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08721A -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721A
KR20140008721A KR1020120075643A KR20120075643A KR20140008721A KR 20140008721 A KR20140008721 A KR 20140008721A KR 1020120075643 A KR1020120075643 A KR 1020120075643A KR 20120075643 A KR20120075643 A KR 20120075643A KR 20140008721 A KR20140008721 A KR 2014000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jig
shaft member
displacement gauge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민
김성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721A/en
Publication of KR2014000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72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바닥판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물에 변위계를 설치하기 위하여, 중심판(1)과, 지지다리(2)와, 승하강 축부재(3)와, 변위계를 설치하기 위한 지그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그장치(4)는,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설치공간을 가지는 지그본체(41)와, 상기 지그본체(4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변위계고정봉(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진퇴가능한 변위계고정봉(42)이 관통되어 있어,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위치한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7)가 내부설치공간 내에서 고정되며; 상기 승하강 축부재(3)를 상승시켜 상기 변위계(7)가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측정 완료시에는 승하강 축부재(3)를 하강시켜 변위계(7)를 회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er plate (1), a support leg (2), a lifting shaft member (3), and a displacement meter in order to install a displacement meter on a structure located high above the ground, such as a bridge bottom plate. It comprises a jig device 4 for; The jig device 4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The jig main body 41 has an inner installation space and the jig main body 41 penetr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cylindrical side of the jig body 41 is passed through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which can be re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has a sid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locat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By pressing, the displacement meter 7 is fix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raised so that the displacement meter 7 is disposed at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and when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lowered to recover the displacement meter 7. Provided is a tripod device for installing a displacement meter.

Description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Jig device for displacement meter installation and tripod device with same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본 발명은 교량의 바닥판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물의 수직변위를 측정할 목적으로 변위계를 설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삼각대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승하강 축부재의 단부에, 변위계의 설치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지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변위계를 용이하게 구조물의 변위측정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와, 이를 구비한 삼각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 displacement meter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a structure located high above the ground, such as a bridge deck, specifically, has a tripod-shaped structure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jig device for a displacement gauge installation having a new configuration, which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has a jig device specially develop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isplacement gauge, so that the displacement gauge can be easily fixed to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by using the jig device. And a tripod device having the same.

구조물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수직 변위를 측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구조물의 수직변위 발생 위치에 변위계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교량의 바닥판 등과 같이 구조물의 경우, 변위계를 부착해야 하는 위치 즉, 교량의 바닥판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높은 사다리나 승강탑 등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직접 승강탑 등을 타고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야만 한다. 작업자가 직접 고소로 접근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자의 낙하 위험성 등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다리나 승강탑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th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vertical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structure. For this purpose, a displacement meter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However, in the case of structures such as bridge decks, the position where the displacement gauge should be attached,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dge deck is located high above the ground. You must climb to the location. Since the worker must approach directly to the sue, not only the problem that the risk of falling of the worker increases accordingly, but also a problem that requires a considerable cost to install a ladder or a lift tower.

도 9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593호에 개시된 선행기술로서, 교량의 바닥판 상면을 주행하는 차량에서 교량 바닥판 하면으로 절곡 암을 작동시켜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9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변위계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차량을 작동시키는 작업자는 교량의 바닥판 상면에 위치하는데 반하여, 실제 점검 작업은 교량의 바닥판 하면에 위치하고 있어,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점검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도 작업자가 고소에 직접 올라가야 하므로, 여전히 고소 작업으로 인한 추락 위험성 등은 계속 존재한다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9 is a prior art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34593, a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for insp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by operating the bending arm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in the vehicle trave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bottom plate is shown. . However, the prior art shown in FIG. 9 is not only for installing a displacement meter, but the operator operating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whereas the actual inspection work is loc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inspection status, and even in such a prior art, the worker has to climb directly to the height, so the problem that the risk of falling due to the height still exists does not solve the problem.

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3493호(2011. 02. 10. 공고) 참조.Se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13493 (2011. 02. 10. notifica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측정대상 구조물일지라도, 작업자가 직접 구조물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지면에서 용이하게 변위계를 측정대상 구조물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변위계를 수월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변위계 설치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specifically, even if the measurement target structure located at a high position from the ground,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access the structure, the displacement meter is easily installed on the measurement target structure on the grou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installing a displacement gauge, which allows the displacement meter to be easily recovered aft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승하강 축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설치공간을 가지는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변위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변위계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그본체의 통형상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진퇴가능한 변위계고정봉이 관통되어 있어, 상기 변위계고정봉의 단부가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위치한 변위계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가 내부설치공간 내에서 고정되는 구성의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ig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and the jig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retreat to the in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gaug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he cylindrical side of the jig body has a displacement measuring rod fix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penetrates, the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is configured to press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gauge located in the interior installation space, the displacement system is fixed in the interior installation space Jig device for displacement gauge installation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심판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벌어져서 삼각뿔 형상으로 세워지는 3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중심판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며 상단에는 상기한 본 발명의 지그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승하강 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그장치에 변위계가 구비되고, 상기 지그장치가 승하강 축부재 상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 축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변위계가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측정 완료시에는 승하강 축부재를 하강시켜 변위계를 회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upled to the center plate, and the lower end is opened and lowered by three support legs which are erected in a triangular pyramid shape, and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plate, and the ji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It comprises a shaft member; The jig device is provided with a displacement meter, and the jig device is mounted on the elevating shaft member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ing shaft member so that the displacement meter is disposed at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There is provided a tripod device for displacement mete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cending shaft member is lowered to recover the displacement met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지그장치와 삼각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그본체의 통형상 측면에는 변위계와 연결되는 리드선이 관통하게 되는 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본체의 통형상 측면에는 변위계와 연결되는 리드선을 감아두기 위한 리드선 감김봉이 횡방향으로 더 결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와 삼각대 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jig device and the tripod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line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ter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side of the jig body, A jig device and a tripod device for installing a displacement gauge are provided on a cylindrical side of the jig main body, wherein a lead wire winding rod for wind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gauge is further coupled in a later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삼각대 장치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중심판의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균형판이 더 구비되어 있어, 승하강 축부재는 중심판을 관통한 후, 위쪽의 상기 균형판도 관통하여 연직하게 뻗어 있게 되며; 복수개의 균형봉이 균형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직 배치되어 상기 균형판과 상기 중심판 사이를 연결하고 있어, 승하강 축부재의 횡방향 변위에 대한 인장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설치용 삼각대 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tripod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balance plate is further provided at intervals above the center plate, the elevating shaft member through the center plate, the upper balance plate also It penetrates vertically; A plurality of balancing rods are arranged vertically along the edge of the balance plate to connect between the balance plate and the center plate, thereby exhibiting a tensile resistance to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the tripod for install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 apparatus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삼각대 장치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지그본체의 하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이퍼부가 관부재로 이루어진 승하강 축부재에 삽입됨으로써, 지그본체가 승하강 축부재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 센서 설치용 삼각대 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tripod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the tapere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shaft member made of a pipe member, the jig body is the elevating shaft member Provided is a tripod device for installing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 및 지그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측정대상 구조물일지라도, 작업자가 직접 구조물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지면에서 용이하게 변위계를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변위계를 수월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When using the tripod device and the ji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tructure to be positioned high from the ground,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access the structure, the displacement meter can be easily fixed to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on the ground. Aft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displacement meter can be easily recovered.

특히, 승하강 축부재는 복수개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그 길이를 원하는 정도로 길게 만들 수 있으므로,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위와 같이 변위계를 용이하게 지면에서의 작업을 통해 부착 설치할 수 있고 또 사용 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elevating shaft member can be made as long as desi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cement gauge is easily removed from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It can be attached and installed through the work of and can be recovered after us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에서는 균형판과 균형봉의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하강 축부재의 횡변위가 발생할 때, 승하강 축부재의 횡변위로 인한 인장력을 중심판과 균형판 사이의 균형봉의 인장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승하강 축부재의 과도한 횡변위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며, 그에 따라 삼각대 장치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in the tripo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add the configuration of the balance plate and the balance bar, in this case, when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center plate and the balance plate It can be supported by the tensile stiffness of the balance bar between th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excessiv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tripod device.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 장치를 바라보는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에서 승하강 축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된 지그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그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선 A-A에 따른 지그장치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3의 선 B-B에 따른 지그장치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9는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종래 기술의 차량에 대한 개략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views of the tripo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ig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in the tripo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jig device shown in FIG.
5 and 6 are schematic half-sectional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jig device, respectively, along line AA in FIG. 3.
7 and 8 are schematic half-sectional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jig device, respectively,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ior art vehicle for inspecting the underside of a brid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센서 설치용 지그를 구비한 삼각대 장치(이하, "삼각대 장치"라고 약칭함)(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 장치(100)는, 중심판(1)에 상단이 모여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넓게 벌어져서 상기 중심판(1)을 꼭짓점으로 하여 삼각뿔 형상으로 배치되어 세워지는 3개의 지지다리(2)와, 상기 중심판(1)의 중심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 축부재(3)와, 상기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구비되어 변위계를 붙잡아서 구조물의 변위 측정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 지그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are respectively shown in different directions of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ripod device (hereinafter, abbreviated as "tripod device") 100 having an jig for install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ipo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is assembled to the center plate 1 rotatably coupled and the lower end is wide open so that the center plate 1 as a vertex arranged in a triangular pyramid shape Three support legs (2) to be erected, an elevating shaft member (3)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er plate (1),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jig device (4) to hold and fixed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구체적으로 3개의 지지다리(2)는 상단이 중심판(1)에 모여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하단은 넓게 벌어진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판(1)에는 승하강 축부재(3)가 관통되는데, 상기 승하강 축부재(3)의 관통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축 고정부재(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축 고정부재(11)는, 승하강 축부재(3)를 감싸는 슬리브형 부재와, 상기 슬리브형 부재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가 승하강 축부재(3)의 측면 방향으로 진출하여 승하강 축부재(3)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승하강 축부재(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축 고정부재(11)의 구성은 위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승하강 축부재(3)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밀어 올리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승하강할 수도 있지만, 중심판(1)에 승하강 축부재(3)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자동승하강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자동승하강 장치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래크와 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통해 승하강 축부재(3)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승하강 장치의 구성 역시 위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승하강 축부재(3)는 봉형상 내지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중심판(1)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뻗어 있다. Specifically, the three support legs 2 are rotatably gather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late 1,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stand up to form a wide open triangular pyramid shape.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plate 1, and a shaft fixing member 11 may be provided to fix the penetrated position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shaft fixing member 11 is composed of a sleeve-like member surroun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and a bolt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sleeve-like member, so that the bolt is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It may have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by pressing the side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o adv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haft fixing member 1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may be raised and lowered by a worker by pushing up or pulling by a manpower, but an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on the center plate 1 ( May be installed). The automatic lifting device may have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shaft member 3 through an electric motor by using a rack and pinion structur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lifting device is also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a rod-shaped or pipe-shaped member and extends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plate 1.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 장치(100)를 사용할 때, 상기 승하강 축부재(3)는 그 상단이 구조물의 하면에 이르도록 상승하게 되는데, 승하강 축부재(3)가 상승할수록 삼각대 장치(100)의 무게 중심도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각대 장치(100)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100)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When using the tripo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raised so that the upper end rea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higher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tripod device 100 The center of gravity will also rise.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tripod device 100, the tripo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판(1)의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균형판(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승하강 축부재(3)는 중심판(1)을 관통한 후, 추가적으로 위쪽의 균형판(5)도 관통하여 연직하게 뻗어 있게 된다. 상기 균형판(5)과 상기 중심판(1) 사이에는 복수개의 균형봉(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강봉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균형봉(6)이 균형판(5)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직배치되어 있고, 상기 균형봉(6)의 상단은 상기 균형판(5)과 결합되고, 상기 균형봉(6)의 하단은 중심판(1)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직방향으로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중심판(1)과 균형판(5)을, 승하강 축부재(3)가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 중심판(1)과 마찬가지로 상기 균형판(5)에도 승하강 축부재(3)가 관통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축 고정부재(11)가 구비된다. 1 and 2, a balance plate 5 may be further provided at intervals above the center plate 1, and the lifting shaft member 3 passes through the center plate 1. In addition, the upper balance plate 5 also penetrates and extends vertically. The balance plate 5 and the center plate 1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balance bars 6. That is, a plurality of balance bars 6 made of steel rods or the like are vertically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balance plate 5, the upper end of the balance bar 6 is coupled to the balance plate 5, the balance bar The lower end of (6) is to be combined with the center plate (1). In this way,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sequentially penetrates the center plate 1 and the balance plate 5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intervals from be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Similar to the center plate 1, the balance plate 5 is also provided with a shaft fixing member 11 for fixing the position where the lifting shaft member 3 is penetrated.

승하강 축부재(3)가 중심판(1)과 균형판(5)을 순차적으로 관통해 있고, 상기 중심판(1)과 균형판(5) 사이에는 연직한 복수개의 균형봉(6)이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바람 등에 의해 승하강 축부재(3)에 횡력이 작용하게 되어 횡력의 작용방향으로 승하강 축부재(3)의 횡변위가 발생할 때, 승하강 축부재(3)의 횡변위로 인한 인장력을 중심판(1)과 균형판(5) 사이의 균형봉(6)의 인장강성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하강 축부재(3)의 과도한 횡변위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며, 삼각대 장치(100)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9는 균형추(9)이고, 부재번호 8은 균형추(9)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장치(8)이다.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sequentially penetrates the center plate 1 and the balance plate 5,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lance bars 6 are disposed between the center plate 1 and the balance plate 5.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by the wind or the like, when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occurs in the action direction of the lateral force,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ensile force due to the lateral displacement of is supported by the tensile stiffness of the balance bar (6) between the center plate (1) and the balance plate (5). Therefore, the occurrence of excessiv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suppressed, and the stability of the tripod device 100 is further improved. In the drawing, the member number 9 is a counterweight 9, and the member number 8 is a fastening device 8 for installing the counterweight 9.

다음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100)에 구비된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4)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에는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부에 구비된 지그장치(4)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지그장치(4)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도 3의 선 A-A에 따른 지그장치(4)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도 5)와 단면도(도 6)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도 3의 선 B-B에 따른 지그장치(4)의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도 7)와 단면도(도 8)가 도시되어 있다. Next, the displacement gauge mounting jig device 4 provided in the tripo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rst,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ig device 4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shown in FIG. 3,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jig device 4 is shown in FIG. 4. 5 and 6 show a schematic half-sectional perspective view (FIG. 5) and a cross-sectional view (FIG. 6) of the jig device 4 according to the line AA of FIG. 3, respectively, and FIGS. 7 and 8 respectively show that FIG. A schematic half sectional perspective view (FIG. 7) and a cross sectional view (FIG. 8) of the jig device 4 along the line BB are shown.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그장치(4)는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설치공간을 가지는 지그본체(41)와, 상기 지그본체(4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변위계고정봉(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본체(41)는 통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로부터 그 내부에는 변위계(7)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내부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그본체(41)는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지그본체(41)는 승하강 축부재(3)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그본체(41)의 하단에 테이퍼부(4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이퍼부(410)가 관부재로 이루어진 승하강 축부재(3)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그본체(41)가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그본체(41)가 분리가능하게 승하강 축부재(3)와 결합되는 경우, 지그장치(4)를 교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 장치(100)를 가속도 센서의 설치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to 8, the jig device 4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jig main body 41 having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consisting of an open top of the jig body, and the It comprises a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by advancing the jig body 4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pecifically, the jig body 41 is formed of a cylindrical member, and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isplacement meter 7 is vertically inserted and positioned is formed therein from above. The jig body 4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wherein the jig body 41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is a tapered portion 4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41, the tapered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made of a pipe member The jig body 4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n this way, when the jig body 41 is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the jig device 4 is replaced, and the tripo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n acceleration sensor installation. Will be.

한편,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진퇴가능한 변위계고정봉(42)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은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 원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는데, 지그본체(4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부설치공간으로 삽입된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는, 내부설치공간에 수직하게 위치한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7)가 내부설치공간 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은 예를 들어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그본체(41)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봉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관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jig body 41 is penetrated through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that can be advan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4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along the cylindrical side circumference of the jig body 41,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through the jig body 4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The end of 42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such that the displacement meter 7 is fix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For example,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42 has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may be penetrated in a form of screwing into a rod through-hol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jig body 41.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변위계고정봉(42)이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하여 변위계(7)의 위치를 고정함에 있어서,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직접 변위계(7)의 측면에 닿지 않고, 변위계(7)의 측면을 고정판(45)이 감싸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45)을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이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판(45)이 내부설치공간에 복수개의 쌍으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45)의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변위계(7)가 위치하고,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고정판(45)의 외면을 각각 가압함으로써, 고정판(45)의 마주보는 내면이 변위계(7)의 측면을 감싸면서 가압하여 변위계(7)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변위계(7)의 측면에 직접 닿아서 가압할 때 발생하는, 변위계(7) 측면의 손상 즉, 변위계고정봉(42) 단부의 작은 면적에서의 강한 지압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판(45)에 의해 넓은 면적에서 변위계(7)를 붙잡아 고정시키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변위계(7)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고정판(45)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2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재와 같이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presses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to fix the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gauge 7, the end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is a direct displacement meter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late 45 surrounds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meter 7 without touching the side of 7), and the fixing plate 45 is configured to press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42. That is, the fixing plate 45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inner installation space in a plurality of pairs so that the displacement meter 7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plate 45 facing each other, and the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42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45. By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each,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45 is pressed while wrapping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meter (7) to fix the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meter (7).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damage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system 7, ie, the small area of the end of the displacement system fixing rod 42, which occurs when the end portion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and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strong acupressure in the, and by holding the displacement plate (7) in a large area by the fixing plate 45 is fixed to the displacement system (7) is more stably exhibited the effect.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xing plate 45 may be provided in pairs,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와 상기 고정판(45)의 외면이 일체화될 수도 있지만,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변위계고정봉(42)과 고정판(45)이 분리된 경우, 아직 고정판(45)이 변위계(7) 측면을 가압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고정판(45)이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의 판설치봉(4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의 판설치봉(49)은 상기 지그본체(4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 판설치봉(49)은, 고정판(45)의 측면 일부를 잠식한 상태로 지그본체(41)를 관통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고정판(45)의 측면 일부를 잠식하도록 횡방향 판설치봉(49)이 구비됨으로써, 고정판(45)이 상기 횡방향 판설치봉(49)에 지지되어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고정판(45)이 단순히 상기 횡방향 판설치봉(49) 위에 놓이게 될 수도 있다. An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rod 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45 may be integrated, but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and the fixing plate 45 are separated in this way, the fixing plate 45 is not inserted into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while the fixing plate 45 has not yet pressed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meter 7. The plate mounting rod 49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The plate mounting rod 49 in the lateral direc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jig body 41, and may be installed in plural as shown in the drawing. As described above, the transverse plate mounting rod 49 may penetrate the jig body 41 while encapsulat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xed plate 45. Thus, the transverse plate mounting rod 49 may encroach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xed plate 45. By providing the 49, the fixing plate 45 is supported by the lateral plate mounting rod 49 and can be easily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Alternatively, the fixing plate 45 may be simply placed on the transverse plate mounting rod 49.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변위계(7)와 연결되는 신호선 즉, 리드선(71)이 관통하게 되는 선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리드선(71)을 감아두기 위한 리드선 감김봉(44)이 지그본체(41)에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위계(7)의 하단에는 리드선(71)이 연결되고, 리드선(71)의 단부에는 단자부(7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변위계(7)를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수직배치하였을 때, 리드선(71)과 그 단부의 단자부(72)는 내부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리드선(71)과 단자부(72)를 지그본체(41)의 외부로 뽑아내기 위하여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단자부(72)가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선 관통공(43)을 형성함으로써, 단자부(72)와 리드선(71)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선 관통공(43)으로 통해서 용이하게 외부로 뽑아내게 된다. In addition, a line through hole 43 through which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ter 7, that is, a lead wire 71 penetrates, is formed on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jig body 41 in the present invention. ) Is further provided with a lead wire winding rod 44 for winding the jig body 41. In general, a lead wire 71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displacement meter 7, and a terminal portion 72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lead wire 71. Therefore, when the displacement meter 7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the lead wire 71 and the terminal portion 72 at the end thereof are position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In order to pull out the lead wire 71 and the terminal portion 72 to the outside of the jig body 41, a line through hole having a size enough to allow the terminal portion 72 to penetrate through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jig body 41. By forming 43, the terminal portion 72 and the lead wire 71 can be easily pulled out through the line through hole 43 as shown in FIG.

상기 리드선 감김봉(44)은 상기 선 관통공(43)의 아래에서,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위에서 지그본체(41)의 측면에서 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선 관통공(43)을 통해서 외부로 뽑아져 나온 리드선(71)을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리드선 감김봉(44)에 감아둠으로써 리드선(71)이 엉키거나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lead wire winding bar 44 may be coupled laterally at the side of the jig body 41 below the line through hole 43 or as shown in the figure. Therefore, the lead wire 71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ne through hole 43 is wound around the lead wire winding rod 44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lead wire 7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or damaged. do.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100)를 이용하여 변위계(7)를 교량의 바닥판 하면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installing the displacement meter 7 on the bottom plate bottom of the bridge by using the tripo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앞서 설명한 것처럼, 지지다리(2)를 삼각뿔 형태로 펼쳐서 삼각대 장치(100)를 교량의 바닥판 아래의 지면에 설치하고, 변위계(7)를 지그본체(41)에 결합한 후, 지그본체(41)를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설치한다. 변위계(7)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리드선(71)과 단자부(72)가 존재하게 되고, 변위계(7)가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리드선(71)과 단자부(72)를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어렵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그본체(41)에 선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고 리드선 감김봉(44)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된 변위계(7)로부터의 리드선(71)과 단자부(72)를 상기 선 관통공(43)에 관통시켜 외부로 빼내게 되고, 빼내진 리드선(71)을 리드선 감김봉(44)에 감아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위계(7)가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리드선(71)과 단자부(72)를 용이하게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되고, 빼내진 리드선(71)도 리드선 감김봉(44)에 감아둘 수 있게 되어, 리드선(71)이 엉키거나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leg 2 is extend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yramid, the tripod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the displacement meter 7 is coupled to the jig body 41, and then the jig body 41. To the top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displacement meter 7 includes a lead wire 71 and a terminal portion 7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hen the displacement gauge 7 is positioned in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the lead wire 71 and the terminal portion 72 are disposed. ) Is difficult to draw ou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through hole 43 is formed in the jig body 41 and the lead wire winding rod 44 is provided, the jig main body 41 has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The lead wire 71 and the terminal portion 72 from the displacement meter 7 arranged are penetrated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43 to be pulled out, and the lead wire 71 is wound around the lead wire winding rod 44. I can arrange it. Therefore, even if the displacement meter 7 is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the lead wire 71 and the terminal portion 72 can be easily taken out to the outside, and the lead wire 71 that is pulled out also has a lead wire winding rod 44. ), The lead wire 7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or damaged.

중심판(1)과 균형판(5)을 관통하고 있는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그장치(4)를 설치하고, 구조물 부착부재(45)의 상면에 에폭시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한 후, 승하강 축부재(3)를 상승시켜 변위계(7)가 교량의 바닥판 하면 즉,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변위계(7)에 의한 변위 측정을 시작한다. 변위계(7)를 이용한 변위의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삼각대 장치(100)의 승하강 축부재(3)를 하강시켜 철거하게 된다. The jig device 4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penetrating the center plate 1 and the balance plate 5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the epoxy adhesive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attachment member 45. After applying the same adhesive,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raised so that the displacement meter (7) is plac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that is,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posi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and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by the displacement gauge (7) is performed. To start.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displacement using the displacement meter 7 is completed, the lifting lowering shaft member 3 of the tripod device 100 is lowered and removed.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지면으로 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측정대상 구조물일지라도, 작업자가 직접 구조물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지면에서 용이하게 변위계를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측정이 완료된 후에도 변위계를 수월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tripo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easurement target structure located high from the ground,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access the structure,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measurement target structure easily on the ground It can be fixedly and firmly placed in the center, and the displacement meter can be easily recovered even aft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특히, 승하강 축부재(3)는 복수개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그 길이를 원하는 정도로 길게 만들 수 있으므로,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계 설치 위치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위와 같이 변위계를 용이하게 지면에서의 작업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 사용 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can be made as long as desi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cement gauge is easy 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position of the displacement gaug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Therefore, the work on the ground can be placed stably in the desired position and can be recovered after us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삼각대 장치(100)에서는 균형판(5)과 균형봉(6)의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하강 축부재(3)의 횡변위가 발생할 때, 승하강 축부재(3)의 횡변위로 인한 인장력을, 중심판(1)과 균형판(5) 사이의 균형봉(6)의 인장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승하강 축부재(3)의 과도한 횡변위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며, 그에 따라 삼각대 장치(100)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in the tripo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add the configuration of the balance plate 5 and the balance bar 6, in this case, when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shaft member 3 can be supported by the tensile stiffness of the balance bar 6 between the center plate 1 and the balance plate 5, so that the excessiv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can be support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that the stability of the tripod device 100 is further improved.

1: 중심판
2: 지지다리
3: 승하강 축부재
4: 지그장치
1: center plate
2: support leg
3: lifting shaft member
4: jig device

Claims (8)

중심판(1)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벌어져서 삼각뿔 형상으로 세워지는 3개의 지지다리(2)와, 상기 중심판(1)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 축부재(3)와, 상기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구비되는 지그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그장치(4)는,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설치공간을 가지는 지그본체(41)와, 상기 지그본체(4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변위계고정봉(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위치한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7)가 내부설치공간 내에서 고정되며;
상기 승하강 축부재(3)를 상승시켜 상기 변위계(7)가 측정대상 구조물의 변위 측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측정 완료시에는 승하강 축부재(3)를 하강시켜 변위계(7)를 회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center plate (1) and the lower end is opened three triangular pyramidal shape (3),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center plate (1), and It comprises a jig device (4)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jig device 4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he jig main body 41 having an inner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upper shape of the open and the jig main body 4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which presses and fixes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end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locat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whereby the displacement gauge 7 is fix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raised so that the displacement meter 7 is disposed at the displacement measur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and when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is lowered to recover the displacement meter 7. Tripod device for displacement mete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변위계(7)와 연결되는 리드선(71)이 관통하게 되는 선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상기 변위계(7)와 연결되는 리드선(71)을 감아두기 위한 리드선 감김봉(44)이 횡방향으로 더 결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ine through hole 43 through which the lead wire 71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ter 7 is formed on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jig body 41;
Tripod device for displacement gauge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ide of the jig body 41 is further coupled to the lead wire winding rod 44 for winding the lead wire 71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ter 7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복수개의 쌍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고정판(45)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45)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상기 변위계(7)가 위치한 상태에서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외부에서 각각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7)의 측면을 감싸면서 가압하여 변위계(7)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late 45 is further provided to be vertical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airs in the interior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meter 7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plate 45 facing each other, the end portions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s 42 are pressed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while pressing and wrapping the sides of the displacement gauge 7 so as to press the displacement gauge ( 7) Tripod device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osi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1)의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균형판(5)이 더 구비되어 있어, 승하강 축부재(3)는 중심판(1)을 관통한 후, 위쪽의 상기 균형판(5)도 관통하여 연직하게 뻗어 있게 되며;
복수개의 균형봉(6)이 균형판(5)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직 배치되어 상기 균형판(5)과 상기 중심판(1) 사이를 연결하고 있어, 승하강 축부재(3)의 횡방향 변위에 대한 인장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balance plate 5 is further provided at intervals above the center plate 1,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passes through the center plate 1, and then the balance plate 5 at the upper side is also provided. It penetrates vertically;
A plurality of balancing rods 6 are arranged vertically along the edge of the balancing plate 5 to connect between the balancing plate 5 and the center plate 1, so tha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elevating shaft member 3 Tripod device for displacement mete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exhibit a tensile resistance to.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그본체(41)의 하단에 테이퍼부(4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이퍼부(410)가 관부재로 이루어진 승하강 축부재(3)에 삽입됨으로써, 지그본체(41)가 승하강 축부재(3)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삼각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taper portion 4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41, and the taper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shaft member 3 made of a pipe member, whereby the jig body 41 is lifting and lowering shaft member. (3) The tripod device for displacement mete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승하강하는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변위계(7)를 물어서 고정하는 지그장치(4)로서,
승하강하는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설치공간을 가지는 지그본체(41); 및
상기 지그본체(4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진퇴함으로써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변위계고정봉(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상기 내부설치공간에 위치한 변위계(7)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7)가 내부설치공간 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
As a jig device 4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to bite and fix the displacement meter 7,
A jig main body 41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have an inner installation space; And
A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dispos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by penetrating the jig main body (4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Jig device for displacement gauge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cement meter (7) is fix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by pressing the side of the displacement gauge (7) locat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of the end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 (4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변위계(7)와 연결되는 리드선(71)이 관통하게 되는 선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본체(41)의 통형상 측면에는 상기 변위계(7)와 연결되는 리드선(71)을 감아두기 위한 리드선 감김봉(44)이 횡방향으로 더 결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line through hole 43 through which the lead wire 71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ter 7 is formed on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of the jig body 41;
The jig device for displacement gauge mounting of the jig body 41, the lead wire winding rod 44 for winding the lead wire 71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meter 7 is further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41)의 내부설치공간에 복수개의 쌍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고정판(45)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45)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 사이에 상기 변위계(7)가 위치한 상태에서 변위계고정봉(42)의 단부가 외부에서 각각 가압함으로써, 상기 변위계(7)의 측면을 감싸면서 가압하여 변위계(7)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fixing plate 45 is further provided to be vertical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airs in the interior installation space of the jig body 41,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meter 7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plate 45 facing each other, the end portions of the displacement gauge fixing rods 42 are pressed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while pressing and wrapping the sides of the displacement gauge 7 so as to press the displacement gauge ( 7) Jig device for displacement gauge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osition.
KR1020120075643A 2012-07-11 2012-07-11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Ceased KR201400087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43A KR20140008721A (en) 2012-07-11 2012-07-11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43A KR20140008721A (en) 2012-07-11 2012-07-11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721A true KR20140008721A (en) 2014-01-22

Family

ID=5014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43A Ceased KR20140008721A (en) 2012-07-11 2012-07-11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72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068B1 (en) * 2015-11-17 2016-11-11 신영측기(주) Stand assembly for measurement apparatus
KR101972699B1 (en) * 2018-04-09 2019-04-25 이재관 Control point for surveying
CN115032078A (en) * 2021-04-26 2022-09-09 福建江夏学院 Civil engineering laboratory pressure testing method and device
KR20230157112A (en) 2022-05-09 2023-1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sensor using Drone and Link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068B1 (en) * 2015-11-17 2016-11-11 신영측기(주) Stand assembly for measurement apparatus
KR101972699B1 (en) * 2018-04-09 2019-04-25 이재관 Control point for surveying
CN115032078A (en) * 2021-04-26 2022-09-09 福建江夏学院 Civil engineering laboratory pressure testing method and device
KR20230157112A (en) 2022-05-09 2023-11-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sensor using Drone and Link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903B1 (en) Displacement meter installation system for bridge load test site
KR101158560B1 (en) Apparatus of tension relief using power electric transmision
CN109853512A (en) Automatic detachable heavy dynamic penetration instrument
KR20140008721A (en)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displacement sensor zig
CN206848068U (en) A kind of draw-off gear for anchor rod drawing experiment
CN1312907A (en) Method, device and support for testing poles
CN106556538B (en) Multi-angle tensile test structure
KR20150065074A (en) cleaning machine for steel pipe
CN107620260A (en) A kind of Arch Bridge Construction cable crane pylon displacement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CN203786015U (en) Auxiliary device for anchor puller
CN210774657U (en) Mechanical test device for electric power safety tool
CN109230279B (en) Building construction hoisting device
CN104237010B (en) Multifunctional concrete electric pole mechanical property detection platform
JP6252882B1 (en) Pivoting anchor inspection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40008722A (en) Apparatus for attaching sensors to high position structure using sensor zig
CN113895583B (en) Wind shielding device of plumb bob
KR200474951Y1 (en) lug load testing device
CN207620384U (en) Jack device for discharging
CN105953933A (en) Bus duct vertical temperature ris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CN205642656U (en) Perpendicular temperature rise detection device of bus duct
CN105696614B (en) One kind solves the super heavy resetting means of open caisson using top of above leaving behind
JP2008045364A (en) Master rope fixture
CN203375120U (en) Fixing device for measuring apparatus
CN208996113U (en) Pile foundation strong strain leading truck
KR20080095424A (en) Method for measuring deflection of bridge using optical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