복수의 조명(12a ~ 12d) 등이 마련된다. 빌딩 관리 장치(5)는 관리 구역의 전(全)조명(12a ~ 12d) 등에 대해서 에너지 절약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조명(12a ~ 12d) 등은 소등 상태 혹은 조광(調光) 상태로 되어 있다. In FIG. 7, the management door 10 is provided in the entrance (not shown) of each management area. In each management zone, the seat 11 of each user 7 is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of each management zone, a plurality of lights 12a to 12d and the like are provided.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performs energy saving control with respect to all the lights 12a-12d etc. of a management area. As a result, the front lights 12a to 12d are in an unlit state or a dimmed state.

이 상태에서, 이용자(7)가 관리 구역에 입실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관리문(10)의 근방에서, 입퇴실 관리 장치(4)가 이용자(7)를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빌딩 관리 장치(5)는 관리문(10)과 이용자(7)의 자기 자리(11)의 사이의 조명(12a ~ 12d)을 일시적으로 밝게 하거나 점등시킨다. 이용자(7)가 퇴실하는 경우, IC 태그(2)의 버튼이 조작되면, 빌딩 관리 장치(5)는 관리문(10)과 이용자(7)의 자기 자리(11)의 사이의 조명(12a ~ 12d)을 일시적으로 밝게 하거나 점등시킨다. In this state, the case where the user 7 enters a management area is considered. In this case,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detects the user 7 in the vicinity of the management door 10. Based on this detection result,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temporarily illuminates or lights up the lighting 12a-12d between the management door 10 and the user's seat 11 of the user. When the user 7 leaves the room, when the button of the IC tag 2 is operated, the building management device 5 illuminates the lighting 12a ˜ between the management door 10 and the user seat 11 of the user 7. Temporarily brighten or light 12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관리문(10)과 이용자(7)의 자기 자리(11)의 사이의 조명(12a ~ 12d)만이 제어된다. 이 때문에, 조명(12a ~ 12d) 이외의 조명에 대해, 에너지 절약 제어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 4 demonstrated above, only illumination 12a-12d between the management door 10 and the user seat 11 of the user 7 is controlled. For this reason, energy saving control can be maintained with respect to illumination other than illumination 12a-12d.

실시 형태 5. Embodiment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빌딩 설비 관리 장치에게 관리되는 관리 구역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4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agement area managed by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i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s Embodiment 4,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이용자(7)가 관리문(10)으로부터 자기 자리(11)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한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는, 이용자(7)가 공용 구역 내를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In Embodiment 4, the case where the user 7 moves to the seat 11 from the management door 10 was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in Embodiment 5, the case where the user 7 moves in a shared area is demonstrated.

도 8에 있어서, 13은 공용 구역이다. 공용 구역(13)은 넓은 로비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용 구역(13)의 일측에는, 제1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제1 출입구에는, 관리문(10)의 한쪽이 마련된다. 공용 구역(13)의 타측에는, 제2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제2 출입구에는, 관리문(10)의 다른 쪽이 마련된다. In Fig. 8, 13 is a common area. The common area 13 consists of a large lobby or the like. One side of the common area 13 is provided with a first entrance (not shown). One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is provided in the 1st entrance and exit. On the other side of the common area 13, a second entrance (not shown) is provided. The other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is provided in the 2nd entrance and exit.

공용 구역(13)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거의 전역에는, 공용 구역(13)의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을 따라서, 복수의 조명(도시하지 않음)을 등(等)간격으로 늘어놓을 수 있다. 이들 조명은 소등되어 있다.A plurality of lights (not shown)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common area 13 on almost the entire ceiling or floor of the common area 13. Can be arranged. These lights are off.

이 상태에서, 이용자(7)가 관리문(10)의 한쪽으로부터 공용 구역(13)을 통과하여 관리문(10)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관리문(10)의 한쪽의 근방에서, 입퇴실 관리 장치(4)가 이용자(7)를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빌딩 관리 장치(5)는 이용자(7)에 대응하여 선정된 조명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그 외의 조명의 소등을 유지한다. In this state, a case is considered where the user 7 moves from one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to the other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through the common area 13. In this case, the entrance / exit room management apparatus 4 detects the user 7 in one vicinity of the management door 10. Based on this detection result, the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5 turns on the lighting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user 7, and keeps other lights off.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문(10)의 한쪽으로부터 공용 구역(13)의 단변 방향 또한 관리문(10)의 다른 쪽 측으로 늘어선, 조명(14a ~ 14c)이 점등된다. 또, 조명(14c)으로부터 공용 구역(13)의 장변 방향 또한 관리문(10)의 다른 쪽 측으로 늘어선, 조명(14d ~ 14i)이 점등된다. 또한, 조명(14i)으로부터 공용 구역(13)의 단변 방향 또한 관리문(10)의 다른 쪽 측으로 늘어선, 조명(14j, 14k)이 점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lights 14a to 14c lined up from one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to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shared area 13 and to the other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are lit. In addition, the lights 14d to 14i lined up from the light 14c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shared area 13 to the other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are lit. In addition, the lights 14j and 14k, which are arranged from the light 14i to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shared area 13 and to the other side of the management door 10, are turned on.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이용자(7)에 대응하여 선정된 조명(14a ~ 14k)이 점등되고, 그 외의 조명이 소등된다. 이 때문에, 공용 구역(13)에서 이용자(7)를 통행시키고 싶은 장소로 유도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용자(7)를 소등하고 있는 장소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용 구역(13)의 시큐리티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 5 demonstrated above, illumination 14a-14k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user 7 is lighted, and other illumination is turned off. For this reason, it can lead to the place where the user 7 wants to pass in the common area 13. As a result, the user 7 can be kept away from the light-off place. Thereby, the security of the shared area 13 can be improv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설비 관리 장치는 이용자를 경로로 유도하는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apparatus which guides a user to a path | route.

1: 기기
2: IC 태그
3: 제휴 시스템
4: 입퇴실 관리 장치
4a: IC 태그 판독부
4b: 기억부
4c: 인증부
4d: 판정부
4e: 화상 판정부
5: 빌딩 관리 장치
5a: 기기 제어부
5b: 기억부
5c: 제어부
6a, 6b: 조명
7: 이용자
8: 제휴 장치
9: 카메라
10: 관리문
11: 자기 자리
12a ~ 12d: 조명
13: 공용 구역
14a ~ 14k: 조명
1: appliance
2: IC tag
3: affiliate system
4: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device
4a: IC tag reader
4b: memory
4c: certification part
4d: judgment unit
4e: image determining unit
5: building management unit
5a: device control
5b: memory
5c: control unit
6a, 6b: lighting
7: user
8: affiliated device
9: camera
10: Administrative statement
11: place
12a-12d: lighting
13: public areas
14a-14k: lighting

Claims (6)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관리 영역 내에 마련되어, 접근한 이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 근방을 시점(始點)으로 한 상기 관리 영역 내의 상정(想定) 경로를 상기 이용자마다 기억한 기억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이 이용자를 식별했을 경우에,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시점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로부터 상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의 종점(終點)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를 향해서, 상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 근방의 조명을 포함하는 기기를 차례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
Identification means provided in a management are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vices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s and identifying the accessed user;
Storage means for storing, for each of the users, an assumed path in the management area with the viewpoint near the identification means as the user;
A device including illumination near the end point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from the device including the illumination near the viewpoint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when the identification means has identified the user. And control means fo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apparatus including the illumination in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기의 각각에 대응해서 마련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 근방에서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상기 이용자가 식별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고 있는 식별 수단 근방의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means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equipment near the identification means identifying the user when the user i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복수의 조명의 각각에 대응해서 마련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이용자에 대응한 상정 경로 근방에서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상기 이용자가 식별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고 있는 식별 수단 근방의 조명의 상기 종점 측에 인접한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means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illumination adjacent to the end point side of the illumination near the identification means identifying the user when the user i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assumed path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정 경로로부터 떨어진 식별 수단이 상기 식별된 이용자를 식별했을 경우는, 상기 상정 경로로부터 떨어진 식별 수단에 대응한 기기로부터 상기 상정 경로 근방의 기기를 향해서, 기기를 차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when the identification means away from the assumed path identifies the identified user, the control means sequentially controls the device from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means away from the assumed path toward the device near the assumed path. Building facilities management devi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기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접근한 이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amera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identifying means identifies the approached user based on the image of the camer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영역 내의 관리 구역에 마련된 복수의 조명 중, 상기 인식된 이용자에 대응하여 선정된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선정된 조명 이외의 조명을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control means lights up a light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ights provided in the management area in the management area, and turns off lights other than the selected light.
KR1020137022049A 2011-02-09 2011-02-09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Ceased KR2013011786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2751 WO2012108012A1 (en) 2011-02-09 2011-02-09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860A true KR20130117860A (en) 2013-10-28

Family

ID=4663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049A Ceased KR20130117860A (en) 2011-02-09 2011-02-09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47697B2 (en)
KR (1) KR20130117860A (en)
CN (2) CN103222342A (en)
WO (1) WO20121080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2846A (en) * 2013-04-08 2014-10-15 Mark Batchelour Lighting system
CN107219810B (en) * 2017-06-09 2021-03-23 特灵空调系统(中国)有限公司 Building control method
CN111556632A (en) * 2020-05-22 2020-08-18 广东启源建筑工程设计院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induction lam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7697A (en) * 1991-04-12 1992-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Lighting control device
JP2000149150A (en) * 1998-11-04 2000-05-30 Toto Ltd Guide system
US6107942A (en) * 1999-02-03 2000-08-22 Premier Management Partners, Inc. Parking guidance and management system
US7298871B2 (en) * 2002-06-07 2007-1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the ambience of a loc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ersonal preferences of people in the local environment
JP2009520316A (en) * 2005-12-19 2009-05-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CN100391186C (en) * 2005-12-23 2008-05-28 上海大学 Guide System for the Blind Based on Wireless Ad Hoc Network
RU2479956C2 (en) * 2006-11-17 2013-04-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Lighting device for floors
JP2008158830A (en) * 2006-12-25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355302B1 (en) * 2007-05-11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JP2009116600A (en) * 2007-11-06 200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JP2009140644A (en) * 2007-12-04 2009-06-25 Nec Lighting Ltd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2342A (en) 2013-07-24
JPWO2012108012A1 (en) 2014-07-03
WO2012108012A1 (en) 2012-08-16
JP5447697B2 (en) 2014-03-19
CN106912146A (en)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7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ly interacting with elevators
US8939263B2 (en) Elevator system with assigned car confirmation
CN111601746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tform doors
US20150183618A1 (en) Elevator-landing device
KR20120030535A (en) Elevator system
US9793990B2 (en) Worker management device, worker management system, and workwear
JP6180682B1 (en) Security gate and elevator system
CN112668762A (en) Visitor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fire evacuation indication terminal and terminal
KR20130117860A (en)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KR20150095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US20220415108A1 (en) Ind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JP5482090B2 (en) Elevator display
KR101670503B1 (en) Intelligent parking guide system
KR20120042346A (en) Lighting control system, mobile apparatus, lighting of build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the system
US20230002190A1 (en) Ind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KR102277107B1 (en) Elevator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2433816B1 (en) Cinema exit guidance system
KR20100102843A (en)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by parking guidance system
KR101651368B1 (en) Underground parking control method
KR102242270B1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101145416B1 (en) Mobile rack
JP2013043747A (en) Elevator security system
JP6387906B2 (en) Lighting management system
KR20100125547A (en) Robot visitor guidance system and method
HK40085081A (en) An ind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4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14

Effective date: 20180423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80423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13 7022049

Appeal request date: 20160614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610100346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