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11611A -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611A
KR20140011611A KR1020120078094A KR20120078094A KR20140011611A KR 20140011611 A KR20140011611 A KR 20140011611A KR 1020120078094 A KR1020120078094 A KR 1020120078094A KR 20120078094 A KR20120078094 A KR 20120078094A KR 20140011611 A KR20140011611 A KR 2014001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screen
signal
displacement
inpu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용
서종철
한풍석
조성미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07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611A/en
Publication of KR2014001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61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by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comprising the step for a controlling part to determine whether a dome click signal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program or a file from a first pointing device with a pointer positioned at an area for displaying the program or the fil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finger print input signal is sensed from a second pointing device with the dome click of the first pointing device being maintained; and the step of locking the program or the file according to the finger print input signal when the finger print input signal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Description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multiple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terminal for controlling a screen u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적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감지광을 출사하고 피사체인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광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화면상의 포인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포인팅 장치가 개발되어 많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has been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order to conveniently us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recent years, a sensing light is emitted and an optical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A pointing device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or command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m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한편,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노트북에는 데스크탑 PC와 동일한 마우스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자판의 하단부에 터치패드(18)가 탑재된다(도 1 참조).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urrently available laptops are equipped with a touch pad 18 at the lower end of the keyboar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same mouse environment as the desktop PC (see FIG. 1).

근래 출시되는 노트북에 탑재된 터치패드들은 포인팅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멀티터치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PC에서와 같이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모니터에 표시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게 하거나, 페이지를 상하 스크롤(Scroll)할 수 있게 하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The touch pads on the recently released notebooks provide not only the pointing function, but also the functions that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screen in various ways through multi touch. For example, you can use two fingers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nitor as you do on a tablet PC, or you can scroll the page up and down.

종래 멀티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터치패드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화면 제어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touch pad that provides a conventional multi-touch func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intuitively perform various screen controls using his / her finger.

하지만, 터치패드의 사이즈로 인해, 노트북 상에 일정면적 이상의 탑재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단말의 형태나 사용자의 사용 행태 등을 고려한 위치에 적응적으로 탑재하는데 제약이 따른다.However, due to the size of the touch pad, not only a mounting space of a certain area or more is required on the notebook, but also a restriction is imposed on the mounting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terminal and the usage behavior of the user.

또한, 터치패드의 크기로 인해 대부분 키보드 하단에 위치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키보드 위주의 작업을 하던 중 터치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이 반복적으로 키보드 하단으로 내려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In addition, due to the size of the touch pad, most of them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eyboar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touch pad while performing the keyboard-oriented operation, it is inconvenient to repeatedly lower the hand to the bottom of the keyboar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사용자가 복수 개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보다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a user can more conveniently control a user interface on the screen by u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나아가, 복수 개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키보드 중앙부에 배치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다가 터치패드를 사용하기 위해 손을 키보드 하단부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by dispo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it is intend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repeatedly moves his / her ha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keyboard to use the touch pad while using the keyboard.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포인터 또는 커서의 네비게이팅 기능을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와 지문 인증 기능을 지원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손쉽게 잠금(lock)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lock a desired file by using a pointing device supporting a navigation function of a pointer or a cursor and a pointing device supporting a fingerprint authentication function on a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부가,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표시하는 항목의 내의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돔 클릭(Dome click)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포인팅 디바이스의 돔 클릭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지문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잠금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by u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includes: a program or file corresponding to a program or a file from a first poin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controller is positioned in an area of an item displaying a program or a file; Determining whether a dome click signal is detected for selecting a signal; Determining whether a fingerprint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a second pointing device while a dome click of the first pointing device is maintained; And when a fingerprint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locking the selected program or file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put signal.

도 1은 종래 노트북에 터치패드가 장착된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특정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잠금(Lock)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특정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잠금(Lock)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포인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포인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ouch pad is mounted on a conventional notebook computer.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setting a lock on a specific program or file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FIG. 2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unlocking a specific program or file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onnection with another system in the midd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E-Book 등이 될 수 있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notebook, a tablet PC, a smart phone, an E-book, and the lik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화면상에서 포인터 또는 커서의 네비게이팅(navigating)을 지원하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 사용자 지문 인증 기능을 지원하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 통신부(105), 표시부(107), 메모리(109), 및 제어부(111)를 구비한다.2 and 3,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inting device 101 that supports navigating a pointer or a cursor on a screen, and a second that supports a user fingerprint authentication function. A pointing device 103, a communication unit 105, a display unit 107, a memory 109, and a control unit 111 are provided.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는 휴대 단말의 화면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손가락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와 동일한 포인팅 기술이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는 화면 상에 표시된 내용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도록 한다.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generates and moves a cursor or a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nger so that the same pointing technology as that of the PC (Personal Computer)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llows the scroll function to move the displayed content on the screen up or down or to the left or righ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 위에 손가락을 올린 후 손가락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가 이동한다. 이때,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거나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움직임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his / her finger after raising his / her finger on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the cursor (or pointer) on the screen moves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may sense the physical contact of the finger or may sense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nger, and may generate the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여기서, '손가락'은 신체 다른 부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굳이 신체가 아니라도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가 움직임을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대체 가능한 물체가 될 수 있다.Here, the 'finger' may be understood as anoth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may be another replaceable object capable of grasping the movement even if it is not a body.

이때,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는 광학 트랙 패드(OTP, Optical Track Pad)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 밖에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 누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돔 클릭 스위치(Dome click S/W)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ma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track pad (OTP), but may also include an optical joystick, a hall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may include a dome click switch S / W that can detect a finger pressing operation of a user.

여기서, 광학 트랙 패드(OTP)는 휴대 단말용 광학 마우스로서, 개인용 컴퓨터에서 쓰는 광 마우스 기능을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한 광 포인팅 장치이다. 이러한 광학 터치 패드(OTP)에 대한 기술은 공개된 기술로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optical track pad (OTP) is an optical mou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is an optical pointing device that implements an optical mouse function used in a personal computer in a mobile device. The technology for such an optical touch pad (OTP) is a disclosed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입력장치로서, 상기한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의 입력 장치이다.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s a separate input devic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is an input device of the sam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described above.

부가적으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는 사용자 지문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performs a user fingerprint authentication function.

보다 상세하게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는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s

한편, 도 2에서는 단말(100)의 키보드 상에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가 왼쪽에 위치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가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2,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통신부(105)는 휴대 단말(100)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통신부(10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05)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휴대 단말(100)과 기지국과의 통신을 담당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5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and takes charge of a series of communica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ecessary signals. The communication unit 105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 RF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In particular,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05 accesses a web site via the wireless Internet, the communication unit 105 takes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표시부(107)는 LCD, OLE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7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 OLED, and an LED.

표시부(107)는 휴대 단말(100)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부(111)의 제어를 받는다.The display unit 107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to display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operation results,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메모리(109)는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memory 109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1)는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해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제1입력 신호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제2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감지한다.The control unit 111 detects whether the first input signal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re input to control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입력 신호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기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입력 신호는 손가락 움직임에 대응하는 변위 신호이거나 돔 클릭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발생된 돔 클릭(Dome click) 신호일 수 있다.When an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control unit 111 executes a predefined screen control function using the sensed input signal. At this time, the input signal may be a displac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nger movement or a dome click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ing of the dome click switch.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1)는 제 1 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때,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는 변위 신호), 제어부(111)는 제1입력 신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1변위로 연산하고, 제2입력 신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2변위로 연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상기한 제1변위와 제2변위의 조합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are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is a displacement signal), the control unit 111 computes the first input signal as a first displacement for one of two or more different axial directions, and the second input signal as one of two or more different axial directions Direction as the second displacement. Then, the control unit 111 executes a predefined screen control func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화면 전환, 홈 페이지 이동, 페이지 스크롤, 줌 인, 줌 아웃, 이전 프로그램 이동, 다음 프로그램 이동, 객체(Object)의 시계방향 회전, 및 객체(Object)의 반시계 방향 회전 중 어느 하나의 화면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1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switching the screen, moving the home page, scrolling the page, zooming in, zooming out, moving the previous program, moving the next program, clockwise rotation of the object, Directional rotation of the screen.

그리고, 제어부(111)는 제 1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제1입력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11)는 상기한 제1변위와 제2변위의 조합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텍스트 선택, 아이콘 복수 선택, 창 이동, 파일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If the second input signal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ile the first input signal is sens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the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first And executes the predefined screen control func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1 performs functions such as text selection, multiple icon selection, window movement, file, and the like.

그리고, 제어부(111)는 제 1 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제1입력 신호(예컨대, 화면상에 표시된 특정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클릭할 때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예컨대,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로 스와이프하는 행위에 의해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11)는 상기한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의 조합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사용자가 선택(예컨대, 클릭)한 파일 또는 프로그램을 잠금(Lock)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1 may detect the first input signal (for example,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clicks on a specific program or fil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When a fingerprint input signal (for example,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by swiping a fing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11 combines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Based on this, the predefined screen control function is execu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1 performs a function of locking a file or a program selected by a user (for example, a click).

각각의 화면 제어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Each screen control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한편, 전술한 제어부(111)에서의 화면 제어 기능은 일정시간 동안의 제1변와과 제2변위의 절대값이 각각 설정된 임계변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변위와 제2변위가 해당 임계변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기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미세한 손가락 움직임으로 인해 오조작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임계변위 이하의 값이 감지될 경우에는 이를 무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화면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screen control function in the control section 111 is executed only when the absolute values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displac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exceed the set critical displacements respectively. When the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do not exceed the corresponding critical displacements, by preventing the predefined screen control function from being per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rroneous operation due to the user's fine finger movement. That is, when a value below the critical displacement is detected, it is ignored, thereby preventing the screen control from being executed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u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st input signal and a second input signal are detected from a first pointing device and a second pointing device,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가 동시에 감지되는 지를 판단한다(S110).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are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S110).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가 동시에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제1입력 신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1변위로 연산한다(S120). 그리고, 제어부는 제2입력 신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제2변위로 연산한다(S1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 that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first input signal as a first displacement in one of two or more different axial directions (S120). Then, the control unit computes the second input signal as a second displacement in one of two or more different axial directions (S130).

상기한 S120단계와 S130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Steps S120 and S13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S120단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1입력 신호(Δx, Δy)를 일정시간 동안 수신하고, 일정시간 동안 수신한 Δx의 합(절대값)과 Δy의 합(절대값) 중 큰 쪽을 선택하여, 제1포인팅 디바이스에서의 손가락 움직임이 X축 방향인지 Y축 방향인지를 결정한다. 축 방향이 결정되면, 선택된 값이 해당 축 방향의 양의 방향인지 음의 방향인지를 판단하여 제1변위를 산출한다.In step S120,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irst input signal (DELTA x, DELTAy)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es a sum (absolute value) of DELTA x ) Is sel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nger movement in the first pointing device is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axial direction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lected value is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displacement is calculated.

S130단계에서는 S120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변위를 산출한다.In step S130, the second displacement is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120.

S120단계와 S130단계를 통해 제1변위와 제2변위가 산출되면, 제어부는 산출된 제1변위와 제2변위가 각각 임계변위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140). 임계변위 이하의 값이 감지될 경우에는 이를 무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화면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are calculated through steps S120 and S13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exceed the critical displacement, respectively, at step S140. When a value lower than the critical displacement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control from being executed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user by ignoring the value.

S14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1변위와 제2변위가 각각 임계변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1변위가 제2변위를 이용하여 기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S15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the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exceed the threshold displacement, the controller performs a predefined screen control function using the first displacement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150).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S150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는 화면 제어 기능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screen control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step S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FIG.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화면에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 창(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져 창과 오피스 프로그램 창)이 실행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동시에 Z축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예컨대, 제1포인팅 디바이스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돔 클릭(Dome click) 신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된 상태에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X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동시에 X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화면을 동일한 비율로 나누어 현재 실행 중인 두 개의 창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도 5 참조). 즉, 사용자가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를 손가락으로 클릭한 상태에서 상태에서, 양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경우, 화면 분할하여 동일한 크기의 프로그램 창이 표시된다.5, it is assumed that two or more program windows (for example, an Internet browser window and an office program window) are executed on the screen, and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simultaneously output Z (For example, when a dome click signal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xis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screen at the same ratio to display two windows currently being executed on the screen (Fig. 5 Reference). That is, when the user swipes both fingers outward in a state where the user has clicked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ith the finger, Is displayed.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X축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의 변위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활성화 또는 선택된 객체(이미지, 웹 페이지, 영상, 프로그램 페이지 등)를 해당 변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6, when a displac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activated or selected object (image, Web page, image, program page, etc.)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예를 들어,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X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X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객체가 축소되고,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X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X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객체가 확대된다(도 7 내지 도 9 참조).For example, when a displacement in the X-axis positive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a displacement in the X-axis negative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selected object is contracted, When a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X-axis sound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a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X-axis positive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selected object is enlarged (Figs. 9).

그리고,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Y축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의 변위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활성화 또는 선택된 객체(이미지, 웹 페이지, 영상, 프로그램 페이지 등)가 해당 변위에 따라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하도록 한다.When the displacements of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n the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Y-axis direction are simultaneously detecte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activated or selected objects (image, web page, Etc.)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예를 들어,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Y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Y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선택 또는 활성화된 객체의 시계방향 회전이 수행되고,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Y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Y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선택 또는 활성화된 객체가 반시계방향 회전한다.For example, when a displacement in the Y-axis positive directi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a displacement in the Y-axis negative directi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en a clockwise rotation is performed and a displacement in the Y-axis negative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a displacement in the Y-axis positive directi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objec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으로부터 동시에 X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거나 동시에 X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이전 또는 다음 응용 프로그램으로의 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10,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X-axis sound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t the same time or simultaneously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X- If a displacement is detected, the movement to the previous or next application is performed.

예를 들어, 'A','B','C' 응용 프로그램이 현재 실행 중이며, 이중 'A'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고 가정 하에,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동시에 X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면, 이전 응용 프로그램('C')으로의 이동이 수행되고,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동시에 X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다음 응용 프로그램('B')으로의 이동이 수행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B', and 'C' applications are currently running and that the 'A' application program is active,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 movement to the previous application program ('C') is performed, If a displacement in the positive direction is sensed, the movement to the next application ('B') is performed.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운영체제인 'Windows 8'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운영체제 'Windows 8'은 크게 [Start화면], [All Apps화면], [Desktop 화면]으로 구성된다. Next, referring to FIG. 11,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Windows 8', an operating system of Microsoft Corporation. The operating system 'Windows 8' consists largely of [Start Screen], [All Apps Screen], and [Desktop Screen].

Window 8 운영체제 환경하에서,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으로부터 동시에 Y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거나 동시에 Y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화면 전환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Under the Window 8 operating system environment, the control unit 111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Y-axis sound direction simultaneously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 Screen switch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예를 들어, 전환 가능한 화면으로[Start화면-All Apps화면-Desktop화면]이 존재하고, 이중 [Start화면]이 표시된 상태라는 가정하에,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동시에 Y축 양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면, 제어부(111)는 [Start화면]에서 [Desktop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하고,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동시에 Y축 음의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되면, 제어부(111)는 [Start화면]에서 [All Apps화면]으로 화면을 전환한다.For example,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Start screen - All Apps screen - Desktop screen] The control unit 111 switches the screen from the [Start screen] to the [Desktop screen], and when the displacement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s detec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Y-axis sound direc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11 switches the screen from [Start Screen] to [All Apps Screen].

한편, 전술한 S120 단계 및 S130단계가 상기한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teps S120 and S13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다른 예로, 제1입력 신호(Δx1,Δy1)와 제2입력 신호(Δx2,Δy2)를 각각 벡터로 계산한 값이 이용될 수도 있고, 제1입력 신호(Δx1,Δy1)와 제2입력 신호(Δx2,Δy2)를 각각 특정 좌표값으로 계산한 값이 이용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 valu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first input signals? X1 and? Y1 and the second input signals? X2 and? Y2 as vectors may be used, and the first input signals? X1 and? Y1 and the second input signals DELTA x2, DELTA y2) may be used as a specific coordinate value.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는 PC의 마우스 환경과 동일하게 왼쪽 버튼 클릭과 오른쪽 버튼 클릭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과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는 사용자의 손가락 누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돔 클릭 스위치(Dome click S/W)를 각각 구비한다.Hereinafter, a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FIG.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support the left button click and the right button click in the same manner as the PC mouse environment. To this end,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re each provided with a dome click switch S / W for detecting the finger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워드 프로그램 또는 텍스트가 표시된 웹 페이지와 같이 선택 가능한 텍스트가 표시된 화면에서,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Z축 방향에 대한 변위가 감지된 상태[즉,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가 돔 클릭(Dome click)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이때, 제2입력 신호는 손가락의 Swipe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변위 신호임),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가 클릭된 화면 상의 지점을 기준으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의 제2입력 신호에 따라, 도 12에서와 같이, 텍스트 영역이 선택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의 돔 클릭 신호에 따라 텍스트 영역의 시작점을 지정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의 변위 신호에 따라 상기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이것은 PC의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다.12, in a screen where a selectable text such as a word program or a text displayed on a web page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or not a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I.e.,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maintains a dome click), when a second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has been clicked or not based on the second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based on the point on the screen where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is clicked, As in 12, let the text area be selected. That is, the control unit 111 designates the start point of the text area according to the dome click signal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enlarges or reduces the area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 This is the same concept as selecting the text by moving the mouse with the left mouse button of the PC clicked.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다수 개의 선택 가능한 아이콘이 표시된 바탕화면에서,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가 돔 클릭(Dome click)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이때, 제2입력 신호는 손가락의 Swipe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변위 신호임),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가 클릭된 화면 상의 지점을 기준으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의 제2입력 신호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아이콘들이 선택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의 돔 클릭 신호에 따라 아이콘 선택을 위한 영역의 시작점을 지정하고,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의 변위 신호에 따라 상기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이것은 PC의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다.Next, referring to FIG. 13, in a desktop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selectable icons are displayed,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holds a dome click,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device 103 (in this case, the second input signal is a displac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wipe motion of the finger),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is clicked The plurality of icons a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on the basis of the point on the screen. That is, the control unit 111 designates the start point of the area for icon selection according to the dome click signal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enlarges the area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Or reduced. This is the same concept as selecting multiple icons by moving the mouse with the left mouse button of the PC clicked.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창이 표시된 화면에서, 제어부(111)는, 화면에 표시된 프로그램 창의 상단부 일정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돔 클릭(Dome click) 신호가 감지되면, 제1포인팅 디바이스가 돔 클릭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한다.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11)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의 제2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된 프로그램 창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것은 프로그램 창의 상단부에 포인터를 위치시킨 다음 PC의 마우스 외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프로그램 창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다.
Referring to FIG. 14, in a screen in which one or more program windows are displayed, the controller 111 receives a dome click (click)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in a state where a pointer is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top portion of a program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 Signal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input signal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ile the first pointing device maintains the dome click.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the control unit 111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rogram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 This is the same concept as moving the position of the program window by moving the mouse while positioning the pointer at the top of the program window and then clicking the button outside the PC.

도 15 내지 도 18은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를 각각 개별적으로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UI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5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UI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ndividually.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선택 가능한 아이콘이 표시된 바탕화면에서,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특정 아이콘에 위치한 아이콘을 선택한다. 즉, 제어부(111)는 제1입력 신호가 변위 신호인 경우에는 그 변위 신호에 따라 화면 상의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제1입력 신호가 돔 클릭 신호인 경우에는 포인터가 위치해 있는 지점의 아이콘을 선택 또는 실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화면 상의 특정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돔 클릭 신호가 감지를 되는지를 판단하고, 돔 클릭 신호가 감지될 경우 해당 아이콘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 창 (PC환경에서 특정 아이콘에 대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클릭했을 때와 동일)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때, 옵션 창이 화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를 상하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옵션 창 상에 표시된 제어항목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15, the controller 111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on the desktop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selectable icons are displayed Or select an icon located on a specific icon. That is, 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a displacement signal, the controller 111 moves the point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signal. If the first input signal is a dome click signal, the controller 111 selects or selects an icon at a point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 dome click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ile a specific icon on the screen is selected. If the dome click signal is detected, an option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icon Window (the same as when you right-click a specific icon in the PC environm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op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selectively activate the control items displayed on the option window by swiping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웹 페이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실행 가능한 항목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변위 신호가 감지를 되는지를 판단하고, 변위 신호가 감지될 경우 그 변위 신호에 따라 웹 페이지에 표시된 내용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페이지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도록 한다(PC환경에서 마우스의 휠을 조작했을 때와 동일). 여기서, 페이지 스크롤은 표시부에 표시된 페이지나 데이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행위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6, in a screen where a web page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11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Execute the item selectively.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cement signal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en the displacement signal is sensed, the control unit 111 allows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web page to be moved up or down or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signal Allow page scroll functionality to be implemented (same as when operating the mouse wheel in a PC environment). Here, the page scrolling means an operation of moving the page or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up and down.

한편, 도 16에서는 웹 페이지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이 가능한 창 또는 프레임을 갖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오피스 프로그램,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등)에 적용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16,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eb pag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application programs (e.g., office programs, image editing programs, etc.) having windows or frames that can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scrolled This is self-evident.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에서, 제어부(111)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변위 신호가 감지를 되는지를 판단하고, 변위 신호가 감지될 경우 그 변위 신호에 따라 볼륨(Volume)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17, on the screen where the media playback program is being executed,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 displacement signal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nd when the displacement signal is sensed, Increases or decreases the volume according to the signal.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에서, 제어부(111)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변위 신호가 감지를 되는지를 판단하고, 변위 신호가 감지될 경우 그 변위 신호에 따라 볼륨(Volume)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17, on the screen where the media playback program is being executed,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 displacement signal is sens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and when the displacement signal is sensed, Increases or decreases the volume according to the signal.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운영체제 'Windows 8'의 [Start화면]의 일예이다. 'Windows 8'의 [Start화면]은 서로 다른 색의 타일(Tile) 형태의 메뉴 항목들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PC의 마우스 환경에서는 각 메뉴 항목에 포인터를 위치시킨 다음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메뉴 항목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 창(Unpin from Start, Unistall, Smaller 등)이 화면의 하단부에 나타난다.Next, referring to FIG. 18, FIG. 18 is an example of a [Start screen] of the operating system 'Windows 8' of Microsoft Corporation. [Start screen] of 'Windows 8' consists of menu items of tile type of different colors. In general, in PC mouse environment, place the pointer on each menu item and click the right button of mouse , An option window (Unpin from Start, Unistall, Smaller, etc.)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menu item.

Windows 8 운영체제 환경하에서, 제어부(111)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이때, 제어부(111)는, 포인터가 타일 형태의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즉, 포인터가 상기 이미지 영역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활성화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고, 포인터가 타일 형태의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제1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여기서, '활성화 모드'는 해당 메뉴 항목이 선택된 상태(즉, 활성화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은 다른 메뉴 항목과 차별화되어 표시된다. 이때, 특정 메뉴 항목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돔 클릭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11)는 해당 메뉴 항목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 창(Unpin from Start, Uninstall, Smaller 등)이 화면의 하단부에 나타나도록 제어한다.
Under the Windows 8 operating system environment, the controller 111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signal input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1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activation mode' when the pointer enters the image area representing the tile-shaped menu item (that is,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side the image area)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signal only when the pointer is located outside the image area indicating the menu item of the form. Here, 'activation mode'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menu item is selected (that is, activated), and generally selected menu items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nu items. If a dome click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ile a specific menu item is active, the control unit 111 displays an option window (Unpin from Start, Uninstall, Smaller, etc.) ) Is display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een.

도 19는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특정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잠금(Lock)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잠금'은 잠금 설정을 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가 해당 파일 또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FIG. 1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setting a lock on a specific program or file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In this case, 'lock' means to prevent the use of the file or program by a user other than the user who set the lock.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파일이 표시된 화면에서, 제어부(111)는,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표시하는 항목의 내의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로부터 돔 클릭(Dome click) 신호가 감지되면,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 돔 클릭이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19, in a screen displaying one or more programs or files selectable by a user, the controller 111 may display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while the pointer is positioned in an area within an item displaying a program or file. When the dome click signal is detected,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determines whether the fingerprint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while the dome click is maintained.

이때, '지문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손가락을 스와이프(Swipe)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ngerprint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swiping a fing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제어부(111)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11)는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의 지문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된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잠금 설정한다.When the fingerprint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the controller 111 locks a program or fil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103. do.

참고로, 잠금 설정되어 있는 파일 또는 프로그램의 잠금 해제(즉, 진입 또는 실행)은 도 20에 도시한 그림과 같은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unlocking (ie, entering or executing) a locked file or program may be achieved by a method as illustrated in FIG. 20.

도 2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잠금 설정이 되어있는 파일 또는 프로그램을 제1포인팅 디바이스(101)를 이용하여 선택(즉, 클릭)한 뒤, 제2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지문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실행시킬 수가 있다.
Referring to FIG. 20, when a user selects (ie, clicks) a file or program that is locked using the first pointing device 101 and inputs a fingerprint using the second pointing device, You can run a program or file.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포인팅 디바이스(103)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여기서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2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econd pointing device 103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3)는 신호 출력단자(110)와 하우징(120)과 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inting device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output terminal 110, a housing 120, and a sensor 130.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는 포인팅을 위한 센싱 신호를 발산, 즉 출력하며,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센서(130)를 수용하고 상기 센서(130)는 포인팅을 위한 픽셀이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센싱영역을 갖는다.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emits, i.e., outputs, a sensing signal for pointing. The housing 120 accommodates the sensor 130 and the sensor 130 has pixels arranged for pointing in an array form. It has a sensing are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130)는 기판(PCB, 140),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PCB)에 탑재되며,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는 상기 센서(130)의 외측(바깥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20)과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센서(130)를 둘러싸서 보호하며 상기 하우징(120)의 외주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는 상기 기판(140)에서 상기 센싱 신호가 출력(방출)되는 부분을 말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130 is mounted on a substrate (PCB, 140),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is the outer (outer side of the sensor 130).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120. The housing 120 surrounds and protects the sensor 13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stepp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refers to a portion of the substrate 140 where the sensing signal is output (emit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는 포인팅을 위한 센싱 신호를 방출하며,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하우징(120)을 매개로 손가락과 같은 피사체로 방사된다. 상기 센싱 신호로 빛이나 전파, 예를 들면 RF(Radio Frequency) 신호 등 다양한 종류의 소스(Source)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싱 신호가 RF 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emits a sensing signal for pointing, and the sensing signal is radiated to a subject such as a finger through the housing 120. The sensing signal is not limited to the RF signal because various types of sources such as light or radio waves, for example, a radio frequency (RF) signal, may be used as the sensing signal.

그리고, 상기 포인팅 장치(100)에 손가락의 지문이 접촉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에서 RF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면, 지문의 산과 골의 형상에 따른 전기적 특성 차이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지문의 산과 골의 높이차에 의한 정전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130)는 지문 이미지 및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n RF signal is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i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pointing device 100, A difference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ccurs, for example, a difference in capacitance due to a height difference between a peak and a valley of a fingerprint occurs, and accordingly, the sensor 130 detects a fingerprint image and a finger movement.

상기 센서(130), 부다 구체적으로 지문센서는 전술한 전기적 특성 차이를 통해 이미지 또는 템플릿을 생성하며, 생성된 지문 이미지는 또는 템플릿은 지문의 식별, 사용자의 인증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움직임(이동거리/이동방향)을 추적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문의 식별, 인증, 네비게이션(포인팅)을 위한 피사체(손가락)의 움직임을 모두 수행하는 구성을 센서, 특히 지문센서라 칭한다.Specifically, the sensor 130 or the budda fingerprint sensor generates an image or a template through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haracteristic difference, and the generated fingerprint image or template may not only identify a fingerprint, authenticate a user, but also move a finger (movement distance / It also tracks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ll movements of a subject (finger) for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navigation (pointing) of a fingerprint is called a sensor, particularly a fingerprint sensor.

이후 상기 센서(130)에서 감지된 지문 이미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후 기판(140)을 거쳐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마이컴(미도시)으로 전달된다.Thereafter, the fingerprint image sensed by the sensor 13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transferred to a microcomputer (not show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rough the substrate 14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외부, 즉 피사체(손가락)측으로 송출하는 안테나로서 기능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에서 생성된 센싱 신호는 상기 하우징(120)을 매개체로 하여 상기 피사체, 즉 손가락으로 전파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20 functions a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to the outside, that is, the subject (finger) side,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120 is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Accordingly,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propagates to the subject, that is, the finger, through the housing 120 as a medium.

상기 하우징(120)에는 상기 센싱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도전부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성의 도전체나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전성 코팅 등과 같은 구성이 상기 하우징(120)에 적용될 수 있다.The housing 120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par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to the outside, such as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lic conductor or a conductive coating as in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later is applied to the housing 120 Can be.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기판(140)에 표면 실장(SMT)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사이에 개재된 센서(13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센서(130)의 둘레를 감싸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이 단차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서 휴대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상기 포인팅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포인팅 장치(100)가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20)의 하단 프랜지에 의해 전자기기의 외부에서는 내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간결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The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substrate 140 in a manner such as surface mount (SM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fixes the senso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housing 120 has a case shap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ensor 130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a step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pointing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When the poin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not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lower flange of the housing 120, thereby providing a concise appearan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도전성의 신호 송출부를 갖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20 has a conductive signal transmitting por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센싱 신호, 예를 들면 상기 RF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로서 도전부(121)와 합성 수지 재질의 구성(합성수지부)으로서 하우징 부재(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도전부의 예로서 안테나 프레임이 개시된다.In more detail, the housing 120 uses the conductive member 121 as a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for example, the RF signal, and the housing member 122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synthetic resin). An antenna frame is disclosed as an example of the conductive part.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은 금속 재질로서 상기 하우징 부재(12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부재(122)는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으로서, 전술한 하우징의 프랜지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부재(122)는 전자기기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를 사출하여 휴대 단말기에 조립이 적합한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The antenna frame 121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122 as a metal material, and the housing member 122 is a main frame forming an edge of the housing and forms the flange of the housing described above. The housing member 122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may be produced in a form suitable for assembly to a portable terminal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상기 센서 상측, 즉 피사체가 위치되는 영역에 센싱 신호(RF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 즉 도전부가 하우징 부재(122)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20)을 형성하되,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의 일측이 상기 신호 출력단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센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의 상단은 포인팅 장치의 상단면에 노출되어서 상기 센싱 신호를 외부로 방출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과 상기 기판(140)상의 신호 출력단자(110)는 도전성 접착제, 예를 들면 실버 에폭시(Silver Epoxy) 등의 도전성 물질에 의해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상단면에 노출됨으로써 윤이 나고 화려한, 즉 고급스런 이미지(Glossy Image)의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and configured to output a sensing signal (RF signal) to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tenna frame 121, that is, the conductive part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member 122 to form the housing 120, and one side of the antenna frame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Connected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and the upper end of the antenna frame 121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inting device to emit the sensing signal to the outside. Here, the antenna frame 121 and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on the substrate 140 may be bonded by a conductive adhesive,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epoxy, and the antenna frame 121. By expos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pointing device, a glossy, brilliant, or glossy image can be implemented.

이로 인해, 손가락의 바닥면, 즉 지문이 형성된 손가락 표면이 상기 센서(13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하우징(120), 특히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를 통해 상기 손가락의 바닥면으로 전파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을 통해 상기 센싱 신호가 피사체(손가락)으로 전파되면, 상기 센싱 신호는 손가락의 지문의 골(valley)과 산(ridge)의 전기적 특성 차이로 인해 정전 용량의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센서(11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기(도시 생략)를 통해 증폭되어, 연성회로기판(FPCB, 150) 등과 같은 커넥터를 통해 휴대 단말의 마이컴으로 전송될 수 있다.Thus,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that is, the finger surface on which the fingerprint is formed, is located above the sensor 130,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of the finger through the housing 120, in particular the antenna frame 121. Propagated to cotton. When the sensing signal propagates to the subject (finger) through the housing 120, the sensing signal causes a difference in capacitance due to a difference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valley and a ridge of a fingerprint of a finger. do.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110 may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mplified by an amplifier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a microcomputer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nnector such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150.

여기서,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122)와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서트 사출에 의할 경우,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가 먼저 상기 센서(130)의 규격에 맞추어 제조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122)는 휴대 단말의 규격,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인팅 장치의 장착부 규격에 맞는 형상과 크기로 인서트 사출된다.Here, the antenna frame 121 may be fixed to the housing member 122 by insert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insert is injected, the antenna frame 121 is firs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sensor 130, and the housing member 122 meets the standard of the portab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art of the pointing device. Inserts are injected in shape and siz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는 돔 스위치(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돔 스위치(160)는 포인팅된 메뉴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dome switch 160. The dome switch 160 may be used to generate a signal for selecting a pointed menu or ic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는 상기 센서(130)의 상측면, 즉 피사체를 향하는 센서의 표면에 코팅되는 UV 수지층(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130)의 표면에 외부 자극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 생성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UV 수지층(170)은 상기 센서(120)의 상측면에만 코팅될 수도 있으나 상기 센서(130)의 상측면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20)의 상측면에도 더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UV 수지층(160)의 두께는 70㎛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V resin layer 170 co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nsor 130, that is, the surface of the sensor facing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generation of scratches due to external stimuli on the surface of the 130). The UV resin layer 170 may be coat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120, but may be further co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20 as well as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130. The UV resin layer 160 may have a thickness of 70 μm or les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20)이 신호 송출부(121)인 안테나 프레임과 합성 수지부(122)인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전자기기의 규격이나 디자인에 적합하게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호 출력단자(110, RF 단자)로부터의 출력되는 RF 신호를 손가락의 바닥면으로 출력하여 지문 인식 및 이동 감지를 위한 센싱 신호가 상기 센서(130)에 효율적으로 입력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using 120 includes an antenna frame that is a signal transmitting unit 121 and a housing member that is a synthetic resin unit 122, the housing 120 is included in a standard or design of an electronic device. Not only can it be suitably mounted, but also outputs the RF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terminal 110 (RF termin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so that the sensing signal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vement detection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sensor 130. Allow input.

한편, 상기 하우징(120)은 디자인 요구 조건에 맞추어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의 표면, 특히 상기 안테나 프레임(121)의 표면이 디자인 요구 조건에 맞게 도색된 색상층이 형성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색상층 위에 상기 UV 수지층(170)이 코팅됨으로써 색상층이 보호될 수 도 있다.
Meanwhile, the housing 120 may have a color in accordance with design requirements.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housing,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the antenna frame 121 is formed with a color layer paint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requirements can be improved aesthetics. The color layer may be protected by coating the UV resin layer 170 on the color lay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같이 CPU, 기록 매체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통신 장치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또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smart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PU, a recording medium, and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 computer or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the smart device,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both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본 개시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or smar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readily devi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sclosure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휴대 단말 101: 제1포인팅 디바이스
103: 제2포인팅 디바이스 105: 통신부
107: 표시부 109: 메모리
111: 제어부
100: portable terminal 101: first pointing device
103: second pointing device 105:
107: Display unit 109: Memory
111:

Claims (1)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는,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표시하는 항목의 내의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돔 클릭(Dome click)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포인팅 디바이스의 돔 클릭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지문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지문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잠금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u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wherein the controll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dome click signal for selecting the program or file is detected from the first pointing device while the pointer is located in an area within the item representing the program or file;
Determining whether a fingerprint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a second pointing device while a dome click of the first pointing device is maintained; And
If a fingerprint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pointing device, locking the selected program or file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nput signal;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using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KR1020120078094A 2012-07-18 2012-07-1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Withdrawn KR201400116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094A KR20140011611A (en) 2012-07-18 2012-07-1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094A KR20140011611A (en) 2012-07-18 2012-07-1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611A true KR20140011611A (en) 2014-01-29

Family

ID=5014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094A Withdrawn KR20140011611A (en) 2012-07-18 2012-07-18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6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699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10452174B2 (en)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KR102120930B1 (en) User input method of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enabling the method
US8514190B2 (en) Displays for electronic devices that detect and respond to the contour and/or height profile of user input objects
US20120019488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isplay
US20100123665A1 (en) Displays for Mobile Devices that Detect User Inputs Using Touch and Tracking of User Input Objects
KR102101334B1 (en) Input device having multi-level driver and user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840479B1 (en)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stylus comprising body having conductive portion and systems utilizing the same
US96587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KR20140011611A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AU2013100574A4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KR101429581B1 (en) User interface controlling method by detecting user's gesture and terminal therefor
KR20130061871A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plurality of pointing device and terminal
HK1169182A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HK1133709A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KR20070050949A (en) Method for using po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